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nagement Motivation and Landscape Interpretation of the Geumcheon-Ggugok in Jinju

        최종현,임의제,정경선 인간식물환경학회 202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6 No.6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anagement motivation of Geumcheon-Gugok, located inJinju, Gyeongsangnam-do, which distinguishes it from other Gugok Gardens, and examine what characteristics andmeaning it has in terms of landscape.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analysis and field survey. Through analyses of old maps andliterature,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landscape elements of Geumcheon-Gugok were determined, and thechanges from the original landscape were comparatively examined through field surveys. These field surveys wereconducted a total of four times, and the changes and status of the Geumcheon-Gugok landscape were recorded withdrawings and and photographs. Based on these, the landscap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Gok (area arounda bend of meandering streams) were determined. Moreover, historical landscape relics including related pavilions andseowons (Confucian academies) distributed around Geumcheon-Gugok were surveyed and reflected in the study. Results: Boosa Seong Yeo-sin set a total of nine Goks (Gugok) along the Geumcheon Stream by matching the scenery ofGeumcheon-Gugok with that of Zhuzi's Mui-Gugok. Boosa recited the inspiration felt in each Gok as Gugoksi poems,which reveal the various landscape elements that make up the traditional landscape in the scenery of Geumcheon-Gugok. The total stream length of Geumcheon-Gugok is 14 km, making it one of the longest of the Gugok Gardens in Korea. Thedistance between each Gok is irregular, ranging from about 0.5-3.5 km, and the nine Goks were established in a top-downorder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mountain streams. Boosa created Busajeongsa and Bangujeong Pavilions in Gok 7 andused them as a base for academic research. The original landscape of each Gok of Geumcheon-Gugok has been damagedover time and due to urbanization. By establishing and managing Geumcheon-Gugok, Boosa sought to soothe the heartsof the people in the devastated village after the wars, and create an ideal place for life. Conclusion: What makes the management of Geumcheon-Gugok notab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Gugok Gardens isthat it contains the idea of coexistence, "helping each other and living in harmony." Boosa developed Dongyak (villagecodes) as an institutional device to create an ideal village, and managed Geumcheon-Gugok as a public framework torealize this. He also installed libraries next to pavilions in Geumcheon-Gugok, and operated an educational curriculum asa practical method to cultivate future talents. As such, Boosa's practice is the outcome of the idea of coexistence foreveryone, not just one family or clan. Geumcheon-Gugok is a very valuable landscape relic as the only Gugok Gardenmanaged by the orthodox Nammyeong School in the right region of Gyeongsang-do. However, since the original landscapeis being damaged by rapid urbanization, a proper management plan should be sought.

      • KCI등재

        중국 『무이구곡도』 3폭(幅)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18세기 무이산 구곡계(九曲溪)의 경물 인지특성

