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MOOC 강좌 개발을 위한 상호작용 설계 전략 탐구: Moore의 3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변문경 ( Moonkyoung Byun ),이진호 ( Jinho Lee ),홍석호 ( Seokho Hong ),조하민 ( Hamin Cho ),조문흠 ( Moon-heum Ch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3

        2015년 10월부터 시작된 Korea-massive open online course (K-MOOC)는 이용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강좌 안에서 학습자와 콘텐트, 학습자와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형성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K-MOOC에서의 상호작용을 향 상시키기 위한 교수전략을 찾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Moore의 세 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을 기반 으로, K-MOOC에서 제공하는 21가지 강좌를 관찰하고 비교하기 위해, Coursera, edX, Future Learn, Iversity, Udacity, 그리고 Udemy 이렇게 여섯 가지 MOOCs에서 제공하는 국제적인 강좌와 유사한 콘텐 츠 선정하여, 세 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을 설계 전략을 설명하기에 좋은 사례를 찾았다. 이를 토대로 K-MOOC 설계자, 개발자 및 교수자를 위해 세 가지 유형별 상호작용을 강화하기 위한 교수전략을 제 안할 수 있었다. 또한 K-MOOC의 발전을 위한 세 가지 제안점으로 (a) 학생들의 K-MOOC 학습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을 유도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b) 학습 과제는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 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기 위한 설계로서, 학습자와 학습자간 동료 평가를 통한 반성적 상호작용이 포 함되어야 한다. (c) K-MOOC에서 학생 및 콘텐츠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강좌 정보, 활동, 과제 및 기대효과에 대해 철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비디오, 자막, 파워포인트 그리고 프 리젠테이션을 학생이 다운로드하여 활용할 수 있게 설계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Although Korea-massive open online course (K-MOOC) launched since October 2015 has been well received by the public concerns are still remained about its lack of three types of interaction represented with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content,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student, and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teach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ek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three types of interaction in K-MOOC.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employed for the study. Using Moore``s three types of interaction as a research framework, we observed and compared 21 courses offered in K-MOOC with the same number of international courses offered from six different MOOCs such as Coursera, edX, Future Learn, Iversity, Udacity, and Udemy. Then, we chose best practices that promote three types of interaction. Last, we propose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three types of interaction for K-MOOC. In addition, we provided three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K-MOOC. These suggestions include (a) interaction, particularly between student and teacher is critical for students`` learning in K-MOOC, (b) learning tasks designed to enhance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student should be implemented in K-MOOC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student should be reflected in a format of peer evaluation, and (c)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content can be promoted in K-MOOC by providing thorough descriptions of course information, activities, tasks, and expectations and by allowing students to download learning materials such as videos, teaching scripts, or powerpoint presentations.

      • KCI등재

        K-MOOC 강좌의 ‘효율성’과 ‘이수율’ 제고를 위한 제언: ‘대학 교양수업(한자어)’과의 연동 사례를 중심으로

        김용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86 No.-

        This article is written focusing on the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in which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re participating in development and oper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eneral status of Korea's K-MOOC, and the K-MOOC operation case developed by me. Therefore, as it is constructed by personal examples, it is not a generalizable theory or theory. K-MOOC started later than MOOCs in other countries, but it is achieving brilliant results as the government agencies of the country take the lead. In this process, I considered what direction and role K-MOOC should aim for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in Korea. Therefore First, the direction of the K-MOOC course developers, second, how to design weekly learning goals and units when developing actual courses, third,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fourth, quantitatively improve K-MOOC's completion rate. 이 글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세계 대학들이 개발⋅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와 우리나라 K-MOOC에 관한 개괄적인 현황, 그리고 필자가 개발한 K-MOOC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개인적사례에 의해 구성된 것이니만큼, 일반화시킬 수 있는 이론이나 정설은 아니다. K-MOOC는 해외 MOOC보다 후발 주자이나,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라는 국가 기관이주도⋅운영하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리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필자는 K-MOOC 가 우리나라 고등교육(대학⋅대학원) 현장에서 어떤 방향성과 역할을 지향해야 하는가를 고민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첫째, K-MOOC 강좌를 개발하는 주체 - 교수자, 대학등의 기관 - 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 둘째, 실제 강좌를 개발할 때 주별(週別) 학습목표와 유닛(차시)을 설계하는 방법, 셋째, K-MOOC가 온라인(비대면) 수업임을 감안,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강화를 위한 전략, 넷째, K-MOOC를 효율성과 이수율제고를 위한 방안, 끝으로 K-MOOC가 이제는 양적 확산에서 질적 향상으로 변모할수 있는 도전적 제언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 KCI등재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연구의 동향: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논문의 주제범위 문헌고찰

