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한국의 민주주의와 유가철학 - 타율성과 자율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철승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8 No.-

        1987년에 제정된 제10호 헌법은 21세기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적 토대 역할을 한다. 이 헌법에 내재된 인권 존중, 불의에 대한 저항, 균등의식 등은 유가철학의 내용과 괴리되지 않는다. 이는 21세기 한국의 헌법정신이 민주주의 이념과 유가철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10호 헌법은 유신헌법 때 수용되고 군부세력들이 계승했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의 사상을 중시한다. 이는 자유와 평등의 양립보다 자유를 평등보다 우선하는 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 때문에 공공의 복리나 민중의 유익보다 부르주아계급의 이익을 확대하는 정책이 많이 펼쳐진다. 특히 이명박과 박근혜 정권 동안에 불균등한 현상이 많이 양산되었다. 21세기 유가철학은 이러한 불평등한 사회를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유가철학은 상대적 박탈감이 인간을 소외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균등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이 헌법은 법치주의를 강조한다. 그러나 법치주의는 자연법을 함유한 헌법정신이 제도를 통해 현실에 적용될 때에 법실증주의의 실정법을 중시한다. 이는 자율적인 판단과 선택을 지양하고, 타율에 의존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타율적인 법률은 강제성을 동반한다. 이러한 실정법은 인간을 자유롭고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능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이미 정해진 틀에 무비판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시킬 수 있다. 유가철학은 법치주의를 인간을 수단화하는 제도로 여기며 비판한다. 유가철학은 인간을 도구가 아니라, 도덕적인 존재로 여긴다. 유가철학은 삶의 원리를 자각적으로 깨달은 도덕성을 통해 건강한 사회를 구축하고자 한다. 유가철학은 인간을 본래 자유로운 존재로 생각한다. 따라서 인간은 타율적인 존재가 아니라, 자율적인 존재이다. 유가철학에 의하면 인간은 내면에 함유된 도덕성을 스스로 깨달아 스스로의 판단과 선택을 책임 있게 실행할 수 있는 존재이다. 따라서 인간을 불신의 대상이 아니라 신뢰의 대상으로 여기는 유가철학은 법률을 통한 형벌의 방법보다 교화를 통한 인간다움의 실현을 중시한다. 이는 실정법이라는 타율성에 의해 존엄한 가치가 지켜지지 않고, 자율적인 선택과 판단에 의해 인간의 정체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제10호 헌법에 포함된 자유민주주의와 실정법의 문제에 대한 유가철학의 지적은 현대 한국 사회의 모순을 본질적으로 해결하는 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10th constitution established in 1987 serves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democracy in South Korea in the 21st century. Respect for human rights, resistance to injustice, and equality consciousness inherent in this constitution do not conflict with the content of Confucian philosophy. This means that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in the 21st century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idea of democracy and Confucian philosophy. However, the 10th constitution attaches importance to the idea of ​​the 'Basic free and democratic order', which was accepted in the Yushin constitution and inherited by the military forces. The Yushin constitution was affected by liberalism that prioritizes freedom over equality rather than supporting the compatibility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Therefore, policies to expand the interests of the bourgeoisie rather than public welfare or the interests of the public have been implemented frequently. In particular, during the Lee Myeong-bak and Park Geun-hye regimes, many unequal phenomena were mass-produced. Confucian philosophy in the 21st century critically sees this unequal society. Confucian philosophy thinks that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plays a role of alienating human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qu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constitution emphasizes the rule of law. However, the rule of law attaches importance to positive laws when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that contains natural law is applied to reality through systems. This rejects autonomous judgments and choices while inducing reliance on heteronomy. These heteronomous laws as such are accompanied by forcibleness. The positive laws as such can degrade humans into passive beings that indiscriminately adapt themselves to frames already set instead of active beings that think freely and creatively. Confucian philosophy regards and criticizes the rule of law as a system that makes humans into a means. Confucian philosophy regards humans as moral beings instead of tools. Confucian philosophy seeks to build a healthy society through morality accomplished through conscious realization of the principles of life. Confucian philosophy regards humans as originally free beings. Therefore, human beings are autonomous beings, not heteronomous beings. According to Confucian philosophy, humans beings that can realize the morality contained in their inner side by themselves to responsibly carry out their own judgments and choices. Therefore, Confucian philosophy, which considers human beings as beings to be trusted instead of beings to be distrusted, attaches importance to the realization of human decency through edification rather than by punishment through the law. This means that human values ​​cannot be kept by the heteronomy termed positive laws but the identity of humans can be maintained by voluntary choices and judgments. As such, the comment of Confucian philosophy on the problems of liberal democracy and positive laws contained in the 10th constitution can be helpful in essentially solving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철학 분야의 연구 현황과 미래 방향—『민족문화연구』를 중심으로—

