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의적공학설계 교과목을 통한 설계기본소양 교육

        김용세(Yong Se Kim)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6

        Th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ED) course at Sungkyunkwan University is a required design course for all freshman engineering students (about 1200 students each year). The objective of the course is to educate engineering students the basic design qualitie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course provides learning opportunities in pursuing design solutions through collaborative efforts of design team work as well as innovative and effective design ideation methods and design presentation skills. The learning activities are through several design projects, design presentation and critiquing sessions and design-build-test competition. The CED course in conducted with collaborative efforts of engineering professors and the Creative Design and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CREDITS) research center. In this talk, the current activities of the CED course and related design education research progresses will be presented.

      • KCI등재

        디자인 정량화를 위한 굿 디자인 선별 플랫폼 개발연구 -인공지능 기반 선별알고리즘 구현을 중심으로-

        이지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e Design Awards is to promot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design by general consumers an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ficials, while promoting industrial design development in Korea and improving the design level of products. https:// www.google.co.kr(2023.03.23.) The Good Design Award is evaluated as a professional design contest that values aesthetics and concept delivery, but it evaluates design with the most emphasis on actual market competitiveness. This is because design containing elements for commercialization can give value to actual national competitiveness along with design competitiveness. The domestic design awards focus on discovering new designers while presenting a vision for the field of design. It can be seen that it is also striving to understand local culture, find solutions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create an eco-friendly spac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human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also negative views on these awards. Due to the emphasis on corporate-centered business elements, many design products are not evaluated due to the neglect of original individual and mid-speed design and the difficult design industry structure to submit. This can be an obstacle to global industrial design, and due to the ambiguity of the product’s value judgment criteria for numerous designers, they do not receive professional evaluation of their design products, so they do not get an opportunity to develop good designs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help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merican design industry by develop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ood design selection platform” that selects good design evaluation factors based on global standards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As for the research method and scope, data valu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five major components of good design: purpose, aesthetics, originality, order, and economy, focusing on the design classificatio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n addition, the navig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latform was constructed by analyzing evaluation indicators of famous domestic and foreign design awards, respectively, and extracting cross values. In addition, the selection algorithm for good design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design classification and good design evaluation elements listed above by giving the image value of the design products selected as the result of the review of the existing Good Design Awards. This good design selection platform gives artificial intelligence an evaluation value for new designs based on the image values of the winning works of the Good Design Awards, which selected the five major components of the existing design classification and good design as evaluation indicators. This is based on the award-winning works based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domestic and foreign design awards, so it may be difficult to derive clear results, but design that meets the evaluation standards of domestic and foreign awards can be evaluated. However, there may be continuous upgrades to data values and changes in accuracy due to accumulation of big data, given that quantitative evaluation of design itself may vary depending on individuals and countries, times and history, culture and social customs and trends. Accordingly, as a follow-up study,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tract fields and elements for detailed derivation values of users’ requirements to supplement image settings and additional evaluation indicators in multiple fields. 굿 디자인 상품을 선정하는 디자인 어워드의 목적은 일반 소비자 및 생산⋅유통 관계자들의 디자인에대한 관심과 이해를 진작시킴과 동시에 우리나라 산업 디자인 개발의 촉진과 상품의 디자인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1) 굿 디자인 어워드는 심미성과 콘셉트 전달력을 중시하는 전문 디자인 공모전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실제 시장 경쟁력에 가장 중점을 두어 디자인을 평가한다. 제품화되기 위한 요소가 담긴 디자인이 이야말로디자인 경쟁력과 함께 실질적인 국가 경쟁력에 가치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디자인 어워드는디자인 분야 비전을 제시함과 동시에 새로운 디자이너 발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역 문화의 이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 친환경 공간 조성 및인간 환경의 질적 향상에도 힘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어워드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도 있다. 기업중심의 비즈니스적인요소를 강조하고 있음으로 인한 독창적인 개인과 중속업의 디자인에 대한 외면과 출품하기 어려운 디자인 산업구조 특성상 비밀유지를 해야 하는 새로운 가획디자인 상품들, 출품에대한 출품비, 심사비에 대한 부담감 등과 같은 이유로많은 디자인 제품들에 대한 평가를 받아보는 기회를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한 산업디자인의 저해요소가 될 수 있으며 수많은 디자이너들에 대한 상품의 가치판단 기준의 모호함으로 그들의 디자인 상품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를 받지 못해 수정, 보완을 통한 굿 디자인개발에 대한 기회를 얻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어워드에 참여하지 않아도 장소와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글로벌 기준의 굿 디자인 평가요소로 선별해주는 ‘인공지능 기반의 굿 디자인 선별플랫폼’을 개발하여 대한미국 디자인 산업의 발전에도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과 범위로는 산업통상부에서 제시한 디자인 분류를 중심으로 굿 디자인 5대 구성요소인 합목적성, 심미성, 독창성, 질서성, 경제성을기준하여 데이터 값을 구성하였다. 이에 덧붙여 국내외 유명 디자인 어워드의 평가지표들을 각각 분석하여 교차 값을 추출하여 인공지능 기반 플랫폼의 내비게이션을 구성하였다. 여기에 데이터 값으로 기존의굿 디자인 어워드의 심사결과로 선정된 디자인 상품들의 이미지 값을 주어 딥러닝 하여 위에 나열한 디자인 분류와 굿 디자인 평가요소를 중심으로 굿 디자인에 대한 선별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굿 디자인 선별 풀랫폼은 기존의 디자인 분류와 굿 디자인의 5대 구성요소를 평가지표로 선정한굿 디자인 어워드의 수상작들에 대한 이미지 값을 기준으로 인공지능이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평가 값을주어지게 된다. 이는 국내외 디자인 어워드의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수상작들을 기준으로 하였기에 명확한결과값을 도출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으나 현재국내외 어워드의 평가기준에 합당한 디자인에 대한평가는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디자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자체가 개인과 국가, 시대와 역사, 문화와 사회적 관습과 트렌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을 감안하여 데이터 값에 대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와 빅데이터의 누적으러 인한 정확도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속연구로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세밀한 도출 값을 위해 분야와 요소들을 추출하여다분야의 이미지 설정값과 추가적인 평가지표에 대한보완이 필요...

