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랙션 디자인을 적용한 감성 공간 표현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내 기업 홍보관을 중심으로 -

        김현지 ( Kim Hyun-ji ),문정민 ( Moon Jeong-m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4 No.-

        인간의 본성에 호소하는 감성적 디자인이 중요시됨에 따라 오늘날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모든 결과와 중심에는 인간이 존재하는 인간 감성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감성사회의 진입은 좀 더 체계적인 활동과 원활한 상호작용을 하기위해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정보를 단순히 알리고, 기능과 효율성만 제공하려는 마케팅의 공간으로서의 기업 홍보관은 점차 기업의 입장에서도 개성화 되려하고, 다양화된 일반 대중의 가치관의 변화의 트렌드에 발맞추어 나아가고자 한다. 특히 기업의 인지도 뿐만 아니라 기업이 소비자와 소통하려고 하는 공간을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상업적인 공간으로만 제한되었던 기업 홍보관을 문화와 감성이 충만한 소통의 장으로 재창조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터랙션 디자인과 감성공간이 현대사회에서 갖는 특징과 의미를 해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인터랙션 디자인과 감성 공간의 특성을 알아보고 연계적 키워드를 도출 하였다. 도출된 연계적 키워드를 통해 공간에서 적용되는 특성을 정리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과 감성공간의 연출 방법의 분석틀을 만들어 기업 홍보관에서 나타난 인터랙션 디자인의 특성과 감성공간의 연출 방법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기업 홍보관에 필요한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과 감성공간의 연출방법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 범위로 한다. 그 결과 기업 홍보관은 기업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용자들이 다양한 방법을 공간과 상호작용 하도록 하는 연출을 통해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공간의 곳곳에 인터랙션 디자인을 통한 정보제공 및 경험과 체험을 유도하고 감성공간에 알맞은 연출로 기업 홍보관을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문화 공간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기업 홍보관에서 인터랙션 디자인과 감성 공간연출의 중요한 요소로서 움직임, 공간제공, 외관, 질감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또, 인터랙션 디자인과 감성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채적인 역할로서 오감체험을 통해 감각의 자극을 더욱 극대화 시킨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디자인을 적용한 감성공간 표현 연출을 통해 기업 홍보관은 단순히 기업 브랜드를 홍보하는 수단뿐만 아니라 새로운 감각의 경험과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 혁신과 창조에 기여하는, 새로운 공간으로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As emotional design which appeals to human nature has been emphasized, our society is advancing into human emotional society where humans are in the center of all the results. For such entry into emotional society,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achieve more organized activities and interaction. Thus, business promotion centers as a marketing space which only provides functions and efficiency are changing to meet the trend of the popular. In particular, as companies make an emotional access to space with an intention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the business centers have been recreated as a field of emotional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interaction design and emotional space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For the purpose, the study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and emotional space through bibliographical examination and extracted connective key words. Based on the key words obtained, the study made an analytical framework on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and representational methods of emotional space, and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and the cases of representational methods of emotional space in order to provide theoretical data on the relations between them for business promotion centers. As a result, the business promotion centers are communicating with users through representation with space for interaction in various ways using images of each business. They can be cultural space for diversified communication through appropriate representation that information is provided and experiences are induced through interaction design, experiences are induced through interaction design. In particular, movement, space provided, appearance and texture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elements of interaction design and emotional space representation. Also, it was discovered that our sensory stimulation can be maximized through experiences of five senses as media of communication in interaction design and emotional space. It is suggested that business promotion centers will be a new space which contributes to innovation and creation as a field of new sensory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a means of promoting business brands through representation of emotional space using interaction design.

