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의 財政顧問部 조직과 운영(1905~1907)

        김혜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3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was organized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the readjustment of financial affairs under the Japanese Financial Adviser Megata Tanetaro(目賀田種太郞), who was dispatched to Joseon for this mission in accordance to the 1st Japan-Korea Agreement(第 1次 韓日協約) of August 1904. For three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in January 1905 until its disorganization on October 31, 1907,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served to subordinate Korea's financial administrations under the Japanese control. The organization of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consisted of the Headquarters of Advisers, in charge of the central government finance, the Branches and Offices affiliated to the Branches, in charge of provincial finance. The organization of provincial organs was launched as of July 1907 when the investigation was completed on the finances: the Branches and their affiliate Offices in 13 provinces, and the Department of Inspection(監部) for the supervision of the Branches and the Offices. The structure of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was a replica of the Japanese provincial financial organization, Tax Inspection Bureau(稅務監督局).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staffed itself completely with Japanese: starting with three officials, the number grew to 316 by the time of its disorganization. The constitution of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officials was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and non-government officials in the half-and-half ratio. The government officials were mostly from the Exchequer(大藏省), especially in the Tax Inspection Bureau and Monopoly Bureau(專賣局), obviously because the major roles of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were to collect taxes and increase the source of revenues. They came to Korea mostly at the request or invitation by Megata, but the high salary was among the motives for undertaking these posts in Korea. While those who took the Adviser's post as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were experienced and in their 30's, those who were not government officials were inexperienced without the passage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文官試驗). These non-government officials served as panimgwan(判任官) in charge of provincial finance, often creating conflicts with local Koreans from lack in work experiences. About 61% of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officials continued their work until after the Korea-Japan Annexation, working in strong solidarity with officials of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and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is is an evidence that Japanese colonial policies towards Korea had been in progress by a meticulous design from the time of the first Japan­Korea Agreement of August 1904. The chronological progress of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major activities includes the currency reorganization in 1905, facilities enterprises and an increase in revenue in 1906, and an increase of taxpayers and revenue in 1907.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pursued activities geared for general reforms in financial structure, while its activities in the latter part of the period were for an increase in revenue. This was aimed at Japanizing Korea's financial structure at the expense of Korea.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activities were a comprehensive result of the policies put forward by Japan, Resident-General Itō Hirobumi(伊藤博文), and the Japanese Financial Adviser Megata intermixed with Korea's given circumstances at that time. While the Bureau of Japanese Financial Advisers was disorganized when the 3nd Korea-Japan Agreement came into effect, its activities were continued by the Japanese Resident-General(統監府)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朝鮮總督府), constituting the foundation of the financial structure and policies to plunder Korea's economy and ind... 재정고문부는 제 1차 한일협약의 결과 파견된 재정고문 메가다 다네타로(目賀田種太郞)가 재정정리를 수행하기 위해 설치한 재정기관이다. 1905년 1월에 설치되어 1907년 10월 31일 폐지될 때 까지 약 3년여 동안 한국의 재정을 일본에 예속시키기 위한 활동을 수행했다. 그 조직은 중앙의 재정을 담당하는 고문본부와 지방의 재정을 담당하는 지부(支部) 이하 부속기관으로 나누어진다. 지방조직은 재정에 관한 조사가 완료된 1905년 7월부터 조직되기 시작했으며, 13도에 설치된 지부와 그 하부조직인 분청(分廳)이 있었고, 지부와 분청을 감독하기 위한 감부(監部)가 설치되었다. 이것은 일본의 지방재정기구인 세무감독국(稅務監督局) 제보를 이식한 것이었다. 재정고문부에 고빙된 관리는 모두 일본인으로 처음에는 3명에 불과했으나 폐지될 무렵에는 316명으로 증원되었다. 이들은 재관자(在官者)와 비재관자(非在官者)로 나누어지는데 그 비율은 50대 50이었다. 재관자는 주로 일본에서의 관직을 그대로 유지한 채 부임한 대장성(大藏省) 관료였고, 특히 세무감독국과 전매국 소속 관리가 많았다. 재정고문부의 주요 활동이 세금의 징수와 세원의 확대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이 한국에 오게 된 이유는 재정고문 메가다의 권유나 초청에 의한 경우가 많았고 고액의 월급도 이유 중 하나였다. 재관자들이 주로 업무경험이 풍부한 30대의 관리였던 반면 비재관자는 주로 문관시험을 거치지 않은 비경력자들이 많았다. 비재관자는 대부분 판임관으로 지방재정을 담당했는데, 업무경험의 부족으로 한국인과 많은 마찰을 빚었다. 재정고문부 관리 가운데 61%는 병합 후 조선총독부 관리로 계속 활동하여 통감부ㆍ조선총독부 관리와 강한 연계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은 일제의 식민지화 정책이 제 1차 한일협약 이후부터 주도면밀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재정고문부의 연도별 주요 활동은 1905년에는 화폐정리사업과 지출의 감소, 1906년에는 시설사업과 세입의 정리, 1907년에는 세입의 증가와 징세기관의 확장이었다. 전반기에는 재정구조의 전반적인 개혁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 주로 이루어졌고 하반기에는 세입의 증가를 위한 활동이 주로 이루어졌다. 이것은 한국의 재정구조를 일본화하고 그 비용을 한국에서 조달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활동은 일본의 정책과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정책, 재정고문 메가다의 정책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였다. 재정고문부는 제3차 한일협약의 실시로 폐지되었지만 그 활동은 통감부와 총독부로 이어져 일제강점기 식민지경제의 토대가 되었다.

