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초등 생명과학 내용 및 북한 소학교 3, 5학년 생명과학 단원 분석

        신원섭 ( Won-sub Shin ),신동훈 ( Dong-hoon Shin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1 생물교육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lementary life science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life science units in the 3rd and 5th grades of primary schools in North Korea. The subject of life science education contents are the North Korea's 2013 1st universal 12-year curriculum and South Korea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Life science units of the 3rd and 5th grade of North Korea primary schools compared them with the 2015 revised science textbook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elementary life science education in the two Koreas differed in the scope and level of content by grade. Second, in the same elementary life science field, North Korea has more pages than South Korea, but South Korea has more average syllables than North Korea. Third, the number and type of illustrations differed between the two Koreas depending on the field of life science. Fourth, in life science, both South and North Korea were highly dependent on photographic illustrations. In addition, North Korea often used decorative and exemplary functions rather than explanatory and supplementary functions. Fifth, the number of exploration activities between the two Koreas was similar, and the level of exploration activities between the two Korea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eld or content of life science. Sixth,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life science, and both the two Koreas were applying various forms of inquiry activities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희영,나정숙,최현희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ies on the recognition of life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 kindergartens in K – metropolitan city, H kindergarten. The subjects were 50 life science student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4 daily activities twice a wee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 esteem perceptions of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life scienc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 children.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 life science concept of experimental group children changed more positively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s because life science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a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children's respect for life and the concept of life science. Life science activiti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recognizing life respect of infants and promoting the concept of life science. 본 연구는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광역시 H유치원 만5세 50명으로 실험집단에는 생명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생활주제에 따른 일반적 과학 활동을 매주 2회, 총14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과학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생명존중인식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더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후 실험집단 유아들의 생명과학개념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향상되었다. 이는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힘과 동시에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과 생명과학개념 증진에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역량 변화 방향 제언