      • KCI등재

        현대 감성디자인의 표현유형 분석

        이정민(Jeongm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현대는 감성의 특징이 다양하게 탐구되고 적용되는 감성소비의 시대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감성디자인의 다양한 표현유형들을 사회적 패러다임과의 연관성 하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2장과 3장에서 현대의 사회적 패러다임을 4가지 주요 경향으로 제시하였고 감성디자인의 개념과 발달과정을 정리하였다. 그다음 4장에서 사회적 패러다임과 연관되는 감성디자인 표현유형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원주의와 탈중심주의’ 경향의 표현유형은 펀디자인, 개인형 디자인, 참여디자인으로 분석되었고, ‘감성혁명’ 경향의 표현유형은 오감디자인, 친근?호감의 감성을 활용한 디자인, 자극적 감성을 활용한 디자인, 심미적 디자인으로 분석되었다. ‘비물질적 가치관’ 경향의 표현유형은 퍼포먼스형 감성디자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분석되었고, ‘유기체적 세계관’ 경향의 표현유형은 힐링?웰빙의 에코디자인, 감성인터랙티브디자인으로 분석되었다. Contemporary era has witnessed a diversity of emotion and emotions being expressed through consump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adigms and emotional design by means of literature study. In sections 2 and 3, I examine the prevalent social paradigms and the concept/development of emotional design. In section 4, I show the correspondence between social paradigms and specific types of emotional design. More specifically it is shown that pluralism and decentrality has led to fun design, individual design and participative design; emotional revolution has given rise to multi-sensory design, design with positive feelings, design with negative feelings and aesthetic design; non-materialistic values have their correspondence in design as performance and story-telling in design; and organic worldview finds its expression in ecological design with a wellness emphasis, and in interactive emotional design.

      • KCI등재

        감성 충족을 위한 홈 프레그런스 디퓨저 패키지 디자인 개발연구

        김민지,신상윤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3

        More and more consumers want to heal indoors to overcome the COVID-19 blue. The home fragrance diffuser, which provides an emotional experience to consumers by the sense of smell that stimulates emotions due to this phenomenon, requires a design that satisfies emotions to deliver emotions. The purpose of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 of diffuser emotional design through a case study, identify consumers' emotional preferences, compare and analyze with competitor designs, find the direction to develop and move forward, and lay the foundation for diffuser design to satisfy consumers' emotions.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on the theory and applied images derived through diffuser recognition and emotion type preference questionnaire to design based on the emotion-satisfied diffuser case type survey, conducted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designed the final three types of "fineplace" diffusers. Diffuser a high preference for handmade emotional design among the images derived from landscape and story that housewarming presents. Emotions, aroma delivery, interior utilization, and differentiation were all measured higher than competi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ention. Result of the study, consumers were more intuitive about the design using handmade techniques, saw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and developing package designs in various ways with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package designs, and expected to be used as a competitive sales strategy.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고자 실내에서 힐링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 현상으로 감성을 자극하는 후각으로 하여금 소비자에게 감성적 경험을 제공하는 홈 프레그런스 디퓨저는 감성 전달을 위해 감성 충족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 목적은 사례 조사를 통한 디퓨저 감성 디자인 유형을 파악 후, 소비자의 감성 선호 유형을 규명하고 경쟁사 디자인과 비교 분석하여 디퓨저 패키지 디자인이 발전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하는 디퓨저 디자인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 및 방법은 이론에 대해 문헌 조사를 하고 감성 충족 디퓨저 사례 유형 조사를 기반으로 디퓨저 인식 및 감성 유형 선호도 설문을 통해 도출한 이미지를 디자인에 적용, 1, 2차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파인플레이스”디퓨저 최종 3종 디자인을 하였다. 디퓨저는 집들이 선물로 접하며 선호하는 감성은 풍경과 스토리며, 도출된 이미지 중 핸드메이드 감성 디자인 선호도가 높았다. 경쟁사 보다 감성, 향 전달성, 인테리어 활용도, 차별성 모두 높게 측정되었고 주목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 풍경 감성에 핸드메이드 기법을 사용한 디자인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감성을 더 직관적으로 전달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감성 패키지 디자인 전개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을 다양하게 확장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고 감성 디퓨저 패키지 디자인의 기틀을 마련하며 경쟁력 있는 판매 향상 전략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실용 도자의 감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

