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딜레마 강도와 딜레마 대응에 관한 연구 -SSM 사례를 통한 역동적 딜레마 모형의 제시-

        김태은 ( Taeeun Kim ),윤견수 ( Gyun Soo Yoon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4

        신자유주의가 국내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지만 가장 커다란 것 중의 하나가 외국의 거대자본의 영향으로부터 국내 정책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대외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대의명분은 곧바로 규모의 경제를 갖추어야 한다는 논리로 이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대기업에 많은 혜택이 돌아가는 방향으로 정책이 제도화된다. 그러기 때문에 힘 없는 조직이나 개인이 강하게 저항을 하게 되고 정부는 규제와 관련된 정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딜레마에 빠진다. 이 연구는 유통 분야에서 정부가 빠졌던 딜레마를 SSM 관련법인 유통법과 상생법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딜레마 연구는 딜레마 상황에서 다양한 대응 방식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지만, 그러한 대응이 왜 서로 달라지는가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딜레마로 인해 생길 ``결과가치의 크기``와, 딜레마상황에서 결정자가 겪는 ``선택에 주어진 시간(시간의 압박) 정도``에 따라 딜레마 강도가변화하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딜레마 대응이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007년부터 2010년 11월까지 지속적으로 SSM과 관련된 딜레마의 강도가 커지고 있었는데,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결정의 지연, 딜레마의 전가, 딜레마 상황의 분리, 형식주의적 대응 등이나타나고 있었다. 즉, 딜레마의 강도가 커지고 있을 때 처음에는 그 상황을 회피하려고 하지만, 더 이상 회피할 수 없을 만큼의 임계점에 도달했을 때에는 결정을 하되 그 파급효과를 줄이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존의 딜레마 연구에서 설명이 부족했던 딜레마 상황의 강도, 서로 다른 딜레마 대응의 원인 및 예측 가능성 등에 대한논의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아울러 정부의 개입 논리와 규제이론의 설명력을 증진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a dilemma in which a government has been located for the distribution-industry regulatory policy; and it focuses on the laws and policies relevant to super supermarket (SSM) regulation including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and “Act on the Promotion of Collaborative Cooperation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Medium Enterprises”. The previous study on dilemma has shown a variety of policy responses to dilemma situations; but there is less research on why there is a difference in responses. The present study discovers that different dilemma responses occur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dilemma intensity. The dilemma intensity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result value” from a policy dilemma and by the time given for decision (time pressure) which decision-makers perceive in a dilemma situation. From 2007 to November, 2010, the intensity of dilemma relevant to SSM has been growing. In a response, a government has displayed a series of sequential dilemma responses including delay of decision-making, dilemma imputation, separation of dilemma situation, formalism, and etc. When an intensity of dilemma is increasing, policy-makers attempt to disengage decision-making; but, when they are reached to the critical point, they choose to a strategy of making a decision but reducing far-reaching effects of that decision. Such research findings contribute to an opportunity of systematizing discussions on intensity of dilemma, reasons of various dilemma responses, and predictability of these responses. It also helps to increase an explanatory power of a regulatory theory and logic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to markets.

      • KCI등재

        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수행에 따른 딜레마 : 네 가지 딜레마 프레임을 활용한 질적 분석

        박영근,John L. Hosp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4

        이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전환교육 수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행의 정도가 이에 미치지 못하게 만드는 교사들의 딜레마를 알아보기 위해 고등학교 혹은 전공과에서 실제로 전환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전화 면담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해, Windschitl(2002)이 제시한 네 가지 딜레마 프레임, 즉 개념적 딜레마(Conceptual Dilemma), 교수적 딜레마(Pedagogical Dilemma), 문화적 딜레마(Cultural Dilemma), 정치적 딜레마(Political Dilemma) 프레임을 활용하여 교사들이 겪는 딜레마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전환교육의 이론, 모델, 과정과 같은 개념적인 구성요소들이 수행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동안 배웠던 개념적인 지식들을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반해 실제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하고, 계획을 세워서 훈련을 시키는데 필요한 지식 및 전략에 있어서는 개념적 지식보다는 좀 더 실천적인 부분이라, 이에 대한 효능감은 좀 더 높게 나타났다. 특수교사들은 실제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 장애의 중도 및 중복화, 문제행동 등이 전환교육 수행에 있어서 교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 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 외부적인 요소 즉, 학교장, 학부모, 관계 기관, 사업체, 정부기관 등의 협조 및 인식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lemmas keep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lthough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 and to analyze these dilemmas by using the four dilemmas framework suggested by Windschitl. This framework includes conceptual, pedagogical, cultural, and political dilemmas.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s and phone interviews. The researcher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in high schools or in post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special schools and conducted phone interviews with volunteer teachers who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all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se four dilemmas in their own attempts to implement transition service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knowledged that conceptual components such as transition theory, models, and process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services. However, they tended to forget this conceptual knowledge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apply it in practical education settings. Second, teachers had more self-efficacy in pedagogical components involving knowledge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transition services, such as transition assessment, transition planning, and transition training, than they did in conceptual knowledge because they tended to apply pedagogical knowledge daily in educational settings. They also recognized that pedagogical knowledge increases teachers’ self-efficacy for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nd over time improves the quality of implementation level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cultural factors such as varying student characteristics, severity of disabilities, and student behavioral problems inf luence teachers'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services. Fourth,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implementation are political, such as the principal’s cooperation, parental cooperation, and the support of government organization.

