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그 경계를 허물다-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맹영일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8

        Recently,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has been rapidly growing. With increasing exports of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social interest regarding a wide variety of fields comprising the content business such as planning, making, and producing of content also are increa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ccompanied by this tre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ttempting to strengthen its academic status through the fusion work with various cultural content. Today, academic boundaries are becoming meaningles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This is becaus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being broken. First, the trend of the fusion pattern was identified by analyzing research papers on their fus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papers related 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rends. One is a study that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 throug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other is the study of works that mak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o cultural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ctive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through this. Of course, there are also problems that appear in their fusion. The things that are intended to be made into cultural content are focused on specific genres and works. To escape this situation, diversit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s required. There is also a tendency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 remain a simple source of cultural content. To resolve this problem, researcher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ust understand cultural conten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fu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th cultural content.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의 기획, 제작, 생산 등 콘텐츠산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고전문학도 마찬가지이다. 고전문학은 문화콘텐츠의 원천소스로서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고전문학도 다양한 문화콘텐츠와의 융합작업을 통해 고전문학의 학문적 위상을 강화하고자 한다.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는 학문적 경계가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는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융합 양상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관련 논문을 확인한 결과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고전문학을 통한 문화콘텐츠화의 가능성을 논의한 연구이다. 둘째는 고전문학을 문화콘텐츠화 한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고전문학이 원천소스로서 문화콘텐츠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는 나타나는 문제점도 있다. 문화콘텐츠화의 대상이 특정 장르와 작품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의 다양성이 더욱 요구된다. 또한 고전문학이 문화콘텐츠의 단순한 공급처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자들이 문화콘텐츠를 이해하고,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한문학 연구의 문명사적 검토

        沈浩澤(Shim Ho tae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8 No.-

        본고는 한국한문학 연구의 역사를 문명사적 관점에서 검토해 본 개략적인 글이다. 한국 한문학의 역사를 창작의 시대와 연구의 시대로 양대분했을 때 이는 문명사가 동아시아 중심 질서에서 서구 중심적 근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고 보고, 여기에 근거하여 한문학 연구시대의 역사를 다시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는 서구의 근대적 문학관에 한국적 國字 기준을 더하여 국문학의 개념을 정립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 한문학은 본격문학이 아닌 準國文學의 지위에 있었으며, 한문학 연구는 한학에 조예가 있는 학자들에 의해 漢文學史書 형태로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선정한 鄭萬朝의 朝鮮詩文變遷은 중화주의와 유교주의에 입각하였고, 金台俊의 朝鮮漢文學史 는 철저한 문학주의에 중화주의가 결합되었으며, 李家源의 韓國漢文學史 는 한 국한문학의 국문문학과의 대등의식, 중국문학과의 대등의식을 천명하였다. 제2기는 한문교육의 제도화와 한문학의 국문학 내적 위상 재인식을 토대로 하여 한문학 연구가 본격적 궤도에 오른 시기이다. 이 시기의 연구를 세경향으로 정리하였다. 하나는 서구의 문학주의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을 연구하고 평가하던 것이요, 다음은 중국문학과 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해하던 경향이었으며, 세 번째로 한문학사 연구에서 한국사회 지배세력 변천과정으로서의 역사학과 결부시키던 방법이었다. 이 중에서 서구 문학주의에 의한 접근이 비평론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음을 지적하였다. 제3기는 한국한문학을 포함한 어문학 전반의 경향이 문학주의로부터 탈피했던 시기이다. 문학주의의 탈피는 서구 중심적 질서, 근대적 가치체계로 부터의 벗어남이며 그 의미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다분히 문명사의 전환을 뜻한다고 하겠다. 탈근대 이후의 동아시아적 가치는 기존에 중국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나 본고는 동아시아 내에서 다시 한국 민족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 한문교육 제도화초기에 발의되었던 민족문화란 개념을 다시 끌어내었다. 여기서 한중 문화 관계, 民族과 文化의 관계를 중시하고 그 주어로서의 ‘民族’에 비중을 두어논함으로써 한국한문학 연구가 문명사를 넘어 정신사의 차원에 서야 함을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essay is a brief description of reviewing a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history-of-civilization’s perspective. If we divide the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to two parts, the creation-oriented era and the study-oriented era, we assume that it indicates the conversion from East-Asian-centric order to Eurocentric order. Based on this assumption, we can subdivide the history of the study-oriented era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when the notion of national literature became established through uniting Korean national alphabet criteria with Western modern literary views. Classical Korean literature was not considered to be in good standing at this time within the Korean literary field but instead in a “quasi status.”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had been mainly carried on by scholars who had profound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studies, and had produced related academic history books called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s the typical examples, Jung Manjo(鄭萬朝)’s The Transition of Joseon Literature(朝鮮詩文變遷) was grounded upon Sino-centrism and Confucian-centrism; Kim Taejun(金台俊)’s The History of Joseon Classical Literature(朝鮮漢文學史) combined Sino-centrism with thorough literary-centrism; Lee Gawon(李家源)’s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韓國漢文學史) accentuated that Classical Korean literature has equal status not only with Korean literature created in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with Chinese literature. The second period is when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me into it s own, along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a new understanding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s increasing internal status within the Korean literary field. The related studies during this period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tends to approach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Western literary-centric perspective; the second part has a tendency to approach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Chinese literary and Sinological perspective ; the third part integrates historical studies as a transitional process due to ruling groups in Korean society. From among these, the Western literary-centric approach has produced outstanding study results in literary criticism. The third period is when the overall language and literature field including Classical Korean literature broke away from literary-centrism. This extrication from literary-centrism signifies the extrication from Western-centric order or a modern value system. It can mean quite the transition of the aforementioned history-of-Civilization. We try to acknowledge Korean national value and to seek its potential for development while existing studies tend to discuss post-modern East Asian values from a Chinese-centric perspective. We dragged the notion of national culture out from the past again, which had been proposed at the early stage of institutionalization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 emphasized that, in the process of Korean-Chinese cultural relations and national(民 族)-cultural relations, we need to give weight to ‘nationality (民族)’ as a subject so that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n stand on its own from a spiritual historical study’s perspective, beyond the constraints of ‘history-of-Civilization.’