        왕우철 한국도자학회 2022 한국도자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nd analyze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emotional design theory on ceramic design. Based on the three stages of emotional design proposed by Donald Norman, an American psychologist, this paper selects practical ceramics closely related to People's Daily life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of emotional design and the discussion of excellent cases, I hope to explore the specific way of the combination of ceramic and emotional design theory, which is a new attempt in the field of ceramic design. This paper discusses the theory of emotional design for the importance of the ceramic design, through the emotional expression of emotion, ceramics and emotional design concept and theoretical analysis, this paper expounds the emotional and aesthetic desig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ization, personalization and fashion, and the professor Norman's emotional design on different layers of in-depth study. Finally,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 series of classic design cases, the basic expression types of ceramic emotional design are summarized, and the general method of ceramic emotional design is discussed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which is meaningful from this point of view. 본 연구는 도자 디자인에 대한 감성 디자인 이론의 영향과 의의를 연구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자는 미국 심리학자 도널드 노먼(Donald Arthur Norman)이 제기한 감성 디자인의 세 단계를 근거로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실용도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감성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우수한 사례에 대한 탐구를 통하여 도자와 감성 디자인 이론을 결 합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모색하는 것은 세라믹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시도이다. 본 논문은 도자 디자인에 대한 감성 디자인 이론의 중요성을 탐구하였으며, 감정, 도자의 감정표현 과감성디자인등의개념및이론을해석하였다. 이를통해감성디자인과심미, 조형, 기능성등의 관계를 논술하고 노먼 교수의 감성 디자인 세 단계에 대해 심도 깊은 연구를 전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수한디자인사례의비교분석을통해도자감성디자인의기본표현유형을귀납하고, 이론적시각 에서 도자 감성 디자인을 탐구하였다는 것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감성디자인에 의한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연구

        홍경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The number of factors exist in order to satisfy the completion of product design. Most of all, emotional design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factors. In particular, the next generation of trends in the field is sensory and emotional buying something on impulses are strong. In this study, emotional design trends based on various elements among the products and multiple used that selected the next generation laptop.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emotional design trend elements that how did being utilized, According to this studied the processes that were a direct help to reach design ideas by the design practices. Therefore, the research content of the paper understand the emotional design concept through characteristics of laptop that also analyze and produce emotional design trends based on elements by developing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A Study on the graft should be how to use in the next generation laptop.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to provide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design that based on the essential emotional design trends and analysis by applying emotional design element to the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The scope of study and research methods are and based on the concept of emotional design trends for the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Through this, the scope of research in a way to run a real generation laptop design development process by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trend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development and it is not only about the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development by using on a variety of new product development. 제품디자인의 완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많은 요인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감성디자인 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차세대(Next Generation)들의 추세는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구매 충동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 제품 중에서 차세대 노트북을 선정하였다. 차세대 노트북디 자인 개발과정에서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아이디어 도출에 직접적인 도 움을 주는 과정들을 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논문의 연구내용은 노트북 특성에 따른 감성디자인 개념을 이해하고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에 의한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를 분석하고 도출한다. 이를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안에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은 필수적인 감성디자인 트랜드에 대한 연 구와 분석을 바탕으로 감성디자인 요소를 차세대 노트북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실무적인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차세대 노트북디자인을 위하여 감성디자인 트랜드의 개념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기본으 로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한 감성디자인 트랜드를 적용한 실질적인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과정을 실행하는 방법으로 연 구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차세대 노트북디자인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신제품 개발에 활 용함으로써 디자인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

