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행 융합교육에 대한 진단과 융합역량 제고 방안

        홍병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e general reasons for why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ecause the effective period of knowledge is too short, we can not solve complex problems with expertise in a specific field alone. Secondly, in response to sudden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we not only demand a new talent fitted here, but also from the standpoint of a company, the reason is that the burden of reeducation is large. Nevertheless, most domestic universities are dea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ubjects for the convergence capacity development. However, here are the following two problems. One is a real problem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ensuring core competence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The other is a question about whether such ability can be actually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here is that if there is no answer to these questions, there will only be problems in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ossibility of concern about the discussion over convergence education by establishing a basis on which convergence ability can be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lock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that it simply follows the trend of education by establishing grounds as to whether or not core competence can actually be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Ultimately, based on these theoretical grounds, prepare a direction and a detailed practical strategy for enlightenment of convergence abil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uniqueness of each university try to. If the convergence ability can be trained through education in relation to whether or not the convergence ability can be revitalized, such ability is not a capacity born with congenital nature, and it can not be acquired mentally It means that you can do it. On the contrary, if the convergence ability is a capability that can not be acquired at an acquired time, the education itself will be meaningless. In that respect, securing theoretical grounds for this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This is because the grounds are the grounds for judg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on site. Of course, obeying any definition for education i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cquired. Ultimately, education is the ability to be acquired afterwards through education rather than being capable of congenitally giving convergence ability in the dimension to cultivate specific abilities. 융합교육을 왜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회 및 지식의 변화 속도가 너무 빠르고 지식의 유효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어느 한 분야의 전문지식만으로는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인재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입장에서는 재교육의 부담이 크다는 이유 등을 들고 있다. 이에 국내 대부분의 대학들이 융합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과목을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융합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확보의 가능성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가 그 하나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는 융합교육을 통해 그러한 역량이 실제로 확보될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여기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변이 마련되지 못할 경우, 융합교육의 실효성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융합교육을 통해 융합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어야만 융합교육을 둘러싼 논의에 대한 우려의 가능성을 차단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의 목적은 바로 융합교육이 단순히 교육트렌드에 따른다는 비판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을 통해 핵심역량을 실제로 확보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나아가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융합역량 계발에 위한 방향과 세부적인 실천적 전략을 마련하여 각 대학의 특수성에 따른 차별화된 적용의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융합역량의 실현 가능성 여부와 관련하여 융합역량이 교육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면, 그러한 역량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습득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후천적으로 습득이 가능한 역량이 아니라고 한다면, 교육 자체는 무의미해질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에 대한 철학적 근거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그 근거는 융합교육의 현장 적용 가능성의 판단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교육에 대한 그 어떠한 정의에 따른다고 하더라도 후천적 습득 가능성을 전제로 한다. 결국 교육은 경험적으로 특정한 역량을 기른다는 차원에서 융합역량 역시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역량이기보다는 교육을 통해 후천적으로 길러지는 역량인 것이다.

      • KCI등재

        현상의 융합교육 진단과 미래 융합교육 역량제고 방안

        정영철,정재호 한국IT정책경영학회 2023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Vol.15 No.4

        Education reform, one of the social issues, is an immediate reality. Accordingly, new educational practices and educational methodologies are needed as future education strategies.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as a core value. Therefore, an educational methodology to discover new values ​​in education and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must be presented by understanding the multifaceted, multi-layered, and diverse ecosystem of convergence. Accordingly, researchers and educators must come up with necessary alternatives and utilize learning model methods to practice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his paper diagnosed the problems of the phenomenon of differentiated convergence education, which is the goal of future education, through a research hypothesis based on the rendezvous theory of consilience and convergence from previous studies, along with trends in realistic convergence education. In addition, several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as a direction in which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move as a future strategy for our education.

