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늘의 중국과 大唐帝國의 소환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15 中國小說論叢 Vol.45 No.-

        이 논문에서는 현 시기 중국이 ‘중국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大唐帝國을 모델로 소환하는 이유와 그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고찰의 과정에는 당 제국을 제재로 하는 현대 영상물, 서사와 西安 지역의 지역학을 논거로 들었다. 고찰의 결과 오늘의 중국은 정치, 경제적 대제국만이 아니라 대당제국과 같은 문화제국의 위상을 지향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측천무후, 당태종, 양귀비 등과 같은 대당제국의 역사적 인물들이 오늘의 중국에 필요한 문화 컨텐츠가 되었고 대당제국의 수도였던 서안은 古都 회복의 사업과 신 실크로드 사업의 중심지임을 밝혀내었다. 현 시기 중국이 대당제국을 전략적으로 소환하여 그 결과가 패권국가를 지향할지 아니면 문화대국을 실현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대당제국이 지닌 ‘개방성’과 ‘혼종성’이라는 특성을 중국이 얼마만큼 구현해 내는지에 따라 대당제국으로 가는 ‘중국의 꿈’을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study the reason and meaning that the China of the day recalls T’ang Empire as a model to realize today’s ‘China dream’. In the process of study, I used contemporary Chinese visual media, narratives, Xi’an regional fields about T’ang Empire associated that topic. Therethrough I obtained the conclusion that the China of the day aimed the status as like as T’ang Empire that is not only the great empire in politics and economic fields, but also in cultural fields. So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reason that historial person as Wuzetian, Tangtaizong, Yangguifei of T’ang Empire became cultural contents that are necessary to the China of the day. And explained that the Xi’an city of the T’ang Empire’s capital became the center through restoration of old capital project, construction of new- silk road project. We still don’t know whether the China of the day will aim at dominate nation or great cultural-nation through the strategic recall of T’ang Empire. But, this paper forecasts that representation of ‘China dream’ way to T’ang Empire with realization of T’ang Empire’ character - ‘the openness’, ‘the cultural hybridity’ or not.

      • KCI등재

        중국의 제국몽에 대한 비판적 사유: 비판의 자유 vs. 제국이념의 건설

        고성빈 한국정치사상학회 2020 정치사상연구 Vol.26 No.1

        This paper will try to explain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China’s dream for empire based on the cultural discourse of the Chinese intellectual community. Thus, instead of illustrating the rise and fall of the empire due to the increase and decline of productive power and the hegemony war, this author tries to see the fate of ‘China’s Dream for Empire’ by reviewing cultural discourse in intellectual community. The world of the 21st century is becoming a universal trend of the post-empire and poly-centrism. Unlike the solid modern empire, which focuses on substantive domination by hard power, today’s liquid modern world is a more realistic and desirable prospect of a ‘network empire’ made up of voluntary sympathy of culture and knowledge. This is not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ideology-building project, but the accumulation of small reformative changes in society. The world is increasingly trying to escape the oppressive control of an empire, which is the evolution of the forward direction of human society. Therefore, imperial discourse based on cultural conservatism in China today is contrary to the trend of the times. If China wants to become the desirable empire that the world wants, it needs the freedom of criticism in society. This is a basic condition for maximizing the openness and diversity of Chinese society and developing into a network empire.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China, where freedom of criticism is significantly limited, the possibility of gaining the voluntary sympathy of the world and developing into a network empire in the 21st century seems low. In Chinese terms, you should recall the principle of “you can get the world on the horse, but you can not rule it.” 본 고는 중국 지식계의 문화담론을 근거로 중국 제국몽의 역사적 함의에 대해 추론적 분석을 시도한다. 따라서 생산력의 증대와 쇠퇴, 주기적인 패권전쟁의 승패에 따른 제국의 흥망성쇠를 조망하는 게 아닌, 지식계의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탈제국-다중심시대 중국의 제국몽’의 운명에 관해 전망하려고 한다. 21세기는 탈제국-다중심의 추세가 보편적 흐름이 되고 있다. 하드파워에 의한 실체적 지배를 위주로 하는 고체근대의 제국과는 달리 오늘날 액체근대의 세계는 문화와 지식의 자발적 공감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제국’이 더 바람직한 전망이다. 이는 제국이념의 건설프로젝트가 아닌, 사회의 작은 개혁적 변화의 축적으로 구성되어 자연적으로 도래하는 것이다. 세계는 제국의 억압적 지배기제를 탈피하려는 추세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것은 인류사회의 순방향의 진화이다. 따라서 중국에서 오늘날 진행되는 문화보수주의적 제국담론은 시대적 추세에 역행하고 있다. 반드시 중국이 아닌 어떤 국가라도 바람직한 제국의 길로 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 것인지 검토해 보면, 그것은 생활세계의 ‘비판의 자유’이다. 이것이야말로 중국이 사회의 개방성과 다양성을 극대화하면서 네트워크제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이다. 비판의 자유가 현저하게 제한되어있는 중국을 고려하면 21세기에 세계인들의 자발적 공감을 얻고 네트워크제국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중국식으로 말하자면, “말 위에서 천하를 얻을 수 있으나, 다스릴 수는 없다”라는 원리를 되새겨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한제국기 황성신문(皇城新聞)의 중국 인식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5

