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시모론 광고 태도에 감각추구성향이 미치는 효과

        주경희,박종철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1 기업과 혁신연구 Vol.44 No.4

        Oxymoron advertising is an advertisement that uses oxymoron. An oxymoron means a rhetorical expression method that lists two words and phrases that have opposite meanings together. Although oxymoron advertisements are often found in practice, related research is remarkably insufficient due to a lack of interest from academia. In order for people to properly understand what advertisers ultimately want to convey to their target customers through oxymoron rhetorics in advertisements, individuals must have some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whether the effect of oxymoron advertise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nsation seeking tendency, one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people with a high tendency to seek sensation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oxymoron advertising than general direct advertising. However, those with a low tendency to seek sensations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general direct advertising than oxymoron advertising.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it further expanded the area of oxymoron advertising research by sensibly approaching the effect of oxymoron advertising and verifying its fit with sensation seeking tendency. In addition, since advertising att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arousal level of people, it would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need for a strategy to properly match the arousal level of advertising messages. 모순어법(oxymoron)을 활용한 광고를 옥시모론 광고라고 한다. 모순어법이란 의미상 서로 모순되거나 대립되는 두 개의 어구를 함께 나열하는 수사적 표현기법이다. 옥시모론 광고는 실무에서 종종 접할 수 있음에도 관련 연구가 학계의 관심 부족으로 현저히 부족한 편이다. 사람들이 옥시모론 광고에서 모순 구조를 가진 메시지를 통해 궁극적으로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청자가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건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는 옥시모론 광고의 효과가 개인의 주요한 기질적 특성 중 하나인 감각추구성향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밝히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높은 감각추구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옥시모론 광고(vs. 일반 직설법 광고)에 대한 광고태도가 더 호의적이었다. 하지만 감각구추성향이 낮은 사람들의 경우 옥시모론 광고에 비하여 일반 직설법 광고를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수사적 기법 중 모순어법을 활용한 광고 효과를 보다 감각적으로 접근하고, 감각추구성향과의 적합성(fit)을 검증하여 옥시모론 광고 연구의 영역을 보다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사람들이 추구하는 각성 수준에 따라 광고 주목도가 달라지므로, 표적 고객의 감각추구성향을 파악하여, 광고 메시지의 각성/자극 수준을 적절하게 맞춰서 표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옥시모론 광고 효과에 대한 인지적 접근

        이은영(Lee, Eun Young),주경희(Chu, Kyounghee)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2

        옥시모론 광고란 모순어법(oxymoron)을 활용한 광고를 의미한다. 모순어법이란 의미가 반대되는 두 개의 단어·어구를 함께 나열하는 수사법을 의미한다. 사람들이 옥시모론 광고를 제대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지적 정보처리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개인이 인지적인 노력을 들이거나 혹은 관련 지식(스키마)이 있어야 광고 속 모순구조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옥시모론 광고의 효과가 개인의 인지적 사고체계 중 하나인 구조화동기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구조화동기 수준에 따라 옥시모론 광고 효과가 어떻게 차별적 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 구조화동기 낮은 사람들은 옥시모론 광고물에 대해 일반 광고물보다 광고태도가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조화동기가 높은 사람들은 옥시모론 광고물보다 일반 광고물에 대해 광고태도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옥시모론 광고의 효과를 인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구조화동기와의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옥시모론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고 사료된다. 더불어 본 연구는 광고기획 실무자들이 보다 목표 청중의 인지적 사고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사적 기법을 활용한 옥시모론 광고물을 디자인하고, 집행하는 것이 목표로 하는 광고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Oxymoron advertising is an advertisement that uses oxymoron. An oxymoronmeans a rhetorical expressionmethod that lists two words and phrases that have opposite meanings together. In order for consumers to properly interpret and understand Oxymoron ads, they need to go through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In other words, consumers need to make cognitive efforts or have relevant knowledge (schema) to understand the contradiction structure proper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oxymoron advertisement according to consumer’s personal need for structure.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oxymoron advertisement effect operates depending on the consumers personal need for structure. This research finds that consumers with low personal need for structure like an oxymoron advertisement more than a general advertisement whereas for consumers with lowpersonal need for structure, they like a general advertisement more than an oxymoron advertisement. This study can be give useful guidelines and insights by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onsumer’s personal need for structure in understudying the effect of an oxymoron advertisement.

      • KCI등재

        누가 모순어법을 사용한 광고 카피를 선호할까?

