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1차 수신사(1876) 김기수의 일본인식과 그 의의

        韓哲昊(Han Cheol-Ho)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4

        제1차 수신사 김기수는 『일동기유』에 놀라울만큼 자세하고도 정확하게 명치일본의 실상을 기록하였으며, 되도록 주관적 판단을 자제하면서도 은근히 자신의 소감을 적어놓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위정척사상상이 지배적인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김기수가 근대적 제도와 문물에 대한 지식이 적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일동기유』의 내용을 액면 그대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동기유』를 토대로 김기수의 일본인식과 그 의의를 새롭게 평가해보았다. 김기수는 만국공법 체제를 기반으로 전개되고 있는 근대적 국제질서와 외교관상주제도를 알고 있었지만, 이에 입각해서 조일수호조규 후속 조약을 신속하게 처리하자는 일본의 요구를 전통적인 외교관행을 내세워 우회적으로 거부하였다. 당시 개국 논리로 제시되었던 구호회복론과 왜양분리론은 어디까지나 전통적인 중화질서체제의 온존을 전제로 한 것이었지 서구에 대한 문호개방이나 서구적 만국공법체제의 수용을 의미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일본정부가 권고했던 러시아견제책의 필요성을 조금이나마 인정하면서도 절실히 받아들이지는 않은 것 같다. 그리고 일본이 조선에 대한 청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양국의 관계 개선 및 강화를 역설했던 반면 김기수는 구호회복론의 시각에서 일본과 우호를 돈독히 한다는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조일연대론에 대해 원론적으로 동조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일본을 이적시하는 관념에서 벗어나 우호적으로 바라보기 시작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한편 그는 서양의 기술과 기계를 직접 목격하면서도 가능한 한 자세히 묘사하고 원리를 캐내려고 노력하면서도, 일본의 부국강병 추진에 대해 왕도론적 교화관에 입각해서 비판함과 동시에 조선의 수용 역시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당시 조선 정계에 반일적 분위기가 여전히 압도적이었던 점, 공개를 전제로 집필했던 『일동기유』에서 자신의 본심을 확실하게 털어놓을 수 없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서양의 제도가 기술을 상세하게 묘사한 자체만으로도 그 실체를 조선의 위정자들에게 정확히 알리고 수용해야 할 필요성과 당위성을 역설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김기수는 서양의 기술과 제도를 수용하기 위해 조일수호조규체결 당시 고종을 비롯한 일부 위정자들에 의해 제시되었던 왜양분리론을 적극 활용하였다. 일본이 서양의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이고 있는 실질상 목적을 서양의 침략에 대항하는 데 있다고 파악함으로써 왜양일체론을 부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왜’가 ‘양’과 일체되지 않고서 ‘양’의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일 수 있듯이 조선도 간접적으로 ‘왜’를 통해 ‘양’의 근대적 기술 등을 수용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논리의 배경에는 일본이 서양식 부국강병을 추지한 결과 몇몇 분야에서 중국보다 낫다는 그의 인식도 크게 작용했다고 추측된다. 이처럼 김기수가 112년만에 일본의 본토를 방문하여 명치일본의 변화된 실상을 최초로 견문한 뒤 집필했던 『일동기유』는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일본에 대한 가장 최신의 지식과 정보를 수록한 책이었다. 따라서 『일동기유』는 유교적 관념론에 집착했던 정계 내 위정자들에게 명치일본의 실상을 올바로 파악하는 계기를 마련해주었으며, 1880년대 개화자강정책을 추진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Kim Gi-soo concretely wrote the real condition of Meiji Japan and expressed his own view point courteously in Ildonggiyu. Studies until now, emphasizing Kim Gi-soo's little knowledge about modern system and institution, didn't considered the historic condition on those day when Wijeongcheoksanon was pervasive. So, I re-estimate his view of Japan and its meaning on the basis of Ildonggiyu. Though Kim Gi-soo knew the System of Modern International Law, he indirectly rejected Japan's demand on dealing with the Additional Articles and Trade Regulations of Kanghwa Treaty promptly based on that Law by advocating the traditional diplomatic practice. He also slight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restraining Russia which Japan recommended but didn't accepted it seriously. Though Japan emphasized improving and reinfor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however, Kim Gi-soo fundamentally didn't sympathize with the Korean and Japanese Solidarity on the viewpoint of Kuhohoibokron. In addition, he directly saw western technology and machinery and described them as specifically as he can, and criticized Japan's plan to increasing national wealth and strengthening army with Confucianism. However, considering the purpose of writing Ildonggiyu was to open to the public, his detail description itself about western system and culture was to notices the fact to the Korea's politicians precisely and t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accepting those. For this, Kim Gi-soo positively used Waeyangbulliron. Comprehending that Japan's object of accepting western culture and system was to oppose against the invasion of western society, also Korea, like Japan, could introduce western system and culture into their country. At these logical backgrounds, his recognition that Japan surpassed China in some fields had a great effect. Ildonggiyu is the book which Kim Gi-soo wrote the changed situation of Meiji Japan for the first time, in 112 years after the Tongsinsa's last visit to Japan. It recorde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ern-Asia and the latest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Japan. Therefore, Ildonggiyu made an opportunity for politicians to grasp the situation of Meiji Japan, also had a huge influence on promoting the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1880's.