      • KCI등재

        ‘비저너리 전시’에 관한 연구

        최상명,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national will toward industrial design became a common trend in the modern West. The exhibitions, which were held to raise the level of design and art in the country and public enlightenment, brought numerous discussions on ‘good’ design. Claire Bishop referred to exhibition history as a sub-concept of art history in the 2014 Art Forum; the perception that exhibitions do not cross the path of art is widespread. In particular, design exhibitions were not part of exhibition history, and most studies on design and exhibition focused on exhibits and directing, failing to view the design performance and social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sionary exhibitions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ntextualization by inferring the meaning of exhibition and the flow of the role of design. (Method) The study is composed of two chunks: an examination of visionary exhibitions and an analysis of exhibitions, and analyze major industrial design exhibitions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social design significance of exhibitions by focusing on exhibitions that propose a new residential form and lifestyle in residential areas. Three exhibi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British V&A Museum's <Britain Can Make It> exhibition in 1946, the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s <Italy, the new Domestic landscape> in 1972, and the Japanese <House Vision> project in 2011. In Chapter 2, it is presented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Visionary Exhibition by summarizing the concept of “Visionary” as a formative language, and identified the major trends in Western design history by analyzing exhibitions designed as part of the role of museums and public education with the rise of modern desig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Chapter 3, it is analyzed comprehensively three exhibitions by focusing on the period and background. (Results) Although the performance and influence of the exhibitions vary, a clear theme of the future house and a vision for reconstruction after a national crisis were found to contain in all three exhibitions, and it is showed that the exhibition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and designers had an experimental attitude.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three exhibitions have gradually changed from national planning to voluntary private-sector participation. This aspect has become more pronounced since design discourses began to detect social problems. (Conclusion) By the goal of design to solve the dark and uncertain realities of post-war and post-disaster,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exhibition has expanded the discourse on the social role of design through the issue of ‘What is a good design?’ beyond being a medium that reflects the image of the near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디자인을 향한 국가적 의지는 산업혁명 이후 근대 서구의 공통적인 흐름이 되었다. 자국의 디자인 수준과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대중을 계몽시키기 위한 의도로 열린 전시들은‘좋은’디자인에 대한 수많은 논의를 가져왔다. 2014년 『아트포럼』에서 클레어 비숍이 전시사를 미술사의 하위 개념으로 칭한 것으로 주지하듯, 전시가 미술의 경로를 넘지못한다는 인식은 매우 지배적이다. 특히 디자인 전시는 학문적 대상이 되지 못했고 전시사에서 소외당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디자인과 전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전시품이나 연출에 초점을 두어 디자인적 성과와 사회적 맥락을 조망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시가 갖는 의미와 디자인이 갖는 시대적 역할의 흐름 들을 추론하여 비저너리 전시의 특징을 분석하고 맥락화 가능성을 고찰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는 크게 비저너리 전시에 대한 고찰과 전시 분석으로 두 가지 덩어리로 구성되며, 주요 산업 디자인 전시들을 분석하여 비저너리 전시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해 볼 것이다. 특히 주거 영역의 새로운 주거형태와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하는 전시에 초점을 맞추어 전시가 갖는 사회적 디자인적 의의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1946년 영국V&A의 <브리튼 캔 메이크 잇> 전, 1972년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이하 MoMA)의 <이태리, 새로운 주거의 풍경>, 2013년 일본<하우스 비전> 프로젝트, 세 개의 전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다. 2장에서는 조형 언어로서 ‘비저너리’의 개념 정리를 통해‘비저너리 전시’의 포괄적인 정의를 제시하고, 산업혁명 이후 근대 디자인의 발흥과 함께 디자인 정책 중 하나였던 박물관의역할 및 대중 교육 일환으로 기획되었던 전시 들을 분석하여 서구 디자인사의 큰 흐름 들을 파악한다. 3장에서는 시기와 배경을중심으로 세 개의 전시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결과) 전시의 성과와 영향력은 차이가 있으나 세 전시 모두 집의 미래라는 뚜렷한 주제 의식이 발견되었고, 국가적 위기 이후의 재건을 향한 비전을 담고 있었으며, 기업과 디자이너의 협업을 통한 전시들이실험적 태도를 지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 개의 전시가 국가적 차원의 기획(top-down)에서 점차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bottom-up)의 성격으로 변모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측면은 디자인 담론들이 사회적 문제를 감지하기 시작한 이후 더욱 뚜렷해졌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이 전후(戰後)와 재후(災後) 등의 어둡고 불확실한 현실을 해결해 줄 것이라는 목표는 전시가 근 미래의 이미지를 투영한 매체임을 넘어 “무엇이 좋은 디자인인가?” 라는 쟁점을 통해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담론을 확장시켰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모시 소재에 적합한 패션상품 디자인 개발 -조각보 모티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서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4