      • KCI우수등재

        초·중등교육의 융합 교육 연구 지형 고찰 -언어네트워크분석과 중첩맵을 활용하여-

        이진숙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2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convergence education',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fields from August 2011 to November 2019 and conducte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four research areas were analyz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nvergence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Education for Convergence Talent', 'Transformi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uture' and 'Humanities Need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pography of convergence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Science Education', 'STEAM Education', and 'Field of Education' were highlighted in general, In the elementary education, topics related to teacher expertise an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considered relatively important, while research topics related to direct subjects, such as 'Science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information/technology education, and free semester system were importa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nalysis of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pics related to STEAM education received more attention and “Learning Motivation", "Performance Assessment," "Emotional Experience," and "Science Education" showed a higher volume in the pre-revision period. On the other hand, topic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were evenly studied and topics relat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uch as "Convergence Capability" and "Training for Convergence Talent", and "Reification", "Communication", "Sympathy",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had a larger share in the post-revision period.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s the expansion of humanities elements, revision of convergence education curriculum reflecting newer demands, and establishing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이 연구는 융합 교육의 연구 지형을 고찰하기 위하여 2011년 8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실시된 초·중등교육 관련 융합 교육 연구논문을 수집하였고, 언어네트워크 방법을 활용하여 클러스터링(Clusering)과매핑(Mapping)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초·중등학교 융합교육에서는 ‘교육과정 개정’, ‘융합인재교육’, ‘미래교육 패러다임 변화’, ‘인문학적 요구’의 4가지 연구영역이 분석되었다. 둘째, 초·중등교육에서의 학교급별 융합 교육의 지형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과학교육’, ‘STEAM 교육’, ‘현장’ 등의 주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초등교육에서는 상대적으로 ‘STEAM 교육’을 중심으로 교사의전문성과 수행평가 관련 연구주제들의 점유율이 높게 분석되었고, 중등교육에서는 ’과학교육‘, ’사회 교과‘ 등 교과 위주의 연구주제와 정보교육, 자유학기제와 연관된 주제들의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융합 교육 연구를 2015 개정교육과정 고시 전과 후의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개정 고시 이전의 시기에는 주로 STEAM 교육과 관련된 주제에 치우친 경향을 보이며 '학습 흥미', '수행평가', '감성적 체험', ‘과학교육’ 등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고, 개정 고시 이후의 시기에는 전체 융합 교육 관련 연구들이고르게 수행되는 모습을 보이며,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연관된 ‘융합인재양성’, ‘역량’ 등의 주제와, ‘구체화', '소통', 공감', '협력', '참여' 등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인문학적 요소의 반영 증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융합 교육과정의 수정· 보완, 교사학습공동체 구축 등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중등학교에서 융합교육 실행의 쟁점과 과제

        오찬숙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asks needed for implementing convergence education based upon an analysis of issues in convergence education. To achieve these goals,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convergence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theories concern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were considered. The issues are as follow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being required in knowledge-convergence era, the policies such as a number of curriculum revision and STEAM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but genuinely meaningful convergence education is not practiced currently. And the biased convergence education focusing on the science subject is progressing at present. Furthermore, there is some controversy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s executor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connection, diversification of convergence methods to educate across the border of subjects, all subjects as the center of the convergence and teachers’ convergence competence development by making the collaboration culture among the teachers are suggested.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be oriented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that the teachers participate in by themselves through making the collaborative culture in the schools, not formal participation by top-down execution. 본 연구는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쟁점을 분석하여 향후 융합교육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과제를 탐색하여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융합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교육 현장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쟁점해소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우리 정부가 지식융합시대에 필요한 융합교육의 중요함을 인식하여 여러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 및 STEAM 교육과 같은 정책들을 펼쳐왔지만 실제적으로 교과의 벽을 넘지 못하는 진정한 의미의 융합교육이 실천되지 못하고 있고, 정부주도로 과학교과 중심의 편향적인 융합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융합교육 실행자로서 교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논란이 있음이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이에 대해 교과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을 위한 융합교육 방법의 다양화와 모든 교과가 중심이 되는 융합교육, 그리고 교사들 간의 협업문화 조성으로 교사 융합역량 개발을 과제로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하향식 실행에 의한 형식적인 참여가 아닌 교사들 간의 협업문화 조성을 통한 스스로 하는 융합교육을 지향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김혜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It is true that concurrent social phenomenon cannot be understood in a single academic framework since modern society lies on complicated environment. To facilitate persons who can lead complicated society, new types of education resources are required which implicate innovative insights and capabilities. A single notion of academy and segregated scholastic system are difficult to provide human resource satisfying the needs of complicated society. Therefore, the convergence of education is highlighted since it provides innovative socio-insight by emergence of different disciplines. Because of this, numerous universities suggest convergence education as an education tool to comprehend new streams of social phenomenon. However, existing convergence education only provides a single course which aggregates inter-dependent classes or solely independent classes which merged with other disciplines. Although indeed these two types of education take major rol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some considerations might subsequently follow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stabilize objective of convergence educations. Taking various discipline related courses or practicing concurrent situation through multiple scholastic methods would not guarantee to student possess capability to understand new phenomenon and required knowledge. Thus, the universities need to response both desires of society on convergence education and rationale object of convergence education establishing basic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existing convergence education and classes for driving great impact of the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a way of establishing convergence education implicating on principle of convergence and its phenomenon. This will implicate hinges between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and convergence education. To do this, the research employs limitations of respected literatures, current state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principle of convergence education to provide a guide line of establishing basi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현재의 사회현상들은 기존의 단일 학문들로는 해석이 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사회현상에 적응하고 사회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과 역량을 가진 새로운 인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일학문 또는 분화된 학문 체계로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학문 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하는 교육이 필요해진 것이다. 때문에 많은 국내·외 대학에서는 현상을 새롭게 설명하고 해석할 수 있는 학문으로 ‘융합’을 제안하고 교육으로 실현하고 있다. 융합교육이 전체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철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학생들에게 교과과정에서 여러 학문에 관련된 수업을 듣도록 하는 것만으로 또는 현재의 현상을 여러 학문을 통해 해석해보는 연습을 시킨다고 해서 학생들이 앞으로 벌어질 새로운 현상을 해석하고 필요한 지식을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할 사회에 대비하고자 할 때, 여러 가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융합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만족시키면서 융합교과의 특징을 충실히 반영하여 융합교육과정을 완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융합교육과정 안에서 기초적인 융합소양을 키울 수 있는 기초융합교과를 설계하여 융합교육의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교육의 현황을 점검하여, 바람직한 융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 교양과목으로 융합의 원리 및 융합현상 등을 설명할 수 있는 기초융합교과의 설계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교육과 융합교육의 연결고리를 만들어줄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자들이 제안하고 분석하였던 현재 융합교육의 현황 및 한계, 융합교과의 요건 및 원칙 등을 통해 기초융합교과의 설계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가 작은 초석이 되어 각 대학이 융합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구체적인 융합교과를 개설하고자 할 때 보다 쉽게 방법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실과교과 생명과학 영역에서의 융합교육 실현 방안

