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원림관을 통해서 본 <다산화사(茶山花史)>

        황민선 ( Min Sun Hang )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3

        조선시대 문인들을 자연 완상을 수양의 한 방편으로 삼았을 만큼 자연을 사랑하였고 이는 전국 곳곳에 남겨진 원림과 누정으로 실현되었다. 그리고 이런 공간을 읊은 수 많은 문학작품은 그들의 자연관과 원림관을 극명하게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조선후기 천재적인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 또한 여타의 조선시대 문인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을 사랑하였다. 재임 중 뿐아니라 유배 기간 동안에도 그치지 않았던 적극적인 원림조영은 이런 그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다산의 시 연구는 대부분 그의 현실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있고, 그의 원림시나 산수시들은 비교적 많은 연구가 되어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산의 자연관을 나타낸 시중 다산의 원림시를 중심으로 살펴 다산시에서 나타난 자연의식, 그리고 그 자연의식에 바탕 한 원림관을 살펴보고, 원림 문학으로서 다산초당을 주제로 한 작품 중 <茶山花史> 20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다산의 원림관을 현실의 삶을 근본으로 삼고 근본에 힘쓰는 務實지향적이라고 보고 <다산화사>의 작시 의도을 살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산화사>의 특징을 시적대 상이 생활에 밀착되어있고, 시상이 사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보았다. 방대한 다산의 철학과 문학을 핍진히 살피지 못하고 지엽적인 부분만 들어 분석하여 미진한 부분이 많으나, 다산의 원림과 자연에 대한 작품의 연구는 다산의 시세계를 균형있는 시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사고의 틀을 마련해 줄 것이고, 나아가서는 원림문학의 다양한 연구를 일으킬 수 있는 촉매가 되리라 생각한다. Joseon`s literary men loved nature so much that they took appreciation of nature as a way of training, and it was realized bygroves and pavilions constructed in various places of the country. In addition, we have numerous literary works reciting such spaces that constitute materials allowing us to evidently see their views of nature and groves. Dasan Jeong Yak-yong, a genius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also loved nature as his contemporary literary men did. We can see his attitude in this regard from his positive arrangement of groves during his banishment as well as in his days as an official.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Dasan’s poems have been focused on understanding his recognition of reality, and hence we have relatively less work on his poems of groves and nature. Thu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nature shown by Dasan`s poems, in particular his poems of groves among other poems of his that represent his view of nature and his view of groves based on such recognition of nature, and explore the 20 pieces of poetry in Dasan Hwasa ‘Dasan`s history of flowers’ among other works of his as grove literature that take Dasan Chodang ‘Dasan`s thatched cottage’ as a theme. I have taken a look at the poetic consciousness of Dasan Hwasa while suggesting that Dasan`s view of groves take real life as its base and is practice-oriented with efforts for the base, and based on this, I take Dasan Hwasa to be characteristic in that its poetic subjects are life-based and its poetic conception is unfolded around facts. Though this paper has many unsatisfactory aspects as it has not vividly look at Dasan`s philosophy and literature and has analyzed minor parts, as a study of Dasan`s works about groves and nature,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of thought in which we can see his poetic world from a balanced perspective,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play a catalytic role in bring about various studies on grove literature.

