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학 재학생의 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

        김지하,김한경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mount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2~3 years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related policies.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re composed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nd general expenditure for college education. The expenditure for private tutoring is divided into private tutoring fees for English and other languag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job preparation. The gener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divided into directly education-related expenses and indirectly education-related expenses. This study applies the method of the Probit and regression for analyzing the private tutoring expense and quintile regression for analyzing the general private expen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llege major, student’s grade, parents’ income, participation in job, college location and siz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job support program of the college, the amount of the government funding program. On the other hand, gener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directly related with college education is strongly affected by the gender, major field, parents’ income, college location and size, the amount of scholarship and government funding programs. The general education expenditure indirectly related with college educa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ajor, parents’ income, college size and lo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here.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과외사교육비와 일반사교육비 지출 실태를 파악하고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4년 1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2-3년제 전문대학 114개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1,805명의 표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과외사교육 참여여부 및 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을 위해 프로빗과 토빗모형을 사용하고 일반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을 위해서는 분위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86천원이며 이중 156천원(83.8%)이 일반사교육비이고, 세부항목별로는 교통비(29.2%), 주거비(26.2%), 주교재비(17.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생 1인당 월평균 과외사교육비는 30.3천원으로 영어 관련 사교육비가 14.5천원(47.9%), 취업관련 사교육비는 15.8천원(52.1%)이었다. 또한 과외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 결정요인 분석 결과, 휴학 경험, 성적, 직장 소득 유무, 가계 소득, 대학 소재지, 대학 내 취업지원 만족도, 학생 1인당 재정지원 사업 수혜액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일반사교육비 중 교육관련 사교육비는 성별, 전공계열, 학자금 대출 유무, 대학소재지, 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고, 교육관련 외 사교육비에는 가계소득, 부모와의 동거 여부, 대학 소재지 및 규모, 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과 대학 재정지원 사업 수혜액 등이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한 정책적 시사점으로서 과외사교육 수요를 완화하기 위해 대학 내 취업지원 활동의 내실화와 학생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대학 재정지원 사업 수혜 범위의 확대 및 비수혜 대학과의 연계 협력 강화를 제안하였고, 저소득층 학생의 일반사교육비인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대학 내 기숙사 시설 확충, 대학 소재지와 부모와의 동거 여부 등을 고려한 생활비 대출 한도액 설정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의 보육⋅사교육비 지출 실태와 비용 결정 요인

