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情), 하나님의 형상: 한국 여성신학적 인간론

        최유진 ( Yoojin Choi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1 No.-

        신학에서 말하는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여타 세속 학문들이 말하는 인간에 관한 해명과 신학이 말하는 인간은 어떤 점에서 다른가? 신학적 인간학은 무엇보다도 고통 중의 인간을 규명하려는 노력이다. 왜냐하면 신학은 기본적으로 구원론적 관심으로 출발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신체적, 정신적, 영적, 관계적, 사회적, 구조적 고통 속에서 신음하면서 그 고통 속에서 해방되기 위해서 하나님을 찾는다. 다시 말하면 신학에서 말하는 인간은 고통 중에 그 고통에 저항하며 하나님을 향해 성장하는 존재이다. 본 소고는 다층적인 고통의 경험 속에서 인간이기를 포기하지 않고 인간으로 빚어지기를 매일의 삶 속에서 씨름하고 있는 한국 여성의 인간론을 기술할 것이다. 식민주의, 전쟁, 분단, 독재정권의 고통의 시기마다 한국 여성들에게 유교문화를 기본으로 한 성차별 경험은 다르게 각인되었다. 그러나 한국여성들은 고통의 경험 속에서도 정을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 해방은 억압을 해체하는 것을 통해서만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흔히 정은 수동성과 무력함을 영속화시키는 것이라고 오해한다. 그러나 정은 수동적이거나 행위 주체성을 상실하는 행위가 아니다. 오히려 행위 주체성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진 사람들이 행위 주체성을 실천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만약 우리가 정이란 모든 생명체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 자신의 바운더리를 넓혀서 다른 생명들의 참된 삶(웰빙)에 예민해지는 마음이라고 정의한다면, 한국여성들이 일상 속에서 정을 구현해왔던 삶이 하나님의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하나님의 형상과 정의 관계를 한국여성의 삶의 관점에서 추적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한국학과 유가 사상에서 정의하고 있는 정개념, 포스트콜로니얼 이론과 후기 구조주의 관점에서 정 개념을 창의적으로 전유한 앤 조(Anne Joh)의 정 개념을 탐구한 후, 이레네우스, 어거스틴, 토마스, 바르트의 하나님 형상 이해에서 통전성, 역동성, 관계성의 개념을 정과 연결시켜 정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일상적 실천을 강조하는 여성신학자들의 종말론적 본질주의적 관점에서 하나님의 형상인 정을 구현하는 인간을 기술할 것이다. From a theologic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 human who is crying for in the midst of four evils, physical, mental, spiritual, relational, social, and structural suffering seeks for God in order to be liberated from that suffering. In other words, what is a human being is a growing being against suffering in the midst of suffering and toward God. This paper describes Korean feminist anthropology for who struggles with being created without giving-up being a human in multiple suffering experiences. Experiencing suffering such as Japanese colonialism, Korean war, division of the country, dictatorship, combined with Confucian patriarchal culture, for Korean women sexism has differently been reinscribed in each period. However, they practiced jeong in the midst of suffering. For one who argues that we can gain liberation by deconstructing oppression, jeong is misunderstood as something to perpetuate passivity and helplessness. However, jeong is neither passive nor losing his or her agency. Rather it helps one who is situated in his or her agency practice it. In this context, we can say that Korean women``s embodyng jeong in their everyday life means embodying Imago Dei. If we defines jeong as compassionate heart with and for all life, as broadening our boundary and becoming sensitive to the wellbeing of other life, this paper traces the relation of Imago Dei with Jeong Korean from a Korean feminist perspective.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definition of jeong in Korean studies and Confucianism and the notion of jeong creatively appropriated by Anne Joh in the basis of postcololnial theories and post-structural theories. It then studies wholeness, dynamism, and relativenss in what Irenaeus, Augustine, Thomas, and Barth understand Imago Dei, relates them to jeong and suggests jeong as image of God. Finally, it describes jeong anthropology from an eschatological essentialist perspective of feminist theologians who emphasize everyday practices of jeong.

