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서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인식 연구

        지미영(Miyoung Ji),소애진(Aijin Xiao),책리하(Lixia ZHAI),서희(XI XU),윤희정(Heejung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이 연구는 2025년 한국 고교학점제의 전면적 실행을 앞두고 점차 증가하는 교사들의 우려를 해소할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자들은 한국과 문화적 동질성이 강하며, 20년 전부터 이미 고교학점제를 실행하고 있는 중국에 주목하여, 중국의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고교학점제의 이해 정도와 운영 성과에 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이 중 운영 성과가 미흡하다고 판정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중국 고교학점제의 문제점의 원인과 개선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고교학점제를 준비하는 한국의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2020년에 고교학점제 실행 방안을 재수립한 중국 후난성(湖南省)의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247명의 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그들이 경험한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제도의 이해, 운영에 대한 평가, 문제점의 원인 및 양상, 제도의 개선안의 영역에 대해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 빈도분석, ANOVA 분석하였다. 제도의 개선안에 대한 질적 자료는 주제어 분석과 축 코딩을 이용한 내용분석하였다. 결과 중국 교사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도와 근무 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 성과 모두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응답 결과는 반 학생 수, 나이, 교직 경력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운영에 있어 주저해 요인으로 교사의 고교학점제에 적합한 교수 역량 및 운영의 전문성 부족, 고교학점제 교육과정과 대입과의 연계성 부족 등으로 인식하였다. 그들이 제안하는 개선안으로 졸업학점 축소, 제도 간소화 및 자율화, 상주 전문교사 배치, 학부모 인식 개선, 교사의 전문성 교육 강화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중국은 지난 20년 동안 고교학점제를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국적인 안정화를 가져오지 못했고, 이는 이 연구의 결과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중국의 사례가 전면적인 도입을 앞둔 한국 고교학점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결론지으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한국의 고교학점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교육공동체에 적극적인 고교학점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과목 선택 지도와 진로 교육에 전문성을 가진 전담 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 교사 연수 프로그램 기획 시 교사의 나이 및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고교학점제의 졸업 이수 학점을 줄이고 학교별 또는 지역별 자율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적 관리제도에 대한 정비와 합의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address the growing concerns of teachers ahead of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This study focused on China, which has a strong cultural homogeneity with Korea and has already been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20 year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operation performance of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ata to Korean high school teachers preparing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amining the causes and improvements of the problems of the Chines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eachers who judged that their operational performance was insufficient.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47 teachers working at high schools in Hunan Province, China, who re-established a plan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0,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or the understanding, evaluation of the operation, cause and pattern of problems, and areas of the system improvement plan were analyzed by basic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25.0. Qualitative data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system were analyzed using the main word analysis and axis coding. Results Both Chines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of working schools were found to be moderate. The results of this respon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class students, age, and teaching career. Chinese teachers perceived the lack of teaching competence and expertise suitable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factor of hesit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and college entrance. The improvements they proposed were able to achieve results such as reducing graduation credits, simplifying and liberalizing the system, deploying resident professional teachers, improving parental awareness, and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 education. Conclusions Despite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past 20 years, China still has not brought about national stabiliza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earchers conclude that these Chinese case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about to be fully introduced, and suggest as follows.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ducate and promo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deploy a dedicated teacher with expertise in students' subject selection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The age and requirements of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reduce credits for graduation from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trengthen autonomy by school or reg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agree on the academic management system.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교사의 고교학점제 및 대입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허정은(Heo Jung Eun),정영희(Jung Young Hee),박창언(Park Chang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배경변인에 따라 고등학교 교사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 고교학점제와 연계한 대입 전형 변화 정도,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 대입전형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 대입 전형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고교학점제 선도·연구학교 및 일반고 재직교사 304명이며 2020년 1월 16일부터 2월 14일까지 30일간에 걸쳐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참여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와 고교학점제와 이후 대입 전형 변화에 대한 인식,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 학생부교과전형과 수능전형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고교학점제운영 여건이나 기반, 선택과목 확대 현황, 교사들의 참여 분위기 등에서 선도·연구학교 교사가 일반고 교사에 비해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 대입 전형의 변화 정도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이 학생의 선택과목 확대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전형으로 인식하였고, 선도·연구학교 재직교사가 일반고 재직교사보다 수능 전형의 변화를 높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 이후 대입제도는 학생부 종합·수능 전형 중심으로 운영하되, 교과 선택과목과 수능 응시영역별 선택과목의 연계성을 높여 학습 부담을 경감시켜야 하며, 장기적 관점에서는 수시·정시를 통합하고, 문제해결 능력이나 논리적 사고력 측정이 가능한 수능 전형의 출제유형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teachers high school credit system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degree of change in college admission linked to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erception of changes in college admiss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ollege admiss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4 teachers in charg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and research schools and general high schools, and data were collected online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30 days from January 16 to February 14, 2020. The data analysis analyzed the change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ticipating teachers, the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subsequent changes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the changes in the student record curriculum and the CSA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eachers at leading and research schools were more positive than teachers at regular high schools in terms of conditions and bases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current status of expanding elective subjects, and the