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하구역의 효율적 보전을 위한 법제정비에 관한 연구

        공라경 한국해사법학회 2012 해사법연구 Vol.24 No.2

        낙동강하구는 철새도래지로서 뿐만 아니라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보존가치가 높은 곳이며, 이 때문에 다른 하구에 비해 많은 지역이 보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대규모 지역개발 등에 의해 환경에 대한 압력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에 시급한 보전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낙동강하구의 문제점은 첫째, 철새들의 쉼터이자 부산의 허파역할을 하고 있는 논습지가 개발의 논리로 인해 줄어든다는 것이고, 둘째, 관의 생태적 수변구역의 재정비로 인해 오히려 수변구역이 인간의 간섭이 더해져 수변생물이나 철새들에게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부산시는 2001년 ‘부산광역시 낙동강하구 보전관리 조례’를 제정하였는데, 조례에는 하구와 관련된 사업과 계획은 입안단계에서부터 집행·사후관리까지 시민·전문가·시민단체의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나 부산시의 일방적인 정책관조로 인해 낙동강조례가 무용지물인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줄어드는 논습지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법률적 정비가 필요하며, 둘째, 하구보전의 한 방법으로 하구를 생태관광지로 지정을 위한 생태관광 법률의 정비가 필요하고, 친환경농업을 강제하여 환경도 살고 철새도 살고 사람도 같이 상생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Nakdong river estuary is not only a place where migratory birds come over, but a preservation place blessed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compared to other estuaries, many areas of the estuary were designated as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zones. Large-scale local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have harmed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areas. Therefore, coming up with plans for preserving the estuary came to be required. The current problems of Nakdong river estuary are first that paddy fields and swamps, which are a habitate of migratory birds and play a role as a lung for Busan, have shrunk due to development projects, and secondly that the ecological reorganization of buffer zones by the governmental office is added into human beings' interference, giving threats to creatures and migratory birds living in the buffer zones, and thirdly that Busan Municipality established 'Ordinance of Preservation Management of Nakdong River Estuary in Busan' in 2001, under which projects and planning related to the estuary require citizens, experts, and civic groups to engage in all the relevant process ranging from design stage, to execution, and to post-management. Unfortunately, the unilateral policy contemplated by Busan Municipality made the ordinance useless and obstructive. 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s, what is needed is first to revise concrete laws to preserve the shrinking paddy fields and swamps, secondly to revise ecological tourism Act to designate the estuary as ecological tourist attraction.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a legislation plan of eco-friendly management for the coexist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migratory birds and human beings in Nakdong River estuary.

      • KCI등재

        낙동강 하구와 한국소설

        허정 ( Heo J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낙동강 하구가 막히면서 물길이 끊겼다. 이로 인해 그 흐름에 조응하여 다양한 의미가 부여되어온 하구의 면모를 상상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 글은 하구를 재현한 소설작품들을 대상으로 이 작품들이 그 장소를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가들은 하구와 그곳의 퇴적지형에 ‘이질적인 것들에 개방되어 있는 장소’, ‘이질적인 것들이 만나고 융화하는 장소’, ‘누구에게나 열린 공유재이자, 공유재로 보호해야 할 곳’, ‘젊은 날의 추억이 깃든 장소’, ‘종말과 더불어 새로운 생성이 일어나는 장소’, ‘유역민을 먹여 살리는 풍요로운 젖줄이자 생명선’, ‘풍요로움을 노리는 세력에 의해 수탈이 일어나는 장소이자 떠나야 할 공간’, ‘수탈에 맞선 저항이 일어나는 장소이자 그 저항이 파급되어가는 장소’, ‘안주함을 거부하는 진보의 정신이 깃든 곳’, ‘빈부격차를 뚜렷이 부각시키는 재앙이 몰아치는 곳인 동시에 뜻밖의 수확이 가능한 곳’, ‘몸을 숨기는 은신처’, ‘한반도를 표상하는 제유’ 등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As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was built, various aspect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isappeared. The novels represented various aspect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This article analyzes the novels representing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a place where heterogeneous rivers mix. So the Nakdong River estuary can be said to be a place where heterogeneous things harmonize. In the novel, characters harmonize like the rive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 sequel story of the Sanseo-dong’s” by Kim Jeong-han and “Estuary” by Lee Mun-yeol are examples. 2. The estuary is a place that reminds much the land ownership. “A Story on Sands Village” by Kim Jeong-han and “Rape flower” by Kim Jeong-han represent this issue. And these novels seriously reflect on the land ownership issue. Furthermore, Kim Jeong-han regards the estuary's land as an open commons for everyone. 3. The estuary is where the river meets the sea. In the estuary, the river is born into sea water. “Estuary” by Lee Mun-yeol and “lover” by Park Hyang represent the meeting of the river and the sea. And the novels represent that the river is born into the sea. 4. The estuary is an affluent place. At the same time, estuary are places where plunder occurs. In addition, estuary are places where resistance movements occur against plunder. “Nakdong River” by Joe Myung-hee and the novels by Kim Jeong-han represent this these images. 5. In addition, estuary appear in various images in novels. In other words, the estuary appears in novels as a place of disaster, a waterway, a shelter, a symbol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낙동강 하구와 한국소설

