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통한 무용창작 프레임과 상호작용

        김경신 ( Kyoung Shin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는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차용하여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과정을 텍스트화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텍스트 작업은 내가 무용수와 안무가로서 경험한 과거의 창작과정을 이해하고 탐구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었다. 나의 창작과정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행위에 있어서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은 이론적인 바탕과 철학적인 근거로 활용되었으며, 디지털매체인 영상편집프로그램과 음악작곡프로그램은 작품을 분석하고 움직임을 탐구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또한,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디지털매체를 실제 안무에 적용하여 그 창작과정을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나의 움직임 재현하기”에서 나의 과거의 춤과 안무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의 움직임과 창작과정을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함께 상호보완적 연속성이 존재하는 반성적 구도를 유지하면서 기술할 수 있었다.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은 과거와 현재에 존재하는 나의 춤과 창작물에 대한 접근방법을 전체와 부분으로 나누어 관찰할 수 있는 이해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영국 안무가와의 협업작품 < Unplugged Bodies >의 창작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무용창작과정에 대한 연구의 가치를 기술할 수 있었다. 이후,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과정을 철학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하기 위해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차용한 무용창작과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다머와의 조우를 통해 자기반성적 태도를 가지는 안무자의 능동적 반성 체계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거치며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의 상호작용으로 안무되어진 나의 작품 < Empty Project >의 창작과정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기술할 수 있었다. 나아가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디지털매체가 어떠한 형태와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하였는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바탕으로 무용창작과정에서 발견된 상호작용인 나와 무용수, 나와 디지털매체, 나와 참여자 그리고 나와 해석학적 순환이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내가 주체가 되는 창작과정을 연행적으로 기술하였고,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나만의 창작프레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석학적 창작 프레임은 관찰, 분석, 편집, 반성, 적용이며 이와 같은 요소들이 비순차적으로 창작과정에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나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창작과정을 이해하고 자기반성적 견해로 접근함으로써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과정의 결과는 새로움을 창조하는 예술가와 안무자에게 모종의 타당성을 인식시켜 새로운 매개체를 통한 창작과정의 접근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xtualise creative processes with a digital medium by adopting Hans Georg Gadamer’s so-called ‘hermeneutic circle’. This texualisation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previous creative processes that I experienced as a dancer as well as a choreographer. In terms of evaluating and analysing the processes, Gadamer’s hermeneutic circle functions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hilosophical basis, and also video editing and music composing programmes were utilised as a tool to examine art works and to investigate movements. Besides, this paper analyses and describes how Gadamer’s hermeneutic circle and the digital medium were applied into the actual choreography. From “Reproducing My Movements”, descriptions of my dance and choreography in the past are shown. Through such step, I was able to evaluate my own movements and creative processes with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by maintaining the self-reflective structure that exists in the complementary continuity. Gadamer’s hermeneutic circle was used as an understanding too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and the wholes towards my dance and creative works in the present and past. Analysing the creative process of < Unplugged Bodies >, which is a cooperative work with British choreographer enabled me to recognise the value of the study on the creation process of the dance with the digital medium. In order to understand and approach to it philosoph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hole process borrowed from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Moreover, through the encounter with Gadamer, it was feasible to pay attention to an active self-reflective system in which choreographers can bring critical attitudes. Going through all the procedures gave me an opportunity to scrutinise and transcribe the work < Empty Project > I choreographed with a concentration on the interaction with Gadamer’s hermeneutic circle from the various point of view. Furthermore, this study states which forms and what methods allow Gadamer’s hermeneutic circle and the digital medium to be interactive to each other. In addition to this, it analy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f-dancers, the self-digital medium, the self-participants, and the self-hermeneutics coming from the interaction founded in the creation processes of the dance based on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Herewith, the creative processes becoming the self, are described performatively, and by the benefit of this research result, my own frames for the dance creation are discovered. It has shown that the hermeneutic creative frames consist of observation, examination, compilation, reflection, and application: these factors appear non-sequentially. By understanding the creation processes grounded in my own story and accessing them in the self-reflective views, the outcome from the creative processes using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and the digital medium can offer new approaches to creative processes through a vehicle for making artists and choreographers searching for newness aware of a certain validity.

