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효와 지눌의 만남과 대화 ― 지눌에 끼친 원효의 영향을 중심으로 ―

        김방룡 ( Kim Bang-ryong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9 불교 철학 Vol.5 No.-

        본고는 원효와 지눌의 사상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원효와 지눌은 한국불교의 큰 특징 중의 하나인 회통사상을 구축한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효의 사상이 지눌에게 어떻게 계승되었는가 하는 점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지눌의 저술 속에 인용된 원효의 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지눌의 사상에 끼친 원효의 영향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지눌의 저술 가운데 원효의 글이 직접적으로 인용되고 있는 것은 『권수정혜결사문』·『원돈성불론』·『간화결의론』·『절요사기』 등으로 원효에 대한 영향을 분명 받고 있긴 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지눌의 사상체계 내 속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은 혜능이며, 다음으로 이통현과 대혜 종고이다. 그리고 하택신회와 규봉 종밀의 사상이 그 다음을 차지한다. 지눌에게 있어서 원효의 위상은 이러한 인물 다음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불교사상사에 있어서 원효와 지눌 사상 간의 내적 유기성을 밝히는 작업은 중요한 과제이다. 본고에서는 이에 관한 몇 가지의 생각들을 앞으로 과제로 소개하였다. 지눌의 저술 속에 나타난 원효의 인용문을 분석하는 작업은 앞으로 이에 관한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terconnected relationship with Wonhyo’s and Jinul’s thought. Wonhyo and Jinul are commonly known as representative monks building harmonization thought, a great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However the researches are weak on the problem of how Wonhyo’s thought was succeeded to Jinul. Having this critical mind, this paper analyzed the concrete content about Wonhyo’s writing quoted in Jinul’s writing and considered how Wonhyo influenced on Jinul’s thought. Jinul quoted Wonhyo’s writing derectly. Among Jinul’s writing, 『Gweonsujeonghyegyeolsamun』, 『Wondonseongbulron』, 『Ganhwagyeoleuiron』, 『Jeolyosagi』, etc. are influenced by Wonhyo, but its effect is not absoulete. It was Hyeneung who had the most influence on Jinul’s thought system and followed by Leetonghyeon and Daehye Jongko. Hataek Sinhoei and Gyubong Jongmil also has a lot of influence on it. Wonhyo’s status in Jinul’s thought is after these figures. However with regard to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important that we discover the inner connection between Wonhyo’s and Jinul’s thought. In this paper the writer introduced a few ideas as future tasks about the connection. The analysis work on Wonhyo’s quotation in Jinul’s writing is crucial groundwork to study the future tasks about it.