      • KCI등재

        始政5年 記念 共進會와 미술관 전시에 대한 소고

        김인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4

        공진회는 만들어진 공간이었다. 어떤 물품이 수집되고, 분류되며, 전시되었는가. 그리고 조선인은 여기에서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조선총독부는 주목하지 않았다. 그들이 보여주고 싶은 것은 따로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왜곡된 식민지 조선 문화와 조선 통치의 성과였다. 공진회에는 조선 각처는 말할 것도 없고 일본과 중국 등지에서 온 관람객을 포함하여, 누계 116만여 명이 입장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을 관람했는가는 조선총독부에게는 중요했다. 결국 관제 동원과 조직화된 행정 지원이 이를 위해 작용했던 것이다. 1915년의 공진회는 만들어진 홍보공간이었다. 빛나는 조선 문화 보다는 열등한 조선 문화, 제국에 눌린 조선의 왕권, 일본자본주의를 학습하는 장소였다. 이러한 공진회의 전시장은 총 제13부 이외에 7개의 특별관이 별도로 마련되었다. 문제는 공진회의 전시가 기본적으로 역사성과 문화성이 결여되었고, 동시에 비교 전시를 통해 현실의 정치와 문화를 상대화시켰으며, 종국적으로 조선총독부의 효율성을 과시하는 공간이 되어 ‘제국의 목적’에 충실했다는 점이다. 미술관의 전시는 미술관ㆍ미술 분관이 중심이었다. 여기에 미술과 고고자료가 전시되었다. 미술관 1층은 불교문화로 시작되었다. 역사성이 완전히 무시된 골동품으로 조선의 문화를 전시했다. 공진회가 열렸던 1915년 조선총독부는 ‘조선’ 역사의 설명은 전혀 의도하지 않았다. 미술관 2층은 불교문화의 진수로 대장경을 전시하고, 조선시대 회화를 통해 조선시대 문화를 규정하고자 했다. 그리고 미정리 상태의 활자와 각종 서적 등도 전시에 동원되었다. 물론 고적조사에 기초해 발견된 전국의 주요 대형 유물 등은 무의미하게 미술관 안과 밖으로 옮겨졌다. 이러한 공진회 때의 미술관인 석조 건물은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본관이 되었다. 개관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은 박물관 건물로 지어진 것은 아니었다. 기능적으로 엄연히 미술관이었다. 이러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시는 1923년의 내용을 우선 확인할 수 있다. 1923년 전시는 공진회 때의 미술관 1층의 전시 내용은 경주 남산 약사불, 석굴암 부조, 각종 발굴품, 미술품 등이 부분적으로만 확인된다. 본관 2층의 전시는 공진회 때의 2층 동실의 조선 회화 중심, 2층 서실의 현대 회화 중심의 전시에 변화가 있었다. 변화의 핵심은 본관 1층 동실에 낙랑, 대방 등에서 발굴된 유물이 전시되었다는 것과 수정전 등에 중국에서 수집하여 온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는 정도이다. 이상과 같이 공진회 미술관은 사후를 생각하고 건립 당시부터 조성되었다. 그러나 다른 공진회의 전시 공간과 외형적 차이는 있었으나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여기에 조선총독부는 무엇이 전시되는지가 중요하지 않았다. 따라서 유물의 역사성의 배제되었고 유물의 주인인 조선인은 철저하게 소외되었다. 이 가운데 본질은 왜곡되어 자연스럽게 일본적 심미안과 불교 중심적 문화재관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특히 여기에는 학문적 성과와 연구자들의 조선 현지 조사가 주요하게 작용했다. 소외된 조선인은 왜곡된 역사관을 전시를 통해 학습을 강요받았다. 이것이 조선총독부가 공진회 미술관에서 의도한 것이었다. 이것은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초기 전시로 그대로 이어졌고, 내용적으로는 세련되었다. 결론적으로 공진회가 조선인과 외국인에게 조선을 식민통치하는 합목적인... Competitive exhibition was manufactured space. Japanese General-Government did not only disdain on the species, classification, display of goods and articles but also what the Korean is in this particular place. They wanted to show people that distorted colonial culture of Korea and outcomes from ruling Korea. Over millions of people who included needless of all over Korea, Japan and China visited this exhibition. The numbers of visitor were extremely significant for Japanese General-Government. Therefore, manufactured mobilizing by government and systematized administrative support played key role of exhibition. Exhibition in 1915 was well-manufactured publicizing space. This was not the place study about splendid culture of Chosun dynasty but Chosun’s inferior quality, suppressed sovereign by imperialism, and Japanese capitalism. The problem was that exhibition was absence of historicity, cultural meanings at the same time, they relativized politic and culture through comparative exhibition. Eventually, this place devoted to Japanese general-government’s efficiency which was purpose of imperialism. Art gallery was mainly about gallery and annex. Fine art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were exhibited in this gallery. Japanese displayed chosun dynasty with antiques lack of historical meaning. At the time of 1915 when exhibition held, Japanese general-government didn’t intend to explain history of chosun. On the second floor,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placed as essence of Buddhist civilization and paintings of Chosun era which was their definition of chosun culture. Additionally, unclassified printings and many types of book were rallied. Of course that major relics from all over Korea based on studying historical remains moved pointlessly to in and out of gallery. All the artifacts in gallery were the symbol of Japanese general-government’s administrative power. Stone building, art gallery of competitive exhibition, became main building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en they open the main building, this was not for the building for museum. Functionally, it was art gallery. This exhibition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useum could be certain in 1923. In 1923 exhibition, first floor was displayed by Bhaiṣajyaguru in Namsan, Kyung-ju and seokguram mural, excavation, art works. Change of second floor of main building of museum different with exhibition was that composed with east side-chosun paintings, west-side modern paintings. The core of alternation was that first floor east side exhibited by artifacts excavated and relics from China were displayed in Sujungjeon. Competitive exhibition art gallery was built with the idea of post-exhibition. It did not have many differences with other exhibition spaces but it was not fundamentally differen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idn’t pay attention to the relics that exhibited. Frequently, historical fact were excluded and the owner of these relic, Korean, were completely shunned. With that, Japanese esthetic senses and Buddhist standpoint of cultural assets were naturally applied with distorted essences. Alienated Chosun people were forced to study with distorted historical place. This is w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tended from exhibition gallery. This experiences and know-how were interacted with very first vers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lso sophisticated in contents. To conclude, like exhibition tried to get agreement from Korean (Chosun people) and foreigners with teleological reasons that their colonial ruling, exhibition art gallery was completely distorted. Simultaneously, Japanese industry was transplanting by exhibition art works and the purpose of spreading Japanese culture was realized by art gallery. Distorted historical place mainly about Japanese culture and accepting Japanese culture transplanting started since the competitive exhibition art gal...