atmosphere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erception survey on the degree of change in college admiss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was recognized as the best reflection of the expansion of students elective subjects, and the teachers in charge of leading and research schools perceived the change in the CSAT screening as higher than those in general high schoo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ft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be operat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d CSAT admission process, but the burden of learning should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link between the subject selection and the subject selection by the CSAT area, and that the type of test questions should be improved, which allow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or measure logical thinking skills, is need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한 부분도입기의 과제 : 고교학점제 1차 연구학교 운영 결과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박지한(Park, JI-han),김아영(Kim, Ay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추진과정 중 나타나는 변화와 쟁점을 분석하고, ‘부분도입기’에 해소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고교학점제 추진 단계는 ‘제도기반마련기(~2021년)’, ‘운영체제전환기(2022년)’, ‘단계적적용기(2023년~2024년)’, ‘전면적용기(2025년~)’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운영체제전환기와 단계적적용기는 ‘부분도입기’로서,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제도적⋅문화적 과제를 해소해야 하는 단계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초 단계인 제도기반마련기에 수행되었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자료를 분석하여,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예측되는 학교 현장의 주요 변화와 쟁점을 탐색하고, 부분도입기에 해소되어야 할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지정한 31개 고교학점제 1차 연구학교(2018년~2020년) 운영 결과보고서의 결론부에 기술된 고교학점제 관련 쟁점의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텍스트 분석을 통해 ‘개인별 시간표 운영’, ‘자원 수급’, ‘성취평가제 도입’, ‘교사역할 변화’ 라는 네 가지 영역으로 쟁점을 범주화하고, 이후 각 영역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주요 과제를 고교학점제의 특성과 함께 검토하였다. 결과 영역별로 ‘시간표 상 공백 운영’, ‘지역 격차’, ‘미이수 관리’, ‘생활지도 약화’라는 과제를 도출하고, 이에 관한 제안을 부분도입기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함께 제시하였다. ‘시간표 상 공백 운영’의 경우, 시간표 상 공백에 대한 명확한 정의, 시간적 유연성 활용, 공강 지도 지침 마련 등이, ‘지역 격차’의 경우, 학기 당 운영 가능한 적정 과목 수 범위 도출, ‘학교 밖 교육’을 수행할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 및 교류 등이, ‘미이수 관리’의 경우, 성취기준의 구체적 안내와 교사의 평가권 보장, 예방 프로그램과 보충과정 운영 방안 합의, 미이수 관련 학사 규정 보완 등이, ‘생활지도 약화’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학교 내 공동체 구성, 생활지도 방식 보완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 부분도입기는 교육 체제를 고교학점제로 이행하기 위한 과도기로서, 고교학점제 추진 과정의 핵심적 단계이다. 고교학점제 1차 연구학교 운영 결과보고서에 나타나는 쟁점과 관련하여 부분도입기에 주어진 과제들을 점검해봄으로써 고교학점제의 안착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an be established in the school field by suggesting the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partial introduction peroid of the credit system(2022~2024), which is an intermediate stage in the promo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related tasks. Methods As the period for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was coming to an end,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field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was analyzed to identify changes in the field, and institutional changes promoted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were explored. To this end, we tried to analyze the text of issu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described in the research results report of 31 high school credit system primary research schools (2018~2020)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text analy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repara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the blankness on the student’s individual timetable in terms of daily school schedule operation, the regional disparity in terms of resource availability, the management of non-completion in terms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pplication, and the weakening of student life guidance in terms of changing the role of a teacher were carried out during the introduction period of the credit system. Conclusions It seems it should be The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is a transitional perio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it can be said to be a key step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amining the tasks given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it can be expected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settled.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정성진 한국질적탐구학회 2024 질적탐구 Vol.10 No.1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가 진로 직무연수에 참여한 경험을 확인하여 일반교사의 진로교육 전문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결과는 무엇인가?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는 합의적 질적 연구(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경험이 가지는 주제와 구조, 상관 등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설명(Hill, Thompson, Williams, 1997)하는데 유용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동기는 ‘진로교육의 어려움’과 ‘진로 교과수업에 대한 관심’의 2개 범주와 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들의 진로연수 참여 과정은 ‘진로교육 관련 정보 습득’, ‘교사역할로서 진로교육 인식’, ‘진로교육 실제에 적용’의 3개 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들의 진로연수 참여 결과는 ‘진로 교과수업의 역량 향상’, ‘진로교육에 대한 신념 형성’, ‘진로교사로서 도약’의 3개 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교육 관련 책무와 과업을 확인하여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진로교육 연수의 세부 교육과정 구성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epare basic data to secure career education expertise for general school teachers by confirming the experience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participating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first, what is the motivation for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to participate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what is the process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participating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what are the results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participation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is method is useful for structurally identifying and explaining the themes, structure, and correlation of general teachers’ career training participation experienc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ill, Thompson, Williams, 199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to participate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derived into two categories and six subcategories: ‘difficulty in career education’ and ‘interest in career subject classes’. Second,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career training for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nine subcategories: ‘acquisition of career education-related information’, ‘recognition of career education as a teacher’s role’ an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to practice’. Third, the results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participation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nine subcategories: ‘Improvement of career subject teaching capabilities’, ‘Formation of beliefs about career education’, and ‘Leap forward as career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firm the career education-related responsibilities and tasks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tailed curriculum composition of career training ahead of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 — 대학입시제도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김지혜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3