      • KCI등재

        ‘아마에(甘え)’를 통해 본 한국인의 ‘정(情)’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임정아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8

        연구는 일본의 ‘아마에’ 이론을 통해 본 한국인의 ‘정’에 관한 연구로서, ‘아마에’ 와 ‘정’에 관하여 심리학적 및 목회상담학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한국의 목회상담과 목회적 돌봄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모색해본 것이다. 그동안 한국인의 영혼돌봄 과 심리치료에 있어 주로 서구의 이론이 사용되어 왔다면, 본고에서는 일본의 ‘아마에’ 이론을 토대로 한국인의 ‘정’ 심리에 관해 분석해보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한국인의 ‘정’은 인간의 상호교류에 의해 형성되는 상호성의 심리로서, ‘정’의 욕구가 충족되었 을 때 건강한 자기를 형성할 수 있지만, ‘정’의 욕구가 빈번히 좌절되었을 때 자기결 핍이라는 병리적인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정’ 자체가 영성적이고 초월적인 속 성을 지닌 개념임을 확인하며, 대상과의 합일을 갈망하는 ‘정’에 대한 욕구를 ‘자기초 월의 영성’을 통해 궁극적인 대상인 하나님과의 합일에 대한 욕구로까지 확장시켜가 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 필자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정서인 ‘정’에 대한 신학적 논의가 앞으로 더 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고, 한국교회 안에 ‘정의 신학’에 대한 정립의 필 요성, 및 이러한 ‘정의 신학’을 바탕으로 교인들의 무의식 속에 자리한 ‘정’의 욕구에 대한 체계적인 목회적 돌봄의 제공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오늘날 한 국인이 드러내는 다양한 정신장애는 ‘정’을 매개로 한 타인들과의 공감적 관계경험의 부족이 그 주요한 원인일 수 있으므로, 상담실에 찾아오는 내담자의 증세와 문제를 ‘정’의 욕구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하며, 이를 위해 내담자에게 충분한 공감적 관계경 험을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This paper is a pastoral counseling study on the Jeong in Korean from the perspective of Amae in Japanese. It is investigated on the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aspects of Amae in Japanese and Jeong in Korean. Its study gropes for strategies for the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Korean context. So far, it has been used the western theories for the soul-caring and psychotherapy of Korean. But,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analysing Jeong in Korean based on Amae in Japanese. Jeong in Korean is the psychology of reciprocity made by human mutual exchange. When the need of Jeong could be gratificated enough, one would develop healthy self. But when the need of Jeong could not be gratificated and frustrated often, one would develop unhealthy self. Jeong in Korean has the embryo of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in its essence. So, Jeong in Korean can be expanded to the dimension of the need of union with God, ultimate Object, through the spirituality of self transcendence.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e need of the future theological studies on Jeong in Korean, and the need of establishing the ‘theology of Jeong’ in Korean Church, and the need of pastoral care giving for the Korean church members who have the ‘need of Jeong’ in their unconscious. Finally, it is suggested the need of understanding the symptoms of the pati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ed of Jeong,’ and the need of providing the patients with empathic relationship experiences sufficiently.

      • KCI등재

        삼국 신라 연령등급제의 연령과 속성

        정덕기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3

        연령등급제는 백성의 세역 부과 기준이자 일종의 과표로 기능하는 제도이다. 본 고에서는 삼국 신라 연령등급제의 구조ㆍ운영 방식을 해명하고, 삼국ㆍ통일신라 연령등급제의 계기적 발달과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상고기 연령등급제는 아이(子ㆍ女)-어른(丁)-늙은이(公(翁)ㆍ母(嫗))의 3등급으 로 구축되며, 丁ㆍ非丁만 두고 半丁을 두지 않았다. 중고기 연령등급제는 丁의 국 역 부담 감축을 위해 아이의 일부가 半丁으로 분화하였다. 또 丁 내부 半丁인 어린 (幼․少) 丁ㆍ늙은(老) 丁이 壯丁과 구별되었다. 상고기 연령등급제의 丁ㆍ非丁 구조, 중고기 연령등급제의 半丁 구조․丁 내부 半丁의 운영 방식은 통일신라 연령등급제로 계승되었다. The age-grade system is a system that functions both as a standard for levying taxes on people and as a sort of taxation standard.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structure and operational form of the age-grade system of Sill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Furthermore, the study tries to grasp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ystem, which remained in plac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Unified Silla period. During the Upper-Ancient period, the system consisted of three grades: children (male[子], female[女]), adults [jeong(丁)], and the elderly [gong(公) or ong(翁) which means old man and mo(母) or gu (嫗) which means old woman]. The system had the categories of jeong and non-jeong[非丁] but half-jeong[半丁]. In the Middle-Ancient period, some of the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half-jeong category to reduce the burden of statute labor on jeong. Besides, little[幼·少] jeong and old[老] jeong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inner half-jeong [丁 內部 半丁] were distinguished from young[壯] jeong. The Jeong and half-jeong structure of the Upper-Ancient period, and half-jeong structure and the inner half-jeong of jeong operational form of the Middle-Ancient period, were both inherited by Unified Silla.