        한국 사회에서 중국의 타자화가 촉진된 것은 근대 이후이지만 한국 근대 언론이 한결같이 중국을 타자의 시선에서 인식했던 것은 아니다. 『황성신문』은 한국 근대 중국 인식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적절한 사례이다. 청일전쟁 이후 문명진보의 시각에서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는 가운데 『황성신문』 역시 초기에는 중국의 후진성에 주목하였으나 후기에 가서는 자강의 모델과 연대의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중국을 인식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황성신문』의 중국 인식은 크게 세 시기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 초기의 『황성신문』은 비록 북청사변과 같은 절망적인 중국의 현실과 직면하였지만 한중 양국의 상호적인 문명진보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중국의 개혁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둘째, 중기의 『황성신문』은 영일동맹과 러일전쟁을 계기로 한중 양국에 부과된 현재적 일체감을 적극적으로 내화하여 객체적인 ‘한청’ 개념을 벗어나 주체적인 ‘동양’ 개념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셋째, 후기의 『황성신문』은 한국 사회에서 전개되는 자강운동의 실천적 맥락에서 교육, 식산, 입헌을 중심으로 중국의 근대화를 적극적으로 인식하였고, 미래의 한국 독립을 위한 현실적 연대의 대상으로 중국을 중시하였다. 『황성신문』의 중국 인식은 한국 근대 중국 인식의 중요한 내용으로 중시될 필요가 있다. 특히 『황성신문』의 후기 중국 인식은 일제식민지시기 재중 한국 독립운동의 한중연대의식의 원형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There can be found diverse views of China in modern Korea. Hwangsungshinmun, one of the major mass media during the Great Han empire period, is notable for its emphasis on the kinship of Korea and China in regarding China as Korean neighbor country in the East Asia. Its viewpoint on China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Hwangsungshinmun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China`s reforming herself toward national prosperity in the face of the great failure like the Boxer Rebellion in 1900. That was based on the belief in the mutual progress of Korea and China toward the Western modernization. Second, Hwangsungshinmun tried to find its way to solve the problem on how to recover the independent status of Korea and China in the period of the Anglo-Japanse alliance and the Russo-Japanese war. It proposed that Korea and China should be kept from the protection of England and Japan as well as the threat from the Russia in Manchuria. A triple allianc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gainst Russia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self- strengthening of the those three countries. Last, Hwangsungshinmun tried to show the new China as the model of the modern reformation in Korean self-strengthening movement and also as the counterpart for the Korean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domination. China was regarded as the future of Korea, the most amicable and reliable country for Korea`s fight for freedom, which was full fledged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in the period of the colonial Korea.

