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적 리더십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조직을 중심으로-

        서은경 ( Seo Eun Kyung ),김봉화 ( Kim Bong Wha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적용되는 ‘여성적 리더십’의 요인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복지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여성적 리더십의 요인을 델파이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조직구성원들이 인지하는 여성적 리더십에 관해 설문조사하였다. 사회복지전문가들은 여성적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행동을 내부 지향적 요인을 중시하는 ‘관계적 행동유형’이라 하였고, 변화계획수립, 혁신 등을 추구하는 외부지향적인 변화적 행동유형은 가장 낮은 행동군으로 인식하였다. 개방형 설문에서 전문가들은 남성적 리더십이 여성적 리더십에 비해 과감, 적극적, 외부지향적이라 응답하였으며 부드러움, 수평적 협력, 융통성, 빠른 적응력 등이 남성적 리더십과 차별된 여성적 리더십 요인이라 인식했다. 반면, 설문조사 응답자인 사회복지조직 구성원들은 여성관리자에게서 여성적 리더십이 더 높게 발현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최고관리자의 성별에 따른 여성적 리더십에 대해 남성 응답자들이 ‘여성보다 남성 최고관리자에게서 여성적 리더십이 더 높게 발현된다’고 인지한 점은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생물학적 성과 관련된 보수적 ‘여성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여성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사회복지현장에서는 기존 생물학적 성(性)에 기반한 ‘여성적 리더십’인식에서 조직의 원활하고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젠더적 사회적 ‘여성적 리더십’으로의 인식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delphi survey targeting the factors of feminine leadership perceived by social welfare expert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nd perception of 'feminine leadership' applied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questionnaire surveys regarding the feminine leadership perceived by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ember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Social welfare experts perceived the most important behavior of feminine leadership as 'relational behavior type' putting emphasis on inner-directed factors and outer-directed transformational behavior type pursu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 of transformation plans as the lowest behavioral group. In an open survey, experts replied that masculine leadership is decisive, active, and outward-looking than feminine leadership and softness, horizontal collaboration, flexibility, and rapid adjustment are feminine leadership elements different from masculine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embers -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 replied that female supervisors reveal greater feminine leadership. In addition, the point that male respondents perceived that 'male supervisors express more feminine leadership than female supervisors' with regard to feminine leadership based on gender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iving conservative 'feminine leadership' related to biological gender, which experts perceive, and 'feminine leadership' which members of organization perceive. That i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conversion from 'feminine leadership' based on existing biological gender to gender social 'feminine leadership' for organization's smooth and effective operation is taking place.