      • KCI등재

        전통시장 정문화와 재방문속성 요인과의 질적 접근

        심완섭(Shim, Wan-Seop)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2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학계 그리고 상인회의 노력이 진행 중에 있지만 날로 침체일로를 걷고 있다. 이는 전통시장 활성화 전략방향이 타 소매점과 구별된 전략을 강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전략부재에 기인한다. 즉, 전통시장의 경쟁우위 요소를 타 소매점간의 차별적인 시각에서 파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보편 일률적인 기준에서 파악하고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전통시장의 정(JEONG) 문화가 전통시장 선택속성요인으로 작용하는가를 확인함으로써 장기적인 차원에서 전통시장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준비해야 할 단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질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전통시장 상인들과 정(情) 관계가 형성되면 믿음과 신뢰가 형성되어 재방문이 쉽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전통시장 상인들은 이용객들을 먼저 생각하는 정직함과 인간간성으로 무장된 정이라는 소구로 호의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그러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전통시장 방문시 소비자와 인간적인 결속을 강화하고 인간적인 호의를 쌓아가는 것이 전통시장 재방문 속성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통시장 상인들은 전통시장 방문객인 소비자와의 관계에서 전통시장의 속성인 정으로 감정정적인 결속을 다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소비자와의 관계형성이 재방문 속성을 증진 시키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학술적인 시사점으로는 전통시장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정(情)이라는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고유명사인 정(JEONG)이라는 개념을 생성해 냈다는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전통시장 상인들에게 타 소매업태와 구별되는 사업전략 소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The government, academic sector, and merchant associations are making ceaseless effort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places, but the marketplaces are still seriously depressed. This is because of the lack of strategie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places to make the marketplaces distinguished from other retailers. In other words, traditional marketplaces" competitive factors should be identified from a differentiated perspective, but they are identified and applied based on universal standard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Jeong culture of traditional marketplaces works as a factor for choosing traditional marketplaces to establish the evidence for traditional marketplaces to nurture competitiveness in a long-term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it involved a qualitative analysis and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as shown in the results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visit was made more easily when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places establish the Jeong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based on trust and loyalty. Therefore,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places should approach users favorably to appeal the Jeong factor based on honesty and humaneness and a correspond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visiting factor of traditional marketplaces is reinforcing friendly bonding with consumers and accumulating favor. Therefore,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places should consolidate emotional bonding with consumers based on Jeong, a property of traditional marketplaces. This is because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consumers can effectively enhance the revisit factor. The academic implication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the theoretical review of Jeong, which was not considered with importance in many studies on traditional marketplaces, defined the original concept of Jeong. Practically, it provided distinct business strategies for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places.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학계 그리고 상인회의 노력이 진행 중에 있지만 날로 침체일로를 걷고 있다. 이는 전통시장 활성화 전략방향이 타 소매점과 구별된 전략을 강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전략부재에 기인한다. 즉, 전통시장의 경쟁우위 요소를 타 소매점간의 차별적인 시각에서 파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보편 일률적인 기준에서 파악하고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전통시장의 정(JEONG) 문화가 전통시장 선택속성요인으로 작용하는가를 확인함으로써 장기적인 차원에서 전통시장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준비해야 할 단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질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전통시장 상인들과 정(情) 관계가 형성되면 믿음과 신뢰가 형성되어 재방문이 쉽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전통시장 상인들은 이용객들을 먼저 생각하는 정직함과 인간간성으로 무장된 정이라는 소구로 호의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그러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전통시장 방문시 소비자와 인간적인 결속을 강화하고 인간적인 호의를 쌓아가는 것이 전통시장 재방문 속성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통시장 상인들은 전통시장 방문객인 소비자와의 관계에서 전통시장의 속성인 정으로 감정정적인 결속을 다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소비자와의 관계형성이 재방문 속성을 증진 시키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학술적인 시사점으로는 전통시장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정(情)이라는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고유명사인 정(JEONG)이라는 개념을 생성해 냈다는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전통시장 상인들에게 타 소매업태와 구별되는 사업전략 소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The government, academic sector, and merchant associations are making ceaseless effort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places, but the marketplaces are still seriously depressed. This is because of the lack of strategie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places to make the marketplaces distinguished from other retailers. In other words, traditional marketplaces" competitive factors should be identified from a differentiated perspective, but they are identified and applied based on universal standard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Jeong culture of traditional marketplaces works as a factor for choosing traditional marketplaces to establish the evidence for traditional marketplaces to nurture competitiveness in a long-term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it involved a qualitative analysis and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as shown in the results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visit was made more easily when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places establish the Jeong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based on trust and loyalty. Therefore,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places should approach users favorably to appeal the Jeong factor based on honesty and humaneness and a correspond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visiting factor of traditional marketplaces is reinforcing friendly bonding with consumers and accumulating favor. Therefore,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places should consolidate emotional bonding with consumers based on Jeong, a property of traditional marketplaces. This is because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consumers can effectively enhance the revisit factor. The academic implication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the theoretical review of Jeong, which was not considered with importance in many studies on traditional marketplaces, defined the original concept of Jeong. Practically, it provided distinct business strategies for the merchants of traditional marketplaces.

