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반 해양구조물 분리시스템의 설계검증 방법에 관한 연구

        황존규,고재용,이동건,박본영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6 No.6

        본 연구는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기반으로 해양구조물 분리시스템(Separation system)의 설계검증 방법을 제안하였다. 해양구조물 분리시스템은 부가가치 측면에서 EPC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상부구조(Topsides)의 가장 중요한 시스템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계검증에 대한 지금까지의 실태는 설계 작업의 프로세스 진행이나 도면작성 및 제공에 국한되어 있어 기본설계 단계에서 설계검증의 미흡으로 인하여 계약 후 잦은 설계변경에 의한 기업손실이 발생되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구조물의 전체 프로젝트 수행 기간에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도모하고자 설계검증 모델을 구축하여 적용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설계검증 방법은 상세설계의 효과적인 실행뿐만 아니라 초기설계 단계에서 기술적 오류나 불일치 사항을 미리 찾아냄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엔지니어링, 조달 및 건조에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 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건조한 실적선 자료를 바탕으로 설계검증을 수행하여 FPSO 분리시스템에 적용하고 ISO 15288 국제 표준을 준수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설계검증 방법이 해양구조물의 FEED 검증 프로세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향후 해양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에 의한 이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양구조물 건조 시 설계변경에 의한 막대한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verification method based on system dynamics for offshore separation systems. Oil and gas separation systems are key components of offshore oil platforms; these systems determine the competitiveness of 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EPC) projects, especially in terms of added value. However, previous research on design verification has been limited to the process and deliverables of design. To address this, the study aims to develop a comprehensive design verification method and the associated fun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roject management, for the entire project life-cycle of offshore structures. The proposed methodology for design verific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ward effective and detailed designs as well as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EPC companies in constructing offshore structures during the early design stages. We first analyzed the separation system of the FPSO using the design verification method adopted by advanced countries and compared it with the system dynamics process formalized as ISO 15288. Subsequently, a tailored process for the design verification of the offshore structure was derived.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design verific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front-end engineering design process of offshore structures. Moreover, it can contribute toward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offshore projects in the future and also minimize design changes and critical risk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se offshore structures.

      • KCI등재

        디자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필수 구성요소

        강순옥,김태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4 조형미디어학 Vol.27 No.2

        현재 산업 발전으로 높은 경쟁력이 요구되는 시대에서 기업은 개발 확장을 위한 방안으로 디자인 시스템에 많은 관심이 있으나, 이와 관련한 연구와 자료는 많지 않으며 디자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시스템 구축 시, 구축 목적과는 다르게 디자인 관리 차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디자인 시스템 카테고리의 분류체계를 통하여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필수 구성요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디자인 시스템의 사례 모음 사이트 레포(Repo)와 디자인 시스템의 예시로 자주 언급되는 기업을 통하여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디자인 시스템 관련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디자인 시스템에 대하여 고찰하고, 기존 디자인 시스템의 구축과 관련한 자료를 정리하였다. 또한, 현재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는 각 기업의 디자인 시스템 사례를 조사하여, 디자인 시스템 구축 산업군의 현황 및 전반적인 디자인 시스템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본 모델과 구조 기반의 필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디자인 시스템 구축 가이드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 시스템 카테고리를 통하여 분류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시스템 선정에 있어, 사이트 특성상 다양한 사례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본 연구의 한계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있어, 디자인 시스템의 이해를 위한 가이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mpanies are interested in design systems as a way to expand development in the current era when high competitiveness is required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and data related to this, and minimum guidelines for design system construction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ssential components necessary for design system construction through a classification system of design system categories, with the aim of preventing it from being used for design management, unlike the purpose of construction, when building a design system. To this end, it was selected through Repo, an example collection site of the design system currently used, and companies that are frequently mentioned as examples of the design system. As a research method, the design system was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design system, and data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existing design system we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design system construction industry group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esign system were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each company's design system currently being built and used. Based on these preceding studies and case analysis, basic models and structure-based essential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esign system were derived, and a design system construction guide model was presented. By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e design system category, this study does not use various cases due to the nature of the site in selecting the design system, which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Neverthel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uide for understanding the design system in the construction of the design system and as basic data in the future in the construction of the design system.

