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미술학교 판화집에 투영된 1980년대 전반 광주시민의 정서

        배종민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2 No.-

        This paper ruminates on the Gwangju citizens’ sentiment in the early 1980s, after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through the works of engravings by Gwangju Community Art School. Under any political oppression, people usually speak out the prohibited words taking the shape of cultural reproduction. In the case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it is found the typical cases of speaking out the prohibited words taking the shape of cultural reproduction by works of the Gwangju Community Art School. It can be proved in two aspect. For the first aspect, from 1983 to 1986 in Gwangju, the engravings were made by Gwangju citizens. Secondly, the motif of engravings were the stark life and the sentiment of Gwangju citizens after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Therefore, each and every piece of works of engravings by Gwangju Community Art School represent the memory-struggle of the bloody history,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It was prohibited for Gwangju citizens to talk about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in the early 1980s. Therefore, Gwangju citizens embodied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indirectly through resignation and anger of peasants, tremendous labor of laborers, and alienation and scar of petit bourgeois. Citizens, undergone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sympathized with the poor living of peasant, the poverty for generations, the sister's sacrifice for family. Furthermore, a day laborer's severe all-night works and workers’ suffering for living held up a true mirror to people shouldering hardship of the time. Citizens associated the scar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with the neglected and deficient lives of hillside slums, beggars, burden carriers and madmen. Even though it was impossible to talk about ‘Gwangju’ directly, it was enabled for people to memorize and to accept 'the Day' by the engravings, created in a way of cultural reproduction. Thus, the role of Civic Engravings and the power of art enable people to look into the poverty and the alienation of out society. Since 1985, citizens began to express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without cautiousness. The very scenes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such as the scene of those helmeted army and policemen' cruel slaughtering and the scene of citizens’ resistance, were shown in the engravings. The harmer’s brutality was prosecuted and the victim’s pain was disclosed. It proved that how harshly Gwangju was sacrificed and how the truth was destroyed by violence of government. The conflict between Government official memory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and Civil counter-memory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was getting intensified, and the situation stared to reverse. Finally, Gwangju has been become the touchstone of estimating our social conscience and become the mother's womb gestating a pro-democracy movement. Gwangju has been turn into the champion of democracy from a residence of the existing defeat and frustration, isolation and silence, and wounds and scars. With the consequences of it, Gwangju have gotten the burden of leading history instead of being needed comfort. That is,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became a democracy marching song, not a lament any more. 본 논문은 광주시민미술학교의 판화작품을 통해서 5·18항쟁이후 80년대 전반 광주시민의 정서를 반추한 것이다. 정치적 억압상황에서는 문화적 재현의 형태를 빌어 금지된 언어가 발설되기 때문이다. 5·18항쟁의 경우 광주시민미술학교가 전형적인 사례를 제공한다. 1983년부터 1986년까지 광주에서, 광주시민에 의해 판화가 제작된 점과, 작품의 주제가 5·18항쟁 이후 광주시민의 삶과 정서를 가감 없이 형상화했다는 측면에서 모두 그러하다. 따라서 시민판화집에 수록된 작품 한 점 한 점은 모두 5·18항쟁의 폐허 속에서 상처입고 피 흘렸던 역사에 대한 기억투쟁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1980년대 초반에 시민들은 작품에 5·18항쟁을 직접 말할 수 없었다. 그 대신 농민의 체념과 분노, 노동자의 전쟁 같은 노동, 도시 소시민의 소외와 傷痕을 통해 5·18항쟁을 에둘러 형상화하였다. 죽도록 일을 해도 병든 몸에 쓸 약값도 아껴야하는 농민, 자식까지 대물림되는 빈곤, 가족의 생계를 위해 도시로 떠나는 누이의 이야기는 5·18항쟁을 겪은 시민들에게 동병상련의 아픔으로 다가왔다. 하루 벌어 하루 먹는 날품팔이와 전쟁 같은 철야작업, 생존을 위해 이를 악무는 노동자의 모습에서 시대의 고난을 짊어진 민중의 모습을 발견했다. 달동네와 걸인, 지게꾼, 광인의 소외되고 결핍된 도시민의 일상에서 5·18항쟁의 상흔을 연상하기도 하였다. ‘광주’를 직접 말할 수 없었지만 판화라는 문화적 재현의 방식을 통해 이웃의 상처를 형상화함으로써 ‘그 날’은 기억되고 수용될 수 있었다. 이렇듯 우리 사회의 소외와 빈곤, 결핍과 상처를 외면하지 않고 응시하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시민판화의 시대적 역할이자 예술의 힘이었다. 1985년부터 시민들은 5·18항쟁을 직접 표현하기 시작했다. 작품에 항쟁의 현장이 전면에 등장했다. 진압군의 잔혹한 살육장면과 시민군의 항전 장면 등이 판화로 새겨졌다. 가해자가 고발되고 희생자의 고통이 폭로되었다. 그동안 얼마나 잔인하게 광주가 희생되었으며, 진실이 군홧발에 짓밟혔는지 확연해지기 시작했다. 정부의 공식기억과 시민의 대항기억의 충돌이 격화되고, 전세는 역전되어갔다. 바야흐로 광주는 우리 사회의 양심을 가늠하는 시금석이자 민주화 운동의 모태로 인상되었다. 기존의 패배와 좌절, 고립과 침묵, 상처와 고통의 처소였던 광주는 어느덧 戰士로 바뀌어갔다. 예전의 위로받아야 할 존재에서 역사를 이끌어갈 짐을 지게 되었다. 5·18항쟁은 哀歌에서 민주화의 進軍歌가 되었다.

