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학(東學)’ 개념 탄생의 사상사적 의미 – 창도(創道)에서 창학(創學)으로-

        조성환,이우진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58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wo problems. First, while existing studies acknowledge that the two-year period from the spring of 1860 to the first half of 1862 is a very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Eastern Learning [東學, Tonghak], there has been no concrete study on how Choi Je-woo's thoughts changed during that period.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Choi Je-woo’s ‘creating a new Learning [創學].’ First, We divided the two years into ① the period of creating a new way in Gyeongju (1860.04~1861.02) ➡ ② the period of propagation of virtue in Gyeongju (1861.03~1861.11) ➡ ③ the period of creating a new learning in Namwon (1861.11~1862.03), and then compared and examined the writings of each period. First of all, in the writings of the period of creating a way in Gyeonju, the Yongdamga [龍潭歌] and the Ansimga [安心歌], the core terms that represent Eastern Learning did not appear, and Choi Jae-woo’s experiences and revelations from Hanulnim (Lord of Heaven) were the main narratives. Next, the Podeokmun [布德文] and the Kyohunga [敎訓歌]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propagation of virtue in Gyeongju showed more developed characteristics than before, but especially in the Kyohunga, there was a growing interest in learning [學] as a concrete way to realize the Way. Lastly, the writings during the period of creating a new learning in Namwon, Dosusa [道修詞], Kwonhakga [勸學歌] and Nonhakmun [論學文] inherited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Kyohunga. In particular, in the Nonhakmun, for the first time, the expression ‘cultivate one’s heart and correct one’s life force [守心正氣]’, which represents the theory of cultivation of the Eastern Learning, appeared along with the word ‘Heavenly way [天道]’, another name for the Eastern Learning. Second, We examined the historical meaning of Choi Je-woo’s creating a new learning, focusing on the concepts of ‘Eastern [東]’ and ‘Learning [學].’ The Learning proposed by Choi Jae-woo was a shift from the oral to the literature as the shift from fragmentary expressions to an abstract and metaphysical system of knowledge. In addition, for the ‘East’ in the the Eastern Learning, he advocated broadly referred to ‘East Asia’ but narrowly to ‘here in Korea’ as distinguished from China. The knowledge system was the Eastern Learning as Korean Learning.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최제우의 사상과 행적을 다룬기존의 연구들이 1860년에서 1862년에 이르는 2년의 시기가 동학의 초기 역사에서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최제우의 사상 형성에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문헌학적 분석이 소홀했고, 그로 인해 남원에서의 최제우의 활동에 담긴 동학사적 의미와 사상사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론에서는 최제우의 활동 양상을 크게 ‘창도(創道)’와 ‘창학(創學)’으로 구분하고, 활동 공간과 내용에 따라 ‘경주창도기➡경주포덕기➡남원창학기’로 나눈 뒤에, 각 시기별로 저술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경주창도기의 저술인 「용담가」와 「안심가」에는 아직 동학을 대표하는 개념들이 등장하지 않고, 하늘님(님) 체험이 중심 내용을 이루고 있다. 이어서 경주포덕기에 저술된 「포덕문」과 「교훈가」에는 도(道)를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의 학(學)에 대한 관심이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남원창학기의 저술인 「도수사」․ 「권학가」․「논학문」은 「교훈가」에 나타난 관심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논학문」에는 동학의 별칭인 ‘천도(天道)’라는 말과 함께, 동학의 수양론을 대변하는 ‘수심정기’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최제우가 경주에서 하늘님과의 대화를 통해 받은 계시와 그에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道)를 ‘창도(創道)’하여 포교(布敎)했다면, 남원에서는 그 도(道)를 철학적으로 성찰하고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여 글로 정리함으로써새로운 학(學)을 ‘창학(創學)’한 것이다. 한편 최제우의 창학(創學)이 지니는 사상사적 의미는 ‘동(東)’과 ‘학(學)’ 개념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는데, ‘학(學)’은 ‘주문동학’에서 ‘문헌동학’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고, 단편적인 표현과 실천적인 수련에서추상적인 이론과 형이상학적인 ‘지식체계’로 발전되어 갔음을 시사한다. ‘동(東)’은넓게는 ‘동아시아’를, 좁게는 중국과 구별되는 ‘조선’을 지칭하기 때문에, 결국 ‘동학’ 이라는 지식 체계는 지금으로 말하면 한국의 자생적 인문학으로서의 ‘한국학’ 또는‘한국철학’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신입비서의 조직사회화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영역, 학습원천 및 학습 성공지표에 관한 질적 연구