        정조하,노재현,강정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3

        Taking the three Wuyi-Gugok Drawings, 『A Picture Showing the Boundary Between Mountains and Rivers: A』,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B』 and 『Eighteen Sceneries of Wuyi Mountain: C』, which were produced in the mid-Qing Dynasty as the research objects and after investigating the names recorded in the painting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scenic spots, scene types and images in the literature survey. Also, based on the number of Scenic type and the number of Scenic name in each Gok, landscape richness(LR) and landscape similarity(LS) of the Gugok scenic spot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in the 18th century were carefully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statistics of scenic spot types in Wuyi Mountain Chronicle, there were 41 descriptions of scenery names in the three paintings, among which rock, peak and stone accounted for the majority. According to the data, the number of rocks, peaks and stones in Wuyi-Gugok landscape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landscape such as Danxia landform in Wuyi-Gugok landscape. Secondly, the landscape of Gugok Stream(九曲溪) was diverse and full of images. The 1st Gok Daewangbong(大王峰) and Manjeongbong(幔亭峰), the 2nd Gok Oknyeobong(玉女峰), the 3rd Gok Sojangbong(小藏峰), the 4th Gok Daejangbong(大藏峰), the 5th Gok Daeeunbyeong(大隐屏) and Muijeongsa(武夷精舍), the 6th Gok Seonjangbong(仙掌峰) and Cheonyubong(天游峰) all had outstanding landscape in each Gok. However, the landscape features of the 7th~9th Gok were relatively low. Thirdly, according to the landscape image survey of each Gok, the image formation of Gugok cultural landscape originates from the specificity of the myths and legends related to Wuyi Mountain, and the landscape is highly well-known. Due to the specificity, the landscape recognition was very high. In particular, the 1st Gok and the 5th Gok closely related to the Taoist culture based on Muigun, the Stone Carving culture and the Boat Tour culture related to neo-confucianism culture of Zhu Xi. Fourth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landscape similarity of 41 landscape types shown in the figure, the similarity of A and C was very high.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the relationship of distant and near performance was very similar. Therefore, it could be judged that this was obviously influenced by one painting. As a whole, the names of the scenes depicted in the three paintings were formed at least in the first half of 18th century through a long history of inheritance, accumulated myths and legends, and the names of the scenes. The order of the scenery names in three Drawings had some differences. But among the scenery names appearing in all three Drawings, there were 21 stones, 20 rocks and 17 peaks. Stones, rocks and peaks guided the landscape of Gugok Streams in Wuyi Mountain. Fifthly, Seonjodae(仙钓臺) in A and C was described in the 4th Gok , but what deserved attention was that it was known as the scenery name of the 3rd Gok in Korean. In addition, Seungjindong(升真洞) in the 1st Gok and Seokdangsa(石堂寺) in the 7th Gok were not described in Drawings A, B and C. This is a special point that need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중국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산수분계지도(山水分界之圖): A』,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 B』 그리고 『무이산십팔경도(武夷山十八景圖): C』 등 3폭의 『무이구곡도』를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명칭을 조사한 뒤 문헌조사를 병행하여 경처와 경물유형,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후 각 곡별 경물 유형수와 경물수를 바탕으로 한 경물풍부도와 경관유사도 분석을 통해 18C ‘무이산구곡계’의 경관 인지특성을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3폭 그림 중 경물 명칭은 총 41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중 암(岩) · 봉(峰) · 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무이구곡의 경관 중 암 · 봉 · 석의수가 절반 이상으로 이는 단하지모(丹霞地貌) 등으로 이루어진 무이산의 지모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구곡계 경관은 다양하고 심상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상의 주 대상장인 제1곡 대왕봉과 만정봉, 제2곡 옥녀봉, 제3곡 소장봉, 제4곡 대장봉, 제5곡 대은병과 무이정사 그리고 제6곡 선장봉과 천유봉은 경물풍부도(景觀豐富度)가 탁월한 반면, 7∼9곡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곡별 경관이미지 조사 결과, 구곡계의 인문경관 심상 형성에는 무이산과 관련된 신화 및 전설에서 비롯된 특이성으로 인해경관 인지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제1곡과 제5곡은 무이군을 바탕으로 한 도교문화와 주자의 성리문화와 관련한 석각문화, 주유문화(舟遊文 化)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넷째, 41가지 경물 유형에 따른 경관유사도 분석 결과, A와 C의 유사도가 매우 높았으며 형태묘사 및 원근 표현관계가 매우 흡사함을볼 때, 한쪽 그림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3폭의 그림에 묘사된 경물명은 오랜 시간 동안 전승, 누적된 신화 및 전설 그리고 경물의 이름붙이기를 통해 최소한 18C 전반 이전에 이미 정착 · 형성되어 인지되어 온 문화경관임이 확인된다. 