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현진,김흥주,Lee Hyunjin,Kim Heung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생협복지를 실천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면서, 국가와 시장이 아닌 사회적 경제 조직이 사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효용성을 논의하였다. 생협복지는 지역의 다양한 조직과 연계하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다양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공적 영역과 시장 영역의 복지제도가 놓치고 있는 일상의 사회적 돌봄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단일 사례로서 서울 마포의 울림두레생협 복지활동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사례는 지역 속에서 주민과 함께 성장하고 다양한 돌봄 사업을 하는 지역생협으로서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었다. 사례분석 결과 생협의 복지활동에는 세 가지 특징이 있었다. 첫째, 주민참여와 자치활동으로 복지 민주주의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울림두레생협은 조합원들의 참 여와 민주적 의사결정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있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상호부조와 연대를 통해 사회적 돌봄의 관계망 을 넓혀가고 있었다. 이로써 공공복지나 시장복지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있었다. 셋째, 다양한 지역복지 커뮤니티가 구성되고, 이들의 활동으로 지역사회가 변화하고 있었다. 일공동체를 통해 지역 생산과 소비가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들고,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사업체와의 연대를 통해 사회적 경제를 실현하고 있었다. 그러나 생협복지의 확산과 지속에는 여전히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맞춤화 전략으로써 조합원 및 지역주민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여 복지를 증진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실천을 제안하였다. 둘째, 전문화 전략으로써 조합원과 생협조직을 연결할 수 있는 조합원 활동가를 양성할 것과, 생협의 전문적 활동을 보완해줄 수 있는 조합원 전문 가를 양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보다 폭넓은 지역사회복지실현을 위해 지역사회 전반에 존재하는 다양한 자원을 동원하고 연대하는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discussed a possibility that social service could be provided by social enterprise, not nation nor market, and its effectiveness, with analyzing a specific case of consumer cooperative welfare practice. Consumer cooperative welfare means the practice of everyday social care which a welfare system in public realm and market realm fails to notice, by providing various living services on the basis of connec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and residents' active particip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welfare activities of WoollimDure Consumer Cooperative in Mapo, Seoul, as a single case. The case most clearl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onsumer cooperative that grew with residents inside the region and carried out various care pro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there were 3 characteristics in the welfare activities of consumer cooperative. First, a possibility of welfare democracy increased owing to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elf-help activities. WoollimDure Consumer Cooperative regarded members'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decision-making as the highest value, and had various institutional arrangements so as to realize that. Second, social care networks were being expanded through mutual aid and solidarity. This removed the blind spot of care, with which the problem was difficult to solve in public welfare and market welfare. Third, various regional welfare communities were formed. And owing to their activities, regional communities were changing. Through work community, a virtuous circle of region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was formed. And through solidarity with business that local residents join, social economy was being realized.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spreading and sustaining consumer cooperative welfare. This study presents 3 development strategies against those. First, the practice of customized welfare according to life cycle was suggested so that welfare could be promoted by reflecting members and residents' various characteristics, as individualization strategy. Second, we suggested training an active member who can connect member to consumer cooperative organization, and training a specialist member who can complement the specialized activities of consumer cooperative, as specialization strategy. Third, we suggested a strategy of solidarity and mobilization of various resources that exist in the community at large in order to realize wider range of community welfare.
