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 가변가구의 개념과 디자인 요소 정립에 관한 연구

        현기훈(Gi Hun Hyun),오철훈(Cheol Hoon 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현대 사회는 친환경적인 삶을 기본으로 다양한 공간과 가구, 제품의 요구와 그들을 이용함으로써 사회적인 이슈에 적합하게 대응하며 살아가고 있다. 가구는 인간과 자연에 무해한 재료의 사용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친환경 가구를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공간의 효율을 바탕으로 발전한 가변가구는 도시인구의 증가와 1인가구의 확대로 공간의 축소와 과거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사회적 욕구로 나타난 시스템가구의 발전에 힘입어 교체가 자유롭고 다양한 유닛을 가진 가구는 마치 친환경 가구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과연 가변가구가 스스로 친환경 가구라고 정의 할 수 있는가의 의문에 따라 가구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변가구의 팽창구조(Inflating structure)나 접이 구조(Folding structure)는 시스템가구의 재사용성과는 무관한 구조를 지니고 있어 이들 가구의 재료에 대한 재활용성에 대한 새로운 해결이 있어야 친환경가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기연구된 자료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분석에서의 가변가구들은 각 분류에 적합한 친환경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로 된다. 반면 친환경적 행위의 대상을 비교해 보면 일반적으로 가구는 생산자의 행위가 주요 요소가 되며 친환경 가구의 사용을 통한 소비자의 인성적 친환경을 유도하고 있다. 반면 시스템가구나 가변가구에서는 일반적인 가구에 대한 생산자의 제작행위가 중요함과 동시에 가구의 선택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의 새로운 공간변화의 기호를 해결하기 위한 가구의 분해, 변경, 재조립 등의 소비자의 적극적 가구변형에 대한 참여가 중요하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특징인 친환경 가구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친환경 가변가구의 개념과 디자인 요소를 정립할 수 있었다. 이렇듯 친환경 가변가구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친환경적 행위를 중요한 가치로 가지며 가구 전 과정에 걸쳐 인간과 자연에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에너지 효율이 좋은 재료의 친환경적인 조형가변, 효율가변가구로써, 다양한 유닛을 가지고 모듈화 되어있어 구조의 친환경성인 공간가변, 다목적가변가구가 있으며 이들 가구는 간단한 이동, 쉬운 결합, 주변 사물과의 조화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친환경가변가구의 개념을 생산자(제작자)중심의 친환경 가구의 친환경을 위한 각각의 요소들과 가변가구의 특징인 사용자(소비자)가 참여하고 동참을 이끌어 내면 소비자 스스로가 가구의 친환경적 요소를 지닌 제품이며, 소비자는 적극적으로 친환경 생활에 대한 참여의지가 증대될 것이다. 친환경가변가구는 생산자의 친환경적 생산의지와 소비자의 친환경적 행동을 극대화 시켜주는 역할로써 친환경 가구디자인의 중요한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living while properly responding to social issues by choosing space, furniture and other products based on eco-friendliness and other social needs. Use of materials harmless to humans and nature, eco-friendliness and saving energy have been major trends in making furniture in recent years. The advent of adjustable furniture designed to maximize space efficiency reflects efforts to meet various sophisticated consumer needs in the era of micro residential space in light of expansion of urban population and of one-person household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ystem furniture that has been introduced to meet these social needs, the furniture that is easily adjustable with various with modular units started to be regarded a part of eco-friendly furnitur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urniture based on the question whether adjustable furniture can be defined as eco-friendly furniture draws a conclusion that the inflating or folding structure of adjustable furniture has nothing to do with the reuse of system furniture and thus requires a new solution involving reusability of furniture materials to be able to be classified into eco-friendly furniture. As such, the adjustable furniture in structural analysis seen in previous research materials requires further study regarding eco-friendly methodologies that are appropriate in each of categories. Meanwhile, comparing targets of eco-friendly activities, the furniture, in general, adopts manufacturer’s activities as a major factor and induces consumer’s conscious eco-friendliness through the use of eco-friendly furniture.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furniture or adjustable furniture is characterized by consumer’s active participation in adjusting furniture such as disassembly, modification and reassembly designed to meet various spatial needs while manufacturing activities of furniture makers are just as important as well. Presenting the right direction of eco-friendly furniture that features active user participation was able to define the concept and design factors of eco-friendly adjustable furniture. The eco-friendly adjustable furniture thus takes eco-friendly activities of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as an important value, minimizes environmental impact throughout the lifecycle of furniture, and serves as multi-purpose furniture with a variety of modular units that facilitate relocation, easy disassembly and reassembly and harmony with other objects in surrounding area. If we are able to induce user(consumer) participation as well as various factors for eco-friendliness of producer (manufacturer)-oriented eco-friendly furniture, consumers will be regarded as one of the eco-friendly factors and the intent of their participation in eco-friendly life will be much enhanced. The eco- friendly adjustable furniture can be classified into a major type of eco-friendly furniture as long as it plays it role in maximizing eco-friendly activities among consumers as well as the intent of producers to make furniture in an eco-friendly manner.

