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제두와 서인-노론계의 학술 교유

        이남옥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2

        This article examines Jeong Je-du’s co-relation and academic contents. To this end, this article analyzed 267 letters, which were that Jeong Je-du sent to more than 58 people from 1667 to 173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of Jeong Je-du’s co-relation showed a tendency to become the Soron with time. Nonetheless, until the latter half of his life, he continued to cooperate with the Seoin-Noron’s line at 10%.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interactions with the people in the special relationship still continued, although the partisans were different. The special relationship was a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Min Jin-juㆍSeo Han-juㆍ Yi Hui-jo or a school relationship such as Yi Jing-myeongㆍJeong Chan-hwiㆍKim Gan. Seoin-Noron’s line, who interacted with Jeong Je-du, were eleven people including Song Si-yeolㆍMin Jeong-jungㆍKim Su-hang. All of them were disciples of Song Si-yeol and interacted with him. In large part, Jeong Je-du and their relationship could be regarded as Seoin with academic homogeneity. In a small way, this relationship could be seen as a sort of school of the same teacher, who was Song Si-yeol. Jeong Je-du revised the initial method of study by arguing with Yi Jing-myeong, and proceeded with the arguments of Kim GanㆍJeong Chan-hwi. In the meantime, the Yangming argument centered on Jeong Je-du was studied as a problem inside the Soron or the school of Park Se-chea. However, Yangming argument of Jeong Je-du and Kim GanㆍJeong Chan-hwi in this paper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criticism of Jeong Je-du as a Yangming scholar in the Seoin-Noron’s line. In addition, the following academic exchanges between Jingdeo and Seoin-Noron were also conducted. It was the problem of the construction of the Jaunseowon’s costume,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about the scholarship of Seo Gyeong-deok, the preservation of Gija(箕子) Jeongjeon(井田) left in Pyongyang. Although the Jeong Je-du posed a tendency to Soron according to the temporal flow, the relationship with Seoin-Noron’s line still taked a considerable part in his co-relation. There was also no major difference in the main content of academic exchanges.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Jeong Je-du as a scholar who had carried out various intellectual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party, rather than confining it to the framework of the Soron’s scholars who studied Yangming. 이 글은 『하곡집』에 수록되어 있는 정제두의 편지글을 분석하여 그의 교유 관계와 학술 교유의 내용에 대해서 검토한 글이다. 본고에서는 정제두가 1667년부터 1732년까지 약 66년간 58명 이상의 사람에게 보낸 267건의 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제두는 시간이 흐를수록 소론화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애 후반까지 계속해서 서인-노론계와 10%대의 교유 관계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당색은 다르지만 민진주ㆍ서한주ㆍ이희조와 같이 인척관계이거나 이징명ㆍ정찬휘ㆍ김간과 같이 학맥으로 연결되는 특수 관계에 속한 인물들과 교류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정제두와 교유한 서인-노론계는 송시열ㆍ서한주ㆍ민정중ㆍ김수항ㆍ민유중ㆍ민진주ㆍ김간ㆍ이징명ㆍ정찬휘ㆍ이희조ㆍ민진원 11명이다. 이들은 송시열의 문인이거나 종유한 인물로 송시열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정제두와 이들의 관계는 크게는 학문적 정치적 동질성을 지닌 서인이라는 집단으로 볼 수 있으며, 작게는 송시열을 동일 스승으로 하는 일종의 학맥으로 볼 수 있다. 정제두는 이징명과의 관계 속에서 초기 학문 방법을 수정하였고, 김간ㆍ정찬휘와의 관계 속에서 양명학 논변을 진행하였다. 정제두와 김간ㆍ정찬휘의 양명학 논변은 그동안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 양명학 논변이 박세채 문하 혹은 소론 내부의 문제로 연구된 것에서 벗어나, 노소분기 이후 서인-노론계에서 정제두를 양명학자로 비판한 사례이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외에도 정제두와 서인-노론계 인물 간에는 자운서원 묘정비 건립 문제, 서경덕의 학문에 대한 논의와 기에 대한 해석의 차이, 평양에 남겨진 箕子 井田의 보존, 고조선과 고구려의 토석 보존 등에 관한 학술 교유도 진행되었다. 정제두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소론화 경향성을 띄기는 하지만 그의 교유 관계 속에서 여전히 서인-노론계와의 관계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학술 교유의 주요 내용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제두를 ‘양명학을 연구한 소론 학자’의 틀에 가두기보다는 ‘당파에 관계없이 다양한 지적 활동을 영위한 학자’로 재평가해야 하겠다.