      • KCI등재

        다산 「석지부(惜志賦)」에 대한 고찰

        김은미 ( Kim¸ Eun-mi ) 퇴계학연구원 2020 退溪學報 Vol.148 No.-

        시는 2500여 수에 이르는데, 다산의 賦는 단 2편만 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석지부」를 대상으로, 다산의 부 창작 이유와, 寡作의 배경, 그리고 유배기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부가 우리 문학사에 들어온 것은 남북국 시대의 일이지만, 조선 후기에 이르면 科賦로 정착하게 되고 형식주의로 치우치게 된다. 과거를 준비하는 잠재적 관료들의 부 습작 열기는 뜨거웠지만, 더 이상 부는 문학적 향유의 대상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 결과 조선 후기 문인들의 문집에 부가 실리는 경우는 드물었다. 다산의 부가 2편만 전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였다. 다산이 과거를 준비한 18세기 후반도 이미 부가 과부로 정착한 후 였다. 다산 역시 과시를 준비하며 부 창작을 연습했지만 부를 향유한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그러던 다산이 1801년 長鬐 유배기에 새삼스럽게 부를 지은 것이다. 유배지의 다산은 스스로 죄가 있다고는 생각지 않았고, 자신을 당쟁의 희생자로 인식하였다. 장기에서 쓴 글에서는 신유박해가 천주교와 유교의 사상적 대립이 아닌 당쟁의 결과라는 다산의 생각을 확인할 수 있다. 다산은 異端과 異端邪說도 구분했는데, 다산에 따르면 천주교는 이단이지 이단사설이 아니었다. 그런데도 다산은 천주교 때문에 유배객이 된 것이다. 유배지의 다산은 부의 기원을 생각했다. 失志한 선비들의 문학 양식이던 부와, 정치적 불우함을 드러내던 楚辭를 떠올렸다. 다산은 이미 1790년 海美 유배 무렵의 시에서도 정치적 곤경을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초사의 영향을 보여준 바가 있다. 자신은 죄가 없는데도 당쟁의 결과 유배객이 되어버렸다고 생각하는 다산은 유배지 장기에서 초사와 부를 소환했고, 辭와 賦의 양식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드러내었다. 「석지부」에서 다산은 公冶長과 張橫渠를 거론하여 자신의 억울한 심경을 말하였고, 韓愈와 蘇軾을 언급하여 자신의 현재적 곤경을 넘어서는 미래적 전망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운명에 순응하는 체념적 정서가 아니다. 오히려 깊은 뿌리와 무성한 가지를 이루겠다는 스스로에 대한 다짐이다. 죄가 없으므로 떳떳한 다산은 자신이 천명을 받들고 있어 불만스럽지 않다고 말한다. 이전의 문인들이 사와 부를 지었던 실지의 상황처럼, 지금 다산이 처한 상황도 자신의 잘못이 아닌 외부 문제에 기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품의 제목도 ‘惜志’인 것이다. The number of Dasan's poems amounts to 2,500, and only two works of Dasan's Bu (賦) have been handed down. This is a study that tr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Dasan's reasons for creation of Bu, the background of fewer work productions (寡作), and the relevance to his exile period for 「Seokji-bu」. It was during the North and South States Period that Bu entered our history of literature, but in the late Joseon, it was settled as Bu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科賦), leading to being biased toward formalism. The practice writing fever of potential government officials preparing for a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hot, but Bu was no longer the object of literary enjoyment. As a result, Bu was rarely included in the literature of the literati in the late Joseon. It was the reason that only two works of Dasan's Bu have been handed down.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Dasan prepared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t was already after Bu was settled in Bu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Dasan also practiced Bu creation to prepare his civil service examination, but there is no trace that he enjoyed Bu. Then Dasan newly wrote Bu during the exile in Janggi (長鬐) in 1801. Dasan in the exile place did not consider himself guilty, and he recognized himself as a victim of the party struggle. Dasan's thoughts that the Shinyu Persecution is not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Catholicism and Confucianism, but a result of the party struggle, is revealed in the writings written in Janggi. Dasan also distinguished between yi duan (異端) and yi duan xie shuo (異端邪說), and according to Dasan, Catholic was yi duan, not yi duan xie shuo. Nevertheless, Dasan, who was in the position of deportee, had a hard time accepting his situation. Dasan in the exile place thought of Bu's origins. He recalled Bu, the disappointed (失志) scholars' literary style, and Chosa (Cho poetry; 楚辭), which showed political discomfort. Dasan had already shown Chosa's influence in the process of embodying political predicament even in poems around his exile of Haemi (海美) in 1790. Dasan, who thought that he became a deportee as a result of the party struggle even though he was innocent, summoned Chosa and Bu, and revealed his emotions through the style of Sa-Bu (辭-賦). In 「Seokji-bu」, Dasan spoke of Gong Ye Chang (公冶長) and Zhang Heng-qu (張橫渠) to express his unfair feelings, and by mentioning Han Yu (韓愈) and Su Shi (蘇軾), he presented a future outlook beyond his present plight. It was not a sentiment of resignation that conforms to fate. Rather, it was a commitment to oneself to achieve deep roots and lush branches. Dasan, who is proud of himself because he is innocent, says he is not dissatisfied with the heavenly mandate. This is because, like the disappointment that the literati wrote Sa and Bu before, Dasan's situation is not his own fault, but an external problem. That is why the title of the work is also 'Seokji (sorrow; 惜志)'.

