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화정 ( Han Hwa-jung ),심규철 ( Shim Kew-ch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실시한 뒤, 예비 과학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 도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수업 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 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도구 활용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기 전에는 본인이 속한 대학교에서 주로 사용한 실시간 화상 강의 도구와 기존의 대면 수업에서 주로 사용된 온라인 수업 도구 위주로만 알고 있을 뿐 다양한 온라인 학습 도구에 대해 잘 알지 못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은 후 예비 과학 교사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온라인 수업 도구 중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고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 자료를 관리하기 용이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호하였다. 예비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중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 내용 중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이 온라인 수업 관련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본인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과 수업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예비 과학 교사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교사 교육으로서 온라인 수업 도구활용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erms of their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fter providing education on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o a group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a semester. An inventory of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consisted of five areas including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such programs,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lesson designs based on online teaching tools, and teaching demonstration skills. The finding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show that they did not know various online learning tools before receiving education on their utilization. They were only familiar with real-time video lecturing tools that they usually used in the college and the online teaching tools used in the face-to-face lessons. After receiving training, however, they became familiar with various online teaching tools and developed a preference for such online learning tools which could be used to create an environment to induce students'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and to more easily manage learning materials. The study also examin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found that they had the greatest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which provided experiences of selecting and making use of online teaching tools, i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educational programs were helpful to enhance their online teaching competence and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heir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design a lesson, and give a teaching demonstration. That i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d positive reactions to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eded to consistently run and expand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s par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교수·학습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 능력에 관한 실태 분석

        심재훈,송의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As the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is becoming more common, the site of the education which uses a new ICT and change of teaching method became to be inevitable. Because of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the educ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is well constructed and amount of research on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y has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ility to utilize ICT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point of view.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ICT utilization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made an analysis of some aspects of ICT utilization education, such as instructional plans for applying ICT,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utilizing ICT and self-reflection on ICT utilization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ICT utilization ability was closely releated to the ICT utilization education. Secondly, the current information literacy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not useful in performing ICT utilization educa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ICT utilization education ability of veteran teachers with wide experience handling students. 컴퓨터와 인터넷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새로운 ICT를 이용하는 학교 교육 현장과 교육 방법의 변화는 불가피한 것이 되었다. 정부의 노력으로, 교육정보 인프라는 잘 구축되어지고 교사의 ICT 활용 능력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교수·학습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 능력에 대해 연구한 것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 능력 실태를 조사하고 ICT 활용 교육을 ICT를 적용한 수업계획, ICT를 활용하는 교수․학습 활동, ICT 활용 교육에 관한 자기반성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 활용 능력은 ICT 활용 교육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보화 교육 연수는 ICT 활용 교육을 수행하는데 별로 유용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풍부한 교육 경험을 가진 훌륭한 교사들의 ICT 활용 교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제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 ‘문화유산활용’ 교육콘텐츠 적용을 중심으로

        노경민(Kyung-Min Lho)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5

        국제문화유산교육은 교육콘텐츠로써 문화유산의 범위를 특정 국가의 소산이 아니라 인류공동유산으로 접근하여, 선진사례를 통해 문화유산 보호 및 관리 체계를 상호보완하고, 문화다양성과 인류 보편적 가치의 시각에서 인류가 공동으로 문화유산을 보호 및 관리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화유산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제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지속가능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문화유산관련 국제기구와 국내외 고등교육기관에서 운영되었던 국제교육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교육주제, 교육대상자, 교육콘텐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밀한 교육모듈 구축과 지속가능한 교육콘텐츠 개발, 새로운 교육방법의 적용, 교육생 네트워크관리 등이 지속가능한 국제문화유산교육의 조건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교육과정의 구성요소인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환경, 교육평가를 중심으로 국제문화유산교육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고, 가이드라인의 교육내용에 “문화유산활용” 교육콘텐츠를 하나의 사례로 적용하여 교육목표 설정, 교육모듈 작성, 교육프로그램 평가항목을 작성하여 국제문화유산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유산활용사업”을 하나의 교육콘텐츠로 적용하여 국제문화유산의 체계적인 교육모듈과 평가항목의 작성방안, 교육생 네트워크 관리방안 등 새로운 교육방법론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course for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heritage managers. To suggest a sustainable system for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e analyzed the educational topics, subject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programs currently opera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result, the establishment of precise educational modules, development of sustainable educational contents, application of new educational methods, and network management of trainees were analyzed as conditions for sustainable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Before developing a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guidelines for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ere established focusing on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valuation, which are four components of a curriculum. By applying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a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guidelines, we proposed an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gram by setting educational goals, planning educational modules, and evaluation items conducted based on the UNESCO Competence Framework for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 KCI등재