      • KCI등재

        보조사상과 교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향 - 화엄교학을 중심으로 -

        박보람(Park, Bo Ram)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0 No.-

        이 글은 보조사상연구원 설립 30주년을 맞이하여 그간 연구원이 수행한 다양한 연구 활동 가운데 교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보조사상 연구를 회고 하고 전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그 기준이 되는 개념들, ‘보조사상 연구’와 ‘보조사상연구원’ 그리고 ‘회고’와 ‘전망’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조사상과 교학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 둘 사이의 관계도 여러 분야에서 다룰 수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교학 가운데 보조 지눌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는 화엄교학에 초점을 맞추어 이통 현과 지눌의 화엄과 의상/법장-징관으로 대표되는 이른바 주류 화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향을 회고하고 이에 대한 과제를 전망하였다. 지눌의 선교 관계에 대한 이통현의 영향을 논구하는 『보조사상」의 논문 들을 정리하면 세 가지 방향을 볼 수 있다. 첫째, 지눌이 법장, 징관을 중심 으로 하는 주류 화엄교학-여기에는 묵시적으로 의상도 포함된다.-의 이론 적, 현학적 경향을 비판하고 이통현의 실천적 화엄성기설을 위주로 받아들 였다는 설이다.([의상/법장→징관] ≠ [이통현→지눌]) 둘째, 지눌이 법장, 징관의 이론적 화엄교학을 비판하고 이통현의 실천적 화엄을 받아들였 다는 점은 첫째 주장과 동일하지만 의상의 화엄성기설을 법장, 징관의 이론적 화엄교학과 분리시켜 이통현의 화엄설과 연계시킨 후 의상-이통현-지눌의 사상적 계보를 주장한다.([법장→징관] ≠ [의상→이통현→지눌]) 셋째, 지눌이 비판한 연기설 중심의 화엄설은 법장, 징관의 화엄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 경우 지눌은 주류 화엄에 대해서 비판한 것이 아니라 아류의 당시 화엄을 비판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의상과 법장, 징관의 화엄이 하나로 묶여 이통현-지눌의 화엄설과 다시 연계될 가능성이 생겨난다.([당시 아류 화엄] ≠ [이통현→지눌] ≈? [의상/법장→징관]) 이러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필자는 앞으로의 과제로서 위에서 언급한[이통현→지눌]의 화엄과 [의상], [법장→징관]의 화엄의 관계에 대한 보다 철저한 규명과 함께 [이통현]과 [지눌]의 부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paper recollects and prospects of the study on Bojo thought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Buddhist doctrinal teachings among various research activities carried out by Bojo Thought Research Institution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an be dealt with in various field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Huayan thoughts, which is considered to have had the great influence on Bojo Jinul(普照知訥). Specifically, I evaluated the results of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ayan thoughts of Litongxuan(李通玄) and Jinul and the so-called mainstream Huayan thoughts represented by Uisang, Fazang, and Chengguan and then raised the remaining tasks. There are three directions to summarize the articles of Bojo Thought which discuss the influence of Litongxuan on Jinul. The First is that Jinul criticized th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tendency of the mainstream Huayan thoughts of Fazang and Chengguan - implicitly including Uisang here - and adopted thepractical Huayan of Litongxuan.([Uisang/Fazang→Chengguan] ≠ [Litongxuan→Jinual]) The Second is the same as the first claim that Jinul criticized Fazang and Chengguan and accepted Litongxuan. However, the second argument separated Uisang’s Huayan thoughts from those of Fazang and Chengguan and then linking Uisang’s Huayan with Litongxuan’s one, insists on the ideological lineage from Uisang to Litongxuan to Jinul.([Fazang→Chengguan] ≠ [Uisang→Litongxuan→Jinul]) The third argument is that Jinul s criticism is not about Fazang and Chengguan. In this case, Jinul was not criticizing the mainstream, but criticizing the epigone of Fazang and Chengguan at that tim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isnag/Fazang→Chengguan] Huayan will be tied together and reunited with [Litongxuan→Jinul] Huayan.([Epigone] ≠ [Litongxuan→Jinul] ≈? [Uisang/Fazang→Chengguan]) Based on these researches, I raised the necessity of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ayan thoughts of ① [Litongxuan→Jinul] and ② [UIsang] and ③ [Fazang→ Chengguan] as future tasks.

      • KCI등재

        지눌(知訥)의 이통현(李通玄) 사상 수용과 선교일치(禪敎一致)

