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공역학강의에서 주간보고서를 활용한 조별 토론의 과정과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하상우,이경호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9 No.5

        In this study, we developed group discussions with weekly reports in order to address students' difficulties in learning physics from social constructivism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at students discussed and how students solved their difficulties through group discussions with weekly reports in an upper-level mechanics cours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students' responses to the group discussions activities. In this study, there was one focused group with three participants who enrolled an upper-level mechanics course. We had videotaped the whole discussions of the focused group. For collecting additional data, we also used questionnaire about the group discussions, the weekly reports, the students' self reports, and the interviews. As a result, participants developed concrete understanding of abstract concepts, and discussed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process of the group discussions. In addition, participants thought positively about the group discussions. Especially, students thought that weekly reports and group discussions had helped their learning by complementing with each other and that the discussions gave them opportunities to think more deeply about the physics concepts during the course. In sum, group discussions with weekly reports can be a way that help students learn upper-level mechanics effectively.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전공역학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해소시켜 주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주간보고서의 내용을 소재로 활용한 조별 토론 방법을 개발하였다. 연구 목적은 주간보고서를 활용한 조별 토론 과정에서 학생들은 어떤 논의를 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어려움을 어떻게 해소하는지, 그리고 학생들은 주간보고서를 활용한 조별 토론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려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전공역학2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 중 세 명으로 구성된 한 그룹이었다. 본 연구자들은 연구참여자들이 매주 조별로 모여서 토론하는 과정을 녹화하고 녹화한 것을 전사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설문지, 주간보고서, 자기보고서등을 연구데이터로 활용했으며 그룹 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간보고서를 활용한 조별 토론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전공역학2의 추상적인 개념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여 자신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념들로 바꾸어 이해하였고,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부분까지 논의 하는 등, 조별 토론이 학생들의 학습에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참여자들은 주간 보고서를 활용한 조별 토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으며, 특히 주간보고서와 조별토론의 상호 보완적 측면이나, 조별 토론이 역학개념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 대상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연구 : 학습자 간 상호작용 양상 및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이연정(Lee, Yeon Jeong),김경연(Kim, Kyung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 유학생들의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그들의 온라인 토론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어 고급 수준인 학부 유학생들의 온라인 토론 내용을 Henri(1992)의 내용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한 만족도 결과는 SPSS-ver 2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결과 조사 결과, 학부 유학생들은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이 오프라인 토론에 비해 인지적, 정서적 그리고 참여적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토론은 시공간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인지적으로 자료를 검색하고 주제에 대해 숙고한 후, 보다 논리적으로 반박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토론에서는 긴장을 하거나 수줍음을 많이 타게 되는 데 비해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은 상대적으로 긴장이 덜 하여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토론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 반면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은 비대면으로 진행되고, 시간이 지연이 되기 때문에 토론이 가지는 본질적 특성인 소통에 있어서 한계가 있고, 비언어적 요소가 단절되거나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토론 현장의 생생한 분위기를 느낄 수 없다는 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실제 발화 기회가 없기 때문에 대인관계 형성 및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는 효과가 낮은 것을 단점으로 들었다. 토론 운영 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발화 지연에 대한 피로도를 낮추고, 실시간 온라인 토론과 병행⋅실시함으로써 비대면,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이 갖는 방법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among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of their online discussion learning experiences. Methods To this end, the content analysis model of Henri (1992) was appli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online discussions of 43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dvanced Korean language levels, and the survey conducted on their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xperiences. Resul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reign students perceived that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had advantag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participatory aspects over offline discussions. Specifically, online discussions have no spatio-temporal constraints, so they cognitively search for data and deliberate on the topic to argue more logically. Moreover the students free and comfortable to participate in the debate because offline discussions easily become nervous or shy, while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are less tense and less stressful. On the other hand, it was pointed out that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are non-face-to-face and time-delayed, so there are limitations in communication and non-verbal elements, no immediate feedback and no vivid atmosphere at the discussion site. It also mentioned the disadvantage of having little help in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mproving Korean speaking skills because there is no actual opportunity to speak. Conclus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methodical limitations of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we first need to reduce the fatigue of speech delays by shortening the duration of discussion.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and non-real-time situations will be overcome by parallel and implemented with time-on-line discussions.