        주경희(Chu, Kyounghee),이은영(Lee, Eun Young)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3

        최근 들어 모순어법을 사용한 광고 카피 사례가 증가하면서, 모순어법 광고에 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역설법의 방식 중 하나인, 모순어 법을 사용한 광고, 즉 모순어법 광고의 효과가 개인의 마인드 셋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 효과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개인의 마인드 셋(사고방식)에 따라 모순어법 광고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 마인드 셋을 가진 소비자는 중간 수준으로 불일치한 모순어법 광고에 대한 태도가 완전하게 불일치한 모순어법 광고에 대한 태도보다 보다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추상적 마인드 셋을 가진 소비자는 완전하게 불일치한 모순어법 광고와 중간 수준으로 불일치한 모순어법 광고에 대한 광고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실무에서 나날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그 동안 광고 및 마케팅 학계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한 모순어법 광고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이후 연구자들이 관련 후속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본 연구는 광고 기획자가 보다 차별적이면서 참신한 광고를 기획하고자 할 때, 목표 고객들의 개인 특성을 잘 파악하여,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effect of oxymoron advertising according to consumer’s mind-set. Strategic advertising planning is an important one of corporate marketing strategy. Little attention has still been paid to oxymoron advertisement though the increase of oxymoron advertisement. Therefore, this study wants to fill this critical gap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nsumers’ characteristics which affect oxymoron advertising effect.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effect of oxymoron advertising differs depending on the consumers mind-set. The ke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nsumers with concrete mind-set prefer the moderately incongruent oxymoron advertising to the completely incongruent oxymoron advertising whereas for consumers with abstract mind-se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ttitude between the moderately incongruent oxymoron advertising and the completely incongruent oxymoron advertising. This current study would provide useful guidelines and insights by examining and emphasizing that designing and developing successful advertising strategy need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customers of the advertising.

      • KCI등재

        김현승의 고독과 시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ㅡ시 「절대고독」을 중심으로

        박경자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59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d the true solitude that forms Hyŏn-sŭng Kim’s internal emotion as well as its factors and background and analyzed the poetic imagery of solitude in Absolute Solitude, which is the peak of solitude.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how paradoxical oxymorons function in poetic imagery through his poem “Absolute Solitude.” Most papers on Hyŏn-sŭng Kim’s Solitude have focused on the period of Absolute Solitude and made various arguments on his solitude as well as poems on it, but have barely mentioned the factors and background of solitude formation. By focusing on this fact, the paper probed into the factors and background of solitude in the formative years of his personality from a psychological viewpoint. Using paradox and oxymoron in his poems, Hyŏn-sŭng Kim develops a panorama of meaning by arranging facts and contradictions and creating tension. Paradoxical oxymorons which go beyond general misunderstandings and demand diverse interpretations also form the majority of the narrative of his poem “Absolute Solitude.” Kim experiences a new world when he reaches the peak of solitude, and such stage has limi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be expressed and described in words. To effectively embody this, Kim used advanced symbols, metaphors, paradoxical expression, and oxymoron. As one can agree with the methodological value of paradoxical oxymoron by comprehending the situation of the Absolute Solitude period, interpreting a paradoxical oxymoron which shares close reciprocity with solitude can be effective to discern the truth of Absolute Solitude. If the internalization of poem that started from an interest in external nature or object into meta-physical question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sent-day poetry, Hyŏn-sŭng Kim is the pioneer of Korean present-day poetry. For Kim, poetry was also an inner means to pursue the infinite, mystery world beyond the finiteness and an internal imagery. Based on a metaphysical introspection on poetry of modernism tendency, Hyŏn-sŭng Kim achieves the essence of ideal, spiritual poetry. A question on how the recognition of a pantheistic, finite world is possible in a metaphysical introspection leads to more various and wider follow-up research. Keywords: Hyŏn-sŭng Kim, Absolute Solitude, Paradox, Oxymoron, Pantheistic, Autonomous self 본고는 김현승의 내면적 정서를 이루는 고독의 실체와 그 요인 및 배경을 집중 분석한 다음, 이를 토대로 고독의 절정기인 절대고독 시기 고독의 시적 형상화에 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시적 형상화에 역설적 모순어법이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그의 시「절대고독」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김현승의 고독에 대한 논고는 대부분 절대고독 시기에 집중되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고독, 이를 주제로 쓴 시에 관해 다양한 논지를 펼치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고독의 생성 요인과 배경에 대해서는 별 언급이 없었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해 그의 성격형성기를 기점으로 심리적 시각에서 고독의 요인 및 배경을 살펴보았다. 김현승은 시에서 역설과 모순어법을 활용해 사실과 모순을 배치시켜 긴장을 조성하며 의미를 전경화한다. 그의 시「절대고독」에서도 일반적 오해를 뛰어넘어 다의적 해석을 요구하는 역설적 모순어법이 주조를 이룬다. 그는 고독의 극점에 이르러 새로운 세계를 체험하는데 그 경지는 언어로는 형용하기 어려운 표현상의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그는 고도의 상징, 은유, 역설적 표현, 모순어법 등을 사용했다. 따라서 절대고독 시기의 정황을 헤아려야 역설적 모순어법의 방법론적 가치에 대해 수긍할 수 있듯이 고독과 긴밀한 상호성을 공유하는 역설적 모순어법을 해독하는 것이 절대고독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효과적 일 수 있었다. 외부의 자연이나 사물에 대한 관심에서 부터 출발한 시가 형이상학적 물음으로 내면화된 것이 현대시의 특징 중 하나라면 김현승은 한국 현대시의 선구자에 속한다. 그에게 시는 유한 너머 무한한 신비의 세계와 내면의 형상화를 추구하는 내밀한 수단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김현승은 모더니즘 경향의 시에 형이상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정신주의적 시의 진수를 이룬다. 여기에서 형이상학적 성찰에 범신론적 무한의 세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기능하는가 하는 질문은 다양하고 폭넓은 후속 연구를 주문한다. 주제어 : 김현승·절대고독·역설·모순어법·범신론·주체적 자아

