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손병희의 일본 망명과 개화사상의 형성 - 손병희의 『準備時代』를 중심으로

        성지윤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9

        이 연구의 목적은 한말 개화기 일본 망명을 통해 형성된 손병희의 개화사상을 검토하고 그것이 한국 개화사상에서 가진 역사적 위상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손병희가 일본 망명 시기에 박영효와 교류하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각각의 개혁안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일본 정부가 작성한 정보문서 『要視察韓國人擧動』을 바탕으로 손병희와 박영효의 관계성을 검토하였다. 이어 아직 주목되지 않은 손병희의 『準備時代』를 통해 그의 근대화 주장이 어떤 내용인지를 살펴보는 동시에 박영효의 「建白書」와 비교, 분석하여 그 영향력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된 내용은 동학농민혁명 이후 손병희의 망명과 그의 개화사상 및 국가 위기상황에 대한 그의 주장이다. 첫 번째로는, 손병희가 동학농민혁명 이후 일본으로 망명하게 된 과정을 검토하고, 손병희가 일본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확인하였다. 또, 일본 망명 중에 조선의 개화파 인물을 비롯한 박영효와의 교류를 통해 개화사상을 배우게 되었음을 검토하였다. 두 번째로는, 손병희가 박영효의 개화사상으로부터 영향받았을 것을 논하면서, 각자가 주장하는 개화사상 및 국가 위기상황에 대한 주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손병희의 주장이 갖는 시대적 의미와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둘의 주장에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손병희와 박영효의 개화사상은 민본주의와 민의 저항권을 언급하고, 민이 곧 국가의 근본이라고 파악하면서도 국민의 정치참여를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국가와 국민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달랐는데, 박영효는 민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의 본래 취지와 목적임을 강조했지만, 손병희는 국가를 위한 국민의 책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둘은 모두 교육에 관한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다만 박영효는 민이 교육을 받는 목적을 근대국가의 지배를 잘 받기 위함에 두고 있었던 반면, 손병희는 국민의 교육이 곧 국가를 책임질 수 있는 바탕이 된다고 보았고, 교육을 통해 민이 국가 근대화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음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손병희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강조하였던 민의 주체성은, 기존의 개화파의 주장에 비해 보다 진보적인 면모라고 평가할 수 있는 동시에, 제국주의를 정당화하는 사회진화론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다만, 이러한 손병희의 주장은 당시 동아시아의 근대적 국제질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며, 반제국주의적 인물이었던 그가 국가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어떻게 제국주의적 세계정세를 수용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on Byung-hee's enlightenment ideas formed through the Japanese exile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reveal its historical status in Korean enlightenment. This study noted that Son Byung-hee interacted with Park Young-hyo during his exile in Japan,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each reform plan.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Byung-hee and Park Young-hyo was reviewed based on the information document "Korean behavior requiring inspection" writt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addition, Son Byung-hee's "Preparatory age" which has not been noted, examined what his modernization claim was about, while comparing and analyzing it with Park Young-hyo's "A petition" to see how much influence it ha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bout Son Byung-hee's exile afte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is enlightenment thoughts and claims about the national crisis. First, the process of Son Byung-hee's exile in Japan afte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reviewed, and what kind of perception he had about Japan was confirmed. It was also considered that during his exile in Japan, he learned the idea of enlightenment through exchanges with Park Yeong-hyo, including Joseon's enlightenment figures. Second, discussing that Son Byung-hee's enlightenment idea was influenced by Park Young-hyo,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ir claims on enlightenment and national crises were identified. Along with thi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Son Byung-hee's argument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common and different in two main aspects. First, Son Byung-hee and Park Young-hyo's enlightenment ideas had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mentioned the right to democracy and the people's resistance, and that the people were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but did not mention the people's political participation. At the same time, it wa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people was different. Park Young-hyo emphasized that protecting the people was the original purpose and purpose of the nation, while Son Byung-hee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people for the nation.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both mention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hile Park Young-hyo aimed to ensure that the people were well governed by the modern state, Son Byung-hee believed that the people's education was the basis for the nation's responsibility, and that the people could participate independently in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Finally, the people's self-reliance, which Son Byung-hee considered important and emphasized, was considered more progressive than the existing claims of the Enlightenment, but it had limitations in that it accepted the social evolution theory justifying imperialism. However, Son Byung-hee's claim shows how the modern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was changing at the time, and shows how he, an anti-imperialist figure, embraced the imperial world situation to cope with the national crisis.