      • KCI등재

        제1차 수신사 김기수가 경험한 근대 일본의 외교의례와 연회

        이정희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9 No.-

        Susinsa(修信使) was the diplomatic delegation officially dispatched to Japan five times throughout the years between 1876 to 1884 after entering into the Treaty of Amity between Joseon and Japan(朝日修好條規) in 1876. Such an existence of Susinsa was the intermediate form of the dispatch of Joseon Tongsinsa(朝鮮通信使) and the Joseon diplomatic minister in Japan(駐日公使)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end of the history of the Joseon-Japan relationship; thus, it is noteworthy in light of the fact that Susinsa was the diplomatic delegation poised at the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Sadaegyorin(事大交隣, worship to the powerful and friendly relationship with other neighboring countries) was restructured to the modern diplomatic order. In particular, Kim Gi-soo, who was dispatched as the chief delegate of the first Susinsa at the time of the epochal transitional period, experienced a modern style banquet while meeting with the Japanese king, which was unprecedented for the first time. Although the formal ceremony and banquet experienced by Kim Gi-soo in Japan was the path that directly disclosed the appearance of modern Japan, its importance was not keenly recognized. The inner side of Kim Gi-soo was still full of the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and confidence, but the attitude of modern Japan, which was included in the route to modernization, was not like as before. It was not the friendly neighboring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anymore, but there emerged a modern Japan which was transformed into an independent country that carried out modern diplomacy based on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The diplomatic visit of Kim Gi-soo itself became an opportunity of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forming the reality to the king of Joseon and several intelligences that they needed to accept a new culture. Therefore, they gradually realized that it is not desirable any more for them to stick to an attitude of transmitting culture to Japan, and this led them to investigate and observe the new products of civilization and new culture of modern Japan, and think hard about whether they would accept them and the level and timing of their application. 修信使는 朝日修好條規(1876)를 맺은 후 1876년부터 1884년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공식적으로 일본에 파견된 외교사절이다. 이러한 수신사의 존재는 대일관계사의 흐름에서 볼 때 朝鮮通信使와 駐日公使 파견의 중간 지점에 놓여 있어, 事大交隣에서 근대적인 외교 질서로 개편되는 전환기에 놓인 외교사절이었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일대 전환기적인 시점에서 특히 제1차 수신사의 정사로 파견된 김기수는 전례가 없던 일본 천황을 접견하고 근대식 연회를 최초로 경험하였다. 김기수가 일본에서 경험한 외교의례와 연회가 근대 일본의 모습을 단적으로 드러낸 경로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절감하지 못했다. 김기수의 내면은 여전히 문화적 우월감과 자신감으로 가득 차있었지만 근대화의 선로에 편입된 근대 일본의 태도는 예전 같지 않았다. 교린 관계로 맺어진 일본이 아니라 만국공법에 입각한 근대적인 외교를 펼치는 독립 국가로 바뀐 근대 일본이 눈앞에 펼쳐져 있었다. 김기수의 사행 자체는 개항기 조선의 국왕과 몇몇 지식인들에게는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어야 한다는 현실을 직간접적으로 알려준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근대 일본의 신문물과 신문화를 탐색하고 관찰하면서 그것의 수용여부, 적용의 수위와 타이밍 등에 관한 고민으로 이어졌다.