      • KCI등재후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고전문학교육 위상 정립을 위한 연구

        서유경 ( Seo Yu Ky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5 고전문학과 교육 Vol.9 No.-

        This paper aims that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must be settl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t means the present phase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not clear and express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so the gap is made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pot of the school education. For reforming the problem state of this gap, first of all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or this purpose, first, we searched and analyzed the statement concerned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grasped of the problem; character, object, contents. And it was researched that how the classical literature showed in the textbook for the secondary school. As a result of this approach, it is found that there are no clear statement in relation to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t can be supposed the reason of this aspect is the abstract statement of the curriculum, without present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item of the content category can be integrated, and so on.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 how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That is, why we should teach the classical literature, what is the value and object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hat we should teach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how we teach the classical literature. Nevertheless these argument, there are obvious limits and problem to be solved. So we prospect the continuous study and efforts for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 한국 한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중심과 주변의 변증법, 그리고 한문학―

        진재교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Classical Korean literature developed in the context of China-centered world view and Korea's historical uniqueness. It is too a narrow view that classical Korean literature was an end product of Korean uniqueness. Rather it was a creative adaptation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deemed as greate universal otherness to contemporary Koreans.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and feasible to separate classical Korea literature from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different but belonging to the same literary world. Attention should be drawn to the formative proces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which the subject and the other interacted in conflict and dialectic. In a sense, the career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n be comparable to the birth of 'glocalism' mixed with globalism and localism. 한국 한문학은 근대이전 중국 중심의 세계주의 속에서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을 발휘하며 발전하였다. 하지만 한국 한문학이 특수성의 축적으로만 발전한 것은 아니다. 저 거대한 타자였던 한문학의 보편성을 끊임없이 수용하고 創新한 결과물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 한문학은 거대한 타자였던 同文世界의 한문학(중국 문학)과 분리해 내어 몫을 따지거나, 이해하는 방식은 가능하지도 않고, 그럴 필요도 없다. 한국 한문학에서 한문학(중국 문학)을 그저 타자로 인식하여, 그것을 배제하는 시각과 방법으로 한국 한문학을 논하는 것은 실상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한국 한문학의 특수성도 결국은 동문세계에서 산생된 한문학(중국 문학)의 보편성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 하는 것이 정당한 시각이며, 연구 방법이다. 무엇보다 주체와 타자의 상호 길항과 변증을 통해 형성된 한국 한문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야말로 세계화[globalism]와 지역중심주의[localism]를 융합한 글로컬리즘[glocalism]의 탄생과정과 흡사한 바 있다.