      • KCI등재

        5ㆍ18 민중항쟁과 김대중

        최영태 호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7 No.-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c Uprising was first started by students in front of the gate of Chonnam University on the morning of May 18th in 1980. The students' demonstration against the May 17th coup d'état of the New Military Power developed into the democratic uprising by the citizens' participation. The citizens' participation occurred against the coup d'état of the New Military Power, and against the indiscriminate murder and brutal suppression of soldiers. Kim Dae Jung was suppressed severely by Park Jung Hee dictatorship since the president election of 1971. Likewise, the province of Chonnam, including Gwangju city, were discriminated by Park Jung Hee regime. and the province of Chonnam had lagged far behind the other areas in industry. Kim Dae Jung got great support from the progressive intellectuals and masses since 1970s. But Kim Dae Jung was arrested by the New Military Power on May 17, 1980. The New Military Power tried him to put to death on suspicion of agitation of the Gwangju Uprising. Kim dae Jung was one of the greatest victims of the Gwangju Uprising. The Gwangju citizens became angry at the coup d'état of the New Military Power, at the indiscriminate murder and brutal suppression of soldiers toward students, and at the arrest of Kim Dae Jung. Kim Dae Jung was not in Gwangju during the Gwangju Uprising. He didn't know the Gwangju Uprising until July 10. Nevertheless, most of Gwangju citizens thought of him during the Gwangju Uprising, and they shouted slogan: "Release Kim Dae Jung!" Consequently, Kim Dae Jung was with Gwangju citizens during the Gwangju Uprising. He was not the direct background and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Gwangju Uprising. However, he was a very important element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wangju Uprising. After Gwangju Uprising, Honam masses and Kim Dae Jung tried to find out the truth of the Gwangju Uprising, to retrieve the honor of the victims, and to punish Jun Doo Hwan and his followers. In conclusion, Kim Dae Jung had a special connection with the Gwangju Uprising. 1980년 5월 18일 전남대생들의 시위는 1980년 봄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했다. 학생들의 시위는 민주정부 수립을 좌절시킨 신군부의 5ㆍ17 계엄확대조치와 계엄군의 야만적 진압행위로 인해 시민들의 참여를 촉발시켰고, 마침내 항쟁으로 발전했다. 김대중은 5ㆍ18현장에 없었다. 그와 5ㆍ18 현장을 연결해주는 사람도 없었다. 당연히 김대중은 항쟁의 주체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쟁에 참여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시위 현장에서 ‘김대중 석방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김대중은 사실상 학생ㆍ시민들과 함께 있었다. 김대중과 광주시민들의 결합은 지역적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호남지역은 박정희 정권의 인사 및 경제개발정책에서 심한 차별을 받았다. 박정희 독재정부가 사라진 1980년 호남인들은 민주정부 수립을 위한 절호의 기회가 왔다고 생각했다. 호남인들은 자연스럽게 민주화운동 지도자이자 동향인인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에 큰 기대를 걸었다. 그런데 5ㆍ17쿠데타로 인해 김대중이 체포되었고, 민주정부 수립도 무산되었다. 호남인들의 실망과 분노가 클 수밖에 없었다. 5ㆍ18항쟁이 김대중의 사주에 의해 발생했다는 신군부의 주장은 일고의 가치가 없는 완전히 조작된 것이다. 다른 한편 신군부가 자신을 체포한 것이 5ㆍ18항쟁 발발의 가장 큰 요인과 배경이라는 김대중의 주장 역시 과장된 면이 없지 않다. 김대중은 항쟁의 전개과정에서 항쟁을 증폭시킨 주요한 변수 중 하나였다고 정의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표현일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5,18 민중항쟁과 김대중