        전성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이 글은 그동안 간행된 『민족문화연구』창간호부터 제99집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그 가운데 철학 분야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 방향을 전망해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총 1,225편 가운데 철학 분야의 연구 성과는 대략 121편이다. 철학 분야는 크게 동양철학, 서양철학으로 구분하였고, 다시 동양철학은 한국철학, 중국철학, 일본철학으로 구분하였으며, 한국철학은 다시 유교학, 불교학, 노장학으로 구분하였고, 유교학은 성리학, 실학, 경학, 경세학, 예학, 종교학, 명리학, 풍수학 및 유교학일반으로 구분하였다. 『민족문화연구』에 게재된 연구 논문 가운데 철학 분야는 역시 유교학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또 필자의 전공이 유교학 분야이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유교학의 하위 범주 가운데 성리학과 실학, 경학과 경세학, 그리고 예학과 종교학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1960-1970년대 ‘민족과 근대에 관한 담론’에서 시작된 철학 분야의 연구 성과는, 1980-1990년대 실학과 전산화에 대한 논의로 진전하였고, 2000-2020년대 남북한 철학과 유교문화 콘텐츠로 확장되었는데, 그 가운데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증가하고 향상된 분야는 역시 성리학과 실학을 포함하는 유교학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민족문화연구』는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가운데 핵심적인 것은 이른바 탈근대성(Post-Modernism)이라는 시대의식에 따라 융합(Fusion), 수렴(Convergence), 통섭(Consilience) 차원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예컨대, AI에 기반한 Chat-GPT가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술윤리적 문제나 인간학적 문제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공동연구나 학제간연구를 진행시키는 등 현재적 문제를 주제화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史料를 찾아 연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philosophy and to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 from the first issue of Korean Cultural Studies published so far. Out of a total of 1,225 articles,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philosophy are approximately 121. The field of philosophy was largely divided into Eastern philosophy and Western philosophy, and Eastern philosophy was further divided into Korean philosophy, Chinese philosophy, and Japanese philosophy, and Korean philosophy was further divided into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Confucianism was divided into Neo-Confucianism, Silhak, Gyeongsehak, Yehak, Religious Studies, Myeongni Studies, Feng Shui, and Confucianism in general. Among the research papers on Korean Cultural Studies, the philosophy field also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Confucian studies, and since my major is Confucian studies, this article focused on Neo-Confucianism and Silhak, Gyeonghak and Gyeongsehak, Yehak and Religious Studies among the subcategories of Confucian studies.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hilosophy, which began in the 1960s and 1970s in the Discussion on Nationality and Modernity, progressed to discussions on Silhak and computerization in the 1980s and 1990s, and expanded to South and North Korean philosophy and Confucian culture contents in the 2000s and 2020s. Among them, the field that increased and improv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s the study of Confucianism, including Neo-Confucianism and Silhak. It can be seen that Korean Cultural Studies has been expanding in earnest since the 2000s, and the key of which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research at the level of confuson, convergence, and consilience is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so-called post-modernism consciousness. For example, one way could be to topicalize current problems and find and study historical data to solve them, such as presenting potential technical ethical or anthropological problems of AI-based Chat-GPT and conducting joint 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m.