      • 디지털 시대 여성과 리더십

        박채복(Park Chae Bo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

        21세기는 흔히 여성의 시대라고 한다. 사회 전반에서는 여성적 가치관, 여성적 감성, 여성적 행동양식, 여성적 특성이 강조되고 적극적으로 재조명되어지고 있으며, 그 동안 가려져 있었던 여성주의적 제 가치 체계에 대한 새로운 의미 부여작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또한 여성의 사회참여가 점차 증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 여성 리더십의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21세기 디지털사회가 요구하는 여성리더의 양성을 가능케 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고 있다. 2004년 5월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에서 ‘여성을 위한 다보스 포럼’이라고도 불리는 세계여성지도자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서울회의에서는 85개국에서 참가한 800여명에 이르는 정치, 경제, 사회 전 분야에 걸친 여성리더들이 ‘리더쉽, 테크놀로지, 성장’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번 회의의 개최는 그 주제가 말해주듯이 21세기 디지털사회에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기술과 리더십에 대한 논의에서 이미 여성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에 대한 국내외의 사회전반적인 합의가 도출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페미니스트들에게는 자연에 대한 프로메테우스적 태도, 기술, 심지어 과학 그 자체도 역시 남성적 지향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주장되어 진다. 세계에 대한 남성의 태도는 본질적으로 지배와 조작에 기초한 도구적 태도이다. 여성의 전망은 이와 특별하게 다르며, 여성은 남성과 대조적인 방식으로 자연환경에 관여한다고 주장되어진다. 이러한 ‘전통적인’ 페미니즘의 주장에 따르자면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여성의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무척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21세기 글로벌 한 세계체제는 디지털 사회, 지식기반사회로의 진입이라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새로이 여성성의 역할증대를 요구하고 있으며, 따라서 효율적인 여성 인력의 양성과 여성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 역시 확대되고 있다. 직업세계에 존재하는 남녀간의 관습적인 불평등은 노동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 측면에 엄연히 존재하는 고정관념에 유래한다고 주장되어진다. 그러나 여성성(Feminine), 감성(Feeling), 상상력(Fiction)이 새롭게 부각되어지는 디지털 시대에는 전통적인 남녀간의 직업선택 모델에 변화가 도래하고 있다. 전통적인 자연과학 분야에서의 여성의 직업 활동이 미미하였던 반면에 디지털 산업의 핵심인 ICT분야에서는 여성 특성적인 능력이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은 산업구조의 소프트화, 서비스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고 있고, 또한 세계화를 가속화시켜서 무한 경쟁이라는 새로운 환경은 남녀의 성별차이보다는 개개인의 능력의 차이에 주목하게 되었다. 인적 자원의 경쟁력이 과거와 같은 물리적인 힘의 우위성을 강조되기 보다는 창의력과 풍부한 감성, 섬세함과 같은 지적능력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여성적 가치와 여성적 리더십(feminine leadership)에 대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는 인적자원으로써 여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시대적 변화에 대한 요청이다. 또한 노동시장의 성별 분리구조와 성차별적 고정관념 그리고 여성인력에 대한 편견으로 능력 있는 여성인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국가경쟁력과 국가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지털시대의 도래는 여러 분야에서의 새로운 여성적 리더십을 요청하고 있지만, 우리사회는 아직까지 이러한 변화의 물결에 올바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 글로벌 한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여성적 리더십 정립을 위한 논의들의 적실성이 놓여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시대에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여성적 리더십에 대해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왜 여성적 리더십이 문제가 되는지, 여성적 리더십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분석과 남성적 리더십과의 차별성에 대한 고찰이 우선되어질 것이다. 또한 여성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정책과 전략의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방향의 여성적 리더십 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is often called The Women s Generation. Values, sensitivity, sense of movement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women have come into the light, and what has been hidden in the past is now being reopen to the present in a different point of view. With the increase of women participating in the society, the society s interest in feminine leadership is also rising. In addition, the question of how we can efficiently bring up a feminine leader has come up. The digital generation has been demanding for feminine leaders in various fields, but it is a fact that our society has not been dealing well with this kind of matter. We are at the point where we should be discussing the suitable feminine leadership for global digital generation. The following paper will be viewing the newly rising feminine leadership matter in the digital generation. To do this, we will first take a look at what feminine leadership is, why it has become an issue, and see how it is differentiated with male leadership. Also, there will be a good look over the policies and strategies in developing the feminine leadership to step toward the solution of developing the feminine leadership.

      • KCI등재

        IT 서비스 기업 맥락에서 여성적 리더십에 대한 주관성 분석

        백평구(Pyoung Gu Bae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 조직 맥락에서 여성 관리자의 여성적 리더십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고 조직 내 여성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적자원개발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IT 서비스 부문 대기업 A사의 직원 18명을 대상으로 여성 관리자 리더십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였다. 주관성 분석을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여성 관리자 리더십에 대한 네 가지 관점을 도출하였다. 유형1은 ‘조직문화 변화 주도형’으로 여성 관리자의 능력을 인정하며 고유한 특성을 보유한 여성 관리자가 남성 중심의 조직에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유형2는 ‘대안적 리더십 추구형’으로 여성 관리자가 직면한 리더십 장벽에 주목하면서도 남성 관리자 중심으로 정의된 리더십과는 다른 여성적 리더십의 존재와 의의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유형3은 ‘리더십 장벽 극복형’으로 여성 관리자가 직면한 리더십 장벽에 주목하면서 현재 조직의 여성 관리자들의 리더로서의 능력을 신뢰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유형4는 ‘남성 중심 조직 적응형’으로 여성 관리자의 남성 중심 조직 운영에 대한 적응을 지지하였다. 유형별 특성과 유형 간 차별성에 대한 검토 결과에 비추어 봤을 때, 조직 내 인적자원개발 실천은 기업 조직 여성 관리자들이 자신만의 고유한 리더십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조직을 변화시키는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향후 조직 내 여성 관리자에 대한 리더십 프로그램에서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공존을 지향하는 젠더 중립적 접근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ubjectivity of feminine leadership from the corporate context and to draw upon implications for HRD practice.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study, Q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18 employees’ Q sorts as the viewpoints on feminine leadership from a Korean IT(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Four types of people’s points of view on feminine leadership in corporate contexts emerged from this study. Type 1 indicated ‘leading changes for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acknowledged the female leaders’ capability and expected them to drive organizational change from male-centered organizations. Type 2 represented ‘pursuing alternative leadership’. It focused on the presence and significance of feminine leadership while acknowledging the leadership barriers of female managers. Type 3 focused on ‘overcoming leadership barriers’. Participants in this type paid attention to leadership barriers of female leaders, but at the same time, they trusted the female managers’ ability as leaders in their corporation. Type 4 represented ‘accommodating with male-centered organizations’, which advocated for female managers to adapt themselves to male-centered managerial practices. In conclusion, HRD in organizations needs to assist female managers in the corporate sector to specify their genuine leadership role and to take the lead of organizational change for enacting feminine leadership. In addition, HRD interventions such as leadership programs and workshops may be extended to strengthen the gender-neutral approach toward co-existing masculinity and femininity.

