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샤미소의 페터 슐레밀의 기이한 이야기 읽기: ‘객체지향 존재론’의 틀을 통해

        김진환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3 독일언어문학 Vol.- No.102

        이 글의 목적은 사변적 실재론, 그중에서도 특히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 존재론의 틀을 통해 샤미소의 슐레밀 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독법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객체지향 존재론을 개관한다. 특히 논점이 되는 것은 ‘객체’ 개념이다. 객체지향 존재론의 입장에서 기존의 철학은 사물들 또는 비생물들을 온전히 다루지 못했다. 사물들은 인간과의 관계로부터 규정되는 것과는 별도로, 자신들끼리도 관계를 맺고 있다. 그뿐 아니라 칸트의 물자체 개념이 주장하는 것처럼 사물의 본연은 접근 불가능한 채로 은폐되어 있는데, 이 역시 인간에 ‘대해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사물들끼리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사물들은-인간을 포함해-모두 객체로 불린다. 객체들은 관계를 맺으면서 동시에 관계로부터 물러서 있다. 객체는 인간 의존적이지 않으며, 독립적 존재성을 지닌 ‘존재’다. 후반부에서는 이러한 방식의 접근을 통해 샤미소의 작품에서 ‘그림자’의 존재성을 살핀다. 일반적으로 어둠은 빛보다 못한 것, 그림자는 인간에게 딸려있는 무엇으로 여겨진다. 그렇지만 작품에서 그림자는 인간 존재를 규정하는 무엇으로 드러난다. 인간이 그림자를 소유하는 것, 그럼으로써 그것을 판매할 권리를 지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은 그림자의 존재로 말미암아 존재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그림자는 하나의 독립적 객체이고, 이에 따라 가치론에 기초한 위계구분에 비판적 물음이 제기될 수 있다. Der Zweck dieses Artikels besteht darin, Chamissos Peter Schlemihls wundersame Geschichte aus der Perspektive des spekulativen Realismus, insbesondere der objektorientierten Ontologie (OOO) Graham Harmans, zu lesen. Zu diesem Zweck gibt die erste Hälfte einen Überblick über die OOO. Besonderes Augenmerk liegt dabei auf dem Begriff ‘Objekt.’ Die OOO behauptet, die Philosophie habe sich nicht gerecht mit den Dingen befasst. Abgesehen davon, dass die Dinge durch Beziehungen zum Menschen definiert werden, stehen sie auch in Beziehungen zueinander. Überdies ist, wie Kants Begriff des Dings an sich behauptet, die Natur der Dinge entzogen, was nicht nur für den Menschen, sondern auch für die Beziehungen zwischen den Dingen selbst gilt. Diese Dinge-einschließlich Menschen-werden ‘Objekte’ genannt. Die Objekte gehen Beziehungen ein und ziehen sich gleichzeitig aus denselben zurück. Sie sind ‘Wesen’ mit eigenständiger Existenz. In der zweiten Hälfte wird anhand dieses Ansatzes die Existenz des Schattens in Schlemihl untersucht. In der Regel wird Dunkelheit als eine Eigenschaft betrachtet, die dem Licht unterlegen ist, und Schatten als etwas, das dem Menschen gehört. Allerdings erweist sich der Schatten als etwas, das die menschliche Existenz definiert. Der Mensch besitzt kein Recht, den Schatten zu verkaufen. Vielmehr kann er nur aufgrund der Existenz des Schattens existieren. Insofern ist der Schatten ein eigenständiges Objekt.

      • KCI등재

        The Advent of a New Object: Posthuman Ontology

        김진경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22 영어권문화연구 Vol.15 No.2

        This essay aims at discovering some ontological reality of the human as an object in the digital Age by deconstructing two underlying ideas of the liberal Humanism, dualism and anthropocentrism. Bruno Latour's Actor Network Theory(ANT) and Graham Harman's Object- Oriented Ontology(OOO) provide some foundational ideas to understand techno-centered posthuman conditions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re radically blurring. They do not directly engage their theories with posthumanism, but their theories which abolish the exceptional position of the human reverberate with a postumanist stance which attempts to put humans and nonhumans on the same footing. Latour demonstrates in the discussion of modernity how the dualist distinctions like nonhumans/ humans, nature/ culture have ignored the hybrid nature of the real world. Harman expands the ontological realm of the objects by endorsing the things-in- themselves in his theory, OOO. The crux of these two philosophers' thoughts is to lift the human's burden to reduce every object and event for the humanist taxonomy, and to oppose any reductionist approaches to interpret the existence of a being.