      • KCI등재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와 식민지 조선 문화 -전시 유물을 중심으로-

        김인덕 서울역사편찬원 2010 서울과 역사 Vol.- No.76

        근대 역사학에서 식민지 경험은 각종 현재적 문제를 풀어내는 요소를 제공하며 동시에 발전지상주의적 근대성론이 갖고 있는 정치적 목적지향론에 대한 객관적 시점을 제공한다. 동시에 지역의 다양성에 대한 역사적 경험에 대한 객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시는 미학, 흥미위주의 전시와 정보를 제공하는 전시 그리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전시 등이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정치적인 의도가 전제된 조직된 왜곡의 현장이었다. 특히 시종일관 관장을 겸임한 藤田亮策과 같이 철저하게 관변학자의 조직적인 지도와 지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전시학적인 차원에서의 합리적인 전시는 오브제들 사이의 유사성과 유전학적 관계 보편성에 기초한 전시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는 본질을 흐리는 전시로밖에 설명이 불가능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위치상으로 볼 때 국가 조선과 조선 황실의 권위를 의도적으로 축소하는 데서 출발했다. 황실을 전시공간으로 만들고 역사성이 일탈된 공예품적 관점의 전시를 의도한 것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이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공진회의 미술관을 계승하면서 출발하여 의도된 공간이었다. 조선총독부라는 지배자의 의도가 반영된 전시는 왜곡된 고대사와 축소된 조선시대를 핵심적인 공간으로 했다. 이러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의 상설전시는 불교, 대외관계, 왜곡된 상징성에 주목하여 한민족 문화의 본질, 시민적 요구, 인간중심주의에 벗어난 식민지적 왜곡을 진행한 ‘식민지 근대’를 보여주는 공간이었다. 핵심적인 전시품은 역사, 문예, 종교, 미술, 공예품과 선사시대의 유물이었는데 비교 전시의 방법을 통해 중국과 인도 및 일본의 유물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왜곡된 역사상을 만들어 냈다. 결국 조선총독부박물관의 건립으로 경복궁은 ‘12만여 평의 대박물관’이 되었다. 특히 용도가 바뀐 공진회 미술관을 활용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는 전시 기법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적은 공간에 대량의 유물이 무매개적으로 전시되면서 시대별, 종류별, 나열식 비교전시를 했다. 아울러 전시실 구조와 채광, 조명 등의 시설도 절대 문제를 갖고 있었다. 특히 부수적인 전시 공간으로 경복궁 내의 근정전, 사정전, 수정전 등을 사용한 것은 박물관의 조건으로서는 왜곡된 시설의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그 내용을 ‘식민 통치 정치’가 장악하여 타율성과 정체성, 일본 문화 중심적 관점의 심미안에 따른 불교 중심의 조선 문화를 강조하는 공간으로 전락했다. Colonial experiences in modern history provide elements solve present problems also provides objectification about political purposeful process that modern doctrine theory’s development for development’ sake included. At the same time, it requests objectification about diversity and historical experiences in region. Exhibitions are displaying esthetics, interests, information, and exhibition that shows ideas.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s the place where involved political purpose and manipulated distorted museum. In particular, this museum was supported and advised by thorough official scholar such as Fujida Ryosaku who had been director for a long time. Rational exhibition in academic could be explained as exhibition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ies and genetics among objects. Exhibitions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an only be expressed as losing essence. When seeing the loca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started with intention reduce throne and royal authority. Japanese remodeled imperial rooms as exhibition space where displayed relics which lost historical meaning. Indeed, main building exhibi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the intended museum that inherit exhibition art gallery. Exhibition in the museum clearly presented ruler’s purpos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mainly about distorted ancient history and scaled chosun history down. Permanent exhibition in main building of museum took notice of Buddhism,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istorted symbols so that this was the place for showing distorted colonial era essence of Korean culture, demand as a citizen, anthropocentricism. Essential exhibits were the time of the prehistoric age such as history, religious, fine art, literature, handicrafts. Throughout compare with Chinese, Indian artifacts, Japanese made distorted history. To conclu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Kyung-bok palace became giant museum that involves 98 acre. Especially, there is an exhibit problem that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untilized from art gallery. While many of relics displayed in limited space, they categorized with era, species. Also, structure of exhibition and lightning, skylight had problem as museum. In particular, using Keunjeong-jun, Sajeong-jun, and Sujeong-jun in Kyong-bok palace as displaying space was example of distorting facility and places. Followed exhibition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ventually determined that Chosun culture as Buddhist in terms of Japanese aesthetic view by colonial ruling in Korea.