        이승규(Seung-kyu Yi),용태석(Tae-seok Yong),김진경(Jink-y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고에서는 OECD의 더 나은 삶 지표(Better Life Index, 이하 BLI)와 COSTII를 이용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 관점에서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에 활용되는 정도가 OECD 34개국 중 최하위였다. 과학기술혁신역량을 구성하는 5개 부문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가 환경>성과>네트워크>활동>자원 순으로 높았지만 한국의 역량 수준은 OECD 34개국 중 역량별 순위가 활동>자원>성과>네트워크>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의 첫 번째 변화 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균형적 포트폴리오 확보라고 할 수 있다. 혁신성장과 삶의 질 향상의 균형 있는 추진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자원, 활동 부문 역량 중심에서 탈피하여 환경, 성과, 네트워크 부문의 역량의 향상이 필요하다. 특히 지원제도, 문화, 다양한 협력 역량 등의 강화가 시급하다. 본고에서는 국민수요조사와 해외동향을 바탕으로 세부역량 강화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두 번째 변화 방향은 변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포트폴리오의 전문적 관리와 활용 기반 마련이다. 혁신역량의 모니터링과 관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는 시스템을 구축해가야 한다. 그 출발은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에 특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관리 체계와 전담 조직 운영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가칭)과학기술기반사회혁신지수’ 등의 개발, ‘사회문제과학기술정책센터’ 운영 등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세 번째 변화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사회적 활용 극대화를 위해 사회와의 소통과 연계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국민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은 과학기술만의 힘으로 어려울 수 있다. 정부연구개발비 총액의 증가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재정투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삶의 질과 관련성이 높은 재정이나 시민사회 분야와 같은 사회혁신역량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의 환경 부문 역량의 연계 방안은 국민 삶 향상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지역문제, 사회적경제, ODA 등 다양한 분야 사회정책과의 연계도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show that Korea "s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has weak structure in terms of quality of life by using OECD" s Better Life Index (BLI) and COSTII. As a result,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as the lowest among the 34 OECD countri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e 5 sectors that co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ere ranked in order of environment>performance>network>activity>resource, but Korea"s competency level was ranked in order of activity>resource>performance>network>environment among 34 OECD countries. Therefore, the first change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s securing a balanced portfolio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In order to achieve balanced growth of innovation growth and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etencies of environment, performance and network sector by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capacity of resources and activities.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strengthen support systems, culture, and various cooperation capabilities. In this paper, based on national demand research and overseas trends, we suggested ways to strengthen detailed capacity. The second direction of change is professional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hanged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portfolio. Based on th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novation capabilities, we should build a system that promotes effective policies and projects. The departure can be a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management specialized in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and a dedicated organization.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of "(tentative) science and technology-based social innovation index" and the operation of "Social Problem Science Technology Policy Center" are given as examples. The third direction i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linkage with society in order to maximize the social ut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of the people can be difficult due to the pow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e. In a situation where the increase in the total amount of government R & D expenditures is slowing, the efficiency of financial investment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should be raised. The linkage of social innovation capacity such as finance and civil society field with high quality of life and environmental capac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can bring synergy effect to improvement of people"s life. The linkage with social policy in various fields such as regional problem, social economy, ODA will be a way to strengthen the social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음악적 접근을 통한 창의적 생명과학활동이 유아의 생명과학개념, 과학적 태도와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남종희,김은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6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creative life science activities through musical approach on young children’s life science concepts, scientific attitudes and musical creativities. Subjects were 48 five-year-olds(24 in the experimental group; 24 in the comparison group) in P kindergart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reative life science activities through musical approach,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life science activities for 12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COVA using SPSS 20.0. The results show that creative life science activities through musical approach contribute significantly to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music creativities. Both activities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life science concep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ivities. The common life science activities would also help development of children’s life science concepts, however, creative life science activities through musical approac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not only on life science concepts, but also on development of scientific attitudes and musical creativities. These results proved the effects of integrated life science-music activities, and proposed ideas about integrated life science-music activities and creative activities for teachers. 본 연구는 음악적 접근을 통한 창의적 생명과학활동이 유아의 생명과학개념, 과학적 태도 및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P유치원 만 5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 24명, 총 48명이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실험집단에는 음악적 접근을 통한 창의적 생명과학활동을 적용하고, 비교집단에는 일반 생명과학활동을 훈련받은 담임교사가 12주 간 적용하였다.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검증, 공변량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활동은 특히 유아의 과학적 태도, 음악창의성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유아의 생명과학개념은 두 집단 모두 사후 점수가 향상되었지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 생명과학활동도 유아의 생명과학개념 발달을 도울 수 있지만, 음악적 접근의 창의적 생명과학활동은 생명과학개념 뿐 아니라 과학적 태도와 음악 창의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명과학과 음악의 통합교육활동의 효과를 실증하였으며, 교사들에게 생명과학과 음악의 통합활동과 창의적 활동의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생명과학활동이 유아의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시연(Ju, Si-yeon),김경숙(Kim, Kyeo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생명과학활동이 유아의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군에 위치한 S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8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18명)이었다. 실험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총 16회기 생명과학주제의 스토리를 듣고 생명과학적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스토리텔링 활동에 참여하였고 같은 기간 비교집단은 생명과학 관련 게임활동에 참여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동한 생명과학활동의 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활동 전·후에 두 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생명과학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에서 더 많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의 향상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생명과학활동이 활용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y utilizing storytelling on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and pro-life attitude. The subjects of study were 38 children aged 5 years. Testing tools used include a testing of a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tool produced by Kim Hee-young (2014) and a pro-life attitude testing tool modified, adapted and restructured by Kim Mi-sun (2016) based on The Children 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 produced by Musser and Diamond (1999).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on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program to verify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y utilizing storytelling on a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and pro-life attitud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As a result of verifying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y utilizing storytelling, the experimental group turned out to hav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both in the whole of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and its sub areas, such as characteristics and kind of life, structure and function of lif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ycle of life. Besides, the experimental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did in young children s pro-life attitude. The study results suggests that life science activity utilizing storytelling can improve a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and pro-life attitude the activity may be a meaningful method of continues to develop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중학교 과학3 및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유전 단원의 개념 수준 및 연계성 분석

