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 탐색
송해덕,신선애,이지현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4
The political endeavors of the Korean government towar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as a movement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curriculum. Junior colleges, one of the mai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scheme. However,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NCS-based curriculum is the role of faculty members. Therefore, it is an urgent issue to equip the faculties with required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competencies of faculty members at junior colleges to introduce and implement the NCS-based curriculum. A set of competency was deductively derived from a total of nine professors and consultants with more than ten-year experiences and has been involved in developing the NCS-based curriculum. Questions from the behavioral event interview (BEI) method were selectively adopted for the interviews with the nine experts.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into different competencies, which then were taxonomically analyzed, and contextually interpreted. This process was recursively repeated and resulted in a final list of competencies.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tencies required professors at junior colleges for the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Macro-level curriculum development; micro-level course design; knowledge across areas; and attitude across areas. The sub-competencies of former two areas may be procedurally arranged. A total of 25 sub-competencies constitute a set of resulting competencies. Comparisons between competencies sugges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and the ones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Further research and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were recommended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developing competencies of junior college faculties who ultimately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mpetency-based vocational education.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국가정책적 노력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움직임으로 실행되고 있고, 이를 위한 주요 직업훈련기관인 전문대학들은 점점 NCS 기반 교육과정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NCS가 전문대학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도입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교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운영하기 위해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탐색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대학에서 NCS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교수 및 컨설턴트 9인을 대상으로 연역적으로 역량을 도출하는 방법을 취했으며 이 때, 면담 질문은 행동사건면담법에서 제안하는 질문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는 전체 역량 항목을 추출하여 기술한 뒤, 분류체계분석과정, 맥락적 해석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여 최종 역량 목록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을 위해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거시적 교육과정 개편 역량과 미시적 수업설계 역량, 공통지식, 공통태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 영역의 역량군은 ‘설계 및 개발’, ‘실행 및 운영’, ‘평가’의 순차적 단계에 따라 절차화 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역량군을 구성하는 총 25개의 세부역량이 도출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일반적인 전문대 교수 역량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을 비교하여 논의하였으며, 탐색적 성격의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 위한 후속 연구 및 행정적, 제도적 지원책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전문대 교수들의 역량 개발에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전문대 학생들을 위한 역량기반 직업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훈련기준 개선에 관한 탐색: 직업훈련기관 심층 면담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희,이영민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3 직업과 자격 연구 Vol.12 No.1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denoted as NCS) is a mechanism that systematizes the competencies of industries and levels. The vocational training courses were designed to reflect the NCS principles. Based on the NCS-based training standards, training courses were systematically designed, examined, operationalized, and evaluated, which resulted in a highly standard way. Despite the importance of NCS-based training standards, it has been used in a compulsory way and to ease testing and evalu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and possibilities of NCS-based training standards by doing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trainers of training institutions. As a result, we identified and suggest the flexible use of NCS-based training standards by allowing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raining institu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use of NCS-based training standards and revise them by reflecting the needs of training institutions.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는 산업현장의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산업별, 수준별로 체계화된 것으로서, 직업훈련과정은 이러한 NCS를 기반으로 훈련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NCS기반 훈련기준을 개발하여 훈련과정의 편성, 심사, 운영, 평가 등에 활용하고 있으며, NCS를 훈련에 적용하기 위한 중요한 기제로 활용하고 있다. NCS기반 훈련기준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기존이 기술과 산업현장의 빠른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능력단위 활용을 강제화하고 있으며, 훈련심사과정의 편이성과 훈련비 단가를 최대한 수령하기 위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CS기반 훈련기준을 적용하여 훈련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직업훈련기관들의 담당자들을 심층면담하여, NCS기반 훈련기준의 문제점, 훈련과정 편성의 문제점, 심사평가의 문제점 등 NCS기반 훈련기준 활용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들을 탐색하고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NCS기반 훈련기준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활용 기준상의 경직성과 훈련사업별 반영비율의 강제성 등을 개선하고, NCS기반 훈련기준을 통해 훈련과정을 편성할 때는 훈련기관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향후 제도 개선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훈련기준의 활용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이영민,최그림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3 직업과 자격 연구 