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일반 성인들의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중심으로

        김도연,김은하,김수용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beliefs in a just world, especially,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beliefs, would influence the level of Hwa-Byung (HB) symptoms. More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whether interaction of income level, distributive justice belief, and procedural justice belief influences the level of HB symptoms. A total of 393 adult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completed dispositional measure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world beliefs, and also a measure of HB symptom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3-way interaction among income level, distributive justice beliefs, and procedural justice beliefs. Such finding implies that the interactive effect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beliefs on the level of HB symptoms was different depending on income level. For low-income individuals, when procedural justice belief was low, no differences on the level of HB symptoms were found in terms of distributive justice belief. However, when procedural justice belief was high, HB symptoms decreased as distributive justice belief became stronger. The opposite findings emerged among high-income individuals. For high procedural justice belief,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level of HB symptoms in terms of distributive justice belief, while for low procedural justice belief, the level of HB symptoms decreased as distributive justice belief became greater.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일반 성인들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특히,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화병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소득수준을 포함하여 분배공정성 그리고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이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393명을 대상으로 소득수준,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화병 증상을 측정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득수준,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화병 증상에 대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소득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소득이 낮은 사람의 경우, 절차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면 분배공정성에 따른 화병 증상의 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절차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면 분배공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화병 증상의 정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소득이 높은 사람의 경우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는데, 절차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면 분배공정성에 따른 화병 증상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절차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면 분배공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화병 증상의 정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상담에서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이슈논문] 지위 상징적 소비를 통한 지위 위협에 대한 대응과 정당성 신념의 역할

        민동원(Min, Dongwon),박기완(Park, Kiwan)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1

        최근 몇 년 간 한국 사회는 점점 악화되는 취업난, 빈부 차이의 심화 등으로 인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SES: socioeconomic status)가 위협받고 이로 인해 불안이 가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위협이 지위 상징적 소비(status consumption)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본 연구는 특히 사회 시스템의 정당성에 대한 신념과 지각된 불안감의 역할에 주목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는 위협을 느낄 경우 불안이 유발되는데, ‘사회적 시스템이 정당하다’는 신념이 강조되면 이 불안감은 더욱 증폭될 수 있다. ‘뿌린대로 거둔다(또는 ‘그럴 만해서 그렇다(deservingness)’)라는 ‘인과응보(retribution)’의 관점이 접목되면,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지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불안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심리적 대응기제로서의 지위 상징적 소비의 증가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같은 예상은 실증연구에서 증명되었는데,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vs. 높은) 그룹은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선택 빈도가 더 높았으며, 과시적으로 소비하려는 경향도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위협과 지위 상징적 소비에 대한 인과관계는 정당성 신념이 강할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지각된 불안감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위협과 정당성 신념이 럭셔리 브랜드 선택 및 과시적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이론적 및 사회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특히, 한국사회에의 함의를 (1)정당성 강조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와 (2)지위 상징적 소비를 활용한 심리적 대응의 장기적 효과의 두 가지 관점에서 논하였다. The extant literature has proposed and found the compensatory role of high-status products and brands. People tend to cope with threats to SES (socioeconomic status) by consuming products or brands that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s of status. As such, they compensate for lowered status and restore self-worth through consumption. This property of status consumption as self-affirma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ociety that has recently suffered from diverse societal problems such as skyrocketing unemployment and income polarization and inequality.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role of justice belief in coping with psychological threats to SES through status consumption. We contend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reats to SES and anxiety is moderated by justice belief that status in society is based on merit, deservingness, and retribution. When their SES is threatened, we hypothesize that people with strong (versus weak) justice belief feel higher level of anxiety, and, accordingly, reply more on status consumption for its reparative effects on the self. To test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an experiment in which psychological threats to SES were manipulated and justice belief was measured on the BMI (belief in meritocracy ideology) scale. First, w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ats to SES and two measures of status consumption (i.e., anticipated frequency of luxury consumption and luxury brand logo size). More importantly, we found that this causality was more pronounced for people with stronger, rather than weaker, justice belief.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societal contribu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We offer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ociety in two aspects: (1) unintended consequences of over-emphasizing the concept of social justice and (2) long-term effects of coping with threats to SES through status consump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 타당화

