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고영화(Ko, Young-Hwa)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3

        대학평생교육이 평생교육의 중요한 학문적 영역으로 심도있게 다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의 명확한 분석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제를 적용하여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조사를 실시한 후,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제에 따른 분류를 실시함으로써 대학특성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대학평생교육의 특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조사, 분류, 분석이라는 세 가지 단계를 거쳤다. 조사는 임의표집으로 선정된 총 138개 대학에서 프로그램 요소와 대학특성변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류는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표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은 대학특성변인과 프로그램 개설정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범주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평생교육은 직업능력교육 프로그램과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 개설정 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의 특성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이 대학 특성변인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대학은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되었고, 그 특성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이상의 결과를 통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가 평생교육기관의 특성을 구명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It is an important to suggesting the academic discussion about the analysis of the kind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about opening orientation degree of them in order to dealing deeply wit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as a academic domain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ing orientation degree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an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opening program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by investigating and classifying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Korean lifelong education program. Research methods include investigatio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vestigation was random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lected 138 universities by variable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program factors. Classification was implemented by applying Korean lifelong learning program classification scheme. Analysis applied the selected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Categorical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of program about classification result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som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had most high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toward Vocat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and Schooling Complementary Education program.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ird, it was tested that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influenced by variable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Fourth, universities were divided into 4 clusters according to open setting ori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some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Fifth, based on above findings, it was identified that lifelong learning program classification can play an important function of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 KCI등재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제 개발 연구

        김진화(Kim, Jin-Hwa),고영화(Ko, Young-Hwa),권재현(Kwon, Jae-Hyun),정민주(Jeong, Min-Ju)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수없이 많은 평생교육 프로그램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것을 학습자들에게 상담하고 컨설팅하기 위해 한국적 상황과 맥락에 적합한 평생교육의 프로그램 분류체제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귀납적인 연구논리에 의해 전국적으로 3,002개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평생교육진흥원과 평생학습도시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프로그램 분류는 2008년과 2009년 평생교육진흥원이 지원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11명의 평생교육실무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6진 분류체제가 개발되었으며, 이것은 한국적 평생교육 6대 영역과 연계시켜 18개의 분류체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국가적 차원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객관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하는 유용한 준거로 활용이 가능하며,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계량적 통계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둘째, 일반시민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체계성과 연계성을 갖춘 평생학습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The academic taxonomy of lifelong education has been concerned with program classification because lifelong education program rapidly extend into other social secto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korean lifelong education program classification scheme which is appropriate for korean contextual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lifelong learners by managing systematically the disorder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inductive research logic approach which it draw researching findings from practical realities. The collec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as 3,002 and they were investigated from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and lifelong learning city in Korea. The collected programs were directly classified by 11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korean six mode classification schem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it compose of 18 sub-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ix sector(literacy education, schooling certificate and complementary education, vocation and workforce education, art and culture education, humanities general education,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Second, the five selected implications is suggested in terms of investigating statistic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counseling information for potential learners, construc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 contents,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utilizing program certificate of lifelong learning account.