      • KCI등재

        천주교 여성 지도력의 특성과 한계

        강영옥(Kang Young Ok) 한국종교학회 2010 宗敎硏究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tudying the intrinsic Catholic source of feminine leadership in the perspective of dogmatic theology. In fact, extraordinary feminine leaders have been existed in history, but theories about feminine leadership came out since 1990’s. The one of elements that consist human conscious structure comes from religious-cultural tradition. A new perspective of feminine leadership regarding experience of women and wisdom of ancestors in religious-cultural tradition by ages can be illuminated rather than just feminine characters determine the feminine leadership. This article researches the process how the feminine leadership theories have developed in modem times. Then, the article argues the source of Catholic feminine leadership perspective on the basis of John Paul II’s apostolic letter Mullieris dignitatem-on the dignity and vocation of women(1987). The source of Catholic feminine leadership in this article consist in three elements: dignity of women by image of the God, vocation of women as motherhood-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s the spirituality of Catholic leadership.

      • KCI등재

        A Trend of Feminine Leadership Research (1998-2018): - A Perspective of Traditional Leadership Crisis due to Social Change -

        Seong Chan Park,Eun Ha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10

        본 연구는 여성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최근 20년간의 국내에서 발표된 여성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36편을 선별하여 전반적인 연구 현황,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기관 및 조직의 여성대표이었고,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한 형태도 시도되었다. 연구주제는 여성적 리더십의 속성을 탐색하고,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과 변인들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을 다양한 조직에서 리더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여성들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현장 상황을 반영하여 연구주제와 목적에 맞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여성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나 여성적 리더십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research trend of feminine leadership for the past 20 years in Korea. We identified 36 studies on feminine leadership and categorized them by subjects, methods and typ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udy subjects were relatively limited, and a qualitative method was dominant in conceptualization of feminine leadership. The effects of feminine leadership on various factors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research subjects need to be extended to a wider range of various organizations and facilitates. Second,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topic and purpose of research. Third, it is crucial to conduct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ools that can measure feminine leadership.