      • KCI등재

        박서원 시의 아이러니적 주체와 모순어법 -초기작을 중심으로

        박슬기 한국시학회 2023 한국시학연구 Vol.- No.73

        This paper examines the independent aesthetics of Park Seo-won’s poetry, which has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1990s women’s poetry. Her poems are seen as an utterance of neurosis and an example of poetry writing from a female perspective. They exhibit a poetic possibility that cannot be reduced by the utterance of neurosi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ubversive nature of women’s writing and cannot be generalized.   The linguistic order adhered to by Park’s works is seen as an oxymoron in this paper. An oxymoron is a rhetorical device that creates tension by pairing words that are contradictory and cannot be integrated. However, the oxymoron in Park’s works results from the utterance of a split subject, and represents the point at which the poetic subject is located in language. This can be called the boundary, or specifically, a place where all things contradictory remain unintegrated, and not a value-neutral line that separates the subject and object, self, and other, and inner and outer consciousness. In Park’s poems, there is another self that views oneself from above the boundary. This meta-ego is an ironic subject in that it views itself as a perceivable entity, at the same time, is aware of its separation from self. This subject gazes at its separation, and execute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nly within that gaze. The ironic subject embraces and maintains pain, and accepts this as its calling. The oxymoron is the ironic subject’s only method of utterance oxymoron. Since signification of this utterance is not possible, it can be called the writing of the body. The artistic nature inherent in the utterance stems from the fact that it is a form of writing where the self is an offering and one’s own death is sought.   이 글은 1990년대 여성시의 한 양상으로 논의되어 온 박서원의 시의 독자적인 미적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의 시는 신경증의 발화나 여성적 주체의 시쓰기의 한 예로 간주되곤 하였는데, 신경증의 발화로 환원할 수 없는 어떤 시적 가능성이 박서원의 시에 있으며 이는 또한 여성적 주체의 글쓰기가 지닌 전복적 성격으로 보편화될 수 없는 고유한 특성이다. 그의 시에서는 특정한 언어적 질서가 발견되며 이를 이 글은 모순어법으로 보았다. 모순어법은 대립적인 것의 병치를 통해 결코 통합될 수 없는 모순적 긴장을 산출하는 수사법이다. 그런데 박서원의 시에서 모순어법은 분열된 주체의 발화에서 기인한 것으로서 그의 시적 주체가 위치하는 언어 속의 한 지점을 나타낸다. 이를 경계라고 할 수 있으며, 이 경계는 주체와 대상, 자아와 타자, 무의식의 안과 밖이라는 대립적인 영역을 가르는 가치중립적 분리선이 아니라 이 모든 대립적인 것들이 통합되지 않은 채로 위치하는 장소다. 그런데 박서원의 시에서는 경계 위의 자신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자신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된다. 이를 메타-자아라고 할 수 있다면 이 메타-자아는 자기를 인식의 대상으로 삼되 그것과의 분리를 인식한다는 점에서 아이러니적 주체다. 이 주체는 자기가 분리되는 것을 응시하면서 오직 이 응시 속에서만 통합의 가능성을 실행하는 주체다. 이것이 박서원의 시에서의 고통이며, 아이러니적 주체는 이 고통을 껴안고 유지하는 것을 자신의 소명으로 삼는다. 모순어법은 이 아이러니적 주체의 유일한 발화방식이다. 결코 의미화될 수 없는 이 발화를 몸의 글쓰기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고통에 자기 자신을 봉헌하는 글쓰기이자 자기의 죽음을 지향하는 글쓰기라는 점에서 예술의 본질적 성격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용운의 시 세계, 모순형용의 수사학과 불교의 유식 사상

