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도시공원의 경관조명디자인 현황 연구

        양정순 ( Jung Soon Yang ),김현중 ( Hyun Joong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도시공원 경관조명디자인은 물리적 공간을 빛으로 재해석하여 또 다른 지각적 공간을 창출하는 과정이며 이렇게 형성된 야간경관은 이용자의 행위 가치체계가 되어 그 곳의 행태패턴을 형성하고 다양한 공간 규모에서 사회적 의미를 재생산하여 도시공원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야간 도시공원의 사회적 중요성과 경관조명의 가치를 인식하고 서울시 도시공원의 경관조명디자인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과정은 먼저 경관조명 관련 법령과 서울시 경관조명 관리절차를 분석과정에서 행정 문제점과 경관조명 지침으로 광범위하고 모호한 KS조도기준 만을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경관조명 기준 및 지침의 역할과 중요성을 파악하여 국외의 CIE와 IES, IESNA, BS, SLL, JIS, IEIJ과 국내의 KS 조명관련 지침 및 기준을 비교분석하여 그 경관조명 기준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경관조명 기준의 방향을 서울시에 위치한 선유도공원과 서울숲공원에 적용하여 서울시 도시공원의 경관조명디자인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경관조명이 설치된 모습과 함께 경관조명 관련 법제적 규정, 관리 절차, 적용 기준 등을 함께 연구하여 다각적으로 접근한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음을 밝힌다. Nightscape design in urban park is process to create the perceptual space reinterpreting physical space by light. The nightscape formed like this forms the behavior system and the behavior pattern of user, and the nightscape will establish identity of urban park. This study presents the nightscape problem of urban parks in Seoul in terms of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nightscape and provides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nightscape. In study process, the problems of the law and management process or administrative procedure related with nightscape were found and this study could find that the KS illuminance level is too broad and ambiguou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present standard and guideline of nightscape with the CIE, IES, IESNA, BS, SLL, JIS and IEIJ and presented the guideline standard for more effective nightscape planning. The presented the guideline standard of nightscape applied in Seonyudo-Park and Seoul-Forest-Park for case study.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land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parks of Seoul City.

      • KCI등재

        영도해안의 야간경관평가 연구

        이한석(Han-Seok Lee),이명권(Myung-Kwon Lee),오상백(Sang-Baek 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부산의 해안야간경관계획은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영도의 해안을 대상으로 야간경관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영도의 해안지역을 8개 야간경관구역으로 나누었으며 각 구역의 야간경관 이미지를 SD분석법(의미분별척도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경관구역별로 경관포인트와 보기좋은 경관요소, 보기싫은 경관요소, 야간경관 문제점 등을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astal nightscape of Yeong-Do in Busan in order to make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of coastal nightscape. Firstly the coastal area of Yeong-Do has been divided into 8 nightscape sections. And then the nightscape images of each section have been evaluated by volunteer subjects through SD(semantic differential) analysis method.

      • KCI등재

        상업지역 가로조명의 조도 및 색온도 분석을 통한 공공조명과 상업조명의 실태에 관한 연구

        이영환(Lee Young-Hwan),이창호(Lee Chang-Ho)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1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urban-nightscape. Nightscape is the potential amenity unique to the urban area. In this research, the downtown nightscape of Kabuki-cho, Tokyo was chosen as the representative entertainment district of Japan in order to conduct the analysis over the color temperature and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the street lightings, which largely influences the nightscape. Street lightings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 relations between; 1.two census categories, illumination intensity and color temperature, 2.influence of each primary lighting (public lightings) and secondary lighting (commercial lightings) given to each statuses of categories. This research had pointed out the demand of comprehensive analysis over the nightscape by using variety of scales, not only the illumination intensity, but also another scales such as the color temperature, in order to create rich and unique urbannightscape.