        어린이 문화유산교육을 위한 영국문화유산 공간 활용 연구

        소미,이 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5

        어린이 문화유산 교육은 실천을 기반으로 한 교육방법으로 문화유산 공간을 교육 공간으로 활용하여 역사와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문화유산 보호에 큰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어린이 문화유산 교육 공간 활용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어린이 문화유산 교육과 공간 활용의 연관성을 구축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논문은 문헌정리를 통해 어린이 문화유산 교육의 정의및 목표, 교육의 특징을 정리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영국어린이 문화유산 교육의 특징, 활동유형 및 공간 활용 방법을 분석한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문화유산 교육은 지식전수와 태도 배양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 주요한 특성은 문화유산현장 체험학습이다. 둘째, 영국의 교육 활동유형은 상호 작용성, 참여성, 창조성, 놀이성이며 그 문화유산의 공간 활용 방법은일부 공간 활용, 전체 공간 활용, 임시 공간 활용, 원시(原始) 공간 활용이다. 셋째, 어린이 문화유산 교육의 활동유형, 문화유산공간의 성질과 특징, 유지 상황이 공간의 활용 방법에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문화유산 교육을 기반으로 한 공간 활용에 이론적 지도로 되어 문화유산 보호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Children'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s an educational method based on practice, and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culture by using the cultural heritage space as an educational space is of great significance to protect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link between children's heritage education and space use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space utilization in children's heritage education in England.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s the definition and goals of children'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organization,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ctivity types, and space utilization methods of children'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the UK through case analysis.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ims to cultivate knowledge and attitudes, and its main characteristic is cultural heritage field experience learning. Second, the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UK include interactivity, participation, creativity, and playability , and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space of the cultural heritage are partial space utilization, overall space utilization, temporary space utilization, and original space utilization. Third, the activity type of children'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space, and the maintenance situation comprehensively affect the method of using the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realiz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by providing theoretical guidance for the use of space based on children'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 정보통신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이미숙 ( Lee Misuk ),성희경 ( Sung Huigy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by interviewing special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teaching the subject of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pecial teachers of special schools with experiences in teach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curriculum. Results: The teachers with experiences in teach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recognized that some learning contents or levels need to be revised while maintaining the major framework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i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common opinions that all students who want to lear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use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ir daily lives. Conclus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should include current and fu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consideration of its rapid development, and practical and livel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using the latest technology.

      • KCI등재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컴퓨터 교수 효능감과 ICT 활용과의 관계

        도성화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the influence between ICT Utilization and their Efficiency by Computer Teaching for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hen we are to do the major varies for their efficiency and the ICT utilizable educational revitalization by Computer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was higher than female in the teacher's efficiency, under 1-2year was the highest in the educated term and junior was the highest, the next was freshman in grade. Second, their Efficiency by Computer Teaching included the power of an explanation about the recognition and the ability to practical use of ICT Utilization. Their Efficiency by General Computer Teaching just had on influence the recognition of ICT Utilization in the sub-varies of it. Also, their Efficiency by General Teaching and Computer Teaching had effect on it orderly in the case of the ability to practical use of ICT Utilization. The recognition and the ability to practical use of ICT Utilization included the power of an explanation about their Efficiency by Computer Teaching. The ability of the information gathering only had on influence their Efficiency by Computer Teaching in the sub-varies of the recognition of ICT Utilization. The sub-varies of the ability to practical use of ICT Utilization had effect on their Efficiency by Computer Teaching such as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information gathering and information delivery·exchange orderly. Third the ability to practical use of ICT Utilization was higher power of an explanation than the recognition of ICT Utilization. 본 연구는 예비 유아특수교사들의 컴퓨터 교사효능감과 ICT활용과의 관계 및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컴퓨터 교사효능감과 ICT활용교육 활성화를 위한 주요 변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예비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유아특수교사의 컴퓨터 교사효능감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컴퓨터를 교육 받은 기간으로는 ‘1-2년 미만’이 가장 높았다. 학년 별로는 3학년이 가장 높았으며 1학년이 다음으로 높았다. 둘째, 컴퓨터 교사효능감은 ICT활용인식과 ICT활용능력에 대한 설명력을 갖고 있었다. 컴퓨터 교사효능감의 하위 변인 중에서는 일반적 컴퓨터 교수효능감만이 ICT활용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ICT활용능력에 대해서는 일반적 교사효능감, 컴퓨터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ICT활용인식과 ICT활용능력은 컴퓨터 교사효능감에 대한 설명력을 갖고 있었다. ICT활용 인식의 하위 변수 중에서는 정보수집 능력만이 컴퓨터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ICT활용능력의 하위 변수는 정보분석·가공능력, 정보수집 능력, 정보전달·교류능력 순으로 컴퓨터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ICT활용인식이 ICT활용능력에 대해 갖는 설명력은 ICT활용능력이 ICT활용 인식에 대해 갖는 설명력보다 높았다.