      • KCI등재

        하곡 정제두 연구 현황과 과제

        김세정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5

        2022 is the 501st year Yangming studies were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Yangming studies were criticized – by Lee Hwang – as heresy or despoiler of the orthodox way, and thus were restricted and ostracized for more than 400 years. After that time, Jeong Je Du, despite the dissuasion of his master Yun Jeung and his colleague Park Se Chae, positively accepted Yangming studies and renewed them under the name Ha-gok studies, and paved the way for the formation of Gang-hwa school. Because of him, Yangming studies could sustain their existence in Joseon. The theoretical achievement Jeong Je Du bequeathed is shown in the book titled “Ha-gok collection”. Research on Jeong Je Du’s thoughts with priority given to that collection started in 1970, and during those 50 years, great success was achieved. Until 2019, research on Jeong Je Du’s thoughts has been conducted including 7 books, 5 translations, 15 PhD. theses, 25 MA. theses, and 186 academic papers: in total, 246 works. In this study, the author put those achievements in order and made an “Appendix: List of academic research on Ha-gok Jeong Je Du”, and then, these works were listed, dividing them by periods into parts named ‘books’, ‘theses’ and ‘academic pape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trend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ach period. Research on Jeong Je Du can be divided into 4 periods as follows. First, the period from 1970 to 1980 can be called the ‘period of establishing foundation’ since i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Jeong Je Du. In that period, the time of 1970s is the ‘time of sowing seeds’, and the time of 1980s can be called the ‘time of germination’. Second, the period of 1990s is a ‘period of taking root’. Third, the time of 2000s can be called a ‘period of developing’. And fourth, the time of 2010s can be called a ‘period of intensifying and diversifying research on Jeong Je Du’. Based on those achievements, to make the research on Jeong Je Du move steady advances, the following outstanding issues must be resolved. First, “Ha-gok collection” must be authenticated and completely translated into the modern Korean language. Second, there must be academic works entirely re-examining Ha-gok studies from the academic aspect;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ose considerable achievements, and at the same time there must be popular books on Ha-gok studies for common readers so that they can easily understand them. Third, it is necessary to link the research achievements to various problems of the present society to actively put them into practice. 2022년은 한반도에 양명학이 전래된 지 501년이 되는 해이다. 양명학은 이황에 의해 이단ㆍ사문난적이라는 굴레가 쓰인 이후 400여 년간 기나긴 배척을 받았다. 그런 여건 아래에서 정제두는 스승 윤증과 동료 박세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양명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하곡학(霞谷學)’으로 새롭게 발전시켰음은 물론 ‘강화학파(江華學派)’ 형성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정제두가 있었기에 조선에서 양명학은 그나마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정제두의 학술적 성과는 『하곡집』에 남아있으며, 1970년대부터 『하곡집』을 중심으로 하여 정제두의 사상과 학술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어 지난 50여 년간 많은 연구 성과를 이끌어내었다. 정제두에 관한 2019년도까지의 연구 성과는 저서 7종, 원전 번역서 5종, 박사학위논문 15편, 석사학위논문 25편, 학술논문 186편으로, 총 246종에 달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제두를 다룬 연구 성과들을 정리하여 <부록 : 하곡 정제두 연구 문헌 목록>을 만들고, 이 목록에 수록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시기별로 ‘저서’와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으로 나누어 정제두 관련 연구의 시기별 경향과 특성과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정제두 관련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1970-1980년대는 정제두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토대 마련 시기’이다. 1970년대는 정제두 연구의 ‘파종 시기’라면, 1980년대는 정제두 연구의 ‘발아 시기’에 해당한다. 둘째, 1990년대는 정제두 연구가 뿌리를 잡는 ‘착근 시기’이다. 셋째, 2000년대는 ‘정제두 연구 성장 시기’이다. 넷째, 2010년대는 ‘정제두 연구 심화와 다양화 시기’이다.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정제두 관련 연구가 한 발 더 앞으로 나아가고 도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하곡집』 정본화 작업과 『하곡집』 완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방대한 정제두 관련 연구 성과들을 토대로 학술적 차원에서 하곡학을 총체적으로 재조명하는 학술서가 나와야 한다. 아울러 일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하곡학 관련 대중서가 나와야 한다. 셋째, 현대사회의 다양한 시대문제와 관련하여 정제두 연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성화활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인성론과 교육론에 대한 일고찰

        김민재(Kim, Min-jae)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0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최대의 양명학자로 꼽히는 하곡 정제두의 인간 본성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고, 여기에 기초하여 그의 교육철학과 교육방법론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정제두의 사상을 도덕교육 또는 가정교육과 연결시켜 조명한 몇 편의 연구가 있기는 하지만, 인성론과 교육론 일반에 집중하여 이루어진 연구는 전무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황이나 이이 같은 학자들이 리(理)라는 유가적 상징에 비추어 인간 본성을 설명한 것과 비교할 때, 정제두는 인간 본성을 마음 이상의 것으로 풀이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정제두에게 있어 인간 본성이란, 우리 마음의 순선함이자 양지(良知)의 본체이며 명덕(明德)이기 때문이다. 이런 전제 하에 그의 인성론이 지니는 특징을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인간 본성은 양지의 체(體)와 연결됨과 동시에 실제로 감지되는 것이다. ⓑ 둘째, 인간본성은 사람이라면 결코 떠날 수 없는 근간이자 인의예지의 사덕(四德)이며, 내 마음의 양지가 사물(태)에 대해 마땅하면서도 타당한 조리를 발출할 수 있게끔 하는 근원이다. ⓒ 셋째, 인간 본성은 동(動)과 정(靜), 미발과 이발의 구분에서 정이나 미발과 직결되는 개념이 아니다. 요약하자면, 정제두의 사상에서 인간 본성이란 우리의 마음이 사욕에 가리지 않은 도덕적 상태, 즉 ‘도덕심’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간의 도덕심에 대한 신념이 반영된 정제두의 교육론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철학과 교육방법론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교육철학과 관련해 제시할 수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정제두가 공부의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긴 것은 본령을 세우는 일이었다. ⓑ 둘째, 그는 행위로 인해 발생한 결과보다는, 행위자 내면의 마음 상태, 즉 동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 셋째, 그는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투철한 비판의식을 견지하면서도, 수용적이며 편견 없는 태도를 강조했다. 요컨대 정제두의 교육철학은 능동성과 주체성을 강조한 희망적, 낙관적 성격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정제두의 교육방법론을 ‘마음의 수렴?발산’의 통합이라고 제시한 뒤, 두 가지 특징을 언급하였다. ⓐ 첫째, 정제두는 덕의 성취가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라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그 과정에 있어 상황, 내용, 학습자의 재질에 따라 차등을 둘 수 있음을 강조했다. ⓑ 둘째, 정제두는 학습자들의 ‘정신적 역량의 여유’를 중요하게 여겼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Hagok Jeong, Je-du’s human nature, his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methodology based on this. For Jeong, Je-du, human nature is goodness, basis, and bright virtue of our heart. Under this premis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of human nature as follows. First, Jeong, Je-du described human nature as the basis of our heart, which is actually sensed. Second, human nature is the four virtues[四德], from this human nature, right principle comes. Third, human nature is not the concept directly connected with serenity, in the division of movement[動] and serenity[靜]. In brief, in his idea, human nature is the moral status, that is, a sense of morality which is not interrupted by selfish interests. In respect of Jeong, Je-du’s theory of education which reflected belief in human sense of morality, this research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methodology. The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suggested by being related to educational philosophy are as follows. First, the point which Jeong, Je-du the most highly regarded in the process of study was to establish basis. Second, he focused on the internal mind state of the agent, that is, the motive. Third, he emphasized receptive and open-minded attitude along with thorough criticism. In short, Jeong, Je-du’s educational philosophy can be determined to be wishful and optimistic character which emphasized activity and independence. Also, this research stated two characteristics, after suggesting Jeong, Je-du’s educational methodology as combination of convergence?divergence of mind. First, Jeong, Je-du highly regarded achievement of virtue, however, he thought that the process of education could be graded according to situation, content, and the learners’ capability. Second, Jeong, Je-du highly regarded the learners’ composure of mental capability.