      • 中国的‘天下世界’与帝国化设计谈论

        이상만 중국지역학회 2014 중국지역연구 Vol.1 No.1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a TianXiaShiJie(pax-sinica) in that the holistic structuralism perspective and to explores new research questions for the Chinese Empire Project Strategy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 this paper the main issue which I offer is the great transformation of china in the geo-political and geoeconomy level. The process of evolutional development is separated to the struggle era(china 1.0), the manufacture era(china 2.0) and the consumption era(china 3.0). A transition problem in Chinese Socialist System is the fact that china is deeply linked with a new capitalist world-economy system and the world division of labor system in geo-economy level. It regards a China Hegemonic Rising as global hegemonic power shift which was a foundation of economic power. Chinese Power Shift is based on economic growth during 30 years open door policy. I can understand that China’s change and leap have the process of disband, reconstruction, expansion and tolerance through chinese modern history. After Deng’s era, China pursue to a new challenge for global hegemony that calls the construction of China Empire. China is going to continue to evolve from world factory to world consumption market. According to the analysis about the changes of Chinese Socialist System, It would be concluded of the fact that the path of upgrade Chinese Socialist System is the reintegration of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Chinese Government focus on taking hold global economy hegemony and political hegemony. The changes of China’ Socialist System seemed to be related with the proper application of the logic of ‘Hegemonic Cycle’ and ‘Kontratief Cycle’ to illustrate the china dream in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The struggle for global hegemony between USA and PRC is continuing through 21century.

      • KCI등재

        중국의 역사강역 담론과 제국 전통

        김승욱(Kim, Seung-w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3 No.-

        본고는 중국의 역사강역 담론들을 검토하면서 그것이 제국 전통과 관련해서 어떤 논리적 구조와 특징을 갖고 있는지 개괄적으로 검토해본 것이다. 현재 중국 역사강역 담론을 이끌고 있는 주류의 논리는 “18세기 50년대에서 19세기 40년대 이전”의 특정 시기의 판도를 이른바 “역사상의 중국”으로 지칭하면서, 이를 역사강역 서술의 표준으로 삼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논리가 주류가 되는 것은, 그것이 중화인민공화국이 현대중국을 건설해가는 과정에서 직면했던 당면 문제에 대응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그 외연을 구성하는 국가 판도와 인구 구성이 기본적으로 청의 그것을 계승했지만, 그 국가의 내포 면에서 청 제국 내에 존재하던 이질적 요소 특히 ‘비중국’ 요소를 통합해야 하는 과제를 여전히 안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두 국가를 연결해주는 공통 분모를 적극적으로 찾아내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는 단순한 국가 판도의 차원이 아니라 그 국가를 하나의 국가로서 존재할 수 있게 해주는 근원적인 차원의 원리에 눈을 돌리게 했다. 이런 과정에서 이들은 “국가로서의 중국” 외에 지리, 문화, 민족 등 면에서 그 내포가 끊임없이 변화해온 “지역으로서의 중국”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를 통해 역사강역 담론은 제국 전통과 밀접히 연결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강역이 청 제국 전통과 연결되는 과정은 사실 일관되게 추진 되었던 것이 아니며, 양자 간의 분리 또는 통합의 두 가능성을 오가며 실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청 제국 구조의 해체와 청말 排滿 정서 등으로부터 보면, 청제국 전통으로부터의 이탈, 분리의 시도가 오히려 강하게 추진되었던 면도 있다. 결과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강역 구성은 청 제국의 그것을 계승했지만 그 범위 내에 포함된 ‘중국’, ‘비중국’의 이질적 요소들을 통합해야 하는 과제를 여전히 안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때 중국의 역사강역 담론은 결과적으로 ‘통합된’ 판도 내에 존재하게 된 여러 요소들을 사후적으로 봉합하는 논리로서 제시되었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그 속에는 다양한 갈등 요인이 여전히 잠복되어 있으며, 이 점에서 소수민족 또는 주변 민족, 국가들에 대해 대내외적으로 대립, 충돌을 계속 야기할 여지가 많다는 점을 주의하지 않을 수 없다. This research reviews discourse on historical territory and its features and logical structure in relation with imperial tradition in China. Present main theory of Chinese historical territory argues the territory of “the period from seventeen fifties before eighteen forties” entitled “historical China” makes the standard of historical territory in epitome. This theory has formed the mainstream of the discourse because it replied the problems that People’s Republic of China confronte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contemporary China. People’s Republic of China basically inherited Ching in its external composition of territory and population proportion, while it faced the internal task of integrating heterogenous elements especially ‘non-China’ elements latent in Ching empire. Historians needed to actively find the common points to connect the two states. It made them to look for the fundamental principle essential for the existence of state, not simply to concern the matter of territory. They became more interested in “China as a region” undergone internal changes in geography, culture, and demography, than in “China as a state.” In this process, discourse on historical territory has closely co-related with the imperial tradition. The connection of territory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with the imperial tradition of Ching was not the consistent process. It has been tried and tested between two possibilities of parting and integration. Attempt to break away from Ching imperial tradition was rather vigorously pushed forward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Ching imperial structure, anti-Manchu sentiments etc. Though territorial composit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inherited that of Ching empire, it faced the task to integrate the heterogeneous elements of ‘China’ and ‘non-China’ in its range, in consequence. Historical territory discourse of China seemed to be presented as a posteriori logic to encompass various elements ultimately located in ‘integral’ territory. The discourse still involves various conflicting elements, therefore, which can possibly cause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for minority ethnic groups or neighboring states and nations.