        정은교(Jung, Eunkyo),안도희(Ahn, Doe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belief in a just world scale(BJWS) for adolescents. Three hundreds and ninety-nin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BJWS formed the two factors(i.e., Personal belief, and General belief) with 11 items in satisfactory model fit indices. Convergent validity was supported through correlations among two factors of the BJW, self-esteem, neuroticism, and the experience of parent justice. Moreover, personal just world belief significantly predicted self-esteem, neuroticism, and parent justice experience. This pattern of results persisted when general just world belief effect were controlled. Overall, these results in this study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BJWS, and it was expected that the BJWS could be utilized to measure the belief in a just world for adolescents in educational context.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3개 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399명의 설문자료를 토대로 청소년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는 ‘개인적 믿음’ 요인과 ‘일반적 믿음’ 요인 총 2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척도의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인적 믿음’ 요인(6개 문항)과 ‘일반적 믿음’ 요인(5개 문항)으로, 총 11개 문항, 2개의 하위요인으로 본 척도가 적합하게 구성되어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본 척도의 수렴 타당도 검증 결과, 본 척도는 자아존중감 및 부모 정당성 경험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신경증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 요인과 ‘일반적 믿음’ 요인이 서로 구별되는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신경증성 및 부모 정당성 경험에 대한 본 척도의 예측력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믿음’ 요인의 예측력은 ‘일반적 믿음’ 요인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타당도가 입증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가 국내 교육 환경에서 청소년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The Influence of Juvenile Justice Workers on Delinquent Youths’ Treatment Motivation

        Elana Grissom,조윤정(YoonJung Cho) 한국교정복지학회 2023 교정복지연구 Vol.- No.8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직 근로자의 지능신념(향상신념, 고정신념)과 성취목표(숙달목표, 수행목표)가 비행청소년의 비행 행동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치료 프로그램 참여 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있다.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교정직 근로자의 숙달 목표는 비행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숙달목표 및 수행목표 지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정직 근로자의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은 비행청소년의 수행목표 지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정직 근로자의 지능에 대한 향상 신념은 교정직 근로자의 수행목표가 비행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숙달목표와 수행목표 지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정직 근로자가 지능에 대한 향상 신념이 높을수록 교정직 근로자의 수행목표가 비행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숙달목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고 수행목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linquent youths’ perceptions of juvenile justice system(JJS) workers’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s on youths’ motivation to complete delinquency-reduction treatment programs. Results revealed that delinquent youths’ perceptions of JJS workers’ mastery goals positively influenced their self-efficacy, mastery and performance goals. Additionally, workers’ entity theories of intelligence positively affected youths’ performance goals. Notably, thre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emerged between JJS workers’ incremental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performance goals, influencing youths’ treatment motivation.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JJS workers’ performance goals and delinquent youths’ self-efficacy varied by youths’ perceptions of workers’ incremental beliefs. Second, JJS workers’ incremental beliefs moderated the effect of workers’ performance goals on youths’ mastery goal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s’ performance goals and workers’ performance goals varied depending upon workers’ endorsement of incremental beliefs.