      • KCI등재

        강화학파(江華學派) 역학사상의 전개 양상 연구(Ⅰ) -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 역학사상의 하락(河洛)·선후천(先後天)적 특징

        서근식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9 No.-

        In this thesis, Jeong Je-Du(鄭齊斗)’s I-Learning(易學) ideology was examined. Jeong Je-Du(鄭齊斗)’s Hagokjip( 霞谷集 ) was not completed as Munjip( 文集 ), but its unfinished version(未完成本) was published as a book. Just like Jeong Je-Du(鄭齊斗)’s Munjip( 文集 ) is an unfinished version(未完成本), his writings of I-Learning(易學) have left unorganize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Je-Du(鄭齊斗)’s theory of I-Learning(易學) he was a Yangming scholar(陽明學者) and a member of Soron(少論). The fact that SoronSoron(少論)’s theory of I-Learning(易學) was centered around “Hado(「河圖」)” and “Naksu(「洛書」)” and Preceding Heaven(先天) and Succeeding Heaven(後天) shows that it followed Doseonsangsuyeokhak(圖書象數易學) of Song dynasty. In “Hado(「河圖」)” and “Naksu(洛書)”, 5 in the middle was an important part. To Jeong Je-Du(鄭齊斗), 5 in the center was important because it was formed with 4 dots centered around ‘Taegeuk(太極)’. From Jeong Je-Du(鄭齊斗)’s viewpoint, ‘Taegeuk(太極)’ was similar to ‘Mind[心]’. He treid to suggest some solutions to the matter of Seokhapbogong(析合補空), but made the mistake of confusing Zhu Xi(朱熹)’s opinions with those of Hu Fang-Ping(胡方平). In “Seonhucheondoseol(「先後天圖說」)”, what’s most impressive about Jeong Je-Du(鄭齊斗)’s Preceding Heaven(先天) and Succeeding Heaven(後天) is that Preceding Heaven(先天) and Succeeding Heaven(後天) were not 2. From the viewpoint of Ti(體) and Yong(用), from the aspect of Ti(體), Preceding Heaven(先天) and Succeeding Heaven(後天) were not two, and Preceding Heaven(先天) becomes separated from Succeeding Heaven(後天) only when it’s considered from the aspect of Yong(用). Jeong Je-Du(鄭齊斗)’s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astronomy(西洋天文學) was completed through Seonwongyeonghaktonggo( 璇元經學通攷 ) and others. It seems that Jeong Je-Du(鄭齊斗) first wrote “Seonhucheonseol(「先後天說」)”, and then completed Seonwongyeonghaktonggo( 璇元經學通攷 ) in his latter years after acquiring more advanced knowledge. 본 논문은 정제두(鄭齊斗)의 역학사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정제두의 하곡집(霞谷集) 은 문집(文集) 으로 완성된 것이 아니라 미완성본을 책으로 발간한 것이다. 정제두의 문집 이 미완성본인 것처럼 그의 역학저술도 정리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제두 역학의 특징은 그가 양명학자이고 소론(少論)이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정제두 역학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므로 송나라 도서상수역학(圖書象數易學)을 따랐음을 알 수 있다. 「하도」와 「낙서」는 가운데 있는 5가 중요한 부분이다. 정제두에 있어서 「하도」와 「낙서」의 가운데 5가 중요한 이유는, 한가운데에 ‘태극’이 있기 때문이다. ‘태극’은 정제두의 입장에서 보면 ‘마음[心]’과 같은 것이다. 정제두는 석합보공(析合補空)의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내놓으려고 노력하였지만, 주희(朱熹)의 견해와 호방평(胡方平)의 견해를 혼동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정제두은 「선후천도설(先後天圖說)」은 선천과 후천이 두 가지가 아니라는 부분이 가장 인상적이다. 본체[體]와 작용[用]의 측면에서 생각할 때 본체[體]의 측면에서는 선천과 후천이 두 가지가 아니며, 작용[用]의 측면에서 비로소 선천과 후천으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정제두의 서양천문학의 이해는 선원경학통고(璇元經學通攷) 등으로 완성되었다. 정제두는 역학저술에 있는 「선후천설(先後天說)」을 먼저 저술하고 보다 발전된 지식을 입수하여 선원경학통고 를 완성한 것이다.