      • KCI등재

        중국의 역사강역 담론과 제국 전통

        김승욱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6 No.-

        This research reviews discourse on historical territory and its features and logical structure in relation with imperial tradition in China. Present main theory of Chinese historical territory argues the territory of “the period from seventeen fifties before eighteen forties” entitled “historical China” makes the standard of historical territory in epitome. This theory has formed the mainstream of the discourse because it replied the problems that People’s Republic of China confronte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contemporary China. People’s Republic of China basically inherited Ching in its external composition of territory and population proportion, while it faced the internal task of integrating heterogenous elements especially ‘non-China’ elements latent in Ching empire. Historians needed to actively find the common points to connect the two states. It made them to look for the fundamental principle essential for the existence of state, not simply to concern the matter of territory. They became more interested in “China as a region” undergone internal changes in geography, culture, and demography, than in “China as a state.” In this process, discourse on historical territory has closely co-related with the imperial tradition. The connection of territory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with the imperial tradition of Ching was not the consistent process. It has been tried and tested between two possibilities of parting and integration. Attempt to break away from Ching imperial tradition was rather vigorously pushed forward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Ching imperial structure, anti-Manchu sentiments etc. Though territorial composit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inherited that of Ching empire, it faced the task to integrate the heterogeneous elements of ‘China’ and ‘non-China’ in its range, in consequence. Historical territory discourse of China seemed to be presented as a posteriori logic to encompass various elements ultimately located in ‘integral’ territory. The discourse still involves various conflicting elements, therefore, which can possibly cause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for minority ethnic groups or neighboring states and nations. 본고는 중국의 역사강역 담론들을 검토하면서 그것이 제국 전통과 관련해서 어떤 논리적 구조와 특징을 갖고 있는지 개괄적으로 검토해본 것이다. 현재 중국 역사강역 담론을 이끌고 있는 주류의 논리는 “18세기 50년대에서 19세기 40년대 이전”의 특정 시기의 판도를 이른바 “역사상의 중국”으로 지칭하면서, 이를 역사강역 서술의 표준으로 삼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논리가 주류가 되는 것은, 그것이 중화인민공화국이 현대중국을 건설해가는 과정에서 직면했던 당면 문제에 대응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그 외연을 구성하는 국가 판도와 인구 구성이 기본적으로 청의 그것을 계승했지만, 그 국가의 내포 면에서 청 제국 내에 존재하던 이질적 요소 특히 ‘비중국’ 요소를 통합해야 하는 과제를 여전히 안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두 국가를 연결해주는 공통 분모를 적극적으로 찾아내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는 단순한 국가 판도의 차원이 아니라 그 국가를 하나의 국가로서 존재할 수 있게 해주는 근원적인 차원의 원리에 눈을 돌리게 했다. 이런 과정에서 이들은 “국가로서의 중국” 외에 지리, 문화, 민족 등 면에서 그 내포가 끊임없이 변화해온 “지역으로서의 중국”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를 통해 역사강역 담론은 제국 전통과 밀접히 연결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강역이 청 제국 전통과 연결되는 과정은 사실 일관되게 추진되었던 것이 아니며, 양자 간의 분리 또는 통합의 두 가능성을 오가며 실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청 제국 구조의 해체와 청말 排滿 정서 등으로부터 보면, 청 제국 전통으로부터의 이탈, 분리의 시도가 오히려 강하게 추진되었던 면도 있다. 결과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강역 구성은 청 제국의 그것을 계승했지만 그 범위 내에 포함된 ‘중국’, ‘비중국’의 이질적 요소들을 통합해야 하는 과제를 여전히 안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때 중국의 역사강역 담론은 결과적으로 ‘통합된’ 판도 내에 존재하게 된 여러 요소들을 사후적으로 봉합하는 논리로서 제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속에는 다양한 갈등 요인이 여전히 잠복되어 있으며, 이 점에서 소수민족 또는 주변 민족, 국가들에 대해 대내외적으로 대립, 충돌을 계속 야기할 여지가 많다는 점을 주의하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미・중의 역사 인식 충돌과 한국의 과제

