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雷溪 兪好仁의 江西體 受容樣相

        김대원(Kim, Dae-won)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4 No.-

        한국 한시의 흐름은 唐詩風, 宋詩風의 두 축에서 발전되었다. 조선 초기의 송시풍은 蘇軾의 시풍을 익혔지만 점차 黃庭堅・陳師道 등 江西詩派의 시풍을 따르는 쪽으로 흐르고 있었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해동강서시파에 주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江西體의 경향을 따르던 15세기의 시인들이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兪好仁의 한시와 江西體의 상관성을 형식과 내용의 측면으로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兪好仁을 주목했던 이유는 그의 문집과 문인들의 평가에서 黃庭堅과 陳師道에 대해 관심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과 그의 시가 이룬 성취가 黃庭堅・陳師道의 지향과 닿아 있기 때문이다.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黃庭堅의 以故爲新, 以俗爲雅, 換骨奪胎 등의 한시 작법을 토대로 검토하였다. 첫째, 유호인은 율격상의 정제되고 대칭적인 근체시의 형식을 벗어나 낯선 율격을 추구하였다. 둘째, 강서체의 한시작법처럼 지명, 인명, 속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그는 조선의 지명과 인명을 즐겨 구사하였다. 셋째, 유호인은 전고를 활용할 때 단순히 복제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시에 다채롭게 활용하였다. 이와 함께 내용적인 측면에서 유호인은 자신만의 개성적인 시세계를 성취하였다. 成俔은 유호인의 시문을 보고 奇峭無窮한 미감을 느껴진다고 하였는데 <朴淵瀑布>라는 작품에서 이와 같은 미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鄭汝昌과 洪貴達이 高古하다는 평을 내렸는데 동방의 역사적 인물을 형상화 한 고체시에서 이러한 미감을 확인할 수 있다. 兪好仁 한시와 江西體의 연결 고리를 찾고자 하는 시도는 그의 시세계의 본질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존에 주목하지 못했던 15세기 江西體의 연구에 중요하게 기여할 것이다. The flow of Chinese poems in Korea was developed by two axises: Dang Si Pung(唐詩風) and Song Si Pung(宋詩風). Even though Song Si Pung in the early Chosun familiarized itself with the poetic style of Su Shi(蘇軾), it gradually flew to follow that of Jiang-xi School of poetry (or Gangseo Poetry Group) including Huang Tingjian(黃庭堅) and Shidao Chen(陳師道). Until now, the academic world has not paid attention to the poets in the 15th century who followed the tendency of Gangseo style(江西體) by investigating to pay attention to Haedonggangseo Poetry Group.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aspect of both form and content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inese poems of Yoo Ho-in and Gangseo style. The reason to pay attention to Yoo Ho-in is the fact that his collection of works and writers’ criticism revealed the interest in Huang Tingjian and Shidao Chen and that the achievement of his poems reached the aim of Huang Tingjian and Shidao Chen. In the formal aspect, this reviewed based on the writing technique of Chinese poems including Huang Tingjian’s “take the old as the new(以故爲新),” “take the vulgarity as elegance(以俗爲雅),” “Hwangol metamorphosis(換骨奪胎)” etc. First of all, Yoo Ho-in pursued the strange rules of versification by escaping from the rules’ refined and symmetrical form of classical Chinese verse. Secondly, like the writing technique of Chinese poems in Gangseo style, he actively utilized the name of place, name, and informal term. In particular, he enjoyed having a command of Chosun’s name of place and name. Thirdly, when Yoo Ho-in utilized the authentic precedent, he not only simply copied it but also used it for his poems in various ways. Along with this, in the aspect of contents, Yoo Ho-in achieved his own original poetic world. Just as Seong Hyeon said that he felt the basic and eternal(奇峭無窮) sense of beauty from Yoo Ho-in’s poetry and prose, we can identify this kind of sense of beauty in the work of <Pakyon waterfall> (朴淵瀑布). And just as Jung Yeo-chang and Hong Gui-dal evaluated that it was ancient(高古), we can identify the ancient(高古) sense of beauty in the poem that embodies the historical figure of the East in Gushi. The attempt to find out the connecting link between the Chinese poem of Yoo Ho-in and Gangseo style will be closer to the essence of his poetic world. Together with this, this article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Gangseo style in the 15th century that has not been currently paid attention.