      • KCI등재

        근대소설의 기교, 묘사, 문체; 1920년대의 가능성과 한계들

        김아름 ( A Rum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6 No.-

        1920년대는 근대문학이 질적·양적 팽창을 위해 태동하던 시기다. 이 시기, 문학을 전문적이고 예술적인 영역으로 정위(定位)시키기 위해 당대의 문인들은 끊임없이 담금질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조선의 문인들은 지배층이 ‘이식’한 근대를 ‘추수’해야만 했던 일제강점기의 억압적 상황에 놓여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완결된 세계를 상상한다 해도, 그것을 ‘재현’을 수단을 가지지 못한 시대에 살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학적 소설 문체의 분화에 대해 끊임없이 갈망했지만 결국 계몽의 색채를 지울 수 없었던 문인 이광수, 개성과 미의 측면에서 문체와 형상화의 문제를 제기했던 김동인은 당시의 지식인 문학관과 문인 문학관의 전형을 보여준다. 이 두 작가가 이러한 문학관을 통해 소설의 형상화와 문체에 대해 보여주는 인식의 틀에는 빛과 그늘이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카프가 소설의 내용과 형식 혹은 형상화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다. 카프 내부에 있으면서도 ‘예술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묘사’라는 개념을 수면 위로 끌어올린 김기진, 그와 대척점에 서 내용-형식 논쟁을 벌인 박영희의 담론도 1920년대 근대 소설의 가능성과 한계를 보여주는 좋은 예다. 1920년대는 문학의 기교와 문체에 대한 여러 문인들의 다양한 인식이 혼재되어 있는 시기였다. 따라서 1920년대는 이러한 인식들이 모여 소설의 기교와 문체에 대한 논의와 발전의 기틀이 마련되던 태동기로 정의할 수 있다. The 1920s was the period when modern literature in Korea began expanding in quality and quantity. Writers made relentless efforts to bring literature into professional and aesthetic realms. They, however, lacked means to "materialize" what they imagin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which intellectuals had to "pick" the modernity "planted" by trespassers. Lee Kwang-soo was rooted in the "Enlightenment". So Lee Kwang-soo considers that writing is a tool of enlightenment. Paradoxically he longing for various aesthetic styles failed to rub off enlightenment odors from his works. On the contrary, Kim Dong-in raised questions about style and imagery from the perspective of uniqueness and aesthetics. His effort that went into the research in creative and original writing has on his style and the early modern novel movement. Also Kim Dong-in desired to achieve unific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furthermore pursue the new modern literature in his works. The literary views the two writers had were typical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and artists. The frame in which the novelists perceived fictional representation and styles had both light and shades. Kim Gi-jin, though having joined in KAPF, emphasized ``artistry`` and brought ``description`` on the surface. Kim Gi-jin`s view of description is a very exceptional one in KAPF. Arguing with Gi-jin, Park Young-hee took the opposite side of the debate over contents and forms. Park Young-hee argues that writers themselves should be armed with the tight and strong group consciousness. We called it "Debate on content and form". "Debate on content and form" was an event that gave an enormous impact on the direction of the KAPF movement. They are the very person who took the KAPF to the height of mainstream literature. But the discourse between the two also showed some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This paper assumed that the Korean Modern Novels was connected with strenuous effort of "Literary Technique-related description and style-". "Literature of enlightenment [or propaganda]" and "art for art`s sake" in 1920s were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modern language-literature. The collision between these opposing literary views during the 1920s set the stage for the discussion on and development of techniques and styles in novels.