      • KCI등재

        인공지능 딜레마 철학교육에서 다루기

        홍예리 ( Hong Yeri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人文科學 Vol.130 No.-

        인공지능을 이야기할 때 “딜레마”라는 표현은 자주 눈에 띈다. 자율주행차의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철학에서 오래된 트롤리 딜레마가 논의되기도 하고, 인공지능 윤리의 한 가지 주요 개념과 관련하여서도 몇 가지 딜레마가 언급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전직 구글 디자인 윤리학자이자 현재 < 인간적인 기술 센터(The Center for Humane Technology) >의 공동창립자인 트리스탄 해리스(Tristan Harris)는 2020년 소셜 딜레마(The Social Dilemma) 라는 다큐멘터리 영화에 참여하였고, 2023년에는 인공지능 딜레마(The A.I. Dilemma) 라는 제목의 강연을 펼쳤는데, 그는 ‘딜레마’라는 표현을 또 다른 맥락에서 사용한다. 그런데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딜레마”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 그 맥락이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특히 인공지능윤리와 관련된 수업을 할 때 “딜레마”라는 표현은 여러 개념과 얽혀서 등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등장하는 딜레마를 세 가지 종류로 정리한 후, 다양한 종류의 인공지능딜레마를 철학교육에서 왜 다루어야 하며 어떻게 다룰 수 있을지 고민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고민과 노력의 일부로서 인공지능 딜레마만으로 구성된 한 학기 커리큘럼을 제안해 보고 그 가능성과 한계도 이야기할 것이다. In the realm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the term dilemma often emerges prominently. The age-old philosophical trolley dilemma frequently surfaces in discussions regarding decision making in autonomous vehicles, while various dilemmas are associatedwith key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Moreover, Tristan Harris, a former Google design ethicist, has employed the term dilemma in a different context. His involvement in the 2020 documentary film The Social Dilemma and his lecture titled The A.I. Dilemma in 2023 shed light on unique dimensions of these dilemmas. When employing the term dilemma in the contex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nuances vary significantly. Particularly within the realm of teaching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dilemma intertwines with various concepts. This paper aims to categorize three types of dilemmas inher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lucidate why and how different typ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ilemmas should be addressed in philosophy education. Furthermore, as part of the endeavor to tackle artificial intelligence dilemmas in philosophy classes, a semester-long curriculum focu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ilemmas is proposed, alongside an exploration of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 KCI등재