      • KCI등재후보

        친일세력 미청산의 배경과 원인

        김영택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논총 Vol.31 No.-

        친일파 청산문제는 1945년 8월 15일부터 60년이 흐른 지금까지 끊이지 않게 제기되는 한국현대사의 화두였다. 이에 관한 연구논문도 다양하다.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의 대체적인 논지는 미군정과 이승만에 의해 친일세력들이 그들의 영어실력이나 반공투쟁 경력, 그리고 우수한 행정경험 때문에 친미우파 보수세력으로 간주되어 중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반공투쟁경력이 중요한 변수이긴 하지만 왜 반공투쟁경력을 내세우는지에 대한 명쾌한 논증이 제시되지 않는 아쉬움이 없지 않다. 미군정의 친일세력 옹호와 중용의 결정적 요인은 그들이 점령한 남한에서의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 세력의 극성 때문이었다. 여론조사결과 남한주민 70% 이상이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를 선호한다는 사실에 당혹한 미군정은 막대한 인명과 전비를 들여 전승국으로서 패전국 영토로 차지한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자국의 자본주의 이념에 반하는 반미국가가 수립되는 것을 용인할 수는 없었다. 바꿔 말하면 반미ㆍ친소국가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던 공산주의세력들의 요구를 그대로 방치하거나 결코 수용할 수 없었던 것. 전략상 부득이하게 38선을 긋고 그 북쪽을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에 넘겨줘 위성국가수립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자신들이 점령한 남한에서만이라도 자국의 이익에 반하는 체제를 받아들일 수 없었음은 물론이다. 생사를 걸고 치열하게 싸워 차지한 먹이를 절대 빼앗기지 않는 동물들의 생존본능의 자연법칙이 국가 간에도 필연적으로 적용된다는 사실, 이같은 자연법칙에 따라 미국 역시 그들이 악전고투 끝에 차지한 한반도 남쪽을 자국의 자본주의 이념에 배치되는 공산주의 국가가 수립된다거나 적대적인 소련과 가까운 친소국가가 수립되는 것을 지켜보면서 자신들이 남한에서 떠나야하는 패배를 감수할 수 없다는 현실은 자명했다. 여기에 친미반공국가를 수립해야겠다는 미국의 정책은 화고하고 필연적이었다. 이 때문에 5만 명 남짓인 약세의 군사력만으로는 극성을 부리고 있는 공산주의 세력을 척결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반공정책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일찍이 반공전선에 종사했던 친일경찰과 군, 그리고 행정관리들을 중용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아야 한다. 물론 여기에는 그들의 국익차원에서 최소한의 경비와 생명을 담보하기 위해 자국민이 아닌 친일한인경찰 및 관료들을 끌어들였다는 현실론에도 무게를 두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배경이 결국 친일경찰 및 관료들, 그리고 영어 잘하고 자본주의 이념에 이해가 많은 보수 우파적 유산세력, 비록 친일성향이지만 반공성향 역시 투철한 이들을 중용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하지가 설파한 대로 ‘친일파 청산은 당신네들의 문제’라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 의결한 「부일협력자ㆍ민족번역자ㆍ전범ㆍ간상배에 대한 특별법률조례」, 일명 ‘친일파 숙청법’의 승인을 일축했던 일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남한 내지 대한민국에서의 친일파 미청산의 직접적인 배경과 원인은 공산주의 극성과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의 국익에 배치되면서 빚어진 필연적인 현상이었다. 또한 미국의 군사력 취약과 행정관리 부족 등의 원인도 부수적으로 작용했다는 점이다. 여기에 일찍부터 반공주의를 지향해온 초대대통령 이승만의 무절제한 충성심(아첨)의 수납과 민주주의 또는 민족의식결여에 따... The clearing of pro-japanese group has been a constant issue of modern Korean history for 60 years since August 15th 1945. There are many theses regarding this issue as well. Most of those theses claim that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Lee, Seung-Man gave the pro-japanese group important positions because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experience in anti-communist movement and superior administrative ability. Of course, experience in anti-communist movement is an important factor the reason of that importance has not been clearly presented yet. The decisive reason why U.S military government appointed the pro-japanese group to important positions is because of the communist or socialist force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a survey of public opinion, more than 70% of the residents in South Korea stated that they preferred communism or socialism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perplexed by the result. They could not allow South Korea or Japan to become an anti-US and anti-capitalism nation since South Korea was the result of significant loss of lives and money. In other words, they could not accept the demands of communists of which the purpose was the establishment of anti-US and pro-Soviet Union nation. U.S military government had to draw a 38th parallel and give the northern part to the Soviet Union which was a communist nation. Therefore, they had to at least prevent South Korea from becoming a nation that is against their own interests. It is the instinct of animals that they never get deprived of their preys which they acquired with their lives and sacrifice and this is applied to the nations as well. The United States occupied South Korea after desperate struggles and they could not accept the fact that they had to leave South Korea since it was becoming a communist nation or pro-Soviet Union nation. Also, the policy of the United States which was to establish a pro-United States and anti-communism nation was clear and inevitable. They realized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an anti-communism nation by getting rid of the communist forces with small number of military forces of 50,000 soldiers so they had no way but to appoint the pro-Japanese group such as pro-Japanese police officers, soldiers and administrators to important positions because they had experience in anti-communist movements. Of course, another reason is that U.S military government had to draw Korean pro-Japanese police officers and public officials to protect the expenses and lives of their own nation. These background led to the results that pro-Japanese but also anti-communist groups and conservative rightists who were proficient in English and capitalism as well as the pro-Japanese police officers and administrators to be appointed to important positions. It has to be reminded that the U.S military government denied to approve 'The pro-Japanese group liquidation act' passed by the South Korean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saying that 'The liquidation of pro-Japanese group is your own issue'. Therefore, the direct cause why pro-Japanese group was not completely liquidated in South Korea was the result of communist forces in South Korea and the national interest of the United States which was a capitalist nation. In addition, the weakness of the U.S military forces and lack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were also the additional reasons. On top of that, the excessive loyalty(adulation) of the first president Lee, Seung-Man who had been against communism for a long time and his desire for long-term seizure of power cause by lack of nationalism performed an important role as well. Apart from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pro-Japanese groups took advantage of the preference of U.S military government towards the dictatorship by Lee, Seung-Man to execute security policy in Northeast Asia based on the restriction of Soviet Union. Therefore, the miserable dictatorship and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had been continued for a half century and ...