      • KCI등재

        1920년대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의 수용 연구

        황정현 ( Jung Hyun Hw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1

        이 논문은 카렐 차페크Karel capek의 희곡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Rossum`s Universal Robots(이하 R.U.R.이라 칭한다)」이 1920년대 국내에 수용된 양상을 고찰하고 시대적 의미를 찾고자 한다. 『R.U.R.』은 오늘날 과학 분야를 넘어 일상의 기본 개념 중 하나가 된 ‘로봇’이라는 용어를 처음 등장시킨 작품으로, 1923년 이광수에 의해 처음 국내에 소개된 이후 김기진, 박영희, 김우진 등 당대의 대표적인 문인들에 의해 재차 번역 또는 비평의 대상이 되었다. 이들은 『R.U.R.』 이해와 수용에 있어 상이한 방식과 관점을 취하는데, 이는 각자의 시대인식과 문학적 태도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기진과 박영희는 자신들이 주장한 프로문학의 맥락에서, 『R.U.R.』의 로봇과 인간을 각기 노동자와 자본가로 치환하고, 이 작품이 노동 계급 혁명의 승리를 그리고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원작의 플롯과 인물의 성격은 역술 과정에서 선택, 변형된다. 박영희의 역술 「인조인간에 나타난 여성」은 작품의 플롯을 취사선택하고 여성인물의 성격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비 노동 계급’과 ‘여성’에 대한 이중의 계몽 의식을 보여준다. 이광수와 김우진은 이 작품이 근대기술문명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고 보았지만, 구체적인 이해의 내용은 상반된다. 이광수는 「인조인」 역술에서, 인간의 내적 수양을 통해 로봇의 지배가 상징하는 물질문명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이해는 훗날 ‘상의 문학’을 주장한 그의 문학관과 상통하는 것이지만, 사회 구조의 문제를 개인의 차원으로 치환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반면 김우진은 일련의 평론에서 예술이 철저한 시대인식과 투쟁 의지를 담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R.U.R.』이 자본주의와 군국주의의 결탁 하에 발생하는 근대기술문명의 폐해를 잘 보여준다고 평가한다. 차페크와 『R.U.R.』에 대한 그의 평론들은, 차페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담고 있으면서, 동시에 당대 조선 문학에 대한 그의 비판적 견해와 확고한 문학관을 보여준다. 1920년대 『R.U.R.』의 수용 양상은, 식민지 경제구조에서 근대기술문명과 자본주의의 도입이라는 급격한 변화를 맞닥뜨려야만 했던 당대 문학 담당층의 시대인식과 고민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traces the context in which the Korean translation of Karel capek`s play Rossum``s Universal Robots (R.U.R. hereafter) was introduced and received in Korea of the 1920s, and also examines the contextual significance of the afore-mentioned phenomena. R.U.R. is the work where the term "robot", which has become a familiar concept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not restricted in the science filed, appeared for the first time. First introduced by Yi Kwang-soo in 1923, this play was translated by representative Korean men of letters of the time, such as Kim Gi-jin, Park Young-hee, and Kim Woo-jin, becoming the subject of criticism. The men of letters above take different methods and perspectives in the reception of R.U.R., which reflects each man of letters` unique recognition of the time and literary attitude. Kim Gi-jin and Park Young-hee, in the context of proletarian literature, identify robots with workers, and humans with capitalists in the play. As a result, the plot and the characters of the original text are selected and deformed in their work. Especially Park Young-hee`s Women Who Appear in the Android, in the course of interpreting the personality of women characters "non-working class," shows the double enlightenment awareness of the "female" and a "non-working class". Yi Kwang-soo and Kim Woo-jin regard that this play includes a criticism of the modern technology and civilization, but the specific contents of their understanding is contradictory. Yi Kwang-soo insists that the human being can get out of the material civilization, which is symbolized by the rule of robots, through the internal discipline. This idea has a limit in that it reduces the problem of social structure to the personal dimension. On the other hand, Kim Woo-jin, while claiming that art must have a through recognition of the time and strife consciousness, says that R.U.R. shows well the evil originated in the collusion of capitalism and militarism. Kim Woo-jin`s critical comments on Capek and R.U.R. displays not only deep understanding of the play, but also expresses his critical opinion and perspectives on Korean literature in the current days. In conclusion, the Korean reception of R.U.R. in the 1920s intensively illustrates the concerns and recognition of time shared by the contemporary Korean literary mens who were faced with the radical changes, that is, the introduction of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the capitalism.