      • KCI등재

        감각기반의 실내공간디자인요소 평가 요소 구축

        이샘(Lee, Saem),박경진(Park, Kyung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감성디자인은 지금까지는 주로 공산품에 한정하여 적용되었지만 근래 들어 “공간” 에 대한 디자인이 공간속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이미지와 매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공간디자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공간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에 관해 “감성디자인”이 화두가 되고 있다. 감성디자인(Emotional design)이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개성화됨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하는 디자인 방법을 말한다. 특히 실내 공간에서의 감성디자인은 이용자가 어떤 형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감성 욕구를 공간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물리적 디자인 요소와 연결시켜서 디자인 요소의 특성을 이미지나 감성 욕구에 알맞게 결정하는 디자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기능보다는 자신의 감성에 이끌려 가치를 부여하는 소비 형태가 등장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감성을 자극하고 휴식과 위안을 주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공간영역에 있어 인간의 감성이 중심이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의 감각이론을 통한 감성자극요소인 표현감각 연출 특성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또한 실내공간디자인요소는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크게 구조적요소, 가구 요소, 장식적 요소, 조명연출요소, 색채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각 구조 요소마다 빈도수가 높은 요인들로 추출하여 표현감각연출 요인들과 관계성에 대해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감성이 융합된 공간디자인을 연출에 대한 평가항목으로써 실내공간디자인요소에 관계를 통해 평가항목시트를 제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감성이 융합된 공간디자인을 연출에 대한 평가로 감각표현에 따른 실내디자인요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Emotional design is so far mainly industrial products applied in the case, but days have become a “space” for the design of products sold in the space images and sales. A lot of influence growing perception is that,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of space is increasing. Specifically in relation to how will design the space has become an issue at “Emotional Design”. Emotion Design to (emotional design) Iran, idiosyncrasies and consumer needs of diverse as emotional design to apply to the need to design Method of consumers. say. Emotional design in Interior Space, in particular is image that has for some sort of a specific physical design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and emotional needs. Image or emotional needs of design elements and attributes for determining design and technology can do it. Further, such function than the pattern of consumption is to assign a value of the sensitivity of the emerging trend. Therefore, it stimulates the emotion and relaxation and comfort consumers need space. As a result, located in the space area were the center of the human emotion, Rudolf Steiner (rudolf steiner)at this point being directed Emotional Elements of expression through the senses theory. I would like to make the attribute. Design Elements of Interior space is also leading research and literature search via big structural elements, furniture, decorative elements, as classification, and each color, of lighting design elements. structural elements every sense and expression as factors which has high production factors and about the relationship was required. This study is assimilated with the emotional design elements of Interior Space by the space design for the evaluation item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criteria sheet presented based on this. Emotional is assimilated with the space design with an assessment of expression according to the sense of interior design elements can provide.

