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쓰기 윤리’를 매개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 교육 과정 및 사례 연구
권동우,배혜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1
‘Digital Literacy’ refers to a capability to evaluate and judge reliability of diverse information distributed through digital networks, and to change this to knowledge that is necessary to individuals by sorting out, selecting, editing, and processi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iversification of digital media apparatus and platforms, this digital literacy is being more highlighted. But the use of digital medial among writing learners is still at its primary stage to check and transfer information and knowledge. As a result, the failure in invigoration of digital literacy in a very true sense is making it impossible to extend independent writing. The introduction and the cultivation of ‘writing ethics’ that this paper focuses on, can be a drive to extend writing, since it facilitates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writing itself.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mediating role of writing ethics and its effect on digital literacy writing, rather than putting essential emphasis on it in a primary sense. When it comes to using digital literacy as a previous step of writing, writing ethics is part of the solution for a critical mind on how to boost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expression, which are fundamental issues in writing. Writing ethics education and learning enhance discernment of digital information, naturally leads to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writing, and invigorates digital literacy again. Ultimately, a virtuous circle is formed in this way.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서 유통되는 다양한 정보의 신뢰도를 평가ㆍ판단하고 이를 취사・선택・편집・가공하여 자기에게 필요한 지식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는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최신 디지털 미디어 기기와 플랫폼의 다변화로 인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글쓰기 학습자들이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는 양상은 정보와 지식을 확인하고 옮겨오는 일차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활성화에 이르지 못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체적 글쓰기라는 확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주목하는 ‘쓰기 윤리’의 도입과 의식의 함양은 그 자체로 비판적 사고와 주체적 글쓰기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글쓰기의 확장으로 이끄는 하나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쓰기 윤리에 대해 일차적인 의미의 당위적 강조가 아닌 그것이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에서 불러일으키는 매개적 역할과 효과에 대해 주목하였다. 즉 디지털 리터러시를 글쓰기의 전(前) 단계로 활용함에 있어, 어떻게 그것을 글쓰기에서 요구하는 본질적 문제인 창조적 사고와 주체적 표현으로 유도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의식에 대한 해답의 한 방편에 쓰기 윤리가 자리한다. 쓰기 윤리 교육과 학습은 디지털 정보에 대한 분별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고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와 주체적 글쓰기를 이끌어내며, 이는 다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선순환의 구조를 만들어낸다.
최지연(Jiyoun Choi Ji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최근 디지털 시대 변화에 따른 대학생의 디지털 글쓰기 인식을 성별, 전공 계열별로 분석해보고 디지털 쓰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디지털 쓰기 교육의 계획 및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 소재 대학교 재학생 1학년 379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글쓰기 인식 설문조사(9개 하위 구성요소, 20문항)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0 버전을 이용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과 계열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각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디지털 쓰기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에서는 디지털 쓰기가치와 쓰기불안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디지털 글쓰기 인식에 대한 성별 차이는 디지털 쓰기불안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다. 셋째, 디지털 글쓰기 인식에 대한 계열 차이를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 디지털 쓰기수행과 디지털 쓰기인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자연·공학계열보다 인문·사회계열의 평균 점수가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쓰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쓰기효능감, 독자고려, 디지털 쓰기가치, 디지털 쓰기윤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디지털 기기와 기술의 영향으로 문식환경이 변함에 따라 전통적 글쓰기와 차이가 발생함을 고려하여 디지털 글쓰기의 특성, 인식 등의 분석을 통해 디지털 글쓰기 교육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쓰기윤리 교육의 필요성, 이공계열 대학생의 쓰기 수행 및 쓰기인식 강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디지털 쓰기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디지털 쓰기효능감으로 그간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by gender and major, and also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differences on digital writing performance. Methods A digital writing recognition survey (9 sub-components, 20 questions) was conducted for 379 first-yea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Busa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version was performed. Results First, in descriptive statistics, the average score of digital writing value and writing anxiety was the highest. Second, as for the gender difference in digital writing recognition, only digital writing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average scor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Third,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series of digital writing recognition by item, digital writing performance and digital writing recogni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nd the average scor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as higher than that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digital writing performance,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digital writing efficacy, reader consideration, digital writing value, and digital writing ethic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emphasized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raditional writing as the literacy environment changes due to the influence of digital devices and technology. The implications of digital writing education were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digital writ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writing ethics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necessar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wareness among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he biggest influence on digital writing performance was digital writing efficacy,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신선희 ( Shin Sun-hee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5