        권아름(Kwon, Ah-Reum),백지연(Paek, Jeeyon),마크 누펠드(Neufeld, Marc)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신입비서의 조직사회화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영역, 학습 성공지표, 학습원천을 도출하고 이들의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세부 연구 목표로는 첫째, 신입비서가 조직사회화의 과정에서 배우고자 하는 학습영역을 도출하고, 둘째, 학습원천을 도출하고, 셋째, 학습 성공지표가 무엇인지 도출하여, 마지막으로 학습영역별로 나타나는 학습 성공지표를 도출하고 성공지표별로 그에 대한 원천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절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다층적 조직사회화 학습이론을 선정하여 조직사회화 학습과정에 관련 있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작성한 후, 총 23명의 신입비서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면담내용은 전사한 뒤, 코딩작업과 범주화 작업을 거쳐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직사회화의 학습영역은 직무역할 수행, 동료집단, 조직의 역사․ 목표․ 가치관, 조직의 미래전망으로 확인되었다. 조직사회화의 학습 성공지표는 자신의 역할과 부가적인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 조직과 사회적 융합을 이룸, 내적 안정성의 향상, 조직에 대해 긍정적으로 외부에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원천은 동료, 상사, 멘토, 공식적 사회화, 조직문서, 전임자, 개별학습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 대상자의 선정과정에서 실제 비서직의 종사자와 유사한 산업군의 분포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둘째, 고용형태에 따른 결과를 따로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urce, area, and success indicators of learning occurring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y reflecting on the specificity of the new secretary and to establishing basic data to help organiz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pecific ques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arning area that a new secretary tries to achieve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Second, what is the learning source in the new secretarial organization? Third, what is the indicator that the new secretary succeeded in adapting to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learning? Fourth, what are the success metrics for each learning area achieved through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learning process, and what is the source of the success metric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developed a new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nducted 23 times interviews based on, a new model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y Cooper-Thomas and Anderson(2006). Twenty-three new secretarie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learning areas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ave been identified in four ways. The role of the new secretary, his or her peer group, the organization"s history, goals and values, and the future outlook of the organization. Indicators that showed that the learning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as successful were as follows: successfully fulfilling their role, carrying out additional roles, enhancing social cohesion within the organization, enhancing internal stability within the organization, and positive external descriptions of the organization. Learning source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re determined by identifying factors from whom they have learned from such as colleague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programs, organizational documents, predecessors, and individual learning. Finally, learning areas, learning sources, and learning success metrics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s. If learning the task role and learning a peer group are successful, the individual role and additional roles are performed well. The success of learning about the organization"s history, objectives, and values has resulted in reaching a successful indicator of achievement and social cohesion. Learning about the organization"s future prospects has been confirmed to be met with an indication of its role, internal stability, and an indication of positive external representation of the organization. Sources of learning success indicators are through peer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programs, organizational documents, predecessor studies, and individual learning. Social cohesion with the organization is learned through peer, supervisor, mentor, formal socialization programs, organizational documents and predecessor. Social cohesion with the organization is learned through peer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programs, organizational documents and predecessors, Internal stability is achieved through peer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documents. Finally, the success metrics for positive external descriptions are learned through peer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documents. This study has two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 similar industrial distribution of actual secretarial staff to the actual secretary of the research. Second, a study by results of the employment status is necessary.

      • KCI등재

        직업 이동성증대 시대의 뉴서비스러닝 연구

        김종열,김현수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8 서비스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기존 교육 시스템에 대한 여러 진화와 대안을 살펴보고 최근의 서비스경제 시대까지 진화되어온 교육의 발전과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의 인간역량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까지 포괄하는 보다 구체적인 교육시스템의 단계를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전개에 따라 직업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다. 향후의 직업교육은 직업 이동이 빈번하게 일어날 것을 예상하면서 그에 맞는 교육방법론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교육 방법론은 이전에 없던 기술이 기존의 문화와 충돌하면서 다양한 융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대비하는 모델이 필요하다. 그리고 산업과 사회의 문제를 실제 교육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하여 인간의 역량과 환경에 대한 고차원적 교육철학이 새롭게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교육 수요 변화를 살펴보면서 직업 수퍼모빌리티시대의 새로운 교육시스템으로서 New Service Learning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개념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ew Service Learning을 혁신성, 현대성, 지속가능성, 인문성, 기술성이라는 5개의 개념으로 나누어서 의미를 살펴보았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New Service Learning의 개념을 실증분석하여 연구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several evolutionary and alternative aspects of the system of existing education and suggests a more specific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recent education that has evolved to the recent service economy era and a new approach to the human capacity of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We propose a stage of education system. We will change the meaning and choice of the job accord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uture occupational education also needs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xpectation that job movement will happen frequently. The new education requires a model to prepare for the phenomenon of various convergence as technology collapses with the existing culture. And a higher-level educational philosophy is needed for human competence and the environment to actually connect industrial and social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New Service Learning as a new system of education for super mobility. New Service Learning can be divided into five concepts: Innovation, Modernity, Sustainability, Humanity, and Technology.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research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concept of New Service Learning.