      • KCI등재

        문화 : 정선이 그린 정호(程顥),정이(程이) 고사인물화

        송희경 ( Hee Kyeong So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정선이 그린 정호 정이고사도의 시각적 특징과 조선시대 이정고사도의 전개양상, 그리고 정선의 제작방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북송대 유학자였던 정호와 정이는 정반대의 성격을 지닌 한 살 터울의 형제이자, 도학의 새로운 흐름을 열었던 지적 동반자였다. 그들은 강한 개성과 독특한 일화를 남긴 선학으로, 혹은 주자에게 절대적 영향을 준 신유학의 창시자로 기억되었다. ``방화수류(傍花隨柳)``, ``정문입설(程門立雪)``, ``부강(부江)`` 등의 제재로 표현된 이정고사도는 정선이 그린 송대성현의 고사인물 중에서 제재와 작품수가 가장 많았다. 정선이 그린 이정고사도의 형식은 자연배경에 고사상이 배치된 산수인물화이며, 기법은 남종화법을 근간으로 한 수묵담채화였다. 그의 다른 고사인물화와 마찬가지로 고사의 일화를 도해할 때 조선중기의 전통을 계승한 산수인물형식을 도입해서 풍류와 낙도(樂道)를 누리는 정호 정이상을 완성했다. 16세기에는 정호, 정이가 도학의 계승자들과 함께 화첩이나 병풍에 장첩되었는데, 그림의 주인공들은 도통계보의 인명도설에 포함된 인물들이었다. 정선과 같은 시기에 활동한 어유봉의 <병화십찬>을 통해 고사일화형식을 갖춘 송대성현의 고사도가 18세기 전반에 이미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선의 그림에 표현된 정호와 정이는 권위를 내세운 관료도, 위엄을 갖춘 지도자도 아니었다.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유학자였지만, 때로는 자연을 즐기고 때로는 세상사에 초연할 줄 아는 처사이자 참진리를 추구하는 진정한 지식인이었다. 정선은 정호, 정이의 고사를 해석하면서 자신만의 화법으로 새로운 화면을 창안했다.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Jeon Seon`s gosa paintings of JeongHo and JeongE, JeongHo and JeongE were Confucians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brothers who were born only a year apart, and intellectual companions who helped open a new chapter for Taoism. They are remembered as founders of a new Confucianism, who gave absolute influences to Zhu xi as well as pioneering scholars with spirited personalities whose exploits are well known and without comparison. JeongEGoSado, which is composed of a number of subjects such as banghwasuryu, jeongmunipseol, and bugang, It is also the kind of painting that he produced in the biggest quantities. The genres of JeongHo and JeongEGoSaDo as painted by Jeong Seon, belong to the tradition of SanSui figurative painting, featuring gosa seared within a natural background, using softly colored water and ink painting based on the NamJong style (a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Like other gosa figurative painting by JeongSeon, in which he depicted the daily lives of gosa, he incorporated the SanSui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that developed from the traditions of the mid-Joseon period, and represented JeongHo and JeongE, who were known to have enjoyed pungryu and nakdo. According to literature, before Jeong Sean the gosa paintings of JeongHo and JeongE were known to have predominantly been incorporated within SeongHyeonGoSaCheop. In the 16thCentury, JeongHo and JeongE featured within picture books or wall screens along with the followers of Confucian from that time. In this way the main characters depicted in these paintings were from an Confucian Diagrams. ByeongHwaSipChan by EoYu-bong - a painter from the same period as Jeong Sean - helped ensure that goon painting of saints from the Song dynasty, employing SanSui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became established in the early l8thCentury. As depicted in Jeong Seon`s paintings, JeongHo and JeongE appeared as neither powerful officials nor majestic leaders. Even though they were analytical and logical Confucians, we are reminded that they knew how to find amusement within nature, and to find relief from everyday worldly concerns as genuine intellectuals pursuing fundamental truths. Jeong Seon created a new style of his own while interpreting the old legends of JeongHo and JeongE.