      • KCI등재

        1876년 修信使연구

        岩方久彦(Iwakata Hisahiko)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7 No.-

        修信使 연구는 지금까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對外關係史硏究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서도 외면을 당한 셈이다. 기존 1차 수신사연구는 첫째, 日東記游를 통해 金綺秀의 일본인석을 밝히려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 결과 일본인식은 어느 정도 연구가 축적되었지만, 수신사의 배경이나 목적에 대한 검토는 지금도 저조한 편이다. 둘째, 통신사와 수신사의 차이점이 강조되었다. 그렇다면 조선은 수신사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전하려고 했을까. 조선은 수신사의 일본 방문을 萬國公法體制 移行이 아닌 交隣關係 복구로 생각하고 있었다. 수신사는 구호회복을 관철하려는 조선의 메시지를 담고 일본을 방문했고, 김기수는 그 대변자였다. 기존 평가와는 달리 김기수는 수신사의 사명을 완수하기에 적절한 인물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조선의 결정에는 수교논리로 등장한 舊好回復論과 倭洋分離論의 영향이 컸다. 舊好回復論과 倭洋分離論은 수교 교섭을 가능하게 만들었지만, 동시에 대일관계를 과거지향적인 것으로 한정시키는 측면도 있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日本連帶論에 대해서는 상당히 약점을 갖고 있었다. 왜냐하면 서양에 대한 경계는 일본에 대한 궁정적인 평가로 이어지기 쉬웠기 때문이다. 연대론이 언제 조선을 침략할 논리가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도 말이다. 수신사를 통해 조선과 일본은 각각 자신의 입장에서 ‘조선의 외교논리’와 ‘일본의 외교논리’로 맞섰지만 아직은 충돌보다 ‘자기완결적인 성격’이 강했다. 이 시기는 아직 조일수호조규를 둘러싼 견해 차이는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Researches on Susinsa have not caught much notice so far. Even in the case that studies on Foreign Relations were in progress actively, the researches did not receive attention. Firstly, existing study on the first Susinsa was largely to find out Japan cognition of Gi-soo Kim through Ildongkiyu. As a result, study on Japan cognition was accomplished in some degree, however, the examinations o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Susinsa are still inactive.Secondly, the differences of Tongsinsa and Susinsa were emphasized. If so, what kind of a message did Chosun want to deliver through Susinsa? Through this study, I learned that Susinsa’s visit to Japan was not to perform the system of modern international law but to reverse the system. In other words, Chosun supported Old friendship recovery theory through Susinsa and took step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Japan. However, that was a strategic decision in all respects considering reinstatement of the relations of neighboring countries. Susinsa visited Japan with the message of Chosun that was to accomplish Old friendship recovery theory and Gi-soo Kim was a spokesman. Unlike existing valuation, Kim was a proper person to accomplish Susinsa’s mission. Old friendship recovery theory and Waeyang Buliron, which appeared as the theory of Amity, influenced a lot on such decision of Chosun. Old friendship recovery theory and Waeyang Buliron made possible the Treaty of Amity and, at the same time, it had another respect that limi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Japan to past-oriented. Moreover, it had weakness on Solidarity of Japan considerably, because caution against the West was likely to be connected to the affirmative valuation to Japan, even under the circumstance that Solidarity could be the theory to attack Chosun in some day. Through Susinsa, Chosun and Japan stood against each other for their own grounds ; ‘Diplomatic logic of Chosun’ and ‘Diplomatic logic of Japan’ respectively. However, it showed the feature of self-completion rather than a conflict. The conflict of opinions related to the amity regulations of Chosun-Japan did not appeared yet concretely during the period and theconcerns of Chosun and Japan turned toward their own domestic politics ratherthan the other nation.