다소의 순위 차이는 있으나 3폭 모두에 출현하는 경물 유형은 ‘석’이 21개소, ‘암’이 20개소, ‘봉’이 17개소로 석, 암, 봉은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성을 견인하고 있다. 다섯째, A와 C에서는 선조대(仙钓臺/台)가 제4곡도에 묘사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제3곡의 경물명칭으로 알려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1곡의 승진동(升真洞), 7곡의 석당사(石堂寺)는 그림 A · B · C 모두에서 묘사되고 있지 않는 점은 특이하며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구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백승준 ( Seung Jun Back ),강현경 ( Hyun Kyung Kang ),김선화 ( Sun Hwa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월 악산국립공원 용하계곡을 대상으로 용하구곡시문에 내재되어 있는 식생경관 요소를 도출하고,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식생구조를 파악, 국립공원 내 구곡경관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시문을 통하여 자연경관요소를 도출한 결과, 너럭바위, 자연첩석, 맑은 물, 밝은 돌, 시냇물, 골짜기, 폭포, 소나무, 당 단풍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식생경관 요소로서 소나무와 당 단풍으로 도출되었다. 현존식생 조사 결과, 자연식 생은 67.5%로 소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굴참나무-소나무군집, 굴참나무-졸 참나무군집, 졸 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낙엽활엽수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인공식생(18.7%)은 졸 참나무-일본잎갈나무군집, 신갈나무-밤 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밤나무군집, 관목림, 일본잎갈나무-신갈나무군집이 분류되었으며, 초지지 역(2.0%)은 참 억새군집, 갈대군집, 기타지역(11.9%)은 조경수식재지, 밭, 과수원, 주거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용하구곡의 대표식생은 소나무군집, 굴참나무-졸 참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군집, 낙엽활엽수군집이었으며 Shannon의 종 다양도 는 전체적으로 0.6274∼0.9908이었다. 용하구곡은 도통 계승과 자 연애의 표상이며, 조선말과 일제강점기의 위정척사 사 상이 담겨있는 청정지역으로 자연성이 높은 계곡경관의 보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역사·문화적 구곡의 식생경 관 관리방안을 위하여 소나무군집은 경관유지, 일본잎갈나무군집은 자연천이 유도를 위한 밀도관리가 필요하며, 자연 재해 및 인위적 훼손 시, 계곡 부 식생복원을 위하여 역사·문화적 식생경관인 소나무 중심의 식생복원계획이 적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Gugok landscap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by deducing the vegetation landscape factors inherent in Yongha Gugok and understanding vegetation structure through the investigate of existing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Yongha valley in Woraksan National Park. There were broad and flat rocks, natural layered stones, clear water, light stones, stream, valleys, waterfalls, Pinus densiflor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s a result of deducing natural factors on poetry. There were P. densiflora and A. pseudosieboldianum appeared as one of main vegetation landscape elements. The actual vegetatio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natural vegetation occupied 67.5% and it was classified as P.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 variabilis-P.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P. densiflor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The artificial vegetation (18.7%) was classified as Q. serrata community-Larix kaempferi community, Q. mongolica- Castanea crenata community, L. kaempferi community, L. kaempferi-C. crenata community, fruticeta, L. kaempferi-Q. mongolica community. The grassland area (2.0%) was classified a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nd other areas were classified as landscape tree planting area, farm, orchard, residential area. The representative vegetation were P.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L. kaempferi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in Yongha Gugok.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Shannon was 0.6274 0.9908 on the whole. Yongha Gugok, as a symbol of succession on confucianism and reverence for nature, should be preserved natural valley landscape being clean and wijungchuksa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historical and cultural Gugok, vegetation landscape management plan is needed to landscape maintenance with P. densiflora community, density control with L. kaempferi community. And it is considered when natural disasters and artificial damages happened, P. densiflora-oriented vegetation restoration plan should be applied in order to restore.