      • KCI등재

        투고논문 : 다산(茶山) "잠명(箴銘)" 문류(文類)의 문체특성

        김종철 ( Jong Cheol Kim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지금까지 연구자들이 진행해온 논의의 결과로 茶山 문학은 사상적으로는 실학, 주제적으로는 사회성, 자주성, 현실중심의 도덕성, 사실성, 참여성, 전원성, 민중성, 수사적으로는 寓言에 의한 寓意와 寓話로 정리되고 있으나, 다산 문학의 개별 문류가 지닌 문체특성에 대한 이해는 아직 소략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기존의 논의에서 시야를 한 번 더 넓혀 다산의 문학 작품들이 지니고 있는 갈래 속성과 수사적 특성을 살펴 그의 문학 작품이 지닌 문체특성을 검토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 바탕위에 다산의 문학 갈래 중에서 지금까지 한 번도 논의된 적이 없는 다산시문집에 수록 되어 있는 다산의 箴銘類에 대하여 살펴 그 갈래 성격과 수사특성에 대하여 문체론적인 관점에서 정리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다산의 잠은 私箴으로 그 권계대상을 명확하게 제시하면서, 주제는 敬齋箴과 處世箴, 四勿箴을 위주로 하면서 尊德性箴의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 형식에 있어서는 4언의 장편을 위주로 하면서 隔句韻을 준수하고, 4구마다 환운하는 규칙성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조 속에서도 자신이 강조하고자 한 주제의 잠들만은 공통적으로 형식의 변형을 통하여 독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는 것이 다산이 잠이 지닌 한 특징이다. 글쓰기에 있어서는 箴의 전통적 수사 방법인 "諷刺"는 나타나지 않는다. 수사형태에 있어서도 다산시문학의 제 일의 특징이라 논해지는 寓話, 寓言은 물론이고 조탁, 수식, 용사, 비유 등과 같은 수사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잠의 글쓰기 양상은 「五學論」에서 "文章之學 吾道之鉅害也"라고 단언한 다산의 언어와 연결되고 있다. 다산의 명 작품에서는 경계와 축송의 명을 모두 살펴 볼 수 있다. 형식적 측면에서의 다산의 명은 "자유로움"이라는 한 단어로 표현 될 수 있다. 장 단편을 가리지 않으면서 초사체, 잡언체, 散行韻語體, 散行無韻體(散文體), 6언체, 5언체 등 명이라는 문류가 취할 수 있는 모든 형식의 작품을 보여 주면서 명의 정형인 4언체는 한 편도 없는 것이 상당히 이채롭다. 그러나 隔句韻이라는 韻字의 활용에 있어서는 정형성을 나타내는 현상 또한 다산 명 형식에 있어 흥미로운 특징이다. 이러한 다산 명의 형식은 散行韻語 위주로 창작된 당송고문가의 작풍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수사에 있어서는 상대방에게 반복 구술하는 형식의 사실적 서술기법 속에서 대구법을 통하여 피사체의 실체적 장점을 강조 제시함으로서, 무한한 우주의 진리를 간략하면서도 따뜻한 시각으로 감화시키는 "博約而溫潤"이라는 명의 글쓰기 특성을 구현하였다. As to the result of the study by the researchers until, Dasan literature is defined as practicalism in thought, social relations, self sustaining moralism on reality, participation, pastoral, and popularism in subject, and apologue or allegory by fable tongue in rhetoric, but the understanding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in Dasan literature is short. So, I will widen our view from the existing discussion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hetoric characteristics and the attribute of the streams of Dasan literature work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I will examine Dasan Jammyeong kinds which is listed in the Dasan poem books but not discussed until now to arrange the rhetoric characteristics and the attribute of the streams of Dasan literature in stylistic point of view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research materials. First of all, Dasan`s Jam(aphorism) suggest definitely as private Jam to define the recommendation, and the subject is mainly focused on 敬齋箴(honoring aphorism), 處世箴(conduction behavioral aphorism), 四勿箴(four warning aphorism) to emphasize the subject in virtue as the aphorism. Formation of the aphorism is consisted in four letters in long story and keep the confrontation rhythm and consistently keep the rule of circulation in regularity. However, certain subjects of the aphorisms which Dasan wanted to emphasize through common transformation of the forms as characteristics to warn the readers. In his writing, the traditional rhetoric way of Jam "諷刺"(satire) is not expressed. We can not find any fable, apologue but also as his most famous characteristics of elaboration:彫琢, modification:修飾:, citation:用捨 or metaphor:比喩 in the type of his rhetoric. These figures of Jam writing are related to the Dasan`s language which definitely saying in 「五學論:thesis on five study」"文章之學 吾道之鉅害也":Literature study is big stumbling hazard to me). Dasan`s motto works shows a warning and a congratulation as well. The formation of Dasan`s motto is well expressed in a word of "freedom". Not to verify long story or short, every style of literature such as 楚辭體: Chu verse style, 雜言體: miscellaneous style, 散行韻語體: prose rhythm style, 散行無韻體(散文體) : poem style verse, Six letter style, Five letter style etc., but it is strange not to show a Four letter style which is the typical style of motto. However, the confrontation rhythm: 隔句韻 phenomena which shows a formation to use rhythm word is interesting as the characteristic Dasan motto style. This Dasan form of motto is understood as the works to focus on prose but rhythm style by the old writers of Tang and Song dynasty. In rhetoric, he emphasized the realistic description technique by repeating the word tongue to the others as confrontation method and emphasized the realistic merits of the objects, tried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of "博約而溫潤:" which affect in simple and warm heart of the universal truth to us.

      • KCI등재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다산 친필 서간첩 《매옥서궤》(梅屋書匭)에 대하여

        정민(Jung Min) 한국교회사연구소 2009 敎會史硏究 Vol.0 No.33

        This paper introduces contents of the letter writings of Dasan, Maeokseogye which is from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s Collections and also researches its material values. These writings includes 13 letters of Dasan's handwriting and 2 letters of his son Jeong Hakyeon. One of the letter's receivers was a buddhist priest, Wanho, and the other letters' receiver was a buddhist priest Houi. It is the first time to open the whole series of Dasan's letter which is sent to a certain person in a certain time to the public at the same time. These letter writings have a precious material value because they includes a plenty of untold informations related to Dasan. Due to the opening of these materials, the contents newly confirmed are the followings. First, we ensured an evidence that Dasan had directly managed the compilation of Daedunsaji around 1814. Problems related to Daedunsaji were some of the old unsettled questions in the buddhist history. Through 3 letters in Maeokseogye, the circumstances of the occasion could be grasped in the concrete. Second, the actual state of correspondence between Dasan and Houi was able to be understood. Dasan had an affection for Houi since his original first name was Jung, same with Dasan. Dasan granted love and affection to him such as teaching the Book of Changes, recommending to study poetry, and giving tea and medicines, etc. Third, these materials showed the diverse situations of Daedunsa. Contents not shown in other documents were included in these letter writings: the fight against disease of buddhist priest Eunbong, the fact that 700 buddhist statues to install in Chunbuljeon at Daedunsa were moved to Japan and returned again, the stories about publication of Ahamsijib, and so on. Finally, the information of Dasan Chodang and the condition of Dasan's health were indicated in these letters. The letter writings showed the situations of Dasan Chodang after his disciples leaved him, and Dasan's trouble with moving himself because of the paralysis he suffered from 1813 to 1815. The Studies on Dasan are more active due to the continued excav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buried materials. It is very important to work in restoring the whole of Dasan studies through the excavation of source materials beside the writing collections.