      • KCI등재

        (신)식민주의의 귀환, 시적 응전의 감각- 1965년 한일협정과 한국 현대시 -

        최현식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change of Korean modern poetry before and after the Korean-Japanese Agreement in 1965. To address the goal, the Introduction deals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Korea·America·Japan Cold War System and the matter of neocolonial reorganization. At that time, Park, Jeong-Hee’s military government strived to industrialize the country from above and also strengthen nationalism to defeat the North Korea communist system. Particularly, to mobilize the whole people and attain their cooperation for state policy, he struggled to carry out fiercely suppressive censorship and control over ideology. Confronting this, progressive literary persons, however, demanded and practiced freedom of ideology as well as expression aggressively. To explain this process, Chapter 2 sets up the final instance of ideal literature as the practice and integration of ‘what’s political’ and ‘what’s poetic’ that pursues mankind’s liberation and freedom. In Chapter 3, this author looks into the military government’s violent suppression and control over the art of literature first through the imprisonment of novelist Nam, Jeong-Hyeon and Kim Su-yeong’s fierce criticism over that. Next, this researcher analyzes the meaning of issuing statements by Seoul literary persons opposing to the 1965 Korean-Japanese Agreement and also of the poetic activities of Mah, Jong­Gi who participated in the signature as an army surgeon and then had to suffer the pain of imprisonment and a long separated life in America. Chapter 4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activities of Kim, Soo­Young who stressed freedom of press and expression while unfolding his rebellious poetics and that of the activities of Sin, Dong-yeop who continued to emphasize the construction of a neutral zone to get over the reality of national division. In Chapter 5, this author first pays attention to the West’s 68 Revolution that played crucial roles in tearing down the global Cold War System. As a pre-incident situation to it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is researcher associates the military government’s dictatorial rule with the art of literature’s resistant activity against it. For this, regarding the former, this author takes note of fascistic violence contained in the fabrication of a spy ring represented by ‘The East Berlin Affair’, suppression over progressive art, and the proclamation of ‘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 aimed for the people’s adaptive enlightenment and discipline. Concerning the latter, this researcher examines the meaning of resistance and liberation in history of literature presented by Lim Jong-Guk’s Chinilmunhakron through fierce criticism over system cooperative literature’s immorality and anti-nationalism. Along with that, this autho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young literary people confronting the military government’s totalitarianism and also the change of poetical circles in Korea led by it through ChangjakkwaBipyung which was Kim, Soo­Young and Sin, Dong-yeop’s last stage. In addition, as the same magazine introduced the contrastive responses of ethnic as well as liberalistic literature camps over the pieces of poetry written by revolutionary poet Neruda from Chile with Kim, Soo­Young’s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it was possible to look ahead the trends of poetic circles in Korea afterwards. 이 글은 1965년 한일협정을 전후한 한국 현대시의 현황과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 한·미·일 냉전체제의 강화 및 신식민주의적 재편 문제를 검토했다. 이 당시 박정희 군사정권은 위로부터의 산업화 및 북한 공산체제에의 승리를 위한 국가주의의 강화에 주력했다. 특히 전 국민의 동원과 국가시책에의 협력을 달성하기 위해 매우 억압적인 사상의 검열과 통제에 주력했다. 하지만 진보적 문인들은 이에 맞서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실천했다. 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2장에서는 인간의 해방과 자유를 갈망하는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통합과 실천을 이상적인 문학의 최종심급으로 설정했다. 3장에서는 군사정권의 문학예술에 대한 폭력적인 억압과 통제를 소설가 남정현의 구속, 이를 향한 김수영의 신랄한 비판을 통해 먼저 살폈다. 이어 1965년 한일협정에 반대한 서울 문인들의 성명서 발표가 갖는 의미, 군의관 신분으로 서명에 동참했다가 투옥의 고통을 겪은 후 미국에서 오랜 이산 생활을 견뎌야 했던 마종기의 시작(詩作) 활동이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 4장에서는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강조하며 불온의 시학을 펼쳐나간 김수영과 분단현실을 극복하는 중립지대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강조했던 신동엽의 활동이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 5장에서는 세계적인 냉전체제를 허무는 데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서구의 68혁명에 먼저 주목했다. 그것의 한반도 내 사전(事前) 상황으로서 군사정권의 독재 통치 및 그에 맞선 문학예술의 저항 활동을 상호 대응시켰다. 이를 위해 전자에서 ‘동백림 사건’으로 대표되는 간첩단 조작 및 진보예술의 탄압, 국민들의 순응적인 계몽과 훈육을 목표한 ‘국민교육헌장’의 반포 등에 담긴 파시즘적 폭력성에 주목했다. 후자에서는 임종국의 『친일문학론』이 제기한 체제협력 문학의 반윤리성과 반민족성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 갖는 문학사적 저항과 해방의 의미를 검토했다. 이와 더불어 군사정권의 전체주의에 맞선 젊은 문학인들의 등장이 갖는 의미와 그것이 한국 시단에 가져온 변화를 김수영과 신동엽의 마지막 무대였던 『창작과비평』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같은 잡지에 김수영이 번역, 소개한 칠레의 혁명시인 네루다의 시편에 대한 민족문학 진영과 자유주의 문학 진영의 대조적인 반응을 소개함으로써 이후 한국 시단의 흐름을 미리 내다볼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김기수 『한국민요오십곡집』의 장단 및 오선 박자표기에 관한 연구