      • KCI등재

        야간경관계획의 평가항목 선정 및 가중치 분석

        최민아(Choi, Min-A),노정민(Ro, Jung-Min),구자훈(Koo, Ja-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3

        야간경관은 조명에 의해서 형성되는 도시경관 중의 하나이며, 도시민의 야간 활동 증가에 따라 도시의 매력을 증대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외국의 선진 도시들의 경우에 야간경관을 정비하고 특화하여 매력적인 경관조성을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만들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최근 야간경관계획을 수립하는 도시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야간경관계획의 사례연구를 통해서 야간경관계획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서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평가항목으로는 상위계획과의 연계, 경관의 유형의 구분, 계획의 내용적 수준, 세부 조명지침의 내용, 조명설치 대상시설의 분류 등이 선정되었고, 각 항목별로 전문가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분석되었다. Nightscape is the important element of cityscape. As the time of nightlife has been increased, nightscape is recognized an effective method to enhance the attraction of city.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working out a strategies for attractive nightscape. Also many cities are preparing a nightscape planning recen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lect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nightscape planning through the internal and external nightscape planning case study and to identify the weight of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paper, the evaluation criteria are selected as relation of the higher rank plans, type of landscape, level of planning contents, guidelines of illum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target illumination equipment and so on. Also recognition of experts and importance of evaluation criteria by weight analysis are analyzed.

      • KCI등재

        아이트래킹 기법을 통한 야간경관의 시지각 주목도 분석

        Kang, Young Eun,Kim, Min Tai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향후 두려움을 줄이기 위한 야간경관계획에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야간경관의 유형에 따른 두려움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야간경관의 유형으로 선정된 6가지 종류의 야간경관별 두려움의 정도를 7점 리커드 척도로 평가하는 동시에 피조사자가 각 야간경관을 응시할 때 눈의 움직임을 아이트래커(eye tracker)로 분석하였다. 아이트래킹 조사에서 눈의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한 변수는 눈 고정 횟수(fixation count), 눈 움직임 경로 길이(scan path length), 총 지속 시간(total duration)이었으며 피조사자들의 시선 이동 및 방향, 주목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움직임 경로(scan path)와 주목 분포도(heat map)도 함께 분석되었다. 조사 결과, 야간경관별 두려움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야간경관 유형 중 모든 방향으로 열려있는 야간경관이 피조사자들에게 가장 안전하게 인식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야간경관의 유형에서 길의 폭 및 주변 건물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공간감이 유사한 환경이라면, 부수적인 나무, 구조물, 가로등 등 경관요소는 두려움 지각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 분포도(heat map) 분석을 통한 시지각 주목 강도는 대부분의 야간경관 유형에서 길이 끝나는 지점과 그 주변부를 응시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장소를 연구하는 분야에서 사람들의 주목하는 관심 구역(AOI: Area of Interests)을 객관적으로 밝혀낼 수 있는 아이트래킹 방법을 적용했다는 것에서 큰 기여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두려움 외에 다른 변수들을 적용하여 주목도가 높았던 구역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uses eye-tracking methods to investigate fear across six different nightscape scenes with the goal of suggesting nightscape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that can reduce fear in the designed nighttime landscape. The correlations between eye movement parameters (fixation count, scan path length, and total duration) and reported levels of fear were analyzed as participants viewed six photographs of nightscapes. Additionally, areas of fixation and scan path patterns were analyzed using scan path maps and heat maps, which show subjects’ areas of interest. Results showed that fear ratings and eye movement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ghtscape settings viewed. The open setting was ranked safest of the six different settings. The authors also found that landscape elements such as trees, retaining walls, and streetlights do not affect fear ratings as much as buildings. The study also showed that eye-tracking methods can be valuable tools in understanding people’s specific areas of interests on test images.

      • 청주시 상업지역 야간경관 현황분석 및 방향에 관한 연구

        홍병곤 충북연구원 2010 지역정책연구 Vol.21 No.2

        Recently, many city policies have put more emphasis on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As a result, there has been an increased interest of residents in cityscapes and how to make their city a more beautiful and pleasant place to live. Cheongju city’s efforts to create a beautiful cityscape are shown on their new policies. Under these new circumstances, the city-lighting systems that are gaining popularity are creating a new culture and art, improving the local culture and the city’s beauty, and works to expand the surface area. Furthermore, such works of lighting system are serving as the landmarks of the city. In this study, the nightscape of the commercial area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nightscape was compared from the visual perspective, and the commercial areas that has heavy traffic of the residen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l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potentials of the nightscape of Cheongju through comparing the infrastructure for the nightscape, comparing the lighting system of buildings within the city and by region, and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ghtscape of Cheongju’s commercial area by comparing the cityscape during the day and night. -

      • 야간경관계획에서 건축물 경관조명 디자인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김규진(Kim, Kyujin),이주향(Lee, Juhya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6 No.-