        도덕딜레마에 나타난 대학생의 5가지 도덕지향

        서미옥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2

        Individuals differ from moral orientations when they encounter moral dilemmas. There were five categories in moral orientations by Colby and Kohlberg(1987). The five moral orientations were upholding normative order, egoistic consequences, utilitarian consequences, ideal or harmony-serving consequences and fairness. The present study was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dilemmas and moral orientations. To accomplish this study, 17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wo Kohlbergian dilemmas and two impersonal dilemmas developed by researcher.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t frequencies of moral orientations per dilemmas, because type of dilemma affected on it. Heinz dilemma and Joe and father dilemma were concerned with personal dilemma, but the governor and flood dilemma and baby box dilemma were impersonal dilemma related with society. It was founded that there were a few egoistic orientation in personal dilemmas, but it was rarely founded in impersonal dilemmas. In addition to sum up, ideal or harmony-serving orient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dilemmas, but not in governor and flood dilemma. Second, there was significantly low correlation between heinze dilemma and the governor and flood dilemma, but no correlation in another dilemmas. Third, only five participants expressed the same orientation consistently all four dilemmas. In summery, five moral orientations were inconsistent across moral dilemma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moral dilemmas need to be considered in moral education. 개인은 각기 다른 도덕지향을 가지고 있다. Colby와 Kohlberg(1987)가 제안한 도덕지향에는 규범 질서 지향, 자기중심적 지향, 공리주의, 이상주의 혹은 조화추구적 지향, 공정성 지향의 5가지가 있다. 본 연구는 딜레마의 유형과 5가지 도덕지향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17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콜버그의 2개의 딜레마와 본 연구에서 구성한 2개의 딜레마가 제시되었으며 5가지 도덕지향에 대한 빈도가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딜레마에 따라 대학생들은 5가지 도덕지향의 빈도가 각기 달랐다. 그 이유는 딜레마의 유형과 관계가 있다고 해석된다. 『하인즈 딜레마』와 『조와 아버지 』딜레마는 개인(가족)과 관련된 개인적 딜레마이고, 『주지사와 홍수』와 『베이비 박스』딜레마는 사회와 관련된 비개인적 딜레마이기 때문이다. 개인적 딜레마에서는 자기중심 지향이 소수 있었지만, 비개인적 딜레마에서는 자기중심 지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대학생들은 조화추구 지향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딜레마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하인즈 딜레마』와 『주지사와 홍수』 딜레마에서 유의하지만 낮은 상관이 있었으나, 나머지 딜레마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셋째, 4개의 딜레마에서 모두 일치되는 도덕지향을 보여준 피험자는 5명뿐이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도덕 딜레마의 내용에 따라 피험자들의 도덕지향이 일관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도덕교육을 위해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된 딜레마를 다루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

      • KCI등재

        Mapping Out the Possible Outcomes of the Security Dilemma in International Politics

        Er-Win T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and Cooperation, 2019 Asia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20 No.1

        Whilst a significant amount of work has been undertaken in the field of security dilemma theory, there is a gap in the academic literature concerning the possible scenarios that may result from this phenomenon in international politics. To date, no known systematic attempt has been made to consider the full range of scenarios that may result from the security dilemma. Six possible scenario outcomes may be identified, these being: first, the security dilemma is transcended; second, a security-seeking state leaves itself unilaterally vulnerable to external aggression; third, the inappropriate adoption of diplomatic and military assertiveness to reaffirm deterrence instead arouses the fears of another security-seeking state, thereby leading to inadvertent escalation of a crisis into a conflict; fourth, a ‘deep security dilemma’ based on long-running mutual hostility that does not escalate into conflict; fifth, a security dilemma that escalates to the brink of conflict but is then de-escalated; and sixth, mitigation of the security dilemma between rival states.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se respective scenarios in terms of their underpinnings,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for security and diplomacy