      • KCI등재

        중학생의 피해자 정의민감성,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분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소영,이승연,이유미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3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victim justice sensitivity and personal belief-in-just-world contribute to middle school students’ reactive aggression. In this process, anger was considered as a mediator. For this purpo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the self-report data of 295 students in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The results indicated the partial mediation of anger appears in the relation between victim justice sensitivity and reactive aggression while the complete mediation occurs in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 belief-in-just-world and reactive aggression. In other words, strong tendency to consider themselves as victims of unjust situations predicted increased anger, which contributed to more reactive aggression. Victim sensitivity itself predicted the increase of reactive aggression directly. On the other hand, strong belief that they are treated fairly by this world was associated with reduced reactive aggression only through the decrease of anger. Finally,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middle schoolers’ reactive aggress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개인적 공정세상신념이 분노를 통해 어떻게 반응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설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 세 개 중학교의 1-3학년 295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반응적 공격성 간의 관계를 분노가 부분매개하였으며,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반응적 공격성 간의 관계를 분노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이 불공정한 상황의 피해자라고 인식하는 경향성이 강한 것은 분노의 증가와 연합되고 결과적으로 반응적 공격성에 기여하였으며, 피해자 정의민감성은 반응적 공격성을 직접적으로도 예측하였다. 한편, 자신이 공정하게 대우받고 있다는 주관적 믿음이 강한 것은 분노의 약화를 통해서만 반응적 공격성 감소와 연합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을 줄이기 위한 개입 전략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능력주의 신념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백병부(Baek, Byoung-Bu),심재휘(Shim, Jaehwee)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2020년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수집한 조사연구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 능력주의 현실 인식, 사회적 약자 편견/혐오 실태 인식, 분배 원칙 선호 유형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우리 사회에서 능력주의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다는 믿음을 강하게 갖고 있었다. 반면 이들 청소년들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과 혐오는 상대적으로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배원칙에 대한 선호 유형에서도 주관적 계층의식 수준에 따라 ‘능력 > (기계적) 평등 > 필요’의 순으로 선호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보는 청소년들은 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분배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차적으로는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동시에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보는 학생들은 분배 과정에서 능력주의를 관철하는 것보다는 필요의 원칙을 배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수행한 다집단분석에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정의교육이 주관적 계층의식에 따른 사회적 약자 편견/혐오 실태 인식을 완화하는 동시에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믿는 정도가 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분배를 선호하는 것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 정당화 이데올로기로서의 능력주의 신념에서 드러나는 계층편향성을 극복하고 학교를 ‘위대한 평등장치’로 복원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s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s subjective social status, perception of meritocracy,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preferences of distribution principles using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in 2020.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the stronger the belief of meritocracy being realized in our society.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se students don’t take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relatively seriously. In the preferences of distribution principles, a hierarchic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order of ‘ability > (mechanical) equality > ne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confirming the class biases of meritocracy beliefs.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with a strong perception of meritocracy prefer the principle of equity as the principle of distribution. This result can be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of this study. At the same time, this result suggests that students who view our society as a meritocracy society are more interested in excluding the principle of necessity than implementing meritocracy in the distribution process. Finally, in the multi-group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social justice education alleviates the class biases in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ile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meritocracy and the preference for equity principle of distribu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some measures are proposed to overcome the class biases revealed in the meritocracy belief and to restore the school as a great equalizer .

      • KCI등재후보

        폴 틸리히에게 있어 믿음의 실존적 의미: 사랑, 힘, 정의와의 관계 속에서

        윤성련(Yoon SungRyun) 한국기독교철학회 2021 기독교철학 Vol.31 No.-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 전통에서 연역적인 방법으로 논해져왔던 믿음의 개념을 인간의 삶의 측면에서 바라보고자하는 데 있다. 특히 기독교 전통신학을 현대시대와 화합시키고자 했던 폴 틸리히의 『사랑, 힘 그리고 정의』를 통해서 개인과 사회에서의 믿음이 어떤 모습으로 실존할 수 있는가를 논해보려는 작업이다. 우리에게 믿음을 요구한 존재는 하나님이다. 그러나 그 믿음을 실재로 살아가야 하는 것은 인간의 몫이기에 우리의 삶의 문제일 수밖에 없다. 그러한 삶의 현장에서 믿음을 다시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 실존신학이라 하겠다. 실존이라 함은 삶의 현상을 직시하고자 하는 운동이며 추상적 정신작용에서 벗어나 현 사태를 정직하게 맞이하는 것이다. 아직도 교회는 성과 속을 가르는 일에 익숙하고 그 용어조차도 일상과의 이질감이 크다. 그러므로 거룩함이 일상이 되고자 하는 노력이 현대인의 신앙을 위해 필요하며 무엇보다 지금 우리의 시대를 종교적 믿음과 어떻게 화해시킬 수 있을까에 대한 연구가 확장되어야 한다. 믿음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비그리스도인과도 대화할 수 있는 보편적 언어의 구사는 종교인이 지녀야할 덕목이다. 틸리히는 믿음의 의미를 실존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우리에게 그 길을 내어준다. 게다가 믿음으로 사는 삶의 자리에서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해야할 구체성을 사랑, 힘, 정의의 존재론적 탐구로 실제적인 신앙인의 삶의 길을 제시한다. 이는 개인을 넘어서 공동체와 인류를 위한 하나님 나라의 구체적 모습을 현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at the concept of faith, which has been discussed in a deductive way in the Christian tradition, in terms of human life. In particular, it is a work to discuss how faith in individuals and society can exist through Paul Tillich s 『Love, Power, and Justice』, which tried to harmonize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with the modern era. It is God who demands faith from us. However, it is a matter of our lives because it is up to humans to live that faith in reality. It can be said that existential theology is trying to revisit faith in such a field of life. Existence is a movement that seeks to face the phenomena of life, and is an honest encounter with the current situation, freeing from abstract mental processes. Still, the church is accustomed to separating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and even the term has a strong sense of disparity from everyday life. Efforts to make holiness a daily life are necessary for the faith of modern people, and above all, research on how to reconcile our times with religious beliefs must be expanded.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faith and the use of universal language to communicate with non-Christians are virtues for religious people. Tillich gives us the way by existentially interpreting the meaning of faith. In addition, in the place of life by faith, it presents the practical path of life of believers through an ontological search of love, power, and justice for the concreteness that we must ultimately pursue. It reveals the concrete picture of the kingdom of God for the community and mankind beyond the individual.