      • KCI등재

        ‘접(接)’ 사상을 통해 보는 팬데믹 이후 지구 존재자들의 연결 -그레이엄 하먼의 ‘OOO(객체지향존재론)’과 한국의 접화군생(接化群生) 사상

        이원진 ( Lee Won-jea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2

        두 개의 영어단어 ‘접속(contact)’와 ‘감염병(contagion)’은 ‘만지다/접속하다’는 뜻의 라틴어 tangere를 어원으로 공유한다. 『요한복음』에서 부활한 예수가 첫 목격자인 마리아 막달레나에게 한 ‘나를 만지지 마라(Noli me tangere)’는 말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고통받는 우리에게 ‘진정한 접속’은 무엇이냐를 성찰하게 한다. 인간 주체의 폭력성이 다른 객체와 접촉하며 미치는 영향에 지구 전체가 회의하게 됨에 따라, 21세기 초반 서구에서는 존재자들 간 평등을 표방하는 ‘사변적 실재론’과 ‘신유물론’이 경쟁적으로 등장해 존재자들의 연결망을 제시했다. 그 중 신유물론자인 라투르의 행위자-연결망이론(ANT)은 그러나 존재의 평등을 관계성으로만 환원할 위험이 있다. 관계성으로만 환원될 경우, 『요한복음』에서 부활한 예수가 첫 목격자인 마리아 막달레나에게 한 말씀 ‘나를 만지지 마라(Noli me tangere)’의 신성한 의미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 타자를 전유하려는 접촉은 객체의 신성성에 대한 음미를 사라지게 하기 때문이다. 사변적 실재론의 대표주자로 객체지향 존재론(OOO, Object-Oriented Ontology)을 내세우는 그레이엄 하먼은 객체의 신성을 실재적 객체 이론으로 복구하려 분투한다. 이 지점에서 풍류도의 ‘접화군생(接化群生)’에서 동학의 대인접물(待人接物), ‘경물(敬物)’에 이르는 한국의 ’접(接)‘ 사상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사상은 접하는 행위가 문제가 아니라, 내가 접하는 것이 동일한 객체라는 것, 그리고 접을 통해 서로 변할 수 있다는 것, 그 안에는 동학적 의미에서 서로간의 신성성이 있다는 것을 웅변한다. 이런 점에서 한국 사상은 서구 사상이 새로운 객체론을 전개하며 빠지거나 분투하고 있는 객체의 신성이라는 함정을 보완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word contagion, meaning both 'contact' and 'infectious disease', is derived from the same root in Latin, ‘tangere’, meaning 'to touch/connect'. In the Gospel of John, the resurrected Jesus’ words to Mary Magdalene, the first witness, “Do not touch me (Noli me tangere)” makes us reflect on what ‘real connection’ is for us who are suffering from the pandemic. From the early 21st century in the West, Speculative Realism and New Materialism, which suggest equality between entities, emerged in competition. The most famous thinker of which, Bruno Latour, risks reducing the equality of existence to only relationality (relationism). In this way, the divine meaning of the resurrected Jesus' words "Do not touch me" cannot be grasped. A contact that attempts to appropriate the other makes the savor of the object's sacredness disappear. Graham Harman, who advocates Object-Oriented Ontology (OOO), struggles to restore the divinity of this object to the real object theory.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Korean idea of 'Jeophwa' of Pungnyu to the ‘Gyungmul’ of Donghak. In this idea, the act of touching is not the problem, but what counts is that what one comes into contact with is an object of the same value and that there is a sacredness of each other in such a dynamic sense. So there can be an unchanging essence in real objects. In this point, the Korean idea of 'Jeophwa' can compensate for the pitfall that Western thought is missing.

