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의 성별 및 형제특성에 따른 부모자녀관계와 또래관계 간의 관계분석

        이지영,이정미,이상희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by parents based on children’s sex and sibling structure and to find a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207 3- to 5-year-old children of kindergartens in Gyeonggi-do and their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children were bo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by father and mother. On the other hand, when children were girls, fat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role of parents, participated less in parenting, and had more difficulties at discipline than mothers. Besides, in cases of only children or firstborn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 and mother existed, but in cases of laterborns, the discrepancy in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difficulty of discipline was found. Seco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by father and mother according to children's sex and sibling structure. In terms of peer relationship, girls appeared to make more positive peer relationship than boys, and sibling feature was not relevant. Thir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by fath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girls'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boys' negative peer relationships, which suggests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could affect peer relationships depending on children's sex. Fourth, in cases of only children, mothers’ satisfaction at parenting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in cases of firstborns,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is suggests that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may affect peer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sibling structures. This study, which inspect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based on sex and sibling structure, is meaningful in that it figured out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differs between father and mother and is related to peer relationships.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207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아버지를 대 상으로 유아의 성별, 형제특성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부모자녀관계 수준 차이와 부모자녀관계와 또래관계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자녀의 성별이 남아인 경우 아버지와 어 머니가 인식한 부모자녀관계 인식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자녀가 여아인 경우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부모역할 만족이 높고, 부모참여도가 낮으며, 훈육에 대한 어려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가 외동이거나 첫째인 경우는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둘째이하 자녀에 대해서는 부모참여와 훈육의 어려움에서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가 인식한 부 모자녀관계 수준은 자녀의 성별 및 형제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래관계는 여아가 남아 보다 긍정적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제특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아버지가 인식한 부모자녀관계는 여아의 긍정적 또래관계와 정적상관이 있고, 남아의 부정적 또래관계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자녀관계가 또래관계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넷째, 외동자녀의 경우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과 긍정적 또래관계가 정적상관을 보이고, 형제 중 첫째 자녀는 아버지의 부모참여와 긍정적 또래관계 간에 정적상관이 나타나 형제특성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정도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성별과 형제특성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부모관계와 또래와의 관계성을 살펴, 부와 모가 동일 자녀에 대해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고, 혈연 외 처음 관계를 맺는 또래와의 관계와도 상관이 있음을 밝히고 있어 부모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부모의 학교 참여 경험, 학부모·자녀 관계 및 중학생 공동체의식 간 구조적 관계

        김제현(Kim, Je-Hyun),권순형(Kwon, soon-hyoung),김세영(Kim, S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부모 학교 참여 경험과 학부모·자녀 관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를 수행(2019.4.15.~2019.10.11.)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학교 참여 경험과 학부모·자녀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부모 학교 참여 경험이 학부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표준화계수가 0.436(=17.253,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학부모·자녀 관계와 공동체 의식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부모·자녀 관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표준화계수는 0.135(=5.398, =0.000)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부모 학교 참여 경험은 학부모·자녀 관계를 매개로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부모 학교 참여 경험과 공동체 의식 관계의 완전매개효과 표준화회귀계수는 95% 신뢰 수준에서 0.039로 나타났으며, 학부모·자녀 관계 변인은 완전매개변인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의 추가적 검증을 위한 전국적인 수준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부모 학교 참여가 학교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particip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that affects students s sense of community. To this end,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2019.4.15. ~ 2019.10.11.)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Parents’ participation experience on school to Parent-Child relationship,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on the effect of the Parents’ participation experience to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0.436(= 17.253, =0.000).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o students s sense of community,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on the effect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o the students s sense of community was 0.135(= 5.398, =0.000).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Parents’ participation experience on school to students s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mediation variabl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as full mediating effect was 0.039 at 95% confidence leve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variable was identified as complete mediation variable.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National level study is needed for further verification of this study. Second, follow-up studies on the effects of Parents’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School innovation are needed.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이 아동의 그릿을 매개로 아동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전란영(Jeon Ran 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 아동의 그릿 및 협동심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이 아동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그릿의 매개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1차 연도 자료(초등학교 4학년 아동 2,607명)를 사용해 변인 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 아동의 그릿 및 협동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아동의 협동심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아동의 그릿에 정적 영향을 미쳐 아동의 협동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을 아동의 그릿이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부모의 구조제공은 아동의 협동심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그릿을 부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의 협동심을 향상하기 위해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 아동의 그릿이 중요함을 밝힌 것으로 아동의 협동심 증진 방안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on child s cooperation. This study deter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s grit. The participant sample was derived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0), and the data of 2,607 children(4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To process th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s a result,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child s grit, cooperation. Second,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don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child s cooperation. The child s grit was shown to fully mediate the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the child s cooperation. Thirdly, the child’s grit was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the parental structure on the child coopera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futur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enhance child s cooperation.