      • KCI등재

        근대 중국에서 중학,서학의 위상변화와 중체서용 -장즈둥의『권학편』을 중심으로-

        송인재 ( In Jae Song ) 한림과학원 2010 개념과 소통 Vol.0 No.6

        19세기 중반 이후 서학은 점차 중국 근대인에게 필수 불가결한 신학(新學)으로 위상이 높아졌다. 반면, 학(學) 혹은 문(文)이라는 말로만 표현되던 중국의 기존 학문은 중학(中學)이나 구학(舊學)으로 불리면서 상대화되었다. 장즈둥(張之洞)의『권학편(勸學篇)』에 등장하는 ``구학위체, 신학위용``이라는 구절은 바로 이런 지식지형의 변화를 반영했다. 훗날 이 구절은 ``중학위체, 신학위용``으로 변용되면서 중체서용론을 대표하는 명제로 인식되었다. 다른 한편으로『권학편』에서 중학은 내학(內學), 서학은 외학(外學)이라 불리며 그 담당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었다. 아울러『권학편』에서는 중학과 서학의 핵심내용과 습득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구상에서 중학의 지분은 서학 수용의 필연성 속에서 줄어들 수밖에 없다. 장즈둥은 중학의 본질성과 근본성을 역설하면서도 중학의 핵심내용을 빠른 시일 내에 습득하는 일종의 다이제스트식 학습방안을 제시했다. 반면 서학에 대해서는 관리 선발 시험에서 서학 도입, 서학 교육 보급 확장, 유학, 신문구독, 번역 등 실질적으로 서학의 확장을 도모하는 구상을 제시했다. 이런 구도는 중학의 영역을 내면으로 수렴하고 서학의 영역을 점점 확장시키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권학편』의 중체서용 개념에서는 서학이 근대 중국에서 영역을 점차 확장하고 있고 중학은 독존적 지위를 상실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중체서용은 용어의 축자해석에 근거하여 중학을 우선시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중국 문화의 근대전환 과정에 서 지식의 중심이 서학으로 이동하는 흐름에 부응하여 형성된 개념으로 파악해야 한다. 장즈둥이『권학편』에서 이를 말하고 있다. After the middle of 19th century, Western learning rose as new learn for Chinese gradually. On the contrary to this, existing learning of China was called as Chines learning or Old learning. The phrase, The old is to form the basis and the new is for practical purpose in China`s Only Hope (『勸學篇』) reflected this change of the composition of knowledge. After this times, the old and new in this phrase was changed to Chinese and Western, and this phrase has been known as representative phrase of Zhongtixiyong (中體西用) thesis. On the other hand, in China`s Only Hope Chinese learning is regarded as moral, Western learning is regarded as practical. Through this way, the realm of each learning is separated clearly. Besides, China`s Only Hope introduce the core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learning and Western learning. In this conception, the importance of Chinese learning can be reduced. Although Zhang Zhidong(張之洞) regarded Chinese learning as essence and basis, but he suggested the way of ``digest`` as learning method. In this suggestion, he explained that this method can make students learn as quickly as they can. In the contrary, he suggested importing Western learning, studying abroad, extensive translation, newspaper reading, etc. This plan can extend the realm of Western learning. This composition gives Western learning opportunity for extension. It is contrary to Chinese learning. So we can find that Western learning can grow as new main knowledge and Chinese learning can lose its absolute position gradually in the concept of Zhongtixiyong of China`s Only Hope. In conclusion, it is more resonable that definite the concept of Zhongtixiyong as weight shift of the knowledge-subject in modern transition of civilization than criticizing or protecting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conservatism.