      • KCI등재

        법해석학의 철학적 기초

        양천수(Chun-Soo Ya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9 No.-

        전통적인 법적 삼단논법과는 달리 법해석학은 ‘선이해’와 ‘해석학적 순환’을 바탕으로 하여 법관이 법을 해석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고 주장한다. 법해석학에 따르면, 법을 해석하는 과정은 기존에 존재하는 법을 인식하거나 발견하는 과정이 아니라, 새로운 법을 형성하거나 창조하는 과정이다. 1970년대를 전후로 하여 주로 독일 법학에서 성장한 법해석학은 철학적 해석학, 그 중에서도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을 수용함으로써 이론화되었다. 이 글은 법해석학의 철학적 기초를 밝힌다는 취지에서 가다머가 정립한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을 분석한다. 이에 따르면,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다머는 딜타이처럼 해석학을 정신과학의 방법으로서 이해하는 것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해석학은 <주체-객체 모델>에 입각한 인식론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주체-객체>가 서로 융합된 존재론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이를 가다머는 이해자가 이미 지니고 있는 선입견을 통해 정당화한다. 이러한 선입견은 하이데거가 전개한 ‘이해의 선구조’를 수용한 것이다. 나아가 선입견은 권위와 전통에 바탕을 두고, 전통은 고전이라는 형식으로 존재하게 된다. 한편 가다머는 선입견에 입각한 존재론적-해석학적인 이해는 해석학적 순환이 역사적으로 확장된 지평융합을 통해 진행된다고 한다. 이를 가다머는 ‘영향사적 원칙’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가다머는 이러한 영향사적 원칙이 단순히 정신과학 영역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매개로 하여 심지어는 자연과학 영역에서도 타당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존재론적 해석학은 말 그대로 보편적인 존재론으로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은 이후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반향은 문학비평이나 역사해석 또는 고전철학과 같은 정신과학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법학이나 사회과학 심지어 자연과학에서도 가다머의 해석학은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동시에 다양한 비판이 가다머의 해석학에 제기되었다. 이를테면 가다머와 해석학 논쟁을 전개한 하버마스는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이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Legal hermeneutics asserts that judges intervene actively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laws based on ‘preunderstanding’ (Vorverständnis) and ‘hermeneutic circle’ (hermenutischer Zirkel), which is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legal syllogism. According to legal hermeneutic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laws is neither the process of perceiving nor discovering the existing laws but that of constituting or creating new laws. Legal hermeneutics has mainly been formulated in the German jurisprudence in pre and post-the1970s, accepting and theorizing philosophical hermeneutics and in particular,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that Hans-Georg Gadamer established.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established by Gadamer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hilosophical bases of legal hermeneutics. According to its theory, Gadamer’s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adamer does not advocate that hermeneutics is understood as methodology of humanities (Geisteswissenschaft) just as Wilhelm Dilthey does. This is because hermeneutics does not assume epistemological characteristics but rather ontological characteristics. Gadamer justifies this based on the ‘prejudice’ (Vorurteil) that any understander has already had. This prejudice accepts ‘the pre-structure of understanding’ established by Heidegger. Furthermore, prejudice is based upon ‘authority’ and ‘tradition’. Meanwhile, Gadamer states that ontological-hermeneutic understanding is being considered through historically broadened fusion of horizon (Horizontverschmelzung)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hermeneutic circle. Gadamer cites it as the ‘wirkungsgeschichtliches Prinzip’. Yet, Gadamer asserts that the wirkungsgeschichtliches Prinzip is not merely limited to humanities areas but is even applied to natural science areas, using languages as the medium. Taking it into account, ontological hermeneutics is literally established as universal ontology. The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formulated by Gadamer has later created much sensation. However, such sensation has not been limited to humanities areas such as literary critics, history interpretation or classical philosophy. Gadamer’s hermeneutics has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laws, social sciences and even natural scienc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have been criticisms for Gadamer’s hermeneutics. Making the debate about hermeneutics with Gadamer, Jurgen Habermas, for example, criticizes that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could be distorted by ideology but this is left disregarded.