      • KCI등재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의 구곡경관 개선을 위한 식생관리방안 연구

        한봉호 ( Bong Ho Han ),곽정인 ( Jeong In Kwak ),장재훈 ( Jea Hoon Jang ),배정희 ( Jeong Hee Ba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화양계곡의 훼손된 문화경관 및 자연경관 개선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을 대상으로 화양구곡의 주요 경관특성 및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문헌 분석을 통해 화양계곡과 계곡 내 구곡의 경관원형을 분석하였다. 화양계곡의 경관원형은 여울이 있는 높은 산과 암반, 천연의 소나무군락 경관이었으며 구곡의 경관은 암반, 맑은 소, 소나무군락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대부분 식생발달에 의한 암반경관 차폐, 모래퇴적에 의한 소멸, 인공림에 의한 자연경관 훼손 등의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식생경관에서는 계곡 주변으로 은사시나무, 아까시나무, 잣나무 등 인공식생이 분포하여 자연경관 및 원래 화양계곡 경관과 이질적인 경관을 형성하였다. 화양계곡 및 구곡의 경관 관리는 조선시대 은일적 문화경관과 뛰어난 계곡 자연식생경관 보전을 목표로 하였다. 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구곡경관 관리방안으로 식생 및 이용자 관리를 통한 구곡 경관대상 부각 및 조망점 관리를 제안하였고 구곡의 배경이 되는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 관리는 소나무군락 유지, 천이유도를 위한 인공림의 인공수종 제거 및 밀도관리를 제시하였다. The study is to suggest a management method for improvement of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of Hwayang valley which is degraded in Songnisan National Park. It was carried out to study original shape of landscape of it and analyse nine major properties of Hoayang Gugok, based on old literatures. The landscape of Gugok was composed of rocks and small ponds,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most of them were degraded by the situation of covered rocks by growth of vegetation, destructed small ponds by sedimented sands and degradation of natural landscape by artificial forest. Vegetation landscape of artificial forest composed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Robinia pseudo-acacia, Pinus koraiensis in periphery of the valley was not matched with natural landscape. The goal of landscape management was established to conserve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in Joseon Dynasty. For this, It was needed to protect landscape values of gugok through the management of vegetation and visitors.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provide opportunity to easily access to the landscape of Gugok. As a management method of vegetation, it was suggested to maintain P. densiflora community and to restore artificial forest to natural forest through the density management.

      • KCI등재

        해악전신(海嶽傳神): 정선의 1712년 금강산도 제작에 관한 재고

        이경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0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5 No.-