      • KCI등재

        초월과 매몰 : 춘원과 회월의 납북 전야

        손유경(Son, Youkyung)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이 글은 동우회와 카프를 각각 이끌었던 이광수와 박영희가 투옥이라는 공통의 경험을 서사화하는 서로 다른 방식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1947년의 필화 사건 이후 두 인물이 해방기 출판·문화계에 남긴 상반된 행적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씌었다. 자신들의 감옥 체험을 바탕으로 자전적 소설 「무명」(1939)과 「독방」(1935)을 집필한 춘원과 회월은 해방기에 함께 필화를 겪지만 춘원은 별다른 타격을 입지 않고 남한 출판계를 석권하다시피 했으나, 회월은 납북되어 실종될 때까지 매우 고립된 삶을 살게 된다. 박영희의 「독방」 서사의 핵심은 “어머니의 정신 전체가 뭉쳐진 성서”라는 표현에서 발견되는데, 여기서 말하는 ‘어머니의 정신’은 희생적 모성애나 뜨거운 신앙심, 혹은 아늑한 방이 아니라 이지적 언행이나 학자적 자세, 정결한 서재 이미지로 표상되며, ‘나’의 이러한 학자적 정체성은 전향이나 친일로 회수되지 않는 박영희 고유의 내면을 드러내면서 문학에 대한 미학적 이해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구한 그의 마지막 저서 『문학의 이론과 실제』(1947)의 탄생을 예견한다. 납북 직전까지 문단사·문학사를 제외한 어떠한 개인적 기록도 남기지 않은 박영희는 부끄러움에 매몰된 채 자신의 특기인 이론적 탐구에 몰두한다. 반면, ‘영혼=나 vs. 육체=타자’의 이분법적 구도가 뚜렷이 드러나는 이광수의 「무명」에서는, 멀리서 들려오는 목탁 소리와 흡사한 ‘나’의 목소리가 회월 식의 인간적 진실을 무화시키는 초월적 진리로 군림한다. 개인적 증오나 원한으로부터 자유로운, 신(神)인 체하는 자의 이러한 비-인간적 목소리는 이광수의 『나의 고백』(1948)에서 그대로 반복된다. 이광수는 분별심에서 벗어나라는 불교의 가르침을 무차별적 화해 종용의 수단으로 삼는 전도된 논리를 펴지만, 친일파의 내면을 궁금해 하는 대중과 이광수의 상품성을 포기하지 못한 출판인들의 위대한 ‘화합’ 덕분에 그의 책은 신나게 팔려나갈 수 있었다. 부끄러움을 초월해버린 이광수와 부끄러움에 매몰된 박영희를 마주 세워 거울에 비친 두 사람의 이미지를 관찰함으로써, 본고는 전향-친일-납북이라는 교집합 바깥에 자리한 각각의 차집합을 적극적으로 조명하는 작업의 중요성을 새삼 환기하고자 했다. 적어도 전향-친일-납북이라는 개인과 공동체의 커다란 비극을 ‘무차별적’으로 사유해서는 안 되겠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fferent narrative styles of Yi Kwang-su and Park Young-hee, who were leaders of Donguhoe and KAPF respectively, in sharing their common experience of imprisonment, and examines their contrasting significance in publishing and literary circl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at came after the 1947 writing indictment incident.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prison, Yi Kwang-su wrote the autobiographical novel Mumyeong (Absence of Light) (1939), and Park Young-hee wrote Dokbang (Solitary Confinement) (1935). The two writers were involved in writing indictment incident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Yi Kwang-su was hardly affected and enjoyed huge success in South Korea, but Park Young-hee led a life of isolation up to his abduction. The gist of Park Young-hee’s Dokbang (Solitary Confinement) can be found in the expression “scriptures embodying the mother’s spirit.” Here, “mother’s spirit” refers to intellectual words and actions or scholarly attitudes, not sacrificial maternal love or passionate faith. The associated image is one of a clean study, not a cozy room. The scholarly identity of “I” reveals Park Young-hee’s inner sentiments that were not captured in his conversion or pro-Japanese stance. At the same time, it hints at the birth of his last book, The Theory and Practice of Literature (1947), which theoretically explores the aesthetical understanding of literature. Park Young-hee did not leave any personal records up to his abduction, and dedicated himself to theoretical inquiry while submitting to shame. On the other hand, Yi Kwang-su’s Mumyeong (Absence of Light) revolves around the dichotomy of ‘soul = I vs. body = other’. The voice of “I,” similar to the distant sound of the wooden fish, becomes a transcending truth. The godly, non-human voice that is free of hatred and resentment is repeated in Yi Kwang-su’s Naui Gobaek (My Confession). Yi Kwang-su relied on Buddhist teachings to induce indiscriminative reconciliation, and saw a boost in book sales thanks to the harmony between the public, who were curios of the pro-Japanese perspective, and publishers, who were reluctant to give up on the author’s marketability. This article observed the contrasting images of the two writers, focusing on Yi Kwang-su’s transcendence of shame and Park Young-hee’s submission to shame.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xamining differences lying outside the intersection of conversion, pro-Japanese, and abduction, which constitute the huge tragedy impacting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nd at the very least, should not be approached indiscriminately.

