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복주택 최적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다목적 공간 최적화 접근

        진찬우 ( Chan Woo Jin ),이건학 ( Gun Hak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2

        ‘Happy House’ is a kind of public rental houses which attempt to provide lower price houses and high quality housing services to young ages, which is a governmental project for universal housing and welfare. Since the project for ‘Happy House’ seeks both conflicting values, such as acces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it fails to get significant effects by enforcement of the project. In this regard, we conducted location modeling to suggest the compromising solutions between conflicting objectives by utilizing a multiobjective spatial optimization methods. Furthermore, the additional requirement that ‘Happy Houses’ should not be concentrated in particular areas is imposed. As a result of modeling, various optimal locations are proposed in terms of priority of acces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Additionally spatial solutions taking into account regional disparity of ‘Happy House’ provision are also presented by restricting potential siting of ‘Happy House’ by districts. Our approach ha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approaching contextual and spatial aspects of acces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Happy House’ project in systematic and empirical ways. Also, it is expected that empirical results will help policy and decision makers who must consider various realistic situations make reasonable and flexible decisions.

      • KCI우수등재

        서울 행복주택 주변지역의 님비현상 분석

        주희선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1

        Recently, the rise in the housing burden on young couples has led to a serious housing poverty among young people. The number of youngpeople who move into public rental housing is very small because the eligibility for public rental housing is determined based on income,the status of housing subscription, and the size of the household. With this background, the government launched a public rental housingprogram called Happy Housing Project, which gives young people the priority to move in first. However, the program is facing an obstacledue to the opposition of local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public rental housing can induce the NIMBYsyndrome through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followed by an analysis of NIMBY syndrome around the currently supplied Happy Housedevelopment areas, and finally analyzing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dentify which households were prone to the NIMBYsyndrom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NIMBY syndrome,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d the two groups using binary logit analysis. The first group consists of households that are against the Happy House policy, and the second group consists of households that are awareof the Happy House development taking place in their neighborhoods, and are against the development. This study considered the householdsagainst the Happy House development in their neighborhoods to have NIMBY tendencies, and focused on comparing the households withNIMBY tendencies with those who do not. To confirm whether the residents around the Happy House neighborhoods have NIMBYtendencies, this paper compared the two groups and confirmed that about 4% of the households have NIMBY tendencies. This papersubsequently analyzed the households with NIMBY tendencies, and found them to have a higher number of children, reside in apartmentsand reside in owned homes. The volume of the 2018 Happy Housing (35,000 households)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2017. The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tendency of residents who oppose the construction of Happy Housing so a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for the smooth provi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최근 청년가구의 주거비 부담 증가로 청년층의 주거빈곤이 심각한 수준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청년들에게 입주우선권을 부여하는 공공임대주택인 행복주택 사업이 시행되었지만, 지역주민들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주택 공급에 대한 정부정책에는 찬성하지만, 우리동네 건립을 반대하는 님비적 성향이 지역에서 발생하는지 여부와 님비적 성향을 보이는 가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님비 성향을 가지고 있는 가구는 약 4%정도로, 아파트 거주자, 자가 거주자, 자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행복주택이 인근 비아파트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윤명탁 ( Yun Myung-tak ),이창무 ( Lee Chang-moo ),노희순 ( Roh Hui-soon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1 不動産學硏究 Vol.27 No.1

        행복주택은 대학생,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등 젊은 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되는 공공임대주택이다. 공공임대주택 제도는 주거안정이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원활한 공급과 정부대응을 위해서는 행복주택이 주변 주택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공공임대주택의 공급 효과에 관한 연구는 주로 아파트를 대상으로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비아파트의 임대료를 알아본다는 차원에서 차별성을 둘 수 있고 행복주택의 영향권 내 아파트 외 유형의 가격 변화를 분석하는 것 또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의 설정한 최대거리 권역은 행복주택을 중심으로 반경 1.6km이다. 이는 반경 1.6km를 초과하게 되면 주택의 비아파트 주택간 이질성으로 인해 추정결과가 왜곡될 수 있으며, 최대거리 권역 내 비아파트 주택들의 가격추세는 동일하다고 간주하기 위함이다. 이 후 분석은 행복주택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인접권역내지역과 인접권역외지역으로 분리하여 각 그룹의 임대료를 행복주택 공급 전후로 비교하게 된다. The Happy house is a form of public rental housing with the aim of providing affordable housing for young people including college students, newlyweds and social beginners. Negative public perceptions of public housing, however, have been a major obstacle to expanding it. Given the importance of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housing policy, the effects of the Happy House development on the local housing market need to be carefully examined. While empirical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effect of public rental housing on the value of neighboring apart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n non-apartment rents. The distance threshold for the empirical methodology is set at 1.6 km from the Happy House, assuming that the price trend of housings remains constant over time within the area. Heterogeneity in housings would be a crucial empirical issue beyond the 1.6 km threshold. For the empirical analysis, rents a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 housings within and beyond the threshold - over two tim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Happy House.