      • KCI등재

        다산(茶山) 『비어고(備禦考)』의 행방

        정민 ( Jung M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다산의 『備禦考』는 1822년에 쓴 「자찬묘지명」에서 10책 30권 분량이라고 밝혔으나, 이후 종적 없이 사라진 국방 관련 주요 저술이다. 본고는 사라진 『비어고』를 아 원래의 형태를 복원하려는 시도다. 1974년 『여유당전서보유』에 『비어고』의 편으로 보이는 일부 자료들이 집록되었지만 다산의 초기 구상에 비추어 보면 턱없이 부족한 일부분에 지나지 않았다. 현재 『비어고』의 바탕이 되는 자료에 이중협이 엮은 규장각본 『비어고』 10책과, 정주응이 편집자로 표기된 국민대도서관본 『미산총서』 8책, 국립중앙도서관본 『미산총서』 6책이 있다. 필자는 이 3종의 자료집이 실제로는 다산 정약용과 그의 제자들에 의해 정리된 다산 『비어고』의 원본 자료에 해당함을 확인하였다. 이중협과 정주응은 다산의 벗 또는 제자였고, 둘 다 무관 출신이었다. 이중협은 강진 시절 다산과 3년 가량 가깝게 왕래했으나, 이같은 기획을 직접 감당할만한 역량을 갖춘 인물은 아니었다. 실제 내용 또한 다산이 직접 정리한 것이 대부분이다. 정주응은 다산이 해배되어 돌아간 이후에 만나 가르친 제자이다. 하지만 『미산총서』 속에 들어있는 내용은 강진 시절에 다산과 제자 이정과 이강회 등에 의해 진행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 저술들이 다산이 아닌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정리된 것은 이 책이 다루는 내용이 국방에 관련된 예민한 정보를 취급하고 있는 사정과 무관치 않다. 당시 다산은 유배 죄인의 신분이어서 공연한 공격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감춘 것이다. 실제로 다산이 아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구상한 당초의 기획은 이 3종서의 목차 분석을 통해 거의 대부분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규장각본 『비어고』가 일본을 주 대상으로 삼았고, 양종의 『미산총서』는 청나라를 염두에 두었다. 여기에 더해 선현들의 각종 군사 관련 저술을 망라하고, 전쟁사를 정리해 한질의 방대한 저술을 기획하였다. 하지만 초기 구상과 달리 수록 자료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데다, 안설을 달지 못한 상태에서 다산이 건강을 잃으면서 이 야심찬 기획은 결국 완성을 보지 못했다. 이후 이 책들이 이름을 빌려준 이중협과 정주응의 저술로 오인되면서 이제껏 다산의 『비어고』는 실체 없이 제목만 알려져 왔다. 본고의 정리를 통해 다산 『비어고』의 실체가 보다 분명해졌다. Dasan's "Bieo-go(備禦考)" is a major defense-related work that has been said to be 30 volumes of 10 books in 1822 at the inscription made by Dasan himself. This is an attempt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by searching for the missing "Bieo-go". In 1974, Some materials that seemed to be the remnants of "Bieo-go" were collected in the "Yeoyudangjeonseo-boyu(與猶堂全書補遺)", but it was only a shortage in the light of the early conception of Dasan. There are currently ten books "Bieo-go"on Kyujangak, which was edited by Li-Junghyub, and eight books of the Kookmin University Library, which are written by Jung-Jueung as an editor, and six books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y same one. I have confirmed that these three kinds of materials actually correspond to the original data of Dasan "Bieo-go", which is summarized by Dasan Jeong-Yakyong and his disciples. Li-Junghyub and Jung-Jueung were a friend or disciple of Dasan, both of whom were military officer. Li-Junghyub were close to Dasan for about three years staying in Kangjin, but He did not have the capacity to directly manage the project. Most of the actual contents are also collected by Dasan and his disciples. Jung-Jueung is a disciple who had met and taught after Dasan's return to seoul. However, the contents in the "Mysan Edition" contain many contents that were carried out by Dasan and his disciples Li-Jung and Li-Kanghoi in Kangjin. It is not unrelated to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this book deal with sensitive information related to national defense. At that time, Dasan was a member of the exile, so he was able to hide his name because he was able to provide an attack for the performance. In fact, it is confirmed that the original project conceived in the letter sent to Dasan's son is mostly realized through analysis of table of contents of these three books. "Bieo-go" in Kyujangkak was the main subject of Japan, while the two "Misan Edition" had focused on the Qing Dynasty. In addition to this, he encompassed various military related works by elder and organized a vast work which he put together the war history. However, unlike the initial design, the amount of data increased exponentially, and because Dasan lost his health in the absence of commentary, this ambitious project eventually did not see completion. Since then, these books have been misunderstood as a creation of Li-Junghyub and Jung-Jueong, who lent his name. Through the theorem of this article, the reality of Dasan "Bieo-go" became clearer.