        최영태 ( Young Tae Cho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7 No.-

        1980년 5월 18일 전남대생들의 시위는 1980년 봄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했다. 학생들의 시위는 민주정부 수립을 좌절시킨 신군부의 5·17 계엄확대조치와 계엄군의 야만적 진압행위로 인해 시민들의 참여를 촉발시켰고, 마침내 항쟁으로 발전했다. 김대중은 5·18현장에 없었다. 그와 5·18 현장을 연결해주는 사람도 없었다. 당연히 김대중은 항쟁의 주체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쟁에 참여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시위 현장에서 ‘김대중 석방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김대중은 사실상 학생·시민들과 함께 있었다. 김대중과 광주시민들의 결합은 지역적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호남지역은 박정희 정권의 인사 및 경제개발정책에서 심한 차별을 받았다. 박정희 독재정부가 사라진 1980년 호남인들은 민주정부 수립을 위한 절호의 기회가 왔다고 생각했다. 호남인들은 자연스럽게 민주화운동 지도자이자 동향인인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에 큰 기대를 걸었다. 그런데 5·17쿠데타로 인해 김대중이 체포되었고, 민주정부 수립도 무산되었다. 호남인들의 실망과 분노가 클 수밖에 없었다. 5·18항쟁이 김대중의 사주에 의해 발생했다는 신군부의 주장은 일고의 가치가 없는 완전히 조작된 것이다. 다른 한편 신군부가 자신을 체포한 것이 5·18항쟁 발발의 가장 큰 요인과 배경이라는 김대중의 주장 역시 과장된 면이 없지 않다. 김대중은 항쟁의 전개과정에서 항쟁을 증폭시킨 주요한 변수 중 하나였다고 정의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표현일 것이다.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c Uprising was first started by students in front of the gate of Chonnam University on the morning of May 18th in 1980. The students` demonstration against the May 17th coup d``etat of the New Military Power developed into the democratic uprising by the citizens` participation. The citizens` participation occurred against the coup d``etat of the New Military Power, and against the indiscriminate murder and brutal suppression of soldiers. Kim Dae Jung was suppressed severely by Park Jung Hee dictatorship since the president election of 1971. Likewise, the province of Chonnam, including Gwangju city, were discriminated by Park Jung Hee regime. and the province of Chonnam had lagged far behind the other areas in industry. Kim Dae Jung got great support from the progressive intellectuals and masses since 1970s. But Kim Dae Jung was arrested by the New Military Power on May 17, 1980. The New Military Power tried him to put to death on suspicion of agitation of the Gwangju Uprising. Kim dae Jung was one of the greatest victims of the Gwangju Uprising. The Gwangju citizens became angry at the coup d`etat of the New Military Power, at the indiscriminate murder and brutal suppression of soldiers toward students, and at the arrest of Kim Dae Jung. Kim Dae Jung was not in Gwangju during the Gwangju Uprising. He didn``t know the Gwangju Uprising until July 10. Nevertheless, most of Gwangju citizens thought of him during the Gwangju Uprising, and they shouted slogan: "Release Kim Dae Jung!" Consequently, Kim Dae Jung was with Gwangju citizens during the Gwangju Uprising. He was not the direct background and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Gwangju Uprising. However, he was a very important element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wangju Uprising. After Gwangju Uprising, Honam masses and Kim Dae Jung tried to find out the truth of the Gwangju Uprising, to retrieve the honor of the victims, and to punish Jun Doo Hwan and his followers. In conclusion, Kim Dae Jung had a special connection with the Gwangju Uprising.

      • KCI등재

        광주5월항쟁 시기 ‘광주’의 표상(表象)과 ‘광주민주시민’의 형성

        유경남 호남사학회 2009 역사학연구 Vol.35 No.-

        1980년 5월의 광주항쟁은 이후 남한 역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광주항쟁은 1987년 6월 항쟁 및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 영향을 주었고, 이에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는 광주항쟁의 지역성에 초점을 맞추어 항쟁의 원인과 배경,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지만, 광주시민이 항쟁에 참여하게 되는 의식과 동기에 대한 부분은 미흡했다. 이에 본고는 광주항쟁시기 신문, 유인물 등을 구성하는 ‘텍스트(text)’에 주목하였다. 특히 항쟁 당시 유인물과 같은 ‘대안언론’은 지역민 사이에서 폭 넓게 공유되었으며, 자신들의 행동과 명분, 그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기 때문에 항쟁시기 지역민의 동향을 잘 보여주었다. 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 계엄군의 폭력으로 시작되었고, 대학생을 포함한 지역민 전체로 확산되었다. 여기에는 계엄군과 지역민의 대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historical event)’이 상황을 격화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지역민은 공공언론의 사실(事實)보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사실(事實)’인 유언비어를 더 믿었으며, 항쟁의 확산에 촉매제 역할을 했다. 지역민이 유언비어를 믿었던 이유는 유언비어가 전하는 내용이 당시 지역민의 정서를 잘 대변해 주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유언비어와 유인물은 광주를 ‘가족이 피 흘리고 죽어가는 죽음의 공간’으로 재현하였고, 계엄군과 정부는 광주를 ‘간첩과 폭도가 활보하는 폭력의 공간’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광주’지역의 표상을 통해 계엄군과 정부는 항쟁을 ‘광주만의 일’로 폄하‧한정하려 했고, 지역민들은 항쟁의 상황을 알리고자 노력했다. 항쟁이 확산‧전개되면서 ‘광주’를 표상하는 내용도 변화했다. 지역을 ‘폭력의 공간’이라고 표상했던 계엄군과 정부는 광주를 ‘난동으로 인한 피해의 공간’으로 형상화했는데, 이것은 ‘피해를 구원한다’는 진압의 명분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 때문이었다. 지역민도 궐기대회를 통해 광주를 ‘죽음의 공간’에서 ‘불의에 대해 정의감으로 항거하는 저항의 공간’으로 형상화했는데, 이것은 광주항쟁시기 형성된 지역적 분위기의 결과물이었다. 이러한 광주항쟁의 상황 속에서 지역민은 자신들에 대한 다양한 호명방식들 중에서 궐기대회와 같은 담론 형성과정을 통해 ‘광주민주시민’라는 항쟁의 주체로 받아들였고, 이를 “광주시민”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지역민의 연설을 분석해 보면, 광주시민에도 차이가 있었다. 다시 말해 수습대책위원회가 지칭하는 시민은 계엄군과 정부가 지칭하는 시민과 비슷한 ‘국가에 순응하는 시민’이었고, 투쟁‧선전가들의 시민은 현 정부를 부인하고 계엄군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민주시민’이었다. 이와 다르게 지역민은 자신과 ‘국가’와의 관계를 인정하면서도, 지역의 역사적 경험을 근거로 불의에 항거하는 ‘정치적 주체인 광주시민’으로 호명하기도 했다. 다시 말해 광주항쟁 시기 지역민들은 담론의 형성과정 즉, ‘광주’지역에 대한 표상(表象)들의 경쟁 속에서 광주시민을 지역적 주체이자 정치적 항거의 주체인 ‘광주민주시민’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The Gwangju Uprising in May 1980 has influenced the history of South Korea ever since and plenty of research has been made about the event. The studies made great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the causes,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uprising by focusing on its locality, but fell short of inquiring into the thoughts and motives with which Gwangju citizens took part in the uprising. According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text' that made up the newspapers and printed matter in the days of the Gwangju Uprising. In particular, 'alternative media' like printed matter at the time were widely read by the local people and talked about the actions, causes and meanings of their struggle. The media indicated well what the local people did during the uprising.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is study made an analysis into the 'representation' shown in the text of the media during the uprising. The Gwangju Uprising began to spread among all the local people including college students because of the violence perpetrated by the martial law soldiers. Sometimes, ‘historical event’ that took place in the course of demonstrations and subsequent suppressions led to historical ones. Additionally, the local people trusted in the 'rumors of verbal communication' more than the facts propagated by the public media because the rumors represented how the local people were feeling in the tumultuous situations.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represented 'Gwangju' as a violent region where spies and mobsters rampaged while the rumors and printed matter shared by the local people represented it as a region of death where their families were bleeding and dying. By depicting the images of 'Gwangju'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ried to downgrade the struggle and reduce it to an incident in Gwangju; and the local people made their endeavors to communicate and spread it by making the situations known. Besides, the expansion and widening of the uprising caused the images of 'Gwagnju' to transform.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which depicted it as a region of violence, began to symbolize it 'as a region victimized by violent actions'. This was to establish the cause of 'save the city from damage' before they reoccupied it. In the meantime, the local people changed the image of the city from 'a region of death' to 'a region of resistance against injustice', which was the very end result of the Gwagnju Uprising. Out of many names given to them by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he settlement committee and the propaganda groups, the local people chose to call themselves "the Gwangju citizens" while they agreed that the main players of the struggle were the Gwangju democratic citizens. But an analysis of the speeches delivered by the local people showed they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Gwangju citizens." In other words, whereas the citizens called by the settlement committee had the same meaning as those called by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he citizens addressed by the struggling propagandists meant the democratic citizens who negated the current government and actively resisted against the military authority. The local people, taking a different perspective, called them as politically active Gwangju citizens who had been fighting against injustice taking into account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while they still saw some connections between themselves and the nation. In other words, the local people at the time began to perceive themselves as both the local agency and 'the Gwangju democratic citizens' of political resistant agency among the competitive representations about them.