      • KCI등재

        일제강점기 교파신도의 조선포교 양상 연구―『조선총독부관보』(1911-1945) 기록을 중심으로―

        권동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5 No.-

        This thesis generally arranged the current status of distribution by region and period regarding aspects that ‘Sectarian Shinto’ among Japanese religions was introduced into modern Korean society and developed the propagation in it by focusing on “The Official Gazette”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agation of each sect of Sectarian Shinto in ‘Korea’ based on this. The current studies on Japanese religion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generally stay at general ones. But studies on Sectarian Shinto exposes the errors and limitations as the baseline data have not properly been analyzed. So, the study is meaningful as the basic study for deepening Sectarian Shinto and Japanese religious stud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y sect of Sectarian Shinto by compiling a chart about their aspects of distribution by period and region and then gave shape to their aspects of the propagation by classifying them into one another. The points which are clearly unvei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ctarian Shinto’s propagation did not penetrate deeper into each area in Korea than thought. Second, the existing argument that most of Sectarian Shinto propagated religion targeting Japanese people who lived in Korea could again be found. Third, the comprehensive review of “Statistical Yearbook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Documents Binding Book about Religion”, “The Lists of Religions and Events in Korea”, the records of other government offices, the materials in the order, and the news articles with “The Official Gazette” as the center could be found to have the possibility of outline details of the propagation of Japanese religions in Korea in the Japanese colony era. 본고는 일본계 종교 가운데 ‘교파신도’가 근대 한국사회에 유입되고 포교를 전개했던 양상에 대해 『조선총독부관보』를 중심으로 지역별, 시기별 분포의 현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교파신도 각 교파의 ‘조선포교’가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일제강점기 일본계 종교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개괄적인 연구에 머물러 있는데, 그 가운데 교파신도 관련 연구는 기초자료의 분석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여 오류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파신도의 시기별⋅지역별 분포 양상을 도표로 제작하여 각 교파별 특징을 살펴본 후, 이들의 포교 양상을 구체화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드러난 점은 첫째 교파신도의 조선포교가 생각보다 조선 내 각 지역으로 깊이 침투해 들어가지 못했다는 점이며, 둘째 교파신도 조선포교의 대부분은 조선 거주 일본인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는 『조선총독부관보』를 중심에 두고 『조선총독부통계연보』, 『종교에 관한 잡건철』, 『조선(朝鮮)에 있어서 종교 및 향사일람(享祀一覧)』과 기타 관공서의 기록, 교단 내 자료, 언론기사 등을 종합 검토함으로써 일제강점기 일본계 종교의 조선포교 양상에 대한 윤곽을 그려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과 조선인의 대응

        김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6

        본고는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에서 발생된 강제 배부의 문제와 조선인의 대응을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하였던 1910년대 개량종 뽕나무 재배정책의 원인과 3·1운동 시기 뽕나 무 재배정책에 대한 조선농민의 불만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개량종 뽕 나무 배부 및 재배의 문제점과 조선농민이 3·1운동에 참여하는 다양한 계 기를 밝혔다. 개항 후 조선은 잠업이 단순한 농업이 아니라 제사-견직업으로 연결될수 있는 산업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대한제국은 양잠진흥 정책을 실시하였지만, 1906년 통감부가 설치되면서 양잠진흥정책은 제 대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병합 후 조선총독부는 조선을 일본 내 부족한 식량과 자본주의 발전을 위한 보충지로 개편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조 선총독부는 일본 개량종 이식 품종으로 미작·면작·잠업·축우를 선정하였 다. 이 중 잠업이 선정된 것은 잠업을 통해 생산되는 고치가 일본의 공업 화를 장기간 지원하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다. 잠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누에의 먹이인 뽕나무가 확보되어야 했다. 뽕나무는 잠업과 제사업의 가장 기본원료이다. 조선총독부는 잠업을 장려하기 위해 조선농가에 개량종 뽕나무를 배부하여 재배하게 하였다. 조 선총독부는 개량종 뽕나무를 각종 지원금을 통해 조선농촌에 빠르게 배 부하였다. 그 결과 개량종 뽕밭이 증가하였고, 이는 개량종 누에고치 생 산량의 증대로 이어졌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재래 양잠 지역에도 강압 적으로 개량종 뽕나무를 재배하게 하였고, 재래 뽕나무와 누에고치를 불 태웠다. 개량종 뽕나무는 조선기후에 맞지 않은 경우가 있었고, 재래종에 비해 관리법이 어려워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또한 개량종 뽕나무는 조 선농민의 식재 여부와 관계없이 매년 강제 배부되었다. 행정기관은 강제 배부된 개량종 뽕나무에 대금을 청구하여 조선농민들의 불만은 쌓여가 고 있었다.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에 대한 조선농민의 불만은 3·1운동이 일어나자 표출되었다. 3·1운동 시기 조선농민의 뽕나무에 대 한 불만은 거의 전국적으로 나타났다. 조선농민들은 뽕나무 묘목을 불태 워 군중을 선동하거나 배부된 뽕나무를 면장에 집에 버리는 등 조선총독 부의 뽕나무 배부 정책에 대해 직접적으로 불만을 터트렸다. 이는 1910 년대 뽕나무 배부로 시작한 양잠의 장려 정책이 조선 농촌의 상황을 제대 로 파악하지 않은 채 일본 원료 공급만을 위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총독부는 3·1운동으로 혼란한 시기인 1919년 4월 24일에 ‘조선잠업령’을 내려 뽕나무 생산과 잠종제조의 매매를 감독·단속하였다. 이는 일본 제사 자본이 조선에 진출할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한편 1920년대가 되면서 잠업을 장려하는 지역에서는 1910년대와 같이 뽕나 무를 강제 배부하고 대금을 청구하였다. 그러자 조선 농민들은 뽕나무 배 부 및 재배에 대한 부당함을 신문에 기고하거나 군에 고발서를 제출하여 직접적으로 비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ercive distribution problem which took place during the mulberry planting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10s and the response by the Joseon people.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cause behind the enforcement of mulberry planting policy in the 1910s and the Joseon farmers' complaints toward the policy during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had not drawn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This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s in distributing and planting improved mulberries and a variety of motivations for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After opening to foreign trade, Joseon perceived sericulture not as a mere agricultural industry but an industry which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ilk-reeling and silk goods industry. According to this objective, the Korean Empire implemented the sericulture promotion policy but it was not properly conducted because of policies of the Residency-General established in 1906. After the forced annexation in 1910,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arried out several policies to reform Joseon as a base of food supplies and accumulation of capital for Japanese empire[Japa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esignated crops like rice, cotton, sericulture, and cattle as items to be replaced with improved ones from Japan. Among them, sericulture was selected because cocoons played the role of supporting Japan's industrialization for a long time. Mulberries, which silkworms lived on, had to be secured to implement sericulture. Mulberries are the base material of sericulture and the silk-reeling industr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dered Joseon farms to cultivate improved mulberrie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wiftly distributed improved breed mulberries to Joseon farms through all sorts of support funds. As a result, improved mulberry fields increased, leading to the increase of improved breed silkworm production.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ced improved mulberry planting on farmers of conventional sericulture, burning indigenous mulberries and silkworms. Improved mulberries were not only unsuitable for the climate of Joseon, but also requiring more hours and labor to manage than conventional ones. Nevertheless, improved mulberries were forcibly distributed every year without consideration for Joseon farmer's mind about the planting. In addition, administrative agencies charged price for the mulberries, aggravating discontents among the Joseon farmers. The Joseon farmers' discontents at the mulberry planting policy was expressed with the beginning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movement, the complaints appeared in almost every region of the country. Joseon farmers directly expressed complaints about the mulberry distribution policy by inciting crowds to burn the mulberries and dump them at the front of house of village head. It meant that the sericulture improvement policy beginning with mulberry distribution in the 1910s was implemented for Japanese raw material supply without proper understanding of Joseon's agricultural situation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ssued 'Choson Silk Raising Farm Law(朝鮮蠶業令)' on 24 April 1919, even during a turbulent time since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superintending mulber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cracking down on illegal trade of silkworm.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framework for Japanese silk-reeling capital to invade Joseon. After that time, in the 1920s, the authorities only distributed mulberries and charged the price to farmers who live in certain encouraged regions to engage in sericulture. Consequently, it made the farmers take collective actions, such as to announce the injustices of the mulberry distribution in newspapers or to file an complaint with the persons responsible for the work.