      • KCI등재

        다산의 전원관 연구 동향

        황민선(Hwang Min-sun)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59 No.-

        다산은 다방면에 천재적 면모를 가지고 있는 조선후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실학자 중 하나로 원림 조영에도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 시대 선비 문화에서 원림 조영은 매우 보편적인 것으로 이런 공간의 조영과 향유 활동은 전원을 세속과 반대되는 은자로서의 삶의 공간인 자연, 즉 전원인 이상적 공간으로 읽어 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한 다산이 살았던 조선 후기에는 서울 중심의 도시문화가 발달하면서, 이상적 전원의 공간이 교외가 아닌 도시에 집중하기 시작한 시기였다. 따라서 다산의 원림 조영과 이에 투영된 전원관은 선대의 전원관과는 분명 다른 지점이 있다. 한편 다산의 전원생활은 유배라는 타의에 의한 교외의 전원생활이었다. 이는 다산의 전원관이 당대의 전원관과도 차별성을 가지는 지점이다. 이런 다산의 전원관을 알기 위해서는 다산의 다양한 저술과 전원관의 실현인 다산의 원림을 조사하여 분석해야 하는 일이 먼저일 것이다. 그러나 다산에 대한 연구는 다산의 저술만큼이나 수많은 연구자들의 업적이 집적되어 있다. 다산에 대한 연구자들의 업적을 다양한 키워드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하여 검토해 보는 일 또한 다산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일 중에 하나라도 생각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산의 전원관이라는 키워드로 다산의 선행연구들을 분류해 보았다. 이에 따라 기존 다산의 전원관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가 조경학적인 접근과 문학적 접근 두 갈래로 주로 연구되었으며, 문학적 접근의 경우 문헌읽기와 전원시 분석으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조경학적인 접근은 주로 전원관의 실현인 원림의 구성과 조영 방식을 분석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문학적 접근에 있어 문헌읽기는 원림과 전원에 대한 다산의 저술을 통해 다산이 언급한 이상적 전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전원시 분석은 전원시에 표현된 이상향이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분석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방대한 다산의 선행연구들을 전원관이라는 키워드로 거칠게 살펴 미진한 부분이 많으리라 여겨지지만, 키워드를 통한 선행연구의 분류와 검토를 통해 다산의 전원관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산을 이해하는데도 또한 작게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Dasan, who showed aspects of a genius over various fields, is one of the Silhak scholars who ar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late Joseon, and had broad knowledge about the Garden Construction. The Garden Construction was highly universal inclassical scholar’s culture in the Joseon Age. The Garden Construction and the activity of joying it can be read as nature, a space of life for hermits against the mundane world, that is to say, an ideal space of Garden. Also, the late Joseon in which Dasan lived was a period in which ideal space of Garden converged on cities rather than on suburban areas as urban culture developed around Seoul. Thus, Dasan’s Garden Construction, and his pastoral view projected to it obviously had something different from earlier pastoral views. On the other hand, Dasan’s pastoral life was suburban life forced by others. This is the point where Dasan’s pastoral view is different from other pastoral views in his times. In order to understand Dasan’s pastoral view as it were, we should first investigate and analyze his Classical Garden, the crystallization of his diverse books and pastoral view. However, the study of Dasan was as huge accumulation of numerous researchers’ contributions as his writings. I think that it isalso necessary to classify the contributions of the researchers in Dasan with various keywords and organize and examine a history of Dasan study. Thus, this paper classifies previous studies on Dasan in terms of the keyword, Dasan’s pastoral view. Based on this, it finds out that the previous studies that have tried to explicate his pastoral view fall within two approaches in general including the approach of landscape construction, the literary approach. The approach of landscape construction tends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constructive styles of Garden, the crystallization of his pastoral view, and the literature-based approach show the tendency to analyze what is the ideal garden that Dasan mentioned in his writingsabout Garden and nature. Lastly, the literary approach try to analyzehow the utopia expressed in his pastoral poetry is literally realized. 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as it roughly examine previous studies on Dasan in terms of the keyword, Dasan’s pastoral view,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helpful in grasping the stream of previous studi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examination of them, and in understanding Dasan himself.