Vol.12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urrent utilization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training standards, as well as to develop targeted improvement strategies. To accomplish this, a comprehensiv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raining institutions, with a total of 309 respondents participating. The survey encompassed aspects such as national job competency training standards, training course organiz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raining courses. Based on the gathered data, several key improvement plans were formulated. These included the systematization of post-training standards for national job competency, the need for a process to enhance the flexibility and validity of training standards during application, a request fo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ntent within competency units, the provision of guidelines for organizing training courses tailored to specific job categories to boost the application rate, and plans to reform training costs. These measures aim to address the identified issues and advanc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standards. 우리나라의 높은 고등교육 이수율에 반해 학교교육이 실제 산업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교육비용이 발생하며, 학교교육만으로는 급변하는 경제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른 직무수행 능력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학교교육과정과 노동시장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해 교육부와 고용노동부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를 개발하여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산업 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하였다. 개발된 NCS는 직업능력개발훈련, 직업훈련 집체(통합)훈련심사, 직업교육, 자격, 기업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NCS 기반 훈련기준을 활용함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CS기반 훈련기준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훈련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NCS 훈련기준, NCS기반 훈련과정 편성, NCS 훈련과정 개발과 운영 측면으로 나누어 훈련기준의 필요성, 문제점, 편성 현황 및 어려움, 직업기초능력의 운영 현황, 훈련과정 개발과 운영의 개선점 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NCS 훈련기준의 내용을 체계화, 적용 시 유연성과 내용의 타당도를 높이는 과정의 필요, 능력단위 내용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의 요청, NCS 적용 비율에 관한 직종별 훈련과정 편성 가이드 제공과 훈련비 개편 방안 등을 개선 방안으로 도출하였다.
전문대학 응급구조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홍성기,고봉연,이정은,Hong, Sung-Gi,Koh, Bong-Yeun,Lee, Jung-Eun 한국응급구조학회 2015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19 No.2
Purpose: Although appointed as a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based reserves department,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an NCS-based emergency department, is mainly focused on subject deduction for a NCS-based curriculum. Methods: Job models were formed and verified by combining the competency unit of NCS and the duty of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based on the development procedure indicated in the guidelines for a NCS-based curriculum. The mapping method of the subject was performed by deducting necessary competency units (duty)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task) by connecting with the composition items of NCS and DACUM. Results: Job models combined with job analysis for the NCS and DACUM were reduced to 13 competency units (duty) and 79 competency unit elements (task). A modified method such as the 1:N method was mainly applied as a subject-matching method with consideration of the competency level and size of the competency unit. Conclusion: It would be a desirable direction to develop a NCS-based curriculum in the center of the practice su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ompetency unit and competency level of the competency unit element. The existing curriculum should be promoted as a field-oriented curriculum at the complementary level.
역량기반 사서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지표 및 콘텐츠개발 - NCS적용 타당성 분석 및 보완방안 연구 -
이종창,권나현 한국문헌정보학회 201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model us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Library & Information Management.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various competency standards for librarians developed in and out of the countr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and focused group interviews to obtain professional librarians’ needs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NCS for library professions. It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NCS elements and mapped with elements in the five other competency standard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s. It also scrutinized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formed the areas to enhance the current NCS by identifying underdeveloped competencies and identified the course contents that should be developed with priorities. The study also developed a modifi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NCS-CPD).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can utilize this scheme as a useful guideline to develop balance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s for the practitioners working in variou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s. 본 연구에서는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서직 역량기준을 조사하는 한편, NCS 및 사서직 역량요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사서직 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한 핵심역량에 대비하여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체계(NCS-CPD)”는 각종 도서관에 근무하는 현장사서에게 필요한 전문 및 기초 핵심역량을 체계화하고 있다. 이 체계는 향후 사서직 계속교육 연구 및 현장에서의 균형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형국가역량체계(KQF)에 따른 회계·감사분야 NCS체계의 개편방안
전홍준,조광희 한국회계정책학회 2018 회계와 정책연구 Vol.23 No.1