      • KCI등재

        Gadamer 이해의 역사성에 비추어 본 백워드 디자인의 이해 개념 고찰

        정향윤 ( Hyang-yoon J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3

        This study aims for considering the understanding of backward design based on the historicity of understanding in Gadamer’s hermeneutics.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defined by backward design and by Gadamer’s hermeneutics, which is theoretical basis of backward design, were limited to the subject of study. Understanding in Gadamer’s hermeneutics is not subject to development because of its ‘historicity’. Backward design, on the other hand, seems to develop understanding through design, which is in conflict with Gadamer's view. Thus, quoting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in Gadamer hermeneutics as the theoretical basis of understanding in backward design is logically problematic. The results considered backward design in light of the historicity of understanding in Gadamer’s hermeneutics are as follows. First, both concepts of understanding are based in tradition, but they differ in their awareness of tradition. Second, difference in awareness of tradition also affects the hermeneutic circle of understanding that leads to higher understanding. However, this study concludes that, as a positive point, backward design regards understanding as an end rather than a mean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hermeneutic circle of understanding should be considered in backward design to strengthen this theory.

      • KCI등재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백워드 디자인과 Gadamer 해석학을 중심으로

        정향윤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1

        As the importance of competence i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ckward Design also attracts attention because it provides the best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e transfer of understanding. However, the ‘application' in Gadamer’s hermeneutics, which is cited as theoretical grounds for Backward Design, is different from Backward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in Backward Design and Gadamer’s hermeneu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of application was limited by defining the goal as the desired result in the Backward Design as enduring understanding. As a result, the assessment criteria were standardized. On the other side, Gadamer argues that the concept of applic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d of intellectual excellence such as ‘episteme’, ‘phronesis’, ‘techne’ based on Nicomachean Eth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intellectual excellence pursued in Backward Design.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해의 전이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교수방법을 제공해주는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이 주목받는다. 그러나 백워드 디자인이 이론적 근거로 인용하는 Gadamer 해석학에서의 적용은 백워드 디자인의 적용과 관점이 다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디자인과 Gadamer 해석학에서의 이해와 적용을 검토한 후 적용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을 고려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백워드 디자인에서는 바라는 결과로서의 목표를 영속적인(enduring) 이해 로 규정함으로써 적용의 개념이 한정되었고 그로 인한 평가기준도 획일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Gadamer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근거로‘에피스테메(episteme) , ‘프로네시스(phronesis) ,‘테크네(techne) 와 같은 지적 탁월성의 종류에 따라 적용의 개념이 다르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교과에서 추구하는 지적 탁월성에 따라 적용에 대한 평가기준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하이데거의 진리개념과의 비교를 통한 가다머의 해석학적 진리개념 규명

        설민 한국철학회 2024 철학 Vol.- No.160

        가다머에 따르면 해석학적 경험의 본질은 방법으로 포착될 수 없는 진리에 다다르는 것이다. 그의 철학에서 진리문제는 핵심적이지만 그는 자신의 해석학적 진리개념을 충분히 해설하지 않았다. 본고는 하이데거의 진리개념과의 비교를 통해서 가다머의 해석학적 진리개념을 규명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맨 먼저 가다머가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존재개념 및 진리개념을 수용하면서 전통적 진리대응설과 거리를 둠을 확인할 것이다. 다음으로 하이데거의 진리를 ‘비은폐성으로서의 진리사건’으로 분석하면서 가다머가 그것을 어떻게 수용하여 자신의 ‘지평융합’ 개념으로 발전시키는지를 밝힐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다머의 진리관이 하이데거와 어떤 차별점을 갖는지 밝힐 것이다. 여기서 두 철학자가 말하는 진리에서 공히 역사의 불연속성이 나타나지만 가다머에게 뚜렷한 이성 신뢰가 하이데거와 달리 대화의 무한한 가능성과 더불어 이해의 역사적 개방성으로 이어짐을 논증할 것이다. According to Gadamer, the essence of hermeneutic experience is reaching a truth that cannot be captured by method. While the issue of truth is central to his philosophy, Gadamer did not fully elucidate his concept of hermeneutic truth.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clarification of Gadamer’s concept of hermeneutic truth by comparing it with Heidegger’s concept of truth. To this end, we will first examine how Gadamer, by adopting Heidegger’s phenomenological concepts of being and truth, distances himself from the traditional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Next, we will analyze Heidegger’s concept of truth as an ‘event of unconcealment’ and explain how Gadamer incorporates this idea to develop his own concept of ‘fusion of horizons.’ Finally, we will elucidate the distinctions between Gadamer’s and Heidegger’s views on truth. While both philosophers highlight the discontinuity of history in their concepts of truth, it will be argued that Gadamer, unlike Heidegger, demonstrates a clear trust in reason, which leads to an infinite possibility of dialogue and the historical openness of understanding.