        이지예 ( Lee Jeeye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4 공연문화연구 Vol.48 No.0

        본고에서는 김기수의 초기 민요 오선 기보방식을 살펴보고자 『한국민요오십곡집』에 정간보로 표기된 장단과 오선보의 박자표를 비교하였다. 『한국민요오십곡집』에는 50곡이 수록되어 있고, 같은 곡이 정간보와 오선보 두 가지 기보법으로 기보되었으며, 세마치장단,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 타령장단, 중모리장단이 있었다. 세마치장단의 경우 3분박 3박자, 2분박 3박자로 나뉘며, 각각 8분의 9박자, 4분의 3박자로 표기하였으며, 기준음표는 속도에 따라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굿거리장단은 모두 3분박이며, 12박자, 4박자, 2박자로 나뉘었다. 이 중 12박자의 유형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8분의 6박자, 4분의 6박자, 4분의 3박자, 8분의 9박자로 표기되었다. 기준음표의 선택은 첫마디의 선율과 속도가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자진모리장단은 모두 3분박이며 4박자, 12박자로 나뉘었다. 4박자의 경우 8분의 12박자, 12박자의 경우 4분의 12박자, 4분의 3박자로 표기되었는데 기준음표의 선택은 속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타령장단은 모두 3분박이며, 4박자, 12박자로 나뉘었다. 중모리장단은 3분박이며 12박자이며, 이를 4분의 6박자, 8분의 9박자로 표기하였는데, 이는 첫마디의 선율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살펴본 결과, 굿거리장단의 민요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세마치장단의 민요가 많았다. 『한국민요오십곡집』은 각 장단별로 다양한 장단 유형과 오선보 박자표 표기가 있었는데, 이는 민요 오선 채보의 초기이고, 민요의 즉흥적인 성격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악보집은 첫째, 오선보를 사용했지만, 정간보와 병기함으로써 서양음악에서 해석한 것이 아니라 장단을 기반으로 박자표에 접근했다는 점, 둘째, 최초로 특정 민요 악곡에 장단명을 표기했다는 점, 셋째, 민속악 장단의 이론적인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amines Kim Gi-Soo's early method of staff notation for folk songs in his work Collection of Fifty Korean Folk Songs. It compares the rhythmic patterns and beat notation between Jeongganbo(traditional Korean score) and Western staff notation in the collection, which includes 50 songs notated in both systems. The study focuses on different rhythmic patterns such as Semachi, Gutgeori, Jajinmori, Taryeong, and Jungmori. It highlights how these patterns are represented in Western staff notation, with variations in beat and rhythm, reflecting the improvisational nature of folk songs.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lies in its approach to rhythmic pattern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music, marking a pioneering effort in notating specific folk songs and lay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olk music rhythms.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의 생태학적 고찰