      • KCI등재

        친환경 소비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친환경태도, 환경정체성 및 친환경 소비행동의 사회적 일반화인식을 중심으로 -

        포하매,박진채,정순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3

        With concentration on normalization of Eco-Friendly Attitude, environmental identity and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this paper studied the factors affecting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In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339 consumers living in Seoul. The analysis methods include technical statistics, credi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and F-tes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Eco-Friendly consumption practices, four factors are obtained: purchase, use/disposal, citizenship, and automobile use. 2.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udies are taken on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actice of Eco-Friendly Attitudes, environmental identity, general cognition and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general cognition and practice.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Eco-Friendly Attitude, environmental identity, purchase, use/ disposal, and level of civic action depending on age. Depending on the marital status, differences exist in the degree of environmental identity and public sexuality practice.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meaningful differences appear in the level of general awareness in purchase, use/processing and the level of practice in use/disposal. 3.Age, normalization and environmental identity are important factors on the practice of Eco-Friendly buying behavior. Age, normalization and Eco-Friendly Attitude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environmental identity in the practice of pro-environment use/ disposal behavior. In the practice of automobile use, behavior and related Eco-Friendly behavior, universal consciousness, Eco-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al identity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level of civic action and related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Age, normalization and environmental identity have a meaningful impact. Generally,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ly age plays an impact as a meaningful variable. Normalization and environmental identity have a meaningful impact on practical behavior, while Eco-Friendly Attitud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use/disposal and use of automobiles. 본 연구는 친환경태도, 환경정체성, 친환경 소비행동의 일반화인식을 중심으로 친환경 소비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39명의 소비자로부터 입수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소비행동의 실천 활동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 즉 구매, 사용/처분, 시민성, 자동차 이용이 도출되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친환경태도, 환경정체성, 친환경 소비행동의 일반화인식 및 실천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시민성 영역의 일반화인식 및 실천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 친환경태도, 환경정체성, 구매, 사용/처분, 시민성 실천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혼 여부에 따라 환경정체성 수준과 시민성 영역의 실천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 수준에 따라 구매, 사용/처분 영역에서의 일반화인식 수준과 사용/처분 영역에서의 실천 수준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친환경 구매행동의 실천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이 의미 있는 변수로 작용하였고, 일반화인식과 환경정체성은 모든 실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친환경 소비행동의 실천을 제고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스스로를 친환경소비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화를 유도하고, 사회 전반적으로 친환경 소비행동에 대한 일반화된 규범을 만들어서 강화하는 등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SPA 브랜드 친환경프로그램에 대한 대학생 소비자의 평가