      • KCI등재

        ?溪 兪好仁이 남긴 <續匪懈堂四十八詠>과 몇 편의 ‘謠’에 관해

        유영봉 우리한문학회 2007 漢文學報 Vol.17 No.-

        Seongjong(成宗) treated one's subordinate, Ho-In Yoo(兪好仁), kindly. He composed a shijo(時調) of farewell for him who leave for a local government post to honor his parent, and took care of his way into government service. One day Seongjong composed "Sogbihaedandsasippalyeong(續匪懈堂四十八詠)" after the pattern of "Bihaedandsasippalyeong(匪懈堂四十八詠)" written by "Anpyeongdaegun(安平大君)". Gwi-Dal Hong(洪貴達) and Su Chae(蔡壽) of Hungu(勳舊派) group as well as Ho-In Yoo and Il-Son Kim(金馹孫) of Sarim(士林派) group took part in the composition. Ho-In Yoo composed a few of "Gyobangyo(敎坊謠)" and "Hyanggyoyo(鄕校謠)" when he was in a government post which was not a song leading people's temper into the right path but also a poetry recompensing Seongjong's favor. Accordingly, "Sogbihaedandsasippalyeong" is a Seongjong's friendship for Ho-In Yoo, and a few of "Hyanggyoyo" written by Ho-In Yoo are a requital for Seongjong's kindness. 朝鮮의 成宗朝는 嶺南 士林派가 대거 등장한 시기이다. 이때 훈구파와 사림파는 정치적인 현안 문제부터 문학적인 색채까지 서로 다른 주장을 내세웠다. 그런데 이들의 대립 속에서, 성종은 적절한 안배와 균형을 통해 세종조의 文化에 뒤지지 않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이 과정에서 성종에게 남다른 사랑을 받았던 인물은 다름 아닌 뇌계이다. 벼슬길에 들어선 이후, 뇌계는 몇 차례 乞養을 이유로 사직을 원하지만, 성종은 그때마다 그를 위해 外職을 배려해준다. 그리고는 해마다 6월과 12월이면 그가 지은 저작들 가운데 좋은 작품들을 가려 뽑아 베낀 다음, 바치도록 명하였다. 「속비해당사십팔영」 또한 성종이 뇌계에게 베푼 優待의 産物이다. 성종은 세종의 셋째 아들이었던 匪懈堂 李瑢이 생전에 集賢殿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남긴 「비해당사십팔영」의 전통을 잇고자 하였다. 이때 선택 받은 인물들은 훈구파의 洪貴達과 蔡壽, 그리고 사림파의 뇌계와 金馹孫이었다. 이들은 훈구파와 사림파를 대표하는 筆陣이었다. 성종의 특별한 인정 속에 안팎의 벼슬길을 드나들었던 뇌계는 외직에 있으면서도 늘 궁 밖의 현실을 임금께 전하고자 노력하였다. 뇌계는 안동과 화산, 영천향교 등 세 곳에 노래를 지어주어 後生의 啓導에 앞장서고자 하였다. 아울러 위 세 곳의 敎坊에서 불리던 노래를 한시로 옮김으로써, 민간의 노래 내용을 그대로 왕에게 전달하고자하였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남은 작품들이 ‘향교요’와 ‘교방요’이다.