      •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예제 인식에 나타난 문화다원론적 의의

        한정길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pluralism in Hagok Jeong Je-du’s(1649~1736) perception of the ritual system, by mainly analyzing his “Gyeongui” 經儀, “Imsul yugyo” 壬戌遺敎, two of which are related to family rituals, and his writings on national rituals. “Gyeongui” is a selection of maxims of the sages that can be adopted as norms of behavior in daily life. These norms are imbued with consideration and respect for others, the core teachings of Xiaoxue 小學. On the basis of Confucian culture of Joseon where Xiaoxue has high value in relation to ritual norms(yegyo 禮敎), Jeong Je-du fosters easier practice of Xiaoxue’s teachings by providing a more brief summary of the norms of behavior that should be learned in primary education. This contribution can be said to be influenced by Yangming Studies that makes light of formalities in ritual practices in support of simple norms that are easy to follow. At the age of 34, Jeong Je-du wrote “Imsul yugyo” to leave instructions to his descendants. This writing demonstrates Jeong’s thoughts on the funeral ceremony and memorial ceremony for ancestors. His thoughts are in line with Confucian ritual culture of Joseon which values Jiali 家禮. However, he made ritual process of these two kinds of ceremony simple and easier to follow still based on Jiali. This is another example of practice-oriented Yangming Studies’ influence on Jeong. Regarding national rituals, Jeong Je-du participates in the debates on the costume regulations for Crown Princess Danui 端懿, King Gyeongjong 景宗 and Crown Prince Hyojang 孝章. Jeong consistently upholds abiding by previous generation’s example in national rituals. His standpoint is not only based on ancient rituals prescribed in Yili 儀禮, but more broadly referring to Jiali, Gyeongguk daejeon 經國大典 and Oryeui 五禮儀. Among these books, Jeong gives particular importance to Oryeui. He intended to prevent the controversy over funeral regulations by giving authority to the ritual regulations established by the former kings. In this way, his approach emphasizes the national institutions particular to the Joseon dynasty. Jeong Je-du’s understanding of national rituals shows littl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After all, the debate on the costume regulations is regarding which clauses on ritual regulations in Confucian classics should be applied to specific issues; for this reason, it would be difficult to discern any academic characteristics or tell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s regarding this issue. Yangming Studies lacks exploration of ritual regulations since it generally finds the cause of all problems in the mind. Despite this academic tendency, Jeong Je-du, a scholar of Yangming Studies, has left numerous comments about rituals. This distinct aspect results from his academic background, namely Joseon’s unique ritual culture developed on a firm base of Zhuzi Studies. This is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pluralism that Jeong Je-du’s perception of the ritual system assumes. 이 연구는 하곡 정제두(1649~1736)의 예제(禮制) 인식에 나타난 문화다원론적 의의를 밝히는 데 그 주요 목적이 있다. 그 주요 분석대상 자료는 「경의」, 「임술유교」, 그리고 국가 전례 논의에 정제두가 올린 헌의(獻議)들이다. 「경의」는 옛 성현들의 격언 가운데 일상생활의 실천 규범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을 발췌한 것이다. 그 규범들에는 『소학』의 기본 정신인 타인에 대한 배려와 공경심이 스며들어 있다. 정제두는 『소학』을 중시하는 조선 예교 문화의 토양 위에서 소학에서 익혀야 할 행위 규범들을 보다 간략하게 요약하여 그 실천성을 높였다. 이러한 점은 의례가 형식에 흐르는 것을 경계하고 간이함과 실천을 중시하는 양명학의 특성이 발휘된 것이라고 하겠다. 「임술유교」는 정제두가 34세에 후손들에게 남긴 가르침으로서 상제례와 학술에 대한 그의 인식이 나타나 있다. 상제례에 대한 인식에서 정제두는 『가례』를 중시하는 조선의 예교 문화를 계승하고 있다. 그런데 그는 『가례』에 근본을 두면서도 상제례의 의식 절차를 보다 간략화하여 실천하기 쉽게 만들었다. 이것도 역시 실천을 중시하는 양명학의 정신이 발휘된 것이라고 하겠다. 국가 전례에 대한 이해에서는 ‘단의빈’, ‘경종’, ‘효장세자’의 복제 논의를 다루었다. 정제두는 국가 전례에서 한결같이 계체를 중시하는 입장을 견지한다. 그리고 그 주장이 의거하는 바의 경전도 고례인 『의례』만이 아니라, 『가례』와 『경국대전』 및 『오례의』가 두루 활용된다. 그 가운데서도 정제두는 특히 『오례의』에 많은 권위를 부여한다. 선왕이 제정한 예전에 권위를 부여함으로써 예송을 방지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것은 조선왕조가 수립한 시제를 중시한 것이다. 국가 전례에 대한 정제두의 이해에서 양명학적 특성을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복제에 관한 논의는 구체적 사안에 어떤 예문을 적용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그것으로부터 어떤 학문적 특성이나 학파의 차이를 말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양명학에서는 일체의 문제를 마음으로 환원하려는 성향으로 인해서 제도로서의 예에 대한 탐구가 부족하다. 그런데 정제두는 양명학자임에도 예에 관한 많은 언급들을 남기고 있다. 이것은 그가 조선의 독특한 문화, 즉 주자학적 예교 문화의 토대 위에서 학문을 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그의 예제 인식에 나타난 문화다원론적 의의라고 하겠다.