        정남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융합교육의 필요성 및 가능성, 그리고 융합교육의 수행 방법 등을 고찰하여 실과 생명과학영역에서 융합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실과 생명과학 영역의 목표 및 내용과 통합하여 융합교육을 설계하는데 적절한 2007 개정 교육과정 실과, 과학, 음악, 미술, 수학 교과의 교육과정과 내용을 분석하고 선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육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문제해결력, 창의력, 자주적 생활 능력 등의 실과교육의 핵심역량은 과학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력을 높이고 다양한 분야의 학문과 연계하여 학습하고 이를 실생활에서 직접 활용 및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살아있는 교육인 융합교육과 매우 일치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의 결과로 실과 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융합교육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5개 교과의 교육과정과 내용을 분석하여 융합교육에 적절한 내용을 선택하였다. 즉, 제시된 융합교육은 STEAM의 모든 내용이 포함되었고, 4C-STEAM 이론의 핵심역량이 모두 제공되었으며, 융합교육의 방법으로 간학문 및 탈학문 모델에 적절하게 설계되었다. 이 과정에서 실과 생명과학 영역의 내용은 모든 내용이 융합교육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요소 및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methods for realizing the convergence (STEAM) education in the life science area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by studying needs, possibilities, and performing methods of convergence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s was utiliz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e study, the contents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s of the Practical Arts, the Science, the Music Arts, the Fine Arts, and the Mathematics which would be propper to design the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area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 by reviewing relative litera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The meaning of, the roles of, and the key competences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 are corresponded with the objectives and the function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2. As a results of the study, th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area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proposed. The prpposed convergence education contained all of contents of STEAM, provided the 4 core competencies of the 4C- STEAM theory. The proposed convergence education design in this study proved that all the content of the life science area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equipped with all those elements and necessary conditions to perform the convergence education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 KCI등재