      • KCI등재

        식민지 시대 폴란드 한의사 유경집의 유라시아 디아스포라와 해외 조선인 네트워크

        차혜영 한국근현대사학회 2019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9 No.-

        In the 1920s, he was a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 who was operating Oriental Hospital in Warsaw, Poland. As a young colleague of Ahn Jung-geun’s body in 1988, he was awarded as an independent activist. And after the dismantling of the Soviet Union in 1989, These are scattered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These three figures are a family of Yoo-Kyungjeep(劉敬緝=Ryu-chosi:劉初試) who moved to Russia in the 1890s. This article restructured and restored the life of disciples of Eurasian Diaspora (Ryucho si) and explored its meaning. Through the textual discovery, the tracking of personal life history, an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individual is located and related. Through this, I illuminated the portrait of The Eurasian Diaspora Yu-Kyungjeep in the following three contexts. 1) Korean National Movement in Russia from 1909 to early 1910’s. It i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Ahn Jung-geun. 2)1920s European Overseas Korean Network, 3) Eurasian Diaspora returnees who hid their status and career in 1937(The late 1930s, the late Colonial Fascist War). Furthermore, this article goes beyond the ‘Ryu’ individual case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ial period overseas migrant Koreans and the inside of colonial Korea. Particularly, the global mobility of human interchange of knowledge ·discourse·based on the media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the period of 3post (after World War I, after the Soviet revolution of 1917, after the 3·1 movement in Asia and after the 5·4 movement) I looked at the political vision shared by the Asian colonies.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conducted through this. The first one is about the reality of Diaspora in the Eurasian region, the second is how the discrete individual is connected with the homeland, the third is the modern media and communication network, the world system and the global spatial and temporal horizon. In other words,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 in 3 post (after World War I, after the Soviet Revolution of 1917, after the 3·1 movement in Asia and after the 5·4 movement).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Diaspora return narrative in 1937, which hid the memory of the connection, and the fifth, the possibility of thinking differently about the national paradigm of the inter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1920년대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한약방을 운영하던 ‘류초시’라는 한의사, 1988년안중근 의거의 어린 동지로서 독립운동 유공자로 공훈·추서된 유동하, 그리고 1989 년 소련 해체 후 한국에 소개된 유라시아 다아스포라 가족(유동주·유동선 남매), 이 세 인물(군)들은 1890년대 러시아로 이주한 유경집(류초시)의 가족이다. 본고는 유라시아 디아스포라 유경집(류초시)을, 텍스트 발굴, 개인 생애사의 추적, 그 개인이 위치하고 관계 맺은 사회·역사적 맥락을 통해, 그의 이산의 생애를 복원·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탐구했다. 유경집 본인의 1937년 귀환 인터뷰 및 고백 서사, 그 자기서사에서 숨기고 있었던 1909년의 안중근 사건, 그리고 1920년대 식민지조선과의 접속을 보여주는 근거들로 단층화된 한 개인 이산자의 다층적 국면에 접근하고자 했다. 나아가 유경집(류초시)이라는 개인 사례를 넘어, 식민지시대 해외이주 조선인과 식민지 조선 내부와의 관계를 논했다. 특히 3post(제1차 세계대전이후, 1917년 소비에트 혁명 이후, 동아시아에서의 3·1운동 및 5·4운동 이후) 시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기반하의 인적·담론적 교류의 광역적 이동성, 이 광역적 이동성하의 세계와 아시아 식민지 지역이 공유한 정치적 비전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첫째 한 개인의 유라시아 지역 디아스포라의 실체를, 둘째 개인이산자가 고국과 접속되는 방식과 경로를, 셋째 그 경로가 위치한 근대 미디어및 통신네트워크 및 세계체제와 광역적 시공간적 지평의 자장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 속에서 1937년 귀환서사가, 실재했던 민족주의적 저항의 기억과세계와의 광역적 접속의 기억을 은폐하는 정치적 맥락을 논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논의를 통해 ‘해외독립운동’이라는 ‘일국사적 내셔널 프레임’을 다르게 사유할 수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 KCI등재