      • KCI등재

        사용자의 욕구 · 기억 체계와 디자인의 연관성 : 관련 인지심리 원리 연구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Background and Purpose) Unlike the industrial era in which machine-centered thinking prevailed, in the present era, corporate interests and consumer desires have changed, which has led to consumer trends in the pursuit of personalization, emotional significance, and psychological value. Therefore, one of the major modern design paradigms is “Human-centered Design.” To adapt to these social changes, designers need to have design knowledge and methodology that are related to user psychology. In particular, cognitive psychological knowledge that assists in structuring and visualizing consumer psychology can be a great asse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rinciples of cognitive psychology, which can be useful in design work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provide systematic information on cognitive psychological principles, which are necessary for designing high-quality experiences for 21st-century consumer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reviews and case analyses. Literature related to cognitive psychology, design psychology, design scien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odels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actual design cases related to each psychological principle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 empirical data to support the claims of this paper. (Results) This study utilized the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proposed by J. T. Reason, which consists of input function, need system, memory system, intention system, behavior system, and output system. Among these systems,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system, which supports the formation of motivation in design. It also analyzed the memory system, which governs the cognitive processes of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and which also manages the retrievals and regulations of the stored information. Design principles of cognitive psychology related to the need system were presented with the scarcity effect, licensing effect, expectation effect, and Maslow’s need hierarchy. Design cases to which these principles are applied were also analyzed. Design principles of cognitive psychology related to the memory system were presented with the long-term and short-term memory system, picture superiority effect, serial position effect, recall vs. recognition, von Restorff effect, interference effect, mental model, and storytelling effect. Design cases to which these principles for the memory system are applied were also analyzed. (Conclusions) This paper argues that for 21st-century designs that emphasize human-centered thinking, it is not enough to support only the physical function and aesthetic aspect, as the designers in the past era did. Now, it is essential for the designers to meet the various cognitive psychological needs of users and to support good interactions between design and the human brain.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위원회 운영 및 심의제도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ublic Design Promotion Act in August 2016, there were many positive aspects of securing a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by local governments by providing legal grounds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design promotion plans, but problems of redundancy with related laws, efficiency and adequacy of the committee's operation and deliberation system have arisen. The public design review system for public spaces, public buildings, public media, etc. is becoming an important means of managing urban spaces.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of the public design committee operation and deliberation system by investigating the operation and deliberation system of the public design committee delegated by law to the local government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Method) First,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public design legal system and the public design committee and the deliberation system were reviewed with the literature research. Second, research was conducted on legal data and ordinances related to public design, which are the basis of the committee and deliberation system. Third, Based on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the survey questions were prepared. The survey area consisted of a total of 16 questions by categorizing the review system into the adequacy of the review subject, the adequacy of the review criteria,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view oper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operation of the committee. Fourth, A survey was conducted on 29 people related to the committee's operation and deliberation system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the committee's operation and deliberation syste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e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Results) First, the scope of the review is wider than the scope stipulated by the law, bu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deliberation, consultation, and consultation,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dget and area in addition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review targets. Second, the review criteria also include a wider scope of public design than the law, raising the issue of redundancy with similar systems, which requires division of roles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systems. Third, the subjects in the deliberation and operation are non-professional civil servants, so proper operation will be required to operate a reliable and efficient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detailed regulations, standard manuals, checklists on the operation of the deliberation system, and to check the actual status of implementation after the committee's resolution. Finally, The operation of the committee has expertise and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and operated on universal design and CPTED in the public design field. (연구배경 및 목적) 2016년 8월 국민의 문화향유권을 증대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들의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마련되어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기반 확보를 하는 긍정적인 부분도 많았지만 유관법률과의 중복성 문제, 공공디자인위원회 운영 및 심의제도의 효율성 및 적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는 등 운영상의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공공공간, 공공건축, 공공매체 등에 대한 공공디자인 심의제도는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도시공간을 조성해 가는데 중요한 관리 수단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모법에서 지자체로 위임한 지역 공공디자인위원회 운영 및 심의제도를 조사·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함으로써 지역 공공디자인위원회 운영 및 심의제도의 실효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연구로 공공디자인 법제도 및 공공디자인위원회와 심의제도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둘째, 공공디자인 위원회 및 심의제도의 기반인 공공디자인 관련 법률 자료 및 지자체 조례 등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설문영역은 공공디자인위원회 심의제도를 심의대상의 적정성, 심의기준의 적정성, 심의운영의 적정성, 위원회운영의 적정성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4가지 문항을 도출하여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공공디자인위원회 운영 및 심의제도에 직간접적으로 관여 경험이 있는 공무원 집단과 전·현직 공공디자인위원회 위원 29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토대로 현재 공공디자인위원회 운영 및 심의제도에 대하여 적정성과 필요성을 종합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분석 된 내용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심의대상은 모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범위보다 더 넓은 범위를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이를 심의·자문·협의하는 분류 기준에 대한 기준이 없어 이에 따른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심의대상의 분류 이외에 추가로 예산규모 및 면적규모에 따른 보다 세부적인 기준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심의기준 또한 지자체 조례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공디자인의 범위가 모법에서 정하고 있는 영역보다 넓은 범위를 포괄함에 따라 기존 유관제도와의 중복 심의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각 제도 간의 역할분담과 차별화 방안의 모색 등이 필요하다. 셋째, 심의운영에서의 주요 피대상자는 비전문가인 공무원 집단이므로 이에 맞는 제도의 운영 방안이 마련되어야 보다 신뢰성 있고 효율성 있는 제도의 운영이 될 것이다. 따라서 심의제도 운영 전반에 대한 세부규정 및 표준 매뉴얼, 체크리스트 등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며, 위원회 의결 이후 이행실태 점검을 위한 규정 및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권한 부여에 대한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위원회 운영은 전문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법률적 근거가 있는 공공디자인분야에서 유니버설디자인, 범죄예방 도시환경디자인(CPTED) 부분에 대하여 포괄·운영이 요구되므로 이에 맞춰 지자체 조례 개정 및 위원회의 신뢰성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공공디자인위원 전문 분야의 확장이 필요 하다.

      • KCI등재

        동물원 사인시스템에 나타난 공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예춘홍(Ni, Chun Hong),안병진(Ahn, Byoung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방법과 범위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에서는 사인시스템 디자인이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사인시스템 구축 방면에서 봤을 때, 사인시스템 디자인 분야는 어떤 한 지역의 발달 정도를 대표하며, 해당 지역의 문명 수준을 측정하는 기준으로도 활용된다. 디자인 차원에서는 사용자의 수요를 표현하는 일종의 표현 방식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진국들과는 달리 중국에선 사인시스템 디자인 개념이 비교적 늦게 도입된 편이다. 특히, 중국의 동물원은 외국의 동물원과 비교했을 때 공감 디자인과 같이 심도 있는 디자인 방면에서 여전히 격차가 매우 큰 편이다. 게다가 사인시스템의 디자인 심리, 도형 디자인의 응용 등의 방면에서도 사용자의 심리에 관한 분석이 상당히 부족하여 대부분 사인시스템의 작용이 명확하지 않거나 심할 경우 유명무실 한 경우도 다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미국과 독일의 우수한 동물원 사인사례를 수집한 다음 동물원 사인시스템 디자인에서의 공감 디자인 방법과 응용형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사인시스템에서 공감 디자인의 작용과 방법을 분석하여 중국의 동물원의 사인시스템과 선진국의 동물원 사인 디자인과의 격차를 좁힐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공감 디자인의 관점에서 실제 운영되고 있는 우수 해외 동물원의 사인시스템을 분석하여 동물원 사인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디자인요소를 4가지의 유형을 통해 추출하였다. 먼저, 지식 설명형 사인시스템은 안내하는 과정에서 관객들로 하여금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오스나브뤼크 동물원에서는 동물 이 갖고 있는 자체 가죽의 특성을 가지고 사인시스템에 적용하여 디자인하였다. 방향 안내형 사인시스템은 주로 화살표를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달 속도가 더 빠르다. 미국의 워싱턴 국립동물원에서는 화살표를 대신하여 동물들의 발자국 모양을 이용해서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데,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사인을 통해 거리감을 좁혀주며 공감적 느낌을 일으킨다. 예술 조형형 사인시스템은 예술 조형형 사인으로 방향을 가리키는 것을 창의성 있게 표현하는 데, 예를 들어 사바나 트랙 야생 동물원에서는 눈과 색채 간의 시각 원리를 통해 관광객의 관계를 더 가까이 끌어당기고 있다. 야생 생태형 사인시스템은 대부분 자연과 결합한 공간에서 많이 응용된다. 자연재료 등의 사용을 통해 사인시스템을 자연과 하나로 느끼게끔 한다. 하노버 동물원에서는 자연재료를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공간을 만들고 있으며 사용자의 관점으로 인간 본질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보통 동물원은 사람들이 여가 시간을 보내거나 동물들을 보러 가는 중요한 장소로, 동물원의 사인시스템 디자인은 마땅히 다양한 관객 집단의 수요를 만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동물원 사인시스템 디자인은 특수한 장소 환경적 수요로 인해 동물과 사람, 장소와 사람 간의 문제에 보다 더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세계의 수많은 선진국들에서 사인시스템 디자인이 크게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인본적인 수요를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 이념에 있다. 사람들의 수요를 통해 공감을 얻고, 사람들의 삶 곳곳에 스며들 수 있으며, 사람들의 감정을 반영할 수 있는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와 오늘 날의 쌍방향성 디자인은 공감 디자인의 기본적인 필요조건이다. 공감 디자인은 이러한 측면에서 실제적인 관찰 및 문제 발견, 문제 해결 이렇게 단계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므로, 동물원 사인시스템 디자인의 우열이 동물원의 미래발전 추세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된다고 할 수 있다. Sign system design is used widely in modern society. When viewed from the construction aspect of sign system, sign system design represent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a region and is also utilized as a standard for measuring the level of civilization of that region. When viewed from a design aspect, sign system design can be interpreted as a kind of expression mode which represents the user"s demand. However, unlike the advanced countries where sign system design have long been applied in various fields, the concept of sign system design was introduced in China only recently. In terms of city construction, China is still relying only on sign system design of large cities and capital investment that wholesome facility construction works are not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compared to zoos in foreign countries, zoos in China still shows a huge gap in terms of utilizing in-depth design such as empathy design. Moreover, they significantly lack accurate analysis of user psychology with respect to elements such as the application of design psychology and diagram design of sign system design. Consequently, the effects of sign system are mostly not clear or, in the worst cases, nominal. First of all, outstanding zoo sign cases from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ere collected so as to analyze methods and application forms of empathy design in zoo sign system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and methods of empathy design in the sign system used in foreign countries and to discover ways to close the gap between zoo sign system in China and zoo sign design in advanced countries. Also, four types of design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zoo sign system were educed by analyzing the sign systems of excellent foreign zoos that are actually in operation from the viewpoint of empathy design. The four types of design elements a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descriptive sign system allows the viewers to receive a lot of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showing. The Osnabrück Zoo applied the characteristic of leather inherent to each animal in the sign system. This application provides accurate direction guide and simultaneously conveys the contents of information in an eye-catching way, and also arouse emotional responses from the viewers. Second, direction guiding sign system, which mainly indicates directions using arrow signs, is faster than information descriptive sign system in terms of transmission speed. In America, the National Zoological Park in Washington use shapes of animal footprint instead of arrows to indicate direction. This application form reduces the sense of dis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animals through sign and arouse empathic sensation from the viewers. Formative arts sign system, which uses formative arts as signs, creatively expresses ways of indicating directions. For example, in the wildlife zoos along the Savannah tracks, signs applying the visual principles between the eyes and colors are used to bring the tourists more closer to the animals. Wild ecological sign system is usually applied in spaces combined with the nature. By using natural materials, the sign system is made to feel like a part of the nature. At Hanover Zoo, sustainable spaces are created using natural materials and these spaces satisfy the essential demands of humans with the viewpoint of the users. Zoos, in general, are important places where people spend their leisure time or come to see animals. The sign system in a zoo should be a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satisfying the demands of various groups of viewers. When designing a zoo sign system,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roblems between animals and people as well as place and people due to the environmental demands of the special place. The reason sign system design developed remarkably in many advanced countries is because of their design philosophy centered on humanistic demands. The bas