      • KCI등재

        계약학과 학위교육의 교육만족도와 직무유용성에 관한 연구: 직장 재직자를 중심으로

        서영복,박찬권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2

        [Purpose]This study aims to present ways to promote the education of contract departments by analyzing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level of satisfaction with degree programs, job utility of contract departments based on surveys among students and graduates who pursue professional careers in corporations. [Methodology]This study chose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such as tangibility, reliability, reactivity, certainty and empathy,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job utility as dependent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Findings]First, the test result of the <hypothesis 1> indicates that five quality factor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herefor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denoted by five factors is, the more satisfied students feel with the school education. Second, the test of <hypothesis 2> draws a conclusion that five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utility. Therefor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denoted by five factors, the higher the job utility is. Third, the test of <hypothesis 3> draws a conclusion that job utilit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herefor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job utility servic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s. [Implications]Lastly, the higher level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the more satisfied with education and the higher job utility, the higher job utility is also higher education satisfaction. [연구목적]본 연구는 대학 계약학과에 취학중이거나 졸업한 직장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계약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계약학과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직무에의 유용성을 분석함으로서 계약학과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독립변수는 교육서비스 품질이며, 세부적으로는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이다. 그리고 종속변수는 교육만족도와 직무유용성을 선정하였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먼저 가설 1의 검정으로서 교육서비스 품질 5가지 요인들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교육서비스 품질 5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교육에 대하여 만족을 지각하는 교육만족도 역시 높다. 둘째, 가설 2의 검정으로서 교육서비스 품질 5가지 요인들은 직무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교육서비스 품질 5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유용성 역시 높다. 셋째, 가설 3의 검정으로서 직무유용성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직무유용성이 높을수록 교육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다. [연구의 시사점]최종적으로 교육서비스품질 수준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와 직무유용성이 높고, 직무유용성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 역시 높다.

      • KCI등재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주용진 ( Joo Yong Jin ),유장순 ( Yoo Jang So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3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스마트기기 활용실태와 특수학교 현장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그에 따른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S시의 7개 공립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초ㆍ중등학교, 전공과 과정의 특수교사 2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들은 높은 비율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활용 목적으로는 웹검색과 SNS을 이용하는 순으로 응답률을 보였다. 특수교사들의 스마트기기 교육적 활용 경험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많은 교사들이 스마트기기가 교육활동에 필요하다는 응답과 함께 향후 스마트기기가 주어지면 교육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응답을 보였다. 특수교육적 활용에 대한 요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동기 및 흥미 유발자료, 주지교과수업에서 수업내용 보충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 같다는 응답을 보였다. 스마트기기 활용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특수교육 관련 콘텐츠 개발’이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actual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speci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bout the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elementary, middle, high and major courses’ special school teachers working at seven public special schools in seoul. As a result, about 89% of all respondents use smart devices. the main purpose of utilization is searching the Web and using SNS. it wa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rate. approximately 47% of the teachers involved in research experienced smart devices utiliz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they respond that if they get a smart devices, they will use them instructively. As the reason for special educational utilizing, for interest and attention(40.7%) showed higher response rate. and also question about special educational needs, utilizing for the purpose of motivation and utilizing for the supplement of learning showed the higher response rate. Questions about improving,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content (40.7%) showed higher response rate.