        조선 초기 ‘조선 죽지사’ 연구

        최고경 ( Choi Go-gyeong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죽지사란, 민간의 풍속이나 정취를 그려낸 7언 절구 연작시이다. 당나라 유우석(劉禹錫, 772~842)이 파투(巴渝) 지방의 민간 가요인 죽지노래를 듣고 지은 데서 유래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토속적, 민가적 성격을 가진다. 죽지사는 유우석 이후 중국과 우리나라에 널리 전파되어 작가에 따라 다양하게 창작되었다. 중국의 악부를 의작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던 조선 초기에는 주로 당대(唐代) 죽지사를 모의하였다. 이들은 중국을 배경으로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을 다루며 낭만적ㆍ애상적 정조를 드러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가운데 김종직을 필두로 한 영남 지방 문인들이 조선의 땅을 대상으로 한 죽지사를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중국의 것을 우리에 적용하면서 의고성을 탈피하고 조선의 특정 지역을 표면에 내세운 것을 ‘조선 죽지사’라 칭하기로 한다. 김종직이 먼저 자신의 고향인 밀양을 배경으로 <응천죽지곡>을 짓고, 동료 문인 김맹성에게 권유하고 제자 유호인에게도 영향을 끼쳐 <가천죽지곡>과 <함양남뢰죽지곡>을 짓게 하였다. <응천죽지곡>과 <가천죽지곡>은 당대(唐代) 죽지사와 같이 남녀 간의 연정을 주로 다루었으나, 조선의 특정 지명을 제시하면서 현실성과 구체성을 획득하였다. <함양남뢰죽지곡>은 이들과 달리 해당 지역의 역사와 풍속에 비중을 두면서 조선 죽지사의 새로운 틀을 도모하였다. 즉 조선 죽지사의 초기 형태는 남녀 간의 사랑이나 이별, 그 지역의 풍속, 역사 이 세 가지의 모습으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이 김종직 그룹에서 조선 죽지사가 시도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고향에 대해 남다른 지방 의식을 공유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들은 지방 출신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한 1세대로서 자신의 지역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곳을 지방의 유행가라고 할 수 있는 죽지사 형식을 빌려 널리 알리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창작 의식을 바탕으로 한 조선 죽지사는 향후 지역의 범위가 전국으로 확장되고 규모가 방대해지면서 하나의 역사 장르로 확립되는데, 본고의 논의는 그 전개의 출발점에 있다. ‘Jukjisa’(竹枝詞) is a 7 quatrain series poem that depicts folk customs and culture. Composed by Liu Yuxi (劉禹錫) of the Tang Dynasty after he heard the song ‘Jukji’, a song that was popular among the locals of the Bayu(巴渝) region, it naturally has an ethnic quality and the nature of a folksong. ‘Jukjisa’ spread widely across China and Chosun after its composition by Liu Yuxi and was recomposed in various ways by different poet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hen the imitation of Chinese Yuefu(樂府) was the prominent trend, imitations of contemporary Jukjisa were prevalent. These poems dealt with the love and parting between a man and a woman against the backdrop of China and typically portrayed romantic and tragic sentiments. In the midst of this trend, the literati of the Yeongnam region, led by Kim Jong-jik, composed Jukjisa about regions in Chosun. Noting the way these poems avoided archaism by the application of the Chinese form to something that was ours and the mention of a particular region of Chosun in the poem, this paper proposes these poems be designated ‘Chosun Jukjisa’. Kim Jong-jik composed < Eungcheonjukjigok > with his hometown Miryang as the backdrop and urged fellow literati Kim Maing-sung and influenced his disciple Yoo Ho-in to compose < Gacheonjukjigok > and < Hamyangnamrwaejukjigok > respectively. < Eungcheonjukjigok > and < Gacheonjukjigok > deal with romantic affect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like other Jukjisa of the time, but by naming a particular region in Chosun, they also achieve a sense of specificity and realism. Unlike these poems, < Hamyangnamrwaejukjigok > revealed a new framework for the Chosun Jukjisa by focusing on the history and customs of a particular region of Chosun.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can be found in early forms of Chosun Jukjisa: the story of love and parting between a man and a woman, the customs of a particular region and the history of that region. The motive behind the creation of Chosun Jukjisa by Kim Jong-jik’s group can be found in their unique regional consciousness of their hometown. As the first generation of rural literati to be active in the political world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y had great affection for and pride in their hometowns and strived to make their hometowns widely known by borrowing the form of the Jukjisa, which could be called the popular song of rural areas. The Chosun Jukjisa that stemmed from this creative consciousness became established as a historical genre as the scope of regions covered in the poems later expanded to include the whole nation and the poems expanded in volum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start of this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787년 유언호의 대청사행단 구성과 운영