        Currently, the most severe issue in high school education is its credit system. This system, which will be implemented in 2025, is a high school innovation policy that seeks flexible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focused on student growth. This is done by escaping from the uniform entrance-oriented education, expanding student’s options, and diversifying curriculum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linkage problems between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ollege entrance, among other issues surrounding the credit system, and the related challeng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high school credit and college entrance systems have a direct impact on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student’s selection of subjects.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2018) announced plans to reorganize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nd improve its performance evaluation scheme, in order to prepar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eginning in 2025,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implemented by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cheme to all subjects. However, the reorganization of college entrance and evaluation systems seems to conflict with the pla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trengthen the fairness in the college entrance announced in the 2019. In some ways, it is also a risk that functions as an obstacl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normaliza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e reorganization of college entrance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s will greatly influence the status and for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ructural reorganization into “Common subject (<Reading>, <Literature>)” and “Elective subject (<Speaking and Writing> and <Language and Media>)”, in the Korean language section of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leads to a subject’s decrease in weight. Korean language subject has multiple identities as a tool subject, as well as a thinking and cultural subject.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 revi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fully discuss the nature and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 school, along with the weake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bject bias.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should not only provide a basic education, but also have a career subject role. 현재 고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고교학점제이다. 2025년에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선택권을 확장하고 교육과정을 다양화함으로써 입시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에서 학생 성장 중심의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꾀하는 고교 혁신 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를 둘러싼 여러 문제들 중 고교학점제와 대학입학제도의 연계성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다가올 고교학점제로의 전환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고교학점제 및 대학입학제도는 고등학교의 교과과정 편성 및 학생들의 교과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교육부(2018)는 고교학점제를 준비하기 위해 대학입학제도 개편 방안과 내신 성취평가제 개선 방안을 발표하였다. 2025년부터는 성취평가제의 대입 반영 범위를 전 과목에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학입학제도 개편과 2019, 2020년 교육부의 공정성 강화 방안은 고교 교육의 내실화 및 학생부종합전형의 취지와 균열을 보이는 지점이 있으며, 일부는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안착 및 고교 교육의 정상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위험도 있다. 또한 대입제도의 개편과 고교학점제는 국어교육의 위상 및 비중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의 ‘공통(<독서>, <문학>)’과 ‘선택(<화법과 작문>중 <언어와 매체> 중 택1)’으로의 구조 개편은 국어 교과의 비중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 국어 교과는 도구 교과, 사고 교과, 문화 교과로서의 다중적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교학점제 도입 및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있는 지금, 국어교육의 약화 및 과목 편중 현상과 함께 고등학교 국어교육의 성격과 그 역할에 대한 국어교육계의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먼저, 국어교육은 기초 과목으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진로 교과로서의 역할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예술 교과로서의 문학 감상 및 창작 교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와 함께 실행될 내신의 성취평가제 및 수학능력시험의 개편 방향에 대해서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현황 및 만족도 : 상업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윤상,차승민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6

        This study examin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cognition and curriculum for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and non-research school students in commercial high school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in this study are schools that have been operated by apply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ver a three-year operating period, and non-research schools include schools other than research schools designated as lead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school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ubject of study among commercial high schools in their third year of conducting the school credit system,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the credit system compared to the opposite group. Secondly,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about the curriculum, it was observed the subject schoo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overall than the other group, particularly on the detailed items related to employ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the school credit system seems to be satisfactory as they choose the curriculum and decide their career path on their own, and this result is expected to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through increased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ere derived from conducting a direct survey of students who actually experienc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re expected to play pivotal role as a pioneer and helps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and success.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과 학교의 변화