        이유진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4

        Jinul(知訥, 1158~1210) was a figure who sought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Seon(禪, in Chinese, Chan) and Gyo(敎, in Chinese, Jiao) with his own Seon Gyo Congruence Theory(禪敎一致)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when the conflict had been intensified. The Fact that Jinul forms his philosophical framework centered on Li Tong-xuan(李通玄, 635?~730?)’s thought is often referred as a unique aspect. It is due to the fact that Li Tong-xuan’s thought is a non-mainstream unlike mainstream such as Fazang(法藏, 643~712). However, if you look at the background of Jinul’s acceptace of Li Tong-xuan’s thought, you can see that there was a natural series fo processes. Li Tong-xuan emphasized the equality between the sentient being(衆生) and the Buddha through the concept of Genben-puguang-mingzhi(根本普光明智, the Fundamentally Clear knowledge of Universal Illuminati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his thought showed an affinity with Seon, and was accepted by various Buddhist monks around the time of the emergence of the Seon Gyo Congruence Theory. Yongming Yanshou(永明延壽, 904~975), which Jinul significantly quoted from his early writings, also quoted the Xin-huayan-jinglun(新華嚴經論, The Commentary on New Huayan Sutra) a lot in Zongjing-lu(宗鏡錄, Records of the Source-Mirror). Jinul seems to have been sensitive to trends in Chinese Buddism from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to Song Dynasty through Zongmi(宗密, 780~841) and Yongming Yanshou. That currents were the Seon Gyo Congruence Theory and the Fusion of Different sects(諸宗融合). Jinul became interested in Huayan(華嚴, in Sanskrit, Avataṃsaka) and also encountered Li Tong-xuan’s thought through the writings of Yongming Yanshou. After reading the Xin-huayan-jinglun, Jinul realized that Seon and Gyo were consistent and insisted on the Seon Gyo Congruence Theory. It was firmly established by writing Wondon-seongbul-lon(圓頓成佛論, The Complete and Sudden Attainment of Buddhahood). Misundertanding of Seon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Huayan-jing are what makes Seon and Gyo at odds. Therefore, the fact that Seon and Gyo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proved by the concurrence of the Li Tong-xuan’s Huayan-jing(華嚴經, the Avataṃsaka-Sūtra) interpretation and Chan school. Jinul actively interpreted and accepted Xin-huayan-jinglun and completed his Seon Gyo Congruence Theory. According to Jinul’s interpretation, Li Tong-xuan’s thought is ‘Dunwu(頓悟,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Xingqi(性起, nature origination)’. This is linked to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mind itself is Buddha(卽心卽佛)’ in Chan school. In short, Jinul’s Seon Gyo Congruence Theory was completed by sublimating the phrase that Jinul found in Li Tong-xuan’s Huayan thought into the language of Chan school. 지눌(知訥)은 선과 교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던 고려말에 선교일치(禪敎一致)를 선양하며 선교의 대립을 해소하려 한 인물로, 그 사상의 교학적 근거는 당대(唐代) 법장(法藏)과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인물인 이통현(李通玄)의 화엄 사상이다. 지눌이 이통현의 사상을 중심으로 사상체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은 종종 지눌의 독특한 일면으로 언급되곤 하는데, 이는 이통현의 사상이 법장 등 주류 화엄과는 다른 독자적인 화엄 사상이라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지눌이 이통현 화엄 사상을 수용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여기에는 자연스러운 일련의 과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통현은 근본보광명지(根本普光明智)라는 개념을 통해 중생과 부처의 동일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러한 특성상 선과의 친연성을 보이며 선교일치 사상이 등장할 무렵에 여러 조사에게 수용되었다. 지눌이 초기 저술부터 중요하게 인용하고 있는 영명 연수(永明 延壽) 또한 종경록(宗鏡錄) 에서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 을 다수 인용하고 있다. 지눌은 종밀과 연수 등을 통해 선교일치와 제종융합(諸宗融合)이라는 오대(五代)~송대(宋代) 불교계의 사상적 동향을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리고 연수의 저술을 통해 화엄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통현의 존재 또한 알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신화엄경론 열람 후 지눌은 선과 교가 일치함을 온전히 깨닫고 선교일치를 주장하였다. 이는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을 통해 공고히 정립되었다. 선과 교가 대립하는 건 선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화엄경 의 종취에 대한 다른 해석 때문이다. 그러므로 선교가 다르지 않음은 이통현의 화엄경 해석과 선종에서 말하는 바가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증명할 수 있다. 지눌은 신화엄경론 을 적극 해석하고 수용하며 선교일치를 완성하였다. 지눌에 따르면, 이통현의 화엄 사상은 ‘돈오(頓悟)’와 ‘성기문(性起門)’이다. 이는 선종의 ‘돈오’와 ‘마음이 곧 부처’[즉심즉불(卽心卽佛)]와 연결된다. 요컨대, 지눌이 선양한 선교일치는 지눌이 이통현의 화엄사상 속에서 찾아낸 구절을 선종의 언어로 승화해냄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 KCI등재

        북미불교에서 보조 지눌에 대한 인식과 이해

        김지연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9 No.-

        The research on Jinul (知訥, 1158-1210) is a big part of the field of the Korean Buddhist study in North America. The books written by Jinul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Then the thought of Jinul was studied by many scholars: Sung-bae Park, Hee-sung Keel, Kun-ki Kang, Jae-ryong Shim, Buswell E. Robert Jr., Peter N. Gregory, Robert M. Gimello, Ronald J. Daziwnka, Thomas F. Cleary, Jin Y. Park, Chan-ju Mun and so on. Through their writings on Jinul in North America, this study examines how researchers of this area understand Jinul. First, I considered scholarly evaluation of Jinul. Second, I introduce the representative understanding by the scholars who study Jinul in North America, especially focusing on the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with Inserted Personal Notes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Third, I treat the influence of the studies on Jinul of the North America. It makes the understanding of the Jinul's thought to be broaden and deepen. 불일보조국사(佛日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은 북미 불교학의 한국불교 연구 분야에서 원효(元曉, 617-686)와 함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권수정혜결사문(勸修定慧結社文)』을 비롯한 지눌의 저술이 영역되어 출판되었고, 그의 사상에 대해 박성배, 길희성, 강건기, 심재룡, 로버트 버스웰, 피터 그레고리, 로버트 지멜로, 로날드 다진카, 토마스 클리어리, 박진영, 성원 등이 연구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북미지역에서 이루어진 지눌에 대한 저술과 논문을 통해 북미연구자들이 지눌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고찰하였다. 우선 지눌에 대한 북미학자들의 평가를 살펴보았다. 첫째로 지눌은 중국에서 수학하지 않은 한국의 독자적 불교 전통을 형성한 인물이다. 둘째로 그는 선불교를 포함한 한국 불교 전통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셋째로 지눌의 돈오점수(頓悟漸修)의 수증론은 한국불교의 핵심 중 하나가 된다. 넷째로 그의 사상적 특징은 정혜쌍수(定慧雙修)로 표현되는 선과 교의 통합에 있다. 다음으로 지눌의 저술에 대한 북미연구자들의 해석을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이하 『절요』로 약칭)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북미불교학에서 지눌에 대해 많은 연구성과를 낸 박성배와 로버트 버스웰의 견해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박성배는 『절요』가 단순히 종밀의 방대한 책을 간추린 것이므로, 어디까지나 ‘절요’일 뿐이라고 말한다. 반면에 로버트 버스웰은 『절요』를 모든 동아시아 불교문헌 전통에서 가장 완벽하고 통찰력 있는 것 중 하나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눌이 후대에 미친 영향을, 북미를 제외한 다른 지역의 불교학 영역과 다른 학문분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와 같이 북미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지눌의 사상이 성리학 등의 동양철학과 신학을 포함한 서양철학과 만나게 되면서, ‘한반도’와 ‘고려’라는 지형적이고 시대적인 경계를 벗어나 지눌의 사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중기 지눌 사상의 전승 양상