      • KCI등재

        감성디자인 트렌드에 의한 DMB 휴대폰 디자인 연구

        홍성수(Sung Soo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하나의 디자인이 완성되기까지는 수많은 요인들이 충족되어야한다. 그 요인들 중에서 매우 중요한 것은 첫째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즉 사용자(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사용자의 생활과 디자인 가치를 함께 높일 수 있는 디자인이라 할 수 있으며, 둘째로는 현재의 디자인 트렌드 변화와 향후의 변화를 정확히 조사, 분석, 예측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여 사회와 인간에 공헌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외에도 여러 요인들이 많이 있지만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가장 먼저 선택되어야할 과정이 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조사, 분석, 예측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디자인 트렌드 변화를 보면 환경친화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감성디자인, 디지털 컨버전스 디자인, 미니멀리즘 디자인, 네오 아날로그 디자인, 엔터테인먼트 디자인 등의 트렌드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최근에는 감성디자인 트렌드가 가장 많이 디자인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제품 중에서 DMB 휴대폰을 선정하였으며 DMB 휴대폰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서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들이 어떻게 적용되며 그에 따른 트렌드 키워드 이미지 들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창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과정들을 실제 디자인 사례를 들어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DMB 휴대폰의 특징에 따른 감성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DMB 휴대폰 디자인 개발을 위한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를 분석 도출하여 이를 DMB 휴대폰 디자인에 어떻게 접목 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감성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연구와 함께 연구 분석된 감성디자인 요소를 DMB 휴대폰 디자인에 적용하여 신개념의 DMB 휴대폰 디자인을 실제적인 디자인 개발과정을 통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및 범위는 DMB 휴대폰에 대한 개념과 감성디자인 트렌드의 개념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토대로 연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감성디자인 트렌드를 접목한 실제적인 DMB 휴대폰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로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디자이너들이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들을 신제품 디자인 개발 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 numerous elements will have to be fulfilled until a design is completed. The most critical element, among others, is the user-oriented design, that is, a design that will enhance the user`s life and design value by fulfilling user`s (consumer`s) needs. Secondly, it shall be able to accurately investigate, analyze and forecast the changes to current design trend as well as the trend in the coming days so as to incorporate them into the design, making commitment to the society and the people. Besides, the process to be adopted the first, among many other elements, is the investigation, analysis and forecast of design trend. Viewing the current design trend, included in the leading trends are environmental friendly design, user interface design, emotional design, digital convergence design, minimalism design, neo analogue design and entertainment design. And emotional design trend, among other design trends, has been applied the most to design development. In this study, DMB mobile phone design was selected as the product that makes use of the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trend the most, and the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how the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trend have been applied in DMB mobile phone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evaluate the process to identify the commitment by the trend keyword image to creating the idea for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real cases of the design. The study thus was aimed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emotional desig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DMB mobile phone so as to identify the trend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for design development of DMB mobile phone, thereby working out the measures for incorporating it into the DMB mobile phone design. Hence, the study was intended to apply the emotional design elements analyzed together with the current study on emotional design trend so as to propose the new concept of DMB mobile phone design in the actual process of developing the design. When it comes to methodology and scope of the study, they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ocuments and the scope of study was determined in such a way to proceed it through the actual design development process by incorporating emotional design trend. The outcome of the study is expected to make great commitment to developing the design industry when the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trend are utilized by the designers for developing the new product in future.