      • KCI등재

        Using topic modeling-based network visualization and generative AI in online discussions, how learners' perception of usability affects their reflection on feedback

        Mingyeong JANG,Hyeonwoo LEE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 Technology 2024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Vol.25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learners' usability perceptions of topic modeling-based visual feedback and generative AI interpretation on reflection levels in online discussions. To achieve this, we asked 17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conduct an online discussion. Text data generated from online discussions were analyzed using LDA topic modeling to extract five clusters of related words, or topics. These topics were then visualized in a network format, and interpretive feedback was constructed through generative AI. The feedback was presented on a website and rated highly for usability, with learners valuing its information usefulness. Furthermore, an analysis using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based on levels of usability perception revealed that the group with higher perceived usability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reflection. This suggests that well-designed and user-friendly visual feedback can significantly promote deeper reflection and engagement in online discussions. The integration of topic modeling and generative AI can enhance visual feedback in online discussions, reinforcing the efficacy of such feedback in learning. The research highlight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se design strategies and clears a path for innovation.

      • KCI등재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Introvert-Extrovert Trait on the Degree of Flow and Participation mode at the On-line Discussion Environments

        김태웅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5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s of introvert-extrovert trait on the degree of flow and participation mode at the on-line discussion. The data for this research was collected from the total of 40 learners. The research data is testified through ‘MANOVA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ed : Firstly, the learner's introvert-extrovert trait affects the learner's discussion flow degree. That is, the introvert trai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xtrovert trait in the discussion flow degree. Secondly, the learner's introvert-extrovert trait affects the learner's discussion positive participation degree. That is, the introvert trai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xtrovert trait in the discussion positive participation degree. lastly, the learner's introvert-extrovert trait affects the learner's discussion negative participation degree. That is, the extrovert trai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trovert trait in the discussion negative participation degre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ntrovert-extrovert trait should be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the discussion flow and participation on the on-line discussion.

      • KCI등재

        수준별 대리적 상호작용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예경 ( Yekyung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0 교육공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 토론, 즉 게시판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편한 시간에 로그인하여 의견을 교환하는 토론 방식의 효과성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온라인 토론은 교실 수업보다 학습자에게 깊은 성찰의 시간을 더 많이 허용함으로써, 학습자의 고차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여겨져 온 학습 방법이다. 그러나 온라인 토론이 고등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고차원적 사고력, 특히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이론적으로는 뒷받침되기는 하였으나, 실험적 방법으로 그것을 검증하는 연구는 찾기 힘든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만 검증된 온라인 토론의 효과성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하여 실험적 연구방법으로써 이러닝에서의 토론활동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NOVA (1*3)가 실시되었으며, 독립변인은 대리적 상호작용(토론)의 수준(상호작용과 타인 의견의 성찰을 기반으로 하는 수준 높은 토론, 상호작용과 성찰이 결여된 토론, 토론 없이 주제관련 텍스트만 읽기) 이고, 종속변인은 논술형 답안으로 드러나는 비판적 사고 수준이었다. 연구 결과, 수준높은 대리적 상호작용이 비판적 사고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수준높은 토론이 실현되려면 교수자의 치밀한 계획과 유도가 필요하고, 단지 수준높은 토론이 진행되었다고 하여 비판적 사고력이 자연히 증진된다기보다 토론 내용을 비판적 사고에 활용하는 방법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vicarious interactions on critical thinking. A posttest only experimental design with three groups was used for this study. The control group read a fact sheet (expository text) only. The two experimental groups read either a high or low level discussion transcript with the fact sheet. The dependent variable was critical thinking measured by the Washington State University Critical Thinking Rubric. Letters (posttests) from 58 participants were scored using this rubric.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interaction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Fisher’s exact test revealed that when each component of the rubric was analyz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any single component. Qualitative analysis of post treatment surveys and interviews showed that discussions mostly helped the participants reinforce their ideas and strengthen their arguments.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e need for instructor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quality of online discussions and stimulate critical thinking. The use of vicarious experiences is also recommended to model exemplary discussions for learners.