        Jeong Seon (1676-1759), the most eminent painter of true-view landscapes in the late Joseon period (1392-1910), produced a thirty-leaf album of topographical landscapes of Mount Geumgang (Diamond Mountains) at the invitation of Yi Byeongyeon (1671-1751) in 1712. The album garnered praise by being called Album of Transmitting the Spirit of Sea and Mountains (Haeak jeonsin cheop). Though this album failed to survive, it is prized as testimony to the artistic achievements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is known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eputation of Jeong Seon’s paintings of Mount Geumgang in eighteenth-century Korea. Numerous scholars’ comments on this album attest to these appraisals of the albu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tuations around the production of the Haeak jeonsin cheop of Mount Geumgang from 1712 and revisit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album. In 1712, Jeong Seon traveled Mount Geumgang for the second time. In his first visit of 1711, he produced a thirteen-leaf album of paintings of Mount Geumgang entitled Album of Pungak Mountain (Pungak docheop). The Pungak docheop featured an elegant and delicate depiction of the scenic sites of Mount Geumgang, reflecting the tradition of the topographical landscape painting of Joseon Korea. In his second visit, Jeon Seon appears to have sought better ways to vividly convey the strong impression of each scenic site that he had in the mountains. Portraying Peak Biro in the clouds, he employed powerful brushwork to capture the dynamism of nature, constituting his signature style called hwiswae beop (literally, “wielding the brush rapidly”), and was thereby praised for transmitting the spirit of Mount Geumgang. After their visit to Mount Geumgang, Yi Byeongyeon and Jeong Seon continued to travel the Gangwon area to produce topographical paintings. Jeong Seon painted scenic spots of Geumhwa where Yi Byeongyeon served as the magistrate and they visited several sites in the area known as Gogun gugok (Nine-Bend Stream of Gogun) in Hwacheon, where Kim Sujeung (1624-1701), whom Yi respected, lived in seclusion. The production of the Haeak jeonsin cheop was designed by Yi Byeongyeon to commemorate his stay in office in Geumhwa. Yi Byeongyeon showed the album to many of his contemporary scholars and asked them to write their comments on the album. Yi Hagon (1677-1724), who was renowned for his connoisseurship in art, most favorably responded to the artistic achievements of Jeong Seon demonstrated in this album an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Jeong Seon and hi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Mount Geumgang. Many literati joined Yi in praising Jeong’s landscapes. Recognizing that Jeong Seon’s grand composition and powerful brush strokes were most apt for describing the spectacular scenery of Mount Geumgang, Yi Hagon commented that Jeong Seon successfully represented the appearance and spirit of Mountain Geumgang in painting. Seeing Jeong Seon’s paintings, literati of the time might have felt as if they were in the mountains themselves. They must have realized that painting could move beyond the limitations of prose and poetry in conveying the sensory perception of Mount Geumgang. Jeong Seon’s paintings of Mount Geumgang such as the now lost Haeak jeonsin cheop created a new understating of painting by proving that vivid visual expressions could surpass verbal descriptions. 1712년 정선은 이병연의 초청으로 금강산을 여행하며 30폭의 금강산도를 제작하였다. 이 그림들은 ‘해악전신(海嶽傳神)’, 즉 금강산의 정신을 그림으로 표출하였음을 의미하는 명예로운 이름을 얻었다. 《해악전신첩》은 더 이상 전하지 않지만조선 후기 최고의 예술적 성취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았으며 18세기 화단에서 정선의 금강산도가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동력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평가가 가능한 이유는 이 화첩을 감상한 문인들이 풍부한 기록을 남기고 있기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선의 1712년 금강산도에 관한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해악전신첩》의 제작 과정, 구성 및 내용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하고 이 화첩의 문화사적 의의를 재고(再考)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1712년의 금강산 여행은 정선의 두 번째 산행이었다. 한 해 전 그는 신태동(辛泰東)이란 인물과 금강산을 여행하고 13폭의 금강산도를 제작하여 《풍악도첩》 이라는 화첩으로 제작하였다. 《풍악도첩》은 금강산의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한 그림이었으며 이 그림을 통해 정선이 실경산수화의 전통을 계승하였음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병연과 함께했던 제2차 금강산행에서 정선은 금강산의 현장에서 느낀 생생한 감동을 전달하기 위한 표현 방법을 더욱 고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연운에 싸인 비로봉을 그리며 그는 훗날 휘쇄법(揮灑法)이라 불렸던 특유의 활달한 필묵법을 선보였다. 정선이 생동감이 넘치는 속필로 그린 그림은 즉각적으로 금강산의 전신(傳神)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금강산에서 돌아온 이병연과 정선은 강원도로 사경(寫景) 여행을 지속하였다. 이들은 이병연이 현감으로 부임하였던 금화의 명소를 그렸으며 강원도 화천과 그 부근에 위치한 김수증의 유적지를 방문하고 이들을 화폭에 담았다. 이병연의 기획으로 성사된 《해악전신첩》은 그의 금화 체류를 기념하는 작품이라는 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해악전신첩》의 소유자인 이병연은 동시대의 여러 문인들에게 정선의 그림을 보여주며 평가를 받았다. 이것을 계기로 그는 정선과 그의 그림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정선의 회화에 대하여 가장 적극적인 호응을 보였던 인물은 당대의 감식안으로 명성이 높았던 이하곤(李夏坤)이었다. 《해악전신첩》을 감상한 이하곤은 정선이 구사한 웅장한 구도, 힘과 생동감이 넘치는 붓질은 금강산의 빼어난 경치를 표현하는 데 매우 적합한 회화 기법임을 깨달았다. 그는 정선의 그림에 금강산의 형사(形似)와 전신을 아우른 그림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정선의 그림은 금강산에서 경험한 자연의 조화에 관한 깨달음을 전달할 때 회화는 시문이 지닌 표현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인식을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금강산에서 느낀 현장의 감각을 시각적으로 재현한 회화는 언어적 표현을 능가했다. 정선의 금강산 그림은 문인들이 쓴 여행기인 금강산 유기(遊記)를 압도했다. 정선의 그림을 보며 문인들은 이 점을 깨닫게 된다. 이와 같은 문인들의 그림이 지닌 ‘시각적 힘’에 대한 자각은 정선의 금강산도가 불러온 회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국가 지정 문화재‘명승’의 유형과 팔경(八景), 동천구곡(洞天九曲)과의 연관성