      • KCI등재

        여자대학생의 리더십 잠재집단 유형과 남성성, 여성성, 자아존중감 및 성격 5요인의 관계

        하문선(Ha, M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2016년 10월~12월, 4년제 대학의 여자대학생 454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여자대학생의 리더십에 대한 잠재집단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리더십에 대한 잠재집단분석 실시 결과, 4집단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최 종 판단되었고, 각 잠재집단은 리더십-우수 집단(4.6%), 리더십-양호 집단(46.3%),리더십-부족 집단(43.6%), 리더십-심각 집단(5.5%)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리더십의 각 잠재집단 유형 간 남성성, 여성성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다변 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성은 리더십-우수 집단이 가장 높았고, 여성성은 리더십-우수 집단과 리더십-양호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은 리더십-우수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리더십의 잠재집단 구분에 대한 성 격 5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향성이 높을수록 리더십-양호집단과 리더십-우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개방성이높을수록 리더십-우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성실성이 높을수록 리더 십-우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친화성이 높을수록 리더십-양호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리더십 수준에 따른 하위 양상과 심리내적 특성을 살펴보고, 리더십 집단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생 리더십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leadership based on questionnaire data of 454 female college students. First, LCA analysis showed that the leadership have four types of latent classes, and the latent classes were classified as leadership-excellent group(4.6%), leadership-good group(46.3%), leadership-deficient group(43.6%) and leadership -serious group(5.5%). Subsequently,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through MANOVA. As a result, Leadership-excellent group was the highest in masculinity and self-esteem, Leadership-excellent group and leadership-good group were the highest in femininity. Final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ig-five personality on grouping of leadership, I conducted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extraversio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eadership-excellent group and leadership-good group, and the higher openness belong to the leadership-excellent group. Also, the higher conscientiousnes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eadership-excellent group, and the higher agreeableness belong to the leadership-good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pecifically the latent classes according to leadership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psychological internal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 KCI등재

        선교적 과제로서의 젠더 통합적 리더십(Gender Inclusive Leadership) 형성을 위한 방안

        박보경(Bokyoung Park)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1 No.-

        이 글은 한국교회가 직면한 수직적, 위계적 리더십 구조를 극복하기 위한 선교적 대안으로서 젠더 통합적 리더십(gender inclusive leadership)을 제안한다. 현대의 한국사회는 교육의 기회에 있어서는 남녀의 차별이 없는 것 같으나 일단 사회 속으로 진출하게 되면 심각한 성차별의 유리천장을 경험한다. 그런데 한국교회 안에서의 성차별의 문화는 사회보다 더 심각하다. 이 글은 이어서 여성의 리더십을 증진하기 위하여 리더십의 발휘에 있어서 여성과 남성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성과 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들은 1980년도부터 본격화되었는데, 특히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더 민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으며,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런 여성적 리더십은 조직문화 안에서 보다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여 의사결정과정에 보다 바람직한 선택을 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여성들이 리더십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토록 함으로써 조직문화의 효율성을 꾀하고 있다. 이런 연구에 기초하여 선교적 과제로서의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함양을 위하여 필자는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형성을 위해서 영적 리더로서 잠재력 있는 여성목회자들을 발굴하고, 여성이 리더십 지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야 한다. 둘째, 여성 스스로의 리더십 역량의 증진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형성을 위하여 여성들에게 필요한 또 하나의 과제는 자기연민과 수동성을 극복하는 것이다. 넷째, 여성적 리더십의 바람직한 모델을 현장의 이야기 속에서 발굴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런 긍정적 여성리더의 이미지를 구축함으로 더욱 구체화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기혼여성 목회자들의 목회영역의 경력단절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온전한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형성은 남성들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This study suggest new gender inclusive leadership as the alternative approach to the hierarchical leadership structure prevalent in Korean churches.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while women obtain the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yet when they enters in the public sphere, they face serious glass-ceiling of gender discrimination. Women were discriminated also in the church due to the highly patriarchal culture. Then the study addres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woman in leadership. The study on women leadership has started during 1980s and continued to develop its components. Overall the study concluded that women's leadership tends to be more democratic and more transformational than that of men. Inclusion of female in the leadership and decision-making process results in successful and effective performance in the management of various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Then, the study had suggested six points to enhance the gender inclusive leadership; first, searching for potential women leaders among women pastors; second, allowing women leader to empower themselves and increase their leadership competence; third, overcoming female stereotype such as self-pity, low- self esteem, and passivity; fourth, developing role-model of women in leadership so that such stories can concretize and inspire other women; fifth, finding a way to solve reentry problems for the married women pastors, and finally, cooperating from male leaders in the churches.