      • KCI등재

        신학문을 위한 시론

        홍승표(Hong Seung-Pyo)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과학은 지난 수백 년 간 지배적인 학문으로서의 지위를 누려왔다. 하지만, 문명의 대전환기를 맞은 지금, 학문 역시 대전환을 이루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대인의 의식 전반이 근대에 사로잡혀 있음으로 말미암아, 학문의 정체성 대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이 바로 과학으로 대표되는 현대 학문 위기의 본질이다.<BR>  중세 말 신학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될 수 없었음과 마찬가지로 현대 말 과학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될 수는 없다. 과학은 미래사회에서도 여전히 유용한 학문이겠지만 더 이상 시대를 선도하는 학문이 될 수는 없다.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 과학이라는 신학문이 필요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 탈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삶과 문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신학문이 필요하다.<BR>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탈근대를 이끌어 갈 새로운 학문 유형에 대한 스케치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신학문의 새로운 세계관적 토대로 통일체적 세계관의 특징을 서술하고, 통일체적 세계관의 바탕 위에 구축된 신학문의 정체성에 대해서 앎의 목적ㆍ앎의 의미ㆍ앎의 방법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Science has enjoyed the ruling status for the past several hundred years. However, the identity of learning should be changed at the time of great turning point of civilization. Because the consciousness of modern men is seized with modernity, the conversion of the identity of learning is not being processed successfully. This is the essential point of the crisis of modern learning.<BR>  At the end of middle age, theology could not play the leading role to open a new civilization. By the same reason, at the end of modern age, science can not play the leading role to open a new civilization. We need a new type of learning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new civilization.<BR>  In this sense, this paper attempts to sketch a new type of learning that can lead post-modern era.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ed world view that is the basis of new learning will be described in this paper. And the identity of new learning will be discussed, too.

      • KCI등재

        신학문을 위한 시론

        홍승표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Science has enjoyed the ruling status for the past several hundred years. However, the identity of learning should be changed at the time of great turning point of civilization. Because the consciousness of modern men is seized with modernity, the conversion of the identity of learning is not being processed successfully. This is the essential point of the crisis of modern learning. At the end of middle age, theology could not play the leading role to open a new civilization. By the same reason, at the end of modern age, science can not play the leading role to open a new civilization. We need a new type of learning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new civilization. In this sense, this paper attempts to sketch a new type of learning that can lead post-modern era.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ed world view that is the basis of new learning will be described in this paper. And the identity of new learning will be discussed, too. 과학은 지난 수백 년 간 지배적인 학문으로서의 지위를 누려왔다. 하지만, 문명의 대전환기를 맞은 지금, 학문 역시 대전환을 이루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대인의 의식 전반이 근대에 사로잡혀 있음으로 말미암아, 학문의 정체성 대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이 바로 과학으로 대표되는 현대 학문 위기의 본질이다. 중세 말 신학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될 수 없었음과 마찬가지로 현대 말 과학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될 수는 없다. 과학은 미래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용한 학문이겠지만 더 이상 시대를 선도하는 학문이 될 수는 없다.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 과학이라는 신학문이 필요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 탈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삶과 문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신학문이 필요하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탈근대를 이끌어 갈 새로운 학문 유형에 대한 스케치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신학문의 새로운 세계관적 토대로 통일체적 세계관의 특징을 서술하고, 통일체적 세계관의 바탕 위에 구축된 신학문의 정체성에 대해서 앎의 목적․앎의 의미․앎의 방법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질문한다, 조직학습

        김영규(Young-Kyu Kim),박상찬(Sangchan Park),배종훈(Jonghoon Ba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4