      • KCI등재

        다산 경학에서 고증(考證)과 의리(義理)의 문제

        김영우(Kim Young Woo)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6

          이 글은 정약용의 경전 해석법을 청대 고증학과 비교하여 고찰한 것이다. 다산의 경전 해석은 경전에 대한 의리적 해석을 지양하고 글자의 의미를 먼저 밝히는 훈고를 중시한다는 점, 문헌에 대한 고증과 역사적 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 그리고 한대의 훈고학적 저술을 중시한다는 점 등에서 청대 고증학자와의 공통점이 발견된다.<BR>  그러나 다산은 청대 고증학이 비록 경전의 고증에는 장점이 있을지라도 의리에 소략하다는 점에서 청대 고증학에 대해 비판적이다. 이와 같은 다산의 평가는 어느 정도 사실에 가깝다. 하지만 청대 고증학자들이 훈고에만 집착하였고 경세나 의리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었다고 하는 것은 올바른 평가라고 볼 수 없다. 청대 고증학자들에게 있어서도 허회(虛會)의 방법으로 실증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문제 의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산과 청대 고증학의 차이는 중세적 보편주의로서 이념적 역할을 하였던 주자학의 허학화를 극복하는 방식의 다양성으로 해석하여야 하며 어느 하나를 우월한 것으로 평가하는 태도는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산의 경전 해석이 경세적인 실천에 경도되어 실증주의적인 근대적 지평으로 나가지 못했다고 평가하기보다는 퇴계와 남인 실학자의 경학관, 그라고 『천주질의』의 보유론(補儒論)적 경전 해석이 미친 영향을 고찰하는 등 보다 다각적인 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BR>  다산의 경학은 청대 고증학의 훈고적 방법을 충분히 활용하면서도, 성리학과는 다른 새로운 형이상학과 이에 기초한 윤리론을 체계화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흔히 다산의 경학은 경세에 대한 실천적 관심이 강하게 투영된 것이 사실이지만, 그러나 그것이 이론적인 엄밀성의 포기를 통해 얻어진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가 비판했던 성리학의 주요한 관심이었던 인간론과 본성론에 대한 이론적 탐구에 의해 뒷받침된 것이었다.   This article focuses on unveiling the complex nature of Dasan"s philological studies. Dasan"s Classical Learning, which is mainly comprised of philological interpretation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presents a rather puzzling dilemma: while on the outset, his method of study resembles that of Evidential Learning of Qing scholars (especially Mo Qi-ling) in many aspects, such as emphasis on the articulation of the meaning of the words rather than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active embrace of historical verification, and appreciation of Han dynasty"s Exegetics. What is more, Dasan shares with Qing scholars that it attempted to overcome Zhu Xi"s system of Classical Learning and to throw out its empty world-view based on li-qi.<BR>  On the other hand, it is often seen that Dasan criticizes severely the Qing"s Evidential Learning while affirming Zhu-Xi"s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He delineates Qing scholars as being excessively attached to exacting on words and phrases and abandoning socio-polit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 contained in the text. He proceeds that Mo is distorting the true meaning of Zhu-Xi"s ethical system for the sake of criticizing him. However, it is rather unfair treatment, for Qing scholars also had their own problematik(虛會-Unbiased mind lesas to understanding ito master the socio-politcial circumstance and the limit of verificationism.<BR>  This article therefore suggest and argue the following; first, although Dasan often praises Zhu-Xi and denounces Qing scholars particularly Mo, it is never the case that Dasan"s Classical Studies follow Zhu-Xi"s footstep. In fact Dasan takes Mo"s argument into account in evaluating Zhu-Xi, and the real reason behind Dasan"s criticism of Mo would be to ease the burden of directly criticising Zhu-Xi in Chosun"s political atmosphere.<BR>  Secondly, Dasan"s criticism that Qing scholars lacked the socio-political spirit and personal philosophy sprang from different Confucian system Dasan had constructed before delving into exegesis of the Classics. Dasan"s moral philosophy and view on human nature is not solely the result of evidential studies on the Confucian Classics. The multiple influence on Dasan such as Southern lineage of Practical Learning and Western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before assessing the quality and significance of Dasan"s philological scholarship.<BR>  Some argue that Dasan"s philological scholarship is substandard, and it is the reason why he emphasized so much on practice. It is to put a cart before the horse. Dasan was a practice-oriented scholar. His practical mind must have an impact on his philological work, not the reverse. As Dasan confessed, a genuine practice is possible only through a genuine investigation. What he strived for was articulation, not a radical leap.

      •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홍유빈(Hong, you-bi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9 다산과현대 Vol.12 No.-

        본고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성과를 검토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전망하고자 작성되었다. ‘다산학 전승 연구’의 모체(母體)는 역시 ‘다산학(茶山學)’이라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다산학’연구는 근‧현대의 실학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선학들에 의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가 심화 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다산의 학문적 업적의 조력자였던 그의 제자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총론적인 연구 성과의 경우, 다산학단 구성원을 그 시기와 특징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다산학단의 전모(全貌)를 파악하는데 용이한 밑그림을 그려주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러한 시야 속에서 현재 다산학단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의 대강을 살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정리를 마치면서 관찰되는 것은 다산학(茶山學)이 다산학단에 의해 줄기가 가지로 뻗어 나가듯이 계승 ‧ 발전되는 것과 같이, 이에 대한 연구 역시 다산학에 대한 연구에서 다산학단에 대한 연구로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다산학단 연구 전반에 대한 향후 방향의 차원에서의 제언으로는 그 이전에 ‘다산학(茶山學) 연구’로 해왔던 연구 및 자료정리 순서를 참조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산학단 연구의 추동력이 더해진다면 다산학(茶山學)의 연장(延長)으로서의 다산학단(茶山學團)의 특징적 면모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대중서도 함께 출간된다면 다산학단에 대한 관심을 대중들과도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utcome of “Dasan transmission studies” and prospect of the future directions for it. The beginning of “Dasan transmission studies” was also “Dasan studies.” As we all know, the research of “Dasan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y various scholars as the part of Realism research in modern times and today. However, in the process of intensify the studies, there had been more interest by Dasan’s disciples who had been helpers of Dasan. In the case of the general outcome in “Dasan transmission studies”, the classification by the times and characteristics of Dasan school members was helpful for drawing rough sketch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whole story. And we could scan the present Dasan studies by the continued following studies with given perspective. What we observe in the end of organization is Dasan studies have been continued from Dasan studies to Dasan school studies as Dasan studies have been transmitted and continued by Dasan school. On the other hand, the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Dasan School studies is to refer to study of the Dasan studies research and material sequence. And if the impetus of the present Dasan school studies has been added to the given resources, it would show more characteristic features of Dasan school studies as the continuation of Dasan studies. And if the public books have been published, it would be so meaningful to share the interest about Dasan School studies with the public.