        김용주(Kim, Yong 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SPA 브랜드가 환경오염 등 부정적인 사회적인 이미지를 벗어나 지속가능한 패션기업이 되기 위해 전개하고 있는 친환경프로그램에 대한 실효성을 분석하고자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의 일반적인 환경의식과 친환경행동, 패션 환경의식과 친환경 패션행동, 그리고 패션소비행동을 변인으로 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SPA 브랜드의 주 소비층인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38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법으로 빈도분석, t-test, ANOVA,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이 여성에 비해 패션 환경의식과 친환경패션행동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패션제품 구매빈도는 일반적인 친환경행동, 친환경 패션행동과 유의한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나 패션 환경의식과는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반면 패션소비수준은 일반적인 친환경행동과, SPA 구매빈도는 친환경패션행동과 유의한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SPA 브랜드의 친환경프로그램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친환경사회활동’, ‘친환경제품’, ‘친환경 가격 프로모션’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SPA 브랜드 친환경프로그램에 대한 태도비교에는 성별 및 패션소비행동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일반적 환경의식은 패션 환경의식과 친환경패션행동, 그리고 SPA 브랜드의 친환경사회활동과 가격프로모션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반면 일반적인 친환경행동은 친환경패션행동, SPA 브랜드의 친환경사회활동, 친환경제품에는 유의하게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나, 패션환경의식, SPA 브랜드의 가격프로모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패션 환경의식은 SPA 브랜드의 친환경제품요인에, 친환경패션행동은 패션 환경의식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나, SPA 브랜드 친환경사회활동이나 가격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SPA 브랜드의 친환경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영향 요인이 다르므로 SPA 브랜드가 소비자를 대상으로 친환경관련 프로그램을 전개함에 있어 목표소비자의 특성별 다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SPA brands have developed eco friendly programs to break away from negative social image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he actual eco-friendly program of SPA brands and investigates factors affecting consumer evaluation.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co friendly activities in general and also especially in fashion context were included in questionnair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s to 200 college students and total 138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t-test, ANOV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ere us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le respondents showed higher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co friendly activities related to fashion than the females. Buying frequencie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eco friendly activities in general and also in fashion context whereas di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fashion environmental awareness.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shion consumption levels and eco friendly activities in general and also between buying frequencies of SPA brands and eco friendly activities in fashion context. Secondly,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eco-friendly programs of SPA brands, 3 factors including "eco-friendly social activities", "eco-friendly product development", and "price promotion for eco friendly programs" were extracted.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ttitudes toward the eco friendly programs of SPA brands by the gender and the fashion consumption behaviors. Fourth, environmental awareness in general had posi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awareness in fashion, eco friendly activities in fashion consumption, eco friendly social activities of SPA brands, eco friendly price promotions. Eco friendly activities in general showed posi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awareness in fashion, eco friendly activities in fashion consumption, eco friendly social activities of SPA brands, and eco friendly product of SPA brands. Environmental awareness in fash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co friendly product whereas eco friendly activities in fash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wareness in fashion. Otherwise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conclusion, SPA brands should develop diverse eco friendly programs according to the target consumers because there exist different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oward the eco friendly program of SPA brands.