      • KCI등재

        법조윤리 딜레마 상황의 윤리적 함의와 해결 원칙

        김인회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외법논집 Vol.44 No.3

        Lawyers are always faced with a dilemma. Resolving this dilemma situation is important in legal practice. A dilemma situation is basically when two duties that cannot be discarded must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namely, when two legal and legitimate duties collide. Conflicts of specific obligations include attorney's duty and civic duty, fiduciary duty and duty of confidentiality, conflict within fiduciary duty, conflict within duty of confidentiality, judge/prosecutor's duty and civil rights. Although the dilemma situations summarized in this article are mainly textbook cases and legal ethics exercise cases, it is actual cases that have occurred in reality, so it can be helpful in solving real problems. A dilemma situation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a non-dilemma situation, and the criterion is whether it is a conflict of duties or not. It is not a dilemma situation as it is not a conflict of duties to file a tax return without falsehood. The ethical implications of a dilemma situation can only be identified unless it is a conflict of duties. The dilemma situation is a conflict of legitimate duties and cannot be resolved with a single criterion that prioritizes one's duties unilaterally. To solve it on a single standard, individual identities are divided and the judicial system is distrusted. Ethical implications must first be identified in order to resolve the dilemma situation. Its ethical implications are the importance of the middle way of excluding extremes and the importance of rules that guarantee freedom of action if the rules are followed. Middle way is not intermediate and is not mechanically neutral. It is to understand and reflect the interdependence of duties while excluding the extremes. The importance of rules guarantees freedom of action.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emphasizing only the rules will lower ethics. Principles for resolving dilemma situations include the principle of trust, the principle of least intrusion, and the ethics of tolerance and self-control. The principle of trus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ules as the principle of not having to take care of another if only one duty is fulfilled. Freedom of action is guaranteed if you follow the rules. The principle of least infringement is that among the many effects that one action will bring, an attitude that minimizes infringement is necessary. It is an essential principl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interdependence and complexity have increased. But something too superficial is inevitable. It is the ethics of tolerance and self-control that underpins the principle of trust and the principle of least intrusion. Tolerance refers to acknowledging the interests and opinions of the other person and further respecting the other person as a human being. They also admit that they may be wrong. Self-restraint is an essential ethic in modern society, where claims of authority and rights are prevalent. Since the boundaries between all powers and rights are ambiguous, conflict can arise between the exercise of powers and claims. The peaceful exercise of powers and rights requires a code of self-control. In the end, in order to resolve the dilemma situation, first put emphasis on rules (the principle of trust), and as a principle of action, minimize damage to the other party (the principle of minimal infringement), and further treat the other party with tolerance and restraint(ethics of tolerance and self-control). 법조인은 항상 딜레마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 딜레마 상황을 제대로 해결하는 것이 법조현실에서는 중요하다. 법조윤리의 중요한 한 축이다. 딜레마 상황은 기본적으로 버릴 수 없는 두 개의 의무를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경우, 즉 합법적이고 정당한 두 의무가 충돌하는 경우다. 구체적인 의무의 충돌로는 변호사 의무와 시민 의무의 충돌, 성실의무와 진실의무의 충돌, 성실의무 내부의 충돌, 진실의무내부의 충돌, 비밀유지의무 내부의 충돌, 판사· 검사의 의무와 시민의 권리·의무의 충돌, 직역간 의무의 충돌, 직역 이동시 의무의 충돌 등이 있다. 이글에서 정리한 딜레마 상황은 주로 교과서 사례이지만 현실에서 실제 발생한 사례들을 가공한 것이므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딜레마 상황은 딜레마 상황이 아닌 경우와 구분되어야 하는데 그 기준은 바로 의무의 충돌인가 아닌가이다. 세무신고를 거짓 없이 하는 것은 의무의 충돌이 아니므로 딜레마 상황이 아니다. 의무의 충돌이 아닌 경우를 제외해야 딜레마 상황이 주는 윤리적 함의를 파악할 수 있다. 딜레마 상황은 합법적이고 정당한 의무의 충돌이므로 한쪽의 의무를 일방적으로 우선시하는 단일 기준으로는 해결할 수없다. 단일 기준으로 해결하려면 개인의 정체성이 분열되고 사법시스템은 불신을 받는다. 딜레마 상황의 해결을 위해서는 윤리적 함의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그 윤리적 함의는 양극단을 배제하는 중도의 중요성, 그리고 규칙만 지키면 행동의 자유를 보장하는 규칙의 중요성이다. 중도는 중간이 아니며 기계적 중립성도 아니다. 양극단을 배제하면서 의무의 상호의존성, 연기성을 이해하고 반영하는 것이다. 규칙의 중요성은 행동의 자유를 보장한다. 다만 규칙만 강조하면 윤리가 하향평준화된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딜레마 상황의 해결을 위한 원칙으로는 신뢰의 원칙, 최소 침해 원칙, 관용과 자제의 윤리를 생각할 수 있다. 신뢰의 원칙은 하나의 의무만 다하면 다른 의무를 돌보지 않아도 되는 원칙으로 규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규칙만 지키면 행동의 자유를 보장한다. 최소 침해 원칙은 하나의 행동이 몰고 올 여러 효과 중 침해를 최소화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상호의존성, 복잡성이 높아진 현대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원칙이다. 하지만 너무 피상적인 것은 피할 수 없다. 신뢰의 원칙과 최소 침해 원칙을 뒷받침하는 것은 관용과 자제의 윤리다. 관용은 상대방의 이익과 의견을 인정하고 나아가 상대방을하나의 인간으로 존중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자신이 틀릴 수 있다는 점 역시 인정한다. 자제는 권한과 권리의 주장이 팽배한 현대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윤리다. 모든 권한과 권리의 경계는 모호하기때문에 권한 행사, 권리 주장에는 갈등이 따라올 수 있다. 권한과 권리 행사를 평화적으로 하려면 자제의 규범이 필요하다. 결국 딜레마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규칙을 중시하며(신뢰의 원칙), 행동 원칙으로는 상대방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최소 침해 원칙), 나아가 관용과 자제로 상대방을 대하고 권한과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관용과 자제의 윤리).