        조순정 ( Cho Soon-Jeong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2015년 10월 K-MOOC 출범 이후 5년간 소개된 K-MOOC에 관한 문헌 전반을 검토하여 그간의 연구 동향과 특성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국내 전 학계에서 K-MOOC를 주제로 삼은 기존 연구의 근거를 분류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21년 4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총 63편의 K-MOOC 논문의 18가지 서지정보를 체계적으로 선별한 후, 주제범위 고찰방식에 따라 연구의 추이와 연구자별·기관별·학술지별 특성을 세분하며 연구의 유형을 분류했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주목할 만한 발견 사항은, 첫째, 2020년 이후 K-MOOC 연구가 급감 중이며, 둘째, 약 70%의 논문이 인문사회·교양 학계에서 소개된 점, 셋째, 국공립 대학교의 K-MOOC 연구는 수적으로 미미한 기여를 하였으며, 넷째, 이공계 분야 학술지보다 예체능 영역의 학술지에서 K-MOOC 연구가 더 많았던 점, 끝으로, 과반이 넘는 논문은 탐색적 형태에 1차 자료원을 대거 사용하는 등 연구 방법 측면에서 편중된 점이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그간 출간된 K-MOOC 전체 연구물의 공백과 지식의 간극을 인지할 수 있었고, 정부 당국의 K-MOOC 플랫폼의 기술적인 개선 계획에 맞추어 이공계 분야의 K-MOOC 연구 참여가 절실하며, 국공립 대학의 다방면의 연구 참여와 학술적 맥락의 이론적 접근 등 연구의 외연이 보다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research evidence on K-MOOC and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future work and decision-making for new K-MOOC services by investigating K-MOOC literature published since October 2015. Methods: We undertook a scoping review in five categories by the research move in 2015-2021, including the significant features of the researchers, institutions, and journals, and the attribute of K-MOOC specific studies. To do this, we systematically collected 18 bibliographic data from a total of 63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accredited/candidate journals across all academic areas. Results: Highlighted results are: (i) the number of K-MOOC work has decreased since 2020; (ii) more than 70% of K-MOOC work was published in Humanities & Social Science; (iii) the government-established institutes made a minor contribution to the K-MOOC studies in number; (iv) Arts & Sports and inter-disciplinary journals introduced more K-MOOC studies than those of Natural Science & Engineering; and (v) the majority of the literature has rooted in exploratory research using primary data by relying on particular research method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from this pioneering scoping study include the classified key pieces of evidence for K-MOOC practitioners and their future work, the wide use of this scoping review in Korean higher education academia, and the considerations in five categories for decision-making on the education policies in terms of the K-MOOC services. This research also recommends eager participation in the studies on K-MOOC from national/public universities and a broader theoretical approach in the academic context.

      • KCI등재

        대학생들의 K-MOOC 수강의도 결정요인 연구

        이정기(Lee, Jeong-Ki),黃于恬(Huang, Yu-Tie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硏究 Vol.33 No.2

        혁신적인 온라인 교육 방법이라고 평가받는 K-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교육부과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차원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고, 각 대학에서도 앞다투어 K-MOOC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다만, K-MOOC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K-MOOC 활성화를 위한 수용자 연구는 더욱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는 K-MOOC 활성화 전략을 수용자 차원의 접근을 통해 모색해 보고자 했다. K-MOOC에 대한 인식, 이용과 충족 이론, 기술수용모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통해 대학생들의 K-MOOC 수강의도를 예측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K-MOOC의 활용성 인식, 이러닝 이용동기 중 물리적, 심리적 편의성 동기, 계획행동이론 변인 중 주관적 규범과 인지된 행위통제, 집단 규범 변인,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유용성과 용이성 변인이 K-MOOC 수강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K-MOOC 활성화를 위한 수용자 차원의 전략을 제안하였다. There is a rising interest in K-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which is regarded as an innovative online education method. Bo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provide support for it, and universities are competing to search for strategies to activate online education with K-MOOC. There is, however, a huge shortage of academic research on it. There is even less research on users for the activation of K-MOOC. This study, thus, set out to search for activation strategies for K-MOOC by making a user-level approach. It predicted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take K-MOOC based on its perception and variables of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findings show that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take K-MOOC is under the positive influence of perceptions of its usability,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venience of e-learning usability motives, the subjective norm,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 collective norm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variables, and the usefulness and ease of using technological acceptance model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user-level strategies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K-MOOC.