        최정윤,양정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8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xpenses to use centers for education, childcare, and private education for children at the age of 0 to 6 to and analyze factors influencing expenditure for education. Methods We utilized data from the 7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in 2018 and collected data from 328 married women who have children under six year of age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use childcare facilities or not.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F-test to examine the status of expenses of education, childcare, and private education for children.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ir expenses for education, this study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ents spend 158,800 won for education each month, and among that, 138,100 won is for childcare and 298,100 won is for privat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their expenditure for education are found to b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first child age. When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is higher, children are fewer and the first child age is older, they spend more money for education. Meanwhile, the age of a mother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expenditure; however, the influence is found to differ according to the models of analysi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has drawn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household incomes results in a gap in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it is needed to improve supportive policy to provid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school and give more opportunity of childcare services for the low-income group. Second, as children get older, the aspects of preliminary learning and caregiving before entering school should be approac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system for making education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public and developing after-school class such as caregiving class.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만 0~6세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 사교육 기관 이용 비용 실태를 살펴보고 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여성가족패널조사 2018년 7차 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만 6세 이하 영유아를 두고 보육시설 이용 유무 문항에 응답한 기혼여성32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비 및 보육비, 사교육비 지출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t검정, F검정을 하였으며, 교육비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월 15.88만 원의 교육비를 지출하며, 이 중 보육비는 13.81만 원, 사교육비는 29.81만 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구 월평균 소득, 자녀 수, 첫째아 연령으로, 가구 월평균 소득이높을수록, 첫째아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비 지출이 높아지며, 자녀 수가 1명보다 2명 이상일수록 교육비 지출이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모 연령은 가구와 어머니 특성을 투입한 모형에서 교육비와 정(+)의 관계이나 가구, 어머니, 자녀 특성 모두 투입한모형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첫째, 가계의 소득 격차는 영유아기 때부터 교육격차를 발생시키므로 저소득층의 보육 서비스 기회를 높이는 지원정책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영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취학 전 예비 학습과돌봄의 측면으로 접근해야 하므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공교육화와 돌봄교실 등의 방과 후 교실에 대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과 자녀의 학업성취: 중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이성림 ( Seong Lim Lee ),한윤선 ( Yoon Sun Han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2012년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 중학생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사교육비 지출 수준의 차이에 따른 자녀의 학업성취 분포를 파악하고, 상, 하위권 성적 차이를 각 집단의 사교육지출 수준의 차이에 기인한 부분과, 사교육지출의 한계효과의 차이에 기인한 부분으로 분해함으로써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이 자녀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하위 소득계층에서도 상위층과 같이 높은 수준의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가구 층이 25% 이상으로 상당히 두터운 층을 이루고 있다. 둘째, 사교육비 지출 분위가 올라갈수록 평균 성적이 높은 경향이 있으나, 사교육비 지출 수준 차이에 대응하는 커다란 성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서 사교육 효과가 크지 않음을 시사한다. 셋째, 사교육비 지출은 성적에 유의한 양의 효과가 있지만, 사교육비 지출의 한계효과는 0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작으며, Oaxaca-Blinder 분해 결과는 성적 상위권과 하위권 집단 간 사교육비 지출 수준의 차이가 이들의 성적 격차에 대한 기여도는 5%미만으로 매우 미약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은 자녀의 학업성적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지만, 효과의 크기는 매우 작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현재 사교육비 지출이 극대점에 도달할 정도로 충분히 이루어졌으며, 향후 사교육비 지출 증가 추세가 지속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Using the data from 2075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collected by 2012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Panel Surve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Mean test scores were compared across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deciles; percentile distributions of the test scores within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decile were compared; truncated regression analysis and Blinder-Oaxaca decomposition were conducted to sort out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the difference in the test scores between upper and lower academic performance group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a quarter of lower and middle income class spent a comparable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to those of upper income class, which may result in their heavy economic burden.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were apparent across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decile; the differences in the test scores were not correspondingly distinct, suggesting a week association between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academic performance. Third, a positive marginal effect of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the academic performance was so low as to be close to zero. The result of Oaxaca-Blinder decomposition indicated that the different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contributed to only less than 5% of the difference in test scor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cademic performance groups. A positive marginal effe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academic performance was feeble at this point of time, suggesting that current parental investment on child’s private education was large enough to approach the maximum point, and further increase in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would be stagnated.

      • KCI등재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과 경제적 복지

        이승신 대한가정학회 2002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0 No.7

        The issue of children's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all households in Korea. it is certain that the issue of private education for children is the first issue among household's issues.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current pictures of household private education of Korean households. Also, whether the expenditure of private education effect the economic well-being of household. The data for this study was "the 3th Korean Labor Panal", conducted by Labor in Korea. The sample was 1950 households from the pane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1. The mean of monthly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was 149273won for all households and 217,100won for households with high school students. 2. Almost 70 % households had economic burden for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0 % households had no economic burden. 3. The factors of influencing the level of economic burden for private education were mo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job, the number of children, living location, monthly income, total asset of household's. The factors of influencing the amount of monthly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positively were living in Seoul, monthly total expenditure of households. 4. The economic well-being of household was analyzed by socio-economic variables, household's financial variables, monthly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he level of economic burden of private education. The economic well-being were sub-categorized 4 divisions; the level of economic problem,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household's income,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general living, the level of subject economic condition)

      • KCI등재

        아동 사교육 시장 및 사교육비 지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원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Traditionally,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education has been highly evaluated in Korean society, and a great deal of efforts has come to depend on private education. Recently, the subject of private tutoring has been lowered to pre-school children. This paper describes the use behavior of private education and analyzes the antecedents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of preschool children aged 3 to 7.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cost factors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result shows that private education is already universalized for preschoolers, and the level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also very high. Thus, based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of preschool children,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better private education services and policies to reduce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교육의 의의와 중요성은 높게 평가되어왔으며, 교육의 상당 부분은 사교육에 의존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사교육의 대상이 취학 전 아동으로 낮아지고 있는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 대상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2017년도 기준 만 3세~7세의 미취학 아동들의 사교육 이용 행동, 사교육비 지출, 그리고 사교육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교육비 영향 요인과 사교육비 간의 관계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정 내 학습량과 공교육 불안 태도가 사교육비 지출규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취학 전 아동들에게도 사교육이 이미 광범위하게 보편화되었으며, 사교육비 지출 수준 역시 매우 높은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취학 전 아동의 사교육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나은 사교육 서비스 제공방안과 더불어 사교육 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적 고민이 요청됨을 확인하 였다.