        노재현,신상섭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1

        국내 명승 지정 추이와 유형 및 변천 그리고 분류상의 제문제를 검토하고 국가 지정 문화재인 명승 총 68건을 대상으로 전래팔경 및 동천구곡 그리고 현대팔경과의 연관성을 추적하여 전래경승적 의미와 가치가 현재에도 유전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문화경관적 성격을 갖는 명승의 지정이 늘고 있음은 초기 문화재보호법상 지정 사유로 명기된 문화적 활용성·역사성·문학성·사상적 배경 등의 개념을 적극 수용하기 위한 취지로 이해됨에 따라 고정원과 전망점 등 문화적 명소 개념이 명승 지정의 중요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 현상이다. 둘째, 명승 지정 유형별로 분류하면‘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이 30건(44.16%),‘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 및 중요한 전설지’21건(30.9%),‘저명한 경관 전망지점’9건(13.2%)‘역사·문화 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7건(10.3%) 그리고‘동·식물의 서식지로서 경관이 뛰어난 곳’1건 순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현재 명승 분류기준에 따르면 팔경지로 분류되는 명승은 7건, 동천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3건이며 구곡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없는 것으로 볼 때, 외형적으로 전체 명승 중 팔경 및 동천구곡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도합 10건(14.7%)에 지나지 않는다. 넷째, 문헌자료 및 인터넷 분석에 따른 전래팔경 관련 명승은 46건(67.7%)이고 이 중 경관대상(장)으로 팔경에 포함된 명승은 38건(55.9%), 경관시점(장)으로 팔경에 포함된 명승은 8건(11.8%)으로 집계됨에 따라 총 46건(67.7%)의 명승이 전래팔경과 관련된 명승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동천과 관련된 명승은 8건(11.8%)이었고 구곡과 관련된 명승은 4건(5.9%)이었으며, 총 40건(48.9%)의 명승이 현대팔경으로 설정되어 지역 명소로서의 역활과 관광홍보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전래팔경 및 현대팔경 또는 동천구곡과 관련된 명승은 총 62건(91.2%)으로 외형적 분류와는 달리 지정 명승 대부분은 경관에 내재된 역사적·문화적 의미와 깊숙이 관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progress of domestic cultural properties designation, the changes and problems in classification were examine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raditional Pal-kyung, Dongcheon-gukok, and Modern Pal-kyung were investigated targeting total of 68 cases of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of scenic sites in order to show that the tradi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are being inherited toda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crease in scenic site designations with historical, cultural, and scenic characteristics can be viewed as an active intent to embrace the concepts such as cultural utilities, historical characteristics, literary value, and ideological backgrounds, which were specified as the basis for designation in the early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Accordingly,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attractions such as traditional gardens and observatory points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standard for designation of scenic sites. Second, as for the classification of scenic sites per type, it was found that ‘places with excellent natural scenery’ were 44.16% (30 cases), followed by ‘famous buildings or gardens and places with important legend’ occupying 30.9% (21 cases), ‘places with famous scenery’ occupying 13.2% (9 cases),‘places with outstanding historical· cultural and scenic value’ that occupying 10.3% (7 cases), and ‘animal and vegetation habitat with beautiful scenery’ (1 case). Third, according to the current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scenic sites, there were only 7 cases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Pal-kyungs (Famous 8 Sceneries) and 3 cases classified into Dongcheon (beautiful scenery surrounded by mountains and rivers), but there was no Gugok (beautiful valleys). Consequently, in terms of external appearance, the scenic sites among the total scenic sites that could be classified into Pal-kyung and Gugok were only 14.7% (10 cases).Fourth, the traditional scenic sites based on literal references and Internet analysis occupied 67.7%(46 cases), which were found to be scenic sites related to the traditional Pal-kyung among which 38 cases(55.9% of 46 cases) were included based on the scenery and 8 cases(11.8% of 46 cases) were included due to the scenery at the time. Fifth, there were 8(11.8%) scenic sites which were related to Dongcheon, and 4 cases(5.9%) related to Gugok. Also, it was found that total of 40(48.9%) scenic sites designated as modern scenic sites were playing the role of local scenic sites, and they were used as the tourism advertising contents. Sixth,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62 cases(91.2%) of scenic sites in total related to traditional and modern Pal-kyung or Dongcheon-gugok, and unlike explicit classifications, most of the designated scenic sites were found to be deeply connected wit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contained in the scenaries.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토대로 한 성주 포천구곡(布川九曲)의 활용