소비자후생의 개념과 평가요소 확대 필요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시월 ( Kim Siwuel ),조유현 ( Cho Youhyun ),옥경영 ( Ohk Kyungyoung ),차경욱 ( Cha Kyung-wook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적 사회로 다변화하는 현 시점에서 소비자후생의 개념을 재정리하고, 소비자후생 평가에 포함되어야 하는 다면적 영역과 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론적, 실증적 연구 검토 및 14인의 전문가조사 의견을 수렴하여 소비자후생과 관련 개념의 정의와 범위를 논의하였고, 소비자후생을 평가하는 차원과 요소를 논의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소비자후생의 확장적 평가를 위한 영역과 요소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소비자후생은 개인과 사회적 차원, 단기와 장기적 차원을 포괄하는 다면적이고 총합적인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하고, 심리적, 사회적 이익과 소비자지향성 등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그 영역과 요소를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후생의 개념과 평가요소는 경제적 이익 뿐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이익 등 보다 다양한 차원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소비자잉여, 가격효용성 등의 경제적 요인 뿐 아니라, 소비자의 가치를 반영한 주관적 만족수준이 평가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소비자만족과 복지 증진을 통한 소비자주권의 실현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소비자후생의 목적인 소비자이익 보호와 권익증진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소비자후생의 개념과 평가요소는 개인의 효용뿐 아니라 사회적 후생과 복지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개인 소비자의 경제적, 심리적 이익과 소비생활 안정성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소비자선택, 소비자정보, 소비자안전, 소비자참여 등 소비자의 권리가 확보되어야 하고, 시장의 규범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 건전한 소비문화가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궁극적으로 소비자후생은 단기적인 효익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장기적 후생으로 이어져야 한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소비자의 생애주기 관점에서 소비생활의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지속가능한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시스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기반으로 미래지향적인 소비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자후생의 지속성과 관련된 종단적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Ultimately, changes to a consumer-centered society seeks to increase consumer welfare through various ways. It is very meaningful to examine the concept and evaluation factors of consumer welfare in the light of the changes of the times. With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ual change of consumer welfare and to specify the multifaceted areas and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of consumer welfare. For this purpose, specifically, theoretical exploratory review and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he contents and results of exploratory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appeared that the concept of consumer welfare has already changed and expanded in relation to consumer polic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welfare approach and dimen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factors of consumer welfare are not only economic benefits but also psychological benefits, social benefits, market consumption environment and consumer rights. Third, the results of expert survey on the concept and evaluation factors of consumer welfare emphasized that not only economic benefits but also psychological and social benefits should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of consumer welfare and ultimately expanded to consumer interests through consumer satisfaction and welfare. Expert survey results were found to be consistent with exploratory research results. Fourth, as a result of the expert survey on the evaluation area of consumer welfare,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nsumer welfare not only the individual dimension or element but also the social dimension or el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a sustainable future should be conside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 welfare should be expanded not only to individual utility but also to social utility and welfare, and should be expanded to psychological, social and relational welfare as well as economic benefit. And this means that these benefits should be extended to the long term welfare for the future rather than the short term welfare.
공정거래법상 경쟁제한성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소비자후생 기준과 소비자선택 기준을 중심으로 -
이호영 한국경쟁법학회 2023 競爭法硏究 Vol.48 No.-
One of the important values pursued by modern competition law is consumer welfare, and consumer choice also affects consumer welfare. Therefore, the impact on consumer choice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assessing anti- competitiveness. However, according to consumer welfare standards, which have dominated many competition law regimes since the late 1970s when the Chicago School took the mainstream position, the only goal of competition law is to increase consumer economic welfare, and competition restrictions should be judged based on price or output. Approaches that point out problems with consumer welfare standards and suggest new criteria for judging competition restrictions are also being presented, one of which is consumer choice standards or analysis model which emphasizes the freedom of choice of consumers or trading counterparties in competition law enforcement. In Europe, the view that consumer choice or freedom to competition is important in competition law and policy, rooted in ordoliberalism, which developed around the Freiburg School in Germany after World War II,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EU competition law from the beginning. This article first explains how consumer welfare standards have been established and gained mainstream status. Thereinafter it introduces the debate over consumer welfare standards based on price and efficiency, and consumer choice standards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late 1990s, and analyses the role of consumer choice or freedom to compete in EU competition law, ordoliberalism which has heavily affected the EU competition law and the recent trends led by the modernization of EU competition law.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riteria for assessing anti-competitiveness under the Korea Monopoly Regulation Act are analyzed and implications for the interpretation and enforcement of the same Act are presented.