      • KCI등재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만족도가평생학습 태도와 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박성은,고주은,주민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만족도가평생학습 태도와 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박 성 은*ㆍ고 주 은**ㆍ주 민 호*** 연구 목적: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향후 평생학습 태도와 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경험 여부에 따른 평생학습 태도와 지속의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비교과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총 290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평생학습 태도와 지속의향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설정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동기와 만족도는 모두 유의미하고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평생학습의 참여도 제고 관점에서 대학생들에게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평생학습의 긍정적 인식을 키워 향후 평생학습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비교과 프로그램,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동기,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평생학습 태도, 평생학습 지속의향 □ 접수일: 2022년 9월 1일, 수정일: 2022년 9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석사과정(First Author, Master’s Course, Korea Univ., Email: tjddms0501@korea.ac.kr)** 공동저자, 건국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선임연구원(Co-author, Researcher, Konkuk Univ., Email: kohjueun94@konkuk.ac.kr)*** 교신저자,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onkuk Univ., Email: minhojoo@konkuk.ac.kr)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and Satisfac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on Lifelong Learning Attitudes and PersistenceSeongeun Park, Jueun Go, & Minho Jo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on their future lifelong learning attitudes and persistence,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lifelong learning attitudes and persistence intention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in extracurricular programs. Through this, we tried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positiv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Seoul, where extracurricular program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on thei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extracurricular program, attitude and persistence to lifelong learning. A total of 290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both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hich were set as variables to explain lifelong learning attitude and persistence,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Also, in the comparison of non-experienced and experienced students, lifelong learning attitude and future lifelong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showed a relatively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of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extracurricular program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it is necessary to raise positive perceptions through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in university students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in the future. Key Words: Extracurricular Program, Motiv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Satisfac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Lifelong Learning Attitude, Learning Persistence in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급과 유형 분석 - 2010년 평생교육통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

        양은아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예술경영연구 Vol.0 No.22

        This study analyzed the Annual Lifelong Education National Survey data 2008-2010 to select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nd review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provided by adult no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Here,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in this paper is defined as an education program that teaches and cultivates the capabilities of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related with cultural arts. In this paper, I conducted three key analyses: (1) the typologies of the provision institutions of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of the programs that are provided were theoretically invented and verified, (2) the proportion of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mong all in 2008-2010 were sorted out, which were about 40,122 in total, and finally (3) the 40,122 programs were re-classified and re-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ypology that I’ve invented. In addition, I analyzed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exclusively to reveal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mong the others in the whol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market. As a result, by and large,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were the most dominant categor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lassified under lifelong education law, which were mostly initiated by the three leading institutions, such as profit-oriented culture centers, public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university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mostly focused on some types of programs, such as “art skill improvement programs” and “everyday-life culture programs”. What I found in addition was that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ory-based expert training programs were scarce but definitely required to stimulate the evolutionary progress of the whole ecology of cultural art education in supply and demand contexts. 이 연구는 평생교육통계조사자료에 기반하여 평생교육 맥락에서 공급되는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공급주체와 프로그램 유형에 관한 분류체계를 설정하였으며, 2008∼2010년 평생교육시설을 통해 공급된 프로그램 가운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공급지형과 양상을 파악한 후, 실제적으로 2010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데이터 40,122개를 분류체계에 적용해 그 패턴과 유형을 재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법령 이외의 문화기반시설에 대해서도 대표적 사례가 되는 미술관 프로그램을 추가 분석함으로써 평생교육법령 시설과의 차별성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평생교육 영역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프로그램이 제공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사업장 부설 시설, 평생학습관, 대학(원) 부설 기관이 그 공급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급패턴은 문화예술향상 프로그램, 생활문화예술 프로그램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아카데미형 강좌 프로그램은 그 개설기반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볼 때 프로그램 간의 차별화된 전략이나 대상에 따른 특화된 접근, 심화학습을 매개하는 장치 등이 빈약해서 상호 연결망이 부재하고, 장기적인 학습의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 는 체계적인 구조는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대표적인 문화기반시설인 미술관에서는 계속전문교육으로서의 전문가 양성·연수 프로그램, 아카데미형 강좌 프로그램, 전시연계 프로그램들이 활성화되어 있었고, 다양한 장르를 연결하는 새로운 융합영역들도 시도되고 있었다. 그러나 시설 수가 많지 않고, 시설 간의 편차도 심하며, 아직까지 평생교육시설에 비해 파급력과 인지도가 낮았다.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역량을 보강해야 하는 평생교육전담시설과 상대적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반이 부족한 문화기반시설 간의 상호 연계구조를 통해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비전과 모델을 발전적으로 공조해나가야 한다.