      • KCI등재

        무시된 딜레마의 사회적 비용 발생원인 연구

        김태은 ( Taeeun Kim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3

        본 연구는 무시된 딜레마가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는 원인이 무엇이고, 이에 따라 어떠한 유형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무시된 딜레마가 사회적 비용을 유발 시키는 핵심 요인으로 절차적 합리성의 미충족을 가설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3가지 사례(신행정수도, 행정중심복합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원안 수정)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객관적인 딜레마임에도 이를 딜레마로 받아드리지 않는 무시된 딜레마가 나타났다. 둘째, 무시된 딜레마에서는 절차적 합리성이 충족되지 않았다. 즉, 상충적인 대안간 가치 수렴을 위한 제도(혹은 조직)는 존재하지 않았고, 특정 대안만을 위한 가치수렴이 이루어졌으며, 정책결정 및 법제화는 비상식적으로 매우 빠르게 이루어졌다. 셋째, 무시된 딜레마에서 절차적 합리성의 미충족은 사회적 갈등 비용, 행정 비효율성 비용, 정책불신 심화같은 사회적 비용을 초래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무시된 딜레마와 사회적 비용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가치를 지니며 동시에, 제도 설계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a neglected dilemma causes social costs and what emergent patterns of this social cost. The author considers the nonfulfillment of procedural rationality to be a factor that would lead to social costs from neglected dilemma. Using case analysis of the three policy dilemmas, evidence suggests that there is a case for policy makers to provide a neglected policy dilemma by not perceiving an explicit, and objective dilemmas as a policy dilemma to be solved. For the cases of neglected dilemma, the condition of procedural rationality was not fulfilled. Specifically, there was no institution, or organization, to converge conflicting values of different alternatives.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solving the dilemma situation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a value embedded in a specific alternative but with less interest on another value embedded in other policy alternatives. Then, the policy-making and legislative process was abnormally fast. This nonfulfillment of procedural rationality in neglected dilemmas has caused social costs, including social conflicts, administrative inefficiency, and deepening distrust of government policies. The possibility of explanation on the causality between neglected dilemmas and social costs is one on the implications of findings of this study. Another implication is that it is important to design and prepare an institution that makes an objective dilemma to be recognized as a policy dilemma.

      • KCI등재

        결정의 엣센스, 제4시각: 딜레마 관점에서 본 쿠바 미사일 위기

        이영철 ( Yung Chul Lee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1 정부학연구 Vol.27 No.1

        딜레마 이론의 강점은 기존의 정책결정이론이 다루지 못한 특정한 조건인 딜레마 상황에서의 정책결정을 설명하는데 있다. 기존의 연구는 딜레마 상황에서의 결정행태에 대한 사례연구에 치중하여, 다른 정책결정이론과의 비교를 통한 딜레마 이론의 강점을 부각시키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쿠바미사일 위기 상황에서의 해상봉쇄 과정을 딜레마 시각에서 분석하였고, 널리 활용된 합리 모형에 따른 분석과 비교하였다. 이 연구는 쿠바 미사일 위기의 해결과정 중에서 이제까지 주목을 받지 못한 측면, 즉, 외교적 대안이 주변적인 대안이 된 점, 군사적대안과 간접적 군사적 대안이 딜레마 대응이 된 점, 대안 모색은 핵전쟁의 회피라는 틀 안에서 이루어진 점, 대안모색과정에서 최고결정자의 가치관이 중요한 점, 소위 비둘기파나 매파는 위기를 딜레마로 보지 않은 점을 밝혀내었고, 그에 따라 논의의 과정이 딜레마 대응이라는 각도에서 해석된다는 점을 밝혔다. 딜레마 시각은 쿠바 미사일 위기의 해결과정을 새롭고, 의미있게 분석하였다고 주장하였다. The strength of the dilemma theory on decision making lies in understanding the decision in a dilemma situation, which is left unspecified by other theories. Yet,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mainly on identifying dilemma situations and finding reactions to dilemmas, but have not explored theoretical comparisons of dilemma theory with others. This paper compares the dilemma perspective with a rational actor model regarding the decision over the US blockade of Cuba during the Cuba missile crisis in 1962. By comparing two theoretical models,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 dilemma theory explicates less analyzed aspects of the blockade decision: the diplomatic resolution alternative was put aside because it did not see the issue as dilemma; military invasion and indirect blockade are posed as dilemmas; a search for the alternative is bound by the decision maker’s value premises; and some did not see the crisis as dilemma. This study claims that the dilemma theory is useful and, better in some aspects, in exploring key moments under the specific conditions of dilemma.