      • KCI등재

        정제두 「대학설」의 특성과 그 경학사상사적 의미

        한정길 한국실학학회 2019 한국실학연구 Vol.0 No.37

        Jeong Je-du annotates the Great Learning from a new angle to correct the distortions of the original meaning of the Great Learning caused by Zhu Xi. This article examines how Jeong Je-du corrects Zhu Xi’s distortions, and elucidates the characteristics of his annotation and its implications in the History of Thought on Confucian Classics. Jeong Je-du follows the view of Yangming Studies regarding the author, system, and contents of the Great Learning; however, he makes his own unique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is unique interpretation which distinguishes Jeong’s thoughts either from Zhuzi Studies or from Yangming Studies. Jeong Je-du ascribes the Great Learning to Zengzi 曾子: Zengzi wrote this book to convey Confucius’ teachings. For this reason, he attaches great value on the Great Learning among Confucian Classics, which is a shared attitude toward the Great Learning with the Taizhou School. In line with Yangming Studies, Jeong regards the Old Text of the Great Learning as the authentic edition; however, he deviates from Yangming Studies when he divides it into six chapters. Zhu Xi raises a question regarding ‘ci wei zhi ben, ci wei zhi zhi zhi ye’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 in the first chapter of the Great Learning. Zhu Xi considers that these two statements were included in the first chapter out of context. However, Jeong Je-du defines the first chapter as the “Gewu zhizhi” 格物致知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chapter, and regards the two statements as concluding remarks on gewu zhizhi. Jeong’s understanding of Chapter 1 of the Great Learning is coherent and presents a very ingenious view. There have been attempt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gewu zhizhi within the Great Learning. However, none of these attempts defined the whole of Chapter 1 as the “Gewu zhizhi” chapter and understood ‘zhi wei zhiben, ci wei zhi zhi zhi ye’ as its conclusion. Jeong’s understanding is also different from Yangming scholars’ such as Wang Shouren 王守仁, Wang Gen 王艮, and Luo Jinxi 羅近溪. In this regard, his interpretation occupies a prominent place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Jeong Je-du understands ‘making the will sincere’ (chengyi 誠意) as a practical method of cultivation of gewu zhizhi, thereby closely relating the “Gewu zhizhi” chapter to the second “Chengyi” chapter. In understanding the core concepts of the Great Learning and their interrelationship, Jeong Je-du follows Yangming Studies. He annotates the Great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Yangming Studies and points out the errors in Zhu Xi’s Commentary on the Great Learning. Through Jeong’s interpretation, Yangming Studies are able to be firmly grounded on Confucian Classics. 정제두는 『대학』 본의에 대한 주희의 왜곡을 바로잡기 위하여 『대학』 전체를 새롭게 해설한다. 이 글은 정제두가 주희의 왜곡을 어떻게 바로잡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의 『대학』 해설의 특성과 그것이 경학사상사에서 지니는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대학』의 작자와 체제 및 내용에 대한 이해에서 정제두는 대체로 양명학의 관점을 따른다. 그러나 그의 『대학』 해설에는 그 자신만의 독창적인 면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자학만이 아니라 양명학과도 다른 정제두 「대학」설의 특성을 드러내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 우선 정제두는 「대학」을 공자의 가르침을 증자가 기술한 것으로 봄으로써 『대학』이 경전 상에서 차지하는 지위를 매우 높이 평가한다. 이 점은 주희나 왕수인을 넘어서서 태주학파 학자들과 생각을 같이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그는 「대학」고본을 정본으로 여기고, 그것을 6장체제로 새롭게 분장한다. 「대학」 고본을 정본으로 여긴 점은 양명학을 따른 것이지만, 그것을 6장체제로 분장한 것은 그의 독창이다. 「대학」고본 제1장에서 주희가 문제 삼았던 부분은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이다. 주희는 이 두 구절이 의미상 아무 맥락 없이 경문에 속해 있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정제두는 「대학」 제1장 전체를 ‘격물치지’장으로 규정하고,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의 두 구절을 격물치지에 관한 결어로 이해한다. 「대학」고본 제1장을 物과 事가 날줄과 씨줄로 얽혀 있는 것으로 보는 구조적인 이해를 통하여 정제두는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의 두 구절이 경문 속에서 지니는 의미 맥락을 논리정연하게 설명한다. ‘격물치지’에 대한 풀이를 『대학』 자체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없지는 않았지만, 「대학」고본 제1장 전체를 ‘격물치지장’으로 규정하고, 또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를 그 결론으로 이해한 경우는 아직 발견되지 않는다. 그것은 「대학」고본을 정본으로 여기는 양명학자들, 즉 왕수인이나 왕간 및 나근계와의 『대학』 이해와도 차별화된다. 이 점에서 정제두의 「대학」 해설이 『대학』 해석사에서 지니는 의미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정제두는 성의를 격물치지의 실질적인 공부로 이해함으로써 「대학」고본 제1장 ‘격물치지’장과 제2장 ‘성의’장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밝힌다. 이제 격물치지의 실질적인 공부가 이루어지는 성의장 안에서 제1장에서 언급되었던 명명덕과 친민 및 지어지선을 함께 말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다. 『대학』의 핵심 개념들과 그 상호 관계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정제두는 대체로 양명학을 따른다. 그는 양명학의 입장에서 『대학』을 주해함으로써 주희의 『대학장구』의 문제점을 폭로함과 아울러, 양명학으로 하여금 굳건한 경전적 근거를 지닐 수 있게 했다. 양명학의 입장에서 『대학』에 대한 정밀한 주석을 통해 주자학과 정면 대결을 시도한 인물은 왕수인 이후 정제두가 유일하지 않나 싶다. 정제두가 주자학과 전면적으로 맞서게 된 데에는 주자학 이외의 다른 학문을 이단시하는 조선만의 고유한 학술 풍토가 있었다. 정제두의 『대학』 해설은 양명학을 이단시하는 조선사상사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경학의 특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鄭齊斗 陽明學의 '朱王和會'的 特徵