        김현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7 현장과학교육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if the genetic units of the middle school Science3 and high school Life ScienceⅠtextbooks considered well enough the students’ concept level and if the vertical connectivity of the concept reflected properly the continuity and sequence requir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 chose three different textbooks that each publisher published both Science3 and Life ScienceⅠ. The genetic units were divided into the genetic principles and human heredity based on the two small units which were used in the curriculum of Science3 and Life ScienceⅠ. The concept of learning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level into concrete concepts and formal concepts, and the vertical connectivity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four factors: repetition, development, gap, redu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concepts is presented 51 in Science3 and 111 in Life ScienceⅠsubjects each. There are presented too many concepts in Science3 and Life ScienceⅠsubjects. The number of common concepts is presented 41 in Science3 and 75 in Life ScienceⅠsubjects each. Those are directly connect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ve requirement by the curriculum. For the concept level, the ratio of formal concept in Sciences3 subject was presented 48% in genetic principles and 22% in human heredity units each. That is, there was showed that the genetic principles unit was not considered well enough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The ratio of formal concept in Life SciencesⅠsubject was presented 47% in genetic principles and 28% in human heredity units each. there was showed that the genetic principles unit was properly considered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level. However, there was showed that human heredity unit was not properly considered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level. For the vertical connectivity, the ratio of connectivity factors in genetic principles unit was presented by repetition 62%, development 17%, gap 5%, reduction 6%, respectively. This result means that the connectivity in genetic principles un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learning sequence. In here, the concepts of gap were linkage related concepts dealing with at first in Life SciencesⅠsubject. And I think that the concepts of reduction, “dominant gene” and “recessive gene” require slight modification to “dominant allele” and “recessive allele” each for exact concept comprehension. The ratio of connectivity factors in human heredity unit was presented by repetition 42%, development 58%, respectively. There is need to lower the rate of repetition and raise the rate of development for the concrete concepts in human heredity unit. The connectivity for the formal concepts in human heredity units a certain degree properly mixed by connectivity factors in terms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중학교 과학3 및 고등학교 생명과학Ⅰ교과서의 유전 단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개념을 분석하여 교과별로 학습자의 인지수준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는지,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계속성과 계열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유전 단원을 다루고 있는 과학3 및 생명과학Ⅰ교과서를 모두 출판한 세 출판사의 것들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두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소단원인 유전의 원리와 사람의 유전 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과별 학습개념 분석은 개념 수를 조사한 다음, 개념 수준을 구체적 개념과 형식적 개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수직적 연계성을 반복, 발전, 격차, 축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과학3 교과의 유전 단원에 제시된 전체 통합개념 수는 총 51개였으며, 생명과학Ⅰ교과는 총 111개로 많은 수의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었다. 공통개념 수는 과학3 교과의 경우 총 41개, 생명과학Ⅰ 교과는 총 75개로 교육과정의 구성 요구에 따라 직접적으로 연계․심화되었다. 개념 수준은 과학3 교과의 경우, 형식적 개념의 비율이 유전의 원리 단원 48%, 사람의 유전 단원 22%로 나타나 유전의 원리 단원은 학생들의 인지 수준보다 높게 제시되었다. 생명과학Ⅰ 교과도 형식적 개념의 비율이 유전의 원리 단원 47%, 사람의 유전 단원 28%로 과학3 교과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사람의 유전 단원은 형식적 개념의 비율을 높이는 개념의 심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적 연계성은 유전의 원리 단원의 경우, 반복 62%, 발전 17%, 격차 15%, 축소 6%로 학습의 계열성 측면에서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격차 개념들은 생명과학Ⅰ에서 처음 다루고 있는 연관 관련 개념들이었으며, 축소 개념인 우성유전자’와 열성유전자’는 정확한 개념 이해를 위해 우성 대립유전자’와 ‘열성 대립유전자’로 수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의 유전 단원에서는 반복 42%, 발전 58%로 제시되어 생명과학Ⅰ에서 구체적 개념의 단순 반복 비율을 낮추고 발전 개념 비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식적 개념은 연계성 요소들이 어느 정도 적절히 배합된 결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생명과학과 인문학의 생명윤리정책에 관한 의사소통의 시론적 분석