        허정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As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was built, various aspect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isappeared. The novels represented various aspect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This article analyzes the novels representing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a place where heterogeneous rivers mix. So the Nakdong River estuary can be said to be a place where heterogeneous things harmonize. In the novel, characters harmonize like the rive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 sequel story of the Sanseo-dong’s” by Kim Jeong-han and “Estuary” by Lee Mun-yeol are examples. 2. The estuary is a place that reminds much the land ownership. “A Story on Sands Village” by Kim Jeong-han and “Rape flower” by Kim Jeong-han represent this issue. And these novels seriously reflect on the land ownership issue. Furthermore, Kim Jeong-han regards the estuary's land as an open commons for everyone. 3. The estuary is where the river meets the sea. In the estuary, the river is born into sea water. “Estuary” by Lee Mun-yeol and “lover” by Park Hyang represent the meeting of the river and the sea. And the novels represent that the river is born into the sea. 4. The estuary is an affluent place. At the same time, estuary are places where plunder occurs. In addition, estuary are places where resistance movements occur against plunder. “Nakdong River” by Joe Myung-hee and the novels by Kim Jeong-han represent this these images. 5. In addition, estuary appear in various images in novels. In other words, the estuary appears in novels as a place of disaster, a waterway, a shelter, a symbol of the Korean peninsula. 낙동강 하구가 막히면서 물길이 끊겼다. 이로 인해 그 흐름에 조응하여 다양한 의미가 부여되어온 하구의 면모를 상상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 글은 하구를 재현한 소설작품들을 대상으로 이 작품들이 그 장소를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가들은 하구와 그곳의 퇴적지형에 ‘이질적인 것들에 개방되어 있는 장소’, ‘이질적인 것들이 만나고 융화하는 장소’, ‘누구에게나 열린 공유재이자, 공유재로 보호해야 할 곳’, ‘젊은 날의 추억이 깃든 장소’, ‘종말과 더불어 새로운 생성이 일어나는 장소’, ‘유역민을 먹여 살리는 풍요로운 젖줄이자 생명선’, ‘풍요로움을 노리는 세력에 의해 수탈이 일어나는 장소이자 떠나야 할 공간’, ‘수탈에 맞선 저항이 일어나는 장소이자 그 저항이 파급되어가는 장소’, ‘안주함을 거부하는 진보의 정신이 깃든 곳’, ‘빈부격차를 뚜렷이 부각시키는 재앙이 몰아치는 곳인 동시에 뜻밖의 수확이 가능한 곳’, ‘몸을 숨기는 은신처’, ‘한반도를 표상하는 제유’ 등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 KCI등재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 거버넌스 변동 연구