      • KCI등재후보

        茶山學이 草衣禪師에게 끼친 影響

        金相洪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9 No.-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학문이 초의선사에게 끼친 영향을 究明한 것이다. 다산은 18년간 유배의 역경 속에서도 학문연구와 제자 양성에 심혈을 기우려 유형지에 다산학을 심었다. 그 결실의 하나가 바로 조선말기 불교사를 빛낸 초의선사(1786∼1866)를 배출한 것이다. 초의는 대둔사의 十三大宗師의 한 사람이다. 그는 다산학의 영향을 받아 고승이자 시승으로 학사 대부들과 교유하며 창수하였다. 초의는 『一枝庵詩稿』·『一枝庵文集』과 불교관련 저술을 남겼고, 또한 『東茶頌』과 『茶神傳』을 저술하여 차문화를 꽃피운 茶聖으로 추앙받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산의 불교와의 交緣이다. 다산은 17세에 "스님이 스님노릇을 하는 것을 알았다"하였고, 물욕을 벗어나 천도를 얻는다면, "유가니 묵가니 구분할 필요가 없다"하여 불교관의 一斑을 엿볼 수 있다. 다산은 유배지에서 惠藏 등과 교연으로 불교관련 저술을 남겼다. 그러나 불교에 심취한 것은 아니다. 그는 본질적으로 外儒內儒의 철저한 유학자이다. 다산이 강진에 유배된 것은 초의에게는 큰 행운이었다. 초의가 고백하였듯이 "하늘이 맹자 어머니 곁에 있게"하여 문하생이 될 수 있었다. 다산이 유배 9년째인 1809년에 대둔사에 갔을 때 이미 초의는 문하생이 되었다. 당시 스승 다산은 48세였고 초의는 24세였다. 이 인연은 다산이 해배된 이후는 물론 다산 사후에도 스승의 두 아들과 지속되었다. 다산 3부자와의 40여 년의 인연이 초의를 고승이자 시승이 되게 하는데 기여를 하였다. 둘째, 다산의 초의에 대한 교육내용이다. 다산은 <爲草衣僧意恂贈言>에서, 현생의 삶이 중요함과, 자신의 시론과 역학 공부 방법을, 천책선사의 법어를 인용하여 작은 깨달음에 안주하지 말고 큰 깨달음을 위해 정진할 것, 彼我의 諸行이 모두 幻事임을 교육하였다. <示意恂讀書法>에서는 『주역』을 공부하던 초의가 학문의 기본에 문제가 있어 下班시키고 『논어』를 주면서, 자신의 교육을 "王公의 엄한 조칙"처럼 실천하도록 하였다. 다산은 초의를 직접 찾아가거나, 다산초당으로 부르거나, 증언과 서간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시켰다. 엄격하고도 자상한 다산의 교육으로 인하여 초의는 후일 대종사가 되었다. 다산학은 초의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다산의 문하의 우등생이었던 초의선사는 쇠락의 길에 들어선 조선왕조의 마지막 고승이자 시승으로서 우리나라 불교사 및 한국한시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This treatis deals with the influence of Dasan(茶山), Jung Yak-Yong(丁若鏞) upon the priest Choei(草衣). Dasan established scholarly achievements in the penal colony conquering adversities during 18 years at that circumstance by learning various studies and training disciples. One of the result is that he produced the priest Choei(1786∼1866) who brightened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Choei is the one of 13 Greate masters in the temple Daedoon(大芚). He, influenced from Dasan, associated with scholarly men of birth and reciprocated poetry with them as a high poetic priest. Choei leaved Iljiamsigo(一枝庵詩稿)·Ilgiammunjip(一枝庵文集) and other works relating to Buddhism, and he, advanced the tea culture writing Dongdasong(東茶頌)·Dasinjeon(茶神傳), is adored as the saint tea(茶聖) at presen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s. The first, it is the affinity of Dasan with Buddhism. When he was 17 years old, Dasan said, "I know what the priest is!" and if someone achieve the way of heaven(天道) getting rid of worldly desires "there is no need to different Confucianist(儒家) and Mohist(墨家)". We can find out the viewpoint of Dasan on the Buddhism from these comments. Dasan leaved works relating to Buddhism through the affinity with priests, for example, the priest Hyejang(惠藏). But he was not fascinated with Buddhism. He was, essentially, thoroughgoing Confucianist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It was greate luck to Choei that Dasan was banished to Gangjin(康津). As the confession of Choei, "the heaven let him be by the side of the mother of Mungze(孟子)", he could be the disciple of Dasan. When Dasan visited to the temple Daedoon in 1809, 9th year of vanishment, Choei was already the disciple of Dasan. At that time, Dasan was 48 years old and Choei was 24 years. This relationship continued to the time when Dasan was removed from vanishment and till after Dasan's death with two suns of Dasan. The affinity with Dasan and his two suns made Choei to be the high poetic priest. The second, educational contents of Dasan to Choei. In Wechoeiseungeisunjeungun(爲草衣僧意恂贈言), Dasan taught Choei his own poetic theory, how to study Iching(易經) and the fact that this life is more important than the life to come. Most of all, he taught, quoting from the priest Chun(天)'s canonical comments, that human being have to try to realize great awakening not peacefully living in small awakening, that everything occurred from the differentiation between self and others. In Sieisundokseobub(示意恂讀書法), Dasa made Choei who had been studying Iching(周易) stay back in the class Lunyu¨(論語) because Choei had serious problem in the base of studying canons saying him that the must practice master's education strictly "like severe Imperial edict". Dasan taught Choei in various ways, sometimes visiting him for himself or inviting him to his thatched hut, and often by the donation of instruction messages or sending letters. Severe and detailed education of Dasan, at last, made Choei be the greatest master, and to brightened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study of Dasan influenced to Choei absolutely. The priest Choei, best disciple of Dasan school, leaved very significant traces on the history of Korea Buddhism and Sino-korean poetry as the last great master of Buddhism and poetic monk in Chosun dynasty which had been declining toward taillight already.(끝)

