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양오염부지의 환경매체 연계관리 방안

        황상일 ( Sang Il Hwang ),양경 ( Kyung Yang Et Al ),박용하,정아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Korea has mainly been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oil contamination and some groundwater contamination. However, given the pollutant spread between adjacent environmental media and the receptors affected by pollutants,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should be conducted in a linked management instead of individual media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a system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the medias such as soil, groundwater, surface water, and atmosphere of contaminated sites escaping from the existing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media laws. Although many stakeholders are aware of the need for this, there is little detailed research on the specific situation regarding relevant policies under the existing media law and future direction.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anagement status of contaminated sites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each environmental media in Korea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system to solve the problems.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ontamination control procedures such as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contamin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aws and cases by relevant environmental media that can be affected by contaminated soil. Although soil and groundwater are closely intertwined the most, contamination management is carried out under individual laws. Also, there is a lack of links between the statutes, resulting in blind spots in the management of the investigation, cleanup, etc. In case where the precise survey of soil and groundwater is conducted, the possibl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sprea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al media is subject to investig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legal basis regarding follow up on contamination found in surrounding environmental media.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cause of contamination and the contaminant to be managed n accordance with each environmental media law, even if the contaminant is to be removed or managed. Even if the remediation is carried out, problems such as re-contamination due to differences in cleanup levels by environmental media laws may occur. In Washington, the USA, and Alberta, Canada, there are not only laws for each environmental media, but also an integrated law for managing contamination of each environmental media in contaminated sites, making this problem less likely to occur. There is a system to manage contaminated sites from a human and ecological risk perspective. Although there is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soil contamination in Korea, it is not activated due to the systematic limitations on the application of risk assessment, risk assessment techniques and risk management procedures.Taking the aforementioned current status into account, four alternatives were proposed to resolve the problems and improve policies towards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instead of individual environmental media. The first measure i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soil and groundwater management. It complements the legal basis of each law related to contamination detection,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the 「Groundwater Act」. In the same way as in the first case, the second plan i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soil and groundwater management. In the 「Groundwater Ac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etection,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re transferred to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at enables integrated management of soil and groundwater to be realized. The third plan integrates contents related to the detection, investigation, remediation and management in individual laws on environmental media of contaminated sites such as soil, ground water, surface water, and air quality, and incorporates the contents into the new chapter on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e fourth plan is to establish a new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Act」. It is a plan to establish a law on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by separating and integrating contents related to contamination detection, investigation, remediation and remediation responsibilities among relevant laws of individual environmental media such as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Groundwater Act」. This is the transition toward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the risk of the recept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lternative, the first alternative, which can solve problems on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relative easily and quickly, is likely to be feasible in the short term. In the long run, it would be desirable to switch to a system proposed in the fourth alternative, which allows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rather than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environmental media. 우리나라에서 오염부지에 대한 관리는 주로 토양오염, 그리고 일부 지하수오염을 중심으로 실시되어 왔다. 하지만 인접해 있는 서로 다른 환경매체 간의 오염물질 확산 및 오염물질에 영향을 받는 수용체 관점에서 볼 때 오염부지의 관리는 단순히 개별 매체에 대한 관리가 아닌 매체별 연계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 토양·지하수 등 매체별 법에 따른 오염토양·지하수 관리에서 토양·지하수는 물론 오염부지의 지표수, 대기 등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매체를 통합하여 연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서는 관련된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그동안 기존 매체별 법에 따른 정책 및 제도가 실행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현황 파악 및 정책의 전환 방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연구된 내용은 부족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오염부지의 환경매체에 대한 개별법에 따른 환경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현 상황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토양오염이 발생한 상황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환경매체별로 오염의 조사, 정화 등 오염관리 절차의 현황에 대하여 관련 매체별 법령과 사례 분석을 통해 현 제도의 미비점을 분석하였다. 토양-지하수는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별 법령에 따라 오염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며, 각 법령의 연계도 부족하여 조사, 정화 등의 절차에서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토양 및 지하수에 대한 정밀조사 시, 주변 환경매체로의 확산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주변 환경매체에서 오염이 발견된 이후의 후속 절차에 대해서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환경매체의 오염제거, 정화 등을 실시하고자 하더라도 각 환경매체별 법에 따른 관리대상이 되는 오염원인의 차이, 오염물질 항목의 차이 등의 문제가 있으며, 정화가 실시되더라도 매체별 정화수준의 차이로 인한 재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워싱턴주, 캐나다 앨버타주 등에서는 각 환경매체별 법령뿐만 아니라 오염부지 내에서의 각 환경매체별 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법이 존재하여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적으며, 인체 및 생태위해성 관점에서 오염부지를 관리하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도 토양오염에 대한 위해성평가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나 위해성평가 적용 대상의 제한, 위해성평가 기법 및 위해관리절차 등에 대한 제도적 미비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이와 같은 현황을 반영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염부지관리로의 정책 전환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4개의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1안은 토양-지하수 관리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으로 「토양환경보전법」과 「지하수법」의 오염 발견·조사·정화와 관련된 각 법의 근거 조항을 보충하는 내용이다. 2안은 1안과 마찬가지로 토양-지하수 관리의 연계를 강화하되, 「지하수법」 내에 지하수의 오염 발견·조사·정화와 관련된 내용을 「토양환경보전법」으로 이동하여 「토양환경보전법」 내에서 토양과 지하수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적인 오염부지 개념을 적용하여 관리하는 방안이다. 3안은 토양, 지하수에 더하여 지표수, 공기질 등 오염부지의 환경매체별 법령의 오염 발견·조사·정화와 관련된 내용을 통합하고, 이를 「토양환경보전법」 내에 오염부지의 관리와 관련된 장을 추가하는 방안이다. 4안은 가칭‘오염부지관리법’을 신설하는 것으로 기존 「토양환경보전법」, 「지하수법」 등 환경오염관리법령 중 오염 발견·조사·정화·정화책임과 관련된 내용을 분리·통합하여 오염부지관리에 관한 법을 신설하는 방안으로, 본격적인 수용체의 위해성을 중심으로 한 오염부지관리 체계로 전환하는 내용이다.각 대안별 특성과 장단점을 고려했을 때, 많은 문제점들을 비교적 쉽고 빠르고 해결할 수 있고, 이해관계자들에게서 많은 수요가 제기되는 1안이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적으로는 각 환경매체별 관리가 아닌 오염부지의 오염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4안의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 프로토타입 개발