        김창수 한국거버넌스학회 202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30 No.3

        This paper introduced the water governance model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based on OECD multi-level governance framework and then analysed key co-ordination gaps of the restoration project around NRE(Nakdong River Estuary). Main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Multi-level different related actors at national and regional level were accountable for the sustainable river estuary, and participated many ways. The committee of NRE restoration based on over 60 environmental NGOs since July 2012 has served as the leader of the network and coordinator for local residents, local governments, and central governments. It was necessary to network geographical areas for overcoming administrative gaps of multi-level NRE restoration governanc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ere successful for overcoming information gap for the help of the liaison of Nakdong River Estuary Integrated Operation Center. Environmental NGOs as policy entrepreneurs have worked for overcoming capacity gap connecting government to civil society enhancing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Monitoring cost, compensation cost for farmers, and drinking water intake site transference cost etc. were incrementally overcome. The 20th National Assembly had tried to fail in legislating Estuarine Restoration Act because of sectionalism. So I suggest that building good multi-level estuarine governance could enhance the socio-institutional capacity of coordination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all relevant stakeholders overcoming key co-ordination gaps. 이 연구에서는 OECD의 거버넌스 격차분석틀을 활용하여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을 둘러싼 거버넌스의 변동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9년 이후 낙동강하굿둑 개방 실험 과정에서 투명성이 보장되는 가운데 농민과 어민을 포함한 다양한 수준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였다. 2016년 등록한 낙동강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수준의 민관협의체가 지속되면서 목표격차를 좁혀 가고 있었다. 낙동강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낙동강하구 환경관리 실무협의회, 낙동강하구통합운영센터가 관리격차를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부터 하구통합운영센터를 운영하여 염분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게 되면서 정보격차가 해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창립 때부터 복원 운동을 맡고 있던 환경단체 활동가들이 시민과학의 수준을 제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환경부 예산확보 등으로 모든 거버넌스 격차가 해소될 수 있도록 강력한 상호작용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 정책격차는 2017년 문재인대통령 공약,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국가물관리계획 반영,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승인이 이루어지면서 대폭 완화되었다. 전략적으로 21대 국회에서 낙동강하구복원관리법(안)을 먼저 처리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3대강의 하구복원관리법(안)을 처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 KCI등재

        낙동강 하류의 유사특성과 낙동강하구둑 준설효과에 관한 수치모의 연구

        지운(Ji Un),Julien Pierre Y.,박상길(Park Sangkil),김병달(Kim Byungdal)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4B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NREB) was constructed in 1987 to prevent saltwater intrusion and to provide the sustainable water supply in the upstream channel. Sediment dredging has been conducted to eliminate deposited sediments in the approached upstream channel of the NREB. Fluvial changes and sedimentation problems have been continued due to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in the watershed as well as construction of the NREB. However, the sufficient field monitoring and researches for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bed changes have not been performed after construction of the NREB. Therefore, bed elevation changes and seasonal sedim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were analyzed using the quasi-steady state model with historical field data in this study. The water surface elevation changes with and without sediment dredging operat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developed quasi-steady state model and finally the sediment dredging effects were evaluated. 낙동강하구둑은 하구둑 상류로의 염수침입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1987년에 건설되었으며 이후 매년 하구둑 상류 접근수로에 퇴적되는 유사를 제거하기 위해 준설 작업이 수행되어져 왔다. 준설작업뿐만 아니라 산업 및 주거시설의 개발사업 등의 하천 환경 변화로 인해 하구둑 상류에서의 유사 이송 및 하상 특성은 꾸준히 변화되어 왔으나 하구둑이 건설된 이 후 유사이송 및 하상변동에 대한 현장 모니터링 및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낙동강 하류의 대상구간에 대해 현장 측정 자료 및 과거 자료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낙동강하류에서의 하상변동 및 계절별 유사농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검증된 기초자료들과 준정상류 모형을 이용하여 하구둑 상류에 시행되고 있는 준설작업의 수행 여부에 따른 홍수 발생시 수위 변화에 대해서 수치모의를 실시함으로써 낙동강하구둑에서의 준설효과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분포현황