      • KCI등재

        사용자 경험 기반 자동차 디자인 관련 감성 가치 연구

        임영빈(Lim, Young Bi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감성 디자인의 중요성은 과거 남성 위주의 관점에서 접근해오던 자동차 분야에도 영향을 주어 갈수록 증가하는 여성 소비자의 세부적인 정서적, 감정적, 감각적 니즈 등을 적극 반영한 전략과 모델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의 감성 디자인 및 여성사용자에 관한 연구는 정량적 평가를 위한 감성형용사를 통한 결과 도출에 한정되거나 시트, 클러스터 등 부분적인 아이템 디자인 개발과 같은 좁은 범위로 귀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자동차 디자인의 핵심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여성 사용자의 감성적 니즈 및 잠재적 필요 요구사항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도출 분석하여 앞으로 선보여질 여성 전용 자동차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 및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 고찰을 통해 어느 정도 가시화 되고 있는 자동차에 있어서의 일반적 감성 디자인 가치 및 속성 그리고 여성 사용자의 특성과 요구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또한 국내외 자동차 및 디자인 유관 자들의 연구 논문과 전문 기사 및 관련 정보에 소개되어 있는 여성 친화형 또는 특화형 차량사례를 토대로 현재 여성을 고려한 자동차 디자인의 현황과 가시적인 미래 발전 가능성이 있는 8가지 트렌드 키워드(colorful, stylish, practical, efficient, emotional, simple, esay to drive, physical care)를 도출해 보았다. 무엇보다 단순 설문이 아닌 인뎁스인터뷰, 포토다이어리, 주행 행태 관찰 등을 통한 직간접적 사용자 중복 조사를 통해 여성 사용자의 실제 언어, 무의식적 행동, 잠재적 니즈 등의 내용을 디자인 전문가들이 정성적 차원의 연구와 분석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최근 자동차 디자인에 있어서의 여성 사용자 감성 목표가치 및 인식 그리고 보다 상위 개념의 컨텍스트 별디자인 아이템을 선정하여 그에 대한 디자인 관여 요소 등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특히, 여성사용자 스스로가 여성성 또는 여성 친화형 제품(자동차)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본질적인 가치 탐색을 실시하고, 연결선상에서 자동차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자동차 아이템 별 각각에 대한 세부적인 니즈 분석을 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자동차 디자인에서 여성과 감성 디자인 의트렌드 변화 키워드 분석을 통해 미래적 감성 가치 6가지(다채로움 colorful, 매력 stylish & sexy, 실용성 practical, 효율성 efficient, 따뜻함 care, 쉬움 simple & direct, 편의 easy to drive)를 제시하고, 두 번째, 각종 문헌 자료 및 전문 기사 등에서 추출한 자동차 디자인의 여성 감성 어휘와 사용자 조사에서 언급되고 표현된 각종 언어 등을 종합하여 4가지 유형(여성스러움 feminine, 안정성 stable, 고급스러움 luxury, 적극성 active)의 구체적인 상징 가치를 그룹핑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12명(파일럿 3명, 실질 조사자 6명)의 정성 조사의 결과로 실질적인 니즈 파악에 관련한 실제적 가치 6가지(다용도 multi-use, 보호 protect, 아름다움 beauty, 유희 entertaining, 개방, 자유함 free, 알림 notice)를 도출해 내었다. 최종적으로 디자인 적용의 범위와 영역을 제시하기 위하여 위의 세 가지 부문의 감성 가치를 사용자 조사에서 나타난 자동차에서의 여성의 주요 고려 컨텍스트를 기초로 한 디자인 아이템과 요소 등을 종합하여 총 8가지 디자인 가치 속성(거주성, 시계/인지성, 안전성, 편의성, 수납성, 심미성, 환경성, 관계성)을 정리하였다. The significance of emotional design affected the field of automobile, which has been approached from the male-centered perspective, and there are increasing strategies reflecting female consumers’ detailed affective, emotional and sensual needs actively, and such models are released competitively. But despite these changes in the market, studies of the emotional design of cars and the female users are limited to drawing the result through emotional adjective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r result in narrow r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partial item designs like sheets or cluster etc.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give a direction and inspirations for developing a female car through precise user’s necessities and unmet-needs. It also examined the values and attributes of general emotional design of the car and the female users’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which are visualiz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literatures. In addition, based on the cases of women-friendly or-specialized type vehicles introduced in research papers, professional articles and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domestic and foreign persons concerned with cars and designs, the status of the current car designs considering women and eight kinds of keywords of trend (colorful, stylish, practical, efficient, emotional, simple, easy to drive, physical care) with visible potential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were drawn. Above all things, through the direct or indirect duplicate researches of users such as in depth interviews, photo diary and driving behavior observation etc., but the simple survey, the design experts could draw the female users’ actual language, involuntary actions and potential needs, etc.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qualitative dimension about the emotional target value and perception of female user of the finally recent car design, and the design related elements by selecting designs item from the context of a higher concept. Especial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trinsic value to research the female users’ perception about the femininity or women-friendly product (car), and analysis of the detailed needs for each car item,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the car in the connecting line are as follows. First, six future values of sensibility (colorful, stylish & sexy, practical, efficient, care, simple & direct, easy to drive) were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keywords of the trend change of the women and emotional car design, second, the feminine emotional words of the car design extracted from the various literature data and professional articles and the various languages noted and expressed from the user survey were integrated for grouping the specific symbol value of four types (feminine, stable, luxury, active). Finally, six actual values (multi-use, protect, beauty, entertaining, free and notice) related to examine the substantial need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of twelve people (three pilots, six practical examiner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data. Lastly, in order to propose the range and areas for applying the designs, summarizing design items and elements based on the key context, considering women at the car in a user survey of the emotional values of the three sectors above, a total of eight design value properties (habitability, visibility/awareness, safety, convenience, storage, aesthetics, environment, relationship) were drawn.