      • KCI등재

        Navigating social justice literacies: the dynamics of teacher beliefs in teaching for social justice

        Hyunhee Cho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9 No.4

        Social justice and equity have become indispensable to the critical lexicon of education scholars around the globe. By combining a theory of teaching for social justice with complexity theory perspectives, this study explores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social justice teaching in relation to practices and contexts.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findings illuminate the dynamics of teachers’ beliefs in social justice teaching, with focus on dilemmas caused by (1) tensions within the individual teachers’ beliefs about what one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to promote social justice and (2) tensions between the teachers’ beliefs in social justice teaching and the given context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a democratic school context and teacher reflections collectively contribute to building a more integrative view on social justice teaching. By connecting the teachers’ unique experiences of being involved in social justice teaching with existing scholarship across nations, recommendations for teacher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 policies are provided.

      • KCI등재

        2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공감 능력, 사회정의 실천,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박소현(So Hyeon Park),장진이(Jin Yi Ja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3 발달지원연구 Vol.12 No.3

        이 연구는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공감 능력, 사회정의 실천,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20대 성인에 해당하는 41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382명의 자료를 SPSS 23.0과 AMOS 23.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공감 능력, 사회정의 실천, 삶의 만족도와 정적 관련성을 나타냈다. 둘째, 성별과 차별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차별 경험이 있는 여성 집단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이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최종모형 검증 결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공감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공감 능력은 사회정의 실천에 정적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도 수준을 높이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개인의 심리적 자원이자 전체 사회를 위한 선순환 고리의 자원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al relationship among belief in a just world, empathy, social justice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411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ultimately, 382 sets of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elief in a just world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 social justice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lief in a just world among groups composed of men and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Third, belief in a just worl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directly and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empathy and social justice commitment success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mphasized that belief in a just world can be both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resource and a resource of virtuous cycle for the entire society, and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고등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교 참여 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 정당성 경험과 교사-학생 관계의 매개효과

        정은교(Eunkyo Jung),안도희(Doehee Ah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교 참여의 관계에서 교사 정당성 경험과 정서적인 측면의 교사-학생 관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성차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 총 383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강할수록 학교 참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교사 정당성 경험을 매개로 교사-학생 관계를 강화시키고, 교사 정당성 경험은 교사-학생 관계를 매개로 학교 참여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여학생(N=213)의 경우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교사 정당성 경험과 교사-학생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하여 학교 참여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남학생(N=168)의 경우에는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교사 정당성 경험과 교사-학생 관계가 순차적으로 완전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학교 참여로 연결되는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이 지닌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교육적 순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er justice experience and their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links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school engagements, along with gender differences. The participants were 383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the students believed in a just world, the more they engaged in school life. In addition, the effect of belief in a just world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fully mediated by teacher justice experience,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lso mediated association between teacher justice experience and school engagement. In particular, for female students(N=213), the belief in a just world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school engagement mediated by students’ experience of teacher justic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order. On the other hand, for male students(N=168), the influence of belief in a just world on school engagement was fully mediated by teacher justice experience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sequence. The results that belief in a just world had different path to school engagement by gender c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beneficial effect of belief in a just world in education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