        손성필(Sohn Seong phil)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4 No.-

        지눌 사상의 계승 및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인적 계승 관계를 통한 연구 방법, 둘째, 저술 내용분석을 통한 연구 방법, 셋째, 서적 전승 양상을 통한 연구 방법이다. 이 세 가지 연구 방법 중 어떤 방법을 택하느냐에 따라 조선시대 지눌 사상의 계승과 영향에 대한 평가는 달라진다. 첫째, 인적 계승 관계를 통해 연구할 경우, 조선후기 불교계가 임제태고법통설을 수용하여 조선전기 불교사를 그 법통에 따라 재구성하였으므로, 고려말 임제 법통 수용 이전의 전통인 지눌 사상은 계승되기 어려웠다고 파악될 수밖에 없다. 반면, 둘째와 셋째의 저술 내용이나 서적 전승의 분석을 통한 방법을 통해 볼 때 지눌 사상의 영향력은 상당하였다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 조선초기의 기화, 조선중기의 휴정의 저술에 나타나는, 간화선을 중시하면서도 돈오점수와 선교겸수를 지향하는 사상 경향은 지눌의 사상적 영향력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런데 16세기는 불교서적 간행이 급증하면서 비로소 불서의 간행량 분석을 통해 불교계 사상 경향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게 된 시기이다. 간행 서적을 통해 불교 사상의 전승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시기인데, 이 시기에 지눌이 저술하거나 중시한 서적이 다량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간행 불서 및 관련 기록의 분석을 통해 볼 때, 고려중기 이래 주요 사상 전통으로 전승돼 오던 지눌의 사상은 16세기 초 지엄에 의해 수용돼 강학체계 형성의 토대가 되었으며, 이 강학체계는 16세기 후반 휴정과 선수 등의 영향력 아래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17세기에 이 강학체계는 휴정과 선수의 문도들에 의해 이력과정으로 확립되어 보편적으로 수용돼 갔고, 조선후기 불교계의 특징적인 사상 체계로서 전승되었다. 이러한 조선중기 지눌 사상의 전승 양상은 고려 중기의 불교 사상가인 지눌의 사상이 조선초·중기에 면면히 전승되어 조선후기 불교를 태동시키는 토대가 되었고, 조선후기 불교는 다시 근현대 한국 불교의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불교사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눌 사상의 전승 양상은 15·16세기 불교정책에 따른 사상 전통의 단절, 임제 법통을 통한 명맥의 유지, 임진왜란 이후의 불교계 부흥 등과 같은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조선시대 불교계가 기존의 사상 전통을 능동적으로 계승하면서 이를 토대로 새로운 사상 전통을 창출하고 있었음을 실증하는 사례로서도 그 의미가 크다. 그러므로 법통 중심의 불교사 인식에서 벗어나 사상 전승의 구체적 양상에 대한 연구가 심화됨으로써 조선시대 및 한국 불교사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xisting research has identified three methods to understand succession and influence of Jinul’s thought. The first method examines human succession relations, the second written content, and the third aspects of publications transmission. The assessment of the succession and influence of Jinul’s thought is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of these three methods is used. It has been argued that the impact of Jinul’s thought was not great in the Joseon period, because most existing research uses the first method. During the middle of Joseon period the number of Buddhist publications increased rapidly. This enables to study how Buddhist thought chang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a large amount of publications was issued, which was written or considered as important by Jinu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uccession of different thoughts related to Jinul’s.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of the Joseon period, the policy for Buddhism was changed and the Buddhist community was re-organised. It can be argued that this re-organization to the character of the late Joseon period actively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thought of the Koryeo period. This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that regards Buddhist thought of Koryeo as discontinu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spect of Buddhist publications and records in the mid-Joseon period, it can be argued that the thought of Jinul, which was the major thought since the mid-Koryeo period, was adapted by Ji-eom in the early 16th century, which was then spreaded by Hyu-jeong and Seon-su in the late 16th century. After the 17th century it was established as the course of I-ryeok by followers of Hyu-jeong and Seon-su and spreaded further. As a result, the thought of Jinul succeeded as a specific Buddhist ideology in the late Jeseon period. This shows that Jinul’s thought from the mid Koryeo continuously spread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and became the basis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process is very important for the meaning of modern Buddhism, because the Buddhism from the late Joseon period contributed to establish modern Buddhism.