      • KCI등재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 디자인 표현 연구

        최은신(Choi, Eun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엑스포는 시대적 패러다임을 빠르게 반영하며 그 전시체계도 진화하여 왔다. 미래의 발전상을 다루어왔던 창조의 장으로써의 엑스포는 21세기 들어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대안을 공유하는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엑스포 파빌리온이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볼 때, 시대적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엑스포 파빌리온에 대한 디자인 접근방법으로써 감성디자인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감성디자인의 표현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을 통해 감성디자인의 의미를 파악하고,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디자인 접근의 필요성을 밝힌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감성디자인 표현특성을 도출하고, 파빌리온 디자인 계획 요소와 연관하여 분석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사례분석의 결과를 종합한다. 연구의 범위는 2010년 상하이 엑스포와 2015년 밀라노 엑스포의 국가관으로 한정한다. 공간에서 감성디자인 특성과 파빌리온 디자인 계획요소와의 연계를 통한 감성디자인 표현의 분석 기준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 개념을 표현하는 상징성, 공간 프로그램에서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지원성, 공간 구성을 통해 관람객의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는 장면성과 연속성이다. 감성디자인 표현 사례의 분석결과, 파빌리온의 조형성을 표현하는 상징성은 형태의 오브제화, 이미지의 형상화로 나타나며, 공간 프로그램을 통한 지원성은 참여를 통한 경험의 강화, 다중적 의미 생성으로 나타나고, 공간구성을 통한 장면성과 연속성은 비일상적 장면 구성, 비결정적 시퀀스 구성으로 나타난다. 감성디자인의 표현은 관람객의 감성을 자극하여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풍부한 체험과 그 가치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디자인 표현의 의미는 감성의 자극을 통해 엑스포의 주제에 대한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관람객의 정서적 만족감을 갖게 됨과 동시에 세계가 다루는 공통의 문제들에 대한 대안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은 현 시대가 지향하는 엑스포 패러다임에 부응하며, 엑스포의 문화적 가치가 만들어가는 디자인접근 방법이라 하겠다. Expo has reflected the contemporary paradigms in a timely manner. As a result, Expo"s exhibition system has evolved accordingly. As the realm of creation that has dealt with the future developments, Expo has been evolving into the realm in which the alternatives to various problems the world is facing in the 21st century are sha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significance emotional design has as a design approach method in relation to the Expo pavilion reflecting the contemporary paradigms if Expo favilion is deemed as an important tool to create communications with spectators. Moreov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are represented. In regard to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emotional design is to b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he need for an emotional design approach is to be reveal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precedent studies are to b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dedu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expression and also presenting the analysis criteria in relation to the elements of pavilion design plan. Lastly,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are to be examined and summarized.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avilions at Expo Shanghai 2010 and Expo Milano 2015. Following are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on the basis of the linkage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and the elements of pavilion design plan: symbolism for expressing design concepts, support for inducing interactions with spectators in a spatial program and scene and continuity for inducing diverse experience of spectators through spatial configu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ases of emotional design expression, symbolism expressing the formativeness of pavilion was represented as an objet of a form and also as a shape of an image, whereas support through spatial program was represented as reinforcement of experience through participation and generation of multiple meanings. Lastly, scene and continuity through spatial configuration were represented as configuration of non-routine scenes and non-deterministic sequences.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creates diverse communications by stimulating the emotion of spectators. In doing so, they can create a wealth of experiences along with the values thereof.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at Expo pavilion is as follows. Spectators can have emotional satisfaction by understanding diverse meanings and values in relation to the themes of Expo through stimulation of emotions. At the same time, it becomes possible to share the alternatives to the common problems, with which the whole world is dealing. On that account, emotional design can be said to fulfill the Expo paradigm of the present day. More importantly, it can be regarded as a design approach method to create the cultural values of Expo.