      • KCI등재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동향의 분류와 지식구조의 탐색

        김진화(Kim Jin Hwa),신다은(Shin Da E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동향의 분석을 통해 분류체제의 형성과 객관적인 지식구조의 이해를 위해서 탐색-분류-유형화-분류체제의 원리를 적용하여 다음의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문적 위치와 비중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의 동향을 탐색하였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류체제의 형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연구주제를 거시적으로 분류하고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객관적인 지식구조를 명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연구영역 및 주제에 대한 동향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생교육학의 하위 학문영역으로서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야의 관련 연구의 현황과 실태는 124편 논문과 5.08% 비율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주제는 프로그램전문가, 프로그램개발과정, 프로그램분류, 프로그램 내용 및 성격, 프로그램 원리 및 이론 등 5개 영역의 연구동향이 확인되었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상세한 분류체제의 8개 영역에 대한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과 실태가 시기별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국내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야의 학문적 위치와 비중을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로서 가치가 있고,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성장을 위한 이론 및 분류체제, 지식구조를 형성하는데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ademical knowledge structure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classification and taxonomy of research trend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exploration-classification-typology-taxonomy and abductive reasoning approac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the academic locus and focu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lassify knowledge taxonom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discuss on the knowledge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s a sub academic area of the lifelong learning, was revealed to have 124 dissertations at 5.08%. Second, for the research subject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ive areas of research trends such as program expert, development process, classificatio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 and theory were identified. Third, the trends and status of eight research subjects on detailed taxonom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ere investigated by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had significance as empirical grounds that show academic status and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lso, it has value in that the study can pave the foundation for creating theory and taxonomy for the academic identity and growth of the lifelong learning science.

      • KCI등재

        지역사회 중심의 평생교육 실천 모형 ― 평창군 사례중심으로 ―

        신영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4 No.-

        The study represents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at applied cultural ethnography technique to build community-oriented lifelong education model based on education program contents after the designation of Pyeongchang-gun(county) of Gangwon Province as lifelong learning city. Thus, this study involved in-depth interview with the consent of concerned experts in connection with the procedures and contents of programs after the design and designation of lifelong learning city. To sum up, this study focused on increasing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efficiency through systematic operation and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hich had been implemented sporadically after designation of lifelong learning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ublic lifelong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various systems based on organizations, lecture fields, audience, and regions while the private-sector lifelong education placed primary focus on the residents' desire for education, special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future-oriented programs. Moreover, it was found that many differen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 various types were provided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such as rural community-oriented lifelong education, entertainment-oriented lifelong education, culture and religion-oriented lifelong education, welfare-oriented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ecology-oriented lifelong education, and lifetime-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Based on aforesaid detail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can be presented:First,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formalize the contact and cooperation system of public lifelong education and private-sector lifelong education after the designation of lifelong learning city and to exclude the duplicated programs.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proceed with specialization of voluntary service learning programs to ensure effective operations of the Winter Olympic Games and make sure systematic education and management of such programs for each region and professional field. Third,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continuously in order to build the community-oriented lifelong education city model even after the end of Winter Olympic Games.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의 평생학습 도시 선정 후 교육프로그램 내용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평생교육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문화기술지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된 현상학적인 질적 연구 논문이다. 그러므로 평생학습 선정 설계와 선정 후 프로그램 진행, 프로그램 내용들을 관계 전문가들의 동의를 얻어 심층적 면접을 통하여 연구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평생학습 도시 선정 후 기존에 산발적으로 실시되었던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관리하여 재정적, 행정적, 효율성을 높이는데 주력했다. 그리고 공공평생교육은 기관별, 강좌분야별, 대상자별, 지역별로 체계로 분류하여 운영했고, 민간평생교육은 주민의 교육욕구와 지역의 특수성, 미래지향적 프로그램에 역점을 두고 실시한 것을 발견했다. 또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농촌중심형 평생교육, 오락중심형 평생교육, 문화종교형 평생교육, 복지중심형 평생교육, 환경생태형 평생교육, 생애맞춤형 평생교육으로 실시되었음을 찾아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내용 중심으로 함의 및 재언 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평생학습 도시로 선정 된 후 공공평생교육과 민간중심의 평생교육의 접점(接點)과 협력체계를 공식화시키고, 중복프로그램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동계올림픽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자원봉사 학습프로그램을 전문화시키고 지역별, 전문분야별로 체계적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동계올림픽이 끝난 이후에도 지역사회중심의 평생학습 도시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지속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신구대학의 농업계열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환,김종우,한지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basic on program development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in agriculture. The detail objectives were to identify concept on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to inquire prospective job and qualification in agriculture, to analyze need and to establish direction on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in agriculture, and then to develop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in agriculture.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the concept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and college's function with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 situation of community, prospect job and qualification in agriculture. Als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surveys composed of 2 groups - Shin-gu college graduated and department of agriculture professor in all over the country college.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hemes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were agricultur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environmental leadership program, living horticultural program, art-flower design program, art grooming program, landscape architech technician program.2) There were set up proper period, cost, the number of persons, education method for the all program, etc.Based on the previous results, direction of program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in agriculture and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향성에 관한 연구