      • KCI등재

        한일 고전 빅 데이터를 이용한 오방색 십이지 동물 상징성 비교연구 ‒말(馬)을 중심으로‒

        금영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5

        본고에서는 종래의 십이지 동물 연구와는 구별되는, 오방색과 한일 고전 빅 데이터라는 새로운 관점을 복합시킨 연구 방법을 시도하였다. 먼저, 종래의 연구 같으면 십이지 동물 중 첫 번째 순서인 쥐에 대한 연구부터 시작했겠지만, 본고에서는한일 양국 고전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동물인 말에 대한 연구부터 시작하였다. 또, 백흑적청황(白黒赤青黄)이라는 다섯 가지 색깔로 나누었을 때의 양국 고전 속의 말의 상징성에는 각각 어떠한 특징과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 다음의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백마(白馬)의 경우, 양국 고전에서는 신승물(神乗物)과 신에 대한 제물 내지는 공물, 그리고 구원자 내지는 구원자가 타는 말로서의 측면이 공통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한국 고전에서의 백마는구원자로서의 위대한 인간 영웅도 탈 수 있지만, 일본 고전에서의 백마는 신 이외의 허가받지 않은 인간은 함부로 탈 수 없는 절대적인 신승물로서의 성격이 강함을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흑마(黒馬)의 경우, 일본 고전에서는 백마에 준하는 2급 신마(신승물)내지는 명마로서의 상징성을지니고 있으며, 백마와 흑마 사이에는 백마가 흑마보다 우위라는 서열 상징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백마와 흑마의 흰색과 검은색은 각각 지우(止雨)와 기우(祈雨)의 상징성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한국고전에서는 양자 간의 특별한 우열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청마(青馬)의 경우, 한국 고전에서는 주로 푸른빛을 띠는 흑마를 가리키지만, 일본 고전에서는 적어도 10세기 무렵에는 청마(흑마)가 아닌 백마를 가리키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월 7일의 새봄맞이 제액행사인 세치에(節会)에 쓰이는 흰 말을 백마(白馬)라고 쓰고 아오우마(青馬)라고 읽었던 이유는, 일본인 특유의 고토다마(言霊– 인간이 쓰는 언어에 길흉을 좌우하는 주력이 있다는 발상) 관념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적마(赤馬)의 경우, 양국 고전에서는 값싼 말 내지는 불길한 조짐을 보여주는 존재라는 부정적인 상징성과동시에, 명마라는 긍정적인 상징성 또한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고전에서 적마가 명마라는 이미지를 갖게 된 것은 관우의 적토마 영향일 것으로 생각되며, 적마에 대한 일본인들의 부정적인 관념은 히노에 우마 미신에서 보듯, 화재에 대한 부정적인 속신이 개입되었기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본에서는 백마, 흑마, 적마라는 서열 상징성이 존재하며, 이는 현대 일본의 경마(競馬)나 경정(競艇)에서의 경주마나 경주보트의 색깔 배열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황마(黄馬)의 경우, 일본 고전에서는 그 용례를 찾기 어려웠으며 한국 고전에서는 중국 고전의 천지현황(天地玄黄)발상의 영향으로 흑마와 조합을 이루기도 하고, 귀한 말로서의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오방색이라는 관점에서 바라 본 한일 양국 고전 속의 말은, 종래의 십이지 동물 연구에서 다루었던, 말의색깔을 염두에 두지 않은 연구만으로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사실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하겠다. Comparative studies of Korea and Japan about Symbolism of the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have already been done. And in this paper, the horses Obangsaek(五方色;The Five Cardinal Colors; the East Asian traditional five colors of white, black, blue, yellow and red) that appear most in classical literature between Japan and Korea were compared and examined. Symbolism of five cardinal colors of horses appearing in the classics literature of Japan and Korea may be common or different. In Korean classics, not only God but human hero can ride the white horse. However,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human other than God or Buddha ride on white horse are basically prohibited except for special excep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black horse, it has a symbolism as a Shinto horse similar to white horse, a special horse on which a great human being can ride. The great hero of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ides on white horse, but the great person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rides on black horses. In additi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blue horse means black horse, but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blue horse means white horse. The Japa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red horse proved to have both positive symbolism and negative symbolism. For example,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red horse may represent a bad sign. But, sometimes it represent a good image as a maid. Meanwhile,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red horse also saw a negative aspect of cheap horses used for agriculture and a positive symbolism of a famous dead man on horseback riding. Finally, I could not find a horse’s example from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it turned out that yellow horses have symbolism as precious horses. And the yellow horses often found a pair with black horses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Also, in the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it turned out that white horses(No.1), black horses(No.2), red horses(No.3) symbolize the rank order of hierarchy.