        박범(Park, Beom)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6

        유언호의 『연행록』은 다른 연행록과는 달리 기록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 연행록에는 매우 다양한 참여 구성원의 인적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특히 참여 횟수를 통해 역관의 성격이 잘 드러난다. 사행단 운영의 책임에서 여러 차례 연행에 참여한 당상역관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컸다. 연행 운영의 관점에서 본다면 두 가지 점을 파악할 수 있다. 하나는 공간적 차원에서 연행 운영의 여러 분기점을 나누어 볼 수 있다. 평양, 의주, 책문, 심양, 북경은 변화의 교착점으로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공간은 바로 책문이었다. 책문이라는 공간을 통해 조선과 청국 사이의 정보의 단절과 교환이 이루어진 것이다. 다른 하나는 책문후시에 대한 관심이었다. 유언호가 연행에 참여하기 직전 조선정부는 책문에서의 후시를 공식적으로 폐지시켰다. 유언호의 사행단은 후시 폐지 이후 첫 연행이었다. 그러므로 후시 철폐가 가져오는 문제가 무엇이었는지 유언호는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청국 관원과의 논쟁을 통해 후시 문제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며 이후 후시 정책을 집행하는 중요한 경험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travel’s record(燕行錄) by Yoo Eon-ho(兪彦鎬) has a lot of valuable data in conducting research on relatively poor performance. This book contain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a wide variety of participating member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reveals the nature of the interpreter.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preter who participated in the trip was very large in the responsibility of the trip operation. There are two things to know from this travel’s record. One is that travel is divided into several branches at the spatial level. Among them, Chaekmun(柵門) is very important. Here, the disconnec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Joseon and Qing took place. The other is the interest in back trading in the market.(後市) The Joseon government abolished this system just before the trip. This trip was the first trip since repeal. Yoo Eon-ho could see for himself what the problem was. It has become an important experience how to deal with this problem.

      • KCI등재

        생육밀도가 쪽동백나무 유묘의 물질생산량과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정호,이수원,유세걸,오석귀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3

        To provide the basic data essential for developing varieties of broad-leaved tre, the study inves-tigated the utmost growth requirement for the growth characteristic and biomass production in accordancewith planting density of Styrax obassia. The planting density of seedling can be a significant factor in contrib-uting growth of sedling for tre growing in general. While growth of tree acording to 1 m2 planting densityof Styrax obassia2,those low planting density showed decreased tendency with tree height growth while increasing the rot col-lar diameter growth. As similar to the growth characteristic, the biomass production showed significant andstatistic difference in 49 no./m2, showing high volume of biomass production which is 3.12±0.80 g com-pare to other processing section and high figure with T/R ratio which is 1.59. The special trait of photosyn-thetic also showed relatively high photosynthetic rate in 49 no./m2 and 64 no./m2 of Styrax obassia and asthe density increase, photosynthetic efficiency decreased. The plant showed stable and physiological plant-ing pattern, displaying the best photosynthetic rate, which was the final metabolism through reserving properspac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environment condition. This obstacle of required space essential forgrowth substantially deteriorated planting and ultimately, it demonstrated lower tendency of photosyntheticrate,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metabolism. 다양한 활엽수 자원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쪽동백나무 유묘의 생육밀도에 따른 물질생산량과 생장특성 등 최적의 생장조건을 조사하였다. 묘목의 생육밀도는 수고생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본 실험 결과 쪽동백나무의 1 m2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간장과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낮은 처리구는 근원직경 생장이 증가하면서 간장생장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 또한 생장 특성과 마찬가지로 1 m2당 49본구 처리구에서 전체 물질생산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12 ± 0.80 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였고, T/R율에서도 1.59로 나타났다. 생리적 특성으로 광합성률 또한 쪽동백나무의 경우 1 m2당 49/m2 본구와 64/m2 본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고 밀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생육 환경조건에서 적절한 공간 확보가 궁극적으로 최종 물질대사 작용인 광합성률 변화에서 최적의 상태를 보이면서 생리적으로 안정된 생장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 공간의 장애가 실질적인 생장저하를 발생시키고, 궁극적으로 물질대사의 최고 단계인 광합성효율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 KCI등재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의 WCC 가입신청 문제