        신철하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6 No.-

        The ecological study of literature could be defined as a cultural response to the socio-culture shock of the modern times. In this writing,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ost dynamic and sharpest keyword for the contemporary aesthetics is the ecological ground, the writer carefully tries to analyze and explain three texts which are believed to be formulating the aesthetic hierarchy of the above. The core of that explanation is composed of ‘double-binding’ and ‘Bul-yeon-gi-yeon’. Kim Su Young is such a poet who successfully sublimated the expression of freedom by literature of which he had been pursuing continuously into ecological aesthetics. The abstruseness of the poems written by Kim Su Young should be defined as another expression of ambiguity, whichis the essence of life to the author. His language closely approaches the essence of ecology, of which the indigenous language contains. This effort stands against the issue on the “speed” of the modern literature, but at the same time, it is filled with the ecological rules of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most meaningful and important issue of Kim Ji Ha’s definition of life could be compressed to a word, ‘Yul-ryeo’. Yul-ryeo, a form of cultural movement and practice of culture, introduces the Copernican revolution about modern understanding of life to the people of the same age. In conclusion, the ultimate objects of this writing through concrete construction of the texts are the ecological leap and dimensional qualitative change. Keyword : ecological Literature, double binding, Bul-yeon-gi-yeon, Yul- ryeo, mbiguity, Kim soo yeong, Lee Mun Goo, Kim ji ha 문학생태학은 탈(후기) 근대의 사회문화적 충격에 대한 문학적 반응이다. 이 글은 동시대 미학의 가장 첨예하고도 역동적인 키워드가 생태적 사유라는 전제를 통해, 그것의 미학적 위계를 정치하게 형식화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세 개의 텍스트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해석한다. 그 해석의 핵을 이루는 것은 이중구속론과double binding 不然其然Bulyeongiyeon이다. 김수영은 그가 추구한 자유의 문학적 실천을 가장 높은 단계의 생태학적 미학으로 승화한 시인이다. 그가 시도한 언어적 난해성은 그런 의미에서 애매성ambiguity의 다른 표현이며, 그것이 김수영적 생명론의 본질이다. 이문구의 언어는 토착어가 함유하고 있는 생태학적 본질에 다가가고자 노력한다. 그 노력은 근대적 속도에 길항(拮抗)하면서 그것을 뛰어넘으려는 생태적 문법으로 충만 해 있다. 한편, 김지하의 생명론이 표상하는 화두는 율려Yul-ryeo로 압축된다. 문화운동이자 문학적 실천이기도 한 그것은 동시대인들에게 근대적 생명관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회(轉回)를 설득한다.그리하여 구체적 텍스트 해석을 관통하면서 이 글이 노리는 것은 궁극적으로 생태담론 논의의 비약적 도약과 차원의 질적 전화(轉化)이다. SUMMARY

      • KCI등재

        지홍 박봉수(智弘 朴奉洙, 1916-1991)의 행적과 작품세계 연구

        송희경(Song, Hee-ky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3 No.-

        이 글은 지홍 박봉수(智弘 朴奉洙, 1916-1991)의 행적과 작품 세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경주에서 태어난 박봉수는 근대기 동양화가를 다수 배출한 사숙 출신도 아니며, 정규 미술 학교 졸업생도 아니다. 해방 이후 가장 강력 한 미술계의 등용문이었던 국전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는 전통 수묵 담채화에서부터 색면 추상, 꼴라쥬, 도화(陶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각물을 제작하였다. 작가로서의 활동 반경도 매우 넓어, 고향인 경주뿐 만 아니라 서울, 일본, 유럽 등지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수많은 단체전에 출품 하였다. 특히 국내 단체전의 경우, 국전에 대항하는 야전이나 민전에 주로 참여하였다. 박봉수는 1950년대 중반부터 중봉의 필획, 즉 서체에 기반을 둔 수묵 추상을 시도하였고, 1970년대부터 여러 물성을 도입한 색면 추상을 발표하였다. 그는 지필묵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정작 동양화론이나 전통 회화에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필과 묵을 사용하여 오로지 자신의 감각과 개성을 조형화 하였을 뿐이다. 박봉수의 행보와 그의 회화 창작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은 이응노와 김영기라고 판단된다. 이렇듯 박봉수는 해방 전후부터 1980년대까지 활동한 동양화가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서는 시대에 따른 동양화의 변화 양상이 오롯이 발견된다. 이것이 박봉수의 회화를 재조명해야 하는 이유가 아닐까 한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works and worlds of works by Ji Hong Park Bong-su (1916-1991), which is currently unknown in academic circles. Park Bong-soo was born in Gyeongju, did not receive a modern personal studio or regular art education, and did not participate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the strongest art gate of the art world since the Independence. He also held solo exhibitions in Seoul, Japan, and Europe, as well as his hometown Gyeongju, and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domestic team exhibitions, they mainly participated in private planning exhibitions against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ark Bong-soo attempted ink abstraction based on calligraphy from the mid 1950"s, and in the 1970"s he published color surface abstraction that introduced various materials. He made traditional material as the basis of his creation, but he was not so impressed with the theory of oriental painting or the past paintings, and he focused only on the creation that reveals his senses and individuality.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Park Bong-soo"s paintings and walks are Lee Ungno and Kim Young-gi. In the works since the mid-1950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wo characters are strongly revealed, and there are not many exhibitions that participated with them. As such, Park Bong-soo was a living witness of the Oriental Flower Bed, which developed from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to the 1980s. This is because the formative elements of oriental paintings expressed in various times are found in his works. This may be the reason to reflect on Park"s pain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