      • KCI등재

        K-MOOC에서 학습촉진을 위한 운영튜터의 역할지표 개발

        남창우(Changwoo Nam),조다은(Daeun Jo)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of tutors and their required role in making learner-oriented learning active in K-MOOC. Unlike e-learning, K-MOOC has a learning form in which learners themselves conduct leading learning, so interactions between professors, tutors and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and the role of tutors supporting the activities of professors and learners is very important. The Delphi survey was selected as K-MOOC tutors, development professor and administrative staff. Delphi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over a total of three times, and after the first and second Delphi investigations, the detailed roles were modified after pilot tests of one tutor with similar experience to those of two content expert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role of the operating institute to promote learning in K-MOOC was selected as ‘Learning Guide and Learning Overview before the Opening, Forwarding Learning Objectives, Discussion and Task Management and Evaluation, Course Monitoring and Course Feedback’, and ‘Leader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the Course Facilitator Role, E-mail Schedule, and E-Mail Communication Participation’. In the role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a total of 12 detailed roles were calculated for ‘system problem delivery to school staff, difficulties in the learning process are regularly reviewed, difficulties of uploading notices, guiding the issuance of certificates after termination, and monitoring progress rates or grades’. In this study, the role indicators of the operating station are presented specifically, allowing K-MOOC personnel to clearly demonstrate to K-MOOC tutors what role they should perform as a tutor. It will also serve as a new awareness of the role and importance of tutors in the learner-driven K-MOOC learn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K-MOOC에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튜터의 역할과 그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세부역할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MOOC는 e-러닝과 달리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교수자와 튜터,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동시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교수자의 활동과 학습자의 활동을 지원하는 튜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10편을 기초로 교수자 역할, 수업촉진자 역할, 교육 행정가의 역할을 추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K-MOOC 튜터, 개발교수, 행정담당자로 선정하였고, K-MOOC 튜터 5명과 개발교수 1명, 행정담당자 6명이 선정되었다. 총 세 차례에 걸쳐 델파이조사가 실시되었고, 각각 조사 이후 내용전문가 2명의 검토와 튜터의 파일럿 테스트 후 세부역할을 수정하였다. 연구 결과 K-MOOC에서 학습촉진을 위한 운영튜터의 역할로는 교수자 역할에서 ‘개강 전 수강 안내 및 학습개요, 학습목표 전달(메일), 토론․과제 관리 및 평가, 강좌 모니터링 및 강좌 피드백, 수강 중 학습 내용과 관련된 질문 답변’으로 선정되었고, 수업 촉진자 역할에서 ‘참여도 제고를 위한 안내, 학습일정에 따른 이메일 발송, 의사소통 참여 촉진’ 역할이다. 교육 행정가 역할에서 ‘시스템 문제를 학교담당자에게 전달, 학습 과정에서의 어려움 정기적으로 검토, 공지사항 업로드, 종료 후 이수증 발급 안내, 진도율 또는 성적 모니터링’ 등 총 12개의 세부 역할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운영튜터의 역할지표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K-MOOC 담당자가 K-MOOC 튜터에게 수행해야 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명확히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질적인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학습자 주도적인 K-MOOC 학습 환경에서 튜터의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해 새로이 인식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K-MOOC 대학생 수강자의 인식 분석