      • KCI등재

        『문우』에서 『백조』까지 -매체와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정우택 ( Jeong Woo-tae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7 No.-

        이 논문은 『백조』가 탄생하기까지의 정황을 매체와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살펴보았다. 정백, 홍사용, 박종화 등은 휘문고보 시절 회람잡지 『피는꽃』를 발간하고, 사회에 나와 `문우구락부`를 조직하고 문예잡지 『문우』(1920.5)를 발간했다. 지금까지 잡지 『문우』는 이름만 알려져 왔을 뿐이었는데, 이 논문에서 처음으로 그 실체를 소개하게 되었다. 『문우』에는 정백, 홍사용, 박종화, 이서구, 박헌영 등이 글을 발표했다. 박헌영을 제외한 이들은 『문우』 이전에 종합지 『서광』(1919.11 창간)의 편집자 혹은 필자로도 참여하였다. 또 다른 문학청년인 박영희와 나도향은 박종화를 견인하여 문예잡지 『신청년』 2기(4호, 1921.1)를 주도했다. 박영희, 박종화, 노자영 등은 시전문지 『장미촌』(1921.5)의 동인으로도 활동했다. 이 시기에 최승일은 박영희, 나도향, 박종화, 현진건 등을 초청하여 더 큰 규모를 갖춘 『백홍(白虹)』이란 잡지를 제안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 마침내 『백조』는 1922년 1월, 홍사용, 박종화, 박영희, 나도향, 현진건, 이상화, 노자영 등을 동인으로 창간되었다. 문예동인지 『백조』를 발행한 문화사는 사상잡지 『흑조』도 기획했는데, 이는 『피는꽃』과 『서광』, 『문우』의 주도자이자 사회운동가였던 정백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그러나 정백은 한국 최초의 좌익잡지 『신생활』(1922.3)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는 이전에 `문화`라는 범주에 함께 묶였던 `문학`과 `사상`이 분화·전문화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백조』는 `감상적·퇴폐적 낭만주의`라는 문예사조 혹은 신경향파 문학의 타자로서만 의의를 갖는 것이 아니라, 3.1운동 이후의 다기(多岐)한 문학적·정치적 조류와 기획, 그리고 성취를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ircumstances and backgrounds in which < Baek Jo > came into being, focusing on media and human network. Jung Baek, Hong Sa-Yong and Park Jong-Hwa began to publish the < Peeneun KKot > in their high school days, and. after their graduation, organized `Mun Woo Club`, publishing a literary journal < Mun Woo >(May, 1920). Up to now, < Mun Woo > has been known only by name, but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came to discover its real features. The < Mun Woo > contains varied writings of Jung Baek, Hong Sa-Yong, Park Jong-Hwa, Lee Seo-Gu and Park Heon-Young who, before starting to publish the < Mun Woo >, had joined an academic journal < Seo Kwang >(founded in Nov. 1919) as editors and writers. Other literary youths such as Park Young-Hee and Na Do-Hyang played a leading role in a literary journal < Shin Cheong Yeon >, inviting Park Jong-Hwa. Some literary colleagues like Park Young-Hee, Park Jong-Hwa and Noh Ja-Yeon took part in a poetic journal < Jang Mi Chon >(May, 1921). At that time, Choi Seung-Il suggested the < Baek Hong > with a larger scale to Park Young-Hee, Na Do-Hyang, Park Jong-Hwa and Hyun Jin-Geon, but he failed to get their answers. At last, the < Baek Jo >(Jan. 1922) was first published by some literary colleagues such as Hong Sa-Yong, Park Jong-Hwa, Park Young-Hee, Na Do-Hyang, Hyun Jin-Geon, Lee Sang-Hwa and Noh Ja-Young. The cultural organization which had issued the < Baek Jo > once intended to publish an ideological magazine < Heuk Jo >, expecting the positive activities of Jung Baek, a crusader,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publishing the < Peeneun KKot >, < Seo Kwang > and < Mun Woo >. But Jung Baek came to take charge of the first leftist magazine, < Shin Saeng Hwal >(March. 1922). It means that `literature and ideology` which, in the former time, belonged to the same category, culture, began to b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The < Baek Jo > not only has great significance as `the other` of the sentimental and decadent trend of literary thoughts, romanticism, and new tendency of literature, and it also stands for the various literary and political trends and their objects and achievements after Sam-il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반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박영희의 프로문학론