        야간경관계획은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빛의 관계성을 경관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체계화하여, 쾌적한 빛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조명기술의 발달과 야간 공간연출에 관한 관심의 증대는 도시계획, 야경계획, 야간경관조명계획등 국가, 지자체 차원에서의 경관조명 사업을 촉진시켰다. 도시계획에서의 조명은 크게 기능적인 목적의 생활조명과 연출적인 목적의 경관조명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경관조명은 공공시설물이나 도시기반 시설 등 공공사업차원의 경관조명과, 설치 및 운영 주체의 대다수가 민간주도적인 건축물 경관조명으로 구성된다. 공공사업 차원은 마스터플랜 구축, 유지 등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관리가 가능하지만, 민간주도 차원의 건축물 경관조명은 자율성은 높은 반면 공공시설물과의 조화나 야간경관조명을 이루는 기능적 빛의 특성과 유기적인 조화를 이루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의 대응방안으로 자치단체에서는 공공사업 차원에서 마스터플랜을 구축하고 이에 따르는 건축물 경관조명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지자체의 야간경관계획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쾌적성, 공공성, 친환경성, 조화성의 4개 요소를 추출하였다. 즉 광공해를 유발하는 요소 제거, 도로안전의 확보, 에너지 오남용의 방지, 주야 도시경관의 조화의 내용 등을 주축으로 한 건축물 경관조명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Nightscape Lighting is to create a pleasant lighting environment by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landscape with ‘lights’ and systematizing the relations of various lights that consist city. As the additional functions of lighting space design has become important, the landscape lighting projects: urban planning, nightscape planning and nightscape lighting planning have been increasingly expanded by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The purpose of urban lighting may be divided into a functional purpose of living lighting and an aesthetic purpose of landscape lighting. The landscape lighting from public facilities or urban infrastructures is relatively possible to manage systematically. But since the architectural lighting is installed and managed usually by private companies, it has difficulties in making an organic harmony with public facilities and functional light"s characteristic that create the nightscape lighting. Therefore, each local government establishes the master plan as a public service and offers architectural landscape lighting guidelines accordingly. Accordingly, the contents are classified into 4 factors: light pollution prevention, publicness, environment-friendly lighting and building aesthetics maintenance, and the relevant details are provided.

      • KCI등재

        서울시 대표경관의 야간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장미래(Jang, Mi-Rae),신근창(Shin, Geun-Chang),양승우(Yang, Seung-W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5

        본 연구는 점차 활동인구가 증가해 중요성이 높아지는 야간시간에 주목하여 서울의 대표경관을 대상으로 야간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대표경관에 대한 인지순위를 조사하고, 주ㆍ야간으로 떠오르는 이미지 비율과 그 요소를 조사하였다. 이 중 야간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인지요소를 유형화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지순위 조사에서는 남산의 인지도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대표경관에 대한 인지순위가 상위권(1-3위)일수록 야간의 이미지로 인지되는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둘째, 야간의 이미지 요소는 경관, 시설물, 장소성, 환경지각, 기타로 구분되었으며 경관과 장소성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였다. 셋째, 구분된 요소들은 조망형, 랜드마크형, 활동형, 상징ㆍ인지형과 이 유형들이 서로 조합된 형태로 야간 이미지가 인지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직 기초적 연구결과이지만 보완을 통해 서울의 야간 대표경관이라 할 수 있는 남산, 한강, 청계천에 대해서 야간경관계획과 관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ghtscape image with the focus on the representative urban landscape in Seoul in the light of the importance of night time activity. Main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to a focus group with specialized in related fields. The survey asked about the representative urban landscape of Seoul during day and night respectively, which ranked in order and divided the ratio and impact factors of image cognition. The result drew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gnitive factors focused on representative nightscape images of Seoul. Firstly, Namsan is ranked the most top representative image of Seoul from the survey, and the first top three among the representative images in the rank are related to the nightscape of each landscape. Secondly, the basic components of the nightscape images are divided into urban landscape, physical structure, and sense of place, environmental cognition, and so forth. In particular both ‘urban landscape’ and ‘sense of place’ are outstanding elements for identifying representative images. Thirdly, these classified component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uch as view, landmark, activity, and symbolic cognition. it finds that representative nightscape images are cognized by combining each type all together, and expects to be a guideline and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an urban nightscape master plan for Namsan, the Han River, and the Cheong Gye Cheon.