      • KCI등재

        Asynchronicity and English Langauge Leanring: EFL Students' Self-efficacy in Email Discussions

        Han, Kyungsun 한국응용언어학회 2006 응용 언어학 Vol.22 No.2

        This study postulated that email discussions have pedagogically beneficial capacity for EFL instruction in part because of its asynchronicity. Under the assumption, the study attempted to trace whether the medium could improve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and how the effects related to discussion contextual features. To investigate these issu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pertaining to willingness to communicate, and perceived self-efficacy and language anxiety by asking the questionnaire to EFL students participated from two sections of English language course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ver the period, the students were also asked to write about their discussion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journal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tudents could develop a greater 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the email discussions. The asynchronicity of the email discussions seemed to help compensate the EFL students’ lack of flexibility and fluency in the English language so as to undertake the discussion tasks. In particular, the extended processing time and the accessibility to various English language related resources provided by the asynchronous nature emerged as critical factors involved in the students’ mastery experiences, which lead to the improved students’ perceptions of self-efficacy for learning the English language.

      • KCI등재

        Asynchronicity and English Language Learning

        Kyungsun Han 한국응용언어학회 2006 응용 언어학 Vol.22 No.2

        This study postulated that email discussions have pedagogically beneficial capacity for EFL instruction in part because of its asynchronicity. Under the assumption, the study attempted to trace whether the medium could improve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and how the effects related to discussion contextual features. To investigate these issu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pertaining to willingness to communicate, and perceived self-efficacy and language anxiety by asking the questionnaire to EFL students participated from two sections of English language course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ver the period, the students were also asked to write about their discussion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journal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tudents could develop a greater 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the email discussions. The asynchronicity of the email discussions seemed to help compensate the EFL students’ lack of flexibility and fluency in the English language so as to undertake the discussion tasks. In particular, the extended processing time and the accessibility to various English language related resources provided by the asynchronous nature emerged as critical factors involved in the students’ mastery experiences, which lead to the improved students’ perceptions of self-efficacy for learning the English language.

      • KCI등재

        Students Use of Strategy to Create Effective Discussions in an Online Graduate-Level Discussion Forum

        전선영(Chun, Su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교육 현장에서의 온라인 토론이 일반화되면서 온라인 토론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이 물리적 신체적 거리를 좁히고 궁극적으로는 좀 더 효과적인 토론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회적 실재감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는 미국에 소재하는 대학원의 온라인 토론 수업 상황에서 원어민 비원어민 대학원생들이 어떻게 사회적 실재감을 확립 발달시켜가고 어떤 사회적 실재감 전략들을 사용하는지 조사하였다. 한학기 동안 9명의 구성원들이 온라인 포럼에 작성한 149 메시지를 Rourke, Anderson, Garrison, and Archer (2001) 가 고안한 스케일을 사용하여 내용 분석을 하였다.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원어민 비원어민 대학원생들은 Rourke et al.(2001)의 스케일에서 확인된 정의적, 상호작용적, 그리고 결속적 사회적 실재감 전략을 온라인 토론 때마다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정의적 실재감 전략에서는 자신의 약점을 내어 보이는 자기노출‘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유머의 사용’이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두 번째, 상호작용적 사회적 실재감 전략에서는 ‘질문하기’가 구성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 결속적 사회적 실재감 전략에서는 ‘다른 구성원들의 이름을 부르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토론 환경에서 참여자들사이의 결속감을 높여 좀 더 효과적인 토론을 원하는 교수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strategies for creating social presence used by native and non-native English-speaking students during online discussions while enrolled in a US graduate course. The study also examined how their uses of social presence developed over time during the discussions. Data came from the online discussion transcripts from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posted by the participants over the course of a semester. A total of 149 messages posted on the board were analyzed using the social presence category designed by Rourke, Anderson, Garrison, and Archer (2001).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made conscious and deliberate efforts to make their online interaction more effective by employing various types of social presence strategies. The strategies employed by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create social presence varied from the affective to the cohesive. In the affective category, self-disclosure proved to be effective in developing a sense of community among the students and helpful in reducing their feelings of isolation. Use of humor was used the least frequently. In the interactive and the cohesive categories, asking questions and vocatives were most frequently used, respectively.