      • KCI등재

        우담 정시한의 「사칠변증(四七辨證)」에 관한 연구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정시한은 72세에 「사칠변증」을 완성하고 이후에 제자 이식과 인물성동이논변을 벌인다. 정시한의 입장은 인물성이론의 입장이었고 이식은 인물 성동론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인물성동이논변은 잊혀지고 「사칠변증」이 인정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에 퇴계학파와 율곡학파가 대립점에 있었고 서로가 서로의 입장을 비판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사칠변증」을 완성하게 되는 데에는 이현일의 「율곡이씨논사단칠정서변」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이의 사단과 칠정에 대한 생각은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라는 ‘혼륜(渾淪)의 입장’이었고, 이황은 사단과 칠정은 서로 다르게 해석할 수밖에 없다는 ‘분개(分開)의 입장’이었다. 정시한은 분개의 입장에서 혼륜의 입장을 비판하는 입장에 있었다. 「사칠변증」을 통해 정시한은 무엇을 추구하려고 하였는가? 이러한 사실은 우리가 정시한이 제자 이식과 벌였던 인물성동이논변을 잊게 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현재 정시한의 「사칠변증」에서 이이를 비판한 사실은 알지만 정시한이 인물성동이논변을 벌였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중요한 논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사칠변증」이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것일까? 그것은 정시한이 희망했던 희망하지 않았던 것과 상관없이 정시한 이후에 사단칠정논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익과 신후담, 정약용에게까지 「사칠변증」이 영향을 준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Jeong Si-Han(丁時翰) completed “Siqibianzheng”(「四七辨證」) at the age of 72, and later had the argument over Runwuxingtongyilunzheng(人物性同異論爭) with his disciple, Lee Sik(李栻). Jeong Si-Han(丁時翰) had the position of Runwuxingyilun(人物性異論) and Lee Sik(李栻) Runwuxingtonglun(人物性同論). Yet, the argument over Runwuxingtongyilunzheng(人物性同異論爭) had been forgotten and “Siqibianzheng”(「四七辨證」) could be acknowledged because Toegye school(退溪學派) and Yulgok school(栗谷學派) were conflicting and criticizing each other's stance at that time. It seems like Lee Hyeon-Il(李玄逸)'s “Liqulishilunsiduanqiqingshubian”(「栗谷李 氏論四端七情書辨」)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letion of “Siqibianzheng” (「四七辨證」). Lee Yi(李珥)'s thought of Siduan(四端) and Qiqing(七情) was ‘the position of Hunlun(渾淪)’ that ‘Qiqing(七情) includes Siduan(四端)’, and Lee Hwang(李滉) had the ‘position of Fenkai(分開)’ that Siduan(四端) and Qiqing(七 情) sh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Jeong Si-Han(丁時翰) criticized the stance of Hunlun(渾淪) from the position of Fenkai(分開). What did Jeong Si-Han(丁時翰) try to pursue through “Siqibianzheng”(「四七 辨證」)? This fact tends to make us forget the controversy over Runwuxingtongyilunzheng(人物性同異論爭) between Jeong Si-Han(丁時翰) and disciple Lee Sik(李栻). Now we know the fact that Jeong Si-Han(丁時翰) criticized Lee Yi(李珥) in “Siqibianzheng”(「四七辨證」), but don't care much about the fact that Jeong Si-Han(丁時翰) caused the controversy over Runwuxingtongyilun(人物性同異論). Why “Siqibianzheng”(「四七辨證」) has remained in our memory even though it was an important one? It might be because “Siqibianzheng”(「四七辨證」) had an impact on Lee Sik(李栻), Shin Hu-Dam(愼後聃), and even Jeong Yak-Yong(丁若鏞) in the process of summarizing the arguments over Siduanqiqinglunzheng(四端七情論爭) since Jeong Si-Han(丁時翰) regardless of whether Jeong Si-Han(丁時翰) had hoped it or not.