      • KCI우수등재

        북조선의 지눌 연구 동향과 그 의미

        박보람 한국철학회 2023 철학 Vol.- No.157

        이 글은 보조국사 지눌과 그의 사상에 대한 북조선의 연구 동향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북조선의 지눌 연구를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네 시기로 나누어서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북조선의 지눌 연구는 계급성과 역사주의 원칙이라는 대전제를 바탕으로 한 통일성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통일성이란 북조선의 입장에서 불교는 착취계급의 반동적 사상이며 이것이 모든 지눌 연구에서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가리킨다. 다만 시기에 따라서, 특히 2000년 이후에 지눌의 사상을 제한적으로나마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미세한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북조선의 지눌 연구를 남한의 관련 연구와 거칠게 비교하면 북조선은 기본 연구 원칙에 따라 체계적인 반면 남한은 그러한 원칙, 체계에는 별다른 관심이없다. 또한 북조선의 지눌 연구가 부정적 평가와 비판에 몰두한다면 남한의 연구는 이해와 긍정, 때로는 선양에 매달린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가 둘 사이의대화를 통해서 서로를 보완할 수 있는 지점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nd meaning of North Korea on Jinul and his ideas. To this end, the Jinul study of North Korea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and each characteristic was examined. North Korea’s Jinul study is characterized by unity based on the premise of classism and historicalism. From the standpoint of North Korea, Buddhism is an ideology of the class of exploitation, and this position is common in all studies on Jinul. However, depending on the period, especially after 2000, there are subtle changes that give a limited positive evaluation of Jinul’s thoughts. A rough comparison between North Korea’s research on Jinul and South Korea’s research is characterized by unity in North Korea and diversity in South Korea. In addition, if the study of Jinul in North Korea is immersed in negative evaluation and criticism,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of South Korea clings to understanding, affirmation, and sometimes praise. This difference is thought to be the point where the two can complement each other through dialogue.