      • KCI등재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에 관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김형주(Kim, Hyung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최근 국내외 블라인드 업체에서는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이슈화되고, 쾌적한 삶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한 소재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 생산 및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신기술 적용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효율적인 친환경 실내 환경 구축이 절실한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업체의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 동향 및 사례연구로 친환경 블라인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디자인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통해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의 개념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블라인드제품 국내외 업체사이트와 브로슈어(Brochure) 그리고 블라인드 취급점과 생산업체를 방문하여 국내외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을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중소기업청 선정 우수기업이자 국내 매출순위 상위 2대 업체이며, 친환경블라인드 생산 개발을 하고 있는 한국윈텍, 윈플러스와 국외 매출순위가 높은 업체 중 친환경블라인드 생산에 주력하는 2대 업체 미국 헌터더글라스(Hunterdouglas), 네델란드 콜리세(Coulisse)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각 업체의 2012년에서 2015년 현재까지 데이터를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친환경 블라인드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해물질을 줄여 건강한 생활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다. 친환경 블라인드의 유형은 소재, 조직, 구조, 시스템으로 나뉘며, 친환경 소재와 메탈릭사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형 소재의 블라인드, 암막 조직, 콤비 블라인드, 트리플 블라인드, 벌집 형태 셀의 허니콤 블라인드가 있다.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동 모터 시스템 블라인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의 한국윈텍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으로는 소재와 시스템 측면에서 무코팅 원단 롤 블라인드와 전동 모터 블라인드가 있고, 윈플러스는 소재, 조직, 구조 측면에서 닥섬유, 한산모시의 친환경 소재, 원착사, 메탈릭사를 활용한 삼중직 암막블라인드와 에너지 절감형 콤비 블라인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외 미국의 헌터더글라스는 전제품이 그린가드 친환경 인증을 받았으며, 소재와 구조 측면에서 항균처리 및 정전기 방지 원단처리 ‘패브릭 더스트 쉴드(Dust Shield)’가 되어있고, 에너지 효율성이 좋은 허니콤 블라인드가 개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네델란드 콜리세는 소재 측면의 아마, 종이로 블라인드를 제작하여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두 업체 모두 시스템 측면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무선 전동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소재, 조직, 구조와 시스템 구축을 통한 친환경 블라인드 개발이 절실한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고품질의 친환경블라인드제품 개발을 위한 관련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친환경블라인드제품 관련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Recently, the domestic and overseas blind manufacturers have been making efforts to produce and develop eco-friendly blind products based on environment-friendly and excellently energy-efficient materials and technologies with th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increase of consumers’ demands for a pleasant life. Thus, at this point of time when it is urgently necessary to reduce energy loss through applying new design technologies and construct efficient, eco-friendly interior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bout eco-friendly blinds through a study of the trends and cases of eco-friendly blind product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companies and help develop designs. As for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blinds through bibliographic data and materials on the Internet. In addition, by visiting the website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blind products, looking at their brochures and visiting distributors and manufacturers of blinds, this study looks into and analyzes the domestic and overseas eco-friendly blind product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limited to Wintec Korea and Winplus, the top two domestic companies by the order of the sales, which produce and develop eco-friendly blinds, and Hunter Douglas of the United States and Coulisse of the Netherlands, the top two companies that concentrates on the production of eco-friendly blinds, of the overseas companies ranking high in sales. In addition, each company’s data from 2012 through 2015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n eco-friendly blind is a design that reduces harmful substances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llows a healthy living space to be provided. The types of eco-friendly blind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terial, texture, structure and system. They include blinds made with eco-friendly materials and eco-friendly materials using metallic yarn, blackout texture, combo and triple blinds and honeycomb blinds. In addition, there are electrically-powered motor system blinds that have high energy- efficiency and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Second,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material and system, the main eco-friendly blind products developed by Wintec Korea of South Korea include not coated fabric roller blinds and electric motor blinds, while in terms of material, texture and structure, Winplus concentrates on the development of triple-woven blackout blinds and energy-saving combo blinds using mulberry fabric, eco-friendly material of Hansan ramie, dope-dyed yarn and metallic yarn. Third, in foreign countries, Hunter Douglas of the U.S. obtained green guard eco-friendly certification for all of its products, and in terms of material and structure, the products go through antimicrobial treatment and ‘fabric dust shield’ treatment that prevents static electricity, and it concentrates on the development of honeycomb blinds with high energy-efficiency. In addition, in terms of material, Coulisse of the Netherlands manufactures blinds with flax and paper and presents designs, which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eco-friendly. Also,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the system, both companies provide eco- friendly blind products for their consumers, developing wireless electrically-powered blinds which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t this point of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co-friendly blinds through building up materials, textures, structures and systems,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a related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quality eco-friendly blind products, and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eco-friendly blind products will be vitalized in the future.

      • KCI등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에 따른 소비자 유형에 대한 연구

        나종연 ( Rha Jong-youn ),이보한 ( Lee Bohan ),박서니 ( Park Sunny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3

        친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하나의 친환경 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던 매장에 제품군을 추가하는 형태의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로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예측 요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11월 3일부터 11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소비자 46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는 k-평균 군집분석, 카이제곱검정,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방문의도, 체류의도, 구매의도로 구성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 유형은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 유사 선호 집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30.8%인 143명, 유사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262명인 56.3%,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60명으로 12.9%로 구성되었다. 둘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비자가 지니고 있는 소비가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지각된 효용, 그리고 매장 관련 변수로 매장의 매력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성별, 연령, 학력 수준, 소득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매장의 매력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장의 매력도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소극적 소비자 집단에 속할 승산은 0.62배 낮아졌다. 본 연구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함으로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이 하나의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또한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매장의 매력도가 중요하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lifestyle store is a retail type that sells a variety of products meeting the consumer's specific value. In recent years,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such as Patagonia, 10 Corso Como Milano have emerged as consumer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general level of eco-friendly consumption. Also,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consumers can be typ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and to demonstrate predictive factors for each type. We collected data from 465 Korean consumers through online surveys from November 3 to November 7, 2018. K-means cluster analysis, t-test and chi-squar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30.8%), indiscriminative group(56.3%), and eco-friendly lifestyle store non-preference group(12.9%) depending on the intention to visit, stay, and purchas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 compared to the indiscriminate group were consumer value, perceived benefits of eco-friendly product, and store im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compared with the indiscriminate group, only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was foun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non-preference group. This study has shown that consumers'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lifestyle is increasing by classifying consumers according to usage intention for eco-friendly lifestyle store, and that eco-friendly lifestyle has become one consumption behavior. Also, it was meaningful that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is important because it predicts the intention to use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which is getting more attention recently.