        송희복 ( Hui Bog So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한용운의 시「선사의 설법」은 속박의 인과율에서 해탈의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시적인 신념이나 비전 같은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모순형용의 수사학에 기대어 시인의 상상력을 가다듬을 수 있었던 것도 인과나 윤회의 속박에서 자유(해탈)를 얻을 수 있다는 불교의 역설적인 원천 논리에 기인한 것이다. 시편 「알ㅅ수업서요」에서의 화자는 미지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경건한 구도자로서의 시인사제(poet-priest)로서의 시인 자신인 한용운이다. 본 연구에서 시편「알ㅅ수업서요」와 『야스나스』의 44장을 함께 제시하면서, 서로 비교하였다. 여기에서 되풀이되는 의문문은 순환적으로 상속되는 일종의 정신 활동이다. 유식 불교에서는 이를 두고 식전변(識轉變)이라고 이름한다. 시편「알ㅅ수업서요」가 ‘모른다’로 일관한 시라면, 시편 「낙화」는 ‘안다’가 되풀이되고 있는 선적인 취향의 시다. 이 시는 깨달음으로 향하는 죽음의 이미지를 소재화한 것으로서, 낭만주의의 핵심 개념인 것으로 ‘파괴와 생성을 거듭하는’ 원리로 수용되고 있다. 이때 낭만적인것의 발상이 전환되고, 또 그 질감이 강화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5장은 한용운의 한시에 나타난 우주적인 오도(悟道)의 체험을 소주제로 삼았다. 인용된 한시 세 편 역시 모순형영의 수사학이 잘 드러나있다. 1.We use terms like paradox or oxymoron in poetics. Oxymoron is defined as ‘condensed paradox’ in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One classic example is ‘O fangeuse gramdeur! Sublime ignomi nie!’ by French poet, Baudelaire. In short, the use of oxymoron in poetics orients sameness among contradiction. 2. Han Young-Un is a great poet in Korea. He worked as a poet and published a collection of poetry 『The silence of the love』while Japanese imperialism governed Korea. This collection of poetry works is also loved by contemporary Koreans widely. The lover in this poem includes several comprehensive meanings such as real woman, motherland and Buddha of religious object. The most important rhetoric in this collection of poetry is oxymoron. 3. The background thought is Buddhism in the poetic world of Han Young-Un. It is Yusic which is the most profound philosophical thought in Buddhism. There is an intimate relation between the rhetoric of oxymoron and the Yusic. This paper`s aim is an illumination of this connection. The poems referred in this paper are 「A zen-meonk preaches Buddhist teachings」,「I am not sure why it`s so」, and「Falling blossoms」. In addition to these, I refer some of his poetic work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 KCI등재