      • KCI등재

        교실담화를 통한 지식의 협력적 구성과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

        이순아(Lee Soon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혼자 책을 읽는 것보다 둘씩 혹은 여럿이 나누는 대화를 통 해 어떤 정보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습득하고 지식을 효과적으로 축적하기도 하는 데, 이는 왜 그럴까라는 물음에서 이 논문은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학습 에 있어서 학생들 간에 이루어지는 협력적 대화의 중요성과 가치를 논의하고 협력 적 교실담화의 기제로서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의 역할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 였다. 본고에서는 협동과 구별되는 협력의 의미를 살펴보고 담화의 본질적인 속성으 로서 사회성, 상호작용성, 맥락성과 대화성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협력은 두 사람 이 상이 대화를 통해 어떤 경험이나 개념에 대한 공유된 의미를 형성하는 것이고, 그 대화 과정에서 학생들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관점과 목소리를 경험하며 적극적 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 학생들은 협력적 담화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 는 인지적인 불균형과 상반된 아이디어 간의 충돌을 표현하는데, 이는 새로운 아이 디어나 관점을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는 생산적이고 열려있는 대화의 공간을 창출 하는 데 기여한다. 결과적으로 지적·심리적 저항과 충돌은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고 나와 다른 관점을 고려해서 기존의 관점을 바꿀 수 있는 변화의 촉매제로서의 역할 을 함으로써 개인과 집단의 지적 성장을 가져온다. 끝으로 이 논문은 질문과 토론이 사라진 우리나라 교실 수업에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 학생들의 다양한 관점과 의 견이 존중되고 학습과정에서 그들이 느끼는 지적·심리적 저항이 자유롭게 표현되는 협력적 교실담화를 촉진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nd classroom discourse in learning, springing from a question of why talking and working together would be more effective in knowledge building than reading and studying alone. Simply setting students up for a discussion does not guarantee that they will actively exchange ideas and engage in meaning-making activities. For collaborative discussions, it is crucial how students react to expressed ideas, negotiate with multiple voices, and make their own meaning. In this article, the nature of collaborative discourse is discussed and the concept of “Resistance” that students experience and express in classroom discussions is introduced. Collaborative classroom discourse is based on social, reciprocal, situated, and dialogic interaction. Generally, resistance did seem centered on negative emotions or reluctance to engage,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resistance would positively function as the initial impetus to considering new ideas and contribute to an open and productive discuss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clusions are draw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확인 질문(cross examination) 방식과퇴계 고봉 사칠 논변 방식의 비교 고찰

        유영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5 사고와표현 Vol.8 No.2

        본고는 아카데미 정책 토론에서 사용하는 확인 질문의 의미와 방법을 정리하고조선 시대 철학 논쟁인 사단 칠정 논변과 비교하여 좋은 대화와 토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확인 질문은 법정에서 쓰는 개념이었지만 정책 토론 대회의 절차로 도입되었는데 실제 실행 방법은 법정 토론과 다르다. 본고는 확인 질문이 대회에서 승리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서서 좋은 대화를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본다. 조선 시대 대표적 철학 논쟁인 사단칠정론은 원로 유학자와 신진 유학자간의 좋은 대화 모델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철학적으로 볼 때는 논리적 개연성 없이 갑작스럽게 마무리되었다. 본고에서는 확인 질문의 방식을 통해 사칠 논변이 이렇게 진행된 이유를 탐색하였다. 좋은 토론, 좋은 대화가 되기 위해서는퇴계 고봉이 예의를 갖추어 천천히 진행한 대화 방식과 정책 토론의 확인 질문방식 두 가지의 장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좋은 확인 질문 방법과 유형을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aimed to regulate the meanings and the methods of the Cross Examination prevailed in the policy debates and to grope the desirable method by comparing it to the discussions on the Four Clues & Seven Emotions between LEE Hwang(李滉) and GI Dae Seung(奇大升). Though the Cross Examination has been used originally in the court to be introduced as a procedure in the policy debates, it’s rather a little different in real practice from thous of the arguments in the court. The main idea of the thesis is that it would be a good method of dialogues, not to mention to be an efficient means in debates. The discussions on the Four Clues & Seven Emotions between LEE Hwang and KEE Dae Seu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ave been recognized as a good model of dialogues between a senior scholar an a young scholar. But It’s rather discouraging that it had no concluding in logical necessity to be a philosophic discussion. The causes was discussed in the thesis with the method of the Cross Examination. We might consider the advantages of the two methods to lead good discussions and dialogues. For this purpose, it would be desirable for us to make efforts to develop the various methods and models of the Cross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