      • KCI등재

        한국 고전문학 학술서 영역(英譯)의 실제와 방향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를 중심으로

        정혜경 ( Jung Hye-ky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한국 고전문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작품의 英譯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집적된 관련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현재 해외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이들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보완 작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의 영역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 고전문학 학술서 영역의 과제와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는 오늘날까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미문화권에서 유통되고 있는 영문으로 된 몇 안 되는 한국문학 개론서로서 유의미할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중요하게 활용되는 한국문학 개론서로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또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전공자에 의해 번역된 이 책은 초창기 학술서 번역의 중요한 모형으로서 향후 한국 고전문학 영역의 문제와 전망을 탐색하기에 유용하다.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의 영역 방식을 살핀 결과, 이 책은 원어(Source language)가 목표어(Target language)로 충실히 구현되었으며, 독자 중심의 번역을 구사함으로써 텍스트가 독자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텍스트의 체제 재구성, 디테일구현, 현대 문체의 적용 및 의미중심 번역을 통해 영미문화권 독자가 느낄 이질감을 최소화하고 가독성(readability)을 높였다. 하지만 이러한 꼼꼼한 번역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오역에서부터 단어와 문맥의 오독, 장르에 대한 이해 부족, 의미중심 번역의 문제, 번역의 비일관성, 그리고 본문과 인용문의 비유기적 번역에 이르기까지 제 문제가 존재했다. 이러한 내용적 오류를 교정하고 실천적 차원에서 학술서 번역의 문제를 다루려면 한국의 고전문학 전공자들과의 협업 체계가 구축되고 번역서를 수정·보완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술적 차원에서 번역 양상을 재점검하고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논의가 이어져야 한다. 특히 고전문학 학술서는 저자의 장르론과 문학관이 투영되어 있으므로 저자와의 충분한 문학적 소통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고전문학 학술서에 인용된 작품은 개별 작품의 번역과는 다르게 의미적 해석을 넘어 독자로 하여금 저자의 해석과 비평이 타당한지 판단할 수 있도록 축자역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인용문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문과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To globaliz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ts English translation and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the works. The materials regarding Korean literature circulated in the global market should be systematically examined and improved as well. This study investigates English translation of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general.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which is an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is one of the rare works translated in English and distributed in British and American societies through various channels. Moreover, it is a material of great value in that it is widely used as an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in Korea. This book was translated in English by an English native speaker, who studied Korean education, and therefore, represents a prototype of English translation of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It also helps to examine the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Judging from the examination of English translation of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the source language is well translated into the target language in the book. The translation was done from readers` viewpoint so that the text can be approachable. In particular, it minimizes the chance of British and American readers feeling different/foreign and increases readability by reorganizing the text, realizing the details, using a modern style of language, and translating liberally. Despite the meticulous translation, however, various problems are present including simple errors, misreading of words and contexts, misunderstanding of the genre, issues of free translation, inconsistency in translation, and lack of correla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quotation in translation. To correct and practically deal with such errors in English translation of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cooperation wi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ajors and a system which can additionally correct and improve the English transl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academicall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English translation and make an effort to offer a new method of its improvements. In particular,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 the authors/researchers` view of literature and genre argument, and therefore, translating them requires sufficient literary communication with the authors. Finally, unlike translating individual works, works quoted in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translated literally, rather than liberally, to allow reader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authors`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Such works should also be translated in connection with the text so that they could perform their function as quotations.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창립20주년 기념: 성과와 전망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was founded in January, 2000 with the goal of "the primary purpose of approaching and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from a feminine perspective, but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by promoting active exchanges with other achievements“ From the start, the society has made clear its identity as a joint society of male and female members and integrated field to discuss the issue of ‘women’ across various fields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journal of the Society, planning specials have been frequently prepared,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the Society, and by discovering a number of female writers and works that have not been known in academia,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has been enriched for 20 years. The ‘feminine perspective,’ the goa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still seems to be valid as it needs to note the hidden voice of women. Above all, this Society is worth trying for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It could also be responsibility of this Society to report how far North Korean classic women’s literature has come. In future, the Society needs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 or perspective to include women's literature in East Asia, at least in the Northeastern Asian countries, influenced by Confucian culture at similar times. It is hoped that this year, which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will be a new start year for the Society. 한국고전여성문학회는 “한국고전여성문학을 여성적 시각으로 접근, 연구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되, 여타의 연구성과들과 활발한 교류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 하에 2000년 1월 창립되었다. 본 학회는 출발부터 남녀 공동학회이고, 고전문학의 하위분야로서 고전문학 내 고소설, 고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등 각 분야를 포괄해서 ‘여성’의 문제를 논의하는 통합 분야라는 정체성을 분명히 했다. 본 학회의 저널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를 살펴보면 무엇보다 기획특집이 자주 마련되어 학회의 방향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했다. 그동안 학계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작가, 작품들을 다수 발굴해서 20년 사이 한국고전여성문학을 풍성하게 정립했으며, 여성의 여행, 종교나 노년의 여성처럼 여성 관련 주제의 다양한 속성들을 보여주었다. 단지 기획 특집을 통해 의미 있는 연구 주제들의 지속적인 제시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다툴 어떤 이슈나 쟁점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학회창립의 목표인 ‘여성적 시각’은 고전문학 속 여성의 숨겨진 뜻과 목소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 학회는 여성문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인적 자원이 풍성하다는 점에서 한국고전여성문학사의 집체적인 저술을 시도해볼 만하다. 덧붙여 북한의 고전여성문학 연구가 어디까지 왔는지, 여성사 서술에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도 본 학회가 중심이 되어 정리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본 학회는 연구 대상이나 시각을 유사한 시기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적어도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여성문학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하는 것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학회의 다양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 내 분야별로 활발하게 여성문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문학회의 존재에 대한 도전에 직면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아직도 산재해 있는 여성 작가와 작품을 찾고, 분석하고, 평가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고, 이것은 본 학회만이 감당할 수 있는 고유 영역이라는 점에서 창립 20주년을 맞이한 올해가 한국고전여성문학회가 새롭게 다시 출발하는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 연구 -설화 및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사동훼,정소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3