        조은정 ( Cho Eun-j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2

        프로문학과 관련하여 박영희의 프로문학론은 20년대 당시 소설가들 또는 문예가들 사이에서 합의된 소설의 규범에 비추어 볼 때 너무 파격적이고 그의 작품은 미적 성취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하였다. 오늘날까지도 박영희의 주장과 작품은 학계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그가 염상섭과 김기진과 나눈 논쟁에서 박영희가 선호하는 예술의 모델이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을 바탕으로 하는 극적 몰입의 창출과 카타르시스가 아니라 환상의 파괴에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박영희의 프로문학론이 반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고 「피의 무대」, 「철야」 및 「지옥순례」를 분석하되 독일의 현대극과 관련하여 반아리스토텔레스 시학에 속하는 브레히트의 서사극 속 ‘이화 효과’ 기법과 호르바트의 민중극 속 ‘진지함과 아이러니의 종합’ 기법으로 살펴 보았다. 「피의 무대」의 숙영은 연극 무대에 서는 배우로서 브레히트의 ‘이화효과’ 기법으로 자신이 맡은 배역의 대사를 하지 않고 관객들에게 무산자 계급의 처지에 대한 깨달음을 주고 죽음을 맞이한다. 「철야」의 경우, 처음에 독자는 명진이 잡지사에 글을 쓰면 돈을 받게 되는 상황을 알고 읽기 시작하지만, 마감일 전까지 명진은 궁핍함과 배고픈 나날을 보내는 중에 청탁받은 글은 쓰지도 못하고, 다만 계급투쟁을 인생 문제로 삼는다는 글만 써서 보내는 것을 본다. 예기치 않은 이러한 결말은 독자에게 낯설음을 주는 동시에 명진의 현실을 극복하는 방법은 계급투쟁이라는 깨달음을 주는데 호르바트의 민중극에서 전개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지옥순례」 역시 호르바트 민중극으로 분석하자면 소설의 앞부분에서 독자는 예기치 않게 발생한 살인으로 괴로워하는 진달이에게 감정 이입한다. 다음 날 꿈에서 깨어난 진달이가 아들이 자신이 살해한 소년의 피가 묻은 호떡을 먹는 걸 보고 독자는 충격을 받으며, 이후 가족 모두 감옥으로 잡혀가는 결말을 보고 현실을 실감한다. 분석 결과 박영희의 프로문학론은 그의 작품에도 잘 녹아 들어 자신이 주장을 잘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박영희 작품은 가난과 비참함 속에 살아가는 인물들을 그대로 묘사하는 차원을 넘어 독자들에게 두 계급이 있다는 현실을 알려 주고 계급 투쟁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식민지 조선 시대 박영희의 프로문학론은 반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이 보이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 프로문학론과 박영희 작품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에 기여하고 그의 다른 작품들에 대한 후속연구를 장려하길 기대한다. Regarding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the academy has not been paying much attention to Park Young-hee’s fiction because his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theory was considered too unconventional, and his works fell short of aesthetic achievement in light of the norms of novels in the 1920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However, considering that modern dramas, such as the German Epic Theatre and Folk Theatre, have been appreciated by readers,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his literary theory and his works from a modern point of view. This study maintains that Park Young-hee’s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theory is associated with non-Aristotelian Poetics. His preferred model of art lies in the destruction of fantasy, not catharsis. Bertolt Brecht’s Verfremdung (i.e., Alienation Effect) in the German Epic Theatre, and Ödön von Horváth’s Synthese von Ernst und Ironie (i.e., Synthesis of Seriousness and Irony) in the German Folk Theatre are considered to be literary devices in non-Aristotelian Poetics. Bertolt Brecht’s and Ödön von Horváth’s works are aimed to motivate people to think about social misery and to change it. This study analyzes Park Young-hee’s “The Bloody Stage”(「피의 무대」), “Staying Up All Night”(「철야」), and “Pilgrimage to Hell”(「지옥순례」) from a non-Aristotelian perspective. Regarding the literary devices, his works are in harmony with his own literary theory as well as non-Aristotelian Poetics. Regarding the themes, they inform readers of the dire reality, full of poverty and exploitation, resulting from the divide between the two classes: that is, the haves and the have-nots. Moreover, the themes give reader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class struggles. This study extends the scholarly attention to Park Young-hee’s early works. With its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ark Young-hee’s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Theory and his works, as well as encouraging further research into the significance of his other works.