        김영종(Young Jong, Kim) 한국복지실천학회 2019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2017년 5월 30일 본격적으로 시행된 개정 「평생교육법」의 법률 및 시행령의 주요 내용과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개정된 「평생교육법」및 동법 시행령, 제4차 평생교육 진흥 기본계획에 대한 고찰과 국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현황에 대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장애인 평생교육관련 논문 및 학술지를 참고로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개정 평생교육법의 주요 내용은 국가법령센터를 활용하였고,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현황,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 장애인 복지관의 현황파악을 위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및 전망(김주영(2016),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김두영, 2013),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방안 연구(충청북도 평생교육지원단, 2016)등을 활용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운영 현황을 알아보고 발달장애인 평생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시에 있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세 곳의 운영현황을 기관설문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그 내용으로 프로그램 현황, 학습자의 현황과, 교사, 강사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와 2014년 특수교육 실태조사에서도 나타나듯이 발달장애성인이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이 문화예술 프로그램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한편 기초문해교육이나 직업능력향상교육도 제공받기를 원하는 욕구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관마다 문화예술교육이나 인문교양에 편중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것은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교육을 제공한다기 보다는 기관의 편의에 따른 공급의 경향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본 논고는 제4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의 실행이라는 모든 면에서 기본적인 토대를 만들고 틀을 구축해 나가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사안이 시급하고 많은 의견들이 제안되고 있는 가운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우선순위에 대해서 부족하나마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looking at the main contents of the Act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revised Life Education Act that took effect in earnest on May 30, 2017 and the status of the institution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o this end, the revised Life Education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the Fourth Basic Plan for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nd the Literature Survey on the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n Korea were conducted. In particular, the major contents of the revised Lifelong Education Act were us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Lifelong Education, the Status and Prospect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Kim Joo-young (2016),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Kim Doo-young, 2013), and the Research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North Chungcheong Provincial Government)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status of three development-impair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Seoul was identified through an institutional survey to find out the operation status of development-impair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impaired programs. It is true that the most favored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cultural and arts programs, as shown in the 2014 survey on the disabled and the 2014 survey on speci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is also a desire to receive basic literacy or vocational training. Nevertheless, each institution s provision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biased toward cultural and arts education or humanities education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it tends to be supplied at the agency s convenience rather than providing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learners. This thesis seeks to discuss whether there is a lack of priority in the operation of the development-impair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amid urgent issues and many suggestions at a critical time when the basic foundation of the Fourth Basic Plan for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needs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부산지역 인문학 프로그램 현황 연구- 2018~2022년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민정,박양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부산지역 평생교육기관에서 진행된 인문학 프로그램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핀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지난 5년간의 평생교육기관별 운영 프로그램 통계 가운데 ‘인문학 프로그램’으로 정의내릴 수 있는 강좌들을 선별하였다. 그 결과 지난 5년간 부산지역에서 진행된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가운데 인문학 프로그램은 1556개로 전체 프로그램 대비 약 4.3%에 해당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지역 인문학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지역 인문학 프로그램의 메이저 공급 기관은 평생학습관으로, 프로그램 수, 학습자 수, 재정지원 비중도 평생학습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행정구역별로는 부산진구가 전체 인문학 프로그램 중 가장 많은 263개(16.89%)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강서구는 10개(0.64%)로 가장 적은 프로그램을 공급하였다. 이러한 지역적 편차는 행정구역별 평생교육기관 수에서 기인한 것이다. 내용상으로는, 정형화된 내용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연도별, 기관별로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매해 동일한 인문학 프로그램이 동일한 평생교육기관에서 반복되거나 동일한 프로그램이 각기 다른 평생교육기관에서 진행되기도 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인문학 프로그램만의 현상은 아니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양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평생교육 전문가 부족과 지속적인 관리의 어려움 등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한편으로는 참신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도 있었다. 특히 청소년과 어린이 및 노년을 수요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일반 성인 대상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내용을 보였다. 또, 문화예술, 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과 융합한 형태의 인문학 프로그램이나 다문화나 코로나 등 사회적 이슈에 대응하고자 하는 프로그램들도 다수 등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과 연계하여 부산지역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인문학 프로그램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humanities programs operated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from 2018 to 2022 precisely. Based on the statistics of programs operated at each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five years, this researcher selected the courses that could be defined as ‘humanities programs’ and analyzed the status of operation and content characteristics. As a result, amo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programs conducted in Busan over the past five years, 1,556 humanities programs accounted for about 4.3% of the total programs. The major suppliers of humanities programs in Busan are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it has been found that lifelong learning centers indicate the highest values in the number of programs and learners and financial support, too. Concerning administrative districts, Busanjin-gu provided 263 humanities programs (16.89%) which were the most, and Gangseo-gu supplied 10 programs (0.64%) which were the fewest. This regional deviation is attributed to the number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each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dults were the main target of demand for the humanities programs operated in Busan, but programs for children and teens formed large parts. About contents, it has been found that humanities programs based on standardized contents are repeated each year and in each of the institutions. Of course, this phenomenon is not unique to humanities programs, but can be said to be the overall aspec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In particular, the lack of lifelong education experts and lack of continuous management can be attributed. Meanwhile, there are also efforts to develop new and diverse programs. First, there are humanities programs that integrate stud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culture and arts, science, and medicine. Also, there is a movement to respond to social issues, for instance, multiculturalism or COVID-19. Lastly, we can also find a number of humanities programs associated with the region so as to find the identity of the Busan area.