        서봉언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3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change in high schools in the processing of introducing, accepting, implementing and improving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by analyzing the stories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chool culture in high schools did not change much, and the reason was the college entrance exam. However, some teachers have begun to show signs of change. In other words, high schools were undergoing a period of transi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ccep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ir career, teachers began to communicate a lot, and began to have a mind as a manager of the class. Students attending a high school implemented the credit system are having a new experience. The learners were respected in the course of choosing and taking classes in person. Teachers were also aware that students were more focused on the class than before because it was their own choice. It is also true, however, that students are restricted from choosing classes because they have to think about the CSAT. Second, the work that teachers have to take on in relation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changed in quantity and quality. Moreover, the application program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inconvenient, so all teachers are using private programs. There are many urgent tasks such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facilities and system to settl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addition, selfishness in the subject, solidity in the subject class, and hiring instructors were difficult poin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There were hidden efforts by the teachers to solve various difficulties in practice. Various ideas were discovered and a venue was proposed to share trial and error among teachers.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urgent to nurture teachers who can take charge of multi-grades and multidisciplinary teaching, to clarify the criteria for hiring instructors, and to change the admission policy for local universities.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담당 부장교사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정책의 도입-수용-실행-개선의 과정 속 고등학교의 학교문화, 교사의 업무 변화, 학생의 변화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등학교 내 학교문화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는 대입에 있다. 그러나 일부 교사들의 변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즉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변화의 과도기를 겪고 있다. 고교학점제를 수용하며 진로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학생, 교사들 간의 협의 증가, 그리고 수업의 경영자로서의 교사 마인드 변화가 감지되었다. 특히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은 새로운 경험을 하고 있다. 직접 수업을 선택하고 수강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학습자는 존중받고 있으며, 본인이 선택한 수업이기에 이전보다 수업 집중도도 높아짐을 교사들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은 여전히 ‘수능’을 생각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수업 선택에 제약을 받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교사가 담당해야 할 업무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변화가 있었다. 더욱이 교육부에서 권고하는 수강신청 프로그램은 사용에 불편함이 많아 모든 교사들이 사설 프로그램을 쓰고 있는 등 고교학점제를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제반 환경 및 시설, 제도 개선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다. 또한 교과이기주의, 공고히 되는 교과계급, 외부강사 채용의 어려움 등도 실행의 난점으로 등장하였다. 실행의 여러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사의 숨은 노력이 있었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였고, 교사들 간의 시행착오를 공유할 장 마련을 개선책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학년 다교과를 맡을 수 있는 교원 양성, 외부강사 채용 기준 명확화, 지역 대학 입시 전형의 변화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초 · 중등교육법의 법적 문제와 개정방향

        이부하(Lee, Boo-Ha),최성근(Choi, Seong-Keu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東亞法學 Vol.- No.84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 · 이수하고, 누적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제도”이다. 고교학점제는 수업일수라는 학습의 ‘양’을 졸업요건으로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부여하여 학생의 실질적인 교과목별 학업성취라는 학습의 ‘질’을 평가하고 학점 취득을 통해 이수조건 및 졸업요건을 충족하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따라서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는 고교학점제 실행에 중요한 기본 조건이다. 고교학점제에서 졸업요건으로서 일정한 학점 취득에 관하여, 최소 이수학점을 어느 정도로 정할 것인지가 논의된다. 현행 이수기준인 ‘단위’가 ‘학점’으로 전환될 경우, 한 학기당 25학점을 평균으로 잡아 150학점을 수료에 필요한 최소 이수학점으로 정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본다. 최소 이수학점 중 필수과목 학점은 30~35학점으로 하고, 나머지 학점은 다양한 선택과목 학점을 취득하도록 설계하는 것을 제안한다. 고교학점제 운영은 기존 교과교실제에 따른 공간 구성(교과교실의 수, 교실 이용율, 공용교실의 수, 공용교실의 크기와 위치 등)에 대한 재구성을 필요로 한다.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최소 이수학점과 편성 교과목, 선택 교과목등이 확정된 후,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의 공간 구성을 설계해야 한다. 법령에서 고교학점제형 공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학점제 공간은 공간 유연성, 휴식 및 자율공간, 교과선택 동선의 효율화, 인터넷 강의실, 도서관 활용등을 고려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 진로에 따라 교육과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학교기반형(학교 내, 학교 간), 지역사회연계형(학교밖 위탁교육형, 학교 밖 교육자원 활용형), 온라인 기반형 맞춤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고교학점제를 도입하기 위해서, 교원은 학생이 선택한 과목을 교과로 수업해야 하고 다양한 과목이 개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수전공자 · 부전공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여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a system in which students select and complete various co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s, and is accepted for graduation when cumulative credits reach the standa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not only takes the amount of learning as the number of class days as a graduation requirement but also grants students the choice of subjects so 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learning that is the achievement of each student"s actual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expanding students’ choice of subjects is an important basic condition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implementation. As a graduation requiremen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degree to which the minimum credits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acquisition of certain credits. If you convert the ‘unit’, which is the current study standard, into ‘credit’, it would be appropriate to set an average of 25 credit points per semester and 150 credit points as the minimum credits required for graduation. It is suggested that 30~35 credits be required for the minimum required credits and that the remaining credits should be obtained various elective subjec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needs to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xisting classroom system (number of classrooms, utilization rate of classrooms, number of public classrooms, size and position of public classrooms). After establishing the minimum credits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electiv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chool’s space structure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order to enable the students to choose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ir aptitude and career, the school-based type (in-school, inter-school), community-linked type (out-of-school education type, they should actively support the curriculum. In order to introdu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teachers must teach many subjects selected by the students. Therefore, it should be provided with additional points for double major and minor, so that students’ choice of subjects is guaranteed.