      • KCI등재

        복합건축물 단지 야간경관의 공간성 표현 연구

        양정순 ( Jung Soon Yang ),김현중 ( Hyun Joong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야간경관디자인은 도시공간의 기능과 목적에 따라 빛에 의해 구조적 공간질서를 형성하는 과정이며, 조명연출을 통한 공간성 표현은 공간과 이용자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입체적 공간질서를 형성하는 절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건축물 단지 야간경관의 공간적 특성을 배제한 무분별한 조명연출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 야간경관에 있어 공간성 표현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도시공간의 어두움으로 인한 평면적 공 간을 입체적 조명연출을 통해 공간감을 강화하고 3차원적 공간질서를 구축하여 그 곳의 기 능과 특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조명연출을 통한 공간성 표현의 의미와 특성,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여 대규모 복합건축물 단지 사례분석을 통해 그 현황을 파악하고 결과로 공간성 표현을 위한 조명연출 방법을 도출하였다. 조명연출 방법은 배광 분포의 부피감을 통한 영 역적 공간성 표현 방법, 휘도 분포와 대비를 통한 한정적 공간성과 확장적 공간성 표현방법, 빛 형상 동률을 이용한 공간적 방향성 표현에 의한 조명연출, 그리고 회명을 통한 표면 물성의 다의적 표현 방법이다. 이와 같은 공간성 표현의 개념과 그 조명연출 방법은 복합 건축물 단지 이용자의 심리적 · 물리적 활동 정도와 범위를 체계화하고 빛과 공간과의 관 계성에 대한 미학적 문맥을 구축할 것으로 사료된다. Nightscape design is the process of forming the structural space order by light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purpose of urban space. And spatiality expression through the lighting play is the procedure of forming three-dimensional space order ba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user. This study tries to find way to improve problems of indiscreet lighting design igno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ightscape of mixed-use buildings complex, and presents spatiality expression in nightscape as way to improve above mentioned problems. That is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order corresponding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space by three-dimensional night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ortant lighting methods for spatiality expression in nightscape are the spacial expression by light distribution, the expression of limited space and extended space by luminance distribution and contrast, the expression of spatial direction by rhythmical lighting shapes, and the expression of diverse meanings on the surface by darkness and brightness. These spatiality expressions and methodologies of lighting design in mixed-use buildings complex systematize psychological and physical activity level for users, and make the relationship to build aesthetic context between light and space.

      • KCI등재후보

        가로 보행공간에서 시퀀스를 중심으로 한 야간 경관조명 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이지은,이재규,박필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4

        Recently, as importance of the pedestrian space increases, depending on whether it is various or not the scene improvement business is progressed. As to the nightscape of among them pedestrian space, because the various lighting and the environments stand close together, the nightscape direction where there is the systemicity which can not be confused and the surrounding scenery be a good match is needed. The nightscape analyzed the activated overseas and scene lighting element of the domestic pedestrian space and this research divided into the nightscape visual angle characteristic element and nightscape component and made the analysis standard and irradiated about the detail characteristic element. Consequently, the current pedestrian space was the functional lighting putting first as path space and there were many lighting elements accomplishing neighboring element of landscapes and inharmoniousness. Therefore, the emotional lighting space is presented as the colorful experience less space direction which can be the social consensus comprised through the various nighttime image research that it goes through this study and it establishes the nightscape guideline according to a component with a pedestrian space and it considers the sequence scene. 최근 가로 보행공간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가로 경관 개선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가로 보행공간의 야간경관은 다양한 조명과 환경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혼란스럽지 않고 주변 경관과 어울릴 수 있는 체계성 있는 야간경관 연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야간경관이 활성화된 국외, 국내 가로 보행공간의 경관조명 요소를 분석하여 야간경관 시각 특성요소, 야간 가로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 기준을 만들고 세부 특성요소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보행가로는 통로공간으로서의 기능적인 조명 위주였으며 주변 경관요소들과 부조화를 이루는 이질적인 조명요소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보행가로 구성요소에 따른 경관조명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시퀀스 경관을 고려한 다양한 야간이미지 연구를 통해 사회적 교감을 이룰 수 있는 다채로운 체험적 공간 연출로 감성조명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