      • KCI등재

        오월 기억의 연극적 재현과 각색 ― 오월극 <애꾸눈 광대>를 중심으로 ―

        김지연 ( Kim Ji-ye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호남학 Vol.0 No.65

        오월극 <애꾸눈 광대>는 5·18의 희생자 이지현이 직접 무대에 올라 관객들을 만나 자신의 겪은 오월과 오월 이후 진실규명을 위한 힘겨웠던 삶을 이야기한다. 이 연극은 2010년 시작되었으며, 특히 광주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광주와 오월극을 대표하는 연극으로 상설공연 되었다. <애꾸눈 광대>는 현재까지 텍스트가 확정되지 않은 채 지속적인 각색이 이뤄졌고, 각색 과정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바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애꾸눈 광대>의 지난 각색 과정을 꼼꼼하게 기록함으로써 5·18이 재연/재현되는 양상과 개작 과정에서 중시되는 점이 어떤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애꾸눈 광대>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1기, 2016년과 2017년은 2기, 2018년은 3기로 시기 구분이 가능하다. 1기에 해당되는 <애꾸눈 광대>는 주연배우이자 극의 주인공 이지현이 선보이는 1인극적 퍼포먼스가 중심이 되었고, 극의 완성도와 연기의 미흡성이 지적되곤 하였다. 2기에 해당되는 <어머님 전상서>는 기존 작품을 전면 각색한 결과물로, 이 시기부터는 퍼포먼스 대신 서사가 중심이 된다. 화자는 여전히 광대이지만 서사 속 인물들이 무대에 오르고 광대의 어머니가 연극의 중심에 놓이게 된다. 관객들은 어머니에게 투영된 광대를 보게 됨으로써 광대라는 캐릭터에 좀 더 호감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3기에 해당되는 <어머니의 노래>에서는 서사의 중심에 있었던 어머니가 회상의 주체가 된다. 광대로 표상되는 5·18 희생자의 고통스러웠던 삶을 감내하고 포용해 온 어머니의 삶을 무대로 재현하려 한 것이다. 3기의 <애꾸눈 광대>에서는 작품의 복잡한 시공간을 정리함으로써 관객들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역사성을 더함으로써 이 연극이 나아갈 목적과 방향성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The Play ‘The Clown with one eye’ as Gwangju uprising theatres, plays a hard life of Lee Ji-hyun, victims of Gwangju uprising in 1980s. He had been playing the story of his life in which he came to the stage directly to meet the audience and lived to struggle to find out the truth of his Gwangju uprising. This Play began in 2010 and was supported by the Gwangju Cultural Foundation from 2013 to 2018, and became a play representing the Gwangju and Gwangju uprising theatres and was a permanent performance. This drama, ‘The Clown with one eye’ was a continuous adaptation, but there was no specific record of the process and had not been confirmed until now. The play is divided into three seasons, the first was from 2013 to 2015, thesecond was from 2016 to 2017, the last 2018. The first stage of the play, ‘The Clown with one eye’, was played performance of one person by Lee Ji-hyun(named Lee Se-sang in the play) as the leading actor and main character and was often pointed to the lack of acting and perfection. The second season of the play, ‘A letter to mother’, was the result of adaptation of the previous work, and narrative became more important than performance. The narrator was still a clown, but the characters in narrative came to the stage, and the mother of the clown wa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play. The audience could see the clown projected to the mother, so could feel the dramatic understanding more about character of clown with one eye. In the last season of the play, ‘The Song of Mother’, the mother who was at the center of the narrative became the subject of the recollection. This drama set the stage for the life of a mother who has embraced the painful life of victims of the Gwangju uprising. This play summarized the complex space and time of the previous work, and the audience could understand the play better. The third stage of the play of The Clown with one eye, reinforce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Gwangju Uprising, clearly showed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Gwangju uprising theatres.