      • KCI등재

        화예분야 학점은행제 표준교과과정과 교육기관 현황분석

        김지연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9 No.-

        Education in the field of floral art and design began with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various forms and methods by institutions, schools, associations, academics, and individuals. These floral art and design education have grown and expanded into the areas of hobbies and cultural activities, vocational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academic system, floral art and design education is conducted in high schools, junior college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nd there are very few four-year universities directly related to the floral art and design. The credit banking system is a system that recognizes various types of education and qualifications conducted by in-house universities, remote universities, civic groups, social organizations, and cultural centers as credits to increase the quality and employability of human resources amid rapid changes in society, economy, and culture. Floral art and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is one of the pillars of education connected to the schoo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tandard curricula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ssociate degree (floral art major) and bachelor’s degrees (floral plastic art and design major) in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ng related research and improving standard curricula and operations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field. The main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In the literature survey study, a method of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research reports, data collections, and various related documents that have been studi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was used. In addition, organized and analyzed various statistics and data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and as of 2023, four institutions that operate the largest number of courses were targeted. The contents of the study analyzed the standard curriculum for associate degree (floral art major) and bachelor’s degrees (floral plastic art and design major), and the opening and operation status of courses at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the course. Through these studies and analysi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evelopment measures of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in the field of floral art and design. First, the number of hours of learning subjects and the number of hours of credits should be proportionally determined. Second, excessive similarity between the standard curriculum of professional bachelor’s degree (floral art major) and bachelor’s degree (floral plastic art and design major) should be improved. Third, the standard curriculum subjects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characteristics and the learning level should be indicated. Fourth, credit recognition by qualification should be limited to related subjects, not all major subjects. Fifth, subjects suitable for the degree level should be organized, not the convenient curriculum composition of educational management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participants. In addition to the measures suggested above, continuous research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are required in order to revitalize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field and achieve continuous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system supported by the national society and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system. Only when a more systematic system is created through this, educational operating institutions are expected to operate a more substantial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in the floral art design field. 화예분야의 교육은 도제식 교육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기관, 학교, 협회, 학원, 개인 등에 의한 다양한 형식과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화예교육은 취미⋅문화 활동, 직업교육, 학문의 영역으로 성장하고 확장되어왔다. 이러한 화예분야의 교육환경에서 학제 안의 화예교육은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대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화예나 화예분야에 직접 관련된 4년제 대학이 극히 적고 전문대학에서 전문학사학위와 더불어 전공심화과정을 통해 학사학위가 수여되는 상황에서 학점은행제를 통한 전문학사와 학사학위의 취득은 화예분야 교육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학점은행제는 사회⋅경제⋅문화에서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인적자원의 질과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내대학, 원격대학, 시민단체나 사회단체, 문화센터 등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아, 요구하는 조건에 이르면 교육부 장관이나 교육기관의 학장명의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이다.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에서의 전문학사(예술전문학사-화예전공)와 학사(미술학사-화훼조형학전공)의 표준교육과정 및 교육기관의 현황을 파악하여 관련연구 활성화 및 화예분야 표준교육과정과 운영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 방법과 자료분석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문헌 조사 방법은 학점은행제 운영과 관련되어 그동안에 연구되었던 각종 연구보고서와 자료집, 다양한 관계문헌을 취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학점은행제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한국교육개발원과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종 통계와 자료를 정리분석하고, 2023년 기준 화예전공, 화훼조형학전공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기관 중 가장 많은 교과목을 운영하고있는 4개 기관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은 전문학사(화예전공)와 학사(화훼조형학전공) 학위를 위한 표준교육과정과 화예분야 학점은행제를 운영하고 있는 교육기관의 교과목 개설 및 운영현황 등을 분석하였다.이를 통한 화예분야 학점은행제의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과목의 시수와 시수에 따른 학점의 비례적 책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예술전문학사(화예전공)와 미술학사(화훼조형학) 표준교육과정의 과도한 유사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표준교육과정 과목들이 과목성격에 따라 분류되고 학습수준이 표기되어야 한다. 넷째, 자격에 의한 학점인정이 모든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는 것이 아닌, 연관 과목으로 한정 지정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운영기관과 교육참여자의 편의적 교과구성이 아닌 학위 수준에 맞는 과목의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위에서 제시한 방안 이외에도 화예분야 학점은행제가 활성화되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연구와 제도의 개선이 요망된다. 또한 국가 사회적으로 뒷받침되는 체계적인 제도수립과 지속적인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보다 체계적 체제가 만들어져야 교육운영기관에서도 보다 내실 있는 화예분야 학점은행제의 운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