        본고는 “조직학습이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이무원, 2015)에서 제시된 조직학습 이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 세 가지, 즉 타 이론과의 통합을 통한 내적 확장, 조직학습이론 발전과정에 대한 성찰적 고찰, 새로운 방법론 및 인식론을 통한 조직학습이론의 재조명 등의 과제에 관해 살펴보고, 조직학습이론의 발전방향에 대한 질문과 제언을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필드 간 확장 및 통합을 위한 이론의 발전에 관해서 연결망이론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통합적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 분야가 좁은 의미의 학습에 한정적이라는 점이 지적되었으며, 그럼에도 향후 두 이론간 소통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조직학습이론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새로운 틀을 제시하기 위해 신제도주의이론 관점에서 이론이 ‘제도화’된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 제기를 통한 성찰과 타 이론과의 개방적 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조직학습 본연의 가치, 즉 조직학습의 고유 메커니즘으로서 ‘조직다움’을 이론에서 회복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논의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타 조직이론과 통합에 선행하는 타 학습이론과의 개방적 대화, 조직학습이론이 조직이론으로서 위상을 갖기 위해 이론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고, 또 해야 하는 문제로서 조직구조와 전략의 미시적 기초, 그리고 조직학습이 다루었다고 주장하나 실제로는 다루지 못한 주제로서 학습과 권력에 대해 토론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학습이론이 더 완성도 있는 조직이론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reviews and shares our feedback on the three directions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suggested by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Organizational Learning” (Rhee, 2015) – a theoretical elaboration by integrat-ing with other organization theories, introspective examination on theoretical development, and reillumination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using new methodology and epistemology. First, we examine the issue of theoretical development through an expansive integration with other theoretical fields from the perspective of network theorists. Although the issue of learning in a narrow sense has practically been the only subject that the network theory an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are integratively applied to, we also foresee good chances of fruitful integrative research efforts between the two theories. Second, employed from the new institutional theory, we suggest the need for open conversation with other theories by asking i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has been “institutionalized.” Third, to restore the original value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we discuss how to recover the theory’s “organizationality” as a unique mechanism in organizational learning. Based on these points, we discuss the necessities of more interactions with other learning theories, more considerations on organization structure and the micro-foundation of strategy, and some underdeveloped key concepts, such as learning and power. Through this paper, we aspire to help scholars take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to the next level.

      • KCI우수등재

        시장경계선 재구축, 핵심 역량, 전략적 학습이 가치 혁신 신제품개발에 미치는 영향

        김지대(Ji Dae Kim) 한국경영학회 2008 經營學硏究 Vol.37 No.5

        It is reported that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s based on value innovation, which offers consumers unexpected customer utilities with low price, is much greater than in the case of new products based on technology innovation. This report reveals that the Value-Innovative New Product Development (VINPD) grows important. However, it seems that there are few systematic researches on the methodologies of the development of value-innovative new product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ologies contributing to the VINPD, and to examine empirically how much impact they have on the VINPD and what relationships exist among the methodologies of the VINPD. The literature on innovation suggests that there are basically three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the VINPD, as follows: (1) redefinition of market boundary, (2) strategic learning, and (3) core competence. The redefinition of market boundary represents the augmentation of the existing market territory a firm has, to identify new-meaningful customer values that customers have not known before, and in turn, offer them to customers. Next, strategic learning puts a high priority on the forecasting of the future market change and developing required capabilities (dynamic capabilities) through organization learning, to fulfill the changing customers` needs. Finally, the methodology of utilizing core competence Leverages existing core competence such as core technologies a firm has cumulated so far, to satisfy divergent customers` needs in the several market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ll of the three methodologies suggested in this stud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VINPD, directly or indirectly. Concretely, the redefinition of market boundary has a greatest direct impact on the VINPD, followed by strategic learning in order, and the utilization of core competence has an indirectly impact. As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methodologies of the VINPD, it was found that the core competence reinforces both strategic learning and redefinition of market boundary in a positive way, and the strategic learning also facilitates the redefinition of market bound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ed some insights on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value-innovative new products: First, firms need to pursue multiple approaches for the VINPD, making the simultaneous use of redefinition of market boundary, strategic learning, and the utilization of core competence. Second, firms need to capitalize on the synergistic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methodologies for the efficient development of value-innovative new products.