본고는 디지털 기반 글쓰기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였다. 발달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 환경의 변화와 학습자들의 글쓰기 경험의 변화로 인한 글쓰기 교육의 변화 방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활동을 검토하여 보완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 기반 글쓰기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몇 가지 제안하였다. 첫째, 소통과 공유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기반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디지털 기반 글쓰기 교육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 환경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디지털 기반의 글쓰기 학습자들은 필자인 동시에 독자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기반 글쓰기 교육이 학교 밖에서도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과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술의 발달로 인한 사회 변화에 발맞추어 글쓰기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d the direction of digital - based writing education. The changes in the writing environment based on the developed technology and the changes in the writing experience of the learners were examined. First of all, we reviewed the curriculum and the activities of textbooks and suggest some points to be supplemented. Based on this, we proposed four directions for digital - based writ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irst, digital - based writing education based on communication and sharing should be done. Second, digital - based writing education should be done steadily. Third, digital - based writing learners should be able to play both writers and readers. Fourth, digital - based writing education in school should be connected with writing education which is done outside sch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쓰기 기반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정민,배진호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gital writing-based science classes using digital platform with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s of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 different 4th grade classes in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39 students in two classes and 39 other students in different two classes for the comparison group. Digital writing-based science classes using digital platform(es. Padlet, Intelligent writing platform 「jajakjajak」)were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whereas comparison group was taught general science classes on the same subject as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ordinary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a pre- and post-questionnaire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gital writing-based science classes using digital platform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on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But only for two sub area, the self-concept of science and the value for science,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Second, digital writing-based science classes using digital platform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o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digital writing-based science classes were applied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wo sub area, objectivity and readiness.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students’satisfaction, participation and interests of the digital writing-based science classes using digital platform, they caused an positive effectiveness on students’ satisfaction, participation and interests. The study results above indicated that digital science writing activities using digital platform didn'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except for several sub area, bu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also are effective about the elementary students’ satisfaction, participation and interests of the digital writing-based science classes using digital platform.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쓰기 기반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B광역시에 소재한 D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39명을 실험집단, 다른 2개 학급 39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디지털 플랫폼(패들렛과 지능형 글쓰기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쓰기 기반 과학수업을 4학년 2학기 2단원 ‘물의 상태 변화’ 단원을 대상으로 11차시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 대해서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주제의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기반으로 한 일반적인 과학수업 11차시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쓰기 기반 과학수업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에 대한 자아개념 및 과학에 대한 가치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일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쓰기 기반 과학수업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디지털 쓰기 기반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함양하는 데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쓰기 기반 과학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업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 