        현대 패션산업에서 경제적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 ‘전통성’이다. 우리나라 또한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으로 형상화시키는 이른 바 ‘한국적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상품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대표 전통소재인 한산모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디자인 개발이 핵심요소 이다. 본 논문은 한산모시의 기원 및 역사 와 생산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인터넷 검색을 통해 조각보 모티브 디자인이 나타난 패션 상품들을 분석해 보았다. 그를 바탕으로 전통 조각보의 특성을 살리면서 현대 감각에 맞는 5작품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첫째, 모시 특유의 단색조 농담만을 조각보 모티브에 사용함으로써 세련됨을 추구하였다.[작품1][작품2]둘째, 엷은 파스텔조의 차분한 색상을 주로 사용하여 조각모티브의 색상의 뉘앙스를 잘 살림으로써 전체적으로 변화감과 긴장미를 나타내었다.[작품3][작품4]셋째, 여의주문보의 꽃잎 모티브를 사용하여 대담한 색면 분할의 세련미와 부조 같은 효과로 디자인 하였다. [작품5]본 연구가 작으나마 한국 패션상품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모시 소재의 지속적인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essential thing to create the high economic value added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is 'tradition'. The product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design' that embodies the modern beauty of traditional culture. In order to activate the Hansan ramie fabric, which i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material, the design development should be a key factor. The study surveyed origin, history and manufacture process of Hansan ramie fabric and analyzed the fashion products containing patch quilt motive design through internet search. On the basis of them, the study suggested 5 designs, which are suitable for modern sense, displaying the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patch quilt. First, the study searched for the splendidness of patch quilt by using the simple-tone light and shade of ramie fabric.[design1][design2] Second, the study displayed change and tension by focusing on color and nuisance of patch quilt motive. [design3][design4] Third, the study performed the design process by using the decisive splendidness of color surface division and relievo. [design5].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research of Korean fashion product and continual design development about ramie fabric material will be performed.