      • KCI등재

        장기공공임대주택에서의 행복주택 주거단지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박철흥,안정근,배민철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Happy housing' was planned to construct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by utilizing unused state/public land such as railway site in downtown. Approach to job&home, youth group & local vitalization, are three key words of Happy housing, which makes it different from Permanent rental housing & National rental housing, the existing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that used to be built on the housing development site in the outskirts of city. This study has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land use of the proposed site, density plan, size of housing unit, the current situation of planning the local amenities toward the Happy housing 148 complex which was approved as a business from 2013 to 2016.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roposed site of Happy housing was located as various uses such as public site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the downtown, terminal site & market place, furthermore, it was located the existing developed land for housing for more than 50% due to the limitation of urban available housing site.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s amounts to 600 ones, while the average floor area ratio for residential area is shown to be 166%. Though the number of households compared with that of Permanent rental housing & National rental housing is 209 households smaller, but the floor area ratio has been shown to be 20% higher. The unit household has been planned focusing on single-person & two persons household, while 4 types of 16㎡, 21㎡, 26㎡, 36㎡ occupy 86% of the whole households. Local amenities projected for the local vitalization are mostly composed of social enterprise, national & public child-care center as well as share-house of cooperative child-care whose whole facilities occupy 52% out of 11 amenities, which reflects the higher interest of the relevant area for creating local jobs & child-care. In order to supplement & develop Happy housing, securing high quality proposed site, extending the size of unit household for newly married couples, expanding the local amenities positively and strengthening the community facilities specialized for youngsters are necessary,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rental housing among Permanent housing, National rental housing and Happy housing is required. 행복주택은 철도부지 등 미사용 도심내 국공유지를 활용하여 장기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직주근접, 젊은계층, 지역활성화는 행복주택의 핵심 3대 키워드이며, 도심 외곽 택지개발지구에 건설되었던 기존 장기공공임대주택인 영구,국민임대주택과의 차별화 요소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13년-'16년 사업승인된 행복주택 148단지에 대해 후보지 토지용도 및 계획 밀도, 단위세대 규모, 지역편의시설 계획현황을 실증분석하고, 영구,국민임대주택과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행복주택의 후보지는 도심내 공공청상부지, 터미널부지, 시장부지 등 다양한 용도에 입지되었으며, 도심 가용택지의 한계로 기 개발된 택지개발지구에도 50% 넘게 입지되었다. 평균 세대수는 600세대, 주거지역 평균용적률은 166%로 영구,국민임대잔지에 비해 세대수는 209세대 적으나 용적률은 20%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작은 대지면적에 고밀 계획을 의미하며, 도심내 입지하는 행복주택의 특징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단위세대는 1,2인 가구 위주로 계획되어 16m2, 21m2, 26m2, 36m2 4개 타입이 전체의 86%를 차지한다. 지역활성화를 위해 계획되는 지역편의시설은 사회적기업, 국공립어린이집, 공동육아나눔터가 전체 11개 시설 중 52%를 차지해 지역 일자리 창출과 보육에 대한 다앻 지역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다. 도심내 주거빈곤에 시달리는 젊은계층에 제공되는 행복주택은 성공적 임대주택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를 보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양질의 후보지 확충, 신혼부부를 위한 다누이세대 규모 확대, 지역편의시설의 적극적 확충과 젊은 계층에 특화된 커뮤니티시설의 강화가 요구되며, 나아가서는 영구임대,국민임대,행복주택간 임대주택의 통합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서울시 행복주택을 중심으로-

        권창호,이혜경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24 부동산 도시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유형 중에서 행복주택을 중심으로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방법은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행복주택,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대중교통 편의성, 생활편의시설⋅공공시설 접근성 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경제적 특성인 임차보증금 또는 월임차료 등의 부담정도가 낮을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행복주택 거주자는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주거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내부상태(주택성능, 마감상태, 설비상태 등) 및 주택외부상태(휴게/녹지공간, 주차시설/컴뮤니티시설, 장애인/고령자 배려시설 등)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재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sidents’ housing satisfa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types in Seoul, focusing on Happy Housing,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e analysis methods wer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find that the more satisfied the residents of Happy Housing are with their living environment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amenities, access to public facilities, etc.), the lower the burden of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security deposit or monthly rent, the higher their housing satisfaction. Residents of Happy Housing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housing when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as smaller and the duration of residency was longer. However,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house (housing performance, interior quality, facility condition, etc.) and external condition (recreation/green space, parking/community facilities, facilities for the disabled/elderly, etc.)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we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of public rental housing.