        김현의 지라르 이론 수용과 폭력 비판

        한래희 ( Lae Hee H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본고는 1980년대 김현의 르네 지라르 이론 수용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김현이 폭력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의 특징과 김현의 폭력 비판이 지닌 의미와 시사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1980년대 말 김현의 글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죽음의 이미지와 모순어법이 김현 폭력 비판의 필연적 귀결이라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의 귀명을 위해 김현의 지라르 이론수용에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가, 김현의 폭력 비판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는가 김현의 폭력 비판이 모순어법의 세계로 귀결된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중심으로 분석을 전개하였다. 2장에서는 욕망의 성격, 폭력에 대한 가치판단, 폭력을 제거하는 방법의 세 가지 점을 중심으로 지라르 이론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지라르의 경우 인간의 욕망은 모두 모방욕망이고 모방욕망으로 야기된 갈등의 해결이 주요한 과제로 등장한다. 이에 비해 김현에게는 모방욕망보다 제어 불가능한 과잉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욕망의 욕망``이 폭력의 근원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지라르는 ``좋은`` 폭력과 ``나쁜`` 폭력의 구분을 통해 전자를 통한 후자의 극복을 통해 질서의 성립을 설명하지만 김현은 억압적 기성문화에 대해 폭력으로 대응하는 대항문화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질서 정립적 폭력뿐만 아니라 저항의 방법으로서의 폭력 역시 거부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폭력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방법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지라르는 희생제의라는 만장일치적 폭력에 의해 폭력의 악순환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는 반면 김현은 자신의 폭력성에 대한 자기성찰과 사랑의 윤리를 통한 폭력 감싸기를 대안으로 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김현의 폭력 비판이 그의 실제 비평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가에 대해 탐구하였다. 김현은 「증오와 폭력」이라는 글에서 일인에 대한 만인의 폭력이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는데 여기서 그는 지라르와는 달리 모방욕망이 아니라 개인의 이기적 욕망이 폭력의 뿌리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폭력의 극복 방안 또한 자신의 이기성을 감추려는 위선적 태도에 대한 자기감시와 욕망의 폭력성에 대한 성찰이 제시된다. 이와 더불어 「폭력과 왜곡」이란 글의 분석을 통해 김현의 폭력 비판이 지닌 특정과 그가 처하게 된 딜레마를 살펴보았다. 김현의 관점에 따르면 욕망은 억압의 기원이자 억압을 부정할 수 있는 기제라는 양면성을 지니고 폭력적 세계와 유토피아적 세계의 공통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욕망을 유토피아 세계의 근원으로 간주할 경우 유토피아는 폭력과 억압이 사라진 완전한 세계일 수 없게 된다. 김현에게 욕망은 언제나 과잉의 형태로 존재하는 무조건적 만족추구의 충동이고 이것이 유토피아의 기원이라면 유토피아의 세계 또한 욕망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 욕망의 양면성으로 인해 유토피아에 대한 갈망은 갈등이 사라진 상태에 안주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뒤바뀔 수도 있다. 위의 논의를 토대로 4장은 김현의 폭력 비판이 모순어법으로 귀결될 이유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1980년대 김현은 평생에 걸쳐 옹호한 ``개인``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로서의 ``욕망``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자유``의 이름으로 폭력을 비판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라는 물음과 대면한다. 광주에서의 폭력이란 극악무도한 범죄 앞에서 인간이 취할 수 있는 태도를 복수와 용서, 원한과 망각이라고 할 때 원한을 해소하기 위한 복수는 불가능하고 종교적 관점에 기반 한 용서는 더더욱 생각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저항의 주체가 택할 수 있는 길은 망각의 거부밖에는 없다. 그러나 그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은 죽음이고 부끄러움에서 나온 자기부정의 유혹이다. 이런 상황에서 죽음은 구원이자 태어남이라는 모순어법의 세계는 허무주의나 자기부정의 유혹을 극복하고 문학인으로서의 책임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다. 즉 유토피아를 향한 욕망이 억압으로 변질되는 것을 피하면서, 그리고 부재로서의 유토피아 혹은 억압 없는 자유를 향한 추구가 실패 할 운명이라는 점에 좌절하지 않으면서 문학적 실천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 모순어법의 세계라 할 수 있다. 