      • KCI등재

        『계초심학인문』의 수행론

        김부용(Kim, Boo Yong)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3 No.-

        지눌(知訥, 1158-1210) 선사의 일생은 정혜결사로 대표된다. 선사는 팔공산 거조사와 조계산 수선사 두 곳에서 정혜결사를 이어갔다. 선사가 다시 시작했던 수선사 결사는 이전과 달랐다. 선사의 비문에 언급하지 않은 수선사 정혜결사의 변화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청규에 의거한 대중의 일상 수행이 가르쳐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밝혔듯이, 『계초심학인문』은 결사에 참여한 대중의 일상 규범을 담은 수선사 청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초심학인문』의 성격은 단순한 규범서에 그치지 않는다. 지눌 선사가 찬술한 목적을 중심으로 새롭게 바라보면, 이 책은 선사의 여타 저술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돈오수행으로서의 정혜수행과 자리이타의 보현행 등의 법풍이 온전히 담긴 수행서임을 알 수 있다. 『계초심학인문』은 출가자와 재가자 누구나가 참여할 수 있었던 정혜결사의 성격에 맞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책은 결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지켜야할 내용과 특별히 출가자를 경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모두에게 해당하는 내용은 서언과 결어 부분, 그리고 ‘주사당’ 이하 ‘종사의 설법’과 관련한 내용 등이다. 출가자에게 경계한 본문은 출가자의 마음가짐과 계행의 근본을 나타낸 부분 그리고 대중생활의 일상을 경계한 내용으로 구분되며, 대중생활의 일상은 다시 여섯 가지 내용으로 나누어진다. 다시 모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주사당’ 이하의 내용을 ‘사당에 머무를 때’의 경계와 ‘종사께서 설법 할 때’ 유의해야할 내용으로 나눈 것은 이 내용이 지닌 의미가 특별하기 때문이었다. 『계초심학인문』에서 지눌 선사의 수행법풍이 담겨있는 내용은 ‘종사의 설법을 들을 때’와 ‘법당에서 내려와서 자기 점검을 할 때’의 경계 부분이다. 이 중에서도 특히 ‘기발(機發)’과 ‘정혜원명(定慧圓明), 견자심성(見自心性), 환도중생(還度衆生)’ 등의 구절이 담긴 문장이다. 이들 용어는 『계초심학인문』을 통해서 지눌 선사가 이루고자 했던 수행의 이상을 표현한 것이었다. 또한 이 이상은 선사가 정혜결사를 통해서 이루고자했던 수행의 목적이었다. ‘기발’하는 순간이 바로 ‘정혜원명’의 순간이며 ‘견자심성’의 순간이기 때문이다. 돈오견성이 바로 이 순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는 지눌 선사의 돈오 수행의 근본을 담은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환도중생’으로 인천의 복전이 되는 데까지 나아가면, 자리와 이타로 보현행을 성취하는 불교의 이상을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계초심학인문』은 단순한 규범서에 그치지 않는다. 이 책은 지눌 선사의 돈오수행, 정혜수행의 법풍이 온전히 담긴 수행서라고 할 수 있다. Seon master Jinul(知訥, 1158~1210)’s life is represented by the Compact of the Samādhi and Prajñā Society(定慧結社). The master continued the compact of the society at Geojosa on Palgongsan(八公山居祖寺) and Suseonsa on Jogyesan(曹溪山修禪寺). One of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compact of the society at Suseonsa, which is not mentioned in the epitaph, is that the daily routines of the public were taught based on Qinggui(淸規, the Clean Rules). It is because Gye-chosim-hagin- mun(誡初心學人文, Admonitions to Neophytes, GCHM) is Qinggui of the compact of the society at Suseonsa which has the common norms of the public who participated in the compact by referring to the important points. However, the nature of GCHM does not stop at mere normative books. Looking back at Jinul’s purpose for this book, it can be seen that this book is a book on the practice that contains his whole dharma tradition. The GCHM was tailored to the nature of the compact, where renunciant monks and lay people could participate altogether. The book consisted of content that everyone in the compact should obey and specially targeted at renunciant monks. In this book, the contents for everyone are preface, conclusion, and the parts related to ‘the preaches by a genuine master(宗師)’ after ‘residing in the retreat-society hall(住社堂)’. The part that gives attention to renunciant monks is divided into the part representing a mental attitude of renunciant monks and the basis of the precepts and the daily life of the public life and The daily life of public life is divided into six contents again. The reason why the contents for everyone after ‘residing in the retreat-society hall(住社堂)’ are divided into the contents of the realm when residing in the retreat-society hall and the contents to be careful when a genuine master preaches is because the meaning of these contents is so special. In the GCHM, the part on Jinul’s practice tradition is the part of the realm ‘when hearing preaches of a genuine master’ and ‘when he comes down from the dharma-hall and self-checks’. This is especially true of sentences containing phrases such as ‘arousal of spiritual faculties(機發)’, ‘samādhi and prajñā become consummately bright(定慧圓明)’, ‘[you will] see [your] own mind-nature(見自心性)’, ‘in turn ferry across sentient beings [to salvation](還度衆生)’. These phrases represent the ideal of practice that Jinul wanted to achieve through GCHM. This ideal is also the purpose of practice that Jinul wanted to achieve through the compact of the society. Because the moment of ‘arousal of spiritual faculties(機發)’ is the moment when ‘samādhi and prajñā become consummately bright(定慧圓明)’ and it is the moment when ‘[you will] see [your] own mind-nature(見自心性)’. Sudden awakening(頓悟) by seeing the nature(見性) takes place at this very mo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is is the basis of Jinul s practice on sudden awakening. Moreover, if you go to the state of becoming a great field of merit(福田) for humans and divinities(人天), it is the completion of Buddhist ideals that fulfill Samantabhadra’s practices with benefitting yourself and benefitting others. Therefore, GCHM is not just a book on norms. This book can be said to be a book on the practice completely containing Jinul’s traditions about practice on sudden awakening and practice by samādhi and prajña.

      • KCI등재

        『수심결』에 나타난 지눌의 교육방법 고찰

        신희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usimgyeol , which is developed through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9 questions and 9 answers’ as an educational dialogue, and analyze the form and method flowing through the dialogu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Bojo-Jinul focus on Jinul's thoughts. His core ideology can be summarized as Gongjeokyoungji(空寂靈知), cultivation of both samādhi and prajña(定慧雙修),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is corresponds to the main topic of conversation, the ‘content’ aspect of education. However, the main interest of this study is “Why did Jinul teach these core ideas in a question-and-answer format of ‘9 questions and 9 answer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e researcher called Seon master Jinul as a model for modern teachers and considered specific teaching methods such as lecture and question-and-answer methods in Susimgyeol . Through this process, meaningful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modern education were revealed. Jinul was a Seon(禪) Buddhism master who wanted to convey the Buddha's heart directly, but above all, this study reveals that he is a teacher who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self-evident knowledge in learning. 본 연구는 ‘9문9답’의 문답으로 전개되는 수심결 을 교육적 대화로 보고 대화에 흐르는 형식과 방법을 분석하여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조 지눌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전 연구들은 지눌의 사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핵심사상은 공적영지심, 정혜쌍수, 돈오점수로 정리할 수 있다. 교육적 측면에서 보면 이것은 대화의 주요 주제 즉, 교육의 ‘내용’ 측면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주요 관심은 ‘지눌 선사가 이러한 핵심사상을 왜 9개의 질문과 9개의 답이라는 문답 형식으로 가르쳤는가?’에 있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지눌 선사를 현대 교사의 귀감자로서 불러내어 수심결 에 나타난 강의법과 문답법과 같은 구체적인 교육방법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서 현대 교육의 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교수학습 원리를 밝혔다. 지눌은 부처의 마음을 직접 전하고자 했던 선(禪)불교의 선사였지만,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는 배움에 있어 자명한 앎을 매우 중요시한 선생임이 드러난다.