        권성호,신영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웹에서 미디어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웹 기반 미디어교육의 설계를 위하여 구성주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시하는 탐구기반학습을 교수-학습의 원리로 하여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살피고, 설계 원리와 전략,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토타입은 미디어 제작과 분석이 탐구를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디어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제작에 대한 직접적 경험과 성찰, 전문가 모델링을 이용한 성찰로 지속적인 사고를 하는 탐구순환과, 협력활동과 개별지식구성이 이어지면서 지식 구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웹에서의 다양한 자원들을 이용하면서 활동을 위한 비지시적 안내를 통해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하고 다양한 시각을 접하면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프로토타입은 앞으로 웹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에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of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WBLE) for media education. The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is increasing in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where learners' abilities to use media is strongly demanded. Media education is to develop media literacy, which means that learners can evalu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media in a critical mind and communicate and express their ideas in creative ways. In the media environment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media education must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et space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nd people's expectation for educational effects result in high demands for Web-based media education.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media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position of constructivism. Seeing from the posi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vides learners with learning materials and tools so that they can study by themselves what they want to learn. The Web has potential by nature for realizing learning environment fit for constructivism.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rototype of WBLE for media education, taking inquiry-based learning on the basis of constructive epistemology as the learning principle in designing WBLE for media education. The design principles of WBLE on the basis of inquiry-based learning promote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inquiries and reflections on direct experiences, and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Finally, learners are guided in resource utiliz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and given directions of learning. This study developed WBLE prototype for media education that determines and reflects design strategies in consistency with the design principles of WB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education and inquiry-based learning. The developed prototype of learning environment includes 'media room' containing elements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collaborative room'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my room' related to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Learners' asynchronous communication, learning materials and results, and resources and links in 'resource room' , which are managed in DB, provide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to learner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learning through underlying guidance in 'inform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developed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set topics for inquiry, collaborative to produce media expressing the topics, and manage learning process and schedule by themselves. They continue to reflect through expert modeling while acquiring information about how to produce media from 'media producing process' in 'media room' and analyzing existing media products in 'media inquiry' , and on the other hand, they engage in cyclic inquiry through practicing producing and exchanging influence and develop media literacy. This study proposed WBLE for media education, but it must be improved and complement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First, there should be a plan to induce and motivat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Second,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learning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veloped learning environment. Third, experimental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by refining the prototype into an actual system