      • 순환경제를 위한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활성화 연구

        조지혜,김영희,신동원 한국환경연구원 2022 기본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 순환경제는 기존의 선형경제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자원 사용과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 패턴 및 소비 행동 변화 등을 통해 제품의 수명과 가치를 최대한 지속시키는 경제 시스템임 ㅇ 제품 생산 단계부터 소비, 폐기물 관리, 재생에 이르기까지 각 밸류체인 간 연결고리를 생성하여 자원이 원활하게 순환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순환경제의 핵심임 □ 순환경제로 전환해 나가기 위해서는 이미 발생한 폐기물의 사후관리에서 더 나아가 제품의 전주기로 확장하여 자원이용 효율성과 순환성을 고려해야 함 ㅇ 특히, 제품과 관련한 환경영향의 80% 이상이 ‘설계’ 단계에서부터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되는 만큼 제품 사용의 지속가능성과 수리용이성을 높이고, 폐기 이후의 순환이 용성을 높여 나가는 것이 중요함 □ 제품 기획 시부터 사용 단계(소비)와 폐기 이후 단계(재제조·재활용 등)의 자원 순환성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를 활성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함 ㅇ (기존) 유해물질 사용 저감, 에너지 효율성 제고, 재활용률 제고 → (확장)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원료(脫플라스틱, 바이오소재, 재생원료 등), 재사용/재활용 등이 가능한 제품, 사용 단계의 수명을 고려하여 내구성 강화 및 수리 가능성을 고려한 제품 등 제품 서비스 영역을 포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순환경제 이행을 위해 원료 단계부터 폐기 및 재생 단계에 이르기까지 제품 설계 시 중점요소를 고려하도록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ㅇ 현재 기업의 노력으로 재질·구조를 개선하여 개발한 우수제품에 대한 정책적 유인책이 미흡하며, 산업 측면에서 확산 정책이 필요함 ㅇ 또한 기존 제품의 개선 및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에 적합한 친환경제품 개발을 위해 설계 방법을 유형화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연계하여 확산될 수 있는 제품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야 함 2. 연구의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순환경제 이행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를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해 제품 설계 시 주요 요소를 도출하고, 사례 조사를 통해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ㅇ 방향 설정: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원료, 재사용/재활용 등이 가능한 제품, 내구성 강화 및 수리 가능성 고려, 소비자 및 수요자를 고려한 제품 설계(정보 제공) ㅇ 기업의 제품 재질·구조 개선 활동을 촉진하도록 기존의 순환이용성 평가, 전기·전자제품 재질·구조지침 등을 개선하고, 제도 간 연계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ㅇ 녹색공공조달을 통한 친환경설계 제품에 대한 수요 확대, 제품 라벨링과 연계한 정보 제공, 우수 평가제품 및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기술혁신, 녹색금융 및 재정 투자, 기업 ESG(환경·사회·거버넌스)와 연계된 지속가능경영 지표 개선 등 시장 추진력을 동반한 지원정책을 제시하고자 함 - 지속가능한 제품 정책을 강화해 나감으로써 탄소중립 이행 및 순환경제 사회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함 Ⅱ. 국외 주요국의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관련 순환경제 정책 및 추진 동향 분석 □ EU 등 국외 주요국의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관련 순환경제 정책 동향 ㅇ (EU) 2001년, ‘EU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채택하면서 제품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통합제품정책(IPP: Integrated Product Policy)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세금·보조금 지원, 자발적 협약 유도 및 표준화, 녹색공공조달, 녹색기술, 유관 법률 제·개정을 주요 수단으로 설정함 - 유럽기후변화 프로그램(ECCP: European Climate Change Programme)과 통합제품정책(IPP)에 기초하여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목적으로 2005년 에너지 사용 제품(EuPs: Energy using Products)에 대한 에코디자인 지침이 제정됨. 이후 에너지 관련 제품(ErPs: Energy related Products)으로 대상 품목을 확대함 ㅇ 2015년에 발표된 『순환경제 행동계획(CEAP: Circular Economy Action Plan)』에서는 기존의 에너지 효율 중심으로 시행되던 에코디자인 지침에 자원 효율 항목을 추가할 것을 명시함. 이후 2016년 『에코디자인 워킹플랜(2016-2019)』에서 자원 효율을 반영한 이행규정 수립 계획이 마련됨 ㅇ 2019년 EU 그린 딜(Green Deal)의 후속조치로 2020년 3월 『순환경제 신행동계획(CEAP2: Circular Economy New Action Plan)』을 발표하면서 순환경제를 온실 가스 감축에 기여할 핵심 도구로 제시하였음. 또한 ‘지속가능한 제품 정책(SPP: Sustainable Product Policy)’을 강조하고, ‘지속가능한 제품 이니셔티브(SPI: Sustainable Product Initiative)’를 위한 입법 제안을 하겠다고 발표함 - 이는 기존 에코디자인 지침에서 규제대상의 범위와 내용을 확대한 새로운 법안이며, 제품 내구성, 재사용성, 업그레이드 및 수리가능성, 유해화학물질의 존재, 에너지 및 자원 효율, 재생원료 함유, 재활용 가능성, 자재 회수 가능성, 탄소 및 환경발자국 등 환경영향 등을 에코디자인 요구사항으로 제시함 - 또한 디지털 제품 여권(product passport)을 통해 제품의 지속가능성 및 친환경성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이를 파악하여 제품을 선택하도록 지원함 ㅇ 이와 함께 3∼4년마다 『에코디자인 워킹플랜(working plan)』을 수립하여 산업계 및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규정 및 지침에 반영함(그림 3 참조) - 제품 전주기를 고려한 에코디자인(2009∼2011년) →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에코디자인(2012∼2014년) → 내구성 및 수리·재사용·재활용 용이성을 고려한 에코디자인(2016∼2019년) → 제품의 수리 및 품질 표준화, 정보 제공을 고려한 에코디자인 및 에너지 라벨링(2020∼2024년) → 글로벌 정책 유도 방안, 유럽제품등록부(EPREL: European Product Registry for Energy Labelling)를 추가한 에코디자인 및 에너지 라벨링 워킹플랜(2022∼2024년) ㅇ (미국) ‘지속가능한 물질 관리(SMM: Sustainable Materials Management)’ 로드맵19)을 바탕으로, 환경영향이 적은 제품 구매를 촉진하는 종합 조달 가이드라인(CPG: Comprehensive Procurement Guideline)20)을 수립함 - (EPEAT 인증제도) 컴퓨터 및 디스플레이, 영상 장비, 텔레비전, 휴대폰, 서버, 태양광모듈 및 인버터, 네트워크 장비를 대상으로 각 품목별로 세부 항목을 점수화하여 만족하는 비율에 따라 금(Gold), 은(Silver), 동(Bronze)으로 등급을 부여함 - (제품 수리권) 뉴욕 주에서는 광범위한 전자제품을 대상으로 장비 제조업체가 OEM업체와 소비자에게 수리 도구, 부품, 수리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디지털공정수리법(Digital Fair Repair Act)」이 의회를 통과함 ㅇ (프랑스) 순환경제를 위한 친환경 소비를 유도하기 위해 제품 수리가능성 지수를 표기하도록 함. 이는 기술문서, 제품 분해, 예비 부품 가용성, 예비부품 가격, 하위기준 등 5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10점 만점으로 점수화하는 제도임 - 2021년 1월 1일부터 5가지 제품(스마트폰, 노트북, 텔레비전, 잔디 깎는 기계, 드럼 세탁기)에 적용하며, 2022년 11월 4일부터 4개의 새로운 제품 카테고리(세탁기, 식기세척기, 진공청소기, 고압청소기)에도 추가 적용할 예정임 ㅇ (일본) 「순환형사회형성추진기본법」을 중심으로 「자원유효이용촉진법」, 「가전리사이클법」 등이 시행 중이며, 환경배려설계를 규정함 - 『순환형사회형성추진기본계획』에서는 생산자로 하여금 자원과 에너지 이용 효율화를 고려하여 제품을 설계하도록 유도함 - 자원 절약·장수명화, 재사용 대책, 사업자 회수·리사이클, 분별 회수를 위한 표시 의무 등의 제품 대책과 산업폐기물 발생 억제·재활용의 부산물 대책으로 구분하여 3R 대책을 마련함 □ 국외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관련 지원수단은 환경경영시스템(EMS) 국제표준, ESG 표준, 녹색금융을 비롯한 지속가능금융 정책 등이 있음 ㅇ ISO 14009(환경경영시스템 - 물질순환을 위한 설계 가이드라인)에서는 ① 제품·물질 유형 및 수량, ② 제품 수명 연장, ③ 제품, 부품 및 물질 회수를 위한 전과정 단계별 세부 전략을 제시함 ㅇ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ISO 26000(사회적 책임), GRI G4 가이드라인 등 국제 표준을 확립함. 또한 UNEP 금융이니셔티브(UNEP FI) 설립을 통해 순환 경제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한 ESG 투자, 녹색금융 등 지속가능금융을 제시함 ㅇ EU는 2021년 7월, 「지속가능한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자금 조달 전략(Strategy for Financing the Transition to a Sustainable Economy)」을 발표함.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2022년 3월, 유럽집행위 ‘지속가능한 금융 플랫폼(Platform on Sustainable Finance)’은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포함하여 4가지 주요 목표에 초점을 맞춘 EU 분류법의 기술 심사 기준에 대한 권장 사항을 발표함 Ⅲ.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제품 설계 관련 국내 정책 및 현안 분석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 「환경정책기본법」, 「자원순환기본법」 전부개정법률안(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안) 등에서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ㅇ 「탄소중립기본법」은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해 자원 사용의 최소화, 원료 순환성 강화, 지속가능한 제품 기반 구축 등의 정부 시책을 수립·시행하고, 「환경정책기본법」은 사업자로 하여금 환경오염 예방 차원에서 제품 전과정의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함 ㅇ 「자원순환기본법」 전부개정법률안은 순환경제 사회로 전환해 나가기 위해 제품의 전과정에 걸친 자원 및 에너지 효율, 순환이용성, 내구성, 탄소 배출 등의 환경영향에 대한 규정을 마련함 □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와 관련성이 높은 국내 정책은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을 중심으로 제도화되었으며, 순환이용성 평가제도, 전기·전자제품 재질·구조 평가제도,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 등이 있음 ㅇ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은 제품의 생산-소비-관리-재생 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세부과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① 재활용 저해 제품의 순환이용성 개선, ② 포장재, 전기·전자제품 등 자원순환형 생산 확산, ③ 자원순환형 소재·디자인 개발지원을 세부 이행계획으로 설정하고 있음 ㅇ 하지만 현재 기업의 노력으로 재질·구조를 개선하여 개발한 우수제품에 대한 정책적 유인책이 미흡한 실정임 - 제품 재질·구조 개선에 관한 기업의 노력 및 제품 친환경 특성이 소비자에게 인식되고, 해당 제품이 널리 보급·확산될 수 있도록 우수 평가제품 및 기업에 관한 정책적 인센티브 및 제도 설계가 필요함 - 공공조달 등 소비영역과 연계되지 못하며, 새로운 유형의 모델(대여, 재사용 등)을 반영하고 있지 않음 ㅇ 이를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의 개념, 중점요소, 방향, 목표 등의 전략을 담은 프레임워크를 우선 마련해야 함. 