[연구목적]능력중심 사회로 전환을 위해 경험학습 및 자격 등이 학위체계에 호환되도록 KQF(Korea Qualification Framework, 한국형국가역량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KQF의 핵심은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있는데, 개발체계상 문제로 회계·감사 직무의 NCS가 KQF와 연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 파악과 대안 모색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회계·감사 직무의 NCS 능력단위, 직무능력 수준, 능력단위요소 구성 및 학습모듈의 내용을 검토하고, 회계 및 감사분야의 교육과정 편성에 관한 기존 연구와 회계와 감사를 주요 교과과정으로 하는 4년제 학과의 교육과정 그리고 NCS체계를 비교·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검토결과 회계·감사직무 NCS 문제점과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수준 위주로 구성된 능력단위에 상위 능력이 반영된 4년제 대학 수준의 능력단위 추가가 필요하다. 둘째, 능력단위 명칭이 대학 교육과정의 과목명과 달라 대학의 교과목 간의 호환을 방해하므로 능력단위 명칭의 변경이 필요하다. 셋째, 능력단위 명칭이 학위과정의 과목과 유사한 경우에도 세부내용이 다른 경우가 있어 능력단위 요소의 신설이 필요하다. 넷째, NCS와 KQF에 있어 직무역량수준의 정합성을 높여야 한다. [연구의 시사점]구축되고 있는 KQF의 원활한 실행을 위해 회계·감사 직무의 NCS 체계성을 높여 KQF의 실효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Purpose]Korean Qualification Framework(hereafter ‘KQF’) has been formed for the transformation to a competency based societ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hereafter ‘NCS’) is a key component of KQF. It seems to be systematic for KQF to be formed first and NCS to be developed later. However, NCS was developed first, which caused many problems for NCS to be linked to KQ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some improvements in the NCS system of accounting and auditing duty. [Methodology]To find some problems and propose improvements, competency unit, competency unit element, learning module and training courses of accounting department were reviewed. [Findings]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competency unit of NCS which can reflect higher level of accounting study should be added. Second, the name of competency unit should be changed for the compatibility of NCS with KQF. Third, the current competency unit contains more competency unit element because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ompetency unit and accounting subject, though it is similar between the name of competency unit and accounting subject. Furthermore, it is needed to be leveling off between NCS and KQF. [Implications]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KQF,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NCS system of accounting and auditing duty.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기준 운영실태 분석 및 연계방안 연구
김진실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9 직업과 자격 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일-교육훈련-자격을 연계하기 위해 도입된 NCS의 활용기준 운영실태와 연계성을 분석하고, 연계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NCS 활용기준이란 검정형 자격 출제기준,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일학습병행제 인증기준, NCS 기반 훈련기준 및 2015 개정교육과정 전문교과Ⅱ군 실무교과를 의미한다. 세부 연구목표는 첫째, NCS 활용기준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둘째, NCS 활용기준의 운영실태 및 연계성을 분석하며, 셋째, NCS 활용기준 간 연계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내용분석, 개발연구 및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NCS 활용기준 실태를 분석한 결과, 검정형 자격 출제기준,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일학습병행제 인증기준, NCS 기반 훈련기준 및 고교 실무교과에서 NCS 능력단위 등을 활용하여 연계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정형 자격과 과정평가형 자격의 연계를 위해 검정형 자격 출제기준 개발 및 개정,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개발 및 개정, 출제기준과 편성기준 심사, 관련 서식 및 법령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과정평가형 자격과 일학습병행제의 연계를 위해 과정평가형 자격 연계 일학습병행제 과정을 도입하여 과정평가형과 1:1로 매칭되는 일학습병행제를 우선 전환하고, 과정평가형과 1:多,로 매칭되는 일학습병행제에 대해서는 전환할 대상을 선별하는 기준을 수립하는 한편, 일학습병행제 인증기준 서식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분야 및 종목별로 각 활용기준 등의 연계성 분석 연구를 추진하여 향후 각 활용기준의 개정 과정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활용기준의 적용 종료기간 도래 또는 매년 공고 시 개정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일학습병행제와 과정평가형의 경우, 종목 분류체계, 내․외부평가, OJT 시간 인정 등에 대한 조정 방안 역시 고도화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us and connectivity of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that is used in qualific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and to draw out the connecting strategy.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refer to the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the standard for course based qualification,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NCS-based training standard, and the guidelines for 2015 revised curriculum special course Ⅱ practice subjects. The detailed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NCS application standard, Second, the operational status and connectivity of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is analyze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Third, connecting strategy between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is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literature study,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study and feasibility study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NCS application criteria,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using NCS competency unit in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the standard for course based qualification,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NCS-based training standard, and the guidelines for 2015 revised curriculum special course Ⅱ practice subject. Second, in order to connect the diverse NCS application criteria, it was possible to draw up an improvement plan for examination, related forms and laws. Third, it was possible to introduce work-learning system that is based course based qualification and change the type of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drawn from the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connecting analysis study of each application standard by job field and item and utilize it in the revision process of each application standard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mendment at the time of application termination of each application standard or announcement every year. Third, in the case of the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and course based qualification, the study of the adjustment system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tem, the internal evaluation and the external evalu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OJT time is also required to be advanced.