      • KCI등재

        미디어 문학 환경의 아동문학교육

        한명숙 한국문학교육학회 2003 문학교육학 Vol.12 No.-

        In this paper we examined that thinking change of media literature in a media period as changes of literary environment, and observing media literary environment, considering change aspects of juvenile literature from those environment. And we analyzed how juvenile literature was influenced by these change. We searched for and presented ways to improve of juvenile literature and juvenile literature education. Appearance of various media bring into not 'end of books' or 'death of literature' but formation of new literary environment. Media gave birth to hypertext literature and the internet literature as digital literature. And it let diversity types of literature like electronic literature, visual literature, oral literature, printing literature produced. And printing literary works are important cause of its visualization effect. Readers' literary activities are also changing. These changes caused 'variation of quantity and quality' of literary experience process in searching and choosing literature, in admitting and appreciating literature, in creating and circulating literature. These media literary environment give juvenile literature new environment. We can cognize them from: developing of illustrated story books, a phenomenon that children become reader as writer , distinctions of oral literature 'non-facing, one-sided', visualized appreciation, change of searching and choosing works, admitting and appreciating works, creating and circulating works. Especially change of literary activities by the Internet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earch and choose without limit. It is also possible to share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And there can be free and positive criticism to personal creations. Juvenile litera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for juvenile must make good use of media literary environment. We can find it in diversity of literary experience, effectiveness of holding interests, easiness of group appreciation, creative communication. If we understand media literary environment properly and get it reasonable, we can attract chlldren to the world of literature, create children s world which give chlldren joy. We make juvenile literary pulling up to useful education. Juvenile literature solve problem which exist in this time. And for the first of all, preparing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rogram of media literature is important. Second, principles of literature activities are taught in media literary environment. Third, it is required to find interaction method with works in media literary environment. Fourth, the definition of readmg must revise it reflecting the media area. Fifth, we must use visual literature in literature education. Finally, we must receive education for creation positively. When we make a word metaphorically, as Mcluhan did, media is environment. The Internet is also environment. And media literature and the Internet literature can be parts of juvenile literature. Whether it is media literature or the Internet literature, it is important that m d a and the Internet is environment. So we must study media environment itself before we study media literature and the Internet literature. These process is good for further study. So we must understand media literature for children, prepare educational program for literary experience on the Internet. But this paper deals with media literary, basically juvenile literature aim at printing media centered juvenile literature education. Though media literature have many merits, juvenile literature must focus on affection and communication with persons. But children live in both multimedia period and printing period. So they experience many kinds of literary works. It is the problem that this paper concentrate on.