또한 현시점에서 순환이용성 평가제도 및 전기·전자 제품 재질·구조 개선지침 등 기존 제도를 재검토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음 □ 자원순환성을 저해하는 설계 요소 등 산업계 설문조사 및 의견수렴을 진행한 결과, 해체 정보 부족, 소규모 재생원료 시장, 관련 전문가 및 교육 부재 등으로 나타남 ㅇ (제조사 의견) 대표적인 애로사항을 살펴보면, ① 재생원료 사용을 위한 자가 회수 시 비용·인프라 부족 문제, ② 재질·구조 개선 평가 항목의 세분화 필요(현행 항목은 평가자 역량에 따라 평가 결과에 영향을 줌), ③ 관련 전문가 및 교육을 찾기 어려움, ④ 시장에서 재생수지를 취급하는 업체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음 ㅇ (재활용업체 의견) 재활용 촉진을 위해 제품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① 분해용 공구 사용 최소화, ② 해체정보 공유(설계도면, 해체 방법), 접착제 사용 최소화, ③재질의 표기(부품 표면에 각인) 등을 제시함(표 1 참조) ㅇ (현장방문 및 사례 조사)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및 재활용업체의 추천을 받아 전기차 배터리 및 평판디스플레이를 대표 제품 사례로 조사함 - 특히,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경우 재사용 및 재활용을 위한 첫 단계인 배터리팩 해체에 어려움이 있으며,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됨. 또한 단자 표기가 미흡해 방전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의견이 제시됨에 따라 배터리 설계 시부터 해체 용이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이와 함께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를 유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ESG 경영지표, 공공조달, 녹색금융 등과 연계하여 순환경제 활동을 하는 기업이 시장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함 ㅇ (ESG) 매년 ESG 투자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ESG 생태계가 조성 중임. 정부 차원에서 K-ESG 가이드라인이 마련38)되었으나, 세부 항목에 순환경제 요소가 담겨질 필요가 있음 ㅇ (녹색기업 펀딩) 순환경제 분야에서 폐기물 재사용, 재제조, 재활용 등의 분야에 직접 투자, 벤처캐피털 연계 투자 등의 지원 사업이 확장될 필요가 있음 Ⅳ.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 본 연구에서는 제품 기획 시부터 사용 단계와 폐기 이후 단계에서의 순환성을 고려하도록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개념 및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자 함 ㅇ (개념)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제품 전주기에 걸쳐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 시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접근방식이며, 기존 에코디자인을 순환경제 측면에서 확장한 개념임 ㅇ (방향성) 제품의 지속가능성 제고 및 자원 측면의 탄소발자국 감축과 함께 시장 인센티브(market incentive)를 통해 시장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있음 - 지속가능성을 포함하는 제품 설계 프레임워크(framework) 개발 - 개별 제품 단위 → 제품(서비스 포함) 영역으로 대상 확대 - 단순 재설계 → 혁신으로 개념적·기술적 전환 - 생산 관점 → 생산·소비의 연계 관점으로 확대 - 기업의 개별 접근 → 사회적·시스템적 접근으로 전환 - 개별 제도의 분산적 운영 → 제도 간 연계성 및 통합성 강화 □ 우선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프레임워크를 마련하여 방향과 목표를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음 ㅇ 기존의 순환이용성 평가제도, 전기·전자제품 재질·구조 개선지침,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 등에 관한 기준 등 개별적인 평가제도보다 더 상위적, 통합적인 측면에서의 프레임워크를 수립하여 앞으로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촉진을 위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어떠한 중점요소를 고려해야 할지 등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함 - 여기에는 기업의 순환경제 활동을 실질적으로 촉진하도록 자원효율등급제 도입, 녹색공공조달 및 K-ESG 가이드라인과 연계, 세제 지원, 녹색금융 지원, 인증제도 개편, 온실가스 감축분 산정 및 평가체계 마련,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등 다양한 지원정책이 포함되어야 할 것임 ㅇ (프레임워크) 환경,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 핵심요소 설정 - (환경)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자원효율성 제고, 제품의 내구성, 수리성, 유지·보수, 업그레이드성, 재사용·재활용성 강화, 소비자의 수리할 권리 강화 등 - (사회) 제품의 안전 측면을 고려하여 제품-소비자 간 안전성 강화, 순환성을 저해하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제한 조치 등 - (경제) 신규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및 신산업 확대 고려 등 □ 친환경적으로 설계된 제품의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녹색공공조달 및 K-ESG 가이드라인과 연계, 세제 및 녹색금융 지원, 인증제도 개편, 온실가스 감축분산정 및 평가체계 마련 등 다양한 지원수단을 제시함 - 자원순환성 및 순환이용성 향상 기술·제품 개발 지원, 세제 지원 및 재정투자, 탄소발자국 감축 인정, 녹색공공조달의 강화 등을 관련 법률과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제시 □ 친환경설계 제품에 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 소비자의 제품 수리권 강화 및 안전 보장, 디지털 기반 통계 이력 관리 및 추적, 소비자 및 재활용업자에게 정보 제공, 거버넌스 협의체 구성 및 운영, 신뢰성 향상을 위한 품질 표준화 등 측면에서 제시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Background of the research □ The circular economy is a concept that contrasts with the existing linear economy, minimizes resource use and waste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consuming products, and maintains the life and value of products as much as possible through changes in consumption behavior and reuse and re-manufacturing. ㅇ The core idea of the circular economy is to create a system in which resources are well circulated by creating links between value chains from cradle to grave (production, consumption, wast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cycled raw materials). □ Transitioning to a circular economy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resource efficiency and circularity throughout the entire product life cycle, going beyond the post-disposal phase of a product. ㅇ In particular, as more than 80% of the environmental impact related to a product is reported to be determined from the ‘product design’ stag 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and repairability of a product and increase the recycability after disposal. □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sustainable product design’ by taking into account resource circulation in the ‘in use’ and ‘post-disposal’ phases when first planning a product. ㅇ (traditional) environmental design → (extended)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design ㅇ (traditional) reduce the use of harmful substances,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increase recycling rates → (extended) include service areas such as raw materials that can promote resource circulation (e.g. plastic-free, bio-material, recycled materials, etc), reusable and/or recyclable products, and product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and repairability □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sustainable product desig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domestic circulation system and to suggest system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major factors in product desig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rom raw material stage to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ㅇ Currently, policy incentives for excellent products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and structures improved through manufacturers’ efforts are insufficient, so policies to expand incentives are needed for the industry. ㅇ In addition, to improve existing products and develop eco-friendly products suitable for the circular economy business model, produdct design methods should be categorized, and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create a product ecosystem that can be expanded by linking products and services. 