        이상호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40 No.-

        본 논문은 정제두의 양명학적 특징을 '朱王和會'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해서 규정함으로써 '하곡학'으로 이행할 수 있는 정제두의 철학적 특징을 새롭게 조명해 보려는 것이다. 논자는 여기에서 정제두의 철학적 특징을'주자학적인 체용론틀을 바탕으로 양명학의 개념과 이론을 설명'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점은 첫째,그의 心卽理說에서 잘 나타난다. 정제두는 심즉리에서의 리를 물리와 생리, 진리로 나누어 본다 이렇게 되면서 마음은 마음 속의 리인 생리와 진리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되면서 심 역시 生理之心과 眞理之心으로 구분되며, 전자는 용으로 후자는 체로 설명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것은 주자학에서 성과 정을 체와 용의 구조로 설명하는 것과 구조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일치된 모습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서 정제두의 심성론은 기존 양명학의 심성론 구조와는 차별성을 띤다. 또한 良知論에 있어서도, 정제두는 양지를 체와 용의 구조로 이해한다. 즉 본체로서의 양지와 활동하는 양지를 '하나의 틀'로 설명하면서도 그것이 일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때문에 정제두는 양지의 체와 용이 합일되는 상황으로서의 치양지를 설정하고, 그것에 도달하는 방법으로서의 공부론을 설정한다. 이것 역시 주자학적인 체용론 구조 속에서 양지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이를 통해 그의 공부론과 지행합일론 등은 주자학과 내용적인 차별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입장들을 통해 우리는 정제두의 심성론과 공부론이 양명학의 개념을 빌려 오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주자학의 체용론 구조로 설명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정제두의 철학은 주자학과 양명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은 인정할 수 있지만, 동시에 그의 학문은 주자학도 아니고 양명학도 아닌 '하곡학'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paper aims at illuminating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Jeong Je-Du(pen name : Hagok, 1649 - 1736) in terms of the concept `Juwanghwahoi'. The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Jeong Je-Du's philosophy was wholly influenced by Chu-Xi Studies or that it was a compromise between Chu-Xi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what aspects of Chu-Xi Studies can be found in Jeong Je-du's philosophy and how the they can be explained away in it. In this paper, I take that the main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of Jeong Je-Du is to ‘explain the concepts and theories in Yang-Ming Studies in terms of the theory of che-yong(體用, substance and external functioning) in Chu-Xi Studies'. This is obvious in particular in his theory of simjeukli(心卽理) that the mind is the principle. He divides li(理) into three types, mulli, saengli, and jinli. The mind is thus divided into saengli and jinli which are the lis in the mind. In this way, the mind is divided into the mind of saengli and the mind of jinli and the former has the structure of yong and the latter that of che. This is consistent to the structures and contents that explain seong(性, nature) and jeong(情, sentiment) in terms respectively of che and yang in Chu-Xi Studies. Thus, Jeong Je-Du's theory of the human mind differs from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the human mind in earlier Yang-Ming Studies. Also, his theory of the primordial knowledge is different from Yang-Ming Studies in that he understands the primordial knowledge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che and yong. That is, he explains the substantive primordial knowledge and the active primordial knowledge in terms of a single frame, but thinks that they are not the same. For this reason, he defines the unity of primordial knowledge as a situation in which the yong of primordial knowledge is united with the che of primordial knowledge. And he presents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as a method of accomplishing the unity. This is also to explain the primordial knowledge in terms of the theory of che-yong in Chu-Xi Studies. For this reason,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that of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differs from Chu-Xi Studies. The point is that, although Jeong Je-Du's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self-cultivation adopts the concepts from Yang-Ming studies, but explains them in terms of the theory of che-yong as developed in Chu-Xi Studies. Thus, although it is undeniable that Jeong Je-Du's philosophy was influenced by Chu-Xi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it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m and that makes it unique, which we can term as 'Ha-Gok Studies'.

      • KCI등재

        정제두 全體 개념에 관한 고찰

        진함 한국양명학회 2023 陽明學 Vol.- No.69

        This study, which is common in holism, attempts to explain and explain the significance of Jeong Je-du’s emphasis on the Quanti全體 idea. This article’s primary goal is to demonstrate that Jeong Je-du considered the Quanti notion as a reflection on the issues with Neo-Confucianism. In this essay, the substance of the Quanti thought that he wants to emphasize is divided into four parts by examining how Jeong Je-du used the Quanti notion. Firstly, Jeong Je-du believed that the components comprising Quanti could not be separated from one another, and there were no boundaries between them. Secondly, Jeong Je-du viewed Quanti as a relative concept, rather than asserting the existence of a single ultimate Quanti. Thirdly, the idea of Quanti encompassed not only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pieces but also the notions of development and extension in a generational sense. Lastly, the Quanti, composed of individual pieces, possessed new qualities that the parts alone did not possess, and each Quanti was unique. Based on this, two instances are provided showing how Jeong Je-du’s thoughts realistically apply the Quanti notion that he pays attention to. First off, Jeong Je-du places more emphasis on the fusion of all facets of human existence than on the division of the body and mind. Second, rather than dividing schools, he tried to understand Confucianism as a Quanti. 이 글은 전체론(Holism)에 유비하여, 정제두가 전체(全體) 개념을 강조하는 까닭과 의미를 모색한다. 정제두의 전체에 대한 강조는 주자학과 양명학에서 심(心)과 리(理)의 통합[一]과 분리[二]를 논쟁한 것에 대한 대답으로 보이며, 그의 윤리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유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이 글은 정제두가 전체 개념에 주목하게 된 계기를 주자학과 양명학의 문제점에 대한 반성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정제두는 “심과 리를 둘로 나눴다”라는 부분에 대한 학문적 반성을 통해서 심과 리의 참된 일치를 상징할 수 있는 이미지를 모색하게 되었고, 이러한 관점은 부분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드러내는 ‘몸체’로서의 전체 개념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이어서 이 글은 정제두가 사용하는 전체의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그가 강조하고자 하는 전체 개념의 의미를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눠서 설명한다. 첫째, 정제두는 한 전체를 이루는 부분들이 서로 분리될 수 없고,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관계에 놓여있다고 본다. 둘째, 정제두는 하나의 궁극적인 전체만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셋째, 전체는 공간적인 의미에서 부분 사이의 간격을 아우르는 개념뿐만 아니라, 발생론적 의미에서의 생장 및 확장을 포함하고 있다. 넷째, 부분으로 구성한 전체는 부분들이 지니지 못하는 새로운 특성을 지니게 되며, 이 새로운 특성은 한 전체가 기타 전체와 차별성을 둔다는 점이다. 이를 기반으로 정제두가 주목하는 전체 개념이 그의 사상에서 실질적으로 응용되는 두 가지 예시를 제시한다. 첫째, 윤리적인 삶의 과제에서 등장하는 주체에 대해서, 정제두는 정신과 육체의 구분이 아닌 인간 생명 전체를 강조한다는 점이다. 둘째, 학파를 나눠서 유학을 바라보는 방식이 아닌 유학의 개념에서 전체를 지칭하는 개념인 심을 중심으로 유학의 전반을 이해하고, 또한 유학의 경전에서 성학(聖學)의 전체를 대표하는 것으로『대학(大學)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하곡 정제두 철학의 인성교육적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조지선 ( Cho Ji-su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41 No.-