      • KCI등재

        현대 미디어(Media) 기술이 만든 환경에 의해 변화되는 인간의 인식 방식에 대한 환경철학적 고찰 - 마셜 맥루언의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을 중심으로 -

        김민수 ( Kim Min-su ) 한국환경철학회 2017 환경철학 Vol.0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Media) 기술의 발전이 만든 인공적 환경이 인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큰 기획에 따라 이루어졌다. 본 논고를 통해 논자는 현대 미디어 기술이 만든 환경이 인간의 인식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할 것이다. 그리고 이 주장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서, 인간의 인식 방식의 변화에 대한 환경철학적 관점의 비판적 고찰을 시도할 것이다. 이 연구의 과정에서 미디어 환경에 의해 변화 되는 인간의 인식 방식을 우리들이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담론을 전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논고에서 논의의 핵심을 전개하는 데에는 현대의 미디어 기술에 중요한 논의의 틀을 제시한, 마셜 맥루언(Marshall Mcluhan)의 주장과 예시적 설명들을 참고할 것이며, 아울러 그에 대한 해석을 제시할 것이다. 세부적인 연구 내용 및 논의 전개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다루어질 것이다. 첫째, `환경`에 대한 새로운 연구 관점의 변화가 필요함을 서술할 것이다. 둘째, 미디어 기술이 만든 인공적 환경에 의해 변화되는 인간의 인식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제기할 것이다. 미디어 기술에 대한 마셜 맥루언의 독창적인 문제의식을 함께 고찰 하면서, 이를 그의`미디어는 메시지이다.`는 명제를 통해 제기할 것이다. 셋째, 미디어 기술에 대한 맥루언의 비판적 관점이 담긴 감각 마비의 가능성에 대해 환경철학적 관점의 비판적 고찰을 전개할 것이다. 위와 같은 논의 전개를 토대로, 결론적으로, 논자는 미디어 기술이 변화시킨 인간의 인식 방식에 대한 실천적·반성적 비판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그리고 `지구촌` 환경 속 인간의 미래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비판적 고찰이 오늘날 강하게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based on a large project to study how the artificial environment created by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affects human life. Through this article, the author will raise the argument that the environment created by modern media technology is changing human perception. And I will make critical review the environmental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changes of human perception method,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In this study, we will develop a new perspective on how we should interpret human perception that is changed by the media environment. In this paper, the author will refer to Marshall McLuhan`s arguments and illustrative explanations, which provide a framework for important discussions of contemporary media technology, and to give an interpretation of them in developing the core of the discussion. The details of th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 will be largely dealt with in the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it will describe the need for a change in the new research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 Second, it will raise a new discourse on human perception method that is changed by artificial environment created by modern media technology. While considering Marshall McLaren`s original problematic awareness of media technology, it will be argued through his proposition that "media is a message." Third, I will develop a critical review of the environmental philosophical viewpoint on the possibility of the sensory paralysis that contains McLuhan`s critical viewpoint on media technolog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writer wil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actical and reflective criticism of human perception that media technology has changed. We will also emphasize that our interest and critical review of the future of human beings in a `global village` environment is strongly demanded today.

      • KCI등재

        다매체 활용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세화(Sehwa Kim),이상원(Sang-Won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08 環境 敎育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various instructional media on pro-environmental attitudes of for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apply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various instructional media.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stud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cquired a higher level of pro-environmental attitudes than the control group di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various instructional media used in this study were effective especially in dealing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subdomains such as verbal commitment, actual commitment, affec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various instructional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al concerns and needs for learn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Second, the group b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various instructional media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1) on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s as it proved those are effect on 3 subdomains of verbal commitment, actual commitment and affect. Thir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various instructional media had a positive correlation(from 585 to .680) among the 3 subdomains of verbal commitment, actual commitment and affect. So, students who hold verbal commitment showed good effect on the actual commitment and affect.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various instructional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 pro-environment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demanded that more intensive research on this study should be done, linki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s a follow-up activity.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무용교육 콘텐츠 사례 연구