이석규,이가연,서준혁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 new large-scale complex shopping mall on the welfare of consumers in a region (Changwon city). In particular, this investigation explained how it affects the acceptance of new large-scale complex shopping mall (ex..,Starfield)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nsumer welfare, which is increasingly being added in modern consumer-oriented studies. This study theoretically bases a TAM model that describes the acceptance of a new technology or system. In addition, the concept of “consumer welfare”, which is emerging from the new styled shopping mall evaluation research, will be addressed. This study derives the measurement variables by dividing consumer welfare into price and non-price aspects. Based on the measured variable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expected effect when opening the shopping mall compared to before opening of a large-scale complex shopping m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for consumers to make a decision to accept or oppose a large-scale shopping mall, the price effect and non-price effect of consumer welfare are focused on the convenience and ease of use of the large-scale shopping mall. In addition, the final acceptance decision is shown to depend on the convenience and ease of use variable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of the evaluation on a large-scale shopping mall by address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sumer welfare effect variable, the ease of use and the relevance of use in the model.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welfare as the central idea in the point of emphasis on diversity as a consumer-oriented studies. Through this consumer welfare, this study contributes to constructing and applying a new evaluation model of a large-scale shopping mall by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se empirical analyzes enhanc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is model based on consumer welf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irically are analyzing the real retailing company (Starfield in Changwon city) branch, which is preparing for a new release in 2020. 본 연구는 대형복합유통점이 신규로 입점할 경우, 해당 지역의 소비자들의 후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를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소비중심의 사회에서 점차적으로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는 ‘소비자 후생(consumer welfare)’이라는 관점을 통해서, 신규 대형복합유통점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이나 시스템의 수용을 설명하는 TAM 모형을 확장하여 이론적인 기반으로 한다. 또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소비자 후생’을 가격요인과 비가격요인으로 나누어 측정변수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측정변수를 활용하여, 대형복합유통점의 입점이전 대비 입점할 경우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효과를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대형복합유통점 입점시 그 서비스 이용에 대해서 수용하거나 혹은 반대하기까지의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후생요인을 통해서 영향을 받게된다. 특히 후생요인들 중 가격요인와 비가격요인을 통해서, 대형복합유통점의 사용편의성, 사용의 용이성을 매개변수로하여, 최종 수용 및 반대의 의사결정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자 후생요인 변수와 사용의 용이성 및 사용의 적합성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대형복합유통점의 수용/기각에 이르기까지의과정을 모형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의 사회로 다변화하는 현 시점에서 소비자 후생을 중심축으로 살펴봤고, 신규 입점이란 측면에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여 적용하였다는 공헌점이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들은 최근 신규입점을 준비하고 있는 S사의 스타필드 창원점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여 연구결과의 실무적 적용가능성이 높다는 것 보여주고 있다.
FTA 체결국 수입제품 소비자의 후생수준에 관한 기술통계분석
이제홍 한국통상정보학회 2013 통상정보연구 Vol.15 No.2
This article stands at the junction of two usually separate fields of study: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Consumer welfare. Conception of welfare state and Welfare society is different depending of the scholars in each country. This paper examines the consumer welfare level of import products in FTA countries. The results shows that FTA country products reaches the same welfare level in sexually, age and job. This paper contributes to this issue by considering consumers that incur consumer welfare level with import products costs.This article stands at the junction of two usually separate fields of study: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Consumer welfare. Conception of welfare state and Welfare society is different depending of the scholars in each country. This paper examines the consumer welfare level of import products in FTA countries. The results shows that FTA country products reaches the same welfare level in sexually, age and job. This paper contributes to this issue by considering consumers that incur consumer welfare level with import products costs. FTA 체결국 제품의 관세인하로 수입증가 효과가 발생하며, 또한 관세가 인하됨으로써 국내소비자 가격이 하락함으로써 소비자의 후생이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에게 관세인하분 만큼의 후생이 소비자에게 전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가격변동이 없으며, 오리려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툭성인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FTA 체결 국가의 제품구매와 FTA 체결국 제품의 구매이유를 분석한 후, 이들 항목을 중심으로 소비자후생을 분석하여 통상정책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FTA 체결국가에 제품의 후생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보통이다는 결론을 많이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분석한 결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동일한 후생수준을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ife Insurance Settlement and the Monopolistic Insurance Market