      • KCI등재후보

        부마항쟁발발의 환경적 요인과 시민의식 : 부마항쟁과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김주삼(Kim, Joo-Sam) 한국국회학회 2021 한국과 세계 Vol.3 No.2

        이 논문은 1979년 10월에 발발한 부마항쟁의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부마항쟁과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한국의 시민의식을 분석해 내는 데 있다. 부마항쟁은 1979년 10월 16일-20일 간 단기적으로 발생한 시민항쟁이다. 부마항쟁은 당시 박정희 유신체제가 오일쇼크로 국내 물가상승 경제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YH사건관련 당시 신민당 김영삼 총재를 의원직에서 제명한 사건과 연관된다. 유신체제 독재정권의 횡포가 계속되자 부산대 학생들은 반정부 학내시위를 시작하였고 이후 경남 마산지역의 대학가로 확산되었다. 정부당국은 부산지역에 비상계엄령 선포와 경남지역에 위수령을 내려 시위를 강경진압하였다. 부마항쟁이 소강상태로 전환되는 도중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이 발생하여 부마항쟁은 조기에 막을 내리고 박정희 유신체제 종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역사적 시민항쟁으로 남게 되었다.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은 부마항쟁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는 무도한 신군부 세력에 맞서 싸운 한국의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5.18광주민주화운동은 시민들이 부마항쟁으로 시작된 독재권력에 항거한 민주화운동이라는 점에서 시기적으로 유사성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내용면에서 5.18광주민주화운동은 신군부 세력에 대한 시민들의 항쟁과 시민군 결성, 민주화운동 기간, 희생자 수, 진압이후 진상규명 과정에 대해서는 또다른 관점이 존재한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과 민족주의, 6.25전쟁, 반공교육과 민주화운동, 민주시민교육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안고 있다. 부마항쟁과 5.18광주민주화운동은 1987년 6월 항쟁으로 계승돼 한국민주주의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매우 큰 의의를 갖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se the Buma Democratic Uprising’s environmental factors that occurred in October, 1979, the relations between the Buma Democratic Uprising and the Gwangju Uprising and Korean citizenship. The Buma Democratic Uprising was a short-term citizen movement that occurred between 16th and 20th of October, 1979. It was related to the incident that Kim Young-Sam, the president of New Democratic Party, was dismissed from membership of the Assembly relating to the YH incident under the economic instability of inflation due to oil shock during the Yushin Regime. As the dictatorship’s tyranny of the Yushin Regime continued, Busan University students began anti-government demonstration, which was expanded to universities in Gyeongnam and Masan. The government enforced martial law and invoked the Garrison Act to firmly control the demonstrations in Gyeongnam including Busan. As President Park Jeong-Hee was assassinated on October 26, 1979 while the Buma Uprising was coming to a lull, the uprising ended early and became a historic citizen movement that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termination of the Yushin Regime. It was understood that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on May.18 occurred in relation to the Buma Uprising and is categorized into a representative democratic movement against the cruel military power.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is similar to the Buma Uprising in that both of them resisted dictatorship. However, the Gwangju Uprising is different in that it was a citizen’s movement against military power and citizen soldiers were organized, and is also different in the period of the movement, the number of victims, and the process of truth ascertainment. Korea’s democracy contains a variety of components including independence movement and nationalism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War, anti-communist education, democratic movement and citizen education. The Buma Democratic Uprising and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they developed Korea’s democracy further as they were inherited to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 KCI등재