      • KCI등재

        1920년대 『朝鮮文 朝鮮』의 “副業” 기사에 나타난 조선총독부의 의도와 현실

        정혜인 숭실사학회 2019 숭실사학 Vol.0 No.43

        ‘Joseonmoon-Joseon(『朝鮮文 朝鮮』)’ is one of the journals issu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re are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that revealed the ruling logic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signs of the times through articles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owever, ‘Joseonmoon-Joseon’ is dealt with only peripherally and no full-scale research has been d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uling logic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its period through ‘Joseonmoon-Joseon’. The period was specified as the 1920’s. In the 1920s, a new media circumstances was form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so-called National papers, the Dong-A Ilbo and the Joseun Ilbo. In this con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romoted the policy and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rough its publication ‘Joseonmoon-Joseon’, which was published as a mixed style of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The Japanese Empire established a plan to increase the number of rice. Because of this the single-crop farming system was strengthened in the Joseon agricultural industry, focusing on rice. Also the rural economy has become more vulnerabl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ncouraged farmers to do sideline to stimulate the economy and promoted it through ‘Joseonmoon-Joseon’ Therefore, I reviewed articles on sideline work in the 1920’s ‘Joseonmoon-Joseon’. The sideline article was mainly composed of encouraging sideline, the status of sideline in each province of Joseon, the prospect of sideline business, and Joseon Sideline-products Exhibition. In particular, articles related to the Joseon Sideline-products Exhibition, which was held in October 1923, were mass-produced. All the reviews of Joseon Sideline-products Exhibition were written by Korean and this was defined by the inten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reasons fo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s promotion of sidelines were improving the economy of farmers, promoting rural areas, and improving local economy, but the rural reality of Joseon could not be improved because sidelines were not the primary solution. In addition to encouraging sideline, the sideline articles were also aimed at identifying the status of industries in various parts of the Joseon. 『朝鮮文 朝鮮』은 조선총독부가 일제강점기 동안 발행한 기관지 중 하나다. 조선총독부 발간 기관지 및 신문의 기사 내용을 통해 조선총독부의 지배논리, 식민지 시대상을 밝혀내는 여러 선행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朝鮮文 朝鮮』에 대해서는 지엽적으로만 다루어지고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朝鮮文 朝鮮』 기사를 통해 조선총독부의 지배논리와 그 시대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시기를 1920년대로 특정하였다. 1920년대는 소위 민족지라 불리는 동아일보, 조선일보가 등장하여 새로운 언론지형이 형성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조선총독부는 국한문 혼용체로 발간된 『朝鮮文 朝鮮』을 통해 조선총독부의 정책과 시정을 선전하였다. 일제는 1920년대 조선 농업 정책으로 산미증식계획(産米增殖計劃)을 수립하고 이로 인해 조선 농업은 쌀을 중심으로 한 단작농업화가 강화되면서 농민경제는 더욱 취약해졌다. 조선총독부는 농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업을 장려하였고 이를 『朝鮮文 朝鮮』을 통해 선전하였다. 이에 1920년대 『朝鮮文 朝鮮』에 나타난 부업 관련 기사 기사를 검토하였다. 부업 기사는 부업 장려, 조선 각 도별 부업 현황, 부업 전망, 조선부업품공진회 기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특히 1923년 10월 개최된 조선부업품공진회와 관련된 기사들이 집중적으로 양산되었다. 필진의 경우, 일본인이 다수를 차지했다. 조선총독부의 의도에 따라 기고자들의 입장이 규정지어진 부분도 엿볼 수 있는데 조선부업품공진회 관람평의 필자들은 모두 조선인인 점이 그러하다. 조선총독부가 내세웠던 부업 장려의 이유는 농가의 경제 향상, 농촌 진흥, 지방 경제력 향상 등이었으나 부업은 근원적 해결책이 아니었기에 조선의 농촌현실은 개선될 수 없었다.부업 기사는 부업 장려 외 조선 각지의 산업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다.