        문영 ( Young Moon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5

        과학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기기가 보편화되어 있는 오늘날 다양한 융합연구 중에서도 예술과 과학기술간의 융합은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창의적인 대안으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현대사회는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손쉽게 이용가능한 통신서비스 그리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웹2.0의 도입과 함께 단순히 정보를 제공받는 것에서 발전하여 누구나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미디어 매체를 통한 표현의 기회가 증가하였으며, 수집되는 정보의 양은 방대해졌다. 즉 미디어는 자신을 표현하는 매체이며, 사회와 소통하는 매개이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미디어를 활용함과 동시에 다양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분별하며 해석할 수 있는 능력, 즉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능력이 요구된다. 미디어교육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미디어리터러시(media literacy)능력의 강화이다.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술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무용영역으로의 미디어의 수용가능성과 미디어를 활용한 무용교육과 관련된 연구나 사례보고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양성 및 선진교육 실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미디어를 활용한 무용교육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결여되어 있는 움직임 영역의 활동이 수반된 다양한 형태의 교육사례를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으로 움직임을 자극하는 체험형 미디어 아트 전시사례와 연극과의 접목을 통해 마임수준의 움직임 활동이 포함된 사례, 움직임 표현에 중점을 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서 미디어를 활용한 무용교육 사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매체 조작 및 미디어 제작능력 강화와 함께 미디어를 활용한 의사소통능력 및 미디어 기반 사회의 문화와 현상을 해석하는 능력함양에 목표를 둔 무용교육 콘텐츠가 존재는 하나 미디어와 무용분야의 전문성을 고루 갖춘 전문 인력의 부재와 지속적 운영을 위한 재정지원의 부족으로 단기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회전반에 걸쳐 미디어를 활용한 무용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교육콘텐츠의 확산과 지속적인 운영을 위하여 전문인력 양성 및 관리시스템의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적 차원의 발전적 방향 탐색 및 콘텐츠의 다양화 및 선진화의 기반마련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In these days of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generalization of digital device, among various convergence researches, the importance of converging between an art and the scientific technology stands out as a creative alternative in response to our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With the supply of smart equipments, the easily usable network service, and the introduction of web 2.0 which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our modern society developed from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point where everyone can produce and share by an internet. Therefore, the chance to express oneself through the media has been increased, and the quantity of collected information is enormous. In other words, the media is the medium to express oneself and to communicate with society. Therefore, our contemporaries are required to have the ability to accommodate, differentiate, and interpret diverse information critically by using media, which is called the media literacy skill. The purpose of the media education is to strengthen the media literacy skill focusing the communication as mentioned above. The media education is the process of preparation for changing media. Moreover it is an education to equip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omposition, assessment, analysis, accommodation, creation and intercommunity to keep the relationship of assimilation, control, and equilibrium with the media environment. These kind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has many case studies that are in progress with the art as the central area, but the research or the case study regarding the media acceptability within the dance or the dance education using the media is very slight. Therefore, as a basic experiment for cultivating men of ability and fulfilling an advanced education of what this generation wants, this research introduce the case study of the dance education using the media and analyze the content. This research shows various case studies containing the activity of movement that what general media literacy education lacks of. More specifically, it shows the case study containing the activity of movement such as mime through the convergence between the media art hands-on exhibition that excites the movement and the play, and also the dance education case study using the media as a media literacy education focusing on expression. As a result, the dance education contents,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media, and aiming for the communication skill using media and analyzing skill of a circumstance and the culture of the society based on media with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make the media and manufacturing the medium are present. However, most of them are running in short terms because they lack the professionals of media and dance field, and also lack financial support to run continuously. Throughout the society, as the importance of the dance education using the media is emphasized and the needs of it increased, we need to cultivate men of ability and build the foundation of an administration system for continuous operation and spread of an education contents. In addition we need to search for an educational development, variety of contents, and an advanced foundation.