        광주항쟁의 시적 재현: ‘해방된 모성’의 구현과 ‘어머니 하느님

        장은영(eun-young Jang) 동남어문학회 2023 동남어문논집 Vol.1 No.55

        고정희의 시세계는 기독교적 인식과 여성주의, 1980년대 현실을 토대로 삼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광주항쟁이 있다. 광주항쟁에 대한 시적 재현을 보여준 8시집 『광주의 눈물비』는 여성신학의 영향을 받은 ‘어머니 하느님’을 형상화하며 ‘해방된 모성’을 구현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여성해방과 민중해방의 동시적 가능성을 시사했다. 1980년대 말 광주항쟁의 진실이 밝혀지지 못하자 고정희는 깊은 절망과 회의를 드러내는 한편 항쟁 당시 민중들의 저항을 재구성함으로써 민중운동이 근본적인 혁명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했다. 남성화된 민중 주체를 넘어서서 이중의 억압에 처한 민중이라 할 수 있는 여성들에게서 대안적 주체의 역량을 발견하고자 한 고정희는 먼저 ‘미친년’이란 시적 표상을 통해 남성중심적 체제에서 보편적 언어로 환원되지 않는 여성의 고통과 분노를 환기하며 새로운 언어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그리고 여기서 나아가 생각과 관습의 혁명적 전환을 시도하면서 항쟁에서의 죽음을 새로운 생명의 부활을 위한 예비적 사건으로 형상화했다. 『광주의 눈물비』에 재현된 항쟁은 민중의 고통과 죽음이 난무하는 가운데 여성 민중인 ‘어머니’가 해방의 주체로 등장하고, 생명의 근원인 ‘어머니 하느님’이 현현하는 부활의 장이다. 생명의 근원으로서 ‘어머니 하느님’이 살림의 세계, 사랑의 세계를 여는 창조자라면 고정희는 그러한 ‘어머니 하느님’의 영적 구현을 항쟁에 참여한 광주 여성들에게서 발견한 것이다. 고정희가 재현한 광주 여성들은 항쟁의 피해자나 순결한 희생자가 아니라 살아있는 자들을 먹이고 다친 이들을 보살필 뿐만 아니라 죽은 자들을 수습하며 생명의 공동체를 부활시킨 항쟁의 주체였다. 고정희는 현실적 비극과 절망을 극복하기 위해 광주항쟁을 살림의 땅, 부활의 땅으로 이행시키는 혁명의 계기로 삼고자 했다. 고정희의 오월시는 오늘날 대안적 체제로 회자되는 돌봄 공동체의 한 비전을 보여준다. ‘해방된 모성’의 의미는 비록 고정희 스스로에 의해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지만 광주항쟁에 대한 시적 재현을 통해 짐작해 볼 때, 서로의 생명을 지탱하는 연대와 사랑에 기초한 관계성을 원리로 삼는 창조적 힘이다. 고정희가 열망했던 새 세상은 광주 여성들의 참여로 가능했던 ‘십일간의 해방구’처럼 ‘해방된 모성’이 구현되는 자율적이고 상호호혜적인 세계였고, 그것은 오늘날 논의되는 돌봄의 공동체에 대한 이상과 맞닿아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poetic representation of the Gwangju Uprising focusing on Goh Jeong-Hee’s Poetry of May. Goh Jeong-Hee was influenced by Korean women's theology in the 1980s. Korean female theologians criticized the oppression of women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and raised the Mother God as the source of life. In the late 1980s, the reality faced by women was defined as the reality of killing and insisted on a great transition to life. She stressed that women should be the subject of the unification movement in order to overcome the national contradictions that suppress women. Of course, prior to Christian epistemology, there was a reality of the 1980s in Goh Jeong-Hee’s poetry and Gwangju was at the center of it. However, when the truth of the Gwangju Uprising was not revealed in the late 80s, Goh Jeong-Hee expressed deep despair and skepticism. And using Christian death and resurrection as motifs, the experience of despair was used as an opportunity to move toward a fundamental revolution. Goh Jeong-Hee hinted at the need for a new language by evoking the women’s pain and anger what are not reduced from a male-centered system to a universal language through a ‘Michineon’. And while attempting a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of thoughts and customs, she embodied death in the uprising as an event that c the birth of life. The Gwangju Uprising was an opportunity for mother to be called the subject of liberation and Mother God to be called the source of life, and was a turning point in transforming Gwangju into a land of livelihood and resurrection. This is because Goh Jeong-Hee found Mother God in women in Gwangju as the source of life. Women in Gwangju, who were considered victims of the uprising and innocent victims, were another main subject of the uprising that supported the community of life by saving the dead, caring for the injured, and feeding the living. Goh Jeong-Hee proved that the practice of living shown by women in Gwangju turned the time stained with violence and death into a 10-day liberation zone. And Goh Jeong-Hee‘s May poem shows a vision of a community of care that we talk about as an alternative society today. Although it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by Goh Jeong-Hee herself, it is inferred that liberated motherhood uses solidarity and relationship that support each other's lives as its principle. The new world created by female subjects makes us imagine a community of autonomous and mutually beneficial care based on liberated motherhood.