        융합의 시대, 국어와 과학의 만남 - 과학소설 기반 융합교육의 가능성

        정재림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with a focus on secondary education. There as been a growing demand for convergence education for graduate schools or professional researchers, and the discourse on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as also become active, starting with the 201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plan for vitalizing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argeting non-speciali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aimed at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convergence experience', and education in which 'subject meets subject, study meets study' should be called convergence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tried to show the case of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science by presenting the case of science fiction-based convergence education. Science fic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that allows convergent thinking about facts and values, as well as science and humanities. 이 논문의 목적은 중등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국어과 융합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2000년대 이후 융합 및 융합교육 담론이 급증하였다. 전문화, 세분화로 특징지어지는 현대 학문으로는 실제 세계의 난제와 모순을 해명하기 어렵다는 진단이 내려지고, 이로 인해 학문간 소통과 협력으로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런 맥락에서 대학원이나 전문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융합교육 요구가 급증하였고,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융합인재교육 활성화 방안’을 시작으로 초·중등교육에서 융합교육 담론도 활발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융합교육은 미국의 STEAM을 수용한 것이지만, 미국의 STEAM과 미묘한 차이를 보이며 현장에서 실천되었다. 본고에서는 비전문가인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교육에서 ‘융합적 사고력과 융합 경험을 통한 문제해결력’ 제고를 목적으로, ‘교과와 교과, 학문과 학문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교육을 융합교육으로 볼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과학소설 기반 융합교육 사례를 제시하여 국어와 과학의 융합교육 사례를 보이고자 하였다. 과학소설은 사실과 가치, 과학과 인문학을 융합적으로 사고하게 하는 효과적인 제재이다. 특히, 소설이 융합교육의 제재로 전락하지 않도록 과학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활용한 융합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와 초등예비교사의 초등실과 AI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이승원(Seung-Won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실과에서 AI 융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와 초등예비교사의 중요도 인식,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개발방향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초등교사는 D광역시 소속 초등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예비교사는 K교육대학교와 J교육대학교 재학중인 대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12월 1주부터 12월 2주까지 2주간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최근 5년 이내 실과교과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가 69.1%로 약 70% 정도 분포하였는데도 조사대상자인 초등교사 중 90명(81.8%)이 AI 융합교육의 지도 경험이 없었으며, AI 융합교육 연수를 받은 경험도 32명(29.1%)에 불과했다. 둘째, AI 융합교육을 이해하고 있는 정도는 초등교사가 M=2.55(SD=1.06), 예비교사가 M=2.54(SD=0.70)으로 평균점수 3점보다 낮았으며 두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와 예비교사 두 집단 모두 모든 AI 융합교육 학습요소에 대하여 최소 평균 3.59 이상의 점수를 보여 모두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교사와 예비교사 두 집단 모두 AI 융합교육 학습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보다 자신의 지도능력은 낮게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AI 융합교육 학습요소 중에서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육요구가 가장 높은 것은 티처블 머신이나 머신러닝 포 키즈 등의 플랫폼을 활용한 인공지능 체험과 파이썬(Python)등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인공지능 체험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와 연구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일부 지역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전국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과교육과정과 AI 간 융합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AI 소양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절실하다. 셋째, 현재 SW교육이 실과교육과정에 17시간 이상 도입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실과교육과정에 AI 융합교육이 들어오기 위해서는 실과 과목 시수가 확대 편성되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더불어 AI 융합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reas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rveyed 1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and preservice teachers surveyed 164 college students attending K and J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week 1 to 2in December 2020.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although 69.1% of the teachers, which is about 70%,with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 within the last 5 years were distributed, 90 people(81.8%) of the survey subjects had no experience in teaching AI convergence education. Only 32 people (29.1%) received training in AI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AI convergence education was M=2.55 (SD=1.06)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M=2.54 (SD=0.70) for preservice teachers,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score of 3 poi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both groups of the elementary and pre-service teachers showed at least an average of 3.59 or higher for all learning elem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dicating that all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ourth, it can be seen that bo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judge their teaching ability lower than their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learning elements. Fifth, among the learning elem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elementar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highest demand for educ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ences using platforms such as teachable machines and machine learning for kids, and using textual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Python.