      • KCI등재

        미디어생태학의 연구경향과 의의에 대한 고찰

        김성벽 한국소통학회 2004 한국소통학보 Vol.3 No.-

        본 연구는 환경으로서 미디어(media as environment)에 대한 연구, 즉 미디어생태학의 연구경향에 대한 것이다. 미디어생태학은 미디어를 사회변동의 핵심적 요인으로 상정하며,사회에 대한 미디어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관심을 집중한다.미디어 자체의 본질적 특성에 의해 형성되는 보이지 않는 환경(invisible environment)에 주목하는 것이다. 미디어생태학은 그 이론적 발전에 있어서 아직은 유아기적인 상태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최근 과학기술의 급속한 변화에 대한 성찰적 사유(thoughts of self-reflection)이 확산되면서 메타이론(mete-theory)적,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 연구관점으로서 미디어생태학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의 경우 정보통신기기(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의 국제적인 테스트마켓(international test-market)으로서 주목받을 만큼 다양하고도 급속한 미디어의 발전과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미디어체계의 변동이 인간의 삶과 사회변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문제는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핵심논제가 된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미디어변화를 고찰하고, 사회변동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는 미디어생태학의 이론적 발전과 그 평가, 연구경향 등을 살펴봄으로써,최근의 미디어 현실을 이해할 수 있는 인식틀로서의 가능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trend of the media studies as environment, namely ‘media-ecology’. On the assumption that media is the main cause of the social change, Media-ecology focuses to examine the impact of media on the society. Media-ecology concentrates on the invisible environment formed by the intrinsic character of media. The theoretical study of media-ecology is yet at the infancy status. However, media-ecology is recently drawing full attention because it provides the mete-theoretical and interdisciplinary point of view. The viewpoint of these sorts has obtained importance as self-reflective development in science is getting importance. In Korea, varied and fast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media is taking place. Korea is gathering attention as an international test-marke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fore, It is a core theme of the study of communication of the impact of media shift on the human life and social change. It is now critical to study the media shift in the macro-viewpoint and its connection to the social change. Under this cogn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value of media-ecology as a framework of media environment by studying the theoretical development and estimation, trend of media-ecology.

      • KCI등재후보

        융합환경 하에서의 미디어 이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심미선(Miseon Shim) SBS 2008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6 No.2

        본 연구는 소채널 시대에서 융합미디어 환경으로 바뀌면서 미디어 이용행위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살피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은 기존의 논의들을 토대로 미디어 이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두 축, 즉 미디어와 수용자의 관점에서 융합시대 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개념들을 도출해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매체와 수용자 차원에서 미디어 이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개념들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시대에 적합한 미디어 이용패턴을 유형화하였다. 우선 매체차원에서 드러난 특징은 융합환경 하에서 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인 요인은 바로 비용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 수용자 차원에서는 수동적인 수용자 존재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능동성 개념의 확장을 시도하였다. 그래서 제시한 개념이 바로 의례적 능동성과 참여적 능동성이다. 그리고 이런 개념들을 토대로 미디어 이용패턴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런 논의는 융합미디어 시대 미디어 이용행위는 어떤 차원에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jor concepts that could explain the media using patterns in multichannel environment. This paper was focused on finding out not only how these concepts could explain the media using patterns in multichannel environment but also what concepts was more appropriate in examining the media using patterns in multichannel environment. First of all, in media dimen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cost is more important factors in influencing on using media. Next, audience dimension, it confirms that passive audience were not disappeared in converging age and still exited in large scale. And also active audience involve more diverse activities; such as not only selecting media and programs but also up-loading the UCC. The paper suggested that audience activity involved two dimensions such as ritual-active audience, participative-active audience. Finally, according to the media and audience dimensions, we could find out four media using patterns; such old-media centered passive audience, old-media centered ritual-active audience, new-media centered ritual-active audience, new- media centered participative-active audience. This result offers any good perspectives how we approach to media using patterns in multichannel environment.