      • KCI등재

        조선적 환멸과 환상 해체의 방법론 -박영희 초기 문학 담론에 나타난 자기 구성의 문제-

        이원동 ( Won Dong Lee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5 No.-

        1924년의 박영희는 김기진과 함께, 외국 문학 특히 러시아 문학자와 작품을 참조하고 인용하면서 자신의 문학론을 전개했다. 이와 같은 글쓰기 방법은 이광수, 김동인 등 이른바 부르주아 문학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문학의 개념적 윤곽을 그리는 한편, 발표된 작품을 대상으로 비평하는 관행이 자리잡지 않았던 단계에서 유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러시아 문학의 역사적 경로에서 조선문학의 새로운 방향을 상상했다. 그러나 1880년대의 체호프는 두 사람의 차이를 보여주는 계기였다. 체호프의 러시아적 환멸기는 알렉산더 1세 이후 폭력적 전제정치, 러시아 지식인의 무력함을 그 특징으로 했다. 그러면서도 새로운 생활에 대한 의욕, 진리 탐구에 대한 열정 등도 조금씩 나타났던 시대였다. 이와 같은 러시아 환멸기의 다양한 주제에서 김기진은 고독과 환멸의 감각을, 박영희는 실생활에 대한 의욕과 열정을 각각 부각시켰다. 1924년을 지나면서 김기진은 조선 현실에서 환멸감을 느꼈다. 그것은 민중 교화라는 역사적 임무를 홀로 자각한 예술가가 깊은 잠에 빠진 조선 민중 앞에서 느꼈던 고독감과 관계 깊다. 이는 조선 지식인 및 예술가에 대한 김기진의 ‘회의 없는 믿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박영희는 소설이나 철학은 물론, 실생활의 감각을 상실한 예술가나 지식인도 ‘회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여기서 생각해 봐야 할 것은 김기진과 박영희가 ‘상아탑 속의 예술’로 표상되는 부르주아 예술과 달리, 새로운 예술은 ‘실제적인 것’이어야 한다고 했다는 점이다. 요컨대, 박영희는 예술이나 철학, 그리고 지식인 그 자신까지도 회의의 대상으로 삼을 만큼 철저했다. 1924년 박영희의 소설 「결혼전일」, 「애의 만가」, 「이중환자」의 서사적 구도를 ‘환상 - 현실 감각의 상실’과 ‘자각 - 새로운 성장의 계기’ 사이에서 그려볼 수 있는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니다. 환상을 제거하는 실제적인 것의 감각은 초기 사회주의 문예 담론 구성 과정에서 박영희 이론의 고유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The first half of the 1920’s, Kim Gi Jin and Park Young Hee, who was the leading part in the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quated and referred Russian literature to establish their own territory - differentiate the concept of modern literary between the concept of proletarian literature. Quotations and references was important and useful method of writing for them to make the outline and direction of Korean “new” proletarian literature. Specially, they noticed Chekhov``s literature at the same time. Chekhov``s literature was a symbol of the age of disillusionment, Russia in the 1880’s. In this symbol, Kim Gi Jin preferred the sense of loneliness and disilusion, but Park Young Hee preferred the sense of Passion and entusiasm towards a new life. Over the years of 1924, Kim Gi Jin felt even more deeply disillusion to the korean people. It means thath he has full confidence of the historical mission of intellecuals. On the other hand, Park Young Hee criticized some of these artist and intellectiuals, who lost the sene of acuality or reality. It was possible due to Park’s aggressively an effort to discovering the sense of acuality, in this real world, to the Chekhov’s disillusionment. This sense was found in the Park’s novel, 「The night before the Wedding day」, 「love elegy」, 「a double-patient」, writed in 1924. The sense of acuality, in this real world, was the only thing that Park’s early part of the Proretarian literary theory.