      • KCI등재

        조선후기 양반여성(?班女性)의 생활과 여성리더십 - 17세기 행장을 중심으로 -

        한희숙 ( Han Hee-sook ) 한국여성사학회 2008 여성과 역사 Vol.- No.9

        본 연구는 17세기 양반 여성들의 생활과 그 속에 나타난 여성리더십의 특정을 살펴본 것이다. 17세기로 들면서 조선 사회는 가부장제가 심화되고 가문 내의 결속이 강화되었다. 혼인형태도 친 영제가 확대되면서 여성에게 주어진 기대와 역할은 남성의 영역과는 다른 안채문화 속에서 시집의 가문을 사회적 공동체 내에서 으뜸가는 것으로 이끌어 가는 것이었다. 여성들은 가부장제의 강화에 대응하여 지식수준을 높이고, 가문에 적응하기 위한 능동적 모습을 보여주었다. 부모들은 다른 집안으로 시집을 가는 딸들에게 시집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시켰고, 결혼한 부녀자들은 적극적으로 시집의 가문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여성들은 가문을 유지하고 성장시키기 위해 자손들을 교육하고 성공시키기 위해 적극 노력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녀를 설득시켜 성공으로 이끄는 설득의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또한 17세기의 여성들은 단순히 남성들에게만 의지하여 살았던 것은 아니었다. 여성은 가정 일을 다스리는데 충실했을 뿐만 아니라 남성들이 정치에 힘쓰는 동안 무관심한 집안 경제를 적극적으로 이끌어 가는 治家의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또 여성들은 친인척과 노비들을 관리하는 데에서도 적극성을 보였고, 주변의 불우한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며 돌봐주는 보살핌의 리더십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가문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조상에 대한 제사에 정성을 다하였고, 집을 찾아오는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극진히 대접하는 섬김의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정치나 사회적 활동이 허용되지 않았던 여성 들은 사적 영역 즉 가정과 가문의 생활 속에서 리더십을 실천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지만 자손의 교육 관리, 가산관리, 친인척 · 노비관리, 제사와 손님관리 등 다양한 부분에서 리더십을 발휘했다. 여성들은 여성 특유의 기질을 발휘하며 설득과 治家, 보살핌과 섬김 등 多重的이며 統合的인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17세기 여성들이 경험했던 여성리더십은 이후 18. 19세기 여성리더십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앞으로 만들어갈 탈가부장적 사회에서도 유용한 가치로 수용될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life and feminine leadership of Yang` ban women in the 17th century. With the opening of the 17th century, The Chosun society was facing political instability due to bung`dang and the wars against Japan and China. Theologically, ye`hak began to take root, strengthening ties within families. The expectations and roles given to women were separated from those of men, giving women the purpose of leading the in-house culture so that the family could become the best lineage within the social community. The education of women improved as the 17th century settled in. Parents provided their daughters with good education so that they may adjust well in their new environments after marriage. Married women endeavored actively to adjust to their husbands` families. Women educated their children and endeavored to rear their children to success so that they may maintain and expand their families. The Yang`ban women would never throwaway their dignity, even if their families declined. They would not stop rebuking their children even if they had already succeeded. The women of the 17th century did not simply rely solely on their husbands. Women were not only faithful in commanding the housework, but also led the family economy, while their husbands concentrated on politics and left their family treasuries to be. The yang` ban women also showed leadership in managing relatives and servants. Women managed the relatives and servants of the family, and also showed deep compassion towards people who were in difficult situations around them. They also poured all their hearts in preparing ceremon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and in preparing liquor and food for guests who visit the house. Women represented servant leadership. Yang`ban women were fundamentally prohibited from advancing into public society, and they recognized their roles as within the private sectors. Since women were not allowed any political or social organizational activities, they practiced leadership within their lives in the family and lineage. Women showed leadership in the various areas of educating their children, managing family assets, managing relatives and servants, and administering ceremonial services and guests. Women exercised unique feminine talents to show multi-layered and integrated leadership in the areas of persuasion, support, caring, and serving. The feminine leadership that the women of the 17th century experienced became the index for feminine leadership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was accommodated as a valid value.