      • KCI등재

        수도권 대학의 융·복합 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차용선(Cha, Yong S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융합교육은 다양한 집합과 내재된 변화를 통해 얻어지는 통설적인 체계로서의 장점을 지니고 이는 신교육체제를 위한 상관적인 시너지관계로 승화시켜 교육목적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가치를 창출해낸다. 이에 최근 한국대학들의 화두는 ‘융·복합 교육’이다. 대학들이 교육에서 학과나 전공의 벽을 허물고 있다. 지금까지의 하나의 전공만 가르쳐서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서로 다른 영역과 계열에 속하는 전공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수업 교과과정이나 학과·학부가 점차 개설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대학에선 예술대학이나 경영대학의 경계가 뚜렷하여 문화예술경영에 관심 있는 고교생이라면 예술대학이나 경영대 중 하나를 선택하고 나머지 하나를 부전공이나 복수전공으로 들을 수 있었다. 대학가에선 융·복합을 미래 사회에 대학이 적응하기 위한 필수적 선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대학의 핵심 기능인 연구에서는 이미 학문영역을 넘나드는 학제 간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이제는 연구의 융·복합이 교육으로 확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융·복합 대학교육의 특성과 중요성을 중심으로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나 선도대학 사업 등이 미래의 융·복합 교육수요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각 대학마다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융·복합 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교육과정의 개발을 통한 새로운 학문의 기회를 제공하고 21세기형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융·복합교육의 특성과 중요성을 기술하였다. 둘째, 융·복합 대학교육의 현황을 조사하고 디자인 관련 교육과정을 각 대학마다 비교 및 분석하였다. 셋째, 융·복합 대학교육의 산학연계프로젝트 사례를 조사하여 각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최근 융·복합 대학교육 중심으로 학제 개편이 변화되고 있으며 융·복합 교육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 recent topic of colleges in Korea is ‘convergence education". Colleges are tearing down the wall of department or major. It is based on their decision that there is a limitation with the current system of teaching only one major in cultivating competent people that the society requires. New courses or departments & colleges converging majors in different domains & affiliations are being created. In existing colleges with a clear boundary between art college or business college,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culture & arts management could select one of art college or business and select the other as their minor or double major. In college circles, convergence is being accepted as an essential choice for colleges to adapt to future society. As the core functions of college are research and education,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crossing over academic domains. The convergence of study is now spreading to education. Accordingly, current circumstance is that college specializ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or its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will inevitably affect the demand for convergence of education in the future. As one of ways to ensure the highest competitiveness of colleges, a conversion to convergence education is occur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opportunities of study and cultivate the 21st century type creative people by developing convergence curriculum. The study method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t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it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of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and comparatively analyzed design related curriculum of each college. Third, it comprehensively described a strategy to gain competitiveness of each college and deduced an implication by examining the industrial-academic project cases of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In conclusion, it presented a way for ensuring competi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midst of current situation where academic restructuring is changing focusing on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First,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for convergence education is needed. Second, internationalization support is needed along with active convergence education of each college. Third, an organic integration with businesses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is needed.

      • KCI등재

        과학교과에서 본 국어교과와의 만남과 융합

        이선경,김시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1 No.-

        The issues of society in the 21st century are closely linked to various areas such as science, technology, culture, environment, politics and economy. Science education needs to enable future generations to make decisions through scientific and evidence-based thinking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creasingly complex world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promoting scientif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eting and convergence between science education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perform them more meaningfully. Science writing, communication as one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and argumentation-related researches in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as cases of the traditional way of meeting between scienc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cases (or ‘Yungbokhap education’ cases in other words) of ‘fast fashion’ and energy education camp for secondary students were also explored.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wo subjects have met traditionally and frequently this process. However, this study can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of the two subjects, identifying various approaches such as ‘Converge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of curriculum education at present. In the process of converg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we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excellence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perspectives on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and critical literacy. This study confirms the direction of discussion related to the convergence of science subject and language subject in the concrete way and broadens the mutual understanding for the fusion of the two subject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eeks a proper direction for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language subjects beyond the existing schematized integration. 21세기 사회의 여러 문제는 과학, 기술, 문화, 환경, 정치, 경제 등 여러 영역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어 고도의 복잡성과 맥락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과학교육은 미래 세대가 과학적 사고와 증거에 기반한 사고를 통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과학 지식, 기능과 자신감을 증진시켜 점점 더 복잡해지는 과학기술의 세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과학교육이 접점을 모색해야 하는 중점 교과로서 국어교과를 인식하고 이를 좀 더 의미 있게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교육과 국어교과와의 융합 양상을 ‘전통’과 ‘혁신’이라는 키워드로 대변하고 각각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확인하며,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과학교육과 국어교과와의 전통적인 만남은 과학글쓰기, 의사소통, 과학 논변 등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되, 두 교과의 측면에서 양자가 융합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두 교과의 융합에 대한 혁신적 만남은 현재적 관점에서 융합 교육의 본령과 원리를 구현한 사례로 ‘패스트패션’과 ‘에너지’를 주제로 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탐색하였고, 미래 융합 교육의 개척 방향으로서 과학교과와 국어교과 사이의 융합을 역량과 비판적 문해력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고의 이러한 작업은 과학교과와 국어교과의 융합과 관련된 논의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향후 두 교과의 융합을 위한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고, 기존의 도식화된 통합을 벗어나 과학과 국어의 융합을 위한 타당한 방향을 모색해 본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