고통이 각인된 몸의 기억은 그러한 모순어법의 세계를 지탱한 동력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욕망 분석을 통해 폭력 비판을 수행하려고 했던 김현이 결국 모순어법의 세계와 몸의 기억에 호소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폭력에 대한 긴 탐색을 통해 그가 자신의 궁극적 지향점이라 할 수 있는 자유란 것이 불가능하고 실현되어서는 안되지만 포기할 수도 없는 역설적 상태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음을 보았다. 1980년대 김현이 보여준 폭력 비판은 욕망의 탐색을 통해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려 했던 자유주의의 가능성과 이런 식의 자유주의가 감당할 수 밖에 없는 역설을 동시에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discuss how critic Kim Hyun accept Rene Girard and the meaning of criticism of violence in Kim Hyun``s writing. The following three question is main issue of this thesis: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Kim Hyun``s acceptance of R. Girard``s theory? What is the main point of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what``s the reason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concluded in oxymoron?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 of desire, value judgement fof violence, the method of eliminating violence is the three point of studying how Kim Hyun accepts R. Girard``s theory. R. Girard thinks that desire is imitative, and desire of imitation is the cause of conflict and disorder. In contrast, Kim Hyun thinks that desire is innate, and desire of desire is the root of violence. R. Girard distinguish good violence and bad violence, and believe that the former can overcome the latter. However, Kim Hyun deny all kinds of violence. R. Girard thinks that sacrifice rites is the remedy for vicious cycle of violence, but Kim Hyun believes that introspection of our violent nature and ethics like love is the way to overcome violence. In chapter 3, the main issue is that how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has been developed. In ``Hatred and Violence``, Kim Hyun emphasizes that egoistic desire, not desire of imitation, is the cause of violence by analyzing some novels and myths. The article ``Violence and distortion`` show the characteristic and dilemma of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Desire has duplicity ; the cause of repression and the mechanism of denying suppression. repressive reality and utopia has same root, that is, desire. If we consider desire as the cause of utopia, we can``t help reach that conclusion that utopia can never be the world without repression, because utopia can``t escape the power of violent desire.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becomes the fight for desire of agreement or complacency, but this fight is destined to lose and fall into temptation of self-denial. In chapter 4, the main topic is to discover why Kim Hyun can``t help resort to oxymoron and the memory of body. Revenge, forgiveness, resentment, and oblivion is the four attitude man can take in front of brutal violence and death. Denial of oblivion is the only option. However, all he can find in his reality is death and nihilism. The oxymoron can be efficient alternative in this difficult situation. That paradoxical idea that death is life could be a method to overcome nihilism and to give literary person power to continue his wiring. The suffering imprinted in body could power to maintain the world oxymoron. Desire is the cause of violence in Kim Hyun``s thinking. Kim Hyun don``t give up the belief in desire``s power to deny the repressive reality, but desire can be the obstacle to free world.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shows the possibility and paradox that liberalism could encounter.