      • KCI등재

        친환경 호텔 속성 지각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일본, 중국, 한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현재천,김성섭,오문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호텔기업에 대한 친환경 호텔 속성 지각 차이에 관한 연구를 국내호텔의 최대 고객인 미국, 일본, 중국, 한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국적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친환경지각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호텔기업의 친환경 경영정책과 마케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가설1의 국적에 따른 요인별 지각차이를 살펴보면, 8개의 요인 중 7개의 요인(‘요인1 친환경 정책’, ‘요인2 친환경 시설’, ‘요인3 친환경 교육 및 회계’, ‘요인4 친환경주방환경’, ‘요인5 환경홍보 및 절약’, ‘요인6 자연친화적 객실관리’, ‘요인7 객실비품의 재활용’)에서 지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2의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지각 차이를 보면, 미국인 고객은 성별, 연령, 학력, 소득에 따른 지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국인 고객은 친환경 속성 지각에서 평균 4.02로 조사국 중 가장 높은 친환경 의식 수준을 보이고 있어 호텔기업에서 적극적으로 환경 정책에 대해 안내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 중국, 한국인 고객은 요인별 지각에 대해 다양하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국적에 상관없이 모두 남성보다 친환경 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을 위한 친환경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호텔기업은 친환경 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세부적인 친환경 지침을 작성, 직원들을 교육하고 고객들에게도 호텔의 친환경 활동 및 재활용에 대한 회사의 협조 내용을 알려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ustomer perception of the attributes of eco-friendly hotels, according to nationa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alysis, by targeting the biggest customers of domestic hotels, such as American, Japanese, Chinese, and Korean customer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hotels' eco- friendly management policies and marketing. The study results of the perception differences by factor, according to nationality in Hypothesis 1, found perception differences in 7 out of 8 factors ('Factor 1 Eco-friendly Policies,' 'Factor 2 Eco-friendly Facilities,' 'Factor 3 Eco-friendly Education and Accounting,' 'Factor 4 Eco-friendly Kitchen Environment,' 'Factor 5 Environmental Public Relations and Saving,' 'Factor 6 Nature-friendly Room Management,' 'Factor 7 Reuse of Room Supplies'). According to the custo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Hypothesis 2, American customers' perception difference by factor was not found in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However, American customers averaged 4.2, which was the highest level of perception of eco-friendly attributes among customers of different nationalities, and Japanese, Chinese, and Korean customers showed a variety of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by factor. American customers, in particular, exhibited the higher eco-friendly needs, implying that they will require hotels to provide environmental policies more actively. The female customers, regardless of nationality, showed higher levels of eco-friendly perception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calling for hotels' eco-friendly marketing strategies. Hotel companies should therefore ensure that environmental management always come first as their eco-friendly management policy which they should create a detailed eco-friendly guidelines, instruct their employees on this, and ask customers for cooperation on their eco-friendly activities such as recycling to achieve their goals.

      • KCI등재

        친환경 제품 구매는 착한 마음으로 충분하지 않다: 이타적/이기적 동기가 친환경 제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세하(Bae, Se-Ha) 한국마케팅학회 2021 마케팅연구 Vol.36 No.1