      • KCI등재

        Achilles and the Tortoise ― Gadamer's Concept of Understanding

        KIM Su Rasmussen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1 No.-

        이 논문은 가다머의 ‘이해’ 개념에 초점을 둔 것이다. 가다머는 『진리와 방법』(1960)에서 이해를 ‘지평의 융합’으로 규정한다. 이는 가다머의 철학적 입장을 한편으로 슐라이어마허로부터 딜타이까지의 해석학적 전통과, 다른 한편으로 환원적 과학주의와 명백하게 구별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적 개념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절은 『진리와 방법』에 나타난 이해 개념을 상세히 분석한다. 그러나 본 논문의 주된 주장은 『진리와 방법』의 출간 이후 이해에 관한 가다머의 개념화에 분리된 변화가 발생한다는 데 있다. 그러한 변화는 특히 『나는 누구이며 너는 누구인가?』(1973/1986)의 첼란의 시에 대한 응답에서 발생한다. 이것이 세 번째 절의 핵심 주제이며, 이는 『진리와 방법』의 이해 개념에 대한 앞 절의 분석을 기반하고 있다. 이 논문은 수정된 이해 개념이 연접(conjunctive)에서 이접적인(disjunctive) 형태로 전환된 것이라고 제안한다. This paper focuses on Gadamer's concept of understanding. In Wahrheit und Methode(1960), he defines understanding as a "fusion of horizons". This is a key concept, which clearly demarcates his philosophical position against other positions, including the older hermeneutic tradition from Schleiermacher to Dilthey on one hand and against reductive scientism on the other. In the first and the second part, the paper seeks to analyze in detail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in Wahrheit und Methode. The main argument of this paper, however, is that there occurs a discrete change in Gadamer's conceptualization of understanding after the publication of Wahrheit und Methode. This change occurs specifically in response to Celan's poetry in the book Wer bin Ich und Wer bist Du?(1973/1986). This is the main topic in the third section of this paper, which builds on the previous analysis of understanding in Wahrheit und Methode in order to analyze Gadamer's later revision. The revised notion of understanding, this paper suggests, marks a shift from a conjunctive to a disjunctive form of understanding. This paper focuses on Gadamer's concept of understanding. In Wahrheit und Methode(1960), he defines understanding as a "fusion of horizons". This is a key concept, which clearly demarcates his philosophical position against other positions, including the older hermeneutic tradition from Schleiermacher to Dilthey on one hand and against reductive scientism on the other. In the first and the second part, the paper seeks to analyze in detail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in Wahrheit und Methode. The main argument of this paper, however, is that there occurs a discrete change in Gadamer's conceptualization of understanding after the publication of Wahrheit und Methode. This change occurs specifically in response to Celan's poetry in the book Wer bin Ich und Wer bist Du?(1973/1986). This is the main topic in the third section of this paper, which builds on the previous analysis of understanding in Wahrheit und Methode in order to analyze Gadamer's later revision. The revised notion of understanding, this paper suggests, marks a shift from a conjunctive to a disjunctive form of understanding.