      • KCI등재

        가계의 교육비 지출에 관한 시계열 분석

        이성림 대한가정학회 2002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0 No.7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and trends in the household expenditure in both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Between 1982 and 2000, the level of the total educational expenditure increased by 5% in each year on average, increased by 2.2% for public education, and by 11.4% for private education. On the public educational expenditure, the consumption expenditure elasticity was 0.2 and the price elasticity was 1.49. On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the consumption expenditure elasticity was 1.5 and became below 1 after 1998, and the price elasticity was 2.63.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ducational expenditure was necessary rather than luxurious and there was excess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expenditure would continue to increase without reforms both in the supply and demand sides.

      • KCI등재

        어머니의 자녀교육열과 가계 특성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나영미(Na, Young Mi),윤정혜(Yoon, Jung Hai) 한국생활과학회 2011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other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households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on the likelihood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and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Factor analysis, probit and tobit analyses were used.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e mothers educational aspirations for intrinsic values is higher than for extrinsic values. The mothers educational aspirations for extrinsic values, households assets, and residing in Seoul rather than residing in Inche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However, the childs birth order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likelihood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The mothers educational aspirations for extrinsic values, the mothers education level, households income, households assets, and residing in Seoul rather than residing in Inche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However, the childs birth order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Findings from this study offer several implications. First, the mothers educational aspirations for extrinsic values rather than for intrinsic values has an effect on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Unless the mothers educational aspirations have been changed to pursuing intrinsic values,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cannot be reduced. Second, the polarization of the households income and assets could bring about the polarization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which can lead to the intergenerational income polarization.

      • KCI등재

        초ㆍ중등교육의 학부모부담경비 적정화 방안

        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7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6 No.2

          이 논문은 초?중등교육의 학부모부담경비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적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부모 부담경비는 학교교육을 위해 필요한 경비 중에서 학부모가 부담하는 경비를 말한다.<BR>  교육비특별회계 및 학교회계에서 학부모부담경비의 위치와 현황을 살펴보고, 학부모 부담경비의 문제를 의무교육 무상성의 문제, 지역별 교육비 격차의 문제, 저소득층의 부담 문제, 학교운영지원비의 문제, 학부모부담 과다의 문제 등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이를 토대로 학부모부담 경비의 적정화 방안으로는 학교운영지원비의 위상 정립, 학부모부담 완화를 위한 재원확보, 수익자부담경비의 융통성있는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reasonable level of parents" share in educational expenditures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BR>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present conditions and position of parents" share in local educational special accounts and school accou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of parents" share in educational expenditures, following five problems were derived: gratuitous attendance of compulsory education, regional gap of educational expenditures, over burden of people in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supporting fee for school operating, and over burden of parents" share in educational expenditures.<BR>  In order to determine reasonable level of parents" share of educational expenditures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oposed: establishment of position of the supporting fee for school operating, enlarging educational finance for lightening parents" burden, and elastic management of educational expenditures charged to beneficiaries.

      • KCI등재

        中国的义务教育的财政支出的效率比较 -基于DEA-Malmquist指数的实证分析-

        孙亚楠 ( Sun Yanan ),庞清松 ( Pang Qingsong ),金相郁 ( Kim Sangwook ) 중국학연구회 2023 중국학연구 Vol.- No.104