        김흥수(Kim Heung-So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2 No.-

        A lot of writing published in South Korea on th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n Christian Federation and World Council of Churches says that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applied for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membership in 1974 and 1981 but it was rejected by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J about North Korean Churches. This statement is based on the fact that delegation from the North Korean Mission to the UN in Geneva visited World Council of Churches office in 1974 and delivered two letters officially to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from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So far the letters have known to the South Korean Churches as the official application form of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for the WCC membership. This essay examines whether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really applied for the WCC membership in 1974 and the two letters were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s application letters for the WCC membership.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essay, the letters stated on the harsh tyranny in South Korea and the resistance being offered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y the Christian churches, among others. The letters made no reference to the problem that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wanted to jo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But Mr. Park Il Bu from the North Korean Mission said so. To quote Park on this, “Though I myself am not a Christian, we wish to become members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conclusion,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s letters to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ere general in content and made no statement to the fact which was mentioned by the official visitors that they or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wanted to jo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Even though the official visitors mentioned Korean Christian Federation’s wish to become the members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t was not the official application of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for the WCC membership.

      • KCI우수등재

        <성종대왕실긔(成宗大王實記)>의 소재원(素材原)과 성종(成宗)의 형상에 대한 연구

        이기대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199

        <성종대왕실긔>는 1930년 덕흥서림에서 간행한 구활자본 고전소설이다. 역사 기록과 야담 그리고 소설 등을 소재원(素材原)으로 활용하여 성종의 탄생과 왕으로서의 행적 및 죽음과 평가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성종(成宗)의 왕실 가족 및 당대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는 과정에서는 주로 『연려실기술』과 같은 역사 기록을 소재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박팽년 후손, 폐비 윤씨, 연산군에 대한 성종의 태도나 손순효, 유호인 같은 신하들과의 관계가 드러난다. 야담류 등을 소재원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는 성종이 백성들의 처지를 이해하고 각각의 문제를 해결해주려 했던 모습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특히 성종이 미복(微服) 차림으로 백성들을 만나는 과정은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흥미롭게 제시되고 있다. <성종대왕실긔>와 소설의 관계는 신종호의 행적을 통해 드러난다. 성종이 신종호를 평안도에 어사로 보내고 다시 기녀를 통해 속이는 내용으로 전개되는데, 이는 훼절 소설의 구조와 유사하다. 이처럼 여러 기록과 문헌의 내용을 소재원으로 활용하면서 작품에서의 성종의 형상은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된다. <성종대왕실긔>가 간행될 무렵에는 과거의 인물이나 역사를 기록한 서적들이 출간되고 조선의 왕들에 관한 일화들이 신문과 같은 대중 매체를 통해 소개되고 있었다. 이는 조선이 아닌 시대를 살고 있지만, 오히려 조선의 왕들을 기억하려했던 당시 독자들의 요구를 보여준다. 그리고 발행자였던 김동진은 이러한 출판 상황에 따라 <성종대왕실긔>와 같은 실기류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간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