        유재평,강정훈,진선덕,백인환,함규황,백운기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1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낙동강하구에서 관찰된 천연기념물 조류는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제326호), 원앙(Aix galericulata; 제327호), 고니(Cygnus columbianus; 제201-1호), 큰고니(Cygnus cygnus; 제201-2호), 저어새(Platalea minor; 제205-1호),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제205-2호),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제243-4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제323-6호),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제323-8호), 개리(Anser cygnoides; 제325-1호) 등 총 11종 2,209개체였다. 특히, 국내 철새도래지 중 2,000개체 이상의 큰고니(Cygnus cygnus)가 월동하는 곳은 낙동강하구가 유일하다. 을숙도와 명지 갯벌 및 사구주변의 간석지(명금머리, 백합등, 도요등, 장자도 등)는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개리 등 천연기념물 조류의 주요 서식지이며, 세모고랭이(Scirpus triqueter),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의 수생식물군락은 큰고니를 비롯한 오리류의 채식 및 휴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의 서식지 및 천연기념물 조류의 보호와 관리 방안으로 수질오염의 최소화, 수생식물의 서식지 조성 및 관리, 사구 및 갯벌의 보호, 안정적인 서식지 확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Summary Among Natural monument birds, a total of 11 species and 2,209 individuals were found in Nakdong river estuary from March 2007 to February 2008 including Eurasian Oystereacher (Haematopus ostralegus; No. 326), Mandarin Duck (Aix galericulata; No.327), Tundra Swan (Cygnus columbianus; No.201-1), Whooper Swan (Cygnus cygnus; No.201-2), Black-faced Spoonbilll (Platalea minor; No.205-1), Eurasian Spoonbill (Platalea leucorodia; No.205-2), Steller's Sea Eagle (Haliaeetus pelagicus; No.243-3),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No.243-4), Hen Harrier (Circus cyaneus; No.323-6),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No.323-8) and Swan Goose (Anser cygnoides; No.325-1). Among the habitats for migratory birds in Korea,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the only place where more than 2,000 individuals of Whooper Swan(Cygnus cygnus) spend winter. Uelsukdo, Myeongji Flat and neighboring tidal flats (Myeongguemmeori, Baikhapdeong, Doyodeung, Jangjado, etc.) are major habitats for natural monument birds such as Eurasian Spoonbill(Platalea leucorodia), Whooper Swan(Cygnus cygnus) and Swan Goose(Anser cygnoides). A colony of aquatic plants such as Common Bulrush(Scirpus triqueter) and Common Reed(Phragmites communis) serves as a feeding and resting place for birds in the Anatidae family including ducks, swans and geese. Plans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habitats and the natural monument birds in Nakdong river estuary are as follows: minimization of water contaminati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quatic plants habitats, protection of sandbanks, security of stable habitats, and consistent monitoring.

      • KCI등재

        낙동강하구역의 주민지원제도 개선방안

        孔羅景 한국해사법학회 2010 해사법연구 Vol.22 No.2

        낙동강하구에 5개나 지정되어 있는 이들 각종 보전 법에서의 생활규제는 다른 환경관련 보전 법령과 거의 별 다를 바 없이 규제를 하고 있으나 자연환경보전법을 제외하고는 주민들에 대한 지원이 거의 없다. 낙동강하구는 동양최고의 철새도래지로 반드시 보전되어야 할 자연환경인데, 이곳의 관리는 정부나 환경단체 등 일부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며, 반드시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한 관리가 우선되어야만 제대로 된 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대치의 현실적인 충족을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이 자연환경을 솔선해서 관리하고 지켜나가게 하기 위한 지역주민들을 위한 제도적 배려가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낙동강하구의 람사르습지로 등록이 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생태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낙동강하구 근처의 논 습지를 습지보전법상의 습지(인공습지)로 등록하여 보전의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며, 셋째, 5개 법령에서 규제하는 규제만큼의 주민인센티브에 대해서도 명시적인 지원조문을 두어 이들 주민들의 생활불편을 해소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이들 주민들에게 정책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며, 지원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당해지역 또는 주민이 희망하는 사업을 반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are five conservation acts. The regulations on these acts do not differ much from other environment-related conservation acts, but there hardly found any support for local residents aside from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As the best habitate for migratory birds in Asia,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is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has to be definitely preserved. However, since hard works of the government and environmental groups are inadequate to manage the area properly,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s believed to be urgent. To meet such expectations in the real field,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consideration for the local people first that makes them volunteer for the preserv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immediately needs to be registered as Ramsar wetlands site. Second, since the flooded agricultural land, near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are valuable from the aspect of the ecology, how to preserve the area will be determined by registering the sites as the wetlands (artificial wetlands) of the Wetlands Conservation Law. Third, to solve the local people's living inconveniences, there has to be an explicit support provision for the residents' incentives according to the five laws. Lastly, policy support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residents. When it comes to starting the support business, it is for sure important to reflect the ideas of the related area and inhabitants. But, what is more appropriate here is to get started with the business which consistently offers practical benefits.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의 홍수기 방류에 의한 수로별 유속 잔차 및 염분 분포

        송진일(Song, Jin Il),윤병일(Yoon, Byung Il),김종욱(Kim, Jong-Wook),임채욱(Lim, Chae Wook),우승범(Woo, Seung-Buh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6 No.3