      • 거주자가 느끼는 주택과 동네의 행복 요인

        최병숙(Choi, Byungsook),박정아(Park, Jung-A),이진(Lee, Jin)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2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subjective happiness elements on their houses and community and to classify them. 25 residents was selected by considering 2multi-family houses, detached houses, community houses, and studio type houses, and they answered about open interview questions that what or why do they feel happiness at their house and community. Interview data on their hous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nd classified 20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Those factors are ‘space size’. ‘space structure’, ‘openness’, ‘privacy’, ‘security & privacy’, ‘function’, ‘soundproofing’, ‘insulation’, ‘materials · colors’, ‘nature · landscape’, ‘yard · garden · swimming pool’, ‘affection · time · attachment’, ‘comfort’, ‘building or decoration the house’, ‘daily routine · hobby · work’, ‘religion’, ‘house name · value · dream’, ‘pastime or play’, ‘neighbor & community’, ‘joint childcare’, ‘family communication’. The daily routine · hobby · work factor in the house made many residents to be happy. Also, other data on their community were classified 10 factors to happiness;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leisure · walk’, ‘nature · landscape’, ‘affection’, ‘quietness’, ‘religious facilities’, ‘safety&security’, ‘transportation convenience & accessibility’, ‘neighbor & community’, and ‘low prices’. The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and leisure · walk in the community made residents to be happy. In conclusion, nature · landscape, affection, security, neighbor & community are common happiness factors in houses and community environments in these residents.

      • KCI등재

        공공임대 행복주택이 인접 주택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재훈,박정훈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0 行政論叢 Vol.58 No.3

        Happy Housing is a type of Public Rental Housing characterized by constructing low-priced houses using cheap land owned by the public in the city center and supplied mainly to younger people such as college students, young adults, and newlyweds. However, Happy Housing projects are often delayed, scaled down, or canceled due to the strong resistance and collective action by nearby residents. The main cause of this phenomenon is unclear recognition and concerns about a possible drop in the sale price of adjacent hous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ducted a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to identify empirically the effect of Happy Housing occupancy on sale price using houses nearby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houses not nearby as a comparison group. The aggregate data results show that Happy Housing ha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ale price of nearby houses, contrary to resident concerns of a price drop. The results analyzed for each Happy Housing complex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for the Chun Wang 7 complex whereas those for the Gang Il 11 complex were not significant. Additiona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s similar results. All of the resul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Happy Housing has a positive, or at least neutral, effect on the sale price of nearby houses.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is analysis. 공공임대 행복주택은 도심 내 공공이 보유한 저렴한 토지를 활용하여 주택을 건설하고 대학생, 청년 및 신혼부부 등 주로 젊은 계층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정책이다. 하지만 행복주택은 대상지 인근 주민들의 거센 반발과 집단행동으로 인해 사업이 지연·축소되거나 일부는 취소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공공임대주택 정책 집행과정에서 최대 난관으로 지적되고 있는 이러한 현상의 주요원인으로 인접한 주택의 가격하락에 대한 지역주민의 막연한 우려 및 님비(NIMBY) 현상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행복주택이 인접한 주택의 매매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대상 행복주택 단지에 인접한 주택을 실험집단으로 인접하지 않은 주택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대상 행복주택 단지의 입주 전과 후의 매매가격 변화를 확인하는 이중차분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합 자료를 활용한 연구결과 행복주택의 입주는 인접한 주택의 가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주택 단지별 분석에서는 천왕 7단지의 경우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강일 11단지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분석한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행복주택이 인접주택의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적어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주택이 실제 입주이후 인접 주택의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연구 결과로 추정된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행복주택 성과지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김지현(Ji-Hyun Kim),강수진(Su-Jin Kang) 한국주택학회 2020 주택연구 Vol.28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Happy Housing Project has properly evaluated whether the project meets the policy goal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evaluate current performance indicators and identify problems when carrying out the project, this study has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ccupant recruitment performance indicator is a quantitative indicator showing the supply of Happy Housing,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ly target is determined without reflecting on-site monitoring results. Als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needs of policy targets were not properly reflected. Therefore, the on-site monitoring results will be feed-backed on the annual supply plan. It proposed to add a competitive rate for subscription and occupancy rates. Second, housing satisfaction is an appropriate indicator showing the degree of tenant s improvement in housing welfare, but there is a reliability problem of the evidence and the output.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develop an inspection tool that can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residents of happy housing. Third, housing cost reduction rate is not considered to be an appropriate indicator when considering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rent for happy housing. In addition, it proposed an increase in the financing fund and a review of diversification of criteria for selecting occupants so that happy housing that meets local demand can be supplied and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의 주요 사업인 행복주택사업의 성과지표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표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FGI(Focus Group Interview)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와 정책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주자 모집실적은 행복주택 공급량을 보여주는 성과지표이다. 그런데 현장 상황이 적절하게 피드백 되지 않은 채 과도한 공급목표량이 설정되는 경향이 있다. 기존 LH가 주도하는 대규모 공급보다는 지자체에서 지역 토지시장과 임대수요를 고려하여 필요한 곳에 필요한 수량만을 공급하는 스마트 전략이 요구되는 바, 현재 물량 중심의 입주자 모집실적 지표와 함께 지역의 수요와 공급계층의 수요를 고려한 청약경쟁률과 입주율을 성과지표로 함께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질적 평가지표인 입주자 만족도에 대해 산출 근거가 공개되지 않아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향후 행복주택 입주자 전용 만족도 검사도구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행복주택사업이 청년층의 주거복지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질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행복주택 임대료 결정과정과 사업특성을 고려할 때 주거비 절감률은 적절한 성과지표가 아니라고 판단된다. 이에 임시적으로 정책대상 계층의 임대료 지불능력을 고려하여 임대보증금 이자지원 집행률을 성과지표로 고려할 것을 제안하나 추후 적절한 주거의 질 향상과 주거비 부담저감의 상충적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지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 지역적 수요에 맞는 행복주택이 지자체에 의하여 공급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융자기금의 증액과 입주자 선정기준의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공공임대주택의 입지결정에 따른 개발방향의 변화 및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행복주택의 도입을 중심으로 -