Jimin Hong,S. Hun Seog 한국재무학회 2013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1
We analyze the effects of life insurance settlement on the insurer’s profit and the consumer and social welfares. We consider a one-period model in which the insurance market is monopolistic and the settlement market is competitive. Policyholders face heterogeneous liquidity risks in addition to mortality risks. Liquidity risks are introduced to address the case in which policyholders need urgent cash, leading them to surrender or settle the policies. It is assumed that the insurer cannot observe the liquidity risks nor discriminate policyholders based on the liquidity risks. It is further assumed that no costs are incurred in policy surrender or settlement. We fin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life settlement market lowers the monopolistic rent while raising the premium. The effects on consumer welfare and social welfare are mixed. Consumer welfare increases only when the demand sufficiently increases. This finding implies that social welfare, as measured by the sum of consumer welfare and the insurer's profit, can increase if the increase in the consumer welfare is greater than the decrease in the insurer's profit. This finding is contrasted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in which the settlement market lowers social welfare.
박성훈 한국제도∙경제학회 2021 제도와 경제 Vol.15 No.4
본 연구는 혼합복점에서 공기업의 최적화 행위와 후생에 초점을 맞춘다. 공기업은 생산량을 결정할 때 자신의 목적함수에 민간기업의 이윤을 ‘제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두 유형의 쿠르노 경쟁을 가정하고, ‘사회후생 극대화 게임’과 ‘부분후생 극대화 게임’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사회후생 극대화 게임에서 공기업은 자신의 이윤, 민간기업의 이윤, 그리고 소비자잉여를 합한 ‘사회후생’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을 선택한다. 부분후생 극대화 게임에서 공기업은 자신의 이윤과 소비자잉여를 합한 ‘부분후생’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을 선택한다. 먼저, 본 연구는 공기업 독점에서 최적 생산량과 균형 결과(생산량, 시장가격, 이윤, 소비자잉여, 그리고 사회후생)를 유도한 다. 다음으로, 두 유형의 쿠르노 경쟁에서 균형을 각각 유도한 후 공기업 독점의 균형 결과와 쿠르노 경쟁의 균형 결과들을 비교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기업의 생산기술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으면 사회후생 극대화 게임에서 공기업의 참여조건(participation constraint)은 성립되지 않는다. 둘째, 민간기업이 경쟁에 참여할 필요조건은 민간기업이 공기업보다 높은 생산기술을 갖는 것이다. 셋째, 소비자잉여와 사회후생은 공기업 독점에 비해 쿠르노 경쟁에서 더 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업은 자신의 생산기술이 낙후되었을 때 민간기업의 진입을 허용하고, ‘부분후생’ 을 극대화함으로써 오히려 소비자잉여와 사회후생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데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optimization behavior and welfare of public enterprises in mixed duopoly. Public enterprises can “exclude” private company profits from their objective function when determining output. Taking it into account, this study assumes two types of Cournot competition and analyzes those by dividing into ‘social welfare maximizing game’ and ‘partial welfare maximizing game’. In the game of maximizing social welfare, the public corporation determines the output that maximizes the ‘social welfare’ which is the sum of its profits, the profits of private companies, and consumer surplus. On the contrary, in the partial welfare maximization game, the public corporation chooses the output that maximizes the ‘partial welfare’ which is the sum of its profits and consumer surplus. First, this study derives the optimal output and equilibrium results (output, market price, profit, consumer surplus, and social welfare) in the monopoly of public enterprises as a benchmark model. Next, after each equilibrium is derived in the two types of Cournot competition, the equilibrium results of the public corporation monopoly and those of Cournot competition are compar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private companies is relatively high, the participation constraint of public companies in the game of maximizing social welfare is not established. Second, a necessary condition for private enterprises to participate in competition is such that private enterprises have higher production technology than public enterprises. Third, consumer surplus and social welfare are greater in Cournot competition than in public enterprise monopoly. Through this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public enterprises can increase consumer surplus and social welfare by allowing private enterprises to enter when their production technology is outdated and maximizing partial welfare.