      • KCI등재

        은유의 개념융합적 고찰

        홍승욱 ( Hong Seung-wouk ) 대한영어영문학회 2005 영어영문학연구 Vol.31 No.1

        This paper is to analyze some metaphors in English and Korean by M. Apter's view of cognitive synergy. His synergic view focuses on two kinds of cognitive synergies. One kind is cognitive synergy superimposed on the same identity ; the other, the cognitive one superimposed on two identities including oxymoron. He utilizes Euler diagrams to develop his theory. I adopted his second type because it seems to me that it gives more attention to metaphors. I narrowed my analysis into three types of metaphors : (1) Oxymoron, (2) ‘A rose is a rose’ type, (3) ‘A is B’ type. Apter's theory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wo identities. His similarity seems to me to be objective. Instead of it, I suggest that it be a higher-concept governing two lower ones, which is mentally connected. (Konyang University)

      • KCI등재

        이병주의 『소설 알렉산드리아』에 나타나는 다층적 인유(Allusion) 양상 연구

        박인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8 No.-

        This essay is an attempt to read the rich meaning of reading Lee Byung ju 's novel “Alexandria” by reading it in the text of the allusion, rather than reading it as an independent narrative dimension. Such an attempt is to secure an approach to Lee Byeong ju's novels, while at the same time revealing literary integration through metaphorical integration in the wider sense created by humanity. “Novel Alexandria” is not just an indication of a place, but a place of textuality, as the title of “Nove” is already revealed in the title. In this text, rather than just one kind of allusion, a multi-layered way of thinking works, and by expanding it, it becomes possible to read more abundantly. First of all, “Novel Alexandria” is full-duplex space of hybridity and polyphony. The name Alexandria is not merely a geographical place, but an emotional place that leads to all kinds of textual blending. Lee is primarily using Lorenz Derel's “Alexandria Quartet” as an important literary text, but it makes Alexandria itself a hybrid kind of space through the combined action of additional allusion. Alexandria is a space of record composed of painful history and traces of the past, and Lee Byung ju deliberately constructs a more independent subject consciousness through such an emotional space. In addition, allusion about Icarus myth constitutes an opposing sense network of “rise-fall” in “Novel Alexandria,” which prepares for regeneration and resurrection after a fall beyond a simple dichotomy. Thus, the theme of “Novel Alexandria” is composed of a kind of oxymoron. like the way in which Nietzsche relies on Christianity. The Christian law and Nietzsche's anti-Christian ideas are tolerated in ways that complement each other. Ultimately, these oxymoron are reconciled with the allusion of the Song of Solomon. Despite its inclusion in Christianity, it evokes the power of love beyond Christian law and domination Thus, Lee Byeong ju tried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allusion to achieve aggressive metaphorical integration between texts, rather than just using pre-texts in the form of imitation, parody, or rejection. In addition, Alexandria arranged for extensibility to the entire literature, which is intertwined in a mixed and multifaceted way as analogy of space. By supplementing the intrinsic subject consciousness of such a text with a multi-layered language of literary and philosophical thought, it was able to enrich the understanding of the reader. 본고는 이병주의 『소설 알렉산드리아』를 인유 텍스트로 읽어냄으로써 독립적인 이야기 차원으로 독해하는 것 이상으로 풍부한 의미를 읽어내기 위한 시도다. 이러한 시도는 이병주의 소설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법을 확보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인유가 만들어내는 더 넓은 의미에서의 은유적 통합을 통해 다양한 문학적 접목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소설 알렉산드리아』는 이미 표제에 ‘소설’이라는 표지가 드러내듯이 단순히 장소에 대한 지시가 아니라 장소화된 텍스트성을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다. 이 텍스트에는 단순히 한 가지의 인유가 아니라 다층적인 방식의 인유가 작동하고 있으며, 이를 확장하여 읽어내는 방식으로 보다 풍부한 독해가 가능해진다. 우선 『소설 알렉산드리아』는 혼종성·다성성의 인유 공간을 전면화하고 있다. 알렉산드리아라는 지명은 단순한 지리적 장소가 아니라 온갖 종류의 텍스트적 혼합을 유도하는 인유적 장소다. 이병주는 일차적으로 로렌스 더렐의 『알렉산드리아 사중주』을 중요한 인유 텍스트로 사용하고 있으나, 추가적인 인유들의 복합적 작용을 통해서 알렉산드리아를 혼종적인 공간으로 만든다. 알렉산드리아는 고통스러운 역사나 과거의 흔적으로 구성된 기록의 공간이며, 이병주는 의도적으로 이러한 인유적 공간을 경유함으로써 보다 독자적인 주제의식을 구성하기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이카루스 신화에 대한 인유는 『소설 알렉산드리아』에서 상승-추락이라는 대립적인 의미망을 구성하는데, 이것은 단순한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서 추락 이후의 재생과 부활을 예비한다. 또한 『소설 알렉산드리아』의 주제적인 인유는 기독교와 함께 니체를 인유하는 방식처럼 일종의 모순어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독교적 율법과 니체의 반기독교적 사유가 서로를 부정하면서 보완하는 방식으로 인유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모순어법은 아가서에 대한 인유로 화해된다. 기독교에 내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율법과 지배를 넘어서는 사랑의 힘을 환기하는 것이다. 이처럼 이병주는 단순히 모방이나 패러디 혹은 거부의 방식으로 선행 텍스트를 활용한 수준에 그치지 않고, 텍스트 간의 적극적인 은유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인유의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더욱이 알렉산드리아라는 공간의 유추처럼 혼종적이고 다성적인 방식으로 얽혀 있는 전체 문학에 대한 확장성을 안배해 놓았다. 그렇게 하나의 텍스트가 가지는 내재적인 주제의식을 보다 문학적·철학적 사유의 다층적 언어로 보충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풍부하게 유도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The Paradoxical Vision of Conrad’s Lord Jim

        김성열 신영어영문학회 2022 신영어영문학 Vol.83 No.-

        Conrad’s Lord Jim is a novel filled with paradoxes and oxymorons. They draw attention to the compellingly dual nature of the human experience, forcing the reader to confront two sides of reality. The paradoxes underscore the human predicament, prevent easy resolutions, and provoke sympathy and judgment, especially in Jim’s case. In revealing the dual nature of the human experience, these paradoxes often dilute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with humor as in the incongruous juxtaposition of courage with cowardice on board the Patna. A similar paradox also hangs over Jim’s conduct while on board the ship and his meditation on suicide in the lifeboat, which Marlow calls both tragic and funny. Even Stein’s famous but cryptic paradoxes are lightened by humor. They appear as well in the Patusan chapters, for Jim is both the conqueror and the conquered of the land and of Jewel, Jim’s bel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