        본 연구는 정제두 철학에 관한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정제두의 철학을 현대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목적 달성을 위해 최근 그 교육적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인성교육에 있어 정제두 철학이 가지는 인성교육적 의의와 연구의 필요성을 찾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과정으로 먼저 정제두 철학에 입각하여 인성을 어떻게 정의내릴 수 있는지에 대해 먼저 밝히는 것으로 시작하여 정제두 철학에서의 인간의 본성 즉 인성(人性)의 의미를 영명성(靈明性)과 도덕성(道德性)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정제두가 세유(世儒)의 억압과 핍박에도 불구하고 ‘성인됨’이라는 공부의 본래적 목적을 회복시키기 위해 끊임없는 열정을 보여준 학자임을 제시함으로써 현재 한국의 인성교육이 그 교육의 목적을 미래사회의 또 다른 기능교육으로 보는 입장에 대하여 비판적 태도를 취하고 한국의 인성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학습자의 도덕적 자아를 실현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인 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하는 핵심덕목과 핵심역량에 따른 인성교육 방식이 학습자의 주체성과 실천성을 보장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정제두의 심즉리와 지행합일의 공부법이 인성교육에 활용되었을 때 학생의 주체성과 실천성을 보장하는 인성교육 방법으로서 의의를 가짐을 드러내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broaden the foundation of the study on the philosophy of Jeong, Je-du and view it from the modern viewpoint. In addition, for the humanity education in Jeong, Je-du’s philosophy, the study on the humanit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the Jeong Je-du’s philosophy was conducted as its necessity of research and the importance of the humanistic education have recently emerged. In that process, the study started with how the humanity can be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Jeong, Je-du’s philosophy and defined the human nature found in the Jeong, Je-du’s philosophy as the spirituality and morality.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Jeong, Je-du was a scholar who showed the endless passion toward the recovery of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tudy which is called “Being a saint of confucianism” even under the repression and persecution by Confucian Scholars. Based on that, the study expressed the criticism over the view of considering the purpose of education as another function for the future society in Korea and suggested that the humanistic education in Korea shall be oriented toward the realization of the learner’s ethical self. Lastly, the study pointed out that the education of human nature according to the core virtue and core competence as suggested by Law for the Stimulation of the Humanity Education does not guarantee the self-rule and practicability of the learner and then expressed that the humanity education can guarantee the self rule and practicability of the student only when the study method of Jeong Je-du’s “the mind is the principle” an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used for the humanity educ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하곡 정제두의 생태의식