FTA 소비자후생효과의 통합측정모형 및 지수산출식 개발 연구-2018년 FTA 소비자후생 자료를 중심으로
김인숙,김승호,이금노 한국법경제학회 2019 법경제학연구 Vol.16 No.2
The expansion of free trade through the FTA, affects consumers’welfare. But so far, researches and analyses have focused mainly on industry or supply side, and the consumer side also changes in prices of imported goods. This study, with empirical data, extends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welfare to quality and diversity in addition to price. And an index model was developed that linked this to the subjective purchase satisfaction of consumers. This model enable to an integrated measurement of changes in consumer welfare caused by FTAs and allows end and cross sectional analysis of changes in consumer welfare, by item, and by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significantly to adequately reflect the view of consumer welfare with further improvement of modeling and accumulation of data. FTA를 통한 자유무역의 확대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최종 수요자인 소비자의 후생에도영향을 미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 분석은 주로 산업이나 공급측면이 주를 이루었고 소비자측면도 수입재의 가격변동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실증자료를 활용하여소비자후생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인을 가격 외에 품질 및 다양성 요인까지 확대하였다. 그리고 이를 소비자의 주관적인 구입만족과 연계한 지수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모형의 타당성과 설명력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FTA에 의한 소비자후생효과의 시간적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상대적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FTA 소비자후생의 변동을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소비자후생의 총합적인 변화와 품목별, 요인별 변화기여도 등의 종단 및 횡단면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모형이 향후 자료의 축적과 추가적인 개선 연구의 후속을 통해 통상정책이 소비자후생의 관점을 적절히 반영하는 데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사회의 노인 소비자를 위한 생산적 복지 지향의 소비자 교육 방안
심영 ( Young Shim ) 한국소비자학회 2005 소비자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consumer education for the productive welfare of the elderly consumer in information society. Four hundred elders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from August 12 to September 30, 2002, and a hypothetical model for the suggestion of the elderly consumer`s consumer education was tes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ossibility of online consumer education on the basis of consumer information education suggested as the elderly consumer education for the productive welfare was prov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at is, consumer education for productive welfare of the elderly consumers in information society can be done by the online consum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consumer information education.
홍의철(Eui-Chul Hong),강환구(Hwan-Ku Kang),박기태(Ki-Tae Park),전진주(Jin-Joo Jeon),김현수(Hyun-Soo Kim),김찬호(Chan-Ho Kim),김상호(Sang-Ho Kim) 한국가금학회 2018 韓國家禽學會誌 Vol.45 No.3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의 계란 구매 형태와 산란계 동물복지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살충제 계란 파동 사태 전후 2차례에 걸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가정 내 계란구입 주 결정권자 및 취식자인 전국 만 25∼59세 여성과 만 25∼35세의 1인 가구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웹조사(Computer Assisted Web Interview; CAWI) 방법과 Gang survey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계란 구매 시 주요 고려요인에 대하여 ‘가격’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모두 가장 높았으며, 2차 조사에서 ‘포장일자/제조일자’를 고려한다는 응답률이 증가하였다. 계란 10개의 적정 가격으로 ‘2,000∼3,000원 미만’ 응답 비율이 1와 2차 조사에서 각각 53.8%과 42.9%로 가장 높았으며, 적정 가격 평균은 각각 2,482원과 2,132원 이었다. 국내 계란 소비자의 구매 장소에 대해 ‘대형마트’에서 구입한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중대형 슈퍼마켓’, ‘체인 슈퍼마켓’의 순이었다. 동물복지 관련 인지도를 보면 2차 조사의 결과에서 인지 비율(73.5%)이 높아졌다. 동물복지 용어 인지 시기는 살충제 계란 파동 사태 이전 59.0%, 이후 41.0%였다. 동물복지 인증마크와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마크를 본 적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처음 본다는 응답이 59.6%이며, 동물복지 인증마크를 알고 있다는 응답비율이 37.6%였다. 동물복지 사육시스템에 대하여 가장 현실적으로 적합한 동물복지형 계사로는 ‘방사형’ 응답율이 85.8%로 가장 높았다. 