2. Purpose of the study □ In order to support and promote ‘sustainable product design’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ircular econom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key elements in product design and improve the system through a case study ㅇ Direction setting: Raw materials that promote resource circulation, reusable and/or recyclable products, considering durability enhancement and repairability, and product design that takes consumers into account (information provided) ㅇ We aim to improve the existing Assessment of Circular Utilization of Products, Guidelines for Improvement of Materials and Structur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so on, so that they will encourage manufacturers to actually improve product material and structure. We also aim to review how to connect the systems together. ㅇ Furthermore, we aim to present market-driving support policies, including expanding demand through public procurement,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product labeling, providing incentives to excellent products and companies, innovating technology, making a financial investment, and improving sustainability management indicators linked to a company’s ESG factors. -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circular economy society by strengthening sustainable product policies. Ⅱ. Analysis of ‘Sustainable Product Design’ Policies and Trends in Other Major Countries 1. Circular policies on ‘sustainable product design’ in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EU □ (EU) In 2001, the ‘EU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was adopted and the Integrated Product Policy (IPP) was announced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products. - Tax reduction and granting subsidies, encouraging and the standardization of voluntary agreements, green public procurement, green technology, and the enactment/revision of related laws are set as the main means. - The Eco-design Directive of energy-using products (EuPs) was established in 2005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based on the European Climate Change Program (ECCP) and the Integrated Product Policy (IPP). After that, the target items were expanded to include energy-related products (ErPs), and Energy labeling guidelines are in place to ensure reliability. ㅇ The Circular Economy Action Plan (CEAP) announced in 2015 states that resource efficiency items will be added to the Eco-design Directive that has been implemented focusing on energy efficiency. After that, in 2016, through the Eco-design Working Plan (2016-2019) a plan to establish implementation regulations reflecting resource efficiency was prepared. ㅇ As a follow-up to the 2019 EU Green Deal, the Circular Economy Action Plan 2 (CEAP2) was announced in March 2020, presenting Sustainable Product Policy (SPP) as a key tool to contribute to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proposing legislation for sustainable product initiatives by 2021. - It is a new law that extended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regulations in the existing Eco-design Directive, and suggests eco-design requirements such as product durability, reusability, upgradability and maintenance, repairability, presence of SocS (Substances of Concern), energy and resource efficiency, recyclability, potential for material recovery, carbon and environmental footprint. - It also provides product sustainability information with a digital product passport to help consumers understand and choose products. ㅇ The Eco-design Working Plan is established every three to four years and reflected in the regulations and guidelines after collecting opinions from industry and stakeholders as an action plan. - Eco-design taking product life cycle into account (2009-2011) → Eco-design taking energy efficiency into account (2012-2014) → Eco-design taking durability and potential for repair, reuse, and recycling into account (2016-2019) → Eco-design and energy labeling taking product repair and quality standardization into account (2020-2024) → Plans for implement eco-design and energy labeling with the European Product Register (EPREL) (2022) □ (U.S) Based on the ‘Sustainable Materials Management (SMM)’ roadmap, the Comprehensive Procurement Guidelines (CPG) were established to promote the purchase of products with low environmental impact. - The EPEAT certification system scores detailed items for computers and displays, imaging equipment, televisions, mobile phones, servers, photovoltaic modules and inverters, and network equipment, and classifies them in Grade Gold, Silver, or Bronze according to ‘satisfactory’ proportions. - More than 25 states have proposed and passed the relevant legislation, and New York State has passed the Digital Fair Repair Act, which calls for equipment manufacturers to provide OEMs and consumers with information on repair tools, parts, and the repair process. □ (France) To build a roadmap for a circular economy and promote better consumption, the ‘product repairability index’ must be marked. - The repairability index is a system that gives a score out of 10 points based on five indicators: technical documentation, product decomposition, availability of spare parts, price of spare parts, and sub-criteria. - Since 2021, it has been applied to five types of products (smartphones, laptops, televisions, lawn mowers, drum washing machines), and also washing machines, dishwashers, vacuum cleaners, and high-pressure cleaners since October 2022. □ (Japan) With the aim of forming a circular society,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the Home Appliance Recycling Act are in effect, and the environmental design is stipulated in these acts. - The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Circular Society Formation requires the manufacturers to increase efficiency in the use of resources and energy with aim of promoting environmental design. - 3R measures were developed, including product measures (resource saving, longevity, reuse measures, recovery and recycling by manufacturers, and labelling obligation for separate recovery), and by-products (reduction of industrial waste generation and recycling). □ Support measures related to overseas ‘sustainable product design’ include international standards o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MS), ESG standards, and sustainable financial policies including green finance. - ISO 14009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 Design Guidelines for Resource Circulation) was established to present detailed strategies for ① Product material type and quantity, ② Product life extension, and ③ Product, parts, and material recovery. -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SO 26000 (social responsibility) and GRI G4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to support sustainable management of companies, and these are cited in EU laws. - The UNEP Financial Initiative (UNEPFI) proposes sustainable finance such as ESG investment and green finance to raise funds for the transition to a circular economy. - EU announced the ‘finance strategy to transition to a sustainable economy.’ It includes establishing the EU taxonomy and standards for EU green bonds, promoting sustainable project investment, integrating sustainability into financial advice, and developing sustainability benchmark regulations. Ⅲ. Analysis of Domestic Policies and Pending Issues Related to Product Design That Takes Resource Circulation into Account □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to Cope with Climate Crisis,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 bill to completely revise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 (Act on Promotion of Social Transformation in the Circular Environment System) include matters regarding sustainable product design. ㅇ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to Cope with Climate Crisis establishes and implements government policies, such as those on minimizing resource use, strengthening raw material circulation,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product base.