민선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직업교육연구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ramework for the NCS-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field of secretary at the junior college-level. NCS is National Standards Curriculum in professions to achieve competencies that define the specific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that students should obtain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or training.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case study of curriculum development of A Junior College, Department of Secretarial Office Administration was conducted from a perspective of NCS. The field of secretary and office administration related competency unit groups,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elements were reviewed and selected followed by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The examination of NCS, competency unit related to secretary and office administration area, needs analysis including job trend, characteristic of College and Department etc., Mapping between competency unit and coursework, course profile, road map of course. It solves a gap between a demand of field in industry and educational training. The focus of the study is to redesign curriculum of the field of secretary for college students from a perspective of NCS. As a result, the utilization of the NCS for the college curriculum should be to complement the existing curriculum. In addition, the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s of the school are required in terms of conducti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CS-based curriculum, providing the incentives or linking the utilization of NCS with the government's various funding-projects for the colleges.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nd financial burdens of colleg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dustry is also essential in the whol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NCS at the colleges. Further study is needed operation of NCS-based curriculum including subject-materials, syllabus, evaluation in teaching & learning. NCS 기반 교육과정은 일과 수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직무 중심의 모듈로 개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사무행정 분야의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NCS의 기본개념과 분류체계 및 구성, 그리고 NCS기반의 타 분야의 교육과정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A대학 비서행정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개발을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절차는 A 전문대학 비서행정과의 교육과정을 NCS에서 제시된 능력단위를 적용하여 기존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개발 절차를 단계별로 실제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해당 NCS 분류체계 및 구성 검토-요구분석-NCS 분류 체계 기반 학과 인력 양성 방향과 교육목표 설정- 관련 직무 능력단위와 능력단위요소 검토- NCS능력단위 직무 모형 설정- NCS능력단위와 교과목 연관성 검토- NCS 적용 교과목, 비적용 교과목 도출-NCS 적용 교육과정 총괄표의 8단계별로 NCS에서 제시된 2개의 세분류를 활용하여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NCS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개발 시 전문대학 교육 현장에서 수반되는 현실적 문제와 이를 토대로 제언이 논의되었다. NCS기반 교육과정은 현재 국가가 지향하는 일-교육 및 훈련- 자격과 연계된 순환형 직업교육 체제 구축을 위해 현장적합성이 높은 능력중심의 교육과정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NCS 기반의 교육과정개발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과 활용에 따라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이해 관계자들의 변화 수용 자세 및 학교 정책 차원에서의 행・재정적 지원이 관건이다. 교육과정개발 이후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운영하고 평가하는 방법 등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연구 동향 분석
임윤진,손다미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CS-related research trends, Keywords, the Keywords Networks and the extension of the Keywords using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and to seek for the development plans about NCS. For this, the study searched 345 the papers, with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r NCS as a key word, among master's theses, dissertations and scholarly journals that RISS provides, and selected a total of 345 papers. Annual frequency analysis of the selected papers was carried out,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68 key words which can be seen as key terms of the terms shown by the subject. The method of analysis were KrKwic software, UCINET6.0 and NetDraw.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CS-related research increased gradually after starting in 2002, and has been accomplishing a significant growth since 2014.