동물복지 사육시스템 정보 제시 후 ‘방사형’ 적합 응답은 34.2%p 감소한 반면, ‘평사형’과 ‘유럽형’ 적합 응답은 각각 13.2%p와 24.1%p 증가하였다. 국내 소비자의 동물복지 인증 계란에 대한 인지 및 취식경험에 대하여 ‘본 적이 없다’는 감소한 반면, ‘본 적이 있다’와 ‘먹어 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모두 증가하였다. 백화점, 유기농 관련 협동조합, 인터넷 쇼핑몰에서 동물복지 인증 계란을 구입했다는 응답이 일반 계란을 구입했다는 응답비율보다 높았다. 가격 제시 전 기준으로 전체 응답자 중 동물복지 계란을 구입할 의향은 92.0%이었으나, 동물복지 계란 가격을 제시 후 구입 의향은 62.7%로 가격 제시 전 대비 약 30%p 감소하였다. 동물복지 인증 계란 구입 의향 이유로는 ‘식품 안전성이 높을 것 같아서’ 응답이 71.0%로 가장 높고, 구입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가격이 비쌀 것 같아서’가 38.1%로 가장 높았다. 동물복지 계란 관능평가 조사에서 일반 계란의 난각색과 껍질 촉감이 동물복지인증계란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삶은 계란은 동물복지인증계란의 흰자 색이 일반계란보다 더 밝은 것으로 인식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동물복지 인증 농가들에게 소비자 인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제도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wice to investigate egg purchase behavior and perception on animal welfare of Korean consumers. This study included women, who were the main decision makers and caretakers in the household, and men with one-person household.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by the Computer Assisted Web Interview and Gang Survey methods. On the key considerations factor, the highest response rate was considered to be "price", and the response rate of considering "packing date" increased in the second survey. At a reasonable price based on 10 eggs, the response rate was the highest at 53.8% and 42.9%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and the appropriate price averages were 2,482 won and 2,132 won, respectively. The highest rate of purchase of egg consumers from "Large Mart" followed by "Medium sized supermarket" and "Chain supermarket". As for the awareness about animal welfare, the recognition ratio (73.5%) was higher in the result of the second survey than the first. The cognitive period of animal welfare was 59.0% before the insecticide egg crisis and 41.0% thereafter. Regarding whether or not they have ever seen an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mark and an animal welfare animal farm certification mark, 59.6%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saw it for the first time and 37.6% answered that they knew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mark. On the animal welfare system, the "free-range" response rate was the highest at 85.8%. The "free-range" fit response decreased by 34.2%p, while the "barn" and "European type" fit response increased by 13.2%p and 24.1%p, respectively. The number of "I have never seen" and "I have ever eaten" responses to the recognition and eating experience of animal welfare certified eggs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those who answered "Have ever seen" and "Have eaten" increased. The answer of purchasing animal welfare certified eggs at department stores, organic farming cooperatives, and internet shopping malls was higher than that of buying conventional eggs. Of the total respondents, 92.0% were willing to purchase an animal welfare egg before the price was offered, but after offering the prices of animal welfare eggs, the intention to purchase was 62.7%, which was about 30%p lower than before. The reason for purchasing an animal welfare certified egg was the highest score of 71.0% for "I think it is likely to be high in food safety", and 38.1% for "I think the price is high" for lack of intention to purchas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animal welfare eggs, egg color and skin texture of conventional egg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ertified welfare eggs (P<0.05), and boiled eggs showed that egg whites of animal welfare certified eggs were more (P<0.05).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ystem for laying hens by providing basic data on consumer awareness to animal welfare certified far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