등의 부분에서 비교적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쓰기 기반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쓰기 기반 과학수업이 과학학습동기 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과학적 태도 함양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며, 디지털 쓰기 방식으로 전환이 학생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수업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를 높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영미(Choi Yeo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쓰기 불안, 쓰기 동기에 따른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차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컴퓨터 기반의 작문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고등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쓰기 불안 검사, 쓰기 동기 검사 및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는 Likert 척도 9개 문항과 개방형 문항 1개로 구성되었으며, 쓰기 변인 별로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 응답에서 명사와 동사를 추출하여 빈도와 단어 쌍 관계를 통해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성별 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는 여학생은 대체로 디지털 글쓰기와 손글씨 쓰기가 다르다고 인식하며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남학생은 쓰기 수행과 쓰기 불안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쓰기 불안 변인에 따른 인식은 쓰기 불안이 높은 상 집단은 쓰기 불안과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 집단은 쓰기 수행에 대한 인식이, 하 집단은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쓰기 동기 변인에 따른 인식은 쓰기 동기가 높은 상 집단은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쓰기 수행 및 쓰기 불안,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 집단은 쓰기 수행에 대한 인식이, 하 집단은 쓰기 불안과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결론 디지털 글쓰기에 대해 고등학생들은 편리성과 효율성, 정보화, 개인 정보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성별 변인의 경우 인식 차이는 있었지만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쓰기 불안 변인의 경우 쓰기 불안 집단에 따라 인식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쓰기 동기 변인의 경우 쓰기 동기 집단에 따라 인식 차이는 있었으나, 쓰기 수행과 쓰기 불안의 일부 문항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쓰기, 쓰기 능력, 쓰기 동기, 쓰기 불안에 관한 선행 연구와 유사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according to gender, writing anxiety, and writing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recent changes in digital environment,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computer-based writing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140 high school students in Changwo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to measure their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The survey consisted of 9 questions on the Likert scale and 1 open-ended question, and analyzed the specific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by writing variables. Results The general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was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and word pairing by extracting nouns and verbs from the questionnaire response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variables was that female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digital writing and handwriting writing differently, and the perception of writing motivation was high, and male students perceived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pprehension, The middle group was higher in the perception of writing performance and the lower group was higher in the perception of writing motivation. The high-motivation group showed high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motivation, and the middle group had high perception of writing performance, and the lower group had high perception of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ethics. Conclusions For digital writing,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convenience, efficiency,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in gender variables, but only the perception of writing motiv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writing apprehension variab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writing apprehension group, but not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writing motivation variable, but only some items of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pprehen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was similar to previous studies on writing, writing ability, writing motivation, and writing apprehension.
초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서 ‘좋은 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연구
장동민,이경화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8
Purpose: The study is aimed at gaining implications for writi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ive consciousness of 'good writing' in digital writing. Methods: we classif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ive perceptions of 'good writing' in the digital writing environment, using the Q methodology. Results: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good writing' in the digital writing environment of 52 fifth and sixth graders wa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interesting writing in harmony with letters and different modes, sympathetic writing, and simple writing. Implica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good writing" in students' digital writing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wri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identify the type of subjective perception of good writing in the digital writing of their classmates. In addition, through writing education considering this, students should be helped to become mature composers in school classes and digital writing. 목적: 이 연구는 디지털 글쓰기에서 초등학생들의 ‘좋은 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조사하여 글쓰기 교육에 시사점을 얻는 데에 있다. 방법: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디지털 글쓰기 환경에서의 ‘좋은 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주관적 인식을 분류하였다. 결과: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52명의 디지털 글쓰기 환경에서의 ‘좋은 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은 3가지로(문자와 다른 양식이 서로 조화롭게 이루어진 재미있는 글, 서로 공감해 주는 글, 간단하게 설명한 글) 분류되었다. 교육적 시사점: 학생들의 디지털 글쓰기에서 ‘좋을 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디지털 글쓰기에서 좋은 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고려한 글쓰기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학교 수업에서나 디지털 글쓰기에서도 성숙한 작․독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디지털 글쓰기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의 인식 분석