      • KCI등재

        ‘여성 감독’의 탄생: 미디어가 박미희/이도희 감독을 재현하는 양상에 대한 젠더 및 여성주의 관점의 비판적 논의

        서재철,문민권,박찬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는 여자 프로배구 V리그 흥국생명과 현대건설의 감독직을 각각 맡아 지도하고 있는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의 등장과 활동에 주목하고, 미디어를 렌즈로 삼아 그녀들의 등장이 한국의 스포츠 세계와 사회 속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작업이다. 무엇보다, 미디어가 ‘이야기’하는 박미희/이도희 감독의 모습, 표상, 이미지 등은 ‘여성’, ‘지도자’, ‘리더십’과 같은 주제와 현상들이 접합하여 관계 맺으며 만들어내는 젠더와 관련된 의미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는데 유익한 텍스트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미디어가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러티브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고, 그것을 다시 젠더와 여성주의의 관점 아래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논의하였다. 필자들의 주장은, 미디어가 ‘여성(female)’의 성별(sex)을 가진 스포츠 지도자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을 이른바 ‘여성 감독(women coach)’이라는 특정한 집합적 표상으로 발명, 조탁, 주조한다는 것이다. ‘여성 감독(women coach)’이라는 집합적 표상은 일련의 특정한 의미와 상징들이 조잡하면서도 일관성 있게 결합(discursive construction)되어 있는 하나의 상징적 주체인데, 그것은 크게 두 가지 내러티브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을 한 개인으로서의 전문인(지도자/감독)이 아니라 ‘여성(women)’으로 집단화하여 이야기한다는 점, 그리고 다른 하나는 두 감독들의 외모, 성격, 특징, 리더십 등을 이른바 ‘여성적인 것(the feminine)’으로 프레임하여 묘사, 표현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하기’의 방식을 통해 만들어지고 구성되는 ‘여성 감독(women coach)’이라는 상징적 주체의 탄생, 이것이 바로 ‘박미희/이도희 감독’이라는 텍스트가 미디어를 통해 우리에게 다가오는 문화적 의미의 핵심 골자이다. 만일, 가까운 미래의 언제부터인가, 스포츠 세계 속에서 ‘여성 감독(women coach)’이라는 기표가 마치 하나의보통명사처럼 이미지화되어 떠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면, 아마도 박미희와 이도희 두 감독에 대한 미디어의 내러티브가 그러한 ‘이야기하기’를 역사적으로 발원하여 추동시킨 계보학적 기원으로 회자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how the media describe, portray, and represent Mi-hee Park and Do-Hee Lee, female ex-volleyball players each of who has now played a role of head coaches in the Korean women professional volleyball league. In terms of method, this paper is informed by Susan Birrell and Mary McDonald’s Sport-Reading-Project, a critical and interpretive approach for exploring cultural meanings of sport-related individuals or incidents through mediated narratives at the articulation of power relations. Thus, we ‘read’ Park and Lee as cultural texts through which investigates how the capillaries of political, historical, social, cultural power lines are embedded, inscribed, and incorporated in terms of gender relations in Korea. Our argument is that the media discursively constructed Park and Lee as a mixed image of the iconography, ‘Women Coach’, by highlighting three points: 1) to celebrate them historical heroins that broke glass ceiling in the field of sport-coaching as a male preserve, 2) to characterize them as women leaders who have and perform ‘feminine leadership’ or so-called ‘mommy/sister leadership’ that refers to feminine attributes or traits such as heart-warming, inclusiveness, kindness, caring, horizontal relationships among players, and so on, and 3) to collectivize them as one of women coaches or all women by designating them as a role model or assigning other missions for the group of women including women coaches. As a conclusion, we deconstruct these media narratives, focusing on why this construction socially and culturally problematic, and how one needs to be critically aware of this politics of representation.

      • KCI등재

        Reading Androgynous Leadership in Fairy Tales: ‘The Goose Girl’, ‘Brother and Sister’, and Shrek

        박소진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Asian Women Vol.29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androgynous leadership, regarding fairy tales and a modern cultural product that has links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Androgynous leadership’ has been defined in diverse and often conflicting ways. In this paper; it is basically seen as being the inner ability for one to understand diverse (often conflicting) desires and aspects within oneself, to make a balance among them, and to achieve inner peace and integrity, although that peace and integrity is understood as a fluctuating and ongoing process rather than a permanent and fixed state. This concept of androgyny is a recurring motif that can be discovered in fairy tales, which are the oldest forms of stories in history. This paper focuses on ‘The Goose Girl’ and ‘Brother and Sister’, two of the older and simpler fairy tales from the Grimm collection, and on the film Shrek. The main character in ‘The Goose Girl’ shows a correspondence between her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the importance of balancing femininity and masculinity for a person’s ultimate happiness. In ‘Brother and Sister’, the sister and the brother illustrate cooperation between the Freudian concepts of the id and the ego,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super-ego. Shrek is full of images and motifs of androgyny in terms of plot, characters, images, and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