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requires business operators to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entire product process. ㅇ A bill to completely revise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307) established regulations on environmental impacts including those on resource and energy efficiency, recyclability, durability, and carbon emissions throughout the entire product process in order to transition to a circular environmental society. □ Domestic policies related to ‘Sustainable Product Design’ were institutionalized centered on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there are the recycability evaluation system, the evaluation system for materials and structur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the evaluation system for materials and structure of packaging, and support projects for the prototype development of uni-materialized products. ㅇ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presents detailed tasks in stages of production, consumption, management, and regeneration of products. The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includes ① improving recycability of products, ② expanding the production that takes resource circulation into account for products such as packaging materials and electronic products, and ③ supporting for developing resource-circulationtype materials and design. ㅇ However, the current policy incentives for excellent products with improved materials and structure through manufacturers’ efforts are insufficient. - Policy incentive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help consumers recognize companies’ efforts to improve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a product and its eco-friendly characteristics and to ensure the wide dissemination of good products. - Strategies regarding the concept, key elements, direction, and objectives of sustainable product design should be established. - Existing systems, including the recycability evaluation system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should be reviewed and improved at this time.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hinder resource circulation based on industry opinions and case analysis, a lack of information on dismantling, the small size of the market for recycled materials, and a lack of related experts and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problems. ㅇ (Industry opinion) Manufacturers are of the opinion that there is insufficient infrastructure for product recovery and a lack of specialists and promotional means, and the recycling industry pointed out the difficulty in disassembling products and a lack of information on decomposition and materials of parts as problems. ㅇ (Case analysis) As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the battery pack when recycling a wast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discharge due to insufficient terminal mark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for battery pack product design considering recycling. □ In order to support ‘sustainable product design’ in the future, the expansion of ESG management and green finance must be linked. ㅇ (ESG) ESG investment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ESG ecosystem is being created mainly by large companies. K-ESG guidelines have been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and measures to expand ESG management and link the systems are being considered. ㅇ (Green Enterprise Funding) Impact Climate Fund is a representative example. Support projects such as direct investment and venture capital-linked investment are carried out in areas such as waste reuse, re-manufacturing, and recycling in the field of circular economy. Ⅳ. System Improvement Plan for ‘Sustainable Product Design’ □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Sustainable Product Design’ are to be established as follows: ㅇ The ‘sustainable product design’ should be promoted by considering circulation in the stage of use (consumption) and post-disposal stage (re-manufacturing, recycling, etc). ㅇ ‘Sustainable product design’: An integrated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pproach to design with the aim of reducing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out the product cycle, and the extended concept of the existing ‘eco-design’ in terms of the circular environment - Reduce the use of harmful substances,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increase recycling rates → (expansion) Includes product service areas such as raw materials (plastic-free, bio-material, recycled materials, etc), reusable/recyclable products, and products designed taking into account durability and repairability - (Direction)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market incentives to improve product sustainability and reduce carbon footprint in terms of resources ㆍ Business unit → Product cycle approach ㆍ Redesign →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and technology based on innovation ㆍ Production perspective → Link two perspective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ㆍ Individual approach of enterprises → Transition to social and systematic approach ㆍ Individual decentralized operation of the system →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s □ First, a ‘sustainable product design framework’ needs to be established. ㅇ Guidelines should include the directions for promoting ‘sustainable product design’ from a higher and more integrated perspective than individual evaluation systems, such as traditional recycability. ㅇ An approach that considers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in the aspect of sustainability of a product is needed. - The environmental sector should focus on product design and performance, and compliance with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the economic sector should focus on compliance with the Circular Environment Business Model (CEBM), and the social sector should focus on compliance with product safety and consumer information. □ Market incentives such as tax incentives, green public procurement, and technology support should be prepared to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of product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lar economy. ㅇ Incentives for manufacturers of sustainable products include support for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green finance and tax reduction, certifying the reduction of carbon footprint and environmental footprint, and strengthening green public procurement. ㅇ We also presented support measures in terms of digital-based tracking of statistics, providing consumer and recycling enterprises with information, organizing and operating governance consultative bodies, green finance, and quality standardization, to ensure the provision of sustainable product information and reliability.