        사회가 복잡해지고 환경문제가 부각 되면서,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구매 의도를 확인하기 위해 소비자의 동기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친환경 연구, 더 나아가 윤리적 소비연구 분야의 많은 연구가 동기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으나, 개인의 도덕성이나 윤리적 자아정체성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착한 소비자들만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제하고 친환경제품을 구매하는 이타적 동기뿐만 아니라 이기적 동기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친환경제품 구매에 대한 이타적 동기와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이기적 동기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타적 동기는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가진다. 둘째, 이타적 동기와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와의 관계에 있어 이기적 동기의 매개효과는 가격 공정성 지각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격 공정성 지각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이타적 동기가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고, 가격 공정성 지각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이기적 동기가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이로써 친환경 제품 구매 과정을 동기적 관점에서 확인하고, 가격 공정성 지각에 따라 친환경 제품 구매의 주 동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 구매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 다양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 이기적 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소비자의 착한 마음을 기대하는 것 만으로는 친환경 제품 구매를 촉진하기에 충분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친환경 제품의 정당한 가치를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우고 있다. 이는 그동안 연구되었던 친환경 소비자의 특성을 밝히는 것보다 더 중요한 연구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뿐만 아니라 실무에서도 소비자의 더 큰 동기가 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As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and more environment problems arise,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to buy products and services that positively affect society and environment. This study attempted analyzing a motivational approach by consumers to increase their willingness to buy. Many studi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studies, and more importantly ethical consumption studies, are trying to take a motivational approach, but rely on either individual morality or ethical self-identity.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not only altruistic motives but selfish motives for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assuming that ‘good’ consumers are not the only ones buying eco-friendly products. This study’s results are based on a survey method with 208 consumers and presents several important findings. First, egoistic motivations partia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ltruistic motivation and the willingness to purchase eco-friendly products. In other words, altruistic motivations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egoistic motivations are controlled by perceptions of price fairness. In more detail, a higher perception of price fairness weakens the impact of altruistic motivation on egoistic motivations. Third, if the perception of price fairness is too high, the impact of altruistic motivation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is insignificant. In addition, if the perception of price fairness is too low, the impact of the selfish motivation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was also minor.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eco-friendly consumption motivation on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from a process perspective may differ and that the main motivation of eco-friendly consumption can also vary depending on price fairness. This study provides a wide range of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a process approach study on eco-friendly consumption motivation. Above all, it was confirmed that egoistic motives play an important role in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In other words, it is not enough to promote the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just by anticipating the benevolent or altruistic nature of eco-friendly consumers. Instead, the focus should be on awaken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ng the legitimate value of eco-friendly products to consumers. This is more important tha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consum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to explore and effectively communicate factors that may be more motivating to consumers in both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친환경 디자인패러다임 도래에 의한 가구의 조형 변화요인 관계성 연구