      • KCI등재

        韓國禪의 보편성과 특수성- 普照 知訥과 眞覺 慧諶을 중심으로 -

        한가람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본고는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법인 간화선(看話禪)이 어떤 경로를 통해 형성되고 누구를 중심으로 대중화 됐으며, 과연 어떻게 오늘날에 정착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과정을 추적하는 논문이다. 사실 오롯한 한국만의 ‘불교’, 한국만의 ‘선법’은 존재할 수 없다. 이는 불교가 지정학적으로 인도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동점(東漸)된 사실만 보더라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 불교의 ‘선법’ 역시도 마찬가지이다. 과거 한국에서 유행했던 선법, 그리고 지금 한국을 대표하는 선법 역시도 불교의 ‘동점’이라는 사실 관계를 무시하고 한국만의 독자적인 선법만이 존재한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현재 한국에 존재하는 선법은 동아시아 내에서 중국, 일본 등과는 다른 특수성을 담지(擔持)하고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에 한국 선법 형성에 기여했던 보조 지눌과 이를 대중화하고 정착화 시킨 공로가 큰 혜심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은 비단 당시 중국 불교에서 유행했던 선법을 수용한 인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현재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법으로 계승·발전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우선 보조 지눌은 규봉 종밀과 대혜 종고의 선법을 수용하여 한국 불교의 선법을 형성한 인물이다. 지눌은 규봉 종밀과 대혜 종고의 사상을 많이 접하고 그들의 저서를 많이 탐독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지눌은 단순히 이들의 사상을 순수하게 수용하는 입장에만 그치지 않고 비판적으로 받아 들여 한국의 선법으로 형성하였다. 보조 지눌이 생존하였던 당시의 상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두 중국 불조의 사상을 받아들이는 한편으로 시대상을 고려하여 불교의 선교일치(禪敎一致), 그리고 돈오점수(頓悟漸修)를 강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반조법’과 ‘간화선’이라는 한국의 선법을 형성하였다. 보조 지눌을 통해 형성된 한국의 선법은 혜심을 통해 더욱 발전하게 된다. 지눌이 한국에 간화선을 받아들인 인물이라고 한다면, 그 체계와 방향성, 나아가 현재 한국에 존재하고 있는 간화선에 가깝게 발전시킨 인물은 혜심으로 볼 수 있다. 慧諶은 간화선의 대중화에 주력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狗子無佛性話’를 통한 중국 불교 선법과의 변별성, 그리고 한국 불교만의 독자성을 담보할 노력도 시도하였다. 더욱이 혜심은 지눌이 최상근기에 간화선을 둔 것과는 달리, 화두를 참구하는 것만으로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변별적 계승으로 현재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법인 ‘간화선’이 자리매김 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현재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법인 ‘간화선’이 어떠한 과정으로 형성되고 정착되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에 한국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간화선’이 단순히 불교의 동점 과정에서 중국적 요소의 이식(移植)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선법은 보조 지눌의 ‘비판적 수용’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를 혜심이 더욱 대중화시키려는 노력이 더해진 산물이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해 볼 때, 한국의 ‘간화선’은 지역성을 뛰어넘는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불교 내에서의 특수성도 함께 지니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track a process of Ganhwaseon, a zen doctrine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being developed including which channels were involved in its formation, who led its popularization, and how it could settle down in today's world. There can be no “Buddhism” and “zen doctrine” unique only to Korea, indeed, which cannot be denied given that Buddhism originated in India geopolitically and later moved eastward. It is the same with the “zen doctrine” of Korean Buddhism. Both the zen doctrines that were in vogue in the nation in the past and the zen doctrine representing Korea today cannot ignore the fact relevance of Buddhism' “eastward move” and argue that there is Korea's own independent zen doctrine. Despite these, however,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current zen doctrine in Korea contains its own unique feature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and Japan in East Asia. The present study thus decided to investigate Bojo Jinul tha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zen doctrine and Hyesim that contributed to its popularization and settlement since they accepted the zen doctrine that was in vogue in Chinese Buddhism those days and further inherited and developed it into the zen doctrine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today. Bojo Jinul accepted the zen doctrines of Gyubong Jongmil and Daehye Jonggo, forming the zen doctrine of Korean Buddhism. He was much exposed to their ideas and indulged in the reading of their works, in which process he accepted their ideas critically instead of accepting them purely and based the formation of Korean zen doctrine on them.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situations where he was in. While accepting the ideas of these two founders of Buddhism in China, he took into consideration the aspects of his times and put an emphasis on Seon-Gyo Agreement and Donojeomsu in Buddhism. Based on these, he created two types of Korean zen doctrine called “Banjobeop” and “Ganhwaseon.” The zen doctrine of Korea formed by Bojo Jinul was further developed by Hyesim. While Jinul introduced Ganhwaseon into Korea, Hyesim developed its system and directionality close to the Ganhwaseon that was found in today's Korea. He focused on the popularization of Ganhwaseon, in which process he made an attempt at distinguishing it from the zen doctrine of Chinese Buddhism through “Gujamubulseonghwa(狗子無佛性話)” and securing Korean Buddhism's own independence. Furthermore, he maintained that one could achieve a realization just through the Chamgu of Hwadu unlike Jinul that put Ganhwaseon in Choisanggeungi(最上根機). Thanks to his distinctive inheritance, “Ganhwaseon”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 zen doctrine representing current Korean Buddhism. This research process helped to figure out the process of “Ganhwaseon,” a zen doctrine representing current Korean Buddhism, being formed and settling down. The findings show that “Ganhwaseon,” which holds a firm place in Korea, does not simply represent the transplant of Chinese elements in the process of Buddhism moving eastward. The zen doctrine representing today's Korean zen doctrines was formed by Bojo Jinul's “critical acceptance” and completed by Hyesim's efforts to promote its popularization furt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anhwaseon” of Korea has not only acquired universality beyond locality, but also has its unique features in the Buddhism of East Asia.