      • KCI등재

        박영희의 초기 행적과 문학 활동

        박현수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4 No.-

        Park, Young-Hee(朴英熙) established the New Tendency Letters(新傾 向派文學) in Korea at firs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Park, Young-Hee’s early days activity from the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literature to joining the <KAPF: Korea Artista Proletaria federatio>. This thesis also wishes to look into Park, Young-Hee’s study of literature, personal exchange, group activity etc. He entered the BaeJae high grade normality school(培材高等普通學校) in 1916. And he was concerned with the literature by SanHyeon(山縣) the teacher of literature. In 1921, he acted in <GyeongSeongCheongNeunClub(京城靑年俱樂部)> and announced his work at <SinCheongNeun(新靑年)>. In same period,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ublishing the <JangMiChon(薔薇村)> and announced two poems. Park, Young-Hee became the coterie <BaekJo(白潮)> in January, 1922. <BaekJo> was the union BaeJae high grade normality school-<Sin CheongNeun> and <HwiMoon high grade normality school(徽文高等普 通學校)>-<MoonWoo(文友)>. In same period, he studied abroad in Tokyo(東京) and returned to his country in the next year owing to his illness. About that time, he reflected his literature taste by way of the persuasion of Kim Gi-Jin(金基鎭). Park, Young-Hee worked at <GaeBeok (開闢)> since July, 1924. And in January, 1925, he became the dean of the literature department and acted several works enthusiastically. Henceforth he entered the group called <PASKULA>. In 1925, when <KAPF: Korea Artista Proletaria federatio> was formed, he became one of the member of <KAPF>. 이 글은 박영희가 문학에 뜻을 두게 되는 때로부터 <카프>에서 활동하기까지의 행적과 문학 활동을 재구하고자 했다. 이는 『신청년』, 『장미촌』, 『백조』, 『개벽』 등으로 이어지는 매체에서의 활동과 부르주아적 예술지상주의로부터 신경향파 문학으로 이어지는 문학적 변모에 대한 실증적인 검토와 맞물리는 작업이었다. 박영희가 문학을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배재고보>에서 수업 시간마다 문학에 대해 열강하던 山縣이라는 교사를 통해서였다. 이후 <배재고보>에서 만난 김기진, 나도향 등과 『청춘』을 대상으로 문학에 대한 토론을 벌이기도 한다. 1921년 박영희는 나도향, 최승일 등과 <경성청년구락부>에서 활동하면서, 그 기관지인 『신청년』 4, 5, 6호에 글을 실었다. 『신청년』에서의 활동은 문학에 대한 열의와 매체에 대한 필요가 교차하는 가운데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비슷한 시기 박영희는 『장미촌』 창간호를 발행하는 데 주된 역할을 하는 한편 시를 두 편 발표한다. 1922년 1월 『백조』 1호가 발행되는데, 박영희는 박종화, 홍사용, 나도향, 현진건, 이상화, 노자영, 이광수, 원우전, 안석주, 오천원 등과 함께 『백조』의 동인으로 활동한다. 『백조』는 <배재고보>-『신청년』 계열과 <휘문고보>-『문우』 계열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박영희는 『백조』 1호 발간 당시 도쿄에 머무르고 있다가 1923년 2월 중순을 전후로 해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 1922년 말에 이르러 박영희는 『백조』의 동인 관계에 대해 숙고하는데, 이는 새로운 경향의 문학에 대해 소개하고 설득했던 김기진의 영향 때문이었다. 박영희가 『개벽』 편집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은 1924년 7월부터였다. 이듬해 문예부 주임이 된 박영희는 눈에 띄는 활동을 추진해 나갔다. 첫째, 『개벽』의 문예 부문을 활성화시켰다. 둘째, 『개벽』의 문학적 색채를 분명히 했다. 셋째, 현상문예, 독자문예 등 제도를 기획하는 것이었다. 박영희는 『개벽 문예부 주임이 된 직후 <파스큐라> 주최로 열린 강연회에 참가한다. 이 글은 <파스큐라>가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김석송, 이익상 등이 결성을 주도했고, 결성 시기는 1925년 1월이고 <파스큐라>라는 이름은 1925년 2월 <문예강연급시각본낭독회> 당시 붙여졌음을 밝혔다. 박영희가 『개벽』에 <계급문학시비론>을 게재하자 최승일, 이호, 박용대 등 <염군사>의 성원들이 찾아온다. 당시까지 <염군사>는 기관지 『염군』의 거듭된 발행금지 및 압수 등에 의해 제대로 된 문학적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1925년 8월 23일 <카프>가 결성되고 박영희는 그 동맹원이 된다. <카프>의 결성에 대해서는 보다 엄밀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박태원 기획 권영희 집필 『갑오농민전쟁』 제3부의 서술 특성과 서사 의미

        염인수 한국근대문학회 202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4 No.2

        Part 3 of Park Tae-won's historical novel Gabo Peasant War is a book planned by Park Tae-won and written by Kwon Young-hee. Gabo Peasant War Part 3 was easy to interpret as the result of crude reproduction of people and history of the years of late 19th century, and there are cases where it is argued that the multidimensionality and verisimilitudity of the previous books disappeared and rigidity and ideology emerged. Our paper focuses on Part 3 of Gabo Peasant War , which has not been actively interpreted so far, and attempted to infer the influence of author Kwon Young-hee on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eaning and derive the uniqueness of Part 3.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Gabo Peasant War Part 3 is that when the narrator reproduces the characters' language, the narrator's words and the characters' words ten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narrative discourse, and while the narrator actively refers to Oh Ji-yeong's Donghaksa as material for story development, she borrows Oh Ji-young's sentences.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the overall thematic structure of <Gabo Peasant War Plan>, which is the conflict of words between classes, is directly revealed. What our paper focused on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in Part 3 is that, unlike previous books, it included stories of female characters directly participating and fighting in the peasant war. It is inferred that the reason women are described as practical subjects in Sections 14, 15, and 16 of Part 3 is because this book was written by Kwon Young-hee. Our paper reveals that the stories of these three female characters, namely Yoon Young-ah, Han Eum-jeon, and an unnamed woman of Hoemunsan mountain, are each based on actual history and events, therefore the uniqueness of the narrative in Part 3 is that new subjectivity is given to these female characters. In Gabo Peasant War Part 3, new possibil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Gabo Peasant War Project>, ‘fighting women’ and ‘loving women’, appeared. Having completed Park Tae-won's plan to write a historical novel in which the commoner class endured tragic defeat and continued the fight as faithful subjects, Kwon Young-hee added the images of plebeian female subjects.