      • KCI등재

        일제지배 초기 대만과 조선의 지방제도 개편 비교

        박찬승 ( Park Chan-se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5 No.-

        1895년 대만을 합병한 일본은 대만총독부를 세운 뒤 대만의 지방제도 개편을 시작했다. 대만총독부는 대만의 지방제도를 3縣 1廳으로 개편했다. 1897년에는 이를 6縣 3廳으로 늘렸으며, 그 아래에 86개의 辨務署를 두었고, 다시 그 아래에 街·庄·社를 두었다. 辨務署는 전에는 전혀 없던 새로운 제도로 여러 개의 街·庄·社 위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행정기관이었다. 街·庄·社는 본래 자연촌락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약 10개의 街庄社에 한 명의 街庄社長을 두어, 최하부 행정보조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이로써 지방제도는 縣·廳-辨務署-街·庄·社의 3단계로 이어지는 형태를 띠게 되었다. 이는 1890년대 일본의 지방제도가 府·縣-郡-町村의 3단계로 되어 있던 것을 모방한 것이었다. 대만에서는 1901년 縣 제도를 폐지하고 辨務署를 확장하여 20개의 廳을 만들기로 하였다. 이후 1909년에는 20개 廳이 12개 廳으로 통합되었다. 이와 같은 廳-街·庄·社의 2단계 지방제도는 1909년 이후 廳 밑의 支廳의 권한과 위상이 강화되면서 사실상 廳-支廳-街庄社의 3단계로 다시 돌아갔다. 한편 조선에서는 1910년 설치된 조선총독부가 병합 직후 ‘面에 관한 규정’을 만들어 면에 국세징수, 호적작성 등 지방행정의 핵심적인 업무를 맡겼다. 이에 따라 조선에서 전통적으로 지방행정의 중심 역할을 해오던 郡은 소외되기 시작했다. 조선총독부는 1913년 ‘府制’를 실시하였다. 일본인이 다수 거주하던 옛 개항장과 개시장이 있던 곳이나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는 도시를 중심으로 12개의 府를 설치하고, 府를 法人으로 하고 자문기구인 부협의회를 설치했다. 조선총독부는 1917년 ‘面制’를 추진하였는데, 일본 정부의 법제국은 面을 공공단체이자 법인으로 만드는 것을 거부했다. 결국 이 조항은 삭제되었다. 面의 법인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사실상 준공공단체로 인정받았으며, 이후 面은 면 소유 재산을 늘리고, 자체 사업을 운영하고 세금 항목을 늘림으로써 재정을 크게 확대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조선과 대만의 지방제도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제도 시스템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대만의 경우에는 3단계 제도를 하다가 2단계 제도로 바뀌고, 다시 3단계 제도로 돌아갔지만, 조선의 경우에는 계속 3단계 시스템을 유지했다. 둘째, 조선총독부 관리들은 1910년대 조선에서 府制와 面制를 실시했다. 그러나 대만총독부 관리들은 1910년대에 법인이나 공공단체의 성격을 지닌 지방제도를 굳이 추진하지 않았다. 셋째, 대만의 경우에는 지방행정과 경찰행정을 통합하여 운영했다. 반면에 조선의 경우에는 이를 분리하여 운영했고, 대신 헌병이 경찰 역할을 겸하는 헌병경찰제도를 만들었다. 넷째, 대만에서는 고다마 총독 시기에 고토 민정장관에 의해 전통적인 제도를 변용한 ‘보갑제도’가 도입되어 경찰과 행정의 보조기관이 되었다. 조선에서도 보갑제와 비슷한 오가작통제가 있었지만 제대로 작동해오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총독부는 이를 활용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 Japan annexed Taiwan in 1895 and establishe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Taiwan and began to reorganize Taiwan’s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n 1895, there were three fu (府) and one zhou (州) in Taiwan Province (臺灣省). The three fu and one zhou consisted of 11 xian (縣) and three ting (廳). Reorganized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Taiwan changed three fu and one zhou to three xian and one ting. In 1897, the three xian and one ting were changed to six xian and three ting and 86 bianwushu (辨務署) offices were established under xian and ting. Jie (街), zhuang (庄), and she (社) were placed under bianwushu. Bianwushu office was a new administrative system. As a result, the local system took the form of being connected in three stages. Meanwhile, in 1901, it was decided in Taiwan that the xian system would be canceled and bianwushu would be expanded to 20 ting. Such two-level local administrative system was maintained until 1909. However,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authority of zhiting (支廳) since 1909, it has effectively returned to a three-level system. Mean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stablished in 1910 made “Myeon (面) offices” shortly after the Japan-Korea annexation and assigned to myeon key local administration affairs, such as collection of national taxes and family registry maintenanc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lso implemented the bu system (府制) in 1913. A total of 12 bu was established in old open ports and open cities with a large Japanese population, and bu was made a corporate body, which had a bu council, an advisory organ. The bu system in Korea was similar to the shi system (市制) in Japan in many ways.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romoted the myeon system (面制) in 1917, and the Legislation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 rejected the suggestion about making myeon a public agency and corporate body. In the end, myeon was practically recognized as a quasi public agency as it possessed property and operated its own business. Since then, myeon has been able to significantly expand their finances by increasing their own property, running their own businesses, and increasing tax items. A comparison of the local systems of Korea and Taiwan during this period is as follows. First, a three-stage system was introduced in 1897, and a two-stage system was implemented between 1901 and 1909 in Taiwan, but the three-stage system was maintained in Korea. Second, the officials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stablished the bu-system((府制) and the myeon-system(面制) in Korea in the 1910s. However, in the 1910s, officials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Taiwan did not push forward with the local syste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corporation or a public organization. Third, in Taiwan, local administration and police administration were integrated and operated. On the other hand, in Korea, it was operated separately, and instead, in addition to the police, the military police also served as a police officer. Fourth, in Taiwan, during the period of the Governor General of Kodama, the ‘paochia system(保甲制),’ which utilized the traditional system, was introduced and became a subsidiary institution for the police and administration. In Korea, there was the ‘5-houses control system(五家作統制)’, but since it did not work properly,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id not plan to use it.