      • KCI등재

        보조지눌(普照知訥)의 간화선관(看話禪觀) 고찰: 대혜종고(大慧宗杲) 간화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오용석(Yong Suk Oh)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4 No.-

        본 논문은 보조지눌의 간화선관을 대혜종고 간화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대혜종고에 의해 보편적 수행법으로 제시되고 수행되었던 간화선이 보조지눌에 의해 어떤 식으로 수용되었는지 ‘절후재소(絶後再甦)’의 개념을 통해 지눌이 제시한 간화경절문의 특징을 논하였다. 지눌은 범부중생이 지적인 이해에만 만족하지 말고 깨달음을 구현할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선학자(禪學者)들도 화두에 대한 전제(全提)니 파병(破病)이니 하는 상견(常見) 혹은 단견(斷見)을 버려야 할 것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화엄교학과의 관계에서 선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만 『간화결의론』을 저술한 것이 아님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지눌의 경절문은 절대적인 경절문이 아니기에 그것을 수용하는 근기 혹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화두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화두를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 참의(參意) 혹은 참구(參句)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간화결의론』에 나타나는 지눌의 선사상은 교문 혹은 선문에 집착하는 병통을 깨뜨리고 대혜종고가 보여준 것과 같은 조사선의 활발발한 정신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지눌의 간화선을 대혜종고 간화선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면 동정일여(動靜一如)의 측면에서 회통한다.대혜가 조사선의 입장에서 간화경절의 길을 제시하고 삼교합일(三敎合一)과 진속불이의 입장에서 다양한 근기를 포섭하는데 역점을 둔 반면에, 지눌은 간화경절을 통해 지해가 갖고 있는 병통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교학자(敎學者)나 선학자(禪學者)들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을 고민하였다. 지눌은 중도적 관점에서 당시 광선(狂禪)과 치선(痴禪)을 경계(警戒)하고 실천론적 관점을 제시하기 위해 간화경절문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Ganhwa Seon of Bojo Jinul based on the Dahui Zonggao’s Ganhwa Seo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Bojo Jinul’s Ganhwa Seon how be accepted through the concept of ‘Born again after death’ that suggested in Dahui Zonggao’s enlightenment. Jinul emphasized that people should not only be satisfied with intellectual understanding but also embody enlightenment. In particular, he emphasized Zen trainees should also abandon a false view that the self and world are eternal and the view point of annihillation that of Hwadu. It is infered that GanHwa Gyeoruiron is not writtened only occupy a superiority by comparison with the Huayan thought. It is also shown that Jinul s shorter road to attainment is not an absolute passage, and i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r situation accepting it. This is because the Hwadu itself is not a problem, but it can be depending on how to approach the Hwadu itself. The Jinul’s Zen thought shows that break down the attachment of Zen Buddhism and scholastic Buddhism. It can be seen that Jinul presented a shorter road to attainment in order to show the middle way as a practical viewpoint to take warning the crazy Zen and foolish Z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