      • KCI등재

        카프비평사의 탈구축과 재구성 : ‘박영희-임화’ 노선과 ‘김기진-김남천’ 노선의 비교 연구

        이도연 ( Lee Doyeo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1

        The ‘Park, Young-hee-Im, hwa’ line is relatively more pronounced, as an empirical reality, a tendency to rely on the subject’s subjective will as a distinct consciousness-oriented one rather than an objective being. On the other hand, the ‘Kim, Ki-jin-Kim, Nam-cheon’ line sought to maintain the specificity of their literary cause, while constantly invoking the empirical reality of colonial Joseon while pursuing the ideological type of Marxism. This was the buttress that led them to follow their criticism as consistent literary positions, essentially realists, even though they also had the same firmness of idealism as Park, Young-hee and Im, Hwa. To add on, Kim’s thinking system can be summed up by constant dialectical interaction between theory and reality, and Kim, Nam-cheon’s emphasis on the empirical embodiment of colonial Joseon, like Kim, Ki-jin in the socialist realism debate, is the support of the main idea and logic. Considering the above descriptions comprehensively, it can be assessed that the ‘Kim, Ki-jin-Kim Nam-cheon’ line, based on empirical reality as an objective rather than on the subjective will of human beings, implies flexible openness and flexibility of thinking as an open system that fully recognizes the utilitarian nature of literary art, while willing to approve the autonomy of art and the peculiarity of literature. Therefore, I think that the ‘Kim, ‘Ki-jin-Kim, Nam-cheon’ line needs to be emphasized and re-enacted rather than the ‘Park, Young-hee-Imhwa’ line in the future as well. This is to renew to the present literary tradition tha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now-here’ literature, not to the relics of the past that passed the history of KAPF criticism.

      • KCI등재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Emergence of Korean Landscape that is seen From Perspective of Industrialization

        조세환,김요섭,노준택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10 No.-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etal movement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e year of 1970 that the word ,Landscape Architecture, is emergent till the year of 1980 that the presidential secretary of Landscape Architecture that had lasted in government since year of 1972 by the comparison with the beginning of Americ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industrial civilization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evolved civilization at climax in the those days and the fetal move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new professional was the subjected to the industrial civilization. in America. The second, it also was analysed that identifying the fetal movement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ould be discussed in the view of industrialization as like America. The third, there were two peoples, the one was the former president of Korea, Jung-Hee, Park(President Park) who launched the radical industrialization, decided the decision of introd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and had deeply nature-loving world view, the other was Whee-Young, Oh, the former presidential secretary of Landscape Architecture who was the first Korean landscape architect educated in America. The forth, the negative point of views as like President Park's the view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deceive the citizens' eyes on the destructions of national nature', ‘the pursuing of decoration-oriented Landscape Architecture', ‘the introduc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screen the past Japanese-friendly behavior of President Park, ‘the peremptory introd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by government that have been the roots of the all modern Korean problems' etc. in a former research on the fetal movement in Korea in a series of negative image conceiving President Park the dictator could be retransfer to the positive points of view of ‘introduction of industrialization civilization for nation wealth', ‘anavoidable nature development to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land infrastructure, ‘the world view of nature-loving of President Park, ‘the trying to restore and conserve the nature and national land', ‘the national economic success leading to the democratization' in Korea, there after. The fifth,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has been also settled down in self-organization process through the competition with the gardening based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s of Korea as like America did dur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agricultural society to industrialization society in the varies professional names of Gardening, Landscape Gardening, Garden Architecture. The sixth, as the fetal movement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as introduced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process to be the advanced world civilization country in modern history of Korea,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is confronting now-a-days would be searched in a new way of trying to adapt to the new paradigm of the knowledge-creative society of 21st century.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작품에 나타나는 하얼빈의 형상에 대한 연구- 이효석, 김훈, 박영희의 작품을 중심으로