      • KCI등재

        소설과 객체 - 객체 지향 존재론(OOO)을 중심으로

        김형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인문학연구 Vol.- No.67

        This paper was written to critically examine the art theory of Graham Harman, a representative theorist of object-oriented ontology(OOO). According to his theory, a work of art is a third object in which the work as an object and the viewer participate as components. However, the two objects cannot help but be produced and appreciated in complex situations and contexts. For example, many factors such as class, race, history, gender, and market are involved in the production and enjoyment of hybrid objects called works of art. Nevertheless, the object that Harman talks about is so neutralized and purified that it barely takes into account all the variables. This also contradicts his own position, which argued for the non-reciprocity and asymmetry of symbiosis. Based on this criticism, what is proposed in this paper is ‘Bartleby’s ethics.’ The argument of this article is that rather than the vitality and symbiosis that ANT or OOO somewhat naively expect, it actively denies capitalistically structured networks or symbiotic relationships.

      • KCI등재

        사회이론의 물질적 전회(material turn): 신유물론(new materialism), 그리고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과 객체지향존재론(OOO)

        이준석(June-Seok Lee),김연철(Yeunchul Kim) 한국이론사회학회 2019 사회와 이론 Vol.35 No.-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물질적 전회’라고 불리우는 새로운 흐름이 등장하고 있다. 종종 ‘신유물론’이라는 이름으로 통칭되기도 하는 이 관점은 새로운 사회이론의 등장을 요청하는데, 선구적인 인문학자와 사회과학자들은 이에 화답하듯 참신한 이론체계들을 발표 및 발전시키는 중이다. 가령 들뢰즈와 가타리가 선보였던 ‘리좀’의 개념은 철학의 영역을 넘어 사회현상의 인과성 문제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며, 예술작품을 지칭하던 명칭을 사회이론으로 차용해온 ‘어셈블리지’의 개념은 물질의 결합물이 지닌 행위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신유물론의 흐름 속에는 다양한 이론체계가 포섭되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객체지향존재론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결합됨으로써 테크노사이언스와 사회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연결망의 해석에는 탁월하지만 노드 그 자체의 내⋅외적 속성 등은 크게 중요하게 취급하지 않는데, 객체지향존재론이 이러한 이론적 맹점을 채워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객체지향존재론은 모든 존재자들을 객체로서 해석하는데, 이러한 시각은 비인간행위소들이 어떻게 행위력을 얻게 되고 그것이 어떻게 발현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것은 신유물론적 사회이론의 가능한 한 가지 예가 될 수 있다. Recently, a new theoretical tendency called the ‘material turn’ has emerge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ftentimes called as the ‘new materialism’, these new frameworks call for new perspectives in social theories. For example,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rhizome’ has expanded its influence beyond the area of philosophy and gives us a new perspective of causality of social phenomenon. Also, the concept of ‘assemblage’, a term that is used to denote specific forms of arts, has found its place in social theory by Manuel DeLanda’s assemblage theory. This concept is useful to understand the agency of material collectives. However, in this article, the authors would argue that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actor-network theory and the object-oriented ontology are very much useful to each other. On one hand, the actor-network theory is a really excellent tool when analyzing the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networks; however it does not seem to highly regard the internal qualities or external characteristics of specific nodes or actants. On the other hand, object-oriented ontology regards all existing beings as objects residing on the same level of ontological frame; this perspective let us understand how non-human actants or objects can gain sociomaterial agency. Thus, we argue that, by using two theories at the same time, we would achieve better perspectives on humans, nature, and technoscience.

      • KCI등재

        21세기 한국화와 객체지향 형식주의: 김지평, 이은실, 이진주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이민수 한국미술연구소 2022 美術史論壇 Vol.- No.54