        한승희,전영권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2 No.4

        주자학의 창시자인 주자가 설정한 "무이구곡"(武夷九曲)과는 달리 한국 고유의 풍광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성리학 체계를 이룩하면서 설정된 구곡들이 대구·경북지역에 많이 산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선생이 설정하고 경영해온 포천구곡(布川九曲)을 대상으로 유학자의 심상을 지형경관과 관련시켜 스토리텔링화시켜 보았다. 또한 구곡의 장소적 고증도 함께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포천구곡은 대구와의 접근성, 지형경관, 계곡 트래킹 거리 등에서 판단 해 볼 때, 관광 잠재력이 큰 곳으로 판단된다. 2) 포천구곡의 시가를 지형경관과 관련시켜 스토리텔링화한 본 연구는 구곡문화 관광 패러다임에 새로운 장을 연 것으로 평가돼 관련 학문분야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성주군에서 소개해 놓은 포천구곡 중, 포천구곡 시가에서 표현된 지형경관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장소에 대해 새롭게 고증하여 보았다. 4) 포천구곡을 지속가능한 관광지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포천구곡에 대한 종합학술조사가 선행되고 이를 토대로 합리적인 관광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are plenty of Gugok which are founded by Song Dynasty Neo-Confucianism which is based on peculiar Korean scenic beauty differs from Mui-Gugok(武'夷九曲) which is established by Zhu Xi(Chu Hsi) who is founder of Zhu Xi's studies. In this study, we tried to transform a storytelling associated geomorphic landscape and image of confucian scholar on Pocheon-Gugok(布川九曲) which is established and managed by Lee, Wonjo(李源祚). and we also attempted to ascertain a historical investigation, then came to these conclusions. 1) Pocheon-Gugok has great potential resource for tourism in a point of view such as an approach of Daegu city, a geomorphic landscape, a distance of valley tracking. 2) This study on a transforming to storytelling connected by Pocheon-Gugok lyric poetry and geomorphic landscape is considered as new paradigm, and also expected that contributes to other relevant studies. 3) We ascertained historical truth of some points where Seongju county informs differ from real geomorphic landscape at Pocheon-Gugok. 4) In order to develope Pocheon-Gugok as a sustainable tourist destination, a comprehensive academic investigation must precedes anything else, and reasonable tourist plan must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 KCI등재

        속리산국립공원 내 화양구곡(華陽九曲)의 보존과 활용방안

        전영권(Young Gweon Jeon),한승희(Seung Hee Han),김용훈(Yong Hoon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세계문화유산 가치를 지니는 화양구곡에 대한 지형경관 및 탐방로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화양구곡은 다양하고도 수려한 화강암 지형경관의 발달이 탁월하다. 2) 성리학 발전단계를 가장 모식적인 지형경관으로 설정해둔 화양구곡은 세계문화유산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3) 화양구곡의 활용방안에 지오투어리즘이 가장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또한, 지오투어리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구곡 관련 해설판을 작성함은 물론 많은 숙련된 가이드 양성이 필요하다. 4) 화양구곡의 지속가능한 지오투어리즘을 위해서는 구곡의 지형경관에 대한 보존과 경관 복원은 물론 본 연구에서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its preserv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n the basis of analysis on geomorphic landscape and trail of Hwayang-Gugok(華陽九曲).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are various and beautiful granitic landforms in Hwayang-Gugok. 2) The scene of Hwayang-Gugok are geomorphic resources worthy of the world cultural heritage in a point of view of relations between geomorphic landscapes and Neo-Confucianism. 3) The best effective application of Hwayang-Gugok may be geotourism. The explanatory plates to describe easily Hwayang-Gugok and training of many skilled guides are also necessary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geotourism. 4) Not only landscape restoration but also preservation of geomorphic landscapes in Hwayang-Gugok are required for sustainable geotourism, and improvements based on the results to be analysed in this paper are investigated.