        맹신루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인문학연구 Vol.- No.58

        이 연구는 이효석의 「하얼빈」, 김훈의 하얼빈 , 그리고 박영희의 하얼빈 할빈 하르빈 을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중국 도시 하얼빈의 형상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세 작품에 내재 된 하얼빈의 도시 이미지와 그 역사적 변화를 조사하여, 기존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하얼빈에 거주하는 중국 연구자인 필자가 현대 중국 사회의 문화 현상과 정치 지형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소재를 제공하고, 도시 문화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나는 특정한 공간이나 장소는 종종 그 자체로 고유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문학 작품 속의 공간을 이해하는 것은 해당 작품의 전반적인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얼빈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한 후 문학 작품을 읽으면, 그 작품을 더 깊이 이해한다. 이 연구는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주로 초점을 맞춘 기존의 문학 연구와는 달리, ‘어디에서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고 하얼빈이라는 도시의 중요성을 탐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 방향은 문학 작품 안에서 특정한 공간이나 장소가 가지는 사회적 관계나 역사적 의미를 이해하려는 것이지만, 문학 작품의 공간과 장소를 통해 문학의 주제와 구조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는 문학 작품이 도구나 수단이 아니라 독립된 대상이나 주체로써 존중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비롯되었다. 아울러, 이는 문학 작품의 공간과 장소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학을 문화적 시각으로 살펴보려는 이유에도 부합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하얼빈이 근대 이후 중국 동북부에서 중요한 도시로 성장한 배경을 고려하여 해당 도시에 대해 주목하였다. 하얼빈은 이미 19세기 말에 서구 도시를 모방한 도시 건설이 이루어지고, 20세기 초반에는 중국의 국제 무역 중심지로 발전하여 다국적 주민의 국제도시가 되었다. 이에 더해, 본 연구는 하얼빈이 중국 내에서 최초로 해방된 근대 도시로 알려져 있었고, 유럽과 아시아 문화가 교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여겨진 이유를 감안하여 하얼빈이 어떻게 중국 사회에서 주목받게 되었는지를 탐색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문학계에서는 하얼빈에 대한 연구가 크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존의 한·중 문학 교류 연구는 특정 시기를 중심으로 한 경우가 많아 하얼빈이라는 중요한 도시를 충분히 다루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여 한·중 근현대 문학 작품에 나타난 하얼빈의 형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현대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하얼빈의 형상을 주요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진행 방식은 이효석의 「하얼빈」을 먼저 다루고, 김훈의 하얼빈 을 그다음에, 마지막으로 박영희의 하얼빈 할빈 하르빈 을 다루는 순서로 진행된다. 이효석의 작품은 1940년대를 다루며, 그는 이 시기에 하얼빈을 방문하여 작품을 썼다. 김훈의 작품은 2022년에 발간되었으나 1910년대의 하얼빈을 다루었다. 박영희의 작품은 2000년대 초반의 하얼빈을 주제로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목차는 텍스트의 발행 시기를 고려하여 작품의 역사적 맥락을 살피고자 한다. 또한, 소설과 르포 작품의 차이를 감안하면서도 두 형식이 공유하는 시공간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드려다 보았다. 연구의 최종 목표는 이 세 작 ... Focusing on “Harbin” by Lee Hyo-seok, “Harbin” by Kim Hoon, and “Harbin Harbin” by Park Young-hee, this study explores the shape of the Chinese city Harbin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rough this, we intend to investigate Harbin's urban image and its historical changes inherent in the three works and make up for the deficiencies in existing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new materials for the author, a Chinese researcher living in Harbin, to study the cultural phenomena and political topography of modern Chinese society, and to suggest new research directions for urban culture. A particular space or place that appears in a literary work often has its own meaning. Therefore, understanding the space in a literary work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defining the overall meaning of the work. If you read a literary work after understanding Harbin's history and culture, you will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work.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the city of Harbin, focusing on “where it happened,” unlike previous literary studies that mainly focused on “what happened.” This research direction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social relationship or historical meaning of a specific space or place in a literary work, but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ubject and structure of literature in more depth through the space and place of the literary work. This stems from the view that literary works should be respected not as tools or means but as independent objects or subjects. Thi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reason to examine literature from a cultural perspectiv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space and place of literary works. Considering the background of Harbin's growth as an important city in northeastern China after modern times, this study triggers interest in that city. Harbin was already built to imitate Western cities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in the early 19th century, it developed into an international trade center for China and became an international city for multinational resident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Harbin came to attention in Chinese society, considering the reason why Harbin was known as the first modern city to be liberated in China and was regarded as a space where European and Asian cultures could interact. However, until now,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Harbin in the literary world. Existing research on the exchange of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not sufficiently dealt with the important city of Harbin, as it is often focused on a specific period.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pay attention to the shape of Harbin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hape of Harbin, which appears in contemporary Korean-Chinese literature. The research methodology deals with Lee Hyo-seok's Harbin, Kim Hoon's Harbin, and finally Park Young-hee's Harbin. Lee Hyo-seok's work deals with the 1940s, and he visited Harbin and wrote during this period. Kim Hoon's work was published in 2022, but it deals with Harbin in the 1910s. Park Young-hee's work is based on Harbin in the early 2000s. The table of contents constructed in this way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text. In addition, while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vel and the work of Repo, it emphasizes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shared by the two formats. The final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Harbin's shape revealed through these three works and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and research direction on urban culture through this. Through this paper, Harbin's various imaginations and historical meanings were examined. Through this, in Lee Hyo-seok's work, Harbin indirectly expressed his opposition to Japanese colonial rule, and in Kim Hoon's work, he dealt with historical events with an emp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