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양도선(Yang Do-sun),이자영(Lee Jayo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매개로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83명의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하위요인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학업스트레스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학업스트레스와 정적상관으로 나타냈다. 타인 지향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academic stre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to 283 cyber university students. The following summarizes findings in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ll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addi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It was foun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Intolerance of uncertain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It was shown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Finally, the sugges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 심리적 유연성으로 조절된 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

        양희정,이창현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심리적 유연성으로 조절된 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 양 희 정ㆍ이 창 현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를 불안민감성이 매개하는지, 이러한 매개효과가 심리적 유연성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사람들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불안민감성과 걱정의 관계를 심리적 유연성이 조절하였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에 대한 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가 심리적 유연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으로 내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걱정을 호소할 때, 불안민감성과 심리적 유연성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불안민감성, 심리적 유연성, 걱정,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Sensitivity Moderated by Psychological Flexibility Heejung Yang* & Changhyun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xiety sensitiv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and to verify whether psychological flexibility modulates this medi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250 adults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for intolerance of uncertainty, worry, anxiety sensitivity,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Analysi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sensi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sensitivity and worry. Third,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flexibil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 on anxiety sensitivity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in counseling settings when clients complain of worries due to intolerance for uncertainty. Key Word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xiety Sensitivity, Psychological Flexibility, Worry, Moderated Mediating Effect □ 접수일: 2024년 3월 13일, 수정일: 2024년 4월 15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주저자,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상담사(First Author, Researcher, Youth Cyber Counseling Center, Email: lenerd@naver.com)** 교신저자, 하나임상심리연구소 소장(Corresponding Author, Researcher, Hana Imsang Institute, Email: diapanna@gmail.com)

      • KCI등재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

        권주훈 ( Juhoon Kwon ),김호영 ( Hoyoung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변수들 간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취업을 준비 중인 전국의 대학교 4학년생 및 졸업생 246명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절망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해당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쥐업준비생 남녀 모두 취업스트레스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절망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절망감 간의 관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 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가 남성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여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아 성별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남성 취업준비생들에서 취업스트레스가 절망감으로 이어지기 더 쉽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차는 취업준비생들의 절망감의 심리적 기전이 성별에 따라 다를 가능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hopelessness and to evaluat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hopelessness. We also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se effects. Via online and offline surveys, the Job-seeking stress questionnaire, Korean-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14 (K-IUS-14), and Korea-Beck Hopelessness Scale (K-BHS) were administered to 246 undergraduates or graduates who were preparing to get a job. Based on these data,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hopeless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seeking stres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hopelessness in both male and female job seekers. Furthermore,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hopelessness was stronger in females than in male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hopelessness was significant only in males, while it was not in female job see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b-seeking stress is more likely to lead to hopelessness in male job seekers with a high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addition, the gender difference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hopelessness among job seekers vary by gender.