        ‘Korean painting’ at the moment adopts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in addition to its traditional mediums—paper, brush, and ink—, and transforms traditional styles freely, thus the individual features of each artist stand out, which follows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in general. This article aims to further the study on this issue by focusing on the works of three artists who have been in the art world's spotlight since the 2000s: Kim Jipyeong, Lee Eunsil, and Lee Jinju. Previous studies sugges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painting since the 2000s are the hybridity in its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the relationship with Surrealism and Neo-pop in its expressive style and contents. However, these approaches limit the study to just superficially linking artworks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article seeks to develop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on Korean painting in the 21st century, including the works of those three artists. To take a critical view on artworks, the idea of new formalism, which comes from object-oriented ontology (OOO) of Graham Harman, one of the leading advocates of the current prominent movement in the philosophical world, speculative realism, has been used as the analytic frame. In the end, this article attempts to develop a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understanding on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which has been tangled in relationships formed outside the artworks, including its name and identity. 오늘날 전개되고 있는 ‘한국화(韓國畵)’는 재래의 매체인 지필묵(紙筆墨)은 물론, 다양한 재료와 기법 등을 도입하고 전통양식의 자유로운 변용으로 작가의 개별적인 특징이 두드러지는 동시대 미술 일반의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활동하며 미술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세 명의 작가, 김지평, 이은실, 이진주의 작업을 통해 이러한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짚어 본다. 기존 연구자들이 제기한 2000년대 이후 특징적인 한국화의 경향은 재료와 기법에 있어서는 혼성적이고 표현형식과 내용에 있어서는 초현실주의나 네오팝(Neo-pop)과 연관되었다. 그러나 이는 작품에 대한 피상적인 연결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작업을 포함하여 21세기 한국화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 또한 모색한다. 이에 최근의 철학계를 달구고 있는 사변적 실재론(speculative realism)의 주요 논자 중 한 명인 그레이엄 하먼(Graham Harman)의 객체지향 존재론(object-oriented ontology, OOO)에서 전개된 새로운 형식주의를 작품 분석의 틀로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명칭과 정체성을 비롯해 그동안 작품 외적으로 형성된 수많은 관계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동시대 ‘한국화’에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으로 다가가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The Limits of “Not Critique”

        이성미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1 No.-

        This paper addresses the use of tone in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literary criticism, and in doing so, proves that his commitment to humor and naïveté relies on a deep-seated resentment against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This paper ultimately investigates what might be the ongoing appeal of Harman’s ‘Not Critique’ for literary critics. The first part of the paper traces the tone of humor and gullibility that Harman argues in his writings. He focuses particularly on how values of “laughter” and “worship” then become central to his non-critical method and anti-humanism. With this focus, I contrast this approach to a humanist form of laughter and naïveté that the Marxist playwright Bertolt Brecht valorizes in the worker’s engagement with theater. The second half draws on a similar discussion in literary criticism, namely, the phenomenon of ‘Surface Reading.’ Surface reading, with its resistance toward “suspicious” literary criticism, argues for minimal critical agency that negates criticism bound up with political activism. Finally, the non-critical approaches of both Harman and the surface criticism represent the postmodern trends that exemplify the anti-humanist turn of recent criticism. However, for this thesis, I will argues the limits and the problems which are unwittingly hidden underneath both in ‘Not Critique’ and 'Surface Reading' by comparing them with Brecht's critical insights.

      • KCI등재후보

        The Limits of “Not Critique”

        Lee, Sung-mey(이성미)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1 No.-

        이 논문은 그레이엄 하만의 객체 지향 문학 비평에 있어 어조(tone) 사용에 관해 논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유머와 순진함에 대한 그의 주장이 다문화주의와 페미니즘에 대한 뿌리 깊은 분노에 근거하고 있음을 증명하고자한다.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문학 비평가에게 하만의 ‘비판하지 않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주장하는 것이 무엇인지 밝히고자한다. 이 논문의 전반부는 하만이 자신의 글에서 주장하는 유머와 순진함의 어조를 분석한다. 하만은 특히 “웃음”과 “숭배”의 가치가 어떻게 그의 비비평적 방법과 안티 휴머니즘에 핵심이 되는 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 나는 마르크스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극단에 참여한 노동자에게 안착시킨 웃음과 순진이라는 일종의 휴머니즘 형태를 비교하고자 한다. 논문의 후반부에서 문학 비평에서의 유사한 논의, 이름 하여 ‘표면 읽기’ 현상을 다룬다. “의심스러운” 문학비평에 거부감을 지닌 표면읽기는 정치적 행동주의에 결부된 비평을 부정하는 최소한의 비평행위를 옹호한다. 마지막으로, 하만과 표면 비평이 지닌 비비평적 접근 방식은 최근 비평의 안티 휴머니즘 국면으로의 전환을 예시하는 포스트모던 경향을 지니고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를 통하여 “비평하지 않기”와 “표면 읽기”를 브레히트의 비평적 통찰력과 비교함으로써 이 두 방법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을 제시하고자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use of tone in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literary criticism, and in doing so, proves that his commitment to humor and naïveté relies on a deep-seated resentment against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This paper ultimately investigates what might be the ongoing appeal of Harman’s ‘Not Critique’ for literary critics. The first part of the paper traces the tone of humor and gullibility that Harman argues in his writings. He focuses particularly on how values of “laughter” and “worship” then become central to his non-critical method and anti-humanism. With this focus, I contrast this approach to a humanist form of laughter and naïveté that the Marxist playwright Bertolt Brecht valorizes in the worker’s engagement with theater. The second half draws on a similar discussion in literary criticism, namely, the phenomenon of ‘Surface Reading.’ Surface reading, with its resistance toward “suspicious” literary criticism, argues for minimal critical agency that negates criticism bound up with political activism. Finally, the non-critical approaches of both Harman and the surface criticism represent the postmodern trends that exemplify the anti-humanist turn of recent criticism. However, for this thesis, I will argues the limits and the problems which are unwittingly hidden underneath both in ‘Not Critique’ and "Surface Reading" by comparing them with Brecht"s critical insights.