        남영우,김준연 한국국토정보공사 2013 지적과 국토정보 Vol.43 No.2

        Public rental housing began to be supplied as part of the residential welfare policy in Korea in the 1980s. But the percentage of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accounted for 6% of total housing with 2010 as the basis year, which was greatly at the low level compared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the spatial-structure characteristic of the location of rental housing thus far supplied and its improvement scheme. This study presented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supplying existing rental housing such as funding for construction, the social exclusion of occupants, changing housing demand and the like. And it was found that these problem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location of the area in which rental housing was supplied, spatial design and the like. Analysis showed that existing method has a limit for resolving the problems presented earlier. The happy housing recently announced by government attempts to resolve the problem through a new method of supplying rental housing through using railroad land and the like.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the characteristic of happy housing and the improvement scheme for making the policy successful.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주거복지정책의 일환으로 공공임대주택이 공급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2010년을 기준으로 전체 주택 중 장기공공임대주택의 비중은 6%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서 크게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공급되어온 임대주택의 입지에 대한 공간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임대주택의 공급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으로 건설을 위한 자금 조달과 입주자들의 사회적 배제, 변화하는 주택수요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들은 임대주택이 공급되는 지역의 입지와 공간 설계 등에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공급방식은 앞서 제시한 문제들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정부에서 발표한 행복주택은 철도부지 등을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공급을 통해서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행복주택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공적인 정책이 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권오규,강은택 대한부동산학회 2017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5 No.3

        청년층의 높은 주거비용과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행복주택공급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논의에서는 행복주택의 필요성, 행복주택 공급의 경제성 개선, 행복주택 공급과정에서의 주민갈등 해소방안 등에 관한 논의가 주를 이루어 왔다. 이들 논의에서는 청년층의 지역에 대한인식, 정책인지도 등의 요인이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천시를 사례로 중소도시에서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행복주택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지역의 주거환경 및 친밀도 등의 변수는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년층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행복주택의 최우선 과제가 단순한 공급우선이 아닌 청년층의 주거환경 만족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Happy-House is being provided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young people. Previous literature of Happy-House is focused on politic necessity, to improving economical condition, resolving conflicts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major demand such Universty students` decision of moving into the Happy-House. This paper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udents` Happy-House Choice, case study of gimcheon. The percep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region has a positive efect, but the recognition of the polic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crease in Supply is an important issue,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ferred by major demand such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