        이 논문은 중국의 의무교육의 지역별 효율성을 비교하고 있다. 의무교육은 정부의 재정지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의무교육은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인재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DEA-Malmquist 지수를 이용하여 2006-2020년 기간 동안 중국의 성별 지역의 의무교육에 대한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비교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학생 1인당 일반공공예산교육사업비지출, 일반공공예산교육사업비지출이 일반공공예산사업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정규 교사 수를 투입변수로 설정한다. 그리고 의무교육지속비율, 4년제 대학 졸업 정규 교사의 비율을 산출변수로 설정한다. 분석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006-2020년 기간 동안의 평균 Malmquist지수는 0.954로 1보다 작다. 따라서 의무교육의 재정지출의 효율성은 떨어지고 있다. 그리고 2006-2017년 기간 동안은 연도별 Malmquist지수는 모두 1보다 작은 반면에 2017-2020년 기간은 연도별 Malmquist지수가 1보다 크다. 이는 2017년 이후부터 의무교육의 재정지출의 효율성이 점차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31개 성급 지역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해시를 제외하고는 모두 Malmquist지수가 1보다 작다. 이는 2006-2020년 기간 동안 상해시를 제외한 성급 지역의 의무교육의 재정지출의 효율성은 감소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4대 지역별로 보면 모두 Malmquist지수가 1보다 작다. Malmquist지수의 절댓값을 비교해 보면 동북지역의 Malmquist지수의 절댓값이 가장 크고 중부지역이 가장 작다. 이는 지역별로 효율성의 불균형이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ducation. Due to the distribution of China's population,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each regio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differences in economic levels. This has led to an uneven development of compulsory education in different regions of China.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fiscal expenditures. This paper examines the efficiency of fiscal expenditure on compulsory education in China. It uses the DEA-Malmquist index to analyse the efficiency of financial expenditure on compulsory education in 31 regions in China from 2006 to 2020. The analysis is carried out from three perspectives: annual changes, comparison of the 31 regions, and comparison of the four regions. An analysis of the annual changes reveals that the Malmquist index for 2006-2020 is 0.954, which is less than 1. This indicates that the efficiency of financial expenditure on compulsory education is regressive. The Malmquist Index for the period 2017-2020 is greater than 1. This indicates that the efficiency of China's financial expenditure on compulsory education is improving during this period. The mean value of the Malmquist Index before 2017 is less than 1, which indicates that the efficiency of financial expenditure on compulsory education in the previous period was regressive.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31 regions, it is found that only Shanghai's Malmquist Index is greater than 1, indicating that only Shanghai's financial expenditure on compulsory education is improving, while the efficiency of financial expenditure on compulsory education in all other regions is regress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ur regions reveals that the mean value of the Malmquist Index is less than 1 for all four regions, indicating that all four regions have regressed in the efficiency of their financial expenditures on compulsory education. The Northeast region has the highest mean value of the Malmquist Index, followed by the East region, then the West region, and finally the Central region has the lowest mean value of the Malmquist Index.

      • KCI등재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 관점에서의 적정 정부지출규모 연구

        정은희(Jeong Eun Hee),신정우(Shin Jung 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사회·경제적 발전의 밑바탕인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정부지출은 점차 늘어나고, 지원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한편, 유아교육과 보육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국가에서는 유아교육과 보육을 구분하여 예산을 집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정부지출 규모는 개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 관점에서 적정 정부지출규모 수준을 산출하여 보다 효율적인 유아교육 및 보육재정 규모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 관점에서 유아교육과 보육의 적정 정부지출규모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OECD 국가에 대한 유아교육 및 보육지출 규모 자료와 경제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적정 정부지출규모를 분석하였다. 분석 1) 경제성장 대비 적정 유아교육 및 보육지출 규모 관점과 2) OECD 국가수준 대비 적정 재정규모 관점에서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1) 유아교육 및 보육 지출과 경제성장은 1차적인 선형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 OECD 국가와 비교하여 적정 규모는 2016년 기준으로 6.9%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적 관점에서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적정 정부지출 규모를 산정하는 연구로서 정부재정규모 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 유아교육 및 보육예산 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s a fundamental element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Governments are increasing government spending and expanding suppor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On the other h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have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 and in the country, budget is implemented separately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judge the effici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by calculating the level of appropriate government expenditure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rather than individually examining the size of government expenditur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government expendi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For analysis, we analyzed the effect of government expendi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on economic growth by using OECD data.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child care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The proportion of the efficient government expenditur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compared to OECD is estimated to be 6.9% in 2016. This study provides appropriateness of government expenditur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from an integrated view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useful for establishing the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budg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