      • KCI등재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과 감성이미지와의 상호관계

        김진경(Kim, Jin Kyung),나경훈(Na, Kyung Hoon),남호정(Nam, Ho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물질문명의 지나친 발달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발생을 초래하였고 환경문제의 심각성은 지역이나 국가에 국한되지 않으며 세계적인 위기에 직면한 범지구적인 문제로 확대하였다. 미래에 필요한 자원을 보존하고 현재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증가함으로 인해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공생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인식 또한 자연스럽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인식에 발맞추어 디자인 분야에서도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적용하자는 의견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인간과 환경 사이에 작용하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환경을 고려하면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지구의 건강을 위한 전략체계의 하나로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는 패키지디자인에서도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이미지를 적용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의 빠른 기호변화, 소비패턴의 다양화, 다변화하는 시장의 흐름 속에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을 노출할 수 있는 새로운 해답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의 하나인 “iF 디자인 어워드(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s)”에서 2013년 패키지의 실용적이고 감성적인 측면을 집중적으로 평가하는 동시에 미적, 친환경적, 경제적 지속성을 심사에 수상한 작품 국내·외 6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레이아웃, 색채,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소재의 구성요소별 분석과 IRI 배색 이미지스케일(Image Scale)에 적용한 언어적 감성이미지 분석,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상징적으로 포함한 의미구조를 척도로 환경적 측면, 경제적 측면, 디자인적 측면의 종합 분석을 실시하여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과 감성 이미지의 연결성을 알아보고, 소비자의 구매의식과 생산자의 환경의식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활용방안을 파악하여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에서 감성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 전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이라는 콘텐츠가 각광받는 시대에 감성이미지를 적용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례별 비교 및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감성이미지는 소비자의 마음을 읽어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핵심요소이므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의 취지에 맞는 감성이미지와 표현기법의 다양화를 필요로 한다. 또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은 기업의 책임이 아닌 사회 모든 구성원의 의무이기 때문에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포함한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은 끊이지 않아야 한다. 지속가능성과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머리로 이해하기 보다는 가슴에 호소하는 감성이미지를 접목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이 감성이미지를 적용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의 활성화와 향후에 있을 연구의 밑거름으로 작용하길 바라며, 범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구체적인 발전을 통한 체계적인 고찰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Excessiv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has resulted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everity of environmental problem doesn"t limit only some regions or countries but has spread to global problem with world crisis. As the discussion about the sustainability utilizing the present resources efficiently and preserving the resources necessary in the future increase, the rise of the perception on the harmony of human being and the nature increase the opinion of applying the concept of the sustainability on design as well. Sustainable design including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concept should be applied to the package design which is one of the strategic systems and has a close affinity with human be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find a methodology of new solution that sustainable package design with emotionality image could expose itself in the market flow with fast changing consumer preference, diversification of consumption pattern and market trend. For this, practical and emotional aspect of package will be evaluated intensively through practical analysis in this research. Meanwhile 2013 award-winning work of "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s" which is one of the world"s three design awards that evaluate esthetic, eco-friendly, economic sustainability has been chosen as the standard of the analysis. With the focus on components analysis of layout, color, typography, visual image, package subject and IRI arrangement of colors image scale with linguistic emotionality image, 6 domestic and international works of the sustainable package design have been selected and emotionality image of package has been looked into through the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image and emotional language that constitute package. Lastly, this research will explain, with the symbolic meaning structure of the sustainability, the connection between sustainable package design and emotionality image by executing overall analysis of environmental, economic and design aspect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design using emotionality image in sustainable package design by understanding application plan with the harmony between the purchase consciousness and the environment consciousness of suppliers. In the era where emotionality contents are in the limelight, through the comparison case by case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vitalization of emotionality image applied sustainable package design, this research has reach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Diversifying expressive technique of emotionality image suitable for sustainable package design concept is required since emotionality image is basic core when reading customers" mind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ackage design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environmental companies but the duty of overall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with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should be continued. In spite of numerous researches on sustainablility and package design, the research on sustainable package design that appeals to heart is not systematically practiced. This thesis would be the foundation of vitalization of package design and the researches in the future and be systematically used as a solution that could solve global environment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