      • KCI등재

        ‘평생학습’ 개념생태계 연구 : 평생학습 개념의 확장, 융합, 그리고 창발에 관하여

        한숭희(Han, Soonghee),양은아(Yang, Euna),임혜진(Lim, Hyejeen)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개념이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 영역의 경계를 넘어 범학문적으로 확장되어가는 한편, 이 연구분야를 중심으로 각 학문분과간 초연결성을 형성해가는 양상을 분석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기존의 평생교육 연구분야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새로운 개념층위적 창발성이 진화되어 나오는 모습을 드러낸다. 연구자들은 이것을 평생학습 개념생태계의 성장과 진화라는 차원에서 이해하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지난 20년 동안 국내 및 국외의 학술연구 데이터베이스에서 평생학습 혹은 lifelong learning 을 키워드로 설정한 학술논문들을 추출하여 그 주제영역과 연구문제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외에서의 평생학습은 (1) 교육학 일반 영역으로 확장되는 한편 사회과학, 생명과학, 공학과 의학, 인문학과 교양학 등 거의 모든 분야로 그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었으며, (2) 핵심 연구주제들, 예컨대 노인발달과 학습, MOOCs, 전문가계속교육(의사, 공학자, 건축가 등) 등 주제와 관련된 융합학문적 연구로 발전하고 있었고, (3) 다른 한편에서 기존의 학교학습으로 표현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학습의 세계를 표상하는 플랫폼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특히 인공지능 등의 기계학습 분야에서 평생학습 개념이 활용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4) 반면, 국내의 경우 평생학습 연구는 전통적 평생교육/HRD영역 안에 갇혀있는 양상을 보였으며 다학문간 활발한 융합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제 평생학습 개념은 더 이상 50년 전의 그 개념이 머물 수 없으며, 학술개념의 리더십도 더 이상 평생교육연구자집단(혹은 성인교육연구자집단) 안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평생학습 개념은 조만간 혁신적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는 개념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으며, 주요 융합주제들을 통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초학문간(transdisciplinary) 협력연구를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the notion of lifelong learning has expanded beyond the territory of educational researches, created new interconnectivities with other major areas of academic researches, and eventually evolved into a new platform of conceptual emergence. The researchers adopted a complexity perspective to understand this whole process as a part of dynamic conceptual ecologies in evolution. Within this framework, an academic concept, being developed as part of practical reality in the related field, came to existence to obtain a discursive power, or “governmentality,” adopting Foucault’s terminology, which authorizes collective legitimacy to the piecemeal of the fragmented practices, and to provide them justification and social value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we used two major scholarly databases to select articles whose research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notion of lifelong learning. One is SCOPUS scholarly database, the other is Korean research database of RISS. From the two databases, we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the articles whose main theme is related with lifelong learning, both in Korea and overseas. Upon the data collected, we found out that (1) the expansivity and interconnectivity of lifelong learning discourses between various academic fields is far restricted in Korea than overseas; (2) lifelong learning in Korea is more strictly bound within the territory of educational researches, while in overseas more articles were found in the areas such as medicine, engineering, social science, humanities, and others; (3) newly emerging research themes were created especially in the area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hat were standing over the platform of Industry 4.0 or post-humanism. Overall, the notion of lifelong learning today came to be a general and transdisciplinary concept that shares more connectivity and alliances in collective researches to shed “new” lights on the “old” phenomena of human learning in a new epoch. Nevertheless, the conceptual sophistication and major upgrade have not been supported enough by the original adult education research group; rather, the clock of the concept stopped at the point when it was first invented. All kinds of cliche and old implications are repeated without further evolution. Adult educators are no longer standing at the center of the academic leadership in this phenomenon.

      • KCI등재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 내 학습 경험이 직장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석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4 평생학습사회 Vol.10 No.3

        본 연구는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에 있어 직장 내 학습 경험이 직무만족을 통해 직장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직장 내 학습 경험 및 효과는 직무집체교육 경험(공식 직무교육, 직업기초교육), 현장체험 학습 경험(공식 학습동아리, 멘토링, OJT), 자기학습 경험(일을 통한 자기학습, 개인학습, 대학진학 경험), 지인과의 관계를 통한 학습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학습의 현업적용도를 학습 효과로 보았다. 아울러 직장적응은 직무만족과 직장유지의도로 측정하였는데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간접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에는 개인 특성, 진로 특성, 근로환경 특성 등 총 9개의 통제변수가 삽입되어 함께 분석되었다. 직장경력 5년차 미만 초기경력자 1,142명이 연구 분석대상이 되었다. 3단계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기학습 경험이 직무만족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통한 직접, 간접, 총효과 분석을 하였는데 현장체험학습 경험과 지인과의 관계를 통한 학습 역시 직무만족을 통해 간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졸 초기경력자가 경험하는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 경험 효과는 직무만족 및 직장유지의도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며 기업담당자들은 이러한 학습 형태에 따른 다른 효과를 인지하여 이들의 직장적응을 도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experience of high-school graduates new employees,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retention inten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high-school graduates who have under 5 year work experience. The study consider the learning experience at workplace as 4 variables such as formal classroom learning(e.g. job task-related programs and vocational basic competency program), non-formal experimental learning at workplace(e.g. mentorship, OJT, and CoP), self-development learning (e.g. college education), and informal relationship-based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Only formal classroom learning has statistical direct impact on job retention intent, while self-development learning, informal relationship-based learning, and non-formal experimental learning at workplace influence through job satisfaction to job retention intent. Therefor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companies can statistically and jointly provide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with new high-school graduates to help their work adjustment with achieving different types of career success for the sake of their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