      • KCI등재

        정신보론(鄭臣保論) -남송 성리학의 고려 전래와 관련하여-

        최영성 ( Young Sung Cho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6

        본고는 한국 성리학의 전래와 기원에 관한 것이다. 고려 고종 24년(1237)에 남송(南宋) 출신의 학자 정신보(鄭臣保)가 오늘의 서산 간월도(看月島)에 정착하여 고려 학인들에게 이정(二程)의 성리학을 전파하였다는 자료를 검증하고 확인하였다. 이에 따르면 안향(安珦)에 의해 성리학이 처음으로 고려에 전해졌다고 알려진 1290년보다 53년 앞선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학계에서 공인을 받으면 성리학사는 고쳐 써야 할 것으로 본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고려 유학사의 변화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어 정신보의 생애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정신보가 남송의 명문 포강정씨(浦江鄭氏) 가문의 후예라는 점과 포강정씨의 후손답게 춘추사상(春秋思想)과 의리정신에 투철하였음을 부각시켰다. 이밖에 정신보 학통의 전승 과정과 후세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서도 추론하였다. This article is on the introduction and origin of Korean Neo-Confucianism. In this article, it is verified and clarified that a scholar named Jeong, Sin-bo (鄭臣保) from Southern Song settled on today`s Seosan Ganwoldo (看月島) in the year of 1237 (24th year of the king Gojong in Korean Dynasty) and he introduced the Neo-Confucianism both by Jeong, Myung-do (程明道) and Jeong, Yi-cheon (程伊川) who are also called Double Jeong to Korean scholars. Based on these facts, it overturns the history that Anhyang (安珦) first introduced Neo-Confucianism to Korean Dynasty in the year of 1290 even with 35 years ahead. When this gains official approval by the academia,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seems to be rewritten. This article first examines changes in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with three stages and then concentrates on the life of Jeong, Sin-bo. It presents that Jeong, Sin-bo was a descendant of a Southern Song`s noble family named Pogang Jeong (浦江鄭氏) and he committed to Chunqiu thoughts (春秋思想) and spirit of loyalty (義理精神) naturally as the posterity of Pogang Jeong. Lastly, it also infers the transmission of Jeong, Sin-bo`s scholastic mantle and his influence on the posterity.

      • 초암(草庵) 정윤우(丁允祐) 연구 - 16세기 지식인의 관료의식과 그 실천 -

        김학수 ( Kim Hak-su ) 한국계보연구회 2020 한국계보연구 Vol.10 No.-

        이 글은 초암(草庵) 정윤우(丁允祐)가 국가의 위기에서 공인이 어떻게 처신하고 역할하였는지에 관한 사례를 통해 가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기림을 받을 수 있는 참된 지도자를 새롭게 발굴하고 조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15~16세기 나주정씨(羅州丁氏)의 가계와 문벌의 위상을 통해 가문적 연원을 살피고, 그러한 가문의 위상 속에서 정윤우의 생애와 내외족친의 인적 연계망을 확인하였다. 정윤우는 1570년 문과에 합격하여 문신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고 이때부터 그의 관료생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임진왜란 시기 전시상황을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판단하여 관료로서의 역할과 비중을 확대해나갔다. 또한 정윤우는 중형 정윤희(丁胤禧)를 매개로 퇴계학(退溪學)을 수용하였고 이를 통해 관료로서의 지위뿐 아니라 학자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정윤우의 관료적 역할과 업적에 비해 조정의 예우는 다소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사림에서는 그를 위해 사우를 건립할 것을 발론한다거나 별묘를 건립하여 불천위로 봉안된것 정도의 종족적 차원에서의 예우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 이후 정조 연간에 들어서 명나라 사행 시 신종으로부터 하사받은 유엽배(柳葉杯)를 계기로 정윤유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것은 곧 영남지역 대명의리의 상징물이 되었으며 정씨가문의 충효의 표상으로 인식되었다. 국가와 사회라는 공동체 속에서 정윤우는 국난의 시기에 공인의 자격으로 관료적소임을 다하였으며 국가와 사회의 이익을 위해 누구보다도 본분에 충실했던 인물로서의 이해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over and shed light on true leaders who can receive social honor beyond family level through examples of how Cho-am(草庵) Jeong Yun-woo(丁允祐) acted and played a role as a public figure in the national crisis. Thus, the family origin was considered through the status of Naju Jeong Clan(羅州丁氏) lineage and literary cliqu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nd in such a family status, Jeong Yun-woo's life and his personal network formed by his kin relation were verified. Jeong Yun-woo passed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1570 and became a member of the ranks of civil officials, and his bureaucracy began in earnest from then on. Since then, he has expanded his role and importance as a bureaucrat by objectively and realistically judging the wartime situat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Jeong Yun-woo accepted Toegye Studies through Jeong Yun-hui (丁胤禧) and through this, he became not only a bureaucrat but also a scholar. However, it is true that the respectful treatment of royal court was somewhat insufficient compared to Jeong Yoon-woo's bureaucratic roles and achievements. In Sarim society, Jeong Yoon-woo was respected in family-related level, such as to build a shrine for him and enshrine him as an ancestral rites for a meritorious in separate shrine. Later, in the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he re-examination of Jeong Yoon-woo began to take place on the occasion of the Yuyeopbae(柳葉 杯), which was granted by Sinjong(神宗) during envoy travel to the Ming Dynasty. It soon became a symbol of fidelity to Ming Dynasty in Yeongnam region and was recognized as a symbol of the loyalty of the family. In the community of the nation and society, Jeong Yun-woo has to be understood as a person who served his bureaucratic duty as a public figure in the time of national crisis and was faithful to his duty more than anyone else for the benefit of the nation and society.