      • KCI등재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디자인수업 사례 연구 -산업디자인, 건축디자인, 패션디자인을 중심으로-

        박양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guideline proposals for future class development considering the learner level so that design students can use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s a design method in design educ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sign thinking concept and proces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e-test on the awareness of design thinking. Second, a post-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usability of the design project using design thinking process. Thir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responses to the pre-test and post-test surveys by three major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examining participants' awareness of design thinking, industrial design students showed the highest at 54% compared to other majors. 2) It was found that the selection of the topic of the problem was much more efficient in all three major fields by direct field experience. 3)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stage that helped solve problems and the stage that was felt difficult was the stage of idea diffusion. This is the most important step in solving the problem, and while it is highly useful,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need to invest a lot of time and present a specific plan. 4) Whether to use the design thinking process in the future showed a positive response in all major fields. There were opinions that the design thinking process can find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problems, unlike the usual problem solving method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ould help to find out problems and get ideas more easily by presenting specific process guide necessary for the empathy stage and the idea diffusion stage.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교육에서 디자인계열 전공 학생들이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디자인방법으로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향후 수업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안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씽킹 개념과 프로세스를 이론적 배경으로 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첫 번째, 디자인 씽킹에 대한 인지도를 사전검사로 수행하였다. 두 번째,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디자인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활용도에 대해 사후조사를 하였다. 세 번째, 세전공별 사전, 사후조사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디자인 씽킹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산업디자인학과 학생들이 다른 전공분야에 비하여 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문제의 주제 선정은 세 전공분야 모두 직접 현장체험과정에서 찾는 것이 훨씬 효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중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는 단계이자 어렵게 느껴졌던 단계는 아이디어확산 단계로 세 전공 모두 공통적으로조사되었다. 이는 문제 해결의 가장 핵심적인 단계로 활용도가 높은 반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구체적인 안을 제시해야한다는 부분이 어렵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향후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사용여부는 모든 전공분야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는 평소에 사용했던 문제해결 방법과 달리 좀 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문제를 찾을 수 있다는 의견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감단계와 아이디어확산 단계에 필요한 구체적인 프로세스 가이드를 제시해줌으로써 문제발견과 아이디어 도출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경영 방안 연구 :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김해용,양동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6

        Traditional Market has complex natures in its products and services, emphasizes experiences with people including market merchants and customers, involves with lots of persons concerned, and provides a variety of products, distribution channels, and services. However, because of industrial development, especially, growth and expansion of distribution market, it could not sufficiently respond to requirements such as customers and clients, and shopping environment, with difficult in securing competitiveness, compared to large distribution enterprises. In particular, since 2017, the projects about 'service design' has been pursued, and it is necessary for development project team to build strategies for design management, and to define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In detail, the development project team should compose its own organization, define the concept of design management, and prepare how to establish the project process. Design management combines design perspective based on subjective, intuitional, comprehensive, non-linear, and organic ideas, and business perspective based on logical, mathematical, and reasonable thinking, and it is to apply design ideas to business activities, and to deduce creative solutions. Therefore, the study aims at studying and analyzing various issues of traditional market in the perspective of design management, and suggesting how to establish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for cultural tourism market development projects and systematic process for service design. For traditional market invigoration projects, including first, building design management system, second, establishing process to build strategies of service design for the cultural tourism market development projects, and third, preparing the system of consulting team for design management policy consultation, three suggestions are made.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it, inviting experts for design management to the development project team is difficult in the reality, requiring to educate the basic concepts of design management and to prepare how to build strategies of design management through consultation by design management consulting team. 전통시장은 제품서비스의 속성이 복잡하고, 시장상인 및 고객 등 사람들과의 경험이 중시되며,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얽혀있고, 다양한 물품배송 채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발전 특히, 유통시장의 개발과 확장으로 대형 유통기업들에 비해 고객 및 소비자의 쇼핑환경 등 요구사항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특히, 2017년도부터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사업을 추진하게 되어 육성사업단의 디자인경영 전략구축 방안과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정립이 필요한 상황으로 육성사업단의 조직구성 및 구성원의 디자인경영에 대한 개념 정리와 사업 프로세스 정립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디자인경영은 주관적직관적종합적비선형적유기적인 사고에 바탕을 두는 디자인 관점과 논리적수리적합리적인 사고에 바탕을 두는 경영 관점을 융합한 것으로, 디자인적 사고를 경영 활동에 적용하여 독창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전통시장의 다양한 이슈를 디자인경영 관점에서 조사분석하여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의 디자인경영 전략구축 방안과 서비스디자인의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을 위한 첫 번째, 디자인경영 체계구축, 두 번째,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전략구축 프로세스 정립, 세 번째, 디자인경영 정책자문을 위한 컨설팅단 제도 구축 등 3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 육성사업단의 디자인경영 관련 전문가 영입은 어려운 실정으로 디자인경영의 기본 개념 교육과 디자인경영 컨설팅단의 자문을 통한 디자인경영 전략구축 방안 마련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정감사 및 최종감사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지정감사인의 자유수임 감사계약금지 제도의 효과를 중심으로-