      • KCI등재

        (비)존재하는 자연:오토래디오그래피, 객체지향 생태미학, 정신분석학적 대안

        김지훈,김용진 한국비교문학회 2023 比較文學 Vol.- No.91

        인류세는 인간이 지질학적 행위자가 되어 생태를 교란하고 있는 현재를 지칭하는 개념이지만, 가시적인 환경 파괴나 기후 변화의 징후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간의 인지 영역 바깥에서 시간과 공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확산된 객체들이 더 이상 배경이 아니라 우리의 삶의 전면으로 직접적으로 침투했음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인류세는 근본적으로 인식론적 문제이자, 미학의 영역이다. 객체지향존재론을 자신의 생태철학과 결합하고 있는 티머시 모튼의 생태 미학은 이 문제를 사고하는 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인류세적 객체를 ‘초객체’로 이론화하고 오늘날 생태 위기의 근본적 원인이 ‘농업로지스틱스’의 사고형식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대문자 자연’이 존재한다는 사고로서, 자연을 우리 인간의 밖에 있는 것으로, 하나의 통일된 객체로 상정하는 것을 말한다. 모튼은 객체지향존재론을 수용하여 초객체의 미학적 인과성을 도출하고, 예술의 경험을 통해 그러한 존재론적 사실을 인정하는 것을 해답으로 제시한다. 오토래디오그래피는 이러한 생태 미학의 표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모튼의 생태 미학은 일정한 한계를 갖는다. 이는 그가 해로 제시하는 미학적 인과성이야말로 오늘날 인간들이 생태 위기를 부인하고 기존의 질서를 유지하는 주된 동기로 작동함을 애써 무시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객체의 출현이 주체의 발생과 동연적임을 밝히고, 정신분석의 주체와 증상의 개념을 활용해 대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박찬경 작가의 <늦게 온 보살>(2019)을 통해 대안적 생태 미학을 예증한다. The Anthropocene refers to the current period in which humans are becoming geological agents and disturbing ecosystems. But it is not limited to visible environmental degradation or manifestation of climate change. It also refers to the fact that objects outside the realm of human perception, distributed over vast range of time and space, are no longer in the background, but have penetrated directly into our daily lives. The Anthropocene is therefore fundamentally an epistemological crisis and a matter of aesthetics. which combines Timothy Morton’s ecological aesthetics, object-oriented ontology with his ecological thought, is a useful way to think about this issue. Morton considers anthropocene as ”Hyperobjects” and argues that the cause of today’s ecological crisis has always been the agrilogistic mode of thinking. This is the idea that there is a ”Nature,” which means that Nature is regarded as something outside of us, as a coherent object. Morton derives the aesthetic causality of the hyperobjects from Object-Oriented Ontology, and suggests that the solution is to acknowledge this ontological fact through art. Autoradiography is an example of this ecological aesthetic. Nevertheless, Morton’s ecological aesthetic has certain limitations. Because he ignores the fact that the aesthetic causality which he presents as a solution is exactly a primary cause for people to disavow the ecological crisis and maintain the existing order. To address this, this study reveals that hyperobjects and subject is simultaneously has emerged in the wake of Scientific Revolution and proposes an alternative by utilizing the concepts of subject and symptom of psychoanalysis. Finally, an alternative ecological aesthetic is exemplified through Park, Chankyong’s <Belated Bosal>(20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