        낙동강 하구역은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담수는 갑문 개폐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방출되고 해수유입은 하구둑에 의해 억제되어왔다. 이로 인해 인위적인 수문 개방에 의한 해수와 담수의 수렴 및 혼합은 낙동강 하구역의 해수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기 방류 중 낙동강 하구역의 수로별 유동 환경과 하구 흐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속 및 염분 관측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형적 특징 및 방류의 영향에 의해 수로별 유속 및 염분 분포 특징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역의 홍수기 방류에 의한 영향은 각 수로별 잔차유속 및 염분 수직분포에 다르게 작용하며, 지형적 특징은 염분침투 범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염의 물이 정체되는 구간이 존재한다. After building the dyke in Nakdong River Estuary, mixing of freshwater inflow to ocean and seawater to upstream is controlled by operating the sluice gates. Mixing and convergence of seawater and freshwater by opening the sluice gates, have a major impact on the circulation of seawate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Fiel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tuary flow and environment of each channel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Vertical salinity distribution and residual current is different from each channel by the river discharge and topographic changes.

      • 부산-김해 강우조건이 낙동강 유역 하구둑 실방류량에 미치는 영향

        윤한삼,윤창호,유창일,박정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방류 특성 분석시 정도 높은 기상 자료를 선정할 목적으로 부산과 김해간의 기상자료(강우량 등) 와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을 상관 비교하였다. Tank model을 통해 부산 및 김해의 강우량/증발량 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유출량을 산출 하고 낙동강 하구둑의 실제 방류량 자료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부산의 강수량과 평균 운량이 김해 지역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마찮가 지로 부산의 강수량을 사용한 추정하천유출량이 김해의 강수량을 사용한 추정하천유출량보다 다소 컸다. 이상의 결과는 낙동강 유역의 하천유량을 산정함에 있어 기존 부산의 기상자료를 사용할 경우 산정되어진 하천유출량은 실제 김해지역의 결과보다 과대평가될 소지 가 있음을 의미한다. To obtain more accurate meteorological data for analyzing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ase barrage discharge observed during the 13-year period from 1996 to 2008 and calculated the differences using meteorological data for the Busan and Gimhae weather stations. The river discharge estimated using a tank model was compared to the real river barrage discharge. We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charge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that affected the estuary water environm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total annual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basin) for the 13 years was 272,653.3 × 106 m3. The largest monthly mean release discharge occurred in July at 73,212.9 × 106 m3 (26.9% for the year), followed by August and September in that order with 22.0% and 18.9%, respectively.

      • KCI등재

        낙동강 유역의 토양유실량과 하구지형의 상관성 분석

        황창수(Hwang Chang Su),김경탁(Kim Kyung Tag),오치영(Oh Che Young),진청길(Jin Cheong Gil),최철웅(Choi Chul U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3

        다양한 공간정보와 GIS의 발달로 인해 자연현상의 해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1995~2005년 간 낙동강유역의 토양유실량 산출과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낙동강하구 지형변화 탐지” 연구에서 산출한 하구역 해안섬의 면적변화 산출결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토양유실량 산정은 국내에서 주로사용되는 USLE의 수정된 형태인 Revised-USLE 모델을 이용하고, 토양유실량 산정시 해안섬의 면적과 비교를 위해 강우침식인자는 사용된 위성영상의 관측일로부터 1년 이전의 기간동안 전국 관측소에서 관측된 실측값을 이용하였다. 산출한 토양유실량과 해안섬 면적변화의 상관계수는 진우도 0.57, 신자도 0.7, 도요등 0.87로 낙동강의 주된 수로가 흐르는 도요등의 영향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와 인자별 특성파악을 통한 USLE 연구가 실제적으로 자연 현상을 파악함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The development of various spatial information and GIS has led to the research on interpretation of natural phenomena and correlational studies.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round Nakdong River area during the period of 1955 to 2005 and the amount of area change in the islets at the estuary terrain calculated in the study "Change Detection at the Nakdong Estuary Delta using Satellite Image and GIS". For the calculation of RUSLE, The 'Revised-USLE' model, a modified USLE model commonly used in Korea was used. For the rainfall erosion factor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area of islets, the actual observation data for one year before the observation of satellite image from all observatories across Korea was u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USLE and area change of islets was 0.57 for Jinwoo Islet; 0.7 for Sinja Islet; 0.87 for Doyodeung. Th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great influence from Doyodeung where the main water way of Nakdong River ru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y using USLE for various fields and through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is useful to understand natural phenomenon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