        본고는 그간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만 편중된 연구사에 주목하여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한국 고전문학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 는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와 달리 중국인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학습대상이 제한적이고 명확하다. 또한 중국은 중세문학사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기 때문에 현재는 한국의 고전문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염두하며 논의를 진행하다. Ⅱ장에서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재 4종을 대상으로 한국 고전문학의 수용 양상을 개관하다.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교재에는 고급 단계가 많지 않지만, 고급 교재가 있더라도 한국 고전문학은 중급 단계에 편중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설화나 설화 관련 작품이 가장 많이 실린 점에 주목하여 그 양상을 Ⅲ장 에서 자세히 검토하다. 그 결과, 한국 고전문학 못지않게 중국의 설화를 나란히 두거나, 때로는 중국의 설화 를 주된 본문 텍스트로 삼기까지 하는 등 한국어 교재라고 해도 실제 교수자나 학습자가 중국인인 점을 감안 하여 중국의 문학을 한국어로 바꾸거나 표현하는 데에도 적지 않게 관심을 두고 있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 제기한 바,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 그리고 중세문학사에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깊었던 만큼 고전문학을 현대문학보다 더 쉽게 여기고 중급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다룬다는 점을 밝혔다. 무엇보다 한 국의 고전문학이 본문에 제시만 될 뿐이고 연습문제의 내용으로까지는 잘 다루어지지 않고 있고, 그에 비한다 면 중국의 고전문학이 상당한 비중을 가지고 다루어진다는 점,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중국의 세계화의 일환으 로서 중국 내에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confronts the predominant research bias with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historically centered on teaching materials originating from South Korea. We shift our focus to investigate how classical literature is introduced in Chinese-published Korean textbooks. Unlike Korean-published materials, Chinese-published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designed exclusively for Chinese students. And discussed how China,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medieval literature, perceiv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Chapter II,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percep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four kinds of widely-u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lthough there are not many advanced textbooks edited and published by China itself, it can be seen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textbooks. Furthermore, we observe that traditional stories and related works a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delve into this in Chapter III. The results indicate that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receive same level attention a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roduced in these materials. Some units are using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as the main content. Given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primarily Chinese, there is a notable interest in presenting Chinese literature in their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search finding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ly, as raised in the introduction, we have examined the recep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Chinese published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s not been specifically addressed so far; Secondly, we elucidate that due to the strong historical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medieval literary history, classical literature is emphasized as more accessible and commonly included at intermediate language learning levels comparing to modern literature; Lastly, we note that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 is only presented in the text and is rarely covered in exercises, whereas classical literature in China holds a considerable proportion. In conclusion, as a part of China’s globaliz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experiencing essential growth within China.