      • KCI등재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에 관한 연구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박은희 ( Eun Hee Park ),장운기 ( Woun Gi Jang ),윤민규 ( Min Giu Youn ),조병상,이재근 ( Jae Keun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도산구곡(陶山九曲)은 경북 안동시 도산면에 소재한 도산구곡 중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원형경관을 분석하였다.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을 추정하기 위하여『농암집(聾巖集)』, 시·문(詩文) 등 고문헌을 조사한 뒤 경관요소를 추출하고 현지조사에서 확인 가능한 경관요소를 제시하였으며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분천마을의 배치를 추정하였다. 시문분석에서는 29개의 경관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현지조사 결과 이중 점암(霑巖:자리바위), 농암(聾巖:귀먹바위), 사자석(獅子石: 사자바위), 상암(象巖: 코끼리바위), 대(臺), 분강 등 6개소가 현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회화 작품에서는 분강과 인접한 바위 위의 애일당과 그 뒤쪽 마을 안에 분천서원, 분강변의 귀먹바위, 점암 등 바위가 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측량은 분천마을의 농암종택 옛 터를 중심으로 농암 이현보의 17대 종손(이성원 박사)과 인터뷰 및 현지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도면화 하고 이 일대의 추정도를 작성하여 원형경관을 재현코자 하였다. Dosangugok is located at Dosan-myeon, Andong City, Gyeongbuk and its original landscape was analyzed based on Valley4 Buncheon among Dosangugok. In order to estimate original landscape of Dosangugok, landscape elements were extracted after investigating ancient literatures including ’Nongamjib’ and poetry/prose relevant to Dosangugok, landscape elements that could be confirmed at local site survey were suggested and arrangement of Buncheon village was estimated based on painting works. In analysis of poetry/prose, 29 landscape elements were extracted and as a result of local site survey, 6 places including Jeomam (Jari-bawi), Nongam (Gwimeok-bawi), Sajaseok (Saja-bawi), Sangam (Elephant rock), Dae and Bungang were confirmed to be existed at present and in painting works, Rocks such as Aeildang on the rock adjacent to Bungang, Buncheon Seowon at its backyard village, Bungang Byeoneui Gwimeokbawi, Jeomam were confirmed to be expressed even though not expressed in detail. Survey was performed based on ancient site of Nongam head house in parallel with interview with 17th eldest grandson(Ph.D. Lee, sung won)of Nongam Lee, Hyeon Bo and local site survey and original landscape was reproduced by making its result as a drawing and preparing an estimated map around this area.

      • KCI등재

        우리나라 동천구곡의 지형경관

        기근도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3

        동천구곡은 자연지형과 인간 심성활동의 결합체이다. 본 논문은 동천구곡의 장소성과 경관 이미지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인 지형경관의 특성에 대하여 조사·확인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우리나라 동천구곡은 주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산지 지역에 주로 입지·분포하며, 이는 인근에 위치한 양반의 계거촌과 관련이 있다. 동천구곡이 자리 잡은 지역의 기반암 특성이 지형경관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화강암과 퇴적암 경관이 이를 가장 대표한다. 우리나라 동천구곡은 산지 내부를 흐르는 곡류하도에 주로 입지하여, 곡류하도 주변에 나타나는 다양한 지형요소들이 주요 경관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주요 지형요소로는 봉우리, 소규모 평탄면, 토르, 수직절벽, 폭포, 여울, 소, 포인트바, 그리고 너럭바위, 거력, 암설사력퇴, 마식된 암반하상과 포트홀 등이 있다. 이를 동천 구곡에서는 대(臺)·암(巖)·봉(峰)·벽(璧)·벼리(遷)·학(壑)·반석(盤石)·천(泉)·폭(瀑)·담(潭)·연(淵)·추(湫)·소(沼)·천(川)·탄(灘) 등으로 칭한다. This work is to describe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of Dongcheon-gugok in Korea, and attempts to develop a basic data for traditional natural heritage. Dongcheon-gugok is a union of natural lanscape and human mind-activity. Therefore the study of natural landscape, which consist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s, provides a basic data for the use and conservation of traditional natural heritage. Dongcheon-gugok in Korea is almost distributed in the valley of mountainous areas of Taeback and Soback Mountain Ranges. The bedrocks of the areas of Dongcheon-gugok are almost granitic rocks and sedimentary rocks. The landscapes of Dongcheon-gugok is characterized by narrow meandering valley, so Gugok means nine-bended river. The elements of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is a broad flat rock with sheeting joints, joint-block seperated large blocks or tor, steep slope and rocky cliffs, pool, ripple, large or small scale waterfall, pot-hole,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