      • KCI등재

        노부모-자녀와의 구조적·접촉적 결속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정규형(Kyu Hyoung Jeong),김종성(Jong Sung Kim),윤지희(Ji Hee Yun)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0

        본 연구는 노부모와 자녀와의 구조적·접촉적 결속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녀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고령자의 복지 실태와 복지 욕구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2010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자료이며, 60세 이상의 노인 5,194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끝으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노부모와 자녀와의 접촉적 결속과 우울 사이의 관계에서 자녀관계 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부모와 자녀와의 구조적 결속은 자녀관계 만족도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부모와 자녀와의 접촉적 결속이 높을수록 자녀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기초하여 노부모와 자녀와의 접촉적 결속을 높이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ucture·Associational solidarity of parent-child and depression of parents. A mediating model structured by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data was obtained throug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in 2010. The study analyzed 5,194 people over 60 years old. As research methods, frequency, descriptive, correlation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8.0 and structured equation analysis using AMOS 18.0 program were conducted. Additionally, a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are follows: First,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function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ional solidarity of parent-child and depression of parents. Second, there turns out to be no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 between Family structure solidarity of parent-child and depression of parent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Associational solidarity of parent-child based on the conclusion Associational solidarity of parent-child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ducing depression of parents.

      • KCI등재

        상담거부 자녀의 문제해결을 위한 부모상담 모형 제안 -다중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염은선,전영주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을 거부하는 아동/청소년 자녀들의 문제행동을 경감하기 위해 부모 중심의 중재에 초점을 둔 부모상담 모형(Parental Counseling Model)을 제안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해보는 것이다. 부모상담 모형 제안을 위해 구조적 가족치료모델을 기반으로 부모상담 관련 기존연구들을 고찰하면서 부모상담에 대한 개념화 작업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모상담이란 아동/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를 상담 단위로 하여 상담(counseling), 자문(consultation), 코칭(coaching), 교육(education)의 관점에서 부/모 개인상담, 부모교육, 부부상담을 병행하여 진행하는 중재로 개념화하였다. 또한 부모상담 모형을 자녀의 게임 과몰입, 부모폭력, 등교거부, 선택적 함구 등의 문제로 내원한 네 쌍의 부모를 대상으로 적용해봄으로써 부모상담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매 회기별 상담 메모 및 상담 축어록 전사 자료를 부모상담의 하위영역에 따라 명목화하며 분석한 결과, 아동/청소년 자녀가 상담에 참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모상담만으로 자녀들의 문제는 경감되었으며, 부/모의 내면변화, 부부관계, 부모자녀 관계 등 개인과 가족체계에서 의미 있는 개선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부모상담 모형의 아동/청소년상담 및 가족상담 분야에서의 임상적 시사점과 과제 및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arental counseling model(PCM) that focuses on parent-centered mediation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ho are involuntary or refuse counseling.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e conceptualization of parent counseling was done based on review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parent counseling and parent education. In this study, the parent counseling is the mediation as consisting of parental consultation, parental coaching, parental counseling, parental education, couple therapy and individual counseling for mother or father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CM was applied for the 4 cases of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problems of game addiction, abuse for parent, school refusal, and selective mutism, while their children did not participate counseling. The data drawn from the transcription of the counseling sessions and counselor's memos was qualitatively analyzed. As the results, parental counseling was found to be helpful to reduce the degree of children's problems, to improv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ouple relationship, and to empower the individual functioning of the parents. Finally,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ques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child/youth counseling and family counseling of the suggested PCM.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와 남한 어머니 간의 다집단 분석