      • KCI등재

        터키 국립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수업 사례를 통한 고전문학 교육 방안 연구

        조홍윤(Cho, Hong-youn)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48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의 현실 속에서 한국 문학의 위상은 높지 않다. 주로 한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주변적 위치에 놓여 있으며, 그마저도 시공간적으로 해외 현지의 학습자들과 거리가 먼 고전문학 교육은 논외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독립 전공으로서 한국학, 언어학, 한국 문학에 대한 제반 지식의 습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어려운 여건을 이유로 고전문학 교육의 의무를 방기할 수 없다. 이에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자와의 괴리 라는 절대 난제를 극복하여 고전문학 지식을 얻게 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터키 국립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는 총 5학기에 걸친 고전문학 교육 과정을 설계하여 실제 교육에 적용하였으며, 본고는 해당 교육 과정을 돌아보고 그 성패를 가늠하여 향후의 개선점을 찾고자 한 것이다. 교육 과정의 핵심은 터키 현지의 학습자들이 한국 고전문학을 대상으로 느끼게 될 시공간적 괴리를 최소화하고, 고전문학을 암기 학습의 대상이 아닌 문학감상의 대상으로서 인식하게 함으로써 교육성과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이제 1회차 교육 과정 이수자들이 배출된 시점에 그 성패를 돌아보았을 때, 학생들이 한국의 고전문학을 감상의 대상으로 수용하고 그것이 자기 자신을 비롯한 인간 보편적 삶을 형상화하고 있음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에는 대체적으로 성공적인 결과가 있었다고 평가된다. 다만 현지 맞춤형 교재의 발간을 통해 이론 수업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극복할 필요성, 고전문학 선집의 발간을 통해 감상 자료의 양적·질적 수준을 재고하고 자발적인 고전문학 감상 학습 여건을 제공할 필요성, 학생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이론 수업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s not high in the realistic situation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broad. Mostly, it is located in the surrounding position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ven the classical literature, which is far from the local learners in time and space, is often considered as an exception. However, if Korean studies, linguistics, and Korean literature require acquiring knowledge as independent majors, it is impossible to abandon the obligation to educate classical literature for difficult reas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ay for students to overcome the absolute challenges of distance with learners and gain knowledge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regar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R Istanbul University, designed a total of five semesters of curriculum to educat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applied it to actual education.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curriculum and to measure its success to find future improvements. The core of the curriculum is to improve the educational outcome by minimizing the disparity of time and space that local learners will feel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recognizing the classical literature as the object of appreciation rather than the object of memorization. Now, looking back at the success of the first round of curriculum graduates, it is successful to make students accep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 an object of appreciation and understand that it embodies human and other universal life. On the other hand, some complementary points were identified. It was necessary to publish local customized textbooks and collections of classical literatur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oretical lectures while minimizing the burden on students.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국문학과 한문학의 소통과 융합

        김영(Kim Young) 국어국문학회 2011 국어국문학 Vol.- No.158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and meaning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in the Late Yi Dynasty, in order to discuss the communication and fusion phenomena of these literary genres. After King Se-jong invented Hangeul(Koran Character) in 15 Century,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egan the coexistence period of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In that period, there were frequent communication and fusion phenomena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and we can check that kind of interaction through the translated works at that period. In transition from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to Korean literature, the role of woman and common peoples wa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can not read and write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so they need the translation from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to Korean literature. In the other way, Yan-Ban writers can not help using Hangeul to compose a Korean poem, because Chinese poem’s grammar is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grammar. There are many translation Korean novels and Korean novels written in Chinesein the Late Yi Dynasty. The presentative novel is Sasinamjunggi. This novel translated repeatedly from Korean to Chinese and from Chinese to Korean. Between Korean novels and Korean novels in Chinese, there are strong literary influence in narrative skill, literary style, establishing situation and so on as called ‘co-text’. In the Late Yi Dynasty, we became to have more expanded literati (who are interested in and created the literature) class and to have more active exchange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so we could have more diverse, rich, and blended literary world. But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e importance of Korean literature has gradually raised and at 20th century, we finally observed the end of the dual structure in which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were coexisted. New literature era in which Korean Hangeul was mainly used arrived. We entered the Chinese civilization as Chinese character was introduced to us. However, as we can see in The story of Chunhang, Korean literature had built their own literary world, in spite of dominancy of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But Korean literature was not only given the influence of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but it also changed the character of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and contributed to a part of the formation of Korean literary Classics in Chinese. Like this, these two Korean literatures have exchanged the influence for a long time and it does not mean one side of literature give solely influence to the other side. So I want to say two parts of Korean literature have the character of integrated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