      • KCI등재

        미디어 생태계 이해를 통한 미디어교육 방향

        조삼섭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toward media understanding, it is not likely to educate media education separately compared to other subjects, given the reality of school curricula which emphasize the college entrance in Korea.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media environment and attempt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media education based on digital media. The media system seem to be neutral institute which do public activities for the mass. In fact the media are constrained by political ideology, media routine, advertiser, and pressure group. The media education should begin the understanding of media ownership and business model to understand how the media earn profit in terms of media management. If we recognize the recent media environment by market driven journalism, media literacy needs to understand the media ownership, and media management. In school,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analyze the media role and media framing through writing as well as reading sector to examine the impact of market driven journalism. Media literacy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by interdisciplinary subjects such as sociology, education, audience psychology, philosophy, information technology and cultural studies given the fact that media convergence paradigm. 미디어의 기능과 이해에 대한 교육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교육은 기존 교과목 외에 새로운 교과로 별도로 분리하여 개설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특히 우리의 현실이 입시위주의 학교교육 환경에서 미디어 교육을 별도로 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소고(小考)는 급변하는 현재 매체환경의 특징을 살펴보고, 학교 교육에서 미디어리터러시의 적용, 디지털 미디어 이해에 바탕을 둔 미디어 교육을 학교 교육에서 적용할 것인지 탐색함이 목적이다. 미디어 조직이 언론이라는 공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매우 중립적인 조직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슈메이커가 설명하는 것처럼 진보 혹은 보수적 정치적 이데올로기, 조직이 가진 관행, 광고주, 압력단체로부터 자유로운 조직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미디어 교육은 우선 미디어의 기본적인 소유구조와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마치 어렸을 적부터 아이들에게 경제교육에 대한 중요성 교육이 필요하듯이 미디어는 기본적으로 어떻게 운영이 되는지, 미디어 경영차원에서 어떻게 수익구조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교육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시장주도 저널리즘의 기반 하에 이루어지는 매체환경을 인식한다면, 미디어 리터러시는 거시적인 차원에서의 미디어 소유구조, 매체경영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한다.

      • KCI등재

        학부모들이 인지하는 자녀의 가정 내 미디어 사용 실태 조사 연구

        전세경,김유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2 No.1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of media at their home, recognized by their parents. More concretely, a focus is basically laid on how the parents recognize the use of media by their children, so as to know differences and/or features of the parents' recognition of their child's attitudes or practices to use of media at home, considering the child's school year and sex and if he/she has a caretaker or not.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he parents have a relatively positive and advisable notion of the actual condition of their children's use of internet and TV. The parents of female children feel less stress and conflict about their use of internet and others than those of male children. In contrast, the parents of female students have more active dialogues and communications with their children than those of males. Meanwhile, it seems that the stress and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used by the use of computers and/or TV usually begin from a time when the children are a middle grader of an elementary school. Moreover, in case the children have no caretaker, they may be exposed to TV and computers more often, which brings about many conflicts. Second, many parents recognize that media education is just an education using media and 64.8% of the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 survey feel that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be trained in the use of internet and TV. 53.4%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if such an opportunity is offered, they would willingly participate in training parents in the use of media.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초등학생 자녀의 가정 내 미디어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학부모들이 자녀의 미디어 사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기본 관심을 두고, 자녀의 학년, 성별 및 돌봐줄 사람의 유무에 따라 가정 내의 미디어 사용 태도나 환경에 대해 어떠한 인식의 차이나 특성을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은 자녀의 인터넷과 TV 사용 실태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이고 바람직하게 여기고 있다. 단, 남아를 둔 학부모가 여아를 둔 학부모보다 자녀의 인터넷 사용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갈등을 더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아를 둔 학부모가 남아를 둔 학부모보다 대화와 커뮤니케이션을 더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컴퓨터와 TV 사용으로 인한 부모자녀 간의 갈등과 스트레스는 초등학교 중학년 정도에서 시작되는 현상으로 보인다. 또한, 돌봐줄 어른이 없는 경우, TV와 컴퓨터에 아이들이 노출될 기회가 더 많아서 이로 인해 갈등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들은 미디어 교육을 미디어를 활용 교육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고, 인터넷과 TV 사용에 대한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은 64.8%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학부모 대상 미디어 교육의 기회가 있을 때 참여할 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53.4%의 학부모가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