      • KCI등재

        교육청 소유 유휴지 관리 실태 및 활용 방안 연구 : K교육청을 중심으로

        홍섭근 ( Hong¸ Subkeun ),오수정 ( Oh¸ Soojung ),김인엽 ( Kim¸ Inyeop ),이수정 ( Lee¸ Sooj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청 소관 유휴지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고찰하고 교육공동체의 요구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유휴지 관리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정책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유휴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K교육청을 중심으로 유휴지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 및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유휴지 활용 방안에 대한 지향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K교육청의 유휴지 관리 방식으로는 유휴지에 대한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전략을 세우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현재와 같은 유휴지 관리 시스템은 실제 학교 현장과 교육주체의 인식을 반영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으로 첫째, 전문성 확보를 위한 유휴지 관리 담당자의 정책기획부서 편입, 둘째, 유휴지 활용 관련 의사결정을 위한 외부전문가와 교육 3주체의 위원회 구축, 셋째, 유휴지 활용에 대한 단위학교 공모사업 추진, 넷째, 유휴지에 대한 중·장기적인 후속 정책연구 수행, 끝으로, 유휴지 활용에 대한 지자체-교육청의 거버넌스 차원의 중간지원센터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contents of the idle land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to ensure the demand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to develop policy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idle land management and utilization. For this,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dle land were reviewed, the statistical data was analyzed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K Office of Education-owned idle land, and the survey and focused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draw the direction of the utilization of idle lan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 was raised that it is difficult to map out a mid and long term systematic strategy for idle land management and utilization in the current state of K Office of Education. The present management system was turned out to be difficult to reflect the awareness of educational players from actual school sites. As a policy suggestion to solve this problem, first, the policy planning department for the idle land utilization needs to be built up to secure professionalism. Second, the committee, consisting of outside experts and major educational players, is required to make decision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idle land. Third, the public offering project for the use of idle land based on school level is to be promoted. Fourth, mid and long term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and to come up with follow up research conducted by land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experts. Finally, the middle support center, which is to be organized by local government and education office, is suggested to be developed as a local level governance system for land utilization.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가능성: 한성 백제의 역사경관을 중심으로

        조윤진 ( Joe Yoon Gene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2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원리와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은 지리 영역과 타 영역의 분절, 지역화 교과서의 적극적인 지역화 부족, 코로나19로 인한 교외 활동 제약과 장소감 형성의 어려움,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참여 활동 부족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리와 역사의 만남인 역사경관의 개념을 활용하여 과거의 한성백제의 역사가 현재 송파·강동 교육지원청 관내 경관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이해하였다.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연계하여 학생들이 지역 사회에서 자신이 무엇을 실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의 내용을 통하여 자신의 삶의 장소를 세계적인 가치와 연계해 나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인공지능, 인공지능 교육,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초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기준에 따라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역사경관 학습을 인공지능 활용 교육을 통해 진행하는 방법이다. 이는 학생들에게 물리적, 시간적 제약이 따르는 경관 수업의 실감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기 위함이다. VR을 통해 학생들에게 역사경관을 실제와 가장 유사하게 체험하도록 하였으며, 역사경관을 티쳐블 머신을 통하여 분류하는 활동으로 학생 스스로가 생각하는 각 문화유산들의 역사경관의 상을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두 번째는 문화유산으로서의 한성백제를 인공지능 활용 교육을 통해 알아가는 과정이다. 학생들에게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하여 문화유산으로서의 한성백제의 가치를 확인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장소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모하였다. 또한 워드클라우드 생성기를 통해 한성백제에 대한 서로의 생각과 더불어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역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어떠한 실천을 해야하는지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AI utilization education has increas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AI principles and utilization to help more effectively reconstruct geographical area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xisting geographical area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ave limitations such as the division of geography and other areas, the lack of active localization of localizable textbook, the difficulty of outside the school activities due to Covid-19, difficulty to develop sense of place and the lack of participation as community members.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cept of a historical landscape, a meeting of geography and history, was used to understand how the history of Seoul Baekje is currently represented as a historical landscape within Songpa and Gangdong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students can identify what they can practice in the community and link their place of life to global values through the contents of geographical area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define AI, AI education, AI utilization education, and present specific methods of AI education in geographical area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ccording to the content criteria of elementary AI education. The first is a way to conduct historical landscape learning through AI utilization education. It is to help students realize the physical and time-constrained landscape classes. The second is to learn about Seoul Baekje as a cultural heritage through AI utilization education. Students were asked to identify the value of Seoul Baekje as a cultural heritage by using a Decision Tree, which encouraged students to form a sense of place for local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Word Cloud generators are designed to share each other's thoughts on Seoul Baekje as well as the opportunity to share what actions should be take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heritage as members of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