        이정민,전정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3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K-MOOC by conducting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K-MOOC, who are the major users of K-MOOC. Also it intended to use them to develop a specific strategy for continued use of K-MOOC. The study was conducted on 155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ing university course and experienced K-MOOC's course within a yea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online and provided with multiple questions about sustainability and satisfaction. Also survey provided with a subjective items about reason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K-MOOC, and expectation about the future K-MOOC. The analysis found that the main motiv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as the convenience of online learning, which was the highest in questions asking why they were satisfied. For reasons of dissatisfaction, the decrease in academic volition and lack of interaction, and the technical problems of K-MOOC system were pointed out. University students learners are expecting improvements in course content and K-MOOC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instructional strategies to help K-MOOC university students for becoming lifelong learners of K-MOOC. 본 연구는 K-MOOC의 주 사용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K-MOOC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하여 이들의 학습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K-MOOC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설계 및 실행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이고 1년 이내에 K-MOOC 수강 경험이 있는 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온라인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지속사용의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객관식 문항과 수강 동기, K-MOOC에 대한 만족 사유와 불만족 사유, 향후 K-MOOC에 대한 기대사항을 묻는 주관식 문항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수강자들의 주요 수강 동기는 온라인 학습의 편리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편리함은 K-MOOC에 대한 만족 사유를 묻는 문항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불만족 사유로는 학습의지 저하와 상호작용 부족, K-MOOC의 시스템 문제가 지적되었다. 기대사항으로는 콘텐츠의 향상과 K-MOOC 시스템에 대한 보완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K-MOOC 대학생 학습자가 향후 지속적으로 K-MOOC를 사용하는 평생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수학기초>와 <기계학습> 교과 사례를 통해 살펴 본 K-MOOC의 전략적인 운영 방법 탐색

        김성희,김규태,김지연,박주형,정진택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K-MOOC education through two case studies of K-MOOC. Althoug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form to the online one, the critical subjects are still the learners and are motivated by their own learning, not only by advanced technologies. In terms of current technology, K-MOOC’s learning environment can be accessed by students whenever and wherever they want, provided that they are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MOOC production & operation team of Korea University’s College of Engineering produced and operated two courses—the “Mathematical Foundation for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for Data Science”—over the course of seven months, from July 2017 to January 2018. The new strategies of K-MOOC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formal topographical map, requiring continuous quality assurance for the course. Second, with a topographic map, good communication is needed between learners, teachers, and operator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meet with others in online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activate communities that can communicate with learners online. Thir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perated by K-MOOC should be linked with the real life of the learners through the integrated topographic map.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ind a suitable curriculum for K-MOOC and to look for active pedagogy.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의 교과 운영 사례를 통해, K-MOOC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교육환경이 전통적인 양식에서 온라인 기반으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교육과 관련 해서 중요한 주체는 학습자이며, 학습자 개인의 학습동기에 있다. 과학기술의 측면에서 보면, K-MOOC의 학습환경은 디지털 환경에서 학습자가 원하면 언제·어디서나 접속해서 학습을 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K-MOOC 운영팀이 수학기초와 기계학습 교과를 통해 얻은 K-MOOC 운영의 새로운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인 지형도로, 강좌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보증이 필요하다. 둘째, 내용적인 지형도로, 학습자들과 교수자들 및 운영자들 사이에 바람직한 소통이 필요하다. 비록 온라인 환경에 학습자들과 대면하기는 어렵지만, 온라인에서 학습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통합적인 지형도로 K-MOOC이 운영하는 교과목의 내용이 학습자들의 현실적인 삶과 연계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K-MOOC에 적합한 교육과정 구축과 적극적인 교수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정규 학점과정으로서 K-MOOC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이훈병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논총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using K-MOOC in credit courses. This study analyzed the use and activation method of K-MOOC as a credit course. In this study, the opinion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opinions about K-MOOC as a regular credit course were more numerous than negative ones. Second, The main positive opinions are about the free course enrollment and the activation of interaction in parallel learning. Third, the semantic structures of negative opinions revealed the problems of the school's schedule and the fairness of the evalua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study summarized the opinions of using K-MOOC. On the positive side,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important, and on the negative side, fairness important. Next, the following is a suggestion for the utilization of K-MOOC in credit courses: First, provide a system to give credit to K-MOOC and develop a guide on how to take these courses. Second, in order to ensure the fairness of the evaluation and the credi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K-MOOC operation evaluation system for granting credits and to establish a minimum system to prevent cheating. Third, there is a need to consider various semester management systems (intensive semester, etc.)to encourage K-MOOC utilization. 본 연구는 학점과정으로서 K-MOOC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K-MOOC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K-MOOC을 학점과정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정규과정으로 K-MOOC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의견은 부정적 의견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K-MOOC 활용에 대한 주요 긍정적 의견은 온라인 무료수강신청과 온오프라인 병행학습에서 교수학생간의 상호작용 활성화로 나타났다. 셋째, K-MOOC 활용에 대한 부정적 의견의 의미구조는 학사 일정 불일치와 평가의 공정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K-MOOC 활용에 대한 의견을 종합해보면 긍정적 측면에서는 교수·학습의 효율성, 그리고 부정적 측면에서는 공정성이 중요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정규학점과정으로 K-MOOC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 이수를 수강방법에 대한 철저한 안내 및 비교과프로그램을 연계할 필요하다. 둘째, 학점부여를 위한 K-MOOC운영결과에 대한 평가제도를 마련하고 평가의 공정성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부정행위 방지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은 K-MOOC 활성화를 위하여 몰입학기 등 다양한 학기운영제도를 고려할 수 있다.