      • KCI등재

        빅 데이터를 통한 고교학점제의 대중인식 분석

        김소영,홍후조 한국교육방법학회 2021 교육방법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Data was collected from cafes and blog posts of NAVER, DAUM from January to October 2020, using Textom as the subject word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is because, in 2020, as the situation in public education changes due to COVID-19, the trend of students' career search is likely to change as well. Words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were refined and then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the public recogniz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new curriculum in which students select and take courses in high school to prepare for career and further advancement'. In addition, high interest in subject selection and credit completion standards was confirmed in the N-gram network, an ‘classes, universities, teachers' have low frequency but high connection-oriented, so the public recognizes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 could see that I started doing i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ONCOR analysis to reveal the meaning inherent in the language network, four clusters were found: ‘Course tailored for career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greatest weight was ‘preparation of the found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connection with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the strongest, and issues are still being formed based on policy promotion and field research. It can be seen that this is a stage in which awareness is mov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areer design support system so that students can select co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 and aptitude, and strengthen individual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In addition, the subject system for each career and level should be reorganized, and a concrete and practical public relations strategy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also be prepared. 본 연구는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교학점제에 대한 대중인식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를 주제어로 Textom을 활용하여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NAVER, DAUM의 카페와 블로그 게시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2020년은 COVID-19로 인해 공교육의 상황이 변화하면서 학생들의 진로탐색 경향 역시 변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수집된 자료에서 추출된 단어는 정제 후,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 분석 결과, 대중은 고교학점제를 ‘학생이 진로·진학 준비를 위해 고교에서 수강과목을 선택·이수하는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N-gram 네트워크에서 과목 선택, 학점 이수 기준 등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하였고, ‘수업, 대학, 교사’가 빈도는 낮지만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나 대중이 고교학점제의 실질적 측면을 인식하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다. 언어 네트워크에 내재된 의미를 밝히기 위하여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 맞춤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마련,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고교학점제 운영’이라는 4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가장 비중이 큰 것은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마련’이었으며,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과의 연결이 가장 두텁게 나타나 아직 정책 홍보 및 현장 연구 중심으로 이슈가 형성되고 있지만, 도입 기반 마련에서 전면 도입으로 대중의 인식이 넘어가고 있는 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진로 설계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인 진로·학업 상담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진로별, 수준별로 과목 체계를 재구성해야 하며, 고교학점제에 대한 구체적·실제적인 대중 홍보 전략 역시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경기도 발달장애 특수학교 중등 교사의 인식

        정승미(Seung Mi Jung),이재훈(Jae Hun Lee),이미영(Mi Young LE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explore how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an be established in special schools. We surveyed 157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a special school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yeonggi-do about the concept, curriculum, and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ettlement plan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concept of high school credit, and a moderate level of awareness of the curriculum and operations. However, when asked if they thought the curriculum of the special school where they work could be adap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y expressed negative perceptions. Second, the awareness of the settlement plan at the level of teachers, schools, and education bureaus was moderate, but there was a high level of negative perceptions of activating teacher training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introduc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schools. In order to establish a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school environment, provide training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how to establish a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pecial schools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