        김세정 ( Sea Jeong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본 논문에서는 서구 환경윤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한국양명학자 霞谷 鄭齊斗(1649~1736)의 철학사상에 내재한 유기체론적 요소와 생태론적 특성들을 찾아내어 재구성하면서, 정제두의 생태의식이 지닌 현대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인간중심적 환경윤리와 개체 중심적 환경윤리는 물론 이들의 한계와 폐단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생태중심주의 또한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그 이유는 서양의 이원론과 이분법적 사고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서양에서는 인간과 자연, 자연과 문화, 동물과 식물, 이성과 감성 또는 이성과 영성, 남성과 여성을 둘로 나누고, 이 둘의 관계를 우열의 관계로 보기도 하고 대립과 갈등의 관계로 보기도 한다. 그리고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면서 다른 한쪽은 그 아래 귀속시켜 버린다. 예컨대 인간에게만 내재적 가치를 부여하는 인간중심주의가 인간의 행복을 위해 자연을 파괴하는 문제를 야기한 반면, 심층 생태주의 또한 자연생태계에만 내재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부정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정제두는 天과 사람이 一元이며 천지만물과 사람이 一體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天地는 끊임없이 萬物을 생생하게 化育하는 功能을 지닌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정제두에게 있어 우주는 초월적 신에 의한 창조물도 아니고 그렇다고 기계적인 법칙에 의해 작동하는 생명이 없는 자동 기계도 아닌, 본원적인 무한한 생명력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스스로 자기조직해나가는 하나의 유기적인 생명체이다. 자연은 인간중심주의에서와 같이인간 욕망 충족을 위한 하나의 도구나 수단이 아닌 그 자체가 소중한 본원적 가치를 지닌생명체이다. 인간은 자신의 생명 본질을 天의 생명 본질에 근원 하는 바, 天과 人은 一元이며 一體이다. 우주자연의 生生不息하는 생명 본질이 곧 인간의 생명본질로써, 인간은 천지만물과 감응하면서 하나 된 삶을 살아 갈 수 있다. 그래서 정제두의 ‘天地萬物一體論’과 ‘天人一元論’은 기계론적 세계관과 인간중심주의의 폐단을 극복해 나가는 데 있어시사하는 바가 크다. 인간에게 있어 자연은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도 아니고 그렇다고 정복과 지배의 대상도 아니라, 내 생명의 근원이자 함께 더불어 살아가야 할 삶의 동반자이다. 정제두는 비록 인간과 자연만물이 一體이고 모두 동일한 生氣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인간과 자연만물이 동일하다고 보지는 않는다. 타고난 氣稟과 性稟의 차이로 말미암아 인간과 자연만물은 차별성을 지니게 된다. 막힘없는 性情을 소유한 인간만이 仁義禮智의 도덕성과 聖知通明의 우수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등은 서구 인간중심주에서와 같이 인간 우월성의 근거로서 인간에게 자연을 정복.지배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차등은 인간에게 자연만물을 사랑으로 보살피고 치유하고 양육해야 할 막중한 사명과 책임을 부여한다. 정제두는 인간의 마음을 天地의 靈, 즉 感應의 주체로 규정한다. 인간의 마음만이 生氣의 精爽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 때문에 인간만이 靈明함을 지니게 된다는 것이다. 이 靈明함은 인간이 洞徹할 수 있는 근거로서 다른 존재물에 대해 黜拓惻隱해 하는 마음으로 드러나게 된다. 그리고 영명한 人心은 創出性과 隨時變易性이라는 속성을 지닌다. 이러한 마음의 영명함이 있기에 인간은 만물과 감응하면서 이들의 아픔을 치유하고 보살피고 양육해나갈 수 있다. 즉 인간이 우주자연의 다른 구성원에 대한 사랑과 자애로움과 보살핌을 통해 그들을 건강하게 양육함으로써 전체생명은 물론 자신의 개체생명도 건강하게 유지해나갈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분명히 심층 생태주의와 다를 뿐만 아니라 심층 생태주의가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인간은 자연만물과 다른 우수성을 지니고 있지만, 그 우수성은 자연만물을 치유하고 보살피고 잘 양육해야 하는 인간의 천부적 사명으로 귀결되기에, 인간의 존재 가치와 위상을 지키면서도 자연만물과 하나 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author wants to observe the problems of Western environmental ethics, then discover and reconstruc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ganicist elements inherent in the thought of Hagok Jeong Je Du (霞谷鄭齊斗, 1649~1736) - the Korean scholar of Yangming school, and from that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his ecological consciousness in the modern era. The anthropocentric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individual-oriented environmental ethics, and also the eco-centrism which was proposed to resolve shortcomings of the two former, have a lot of problems. It can be seen that those problems originated from the Western tradition of dualism and dichotomous way of thinking. In the Western tradition, things are always divided into two opposite parts: human and nature, nature and culture, animal and plant, rationality and sensibility or rationality and divinity, male and female, et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parts is considered unequal, opposite and competitive. If we take one side, then the other must be lowered into the dependent position. For instance, the anthropocentrism which puts the high values only on human has brought about many serious problems of nature for the sake of human, whereas the deep ecology which emphasizes only the intrinsic values of the natural ecosystem has caused various problems while refusing the dignity of human. Jeong Je Du thinks that the Heaven (天) and human emerge from the same spring (一 元), and all things in the world and human are one body (一體). In addition, he defines that the Heaven and the Earth (天地) have the ability (功能) to vividly create and raise (化育) all things unceasingly. Thus in his view the universe is not a creature made by acertain divine god, or a machine without vitality activated by a certain mechanical principle, but an unceasingly self-structuring systematic organism which is relied on the originally limitless vitality.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anthropocentrism according to which the nature is seen as a certain instrument or machine serves to satisfy the desires of human, the nature is in reality the organism which has its own original precious values. From the point that the substance of life of human emerges from the substance of life of the Heaven, the Heaven and the human can be seen as having the same origin (一元) and becoming a one and only body (一體). The substance of life of the universe and nature which is unceasingly vivid (生生不息) is the very substance of life of human, thus human can live a life in the mutual interaction and harmony with the nature. Therefore Jeong Je Du’s theories according to which ‘the Heaven and the Earth as well as all things in world are the one and only body (天地萬物一體論)’ and ‘the Heaven and the human emerge from one source (天人一元論)’ have many aspects which can resolv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echanical world view as well as the anthropocentrism. To human, nature is not something fearsome or an object of the subjugation and domination, but a source of human life and a companion with which human must live together. Though Jeong Je Du thinks that human and all things in nature are one body and everything has the equal vitality (生氣), he does not regard human and other things in nature as the identical ones. By reas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ate energy (氣稟) and the innate nature (性稟), there are plenty of distinctions between human and other things in the world. Only human whose nature and sensibility (性情) are not blocked has virtues of humanness, righteousness, propriety and knowledge (仁義禮智), and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intelligence (聖知通明). However this discrimination does not mean that human has rights to conquer and dominate the nature based on his superiority, as the Western anthropocentrism thinks. In contrary, this discrimination means that human has the mission and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and cure the nature and help it develop. Jeong Je Du defines the human heart (mind) as the holiness (靈) of the world or the subject with ability to interact with others. Only human heart is considered thequintessence (精爽) of the vital energy (生氣), therefore only human is regarded as thecreature of perspicacity (靈明). This perspicacity, based on human ability to interact with others, manifests itself as the heart anxious and sympathetic about others. And the perspicacious heart of human also has the attributes of creativity (創出性), flexibility and changeability (隨時變易性). With this heart, human can interact with all other things in the world, look after and cure their sufferings, and help them to develop. That means human, through the love and benevolence and anxiety about other members of the universe, can strongly uphold and develop the life of the entire world as well as of each being thing. From this aspect, it can be seen that Jeong Je Du’s idea is different from the deep ecology and furthermore shows the possibility for resolving some basic problems of that theory. Though human has the superiority over others in the world, this superiority is regarded as the innate responsibility of him to cure, look after and bring up all the being things, and thus offers him the opportunity to maintain the value and position of his existence, and live in harmony with other things in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