        조혜영 ( Jo Hye Young ),권정윤 ( Kwon Jeong Y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와 남한 어머니 간의 차이를 다집단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196명과 남한 어머니 201명을 대상으로 SPSS 18.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온정적 양육행동은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관계인 반면, 부모역할에 대한 효능감과 의사소통지향의 상호작용은 정적관계가 나타났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정적인 양육행동에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양육스트레스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부모역할에 대한 효능감과 의사소통지향의 상호작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은 남한 어머니에 비해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모역할에 대한 효능감에 주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 이탈주민 어머니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ffecting warmth-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South Korean in multi-group approach. For data, 196 mothers of North Korean defector origin and 201 South Korean moth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using SPS 18.0 and AMOS 23.0 through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First, while warmth-parenting behavior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of dysfunctional interaction, the efficacy in the role of parent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e communication-oriented interaction.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The parenting stress of dysfunctional interaction directly influenced warmth-parenting behavior. An indirect influence was exhibited through the efficacy in the role of parents and communication-oriented interaction as medium. Second,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f dysfunctional interaction on the efficacy in the role of parents was shown to be greater in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than South Korean mother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finding and suggesting ways for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to reduce parenting stress whe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 KCI등재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감정코칭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희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emotional coaching style in the effect of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on early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6 parents of 3-5 year old childre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As a measurement tools,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Lee Eun-jeong(2015) and the parent coaching competency scale developed by Do Mi-hyang, Kim Geun-ju, and Lee Gyeong-ju(2019) were used. In additi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developed by Luthans, Avolio, and Orman(2006) and translated into the Korean version by Lim Tae-hong(2013)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 were used. Results First,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arly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among these variables, parent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Second, parents' emotional coaching styl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n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and early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s that parental variables are important in improving early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 particular, the more parents used the emotional coaching style, the more par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enhanced, a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ir early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arent-support programs so that parents can form an emotional coaching style.

      • KCI우수등재
      •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ㆍ청소년 생활실태 분석 및 대책연구

        성윤숙,김영한,송의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다양한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ㆍ청소년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생활상의 문제점을 규명하며,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ㆍ청소년의 사회적 지원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이들이 안정적이고 건강한 사회인으로의 성장을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주요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설문조사, 사례조사, 전문가 자문 및 워크숍 개최 등이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ㆍ청소년의 생활실태분석을 위해 전국의 초ㆍ중ㆍ고등학생 총 9,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양친부모가정의 경우를 보면 가족과 학교에서의 생활 등 대부분의 조사영역에서 다른 가족유형에 비해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양친부모가정의 경우 맞벌이에 따른 가정문제 발생방지대책과 이혼, 별거 또는 가정폭력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차원의 복지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가장 문제되는 가족유형은 한부모가정이었다. 이 가정의 자녀들은 가정과 학교에서의 만족도 및 지역사회행사에 대한 참여도가 다른 가족유형에 비해 떨어지고, 이웃과의 관계 역시 부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등 모든 조사 분야에서 다른 가족유형의 자녀들에 비해 관심과 배려가 더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흥미로운 결과는 조손가정의 경우 한부모가정과 비교하여 아동ㆍ청소년들의 삶이 현저하게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조손가정 자녀들의 경우 전체적으로 심각한 일탈현상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인간관계에 있어 양친부모가정과 유사하거나 때로는 더 긍정적인 경우도 확인되었다. 특히 지역사회에서의 인간관계는 양친부모가정의 자녀들보다도 더 긍정적이었다. 무엇보다 범죄행위와 관련하여 폭력, 협박, 갈취, 그리고 욕설 등 반사회적 행위에 있어서 조손가정 자녀들의 빈도가 가장 낮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사항이다. 더욱이 폭력이나 갈취 등 심각한 범죄행위에 있어서는 한부모가정의 자녀들에 비해 조손가정 자녀들의 비율이 2~3배 정도까지 낮은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ㆍ청소년교육에 있어 조부모의 역할이 결코 적지 않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사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유형의 특성에 부합할 수 있도록 가족유형별 맞춤식 정책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eek measures for the children and youth to grow as stable and healthy people in the society by understanding the living status of childrenㆍyouth by various family types, investigating problems in their liv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ㆍyouth by family types. Major methods of research include document research, surveys, case studies, consulting of specialists and holding of workshops.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total of 9,39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for the analysis of childrenㆍyouth living status by the family types. First of all, the cases of families with both parents showed more positive results compared with other family types in most of surveyed areas such as lives in a family and a school. Therefore, in the cases of both parents family, preventive welfare is necessary such as measures to prevent family problems caused by working parents and to prevent divorces, separate living or violence in family. The most problematic family type is one-parent family. Children in such a family type are confirmed to need more concerns and considerations in all surveyed areas compared with children in other types of families as they showed lower satisfaction in the family and school and lower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events and also form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rs. An interesting result is that children, youth in families raised by grandparents show remarkably positive results compared with the families with one parents. Of course, it is inevitable to show less satisfaction in the family relationship compared with the families with both parents. It is because they are separated from the direct love from parents. However, children in families raised by grandparents don’t generally show serious deviation phenomena, and in most of human relationship, they are confirmed to show similar to or even more positive than families with both parents. Especially, the human relationship in the local community shows more positive results than the children in families with both parents. Most of all, it is noteworthy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showed the lowest in terms of anti-social behaviors such as violence, threat, extortion, and curse related with criminal behaviors. Furthermore, it is also confirmed that in terms of serious criminal behaviors such as violence or extortion, children with grandparents show 2~3 times lower rate than children in families with one parent. Such results show important implication that the role of grandparents is not really small in the education of childrenㆍyouth,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politic suggestions have been presented tailored to family types to conform to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types.