        최준호,박기묵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人文硏究 Vol.- No.54

        Life science extends its domain transcending natural science to the field of health security, bioethics and morality based on remarkable performance in genetic modification, animal clone, stem cell and so on. As a result of that, life science has been risen in concern and the bioethics matters of animal clone and human clone has brought up big and heat controversies among scientists, ethicists and religious men. At this point, Korea is also under the circumstances of being risen pros and cons about bioethics and approving human clone and its hazard. With such discussion we can recognize that today's life science could be no more a part of natural science but a field of transcending natural science and having influence on the fields of ethics and philosophy. This study is focusing on life science's development and mutual interaction with human scienc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between life science and human science and the utilization of human science in life science and the role of human science in bioethics matters. 생명과학은 최근 유전자 조작, 동물복제, 줄기세포 등과 같은 연 구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면서 단순한 자연과학의 영역을 초월하여 국민의 안전문제, 생명윤리나 도덕 문제의 분야까지 확장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은 생명과학(공학)의 시대로 불릴 정도로 이 분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동물복제와 인간복제에 대한 생명윤리문제는 과학자, 윤리학자, 종교인들 사이에 커다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생명윤리와 인간복제의 허용 및 위험성 여부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오늘날의 생명과학은 인제 단순히 자연과학이라는 연구 분야를 초월하여 윤리 및 철학분야까지 미칠 수 있는 학문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명과학의 발전을 위한 인문학과의 의사소통의 필요성과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인문학의 활용, 생명윤리 문제에서의 인문학의 역할과 관련된 논의 등을 제시함으로써 생명과학의 발전과 인문학과의 상호연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및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적용된 농업생명과학 내용 비교 분석 및 평가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4 초등교육연구논총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과거 실과교육과정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내용 변화를 살펴보고, 농업생명과학 영역 내용은 세계적인 변화를 바르게 반영하고 있는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종국적으로 농업생명과학 영역 내용이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는지 평가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수행 결과 얻어진 결론은; 첫째,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내용은 ‘농업 생산 중심’ → ‘농업기술 경험 중심’ → ‘일상생활 기반 농산업에 대한 이해 중심’ → ‘지속가능발전으로서의 농업생명과학 이해’의 방향으로 개정이 이루어졌다. 둘째, 2022 개정 농업생명과학 내용은 실과교과의 모학문으로서의 농업생명과학을 반영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술학의 하위 내용으로 격하시켰다. 셋째, 2022 개정 농업생명과학 내용에 동식물 지원의 친환경 농업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 순환, 생활 속에서의 농업 활동의 관련성 및 농업 활동 체험, 그리고 농업․농촌의 다원적 역할 및 가치 등을 포함시켜 기존의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발전시키고 확정하였다. 넷째, 2022 개정 농업생명과학 내용은 농업문해의 모든 하위 영역의 내용을 고루 포함시켜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 비해 내용의 균형면에서 발전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an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contents in 2022 revised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historical changes, the reflection of world wide changes, the preparation for future society, and the proper constituent for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were revised with directionality of followings of ‘agricultural production-centered’ → ‘agricultural technique experience centered’ → ‘comprehension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as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 the status of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was reduced from the background study to the subordinate domain of the technology. Third, the existing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were further developeed and expanded due to the additional contents such as sustainable agricultural circulation based on eco-friendly agricultural resources, agricultural activities related to real life situation and its experiences, and the plural roles and value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Forth, the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in 2022 revised curriculum contain all subdomains of the agricultural literacy, so that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contents became well balanced aspects of the agricultural literacy compare to those in 2015 revised curriculum era.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성경적 토대 모색 : 생명의 학문으로서의 신학 -총론적 고찰

        전광식 ( Koang Sik Ch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0 생명과 말씀 Vol.2 No.-

        신학이란 그 본연에 있어 생명의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신학을 일종의 종교철학이나 이데올로기로 전락시키는 파행적이고 일탈적인 행위를 제외한다면 기본적으로 하나님의 계시인 성경에 정초시키는 작업이므로 그것은 생명의 학문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신학이 서 있는 성경이야말로 생명의 말씀이요. 그 말씀을 계시로 주신 주체가 바로 생명을 창조하시고 회복시키시는 생명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나아가 성경이 지향하고 추구하는 목표가 생명을 잃은 인류에게 생명의 길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구원의 길로 제시하는 것이고 그들을 이 영생요로 초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학의 신학다움은 이러한 생명의 복음을 그 중심에서 놓치지 않는데 있고, 이러한 생명의 지평을 가지고 제반논의를 전개하며 체계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러한 관점을 지니면서 본고에서는 도대체 신학적 작업에서 생명이라는 범주가 얼마나 중요하고 핵심적인지를 짚어보려고 한다. 짧은 지면에서 이러한 논의는 아무래도 성경해석과 구속사, 그리고 신학의 원리와 목적 등에 제한된 총론적이고 입문적인 논의일 수 밖에 없다. Theology is, in its original meaning, a science of life, because it is based fundamentally on the Holy Scriptures as the Word of life which has been revealed by living God. True theology is built with Gospel of life at which center Jesus Christ as Lord of Life stands. In this article, I try to show that life is a very important category of biblical interpretation as well as of theological systematization. Firstly, Life represents itself as a very significant horizon to interpret Holy Scriptures, Furthermore, there are various opinions advocated by theologians to what is the central theme of the Holy Scriptures. One says Jesus Christ, another Kingdom of God, the other Covenant, God`s design, God`s promise and God` love etc. However, life also is a central theme of the Holy Scriptures, The writings of the Bible can be defined as a long document about life. From Genesis to Revelation, the Bible speaks us about the created life, destructive and lost life, regained and restored life, and completed life. Secondly, life plays a role of the key term for building of the theological framework. The biblical paradigm of salvation history is Creation-Fall-Redemption. This paradigm shows the history of life: the three moments show respectively the creation, the destruction, and restoration of life. It must be mentioned in the history of life especially that the relationship with God is the essence of spiritual life. In addition to it, christian dogmas can be mostly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Thirdly, life serves as principle and aim of theology. Every theological system must be built on the foundation of two principles, namely Holy Spirit as principium cognoscendi internum and Holy Scriptures as principium cognoscendi externum, as Augustine and Calvin had suggested. Since the former is the Spirit of Life, and the latter the Word of Life, every theologies can be the theology of life through the principles. The aim of theology is to lead people to God and the eternal life. As Johann Gerhard said in his monumental book Loci theologici, the near purpose of it are fide vera(true faith) and vita pia(pious life), and the far purpose of it is vitam aeternam(eternal life). Theology is spiritual task and work of life prior to disciplinary task. Theologians must be scholars of life in their identities and missions.