      • KCI등재

        景을 통한 情의 표출 방식에 따른 漢詩 해석

        구본현 국문학회 2013 국문학연구 Vol.0 No.28

        Examining tendency of researching into classical Chinese poetry[漢詩] so far, there are many cases of analyzing them by referring to the evaluation in the contemporary generation or future generation and to a traditionally classical poetic theory. By the way, the terms, which were used in criticism or poetic theory of the past, are not definite mostly in a concept or fail to be systematic in logic. Thus, this isn't easy to be utilized positively. This study was prepared under the aim of specifically analyzing significance and aesthetic sense of classical Chinese poetry by using Jeong[情] and Gyeong[景], which had been used as an important conceptual term in the traditional poetic theory of the past. ‘Gyeong’ signifies a paragraph that is composed of objective description on the sensually accepted object. ‘Jeong’ indicates a paragraph of containing a poet's emotion or thought. Gyeong becomes a cause of stimulating Jeong, too. Also, it becomes a result that a poet selected subjectively, too, sometimes according to Jeong that a poet has. Accordingly, Gyeong, which was shown in classical Chinese poetry, ha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Jeong. In case of being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form that Jeong and Gyeong are combined, the ultimate meaning of Gyeong needs to be analyzed on the basis of a character that Jeong has. In the face of being very diverse in objects and aspects available for being experiences sensibly, a poet needs to be always mindful of needing to making it poem by selecting only specific object and aspect. A poet needs to form Gyeong so that Jeong can be signified. Thus, examining which poetic diction was chosen and how Uigyeong[意境] was organized leads to being able to analyze a meaning that Gyeong was implied. In the meantime, a poet also uses a character as symbol and Jeongo[典故, authentic precedents] that an object has. Community of sharing spirit and culture gives a peculiar meaning to one object, thereby tending to secure internal homogeneity. Classical Chinese poetry is a branch of being well revealed this characteristic. Thus, there is a need of examining whether a thing or a case of forming Gyeong has a symbolic meaning or Jeongo-based character. Gyeong, which uses a symbol or was utilized Yongsa[用事], cannot help certainly suggesting Jeong behind it. Symbol and Yongsa are a rhetoric for making a meaning of a work, namely, the theme, more implicitly. Hence, motive and background of creation are very important to be grasped. Examining the poetic theme and the associated data closely leads to obtaining information on a creative situation. A meaning of Jeong, which is hidden in it, can be understood only when needing to analyze characteristic of Gyeong based on this. 지금까지의 한시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당대나 후대의 평가 및 전통적인 詩論을 참조하여 한시를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과거의 비평이나 시론에 사용된 용어들은 대부분 개념이 명확하지 않거나 논리가 체계적이지 못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본고의 목적은 과거의 전통적인 시론에서 중요한 용어로 사용되었던 ‘情’과 ‘景’의 형상화 방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景은 감각으로 수용된 대상에 대한 객관적 서술로 이루어진 구절을 가리키며, 情은 시인의 감정이나 생각을 담은 구절을 가리킨다. 景은 情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情에 따라 시인이 주체적으로 선택한 결과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한시 속에 나타난 景은 情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情과 景이 결합된 형태의 한시일 경우, 情이 지니고 있는 성격을 기준으로 삼아 景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감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대상과 측면이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시인은 특정한 대상과 측면만을 선택하여 詩化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이다. 시인은 情을 함축할 수 있도록 景을 구성해야 하므로, 어떤 시어를 선택하였고 어떻게 意境을 조직하였는지 살펴본다면 景이 함축한 의미를 해석해낼 수 있다. 한편, 시인은 대상이 지닌 상징성과 典故로서의 성격을 이용하기도 한다. 정신과 문화를 공유하는 공동체는 하나의 대상에 고유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내부적 동질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있다. 한시는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나는 갈래이므로, 景을 이루고 있는 사물이나 사건이 상징적 의미나 典故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상징을 이용하거나 用事가 활용된 景은 반드시 그 이면에 情을 함축할 수밖에 없다. 상징과 용사는 작품의 의미, 즉 주제를 보다 함축적으로 만들기 위한 수사법이므로 창작의 동기 및 배경을 파악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시의 제목 및 연관 자료를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창작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고, 이를 기준으로 삼아 景의 특징을 분석해야만 그 속에 감추어진 情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정선이 그린 程顥⋅程頤 고사인물화