      • KCI우수등재

        정책 딜레마와 제도

        김태은 한국행정학회 2022 韓國行政學報 Vol.56 No.1

        While the influence of institution on perceptions of policy dilemma has been identified, little is known about how institutions influence policymakers’ perceptions of and responses to policy dilemmas. Thus, it is not clear whether different institutions promote and/or discourage dilemma perception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From the new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how institutions influence policymakers’ propensity to identify policy dilemmas and lead to a change in policy portfolios for energy transition. Through a case study of the policy for nuclear phase-out policy, it is shown that institutions affect the perception and/or ignorance of policy dilemmas. A set of four institutions formed from the nuclear power plant (NPP) promotion policy includes a production of sunk cost resulting from the custom of prioritizing NPP construction for electricity generation, a subsidy for the surroundings of NPPs, an institution of revoking power generation project permission, and an institution of loss compensation. In the implementation stage of nuclear energy mitigation policy, these institutions affect policymakers’ perception of policy dilemmas that were neglected or ignored in the decision-making stage. This study also finds that different influences of institutions on dilemma perceptions lead to different responses to dilemmas, such as dilemma toss and decision delay.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lemma perception and response. 본 연구는 제도가 딜레마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 제도의 영향 정도에 따라 딜레마 대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문재인 정부의 원전감축정책을 분석한 결과 신제도주의 관점의 ‘제도’는 딜레마 인지에 영향을 미치고, 제도의 영향 정도에 따라 딜레마 대응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원전육성정책하에서 4가지 제도(‘원전건설 관행에 따른 매몰비용’, ‘원전입지지역지원제도’, ‘발전사업허가취소제도’, ‘손실보상제도’)가 형성되었고 동 제도들은 원전감축정책의 집행을 제약했다. 둘째, 동 제도들은 의사결정자가 정책결정단계에서 인지하지 못한 딜레마를 정책 집행단계에서 인지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셋째, 동 제도들의 영향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딜레마 대응(딜레마 전가, 지연)이 나타났다. 동 연구 결과는 신제도주의 관점의 제도와 딜레마 인지 및 대응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정책적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딜레마 예방을 위한 제도적 설계

        소영진 ( Young Jin Soh ),안성민 ( Songmin Ahn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1 정부학연구 Vol.27 No.1

        딜레마는 대립하는 두 대안 사이에서 선택이 어려운 상황이다. 딜레마 상황에서는 선택이 어려울 뿐 아니라, 어떠한 선택이 이루어지더라도 그에 대한 반발 내지는 가치의 훼손으로 커다란 사회적 비용을 야기한다. 기존의 딜레마 연구들은 주로 결정자가 자기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어떠한 대응을 하는지에 치중하였다. 본 논문은 사회적 비용의 관점에서 딜레마가 야기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후적 대응보다는 사전적 예방이 효과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딜레마를 예방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먼저 딜레마 상황임에도 이를 인지하지 못할 경우 예방노력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딜레마 인지를 원활하게 하는 방안들을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딜레마를 예방하려면 사전에 딜레마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존재를 제거해야 한다는 점에서 딜레마의 논리적 구성요소인 분절성과 상충성을 제거 또는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A dilemma is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choose between two opposing alternatives. In a dilemma situation, not only is it difficult to make a choice, but even if any choice is made, it causes great social costs due to the inevitable backlash against it or damage to its value. Existing dilemma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what actions the decision makers should take in order to minimize their own costs.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fact that proactive prevention is effective rather than ex-post response when attempting to minimize the social costs caused by dilemmas, we reviewed the institutional measures which are used to prevent dilemmas. First, we have reviewed measures to facilitate dilemma recognition because if we do not recognize that it is a dilemma situation, prevention efforts are fundamentally impossible. Next, we presented various measures to remove or alleviate the discreteness and conflicts, which are the main logical components of dilemmas, focusing on the fact that a dilemma cannot exist i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dilemma are removed in adv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