      • 相補的 통합적 生命 인식

        조효남(Hyo-Nam Cho) 한국정신과학학회 2007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1 No.2

        오늘날 생명과학은 DNA 분자생물학과 신생물학을 포괄하면서 모든 첨단과학기술, 신물리/화학, 복잡성과학, 정보통신과학의 원리를 생명체의 생명현상의 기제를 밝히는 연구에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명에 대한 과학적 생명이론이나 사상은 다양한 과학적 생명패러다임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완전한 생명은 심리물리적 통합체일 뿐 아니라 동시에 정신영적 통합체로서 몸?氣?마음?혼?영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또 이것은 온수준의 온생명氣로 이해되어야 하고 그들 중에 어느 하나라도 빼놓고서는, 그리고 이들 사이의 상호연관적인 상호작용 측면의 올바른 이해가 없이는 생명에 대한 온전한 이해는 불가능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대를 대표하는 통합 사상가인 켄 윌버Ken Wilber의 온수준 all-level, 온상한all-quadrants, 온계통all-line의 AQAL 통합패러다임에 바탕을 두고 생명에 대한 통합방법론적 다원주의적(Integral Methodological Pluralism)전체적 시각을 회복하는 통합 생명패러다임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생명과학과 생명철학과 생명氣學의 생명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해석에 대한 통합적 접근뿐만 아니라 생명과학적 생명인식과 심층과학적/정신과학적 생명인식의 상보성과 함께 특히 동서양의 생명사상의 상보적 통합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생명에 대한 부분적 시각으로부터 진정한 전체 시각으로의 상보적 통합적 인식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앞으로 21세기에 생명이해와 인식에 대한 새지평을 여는 심층과학적이고 통합적인 생명패러다임의 정초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Nowadays, the life science encompassing DNA/molecular biology and new biology is applying the principles of all the high·tech science and technologies including physics and chemistry, complexity science, and tele-communication science to the studies of the investigation of mechanisms of life phenomenology. Accordingly, scientific theories or thoughts on life are emerging as various scientific life paradigms of this time. However, the integral life as psycho-physical synthesis as well as mental-spiritual synthesis must comprise the whole levels of body, subtle energy, mind, soul and spirit. Also, this must be understood as integral subtle energy of life, and it may be impossible to have integral understanding of life with missing any one of the whole levels of life and without comprehensive apprehension of the aspects of inter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them. In this study, an integral life paradigm that restores integral perspectives based on IMP(Integral Methodological Pluralism) is proposed based on the integral paradigm of AQAL-Matrix meta-theory (in terms of all-quadrants, all-levels, all-lines) of Ken Wilber who is one of the leading great thinkers of this time. By following the AQAL-IM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ry integration of the thoughts on life in the East and the West together with the complementarity of the scientific awareness and the deep scientific/spiritual scientific awareness of life as well as the integral approach on the variety of awareness and interpretation of life which may be viewed from life science, life philosophy or subtle energy theory of life, etc.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may be possible to restore complementary and integral awareness that converts partial perspectives on life to comprehensive whole perspectives on life. Moreover, in the coming era of 21st century, it may be expected that the foundation of the deep scientific integral life paradigm may come into reality, which may open a new horizon to th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