민춘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The current article aims at suggesting an instruction plan for general digital writing in Korea and analysing students’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The starting point is that we should teach students digital writing in terms of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prepare them for the civic lives and professional career in the digital era. Firstly, the previous researche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were reviewed in order to apply in discussing the instruction plan. While the korean researches focused on the specific area or subject, studies abroad dealt with themes from general digital writing to concrete cases. Secondly, the terms such as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rhetoric were defined. Digital literacy can be defined as the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used in a broad range of digital devices which are seen as a network rather than computing devices. Digital rhetoric is the art of informing, persuading, and inspiring action in an audience through media, and it is an advancing form of communication composed, created, and distributed through multimedia. In addition, an instruction plan was provided drown upon the contents and samples of the studies. It contains digital spaces, digital rhetoric, digital tools, digital ethos, and digital copyright etc. Besides, the way how to assess the digital writing is discussed and suggested a couple of assessment manners. Finally, students’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was analysed to conceive the needs of students in modelling further instruction plan. Major finding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agree to need the digital writing course. Especially, they wanted that they can learn writing modes and methods in the digital spaces. Futhermore, they perceived understanding of digital etiquette and copyright as important. The students hoped that they can learn how to deal with digital tools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way to construct digital storytelling. In conclusion, a variety of programs for enhancing digital writing competence of teachers and students are needed.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is designing workshops in which teachers can recognize the necessity and exchange materials and information of digital writing through mutual dialogue. Furthermore, some successive empirical studies should be followed by the suggestion and analyse of the article. 이 논문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수사법과 다중방식 글쓰기를 위한 수업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했다.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글쓰기와 함께 디지털 글쓰기를 병행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디지털 세대 대상의 글쓰기 교육을 위한 새로운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글쓰기의 수업 계획서 시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대학생들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먼저, 디지털 글쓰기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동향과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관련 문헌이나 해당 기관들의 홈페이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보들을 검토하였다. 국내 연구들에서는 특정 분과학문이나 주제 중심으로 디지털 글쓰기를 다루고 있는 데 비해, 외국 대학에서는 포괄적인 수준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논의와 구체적인 수업 설계에 대한 사례가 제시되고 있다. 이어서, 디지털 글쓰기의 특성과 필요성 및 디지털 수사법과 디지털 도구 등을 중심으로 정리한 후, 디지털 글쓰기 수업을 위한 수업 계획 시안을 강의 개요 및 주별 수업내용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주별 수업 주제의 일부를 제안하기 위해, 국내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료와 정보를 활용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디지털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수요자 중심의 수업 모형의 구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 분석의 결과에서는 대학생들이 대체로 디지털 글쓰기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환경과 도구에 대한 이해, 디지털 에티켓,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서 제시된 수업 계획 시안은 포괄적인 차원에서 설계해 본 것이며, 이 과정에서 제시된 자료와 정보를 각 대학의 실정과 맥락에 맞는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모형 구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글쓰기라는 새로운 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세미나 워크숍 등을 통한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 이 경우에 기술 전문성 개발을 제공하는 전통적인 워크숍 모델 지양하고, 분과학문 특수적이고 협력적인 공동체를 만들어 일차적으로 디지털 기술 도구와 디지털 리터러시 이론에 관해 대화하고, 함께 연구하고, 만들고, 공유하고, 평가하고, 성찰할 시간과 공간이 있는 교수진 중심의 실질적인 워크숍이 바람직하다. 협력 공동체와 기술 관련 전문성 개발 기회의 중심은 대화이기 때문에, 대화를 통해 교수진은 학생들과 자신들이 기술과 디지털 도구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관해 말하는 방식을 찾아야 한다. 기술이 글쓰기에서 중심 요소가 되고 있고 ‘핵심 책무성’의 일부라는 점을 글쓰기 교수진에게 고무시키고자 한다면, 기술에 관해 대화하는 방법을 바꿀 필요가 있다. 글쓰기가 어떻게 디지털로 되는가, 글쓰기가 기술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 이러한 이해가 더 큰 학문적·인적 공동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인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떤 세부내용을 어떤 활동을 통해 학습할 것인지에 ...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 효과 연구 - 학생 필자 반응의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5