      • KCI등재

        4년제 대학 취업준비생의 지각된 상황적 제약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관계: 자기냉담과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조진주 ( Jo Jin Ju ),최바올 ( Choi Baole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대학 취업준비생의 지각된 상황적 제약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자기냉담과 실패공포가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교 4학년생, 초과 학기생, 졸업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410부를 PROCESS macro로 분석한 결과, 첫째, 지각된 상황적 제약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이르는 직접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지각된 상황적 제약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관계에서 자기냉담과 실패공포 각각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와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상황적 제약을 지각하는 취업준비생에게 자기냉담과 실패공포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높일 수 있는 변인임을 밝혀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낮출 수 있는 긍정적 매개변인의 탐색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ldness and fear of fail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preparing for employment. For this stud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10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had positive effect 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Second, self-coldness and fear of failur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ldness and fear of failure between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significant. This study revealed self-coldness and fear of failure ar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can predict intolerance of uncertainty for job-seekers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Considering the results, future research needs to explore positive variables parameters that can low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 KCI등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최재광,오예람,송원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to depression on depression mediated by experiential avoidance, so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accept their experiences and adopt a positive perspective on their future. For this purpose, 238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o measure,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and the Acceptance-Action Questionnaire-Ⅱ (AAQ-Ⅱ) were us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de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Seco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it was also found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r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had a mediation effect between them. It implies that treatment of depression is easier and more effective if the intervention targets experiential avoidance rather than directly addressing personality traits such a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Finally, we discuss mor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above results. 이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경험회피를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대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받아들이고, 긍정적인 미래를 조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대학에 재학중인 23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MPS),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US), 역학센터 우울척도(CES-D). 수용-행동 질문지-Ⅱ(AAQ-Ⅱ)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그리고 경험회피와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경험회피를 통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을 낮추기 위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직접적으로 다루기보다, 훈련을 통해 변화 가능한 경험회피에 대해 개입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국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진아(Jin Ah Lee)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4 상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관한 국내 연구들의 동향을 알아봄으로써 전반적인 흐름과 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검색하여 한국연구재단(KCI)에 등재, 등재후보 된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 논문 30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통계분석, 측정도구, 연구변인 등을 분석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를 살펴보았을 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키워드가 들어간 연구는 2008년도에 처음 게재되었으며, 2016년도부터 2023년도까지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대상은 대학(원)생이 22편(72.6%)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연구방법별로 모두 양적연구로 이루어졌고 그 중에 변인 간의 관계로 진행된 연구가 28.5편(94.05%)으로 가장 많았다. 통계분석별 동향을 보았을 때 회귀분석계열이 16.33(53.88%)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측정도구는 원척도 Freeston 등(1994)이 개발한 프랑스어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을 중심으로 번안 및 타당화를 하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주로 독립변인 25편(82.5%)으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연구 동향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verall flow and trend by examining the trends of studies o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To this end, 30 academic papers on counseling and psychology registered and nominated by the Korea Citation Index(KCI)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by searching for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the RISS. Results: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counseling and psychology, research with the keyword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first published in 2008,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steadily from 2016 to 2023.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72.6%) university(graduate) students, all of which were quantitative studies by research method, and 28.5(94.05%) were conducted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hen looking at trends by statistical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category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16.33(53.88%),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adapted and validated centering on the Intolerance of University of Uncertainty Scale(IUS) developed by Freeston et al.(82.5%) for lack of patience with uncertaint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research trends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청소년의 애착이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박소현,여종일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olescent attachment on anger express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anger expression among adolescents. A total of 356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on attachment, anger expression,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301 questionnaires from 171 adolescent boys and 130 adolescent girl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anxiety attach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anger-out, anger-in,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voidance attach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anger-in and negatively related to anger control. The results also showe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anger-out.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nxiety attachment was positively and directly related to anger-in, and indirectly related to anger-in through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e results highlight that personal variables such as attachment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anger expression in adolescence.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should be utilized as a major component of intervention and counselling for adolesc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expressing anger. 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분노표현과 연관된 변인과 기전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애착,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분노표현방식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애착이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2곳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질문지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상관 및 회귀 분석을 통하여 남학생 171명, 여학생 13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불안애착은 분노표출, 분노억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회피애착은 분노억제와 정적 상관, 분노조절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불안애착과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불안애착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불안정애착뿐 아니라 모호하고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것은 청소년의 부적응적인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애착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같은 개인적 변인을 고려해야 하며, 분노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 대상의 중재프로그램 및 상담의 주요 구성요소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한다.

      •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Ji-eun Kim),구본용(Bon-yong Koo)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3 사회심리발달연구 Vol.4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기능을 밝히는 데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5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없었으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완전 매개를 보였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사회적 지지를 거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미치는 영향을 주지만 진로준비행동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사회적 지지를 거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영향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완벽주의의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준비행동에 상이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function of social support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s mediators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562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Result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owev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exhibite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oth social support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Secondly,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fluenc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rough social support but did not directly impa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contra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n indirec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both social support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fectionism. Therefore, a differentiated approach is needed when counseling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유연성으로 조절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최윤정,이창현 한국발달지원학회 2022 발달지원연구 Vol.11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amo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depression is mderated by level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through Process Macro.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55 people aged 20 to 60.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all major variabl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Third, psychological flexibi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y and depress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was moderated by psychological flexibility. In other word, those with high psychological flexibility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through emotional difficulty, even if they experience a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mplications that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of depressed clients in psychotherapy.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심리적유연성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에서 60세 사이 성인 455명을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토한 후 Process Macro를 통해조절된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정서조절곤란, 우울 사이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유의하였다. 셋째, 정서조절곤란과 우울의 관계를 심리적 유연성이 조절하였다. 넷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 심리적 유연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사람에게 우울이 발생하는 경로와 개인이 지닌 심리적 유연성 수준이 높아질수록 정서조절곤란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밝혔을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정서조절곤란의 매개를 통해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가 개인의 심리적 유연성 수준에 의존함을 밝혔다. 이를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우울한 내담자들의 보다 깊은 이해와 치료적 개입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정서강도, 걱정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이지원,김은정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on worry symptoms. College students (N=321) completed scale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negative affect intensity, experiential avoidance, and worry symptom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worry were partially mediated by experiential avoidance. This results suggest that when considering the onset and the maintenance of worry symptoms, affect intensity may be a important variable in addition to cognitive factor such a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lso, the results suggest that acceptance-based therapy may be needed for individual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Finally,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정적 정서강도가 걱정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정서강도, 경험회피, 걱정을 평가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구조 방정식 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정적 정서강도는 경험회피를 매개로 하여 걱정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부분매개연구모형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걱정 증상의 발생과 유지의 기제를 고려할 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같은 인지적 요인 외에도 정서강도가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범불안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수용-기반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