        박기태,전순철,전규안 한국세무학회 2017 세무와 회계저널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n connection with audit performance, is to review the effect of designated audit where the scope of designated audit is discussed to be expanded recently, and also review whether new designation enhance the audit quality as compared with old rule where new rule prohibit designated auditor from being appointed as auditor for the first fiscal year subsequent to auditor-designation period. The effect of last audit is also reviewed as the intent of new rule is to improve audit quality by attaching last audit feature to existing designated audit. In addition, the reason of auditor-designation is also reviewed for purpose of identifying the cause of designation-audit effect. This paper selects 1591 firms listed in KOSPI and KOSDAQ for the period of 2011-2015.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following. Fist, designated audit improve audit quality whereas last audit does not. Second, whether or not it is last audit, designated-audit improves audit quality as compared with free-contracted audit, designated-audits in 2015 when new rule is firstly effective, are more effective than other designated-audits in other years in this paper’s scope (2011-2014). Third, in connection with designation reason, only designated-audits for IPO are effective where designated-audits due to non-IPO purpose are not effective. This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designated-audit improve audit quality in general, there are certain cases where designated-audit is not effective.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s in several ways. First, this paper reviews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rules in connection with auditor designation. Specifically, this is the first study where, in reviewing designation audit effect, new designation rule with being firstly effective since 2015 are reviewed separately from old designation rule up to 2014. Additionally, this paper reviews the effectiveness of last audit and find out the different effects of designation audit according to respective designation reason. This results suggest designation audit due to not-IPO reason should be improved to achieve its intended obj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지정감사 확대의 논의와 관련하여 지정감사의 효과를 검증하고, 특히2015 회계연도부터 시행된 지정감사 후 최초의 자유수임계약을 기존 지정감사인에게 불허하는 제도하의 지정감사가 기존 지정감사에 비해 추가적인 감사품질 제고효과를 가지는지를 분석하는데있다. 새로운 제도가 기존 지정감사에 최종감사의 성격을 추가하여 지정감사의 효과를 높이려는정책적 취지를 담고 있어, 최종감사의 효과도 같이 분석한다. 또한 지정사유별 지정감사의 효과를분석하여 지정감사 효과의 원인에 대한 분석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2015년의 기간에, 특정 회계법인의 유가증권과 코스닥상장법인 감사에 대해 지정감사와 최종감사의 효과를 알아보고, 그 효과의 원인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정감사는 감사품질을 높이는 데 반해, 최종감사의경우 계속감사에 비해 감사품질 차이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둘째, 최종감사 여부와 상관없이 지정감사의 효과가 높았으나, 최종감사일 경우 새로운 제도가 시행된 2015년 이후의 지정감사의 감사품질향상 효과가 더 높았다. 셋째, 지정사유별로는 상장예정지정의 경우 지정감사가 감사품질을 제고하였으나, 그 외의 지정감사는 감사품질 제고와 무관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정감사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발생하며, 상황에 따라 지정감사의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주제로 많이 다루어졌던 지정감사의 효과를 2015년도부터 적용된 신지정감사와 그 이전의 구지정감사로 구분하여 실증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신지정감사제도의 도입취지가 지정감사에 최종감사를 도입한 것이므로 지정감사의 효과와 더불어 최종감사의 효과도 동시에 분석하였으며, 지정사유별로 지정감사의 효과가 달리 나타남을 확인하여, 향후 지정제도 개선과 관련하여 상장예정지정이 아닌 직권지정의 경우, 지정의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 탐색 -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윤옥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explores the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for STEAM education with a focus on design thinking and implications for STEAM education instructional system designers.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a are being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and i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t the university of STEAM, using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ADDIE). However, the ADDIE Model comprises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which has the advantage of systematic guidance, but some theoretical limitations.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for STEAM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s that use new approach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Focusing on design thinking for STEAM education, we have devised a new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For this model, we devised a three-dimensiona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that applied all eight principles of STEAM education. The principles of necessity, object, and fusion in the ADDIE model; the principles of creative design and problem solving in CPS; and the principles of emotional experience, diversity, and integration are emphasized in design thinking. The three-dimensiona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of is proposed, which focuses on design thinking for STEAM education. The features of the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for STEAM education utilizes design thinking. Second, in harmony with each stage, analytical and intuitive thinking were employed to resolve the issue. Third, problems are resolved three-dimensionally at each stage. Fourth, various techniques are used that can be applied at each stage. Fifth, design thinking is used as an important axis. The ADDIE model and CPS were used as an auxiliary axis. 이 연구는 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탐색하고, 융·복합교육 교수 설계자들에게 시사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중등·대학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교과에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이 전통적인 교수체제설계 모형인 ADDIE 모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ADDIE 모형은 교수 설계를 체제적, 체계적으로 안내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몇 가지 이론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의 교수체제설계 모형이 필요하다. 따라서 융·복합교육 특징을 살릴 수 있는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STEAM 교육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고안하였다. 이모형은 8가지 융·복합교육 수업 원리를 모두 적용하여 3차원의 교수체제설계를 고안하였다. 필요성의 원리, 목적성의 원리, 융합의 원리는 ADDIE 모형에서, 창의적 설계의 원리, 문제해결의 원리는 CPS에서, 감성적 체험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 통합성 원리는 디자인 씽킹에서 강조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중심으로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STEAM 교육을 위한 ‘윤옥한의 3차원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제시 하였다. 모형의 특징은 첫째, 융·복합교육 교수체제설계를 위한 기본 프로세스를 디자인 씽킹으로 활용한다. 둘째, 각각의 단계에서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를 조화롭게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셋째, 각각의 단계에서 3차원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넷째, 각각의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을 활용한다. 다섯째, ADDIE 모형에서 제시하는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가 중요한 축이 아니라 디자인 씽킹을 중요한 축으로 사용하고 기존의 ADDIE모형과 CPS를 보조 축으로 사용하였다.