      • KCI등재

        선입견, 역사 그리고 이성 : 가다머 ‘선입견’ 개념의 비판적 고찰

        김동현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9 국제정치연구 Vol.22 No.1

        This study is a cri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prejudice’,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of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e primary concern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lies in the awareness of the universality of human existence based on the finiteness of human beings. Gadamer articulates human beings are imperfect existential beings that cannot transcend time and space. He considers both the prejudice and historicity of understanding based on the finite human life are closely linked, and prejudice underscores the fact that human beings are historical ones. Gadamer appropriates the concept of prejudice not only by emphasizing the positive aspect of it, but also even claiming the rehabilitation of it. Gadamer argues human beings are the subjectivities that merely live finite human life according to which the demand of the time and human beings follow the authority of the tradition fabricated by the prejudice. However,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akes a halfhearted outlook to the possibility of critical reflection in that the prejudice and tradition should necessarily be accepted as taken-for granted notions in certain cultures of society.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ider Gadamer’s understanding of ‘temporal distance’ associated with the notion of prejudice, which distinguishes true prejudice from false prejudic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diachronic analysis. To do thi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Gadamer’s thought on the concept of prejudice that is mainly derived from the historically diachronic exploration by way of proposing a synchronic analysis. 이 논문은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선입견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철학적 해석학의 관심사는 인간의 유한한 삶에 그 근거를 두고 인간존재에 대한 보편성을 자각하는 데에 있다. 가다머는 인간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없는 유한한 삶의 주체이자 불완전한 실존적 존재로 규정한다. 그는 유한한 인간의 삶을 전제로 한 이해의 역사성과 선입견이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고 보고, 인간이 역사적 존재라는 사실을 부각시킨다. 가다머는 선입견 개념의 정당화를 주장하면서 부정적인 개념으로만 취급되어 왔던 선입견 개념의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며 선입견의 복권을 주장한다. 더욱이 가다머는 유한한 삶을 사는 인간이 그 시대의 요구에 따라 선입견을 형성하고, 역사적 존재로서 인간은 선입견에 의해 고착된 전통의 권위를 충실히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은 특정한 문화와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익숙한 선입견으로 받아들여진 전통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가능성에 대해 미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가다머의 선입견 개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성의 비판적 성찰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또한 이 논문은 가다머의 시간간격, 즉 시간의 흐름이 지난 후에야 참된 선입견과 그릇된 선입견 개념의 구분이 가능하다는 통시적 측면의 분석에 대한 재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가다머의 통시적 역사관과 시간간격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공시적 관점에서의 분석을 시도한다. 요컨대, 이 논문은 가다머의 선입견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함께 그의 선입견 개념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선입견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수립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과 언어의 사변적 구조

        박윤현(Yun-Hyun Park)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4

        이 글은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 3부에 나타난 언어관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언어관이 이해를 통한 인간의 존재론적 변화라는 교육학적 관심과 맺는 관련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가다머는 이해를 인간의 근본적인 존재 방식으로 규정하고, 언어를이해의 보편적 매체라고 본다. 그에게 있어서 이해라는 것은 인간이 언어를 매개로 하여 존재를 추구하는 일이다. 가다머는 언어 이전에 사물이나 존재가 먼저 규정될 수 있다고 보는 생각과 이러한 사고의 필연적 귀결로서, 언어가 이미 인지된 사물을 지시하는 기호나 도구에 불과한 것이라는 생각을 비판한다. 존재와 존재의 표현으로서의 언어는 사변적 단일성을 이루며, 존재는 언어 안에 ‘구분 아닌 구분’의 방식으로 내재한다. 그런데 인간의 이해는 시간적 차원을 가지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역사성을 가진다. 언어와 존재의 관계는 사변적 운동이라는 역동적인 관점에서 이해될 때 보다 잘 드러난다. 사변적 운동은 언어와 존재의 사변적 구조가 역사적 차원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때, 언어와 존재 사이의 사변적 구조와 운동을 인식하며 존재 이해를 추구하는 사람을 사변적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가다머가 사변적 구조와 운동을 설명하면서 이끌어낸 사변적 인간의 개념은 교육을 통하여 길러내고자 하는인간상과 다르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Gadamer s view on language found in Truth and Method in terms of its ontological significance in human understanding and human cultivation. Gadamer defines understanding as the fundamental mode of human existence and sees language as a universal medium of understanding. For him, understanding is the event in which the infinite and the finite are mediated by language. Gadamer criticizes the dominant views that things or being can be defined before language, or that language is nothing more than a sign or a tool to refer to things that are believed to be recognizable without language. Gadamer argues that language is a representation of being, and being and language form a speculative unity. It is also argued that human understanding has its own historicity in that it is unfolded in its temporal dimen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being is better understood in this historicity of the dynamics of speculative movement. A person who participates in the event of understanding with a heightened recognition of the speculative movement between language and being can be properly described as a speculative person. And the speculative person in this sense is just another name for the educated man.