      • KCI등재

        산업디자인 전략을 통한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 연구

        홍경민(Kyung Min Hong),홍성수(Hong Sung S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현대의 변화하는 시장과 문화적 환경에서 디자인은 기업목적을 정의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기업책임의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전략이 미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면, 산업디자인이 가진 무한의 능력은 우리시대의 변화하는 가치에 대응해야하는 기업들에게 많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 기업의 성공을 위해 디자인을 자원으로 관리하는 기업이 시장 점유율과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산업디자인을 기업 성공의 전략으로 활용함으로서 경쟁력 확보와 지속적인 기업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산업디자인 전략은 기업의 목적 달성을 위해 디자인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배분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방침이라고 할 수 있다. 산업디자인 전략을 위한 프로세스와 방법론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디자인 주도의 혁신적인 제품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제품과 디자인개발에 따른 산업디자인 전략이 구축되어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게 되고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을 위하야 신개념의 디자인 개발 시스템이 도입되어야하는데 이 시스템이 본 연구의 중심이되는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이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화두 중에 “이종분야간의 융합” 이라는 새로운 문화트렌드가 각 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디자인 융합(Fusion, Crossover)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으며 일부기업에서는 이미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산업디자인 전략이 구축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신개념의 디자인 트렌드인 크로스오버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을 유도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과 결과로는 산업디자인 전략 구축, 산업디자인 전략을 위한 제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체계 확립, 혁신제품 디자인 도입을 위한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내용으로는 산업디자인 전략에 대한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연구를 포함하여 제품의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최근의 디자인 트렌드, 문화 트렌드, 사회 환경 변화 등을 통하여 조사, 분석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산업디자인 전략과 제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그리고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의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논문 관련 참고문헌, 연구기관의 정보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조사 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산업디자인 전략을 통한 크로스오버 시스템 구축은 향후 기업에서의 디자인 전략 및 개발과정에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어 기업성장의 주역이 될 것이다. In today`s changing market and cultural environment may desig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orporate responsibility by helping define business objectives. If strategies are for performing tasks of the future, infinite ability of industrial design can provide companies which need to respond to the changing values in our times. It is not surprising that company, manage design as resources for the success of its business,is able to secure its market share and competitive advantage, make sure of their competitiveness and drive business growth continuously utilizing industrial design as corporate strategies for success. Industrial design strategy can be called policies which determine how to acquire design resources efficiently and allocate them to achieve corporate objectives. The most factor among processes or methodologies for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would be developing innovative products driven by design. Thus, industrial desig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with ongoing development of product and design. To do so, an innovative design development is required and a system of new conceptual design development should be introduced to develop innovative and creative design. It is the crossover design system that would be the centerpiece of this study. The most-talked-about categories of these days in every field is a new cultural trend : “Convergence between the two kinds of area”. The movement of adopting design combining system (Fusion, Crossover) has been detected in the field of design, some companies are already taking advantage of the cross-ever desig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success of company and, through this, encouraging creative and innovative design development by acquiring new concept of design trend; crossover design system. The objective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building strategy of industrial design,establishing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 system for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and building crossover design system for adopting innovative product design. In this research,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rossover design system, for promoting innovative design development of products, was re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recent design trends, cultural trends, and social environment change, etc. inclu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about industrial design strategy. In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in a systematic and objective way utilizing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preceding references, and information data from research institutions for the study of industrial design strategy,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crossover design system. Establishing crossover system, through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presented in the finding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business growth as a new concept of design development process in the future corporate design strategy and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후보

        의장(디자인)무심사등록제도에 관한 소고

        윤선희 한국지식재산학회 2003 産業財産權 Vol.- No.14

        In most countries, an industrial design must be registered in order to be protected under industrial law. As a general rule, to be registrable, the design must be new or under some laws original. Different countries have varying definition of such terms. The same is true for the registration procedure itself, in particular, whether an examination as to form or also as to substance, especially to determine novelty or originality, is carried out. We have three ways of registration system. Non-examination registration system is the one that is carried out for some industrial designs which have strong variability and short life-cycle. This system has shorten the term for registration and lessened the burden of time and fees that the applicants have to pay. But also this is blamed for the conflicts arisen from the uneasy state of right caused. The reason for these problems is that it was introduced based on the Patent Approach System. Industrial design may be protected as a work of art under the copyright law. In some countries, industrial design and copyright protection can exist concurrently and, In other countries, they are mutually exclusive. While screening out the substantial requirements in Patent Approach System, Copyright Approach System doesn't need the screen for the substantial requirements. Therefore the Design Right which was registered without investigating about the substantial requirements in Patent Approach System, should be restricted in the blocking effect and the exclusive effect. In this paper, I've studied on the substitute for the problems by intensifying operation of the Objection System. In conclusion, design is supposed to be protected by the Design Approach System. The worldwide trend is also to adopt the Design Approach System which carry out not only the protection of the registered design right of the patent approach system but also the protection of the unregistered design right of the Copyright approach System. To do so, it is necessary to be adjusted between Copyright Act and Design Act.

      • KCI등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를 통해 교체를 앞두고 있는 감사인의 협상력

        임유니,염승훈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1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bargaining power of auditors to the audit fee of companies that are about to change auditors through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 bargaining power of company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audit fees, when an industry professional auditor conducted an audit. This means that larger firms are more likely to ask auditors for a discount of audit fees. Korea enacted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in 2017. In order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audit,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was implemented through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which was amended in 2017 to ensure auditor independence and improve audit quality. A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was introduced for unlisted companies.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is a regulation for designating auditors for the three business years to the stock-listed corporations (excluding KONEX) who have freely appointed auditors for six consecutive business years. In this research, the influence of auditors when negotiating audit fees was newly set.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effect of auditors in the bargaining process of audit fees in companies where auditors are replaced prior to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However, in the analysis performed by dividing the period by year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was strengthened only in 2019, the year immediately before the change of regulation on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was generally low in the bargaining of audit remuneration. However, it was reversed in the year immediately before the auditor replacement. This means that the audit fees were seen of audit fees premium for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this phenomenon was also found in the case of professional audi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bargaining power of auditors was strengthened when negotiating audit fees only in 2019, the year immediately before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was limited as the result of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on the audit fe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in general. This is a fact that confirms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 and the auditor” is still worked. However, in 2019, the direct before year of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is reversed. This result was also found in the audit fee and hourly audit fee, and even in the case of an industrial professional auditor,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increased in the year immediately before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is, auditors who are fully aware that they will not be able to free the company through competition for the time being can protect themselves from litigation risks without causing disagreements with future auditors on financial statements.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heck how the auditor who is about to be replaced by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exerts influence on the audit fee with the relevant company. The contributio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rough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real samples of companies whose auditors are replaced were used to promote timeliness and accuracy in the analysis. Secondly, through the selection of a new variable called the bargaining power of auditors(apower), the influence of auditors whose auditors are replaced by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on the calculation of audit fees before replacement was examined with the negotiation about the audit fees. Finally, the influence of auditors on the calculation of periodic au... 본 연구에서는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를 통해 감사인 교체를 앞두고 있는 기업들의 해당 감사인이 감사보수 산정에 미치는 영향력(bargaining power of auditor)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를 수행하는 경우 감사보수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협상력(bargaining power of company)은 종속변수인 감사보수와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감사인에게 할인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해당 선행연구의 분석표본 중에서 자산총액이 평균 이상에 해당하는 기업에서 더 유의하게 감사보수 할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업의 자산규모가 클수록 감사보수 산정에 미치는 기업의 영향력이 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보수 협상 시 감사인의 영향력을 새로운 변수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를 앞두고 감사인이 교체되는 기업의 감사보수 협상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감사인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감사인 교체 직전 기간을 연도별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한 분석에서는 교체 직전 년도인 2019년도에서 감사보수 협상 시 감사인의 협상력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감사보수 협상에서 전반적으로 감사인의 협상력은 낮았다가 교체 직전 연도에 반전되어 감사보수 할증이 나타나는 현상은 산업전문감사인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기업에 대해서 경쟁을 통한 자유수임을 당분간 할 수 없음을 충히 인지하고 있는 전기 감사인들이 차기 감사인들과의 전기 재무제표에 관한 의견불일치를 발생시키지 않고, 소송위험 등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그 원인을 분석해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감사인의 협상력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활용하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 시행 3년 전에는 전반적으로 감사보수 협상 시 감사인이 미치는 영향력이 제한적이었으나 교체 직전 년도인 2019년도에 감사인의 협상력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산업전문감사인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는 바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에 의하여 교체를 앞두고 있는 전기 감사인이 해당 기업과의 감사보수 산정에 영향력이 발휘되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