        문재호(Moon, Jae Ho),김경희(Kim, Kyung H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패러다임의 흐름에서 나타난 시대별 친환경 트랜드와 이에 따른 가구디자인의 변화 유형을 분석해 친환경과 가구디자인의 관계성을 연구함으로서, 현재와 미래의 생활환경의 창조자로서 현대 가구디자인과 디자이너가 고취할 자연자원이나 인공자원을 고갈시키지 않으면서 생태체계를 보호하는 실무접목의 차원에서 디자인사고의 변화를 유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서론에서 현대의 디자인문제와 상황에 대한 논지를 통해 배경 목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론에서는 일차적으로 시대별디자인패러다임의 시각화 맵을 구축하고 구축된 디자인패러다임 시각화 맵을 바탕으로 4가지 상관관계 요소 분석을 통해 친환경 개념의 대두요인을 추출 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시대별 가구디자인 조형양식의 변화 사례와 친환경 디자인패러다임 도래 요인과 가구조형 변화요인을 분석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친환경 인식과 친환경개념 태동기로서 친환경가구디자인의 인식이나 표현은 극히 일부에서 보여 지고, 제품디자인에서 친환경 개념의 적용 보다는 계몽적 수준이었다. 또한 1970년대는 친환경가구디자인과 디자이너가 본격적으로 출현한 시기로서 가구디자인에서는 친환경 개념을 처음으로 적용시킨 아킬레 카스틸리오니(Achille Castiglioni)의 메차도르(Mezzadro)의자가 생산되고, 프랑크 게리(Frank Gehry)는 위글 사이드체어(Wiggle Side Chair)를 선보인다. 당시 기능주의적 디자인에만 치중되었던 세계 디자인계에 혁신적 사례라는 평가를 받았다. 1980년대에는 본격적으로 친환경가구디자인의 제안과 이에 따른 생산화가 이루어졌다. 미니멀리즘의 경향과 디지털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텔리젼트(intelligent)한 가구 등이 선보였으며,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치유를 위한 친환경 트랜드에 의한 친환경가구디자인이 제시되는 등 1980년 이후로는 의자에서 친환경 트랜드를 수용하는 디자인경향을 보였다. 1990년대~2010년대 친환경 디자인패러다임은 "지속가능 원칙"이 모든 디자인에 적용되어 활발한 상품화와 경제화를 이끌었던 시기로서, 가구디자인에서도 친환경디자인이 강조되고 미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iodic eco-friendly trends and change patterns of furniture design in order to induce design thinking change of practical level while protecting ecosystem without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or artificial resources by the modern furniture design or designer as a current and future life environmental creator. As for the methodology and scope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purpose is described through the contemporary design problems and conditions in the introduction. In the main bodies, the visualized map for periodic design paradigm is constructed and based on such design paradigm visualization map, 4 correl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xtract eco-friendly introduction factors. Based on such analyses, the conclusion was drawn by analyzing the periodic furniture design formative pattern change cases, eco-friendly paradigm introduction factors and furniture formative change factors. In the perception of eco-friendliness in the 1960s~1970s and the quickening period, the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eco-friendly design were very limited, and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iness to product designs was nothing but enlightening. and, the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and designers appeared extensively. Mezzadro chair was produced by Achille Castiglioni who adopted the eco-friendliness in furniture design for the first time, and Wiggle Side Chair was shown by Frank Gehry. They were praised as innovative cases in the global design industry that concentrated on functional design only. In 1980s, the mature period of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on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and production accordingly. The trend of minimalism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roduced intelligent furniture and furniture design to cure eco-system appeared. Thus, various tendencies on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appeared after 1980s. The transition period of eco-friendly trend between 1990s and 2010s, Eco-friendliness was emphasized in furniture design and active endeavors have been made to solve future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친환경디자인로드맵의 구축과 3Key 요소 분석을 통한 친환경디자인패러다임 및 제품디자인 조형변화요인 연구

        문재호(Moon, Jae H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친환경로드맵상의 디자인패러다임의 변화요인은 1960~70년대 반전운동과 친환경운동의 태동기이고, 70년대는 ‘에너지 효율(energy efficiency)’성이 강조되고 ‘유엔환경회의’가 설립되었다. 1980년대 ‘그린소비자’의 등장, ‘지구의 날’이 지정되고 ‘디자이너의 책임의식’이 고취되었다. 1990년대는 국내외 환경규제법규의 강화와 시민환경단체의 운동, 기업의 친환경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2000년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자원순환형 사회를 위한, 친환경적 신?재생 소재개발과 친환경개발의 기업고착화 등이 전산업화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로드맵상의 제품디자인 조형변화요인은, 1960년대는 친환경의 개념과 디자인이 태동하는 시기로, Minster Fuller가 Geodesic dome을 설계하여 ‘친환경’이 대두되고, 1970년대는 친환경의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시기로서 친환경 디자이너의 출현으로 친환경 제품의 생산적 의미보다는 계몽적의미로서 부각되었다. 1980년대는 전쟁으로 삶의 질의 향상에 보다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친환경 디자인의 관점에서는 발전이 가장 느려진 시기라 할 수 있다. 1990년대는 ‘지속가능 원칙’이 정립되어 친환경디자인의 중요성과 환경문제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는 기능적, 미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기보다는 개념과 친환경디자인 방법론의 개발로, 디자인사고가 전환되어 친환경디자인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Regarding the design paradigm change on eco-friendly roadmap, 1960s~70s was the birth period of anti-war movement and eco-friendly movement, and in 1970s energy efficiency was emphasized and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established. In 1980s there turned up green consumers, designated the earth day, and promoted the responsibility of designers. In 1990s, law on environmental restriction was strengthened in local & abroad, civic environmental organizations movement and development eco-friendly product by industry was proceeded. In 2000s, it has been carried out in all sectors of industries the eco-friendly new & renewable material development, firm fixation of corporate of eco-friendly development. Regarding product design modeling change element on the eco-friendly roadmap, the 1960s was the period of birth eco-friendly concept and design, in which the concept of eco-friendly was emerged by the construction of Geodesic dome by Minster Fuller. and in 1970s was an age eco-friendly was highlight as a social issue, and the appearance of eco-friendly designer was regarded as a meaning of enlightenment instead of the meaning of eco-friendly goods production. he 1980s can be regarded as the period of slow development in eco-design perspective, as it was focused more to the quality of life caused by war. In 1990s, the principle of sustainability was settled down thus,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design and the endeavor for eco-friendly design was started, and in 2000s the thought was changed to the concept & eco-friendly design method development rather than access to functional, aesthetics view point as a result the eco-friendly design has been in progress in diverse ways.