This study examined complexion on cooperation students writers collaborate and effects of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on the writing process and the wiritng product. This research shows four implications. First, cooperation through writing process on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is different than cooperation at writing results on printed collavorative writing. Second,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n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is different from on printed collavorative writing. Third, it focus attension on the need for study new strategies of writing that time management skills of student writers identified in study of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Fourth, 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know roles and cognitive strategies and enmotion of ‘writer and reader’ on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본고는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학생 필자들의 협력 양상,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가 글쓰기 결과와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 네 가지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디지털 협력적 상황에서의 ‘쓰기 과정적 협력’은 인쇄매체 기반 협력적 글쓰기에서 이루어지는 첨삭 형태의 ‘쓰기 결과에 대한 협력’과 다르다. 둘째,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성격은 인쇄매체 기반의 의사소통의 그것과 다르다. 셋째,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 필자들의 ‘시간 관리’ 전략 공유는 그간 쓰기 교육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역량 중심 전략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넷째,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 환경에서 나타나는 ‘필독자’의 역할과 인지적 전략과 정의적 반응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디지털 기반 작문 교육을 위한 학습분석학의 역할과 과제 - 작문분석학을 중심으로 -
김철희 ( Kim Chulhui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49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반 작문 교육을 위한 학습분석학의 역할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기반의 작문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학습분석학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학습분석학과 작문 교육 논의가 융합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영미권의 작문분석학 담론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반 작문 교육을 위한 학습분석학의 역할과 과제를 작문 교육 데이터, 작문 교육 환경, 디지털 쓰기 윤리 측면에서 논의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작문 교육 데이터 측면에서 학습분석학은 작문 학습자의 프로파일 데이터, 작문 과정 데이터, 작문 결과 데이터 등을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작문 학습자의 교수학습 및 작문 과정과 결과를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작문 교육 환경 측면에서 학습분석학은 디지털 리터러시 논의와 결합되어 디지털 기반 작문 교육 환경에서의 체제적 교수설계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작문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교육 데이터를 수집, 분석, 관리할 수 있는 작문 학습관리시스템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디지털 쓰기 윤리 측면에서 학습분석학은 작문 교육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디지털 쓰기 윤리의 준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향후 정보 윤리 차원에서 작문 교육 데이터의 공개 여부나 수준, 보안 문제와 같은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 of learning analytics for digital-based writing education. To this end, the discourse on learning and writing analysis in North America, which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digital-based writing education, was re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regarding writing education data, learning analytics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the author’s writing process and results by comprehensivel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profile data, writing process data, and writing result data of writing learners. Second, regarding the writing education environment, learning analytics can be combined with digital literacy discussion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in the digital-based writing education environment. To achieve such writing education, a wri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collect, analyze, and manage learners’ educational data must be developed. Third, regarding digital writing ethics, learning analytics can provide a basis for judging whether digital writing ethics are complied with through a data analysis of writing education. Additionally, discussion is needed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information ethics, such as whether to disclose writing education data, the appropriate level, and security issues.
Kee Li Li,Abu Bakar Razali,Arshad Abd Samad,Nooreen Noordin 아시아영어교육학회 2020 The Journal of Asia TEFL Vol.17 No.4
Knowledge about academic writing is important to be promoted among the community in Institutes of Teacher Education Malaysia (ITEMs) as the teacher trainees will need to teach these academic writing skills to their students in the future. Additionally, the amalgam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and instructional practice is known to be able to ignite the change in the teacher trainees’ learning of academic writing. As such,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dopting a single group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gital writing software as a tool for process approach to writing on teacher trainees’ academic writing performance. The study was done on 10 teacher trainees at one ITEM using pre- and post-tests, observation, and reflective journal. Findings indicate that the use of digital writing software as a tool for process approach to writing does improve the teacher trainees’ academic writing performance. The eclectic approach proposes an effective way of enhancing the writing process and increasing the teacher trainees’ motivation to write digital conceptual papers. The use of digital writing software as a tool for process approach to writing can be carried out over an extended duration to develop better comprehension and practice of academic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