      • KCI등재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및 요구 분석 : 장애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조창빈,김두영,이상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1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on the situ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the operation of futur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for the disabled adults using the nationwid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adults. For the research, 390 disabled adults having the experience of using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supplied by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were selected an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showed that most of them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of 'instructor lecture' in the form of educatio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the program participating organization and "academic ability supplementation education" i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for scope of program. In addition, the main objectives of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program was "euphoria" and most of responses to the degree of achievement were "very helpful".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mand for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adults showed that most of them showed that they "want to participate" in terms of the intention of participating in the futur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preferred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 and most of them wanted to participated in the "culture-art education". Next, for the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most of them wanted "expansion of support in budge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some methods of activating the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전국의 장애인복지관 이용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 실태와 향후 참여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장애성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장애인복지관에서 공급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있는 장애성인 39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를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경험은 ‘강사강좌’가 가장 많았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관은 ‘장애인복지관’이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영역별 참여 개수는 ‘학력보완교육’이 가장 많았다. 또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목적은 ‘행복감’이 가장 우선순위였고, 이에 대한 달성정도는 ‘매우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향후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사는 ‘참여하고 싶다.’가 가장 높았으며, 참여 희망기관은 ‘장애인복지관’을 가장 선호하였고, 참여희망 영역은 ‘문화예술교육’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예산 지원 확대’를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