        윤휘탁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1

        China understands the Qing Temple as the history of the Chinese Empire. Additionally, the Manchurian people who founded the Qing(淸) Dynasty arerecognized as being assimilated into the Han Chinese. In response to this, theAmerican school of New Qing history recognizes Qing history as the history of theManchu people(滿洲族) and separates it from the history of the Han Chinese. Chinacriticizes the United States' New Qing history school as a political logic derivedfrom the United States' China strategy to divide China. The conflict in historicalpercep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surrounding the history of theQing Dynasty and Manchuria is intertwined with the United States and China'sperce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and their mutual strategies. In addition, such conflicts remind us of the status and meaning of Manchurianhistory in Chinese history. And the American academic community's perception ofQing(淸) Dynasty is helping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by separating it fromChinese history. Moreover, America’s perception of New Qing history stimulated theChinese government to promote the ‘Qing Dynasty Compilation Project’, ‘NortheastProject’, and ‘Baekdu Mountain Project’. The conflict in historical perceptions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s raising alarm in Korea's perception ofManchurian history.

      • KCI등재

        America Dreams of Modern Chinese Empire: Modern Superpowers, Nation-States and the Imperial Past

        QUARTERMAIN THOMAS NILE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2 평화학연구 Vol.23 No.4

        Since 1912, academics have utilized political concepts from China’s pre-republican histories to better predict Chinas’ national and global ambitions. More recently, comparative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 potential use of historical political models to increase its social and political centrality. China’s pasts play a great role in how people conceptualize Chinas’ futures both within and without China, but the search for the PRC’s place in the evolving global order occurs in a more competitive environment that often misunderstands and misuses the past. Some scholars and researchers have increasingly used the word empire to describe the contemporary ambitions of the PRC and make China appear more antipodal to the USA. However, is the PRC a modern empire in all but name, and are scholars correct in attributing such a loathed description? The choice of empire not only seeks to undermine the legitimacy of the PRC, but also amalgamates various past and present definitions of empire without distinction and clarification. Although the past can act as a guide to understanding contemporary China, the dream of a modern hegemonic Chinese empire based on pre-modern designs should not steer US’ decision-making on its most pressing foreign policy challenge.

      • 대 중국 외국인직접투자의 입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과 시기별 중심으로

        하지청,송가 한중경제문화학회 2015 한중경제문화연구 Vol.4 No.-

        FDI in China begins in 1979 with China's reform and opening-up, which has brought China a great progress in the economic development up to now. For the sake of attracting FDI to China, Chinese government has built several special economic zones around coastal areas and the scale of FDI in China has been greeting its prosperous time since China's entry into WTO in 2001. In 2002, China firstly surpassed the USA and ranked as the first in the world with 52.7 billion dollars of annual FDI. More recently, the actual FDI in 2012 in China was 111.7 billion dollars,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China's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guidance of government, most of the FDI focused on the coastal areas in east of China during the past 30 years.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regional differences, narrow the wealth gap, the FDI in major eastern cities and coastal areas has been gradually transferred to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of China. This study makes a positive analysis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FDI site selection in China, according to the data provided by 29 provinces in the past 28 years. This analysis focuses on all the east, central and west regions of China.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1. In a national scope, the FDI in China is proportional to the GRDP and export, but inversely proportional to salaries and students percentage.2. In the eastern, central and western local scope, the FDI in this three regions is all proportional to the GRDP and the percentage of secondary industry, but inversely proportional to salaries and students percentage. Additionally, the FDI is proportional to the export in east of China, while that is not obvious in central and western regions.3. The study on the three-region interactions shows that the FDI in three regions are proportional and the closer the locations are, the deeper the influence is. Therefore, the conclusion is that relationship of the three regions is not competitive but mutually promo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