      • KCI등재

        포스트 메모리 세대와 5ㆍ18 -박솔뫼의 「그럼 무얼 부르지」와 한정현의 「쿄코와 쿄지」를 중심으로-

        조연정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연구 Vol.- No.74

        ㅤ한국 현대사의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인 5ㆍ18은 1980년대 이후 다양한 방식의 서사화 과정을 거쳤다. 왜곡되고 은폐된 사태의 실상을 알리기 위한 기억투쟁의 작업으로서 광주에서 일어난 일들이 극사실적으로 복원되기도 하였으며, 5ㆍ18에 대한 재현 (불)가능성과 윤리가 첨예하게 사유되기도 하였다. 2010년대의 초반에 쓰여진 일련의 광주 재현의 서사들은 당시 한국 사회의 정치적 퇴행에 대한 저항의 작업들로 의미화되기도 하는데, 이들 소설이 강조하는 정념은 죄책감에서 복수심 등으로 진화하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광주 이후 태어난 포스트 메모리 세대의 작가 박솔뫼와 한정현의 소설을 읽으며 광주 재현의 서사가 동시대성을 띠며 진화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ㅤ박솔뫼의 「그럼 무얼 부르지」는 광주를 다루는 서사 중 예외적으로 피흘리며 고통받는 피해자들이 전면에 등장하지 않은 소설이다. 이 소설이 반복적으로 그리는 것은 ‘광주’에 대해 무엇을 말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포스트 메모리 세대 ‘나’의 당혹감과 난감함이다. 이러한 난감함은 사건을 직접 체험하지 않은 세대로서 ‘광주’에 대해 함부로 말할 수 없다는 막연한 거리감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는 비당사자 세대가 지닌 최소한의 윤리로 이해되기도 한다. 한정현의 「쿄코와 쿄지」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광주의 피해자들이기도 하지만 고질적인 젠더 부정의, 견고한 성별 이분법,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신화의 피해자들이다. 결국 이 소설은 ‘오월 광주’가 예외적인 비극이기도 하지만 혐오와 차별의 인간 역사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비극적 사건을 통해 더욱 강화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 소설이 광주에서 희생당한 피해자들의 직접 증언이기보다는 이제는 더이상 ‘말할 수 없는’ 당사자들을 대신한 기록이라는 점도 중요하다. 「쿄코와 쿄지」는 ‘오월 광주’의 비극이 결코 화석화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당사자와 비당사자, 즉 광주를 직접 체험한 세대와 포스트 메모리 세대 사이의 간극을 흐린다. ㅤ박솔뫼와 한정현의 소설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광주를 구심점으로 하는 다종의 ‘연결’에 관한 것이다. 박솔뫼의 소설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어디서든 ‘광주’와 마주할 수 있다는 우연들을 통해 ‘광주 이후’ 세대에게 ‘오월 광주’를 어떻게 기억해야 할 것인지를 묻는다. 한정현의 소설은 광주 이전과 이후에도 여전히 끝나지 혐오와 배제의 인간 역사를 그려내면서 ‘오월 광주’를 지속적으로 현재화하는 일이 요청되는 이유를 설득적으로 제시한다. 포스트 메모리 세대가 그리는 광주 재현의 서사들은 적어도 ‘오월 광주’를 화석화하거나 신화화하는 일과는 거리가 멀다. ㅤThe Gwangju Uprising, one of the most tragic events in modern Korean history, has undergone various processes of narrative representation since the 1980s. As part of the struggle to reveal the truths of the distorted and concealed event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construct the occurrences in Gwangju with extreme realism.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ies and ethics of representing the events of May 18 have been seriously contemplated. A series of narratives reimagining Gwangju, written in the early 2010s, have been interpreted as acts of resistance against the political regression of Korean society during that period. These novels depict evolving emotions, ranging from guilt to a desire for vengeance. This essay aim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narratives of Gwangju representation have evolved with a sense of contemporaneity by examining the novels of post-memory generation authors, Park Sol-moe and Han Jeong-hyeon, who were born after the Gwangju Uprising. ㅤPark Sol-moe’s “What Shall We Say Then?”(「그럼 무얼 부르지」) is an exception among Gwangju-related narratives in that it does not directly depict victims who suffer and bleed. Instead, the novel repeatedly portrays the confusion and discomfort of the post-memory generation, particularly the protagonist’s uncertainty about what should be said regarding Gwangju. This discomfort can be explained by the vague sense of distance felt by a generation that did not directly experience the event, which may be understood as a minimal ethical stance for those not directly involved. ㅤHan Jeong-hyeon’s “Kyoko and Kyoji”(「쿄코와 쿄지」) features characters who are not only victims of Gwangju but also of systemic gender injustices, rigid gender binaries, and the myths of nationalism and statism. Ultimately, this novel emphasizes that while the Gwangju Uprising was an exceptional tragedy, the history of human hatred and discrimination continues and is often reinforced by such catastrophic events. The novel’s significance lies in its role as a record on behalf of those who are now “unable to speak,” rather than as a direct testimony of the Gwangju victims. “Kyoko and Kyoji” seeks to blur the divide between witnesses and non-witnesses, namely between those who directly experienced Gwangju and the post-memory generation, underscoring that the tragedy of May 1980 cannot be fossilized. ㅤA common theme in the novels of Park Sol-moe and Han Jeong-hyeon is the notion of diverse “connections” centered around Gwangju. Park’s novel raises questions about how the post-Gwangju generation should remember May 1980 by depicting the chance encounters and rediscovery of memories that occur in unexpected places. Han’s novel, by illustrating the ongoing history of human hatred and exclusion before and after Gwangju, persuasively argues for the continuous relevance of the Gwangju Uprising in contemporary discourse. Therefore, the narratives of Gwangju representation by the post-memory generation are distant from fossilizing or mythologizing the events of May 1980. Instead, these narratives evolve to consistently connect the tragedy with the present, urging society to consider how these historical events continue to shape both the present and the future.

      • KCI등재

        변혁의 리미널리티와 해방의 커뮤니타스: 광주항쟁에 대한 새로운 접근

        강인철(Kang, In-Cheo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神學展望 Vol.- No.205