      • KCI등재

        A Preliminary Study of the Application of Prototyping Tools for Design Education Plans; Focusing on Open Source Microcontroller Boards

        남원석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6 No.2

        In the past, design has been recognized as a means to determine colors, shapes, and functions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accepted in a wider sense, namely designing the entire service, including product and user experience design. In this way, in addition to creativity and expressive power that designers have as their main competence,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is design object, designers are required to have comprehensive abilities in related fields and accompanying technical professional abilities. If designing as a technology application as a direction toward this situation, design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by approaching technology as a method of expression or design subject. It can also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wards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echnology. Meanwhile, many small microcontroller board products with advanced functions and multi-functional specialized programming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s (IDEs) are becoming widespread due to their open source, low cost, and scalable features. However, students in the design department who lack the basic knowled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have difficulties learning, which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is required for practical use. From this point of view, we have made advancements in the technical understanding of design education by conducting fundamental research to the effectiveness of microcontrollerbased prototyping tools as means of expression. We also conducted basic education of microcontroller board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 students who majored in design in conjunction with the basic survey and investigated the obstacle factors using a questionnaire. Through these surveys, we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of designing microcontroller boards of low difficulty, which simplify the coding process that can act as a barrier in difficulty for design students to apply smoothly in design education. In addition, we intend to carry out a basic study on the guideline of microcontroller design for design education and composition of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Self-observation of the design process

        Jung Soo Lee 복식문화학회 2016 服飾文化硏究 Vol.24 No.6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designer’s creative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clothing designs. The researcher has taken roles both as a design practitioner and an observer. The full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was concurrently documented while working to solve a specific problem. This included noting down the concept, keywords, and detailed scratch ideas, as well as refining the design by collecting sketches and taking photos. Integrated data from the captured design process were analyzed based on Lamb and Kallal’s apparel design framework, which included problem identification, construction of preliminary ideas, design refinement, prototype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 functional, expressive, and aesthetic (FEA) criteria of the entire process were thus assessed. Additionally, five professional apparel reviewers evaluated the design project based on FEA criteria. The results showed the processes for identifying targets and intentions, extracting the main elements from sources, developing the major visual concepts, and making final adjustments. Ultimately, this study revealed how a designer manages each stage of the creative design process. Sharing such detailed observations of the design process can help refine the knowledge involved in each stage of the creative process, and provide guidance for instructors in desig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