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keyword network, 'NCS, development, curriculum, analysis, application, job, university, education,' etc. appeared as priority key words. Third, as a result of sub-cluster analysis of NCS-related research, it was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which could be seen as a research related to a specific strategy for realization of NCS's purpose, an exploratory research on improvement in core competency and exploration of college students' possibility related to employment using NCS, an operational research for junior college-centered curriculum and reorganization of the specialized subject, and an analysis of demand and perception of a high school-level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urth, the connection forming process among key words of domestic study results about NCS was expanding in the form of ‘job→job ability→NCS→education→process, curriculum →development, university→analysis, utilization→qualification, application, improvement→ plan, operation, industry→design→eval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 핵심어의 구명 및 핵심어간의 연결 속성, 그리고 핵심어간의 확장에대해 살펴보고 향후 NCS관련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지 가운데 국가직무능력표준 또는 NCS를 키워드로 하는 논문이며, 총 345편의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동향의 분석 방법으로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논문의 제목에 나타난 용어에서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빈도분석을 위하여 KrKwic을사용하였으며, 연결망 분석을 위하여 UCINET6.0, 연결망의 시각화를 위하여 NetDraw 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는 2002년부터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오다가 2014년 이후 큰 폭의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교육과정, 분석, 활용, 직무, 대학, 교육’ 등이 중점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의 하위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취지와 목적을 실현하기 구체적인 전략 등에 관한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직업기초능력 향상과대학생의 취업 관련 가능성에 탐색적 연구’, ‘전문대학 중심의 전문교과의 교육과정 및개편을 위한 실무적 연구’, ‘고등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요구 및 인식에 관한 분석’ 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관한 국내 연구물의 키워드간의 연결 형성과정은 ‘직무→직무능력→국가직무능력표준(NCS)→교육→과정, 교육과정→개발, 대학→ 분석, 활용→자격, 적용, 개선→방안, 운영, 산업→설계→평가’의 형태로 확장되고 있었다.
유용흠(You, Yong Heum),김진욱(Kim, Jin woo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능력중심사회 만들기”를 핵심 국정과제로 확정한 박근혜 정부는 국정과제 73번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구축을 제시하고 2014년까지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NCS의 활용은 교육과정개발, 과정 평가형 자격제도 도입 등 기초 인력양성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NCS는 미래 인력개발을 위해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건축설계 또한 2010년 개발된 NCS를 기준으로 보완개발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과 대, 중, 소규모 국내 건축설계 사무소 실무전문가와 교육전문가, 자격전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숍을 진행하여, 기존 47개의 세분화된 능력단위로 구성된 건축설계 NCS를 9개의 능력단위와 35개의 능력단위 요소로 정리하였다. 주요 능력단위로는 건축설계계약, 건축설계 조사 분석, 건축설계 기획, 건축설계 계획, 건축설계 프레젠테이션, BIM설계, 관계사 협력설계, 건축설계 설계도서작성, 건축설계 운영관리 등이다. 위 과정에서 현재 도입중인 BIM설계업무를 정의하고, 도입 초기단계의 특성을 고려한 능력단위 요소 및 수행준거를 개발하였다. Park Geun Hye government established the motto "make a society where the priority is put on the capability" as one of its core policies. and planned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s No. 73 national policy with targeting the completion of it by 2014. As the NCS is used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basic human resource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cess, and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it can be said that NCS is important in developing the future human resources. The architectural design is also supplemented and developed based on NCS which was developed in 2010. So, in this study, the prior literature was reviewed and analyzed and a workshop was held for practitional designers working in the large, medium and small sized domestic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as well as educational experts and qualification experts. Based on the research, architectural design NCS which are made with 47 segmented capability units were divided into the 9 capability units and 35 capability unit elements. The main capability units include the contract of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 analysis of architectural design, planning of architectural design, planning of architectural design, present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BIM design, cooperating design with associate companies, preparation of architectural drawing document and oper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In the process above, the BIM design work which has been introduced is defined and the capability unit elements and the implementation references wer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in the initial introduction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