      •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ㆍ청소년 생활실태 분석 및 대책연구

        성윤숙,김영한,송의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한부모ㆍ조손가정의 아동ㆍ청소년 생활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한부모ㆍ조손가정의 아동ㆍ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기가정 아동ㆍ청소년 생활실태를 살펴보면 가정생활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은 조손가정이 한부모 가정보다 높게 나타났고 아르바이트 시기는 수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중 한부모가정이 조손가정보다 부모와 친하게 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대화는 조손가정보다 한부모가정이 부모와 대화를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출시도 경험은 한부모가정과 조손가정이 비슷하게 나타났고 시ㆍ군에 살면서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처해있는 아동ㆍ청소년들에게 많이 나타나 가출예방 교육 및 가출청소년 긴급보호체계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학교생활에서 인간관계는 경제적수준이 낮을수록 불만이 많았으며, 담임선생님에 대한 만족도는 한부모가정이 조손가정 자녀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문제에서 물리적 폭력 가해ㆍ피해경험, 친구들과의 욕설사용 가해경험은 한부모가정 자녀가 조손가정 자녀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사에 대한 공개적 반항은 조손가정이 한부모가정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사회생활의 경우 지역사회의 도움 정도와 지역사회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한부모가정이 조손가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약물비행에서 서울이 음주경험이 가장 높았고, 흡연경험은 조손가정이 한부모가정보다 높았다. 지역별로 유해업소 출입은 시ㆍ군에서 가장 높고, 조손가정이 한부모가정에 비해 두 배 정도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수면과 학원방문시간은 조손가정이 더 높았으며, TV시청시간은 한부모가정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부모의 돌봄이 부족한 위기가정의 아동ㆍ청소년들에게 미디어교육에 대한 지도가 필요한 것이 확인되었다. 여가생활 중 공공시설 이용정도는 한부모가정이 조손가정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정보화생활에서 휴대전화의 주 사용용도는 통화와 문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손가정이 한부모가정보다 여자가 남자보다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ㆍ청소년 정책 수립을 위해 전문가 의견을 분석을 토대로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ㆍ청소년지원 정책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social support measures for the children and youth in families with one parent or grandpar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iving status of childrenㆍyouth in families raised by one parentㆍgrandparents.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ving status of childrenㆍyouth in crisis family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part-time job was higher in families with grandparents than in families with one parent in terms of their family life and the period of part-time job was random. In terms of family relationship, children in one-parent family shows close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an families with grandparents. In terms of communications with parents, childrenㆍyouth in one-parent families showed little or no dialogues with their parents rather than families with grandparents. The experience of running away from home is similar in both families with one-parent or grandparents. As it showed many cases in children youth in economically bad situations while living in city, gun areas, it is urgent to have running away prevention education and prepare for the urgent protection system for run away youth. In school lives, children with lower economic level showed more complaints in terms of human relationship.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 homeroom teachers showed higher level in families with one parent than children in families with grandparents. In the school problems, the experience of assaultingㆍbeing assaulted, such as physical violence, use of curse towards friends showed higher level in children with one parent rather than children in families with grandparents. Open resistance toward teachers was higher in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han children with one parents. In terms of local community life, the help level of local community and the satisfaction of local society was generally high and both are higher in families with one parent than families with grandparents. In drug abuse, Seoul showed the highest in terms of drinking experience, and in terms of smoking, families with grandparents showed higher level than families with one parent. In living misdeed, the frequency of going to harmful business was highest in citiesㆍguns, and families with grandparents showed twice high compared with families with one parent. Sleeping hours and visiting hours to private academies were higher in families with grandparents. TV watching hours are relatively higher in families with one family, showing the necessity of directing childrenㆍyouth in families lack of caring from parents for media education. The level of using public facilities among leisure life showed higher in families with one parent than families raised by grandparents. Major purpose of using cellular phones in the informatization life was the highest in communicating and text messages, and cellular phones are more possessed by children in families with grandparents than families with grandparents and female possess more than male. Second, we suggested children youth support policies by each family type based on the opinions of specialists to establish childrenㆍyouth policies by family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