      • KCI등재

        화장품 패키징에 있어 친환경 알림과 투명도의 영향 :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상연(Lee Sang youn),민동원(Min Dong won) 韓國商品學會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1

        Recently, there is great volume of interest in well-being, health improve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is trend affects consumers' purchase pattern. Specifically, eco-friendly and organic product are preferred much better than before across various categories, such as cosmetic, toy, and office material. This research focused on eco-friendly cosmetics. In Korea, eco-friendly is one of major promotion points in cosmetic market, however, there is no public certification system in eco-friendly cosmetics. Moreover,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in the effect of 'eco-friendly' on consumers' response.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focused on whether eco-friendly message in cosmetic generates more favorabl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subsequent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packaging transparency moderates the effect of eco-friendly message. Additionally, eco-involvement's role in the effect of eco-friendly message and packaging transparency was examined. An experiment was run using a fictitious cosmetic. A 2(eco-friendly message)⨯2(packaging transparency)x2(eco-involvement) between-subjects designed eco-friendly message and eco-involvement affecte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favorably, whereas packaging transparency had no significant effect.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two-way or three-way interactions. Eco-friendly message and eco-involvement effects positive influence towar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As result, eco-friendly message could be meaningful point of cosmetics positioning and marketing activities. High eco-involved customer shows higher interest for cosmetics. Interesting point was involvement related with environment effects product uses over skin. This founding may uses for future work 'Perspective of customer seeing self body as part of environment'. 최근에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부상하고 있는 웰빙(well-being), 건강증진, 환경보존 등의 이슈들은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중 친환경이나 유기농을 강조한 제품들은 식품 뿐 아니라 화장품이나 장난감 등 매우 다양한 범주에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친환경 화장품에 주목하였다. 국내에서 친환경을 강조하는 화장품의 출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친환경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식적인 인증 시스템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화장품에 친환경 요소가 부각되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소비자의 태도가 호의적인지 또한 구체적으로 밝혀진 적이 없다. 이와 더불어 특히 화장품의 경우 패키징이 제품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속성임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화장품을 부각시킬 수 있는 패키징의 특성에 대한 검증 또한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화장품 패키징에 있어 친환경 알림이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특히 패키징의 특성 중 투명도에 주목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친환경의 이미지는 녹색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여러 친환경 또는 유기농 강조 화장품 브랜드들이 녹색을 다수 사용하고 있지만, 본 연구는 동일한 녹색이라고 해도 투명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친환경과의 지각된 적합성 정도에도 유의한 차이를 가져올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친환경 알림과 투명도의 영향이 친환경에 대한 관여도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이 있음에 주목했다. 실험은 2(친환경 알림: 표기 vs. 비표기)⨯2(패키징 투명도: 투명 vs. 불투명)⨯2(친환경 관여도: 고관여 vs. 저관여)로 가상의 화장품 광고를 이용해 진행되었다. 집단 간 실험 설계 분석 결과, 제품의 친환경 알림과 관여도는 각각 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패키징 투명도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모든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를 위해 가상의 제품을 종이에 인쇄하여 종이색상이 투명제품의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인쇄되지 않은 실물의 패키징인 경우 투명도가 미치는 영향이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실제 제품의 투명 또는 불투명 패키징을 이용해 실험을 진행해 본 연구 결과와 동일한 반응이 도출된다면, 더 이상 친환경 제품의 패키징에서 투명도는 고려대상이 되지 않아도 된다는 확실한 결론이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화장품의 친환경 알림 및 친환경에 대한 관여도가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임으로써 친환경 여부가 화장품 포지셔닝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됨을 실증적으로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