        본 고는 방주네프가 통과 의례의 한 단계로 제시하고 빅터 터너가 더욱 발전시킨 리미널리티 개념 그리고 터너 부부가 제안하고 다듬은 커뮤니타스 개념을 활용하여 1980년 광주항쟁을 분석해 보려는 최초의 시도이다.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 개념은 광주항쟁의 일상 초월적, 변혁적인, 의례적 측면들을 보다 섬세하게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광주항쟁 당시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라고 부를 만한 현상들이 뚜렷하게 출현했다. 분리-전이-통합으로 구성되는 통과 의례 도식에서 분리 단계, 곧 구체제로부터의 분리 및 일상생활 초월은 리미널리티(전이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자발적인 ‘의례적 분리’가 아닌 외부의 강압에 의한 ‘군사적-정치적 분리’가 이루어졌다. 광주에서 등장한 리미널리티는 순응적 주체들을 주조함으로써 기존 질서를 강화하는 ‘질서의 리미널리티’가 아니라 기존 체제에 대한 저항을 촉진하고 새로운 유토피아적 비전을 만들어 내는 ‘변혁의 리미널리티’였다. 광주 리미널리티의 변혁성은 항쟁이 지향했던 목적과 가치, 곧 최소 목표와 최대 목표를 통해 잘 드러났다. 항쟁의 비타협적이고 비극적인 종결 방식도 광주 리미널리티의 변혁성을 보강해 주었다. 광주 커뮤니타스는 무엇보다 ‘해방의 커뮤니타스’였다. 더 구체적으로 광주 커뮤니타스는 1980년 5월 18일부터 21일까지는 ‘항쟁의 커뮤니타스’와 ‘재난의 커뮤니타스’ 측면이 지배적이었고, 5월 22일부터 27일까지는(항쟁-재난의 커뮤니타스가 지속되는 가운데) ‘자치의 커뮤니타스’와 ‘의례-연극의 커뮤니타스’가 새롭게 등장했다. 항쟁의 최후 단계에서는 ‘재난의 커뮤니타스’가 재차 출현했다. 광주 커뮤니타스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자기통치(자치)의 커뮤니타스’인데 여기에서 광주 커뮤니타스의 해방적 성격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한편 ‘광주 커뮤니타스 이후’, 곧 광주의 ‘실존적 커뮤니타스’를 ‘이데올로기적 커뮤니타스’와 ‘규범적 커뮤니타스’로 계승하는 문제는 여전히 실천적 과제로 남아 있다.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1980 Gwangju uprising by using the notion of liminality, first introduced by Arnold van Gennep as an intermediate stage of the rite of passage, and developed by Victor Turner, and the concept of communitas developed by Victor Turner and Edith Turner. The concepts of liminality and communitas helps to capture the transcendental, transformational, and ritual aspects of the Gwangju uprising more delicately. Actually, at the time of the Gwangju uprising, phenomena that could be called liminality and communitas appeared distinctly. The rite of passage consists of a three-step scheme of separationtransition-incorporation. Among these, the separation phase, separation from the structure and transcending daily life,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entering liminality. However, the separation in Gwangju in May 1980 was not a voluntary ‘ritual separation’ but a ‘military-political separation’ by external coercion. The liminality that emerged in Gwangju was not the ‘liminality of order’ that strengthened the existing order by producing compliant subjects, but the ‘liminality of transformation’ which promoted resistance to the existing system and created a new utopian vision. The transformative nature of the Gwangju Liminality was revealed through the purpose and value of resistance, that is, the minimum goals and maximum goals of the uprising. The uncompromising and tragic ending of the uprising has also reinforced the transformative character of the Gwangju Liminality. Gwangju Communitas was, above all, ‘communitas of liberation’. More specifically, in the Gwangju Communitas, from May 18 to 21, aspects of ‘communitas of resistance’ and ‘communitas of disaster’ were dominant and from May 22 to 27, aspects of ‘communitas of self-rule’ and ‘communitas of rituals and play’ were strong. At the end of the uprising, ‘communitas of disaster’ appeared again.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Gwangju Communitas is found in ‘communitas of self-rule’. It is here that the liberating character of the Gwangju Communitas is most evident.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of the ‘post-Gwangju Communitas’, that is, the problem of succeeding ‘existential communitas’ of Gwangju into an ‘ideological communitas’ and an ‘normative communitas’ remains a practical task.

      • KCI등재

        오월 광주공동체와 항쟁의 힘

        김기성 ( Kim Ki Su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2

        본 논문은 ‘5ㆍ18 광주민중항쟁’ 40돌을 맞이하여 ‘광주정신’의 전국화, 세계화 그리고 현재화를 꾀하려는, 즉 광주정신의 구체적 보편성을 창출하려는 기획을 철학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달리 말해 ‘오월정신’의 시원이라 할 수 있는 광주민중항쟁을 솟구치게 한 ‘힘’의 정체를 감성인문학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과제다. 이를 위해 나는 우선 5ㆍ18을 둘러싼 기존의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후 그 힘을 가시화한 ‘오월 광주공동체’의 성격을 재구성할 것이다. 그리고 오월 감성 ‘이후 감성(post-emotion)’, 즉 한 세대가 지난 후 역사적으로 변경된 상황 속에서 감성의 구조변동을 논의할 것이다. 광주정신의 구체적 보편성은 현재의 삶과 과거의 삶 사이의, 또는 지금-여기의 감성과 그때-거기의 감성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양자가 중첩적으로 구조화된 구조이자 구조화하는 구조를 파고드는 작업을 통해 새롭게 발견되고 창조하는 진행형일 때만 말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오월 광주공동체가 보여준 항쟁의 힘을 보존하고 전수할 수 있는 가능조건, 혹은 광주정신의 구체적 보편성이 가능한 조건이 무엇일 수 있는 지를 제안할 것이다. Marking the 40<sup>th</sup> anniversary of the May 18 Gwangju People’s Uprising, this paper philosophically reflects on the plan to create a concrete universality of ‘Gwangju Spirit’, namely the 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and presentation of Gwangju Spirit. In other words, the task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identity of ‘force’, which raised the Gwangju People’s Uprising, which is the origin of ‘May Spirit’, from the perspective of emotional humanities. To this end, I will first critically analyze the existing discourse surrounding May 18 and then re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y Gwangju Community, which has visualized its force. In addition, I will discuss the structural changes of emotions in a historically changed situation after a generation of May emotions ‘post-emotion’. This is because the concrete universality of Gwangju’s Spirit can only be said when it is a progressive form of newly discovered and created through constant dialogue between present life and past life, or between now-here and then-there emotions. Finally, I will propose a possible condition to preserve and transfer the force of the May Gwangju Community’s uprising, or what can be a condition that allows the concrete universality of Gwangju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