      • KCI등재

        미래 다산학 연구의 방향 모색

        백민정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4 No.-

        This article is designed to reflect on the research history of Dasan Studies over the past hundred years, aiming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Dasan scholarship.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was invoked by colonial Korean intellectuals who published Yeoyudang Jeonseo in the 1930s. Driven by the urgent needs of the times, Dasan's scholarship was recognized as an autonomous reform proposal that embedded the logic of democracy, civil rights, economic equality, and national strength. Even in the light of the immanent development theory popularized in the 1960s and 1970s after liberation, Dasan Studies and Practical Learning were still read as modern disciplines based on the Western development path. Since the specific analysis of Dasan's Lixue (禮學, ritual scholarship, or rituals) began around the year 2000, there has been an expansion of research aiming to illuminate his social reform theory in line with the internal flow of Confucian society, rather than as a model of Western modern development. This led to the activation of specialized studie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rituals, which could be called a social reform theory based on rituals. Jeong Yakyong presented a consistent and systematic social reform theory based on rituals at various levels, including national rituals, royal rituals, rituals in local communities, and rituals of private families. Through this, he advocated for an ethical politics where the common people could actively practice filial piety and deference. Dasan considered legal principles and legislation as auxiliary means of politics based on rituals. In this text, we can identify the ideological background supporting his political theory based on rituals, including the concept of the state, ancestral spirits, and metaphysics. The metaphysics of Emperor above (the Supreme Ruler) and ghosts, which I have focused on in this article, can also be seen as an ideological background that supports his ritual-based political theory. Based on the above perspectives, this article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Dasan Studies. First, the identification of archival and new sources, second, the clarifying the overall natures of Dasan scholarship, and third,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f modernity and East Asian discourse. Among these, I propose the following detailed topics related to the characterization of Dasan scholarship.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examine the figures and ideas of the major schools of thought that formed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Dasan scholarship;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Dasan's political theory in terms of the logic of ritual-based social management; and third, it is needed to read his theory of mind and discipline in the context of ritual-based political theory. Furthermore, in this comprehensive research field, it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Dasan scholarship can contribute to the universal humanistic value and social publicness that we aim for today. I expect that such a rigorous evaluation and reinterpretation will revitalize and extend Dasan scholarship into the future. 이 글은 과거 백년 다산학 연구사를 돌아보며 미래 다산학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기획한 글이다. 다산 정약용은 1930년대 여유당전서를 공간한 식민시 시대 지식인들에 의해 호명되었다. 시대의 긴박한 요구에 의해 다산의 학문은 민주와 민권, 경제적 평등, 부국강병의 논리를 내장한 주체적인 개혁안으로 평가받았다. 해방 후 1960-70년대내재적 발전론의 시야에서도 다산학과 실학은 여전히 서구적 발전경로에 기반한 근대적학문으로 독해되었다. 2000년 전후 다산의 예학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시작되면서 그의경세론을 서구근대의 모델이 아닌 유교사회의 내적 흐름에 맞춰 조명하려는 연구경향이확대되었다. 이른바 예치적 경세론이라고 부를 만한 다산 경세학의 토대로서 예학 분야에 대한 전문연구가 활성화된 것이다. 다산은 국가례, 왕실례, 향례, 사가례 등 일관된 예치적 경세론을 통해 백성이 자발적으로 효제를 구현할 수 있는 덕정(德政)을 지향했으며, 형률과 법제를 예치의 보조 수단으로 간주했다. 이 글에서 주목한 상제・귀신론도 다산의예치적 경세론을 뒷받침하는 형이상학적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을 기반으로 이 글에서는 미래 다산학 연구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시했다. 문헌 고증과 신자료 발굴, 다산학의 전체 성격 규명, 근대 및 동아시아 담론과의 비교 고찰이 그것이다. 이 중 다산학의 성격 규명과 관련된 세부주제를 보면, 다산 학문의 지적 배경을 이룬 중요 학파의 인물과 사상을 유기적으로 검토하는 일, 예치에 기반한 사회운영논리로 다산 경세학을 재구조화하는 작업, 예치적 경세론의 구도에서 다산의 심성론과수양론을 새롭게 독해하는 작업 등이 있다. 나아가 이런 포괄적 연구시야에서 볼 때 다산학이 오늘날 우리가 지향하는 보편적 인문주의 정신과 사회적 공공성에 기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일도 요청될 것이다. 이런 엄정한 평가와 재해석이 오늘의 다산학을 살리고미래로 확장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