      • KCI등재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동화주의 식민지민에 대한 제국민의식 창출의 시도

        나카바야시히로카즈 ( Nakabayashi Hirokazu ) 역사문제연구소 2015 역사문제연구 Vol.19 No.2

        This paper seeks to cast light on the assimilation practic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y examining its education policy in the 1910s.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arried out education aimed at molding Koreans into subjects of Japan, requiring them to be loyal and obedient to the emperor. The education policy unfolded under the logic that “Koreans should swear allegiance to the emperor, the supreme ruler of the Japanese empire, since Korea is part of Japan.” However,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base its policy on the theory of viewing Korea and Japan as originating from the same root nor defined loyalty to the emperor as a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tended to inculcate consciousness of imperial subjects into Koreans while allowing them to preserve their national characteristics because that also served as a premise for discrimination. In additio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ttempted to form consciousness of imperial subjects in Koreans by fostering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peoples by spreading Japanese language and by using educational materials intended for the conversion of Koreans into imperial subjects or materials that would induce them to “imagine” Korea and Japan as one entity bound by a common destiny. However,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make a direct connection between Japanese language and the national spirit of Japan, nor aimed to convert Koreans into Japanese by mean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Botong Schools (primary schools) there were some Japanese teachers who regarded loyalty to their emperor as one of the Japanese characteristics. They either abandoned the idea of conducting the education targeted at converting Koreans, ethnically different from the Japanese, into imperial subjects or turned the former into the latter through a radical implementation of such education. Yamaguchi Kiichiro, a leader in the education field of the Japanese language learning campaign, launched efforts to make Koreans become Japanese by emphasizing a direct connection between Japanese language and the national spirit of Japan. Still,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dhered to its position.

      • KCI등재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유교 윤리 소환과 경제 갱생 프로젝트 - 익산문묘(益山文廟)를 중심으로 -

        설주희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41

        1920년대부터 연달아 발생한 공황으로 1930년 일본 경제는 만성적 위축 상황에 직면하였다. 조선총독부는 경제를 활성 시킬 방안으로 농가가 자체적으로 경제 갱생을 도모하는 ‘농가경제갱생계획’ 즉, 농촌진흥운동을 수립·시행하였다. 농촌진흥운동은 농 가 경제를 갱생시켜 국가적 궁핍을 해결하는데 목적을 두었지만 영농 관련 기술의 보급 이 아닌 농민의 ‘정신’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조선총독부가 농가에 보급하고자 한 정신은 ‘숭고한 희생적 봉공심(奉公心)’과 ‘자기를 바치는 노력’이었다. 1932년 조선총독부는 이 ‘숭고한 정신’을 유도하기 위해 조선 사회에서 통용되던 향약 덕목인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 (患難相恤)’에 주목하였다. 향약의 특성상 경제적 자립 문제뿐만 아니라, 지역 민심을 지배 정책에 알맞게 ‘교화(敎化)’하고 민풍을 ‘개선’할 수 있는 덕목이라 판단하였기 때문 이다. 1933년 학무국장은 모든 향약 단체에 기본 덕목인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 외에 ‘생활개선(生活改善)’과 ‘산업장려(産業獎勵)’라는 두 개의 조목을 추가 하도록 하였다. 조선총독부가 추가적으로 지시한 ‘생활개선(生活改善)’과 ‘산업장려(産業獎勵)’는 자 력(自力)에 의한 생산성 고양으로 경제 갱생을 도모하는 농촌진흥운동의 목적과 맞닿아 있다. 조선총독부는 촌락 사회의 구성원인 개인의 생활을 향약 규약으로 통제하여, 개인 에게 적극적인 경제 활동의 수행을 종용하고 이로써 ‘봉공(奉公)’을 유도하였다. 결국 일제강점기 향약은 지역공동체 구성원에게 식민지배 정책에 적합한 생활방식을 강권하 기 위해 마련된 ‘선택된 전통’이자, 변형되어 ‘소환된 전통’이었다. 조선총독부의 장려에 따라 1935년 1월 익산문묘(益山文廟)에 향약이 신설되었다. 외피는 지역공동체의 형식을 띠었지만 식민 행정 권력에 의해 배태된 익산문묘 향약은 활동 측면에서 관변적 성격을 보였다. 조선총독부는 향약이 지닌 재산 또는 향약 구성원 이 지닌 재산을 식민통치에 흡수하려는 ‘물질적 동원’과 향약 구성원의 신체를 식민지배 체제에 적용시키는 ‘인적 동원’ 두 가지를 목적으로 설정하고 향약을 동원하였다. The economy of Japanese imperialism shrank in 1930 due to the economic depression that continued from 1920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policy, where villages independently rehabilitated economy, in order to revitalize the economy of the Colonial Joseon. This was the so-called ‘Rural Development Movement.’ This policy aimed to solve country’s poverty through the revival of rural economy. However, it focused on changing farmers’ ‘thoughts’ rather than spreading farming techniques. It attempted to execute the colonial policy smoothly by assimilating farmer’s thoughts to colonialism. The spiri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pread to villages was the ‘spirit of sacrifice that even sacrifices one’s life for the country.’ At this time, sacrifice was promoted as a noble image. In 1932,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rought back and implemented Hyangyak(鄕約) that had been commonly used in pre-modern Joseon society in order to encourage spirit of sacrifice in people. Due to the nature of Hyangyak, it was socially appropriate to promote the good, be aware of the bad, and help the ones in need. Therefor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elieved that Hyangyak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economic revival and dominating public sentiment. Hyangyak t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mplemented was added with the additional goals, ‘industrial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lif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Hyangyak. In accordance with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encouragement of Hyangyak, Hyangyak was newly established in Iksanhyanggyo Confucian School in January 1935. On the outside, it was in the form of a community but, in fact, was an official organization created and encouraged to be implemented by the administration of imperialism. Therefore, this Hyangyak focused on spreading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ruling policies to villages rather than ethical reformation of local residents.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bsorbed the asset owned by Hyangyak and individual asset of the members of Hyangyak as colonial funds. Also, it attempted to convert the ideology of individual members of Hyangyak to pro-colonialism through continuous lectures.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activities of Hyangyak changed. It was to change the mass of Colonial Joseon accordingly to wartime conditions. Therefore, it began promoting conscription system, pressing for wartime money, encouraging the production of war supplies, and saving war supply consumption. Since 1940s when the economy deteriorated even further,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nsidered that economy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outcome of war, and emphasized labor to increase productivity of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