      • KCI등재

        학점인정 K-MOOC에서 서비스품질, 시간관리행동과 만족도, 지속의향의 관계규명

        주영주,은주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of the K-MOOC for grades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m. K-MOOC for grades started to promote participation of K-MOOC, and K-MOOC started with government support can be a way to operate independently and continuously. K-MOOC’s learners were likely to have growth potential as a lifelong learning learner, so it was seen that the quality of service that they perceived would be importa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rvice quality of K-MOOC increases the learner’s satisfaction and this will lead to continued learning persistence of learners. Service quality was selected as the SERVQUAL model's factors. That including five factors of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Time management behaviors were selected as learne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assurance, responsiveness, tangibles and time management behaviors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in K-MOOC for grades. This can be seen as important to the learner of K-MOOC for grades precise and prompt service, the visibility and usability of the K-MOOC website. However, reliability and empathy were not significant. They are considered to be less important variables in a low-personal service environment, it cann’t be to mean that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in the a large number of learners of K-MOOC. Since many learners with varying levels of time management behaviors are involved in the K-MOOC for Graduates, this should be of interest to the instructor and teaching assistant. These factors are not significant in service environment with large-scale like K-MOOC.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operation strategy of K-MOOC for grades. 본 연구는 학점인정 K-MOOC 학습 만족도와 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아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점인정은 K-MOOC 참여 활성화 전략의 하나로 시작되었으며, 정부지원으로 시작된 K-MOOC가 향후 독자적,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특히 학점인정 K-MOOC을 수강하는 학습자들은 향후 평생학습자로서 성장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인식한 서비스품질이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점인정 K-MOOC 서비스품질이 학습 만족도를 높이며 학습자들의 참여지속으로 이어지게 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았다. 서비스품질은 SERVQUAL 모델의 5개 하위요인인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및 공감성을 변인으로 상정하였으며, 학습자 특성 변인으로 시간관리행동을 함께 선정하였다. 학점인정 K-MOOC 수강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확신성, 반응성, 유형성 및 시간관리행동 순으로 만족도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점인정 K-MOOC 학습자들은 명확하고 신속한 서비스 및 웹사이트의 심미성과 편의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신뢰성과 공감성은 대인 상호작용이 낮은 서비스 환경에서는 중요도가 낮은 변인으로, 대규모 교육서비스인 K-MOOC에서 유의하지 않은 요인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점인정 K-MOOC는 각기 다른 시간관리행동 수준을 가진 대규모 학습자가 참여하고 있어 교수자 및 운영자가 관심을 가져야 할 요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학점인정 K-MOOC의 효과적인 운영전략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K-MOOC의 만족도와 사용의도 영향변인 규명 연구

        주영주,김동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7 평생학습사회 Vol.13 No.1

        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K-MOOC의 사용의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K-MOOC의 만족도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새로운 기술의 수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모델인 UTAUT2을 통해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상황, 오락적 동기, 습관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K-MOOC 한 강좌의 수강생 1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K-MOOC 수강생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상황, 오락적 동기, 습관, 만족도 및 사용의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 수강생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상황 및 오락적 동기는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노력기대, 오락적 동기, 습관 및 만족도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K-MOOC에서 수강생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상황, 오락적 동기 및 습관을 관리할 수 있는 강좌를 구성하여 K-MOOC 수강생에게 제공한다면, K-MOOC의 높은 만족도와 지속적인 사용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habi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KOREA-MOOC based on UTAUT2. For this study, K-MOOC was chosen to conduct web survey. The subjects were 17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K-MOOC class. A hypothetical model was composed of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and habit as exogenous variable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and hedonic motivation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Second, effort expectancy, hedonic motivation, habit, and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and habi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K-MOOC. Also, satisfaction is important to enhance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propose strategies for successful K-MOO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