      • KCI등재

        보수'와 '진보', 그 경계를 넘어

        신응철(Shin, Eung-chol)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7 No.-

        이 글에서는 '전통'과 '이데올로기'를 바라보는 해석학적 논의를 통해서, 보수와 진보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보고, 이를 통해 우리사회에서 전개되고 있는 이념 논쟁에서 타협의 방식을 간접적으로나마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가다머(H. G. Gadamer 1900~2002)와 하버마스(J. Habermas 1929~ ) 그리고 리쾨르(P. Ricoeur 1913~2005)를 중심으로 해석학이라는 분과학문이 전통과 어떤 식으로 관련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가다머 해석학의 보수적 즉면과 하버마스 해석학의 진보적 측면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보수적 입장과 진보적 입장에 대한 해석학적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리쾨르의 시선을 좇아 가다머와 하버마스 해석학의 차이점과 공통점, 한계점과 보완점을 찾아낼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해석학적 종합을 통해서 보수 對 진보라는 이념 문제의 해결 방식을 간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Conservativeness and Progress through the hermeneutical discussion about Tradition and Ideology.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Contemporary Hermeneutics, especially H.G. Gadamer, J. Habermas, and P. Ricoeur's Hermeneutics. We will find conservative aspects of Gadamer's Hermeneutics and progressive aspects of Habermas's Hermeneutics through debate on Hermeneutics between Gadamer and Habermas. And we will deal with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Conservativeness and Progress in context of Hermeneutics. Then, we will find the difference and common feature, the uppermost limits between Gadamer and Habermas's Hermeneutics in terms of Ricoeur's view. In this context, we will lastly pursue a way of solution about problem of Idea, that is Conservativeness vs Progress through hermeneutical Synthesis.

      • KCI등재

        Gadamer의 존재론적 사유를 통한 “경험중심교육”의 반성적 고찰

        이상오(Lee, Sang-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경험중심교육(체험학습 포함)은 J. Locke의 경험론을 기점으로 본다고 해도 결코 적지 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암기지식중심의 학교교육에 치여서 오늘날 경험중심교육은 현장에서 거의 뒷전 아니면 ‘부수적 교육’의 상황에 놓여 있다. 물론 대안학교운동 및 체험학습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경험중심교육은 교육현실에서 점차 그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본 연구는 철학자 H. G. Gadamer의 존재론적 사유를 통하여 “경험 및 체험”의 개념을 (재)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본고는 크게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첫째, 경험교육 및 체험학습이 계속해서 인식론적 차원에서만 이루어진다면, 유한자로서의 개인 인식의 한계 내에서 교육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밝혀 내는 것이다. 둘째, 교육이 진정 삶의 전반을 도와야 한다면 인식론적 차원의 경험교육 및 체험학습은 오히려 진정한 교육(학)적 의미를 반감시키거나 아니면 그 의미를 왜곡시킬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는 것이다. 왜냐하면 교육(학)연구에서 객관적 인식을 핑계로 전체로서의 존재를 망각하는 것은 커다란 손실이기 때문이다. ‘Experience-based education’ has a deep history and tradition, even if we can follow up only into Locke's empiricism, not Aristotle's. Today, it is, however, neglected and regarded as ‘side activities’ by ‘memorizing education of knowledge’ that prevails in our educational reality. Through the alternative school movements and programs of experiential learning, it continues to promote its influence in the educational world. This study focuses on reflective review in the concepts of ‘experience’ and ‘lived (inner) experience’ through H. G. Gadamer's ontological philosophy and thought. Two objectives should be clarified through our study. Firstly, ‘experience-based education’ will be meaningless for educational reforming in the future, if such education continues to be performed only in the epistemological dimension. Especially, it is great loss to forget the being as an entity because of searching for the objective knowledge for educational studies. Secondly, educational researches may reduce the educational meaning and furthermore manipulate educational meaning with experience-based education in epistemological dimension, if education should devote to help the fulfillment of students'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