        송희경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정선이 그린 정호 정이고사도의 시각적 특징과 조선시대 이정고사도의 전개양상, 그리고 정 선의 제작방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북송대 유학자였던 정호와 정이는 정반대의 성격을 지닌 한 살 터울의 형 제이자, 도학의 새로운 흐름을 열었던 지적 동반자였다. 그들은 강한 개성과 독특한 일화를 남긴 선학으로, 혹 은 주자에게 절대적 영향을 준 신유학의 창시자로 기억되었다. ‘방화수류(傍花隨柳)’, ‘정문입설(程門立雪)’, ‘ 부강(涪江)’ 등의 제재로 표현된 이정고사도는 정선이 그린 송대성현의 고사인물 중에서 제재와 작품수가 가 장 많았다. 정선이 그린 이정고사도의 형식은 자연배경에 고사상이 배치된 산수인물화이며, 기법은 남종화법을 근간으로 한 수묵담채화였다. 그의 다른 고사인물화와 마찬가지로 고사의 일화를 도해할 때 조선중기의 전통을 계승한 산수인물형식을 도입해서 풍류와 낙도(樂道)를 누리는 정호 정이상을 완성했다. 16세기에는 정호, 정이가 도 학의 계승자들과 함께 화첩이나 병풍에 장첩되었는데, 그림의 주인공들은 도통계보의 인명도설에 포함된 인 물들이었다. 정선과 같은 시기에 활동한 어유봉의 <병화십찬>을 통해 고사일화형식을 갖춘 송대성현의 고사 도가 18세기 전반에 이미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선의 그림에 표현된 정호와 정이는 권위를 내세운 관료도, 위엄을 갖춘 지도자도 아니었다. 분석적이고 논 리적인 유학자였지만, 때로는 자연을 즐기고 때로는 세상사에 초연할 줄 아는 처사이자 참진리를 추구하는 진 정한 지식인이었다. 정선은 정호, 정이의 고사를 해석하면서 자신만의 화법으로 새로운 화면을 창안했다.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Jeon Seon’s gosa paintings of JeongHo and JeongE. JeongHo and JeongE were Confucians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brothers who were born only a year apart, and intellectual companions who helped open a new chapter for Taoism. They are remembered as founders of a new Confucianism, who gave absolute influences to Zhu xi as well as pioneering scholars with spirited personalities whose exploits are well known and without comparison. JeongEGoSado, which is composed of a number of subjects such as banghwasuryu, jeongmunipseol, and bugang, It is also the kind of painting that he produced in the biggest quantities. The genres of JeongHo and JeongEGoSaDo as painted by Jeong Seon, belong to the tradition of SanSui figurative painting, featuring gosa seated within a natural background, using softly colored water and ink painting based on the NamJong style (a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Like other gosa figurative painting by JeongSeon, in which he depicted the daily lives of gosa, he incorporated the SanSui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that developed from the traditions of the mid-Joseon period, and represented JeongHo and JeongE, who were known to have enjoyed pungryu and nakdo. According to literature, before Jeong Seon the gosa paintings of JeongHo and JeongE were known to have predominantly been incorporated within SeongHyeonGoSaCheop. In the 16thCentury, JeongHo and JeongE featured within picture books or wall screens along with the followers of Confucian from that time. In this way the main characters depicted in these paintings were from an Confucian Diagrams. ByeongHwaSipChan by EoYu-bong – a painter from the same period as Jeong Seon – helped ensure that gosa painting of saints from the Song dynasty, employing SanSui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became established in the early 18thCentury. As depicted in Jeong Seon’s paintings, JeongHo and JeongE appeared as neither powerful officials nor majestic leaders. Even though they were analytical and logical Confucians, we are reminded that they knew how to find amusement within nature, and to find relief from everyday worldly concerns as genuine intellectuals pursuing fundamental truths. Jeong Seon created a new style of his own while interpreting the old legends of JeongHo and Jeo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