      • KCI등재

        기획논문 : 진주와 남명학의 세계 ; 남명(南冥)의 위기지학(爲己之學) 이념

        임헌규 ( Heon Gyu Lim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그 동안 남명학 연구는 그 성격과 연관하여 주로 1) 원시유학에 가까운 것, 2) 성리학적인 것, 3) 양명학적인 것, 4) 노장 사상이 깃들어 있는 것, 5) 성리학적 사유를 근간으로 하되 그 속에만 매몰되지 않고 원시유학의 정신을 폭넓게 수용한 것 등으로 규정하여 왔다. 그리고 남명의 성리학적 이론들은 「學記圖」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1) 主理論적, 2) 主氣論적, 3) 一物渾론적, 4) 主心論적 등이라고 해석되어 왔다. 그런데 필자는 남명의 학문에 대한 이러한 분석과 해석들이 나름으로 의미가 있지만,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라고 하는 중대한 문제에 봉착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인식하에 이러한 논의를 止揚하면서, 그의 학문은 어떤 한 시대적 사조(관점)에 의해 규정하기 보다는 ``보편적인 유학`` 혹은 ``영구철학``의 이념과 패러다임에 의해 재구성할 때에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여기서 그 일단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여기서 필자는 남명의 자전적인 글은 「書圭庵所贈大學冊衣下」를 주 텍스트로 하여, 그의 爲己之學의 이념을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즉 남명은 남명이 자기존재에 대한 철저한 不安의식을 갖고 궁극적인 태도변화를 통해 聖人에 이르는 학문을 하기를 확고하게 發心하여, 점차 근본적인 곳으로 나아가 本地風光을 觀照하고, 마침내 聖人이 되기에 부지런히 힘썼다는 것이다. 그리고 남명의 대표적인 철학시인 「원천부」는 이 본지풍광에 대한 깨달음이 잘 드러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필자는 남명의 爲己之學의 이념은 유가철학의 정통을 계승하고 체득한 데에서 나온 유가철학의 전형이라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s aim is to articulate ideas and methodology of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in contrast with plato`` western classical philosophy. The ideas and methodology of classical philosophy is manifested on "the similes of cave" in The Republic of Plato. We reconstruct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on the based upon "the similes of cave" in The Republic of Plato.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begins with criticism of everyday`s reality contrary to the Tao. 2)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is based upon reverse of everyday`s consciousness. 3)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request absolute knowledge & practice of the ultimate Tao & Te. 4)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enlightenments the people with absolute knowledge of the ultimate Tao.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is a typical of classical philosophy. Nammyoung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good mind and good nature(the human good mind and good nature is comprised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四德) is the origin of morality.

      • KCI등재

        동아시아학술원 20년 철학방면 연구성과 ― 유학과 경학 방면 연구를 중심으로

        李昤昊 ( Lee Young-ho ),金渡鎰 ( Kim Doi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동아시아학술원의 대표적 연구공간은 대동문화연구원, 유교문화연구소, 학술원 산하 인문한국연구소 등이다. 이 세 단위 연구기관에서 이루어진 철학 방면 연구는 주로 저술(저역서, 영인출판)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학술대회와 자료구축을 통해서도 그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유교문화연구소에서는 학술원 개원 이래 ‘유교문화번역총서’와 ‘유교문화연구총서’를 통해 유학의 현대화 문제에 천착하였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이루어진 학술대회에서도 ‘경학(유학)’의 현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비해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에서는 한국유학(경학)을 기반으로 하는 동아시아 고전철학의 모색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활동을 하였는데, 최근에 이르러서야 동아시아적 연대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대동문화연구원에서는 영인총서를 통하여 조선유학(경학)의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였는데, 이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매우 중요한 학술적 자산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한편 자료구축의 측면에서는 유교문화연구소의 ‘유경정본화사업’, 인문한국연구소의 ‘한국경학자료시스템’, ‘한국주자학용어시스템’을 거론할 수 있다. 이 세 사이트에서는 한국 유학, 특히 한국 경학에 관한 자료 구축의 전범을 보여주었다. 향후 한국고전철학연구에 있어 필수불가결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학술원은 지난 20년 동안 이룩한 고전철학 방면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연구의식의 심화와 자료구축의 확장을 도모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동아시아 고전철학연구에 대하여 비판적 관점을 견지하고, 새로운 문제의식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 혹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자생의 학술담론은 이러한 관점과 의식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Three representative research institutes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ar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and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Their philosophy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writing (publication of books, translated works, and photocopy editions) by these three and has been expanded its scope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and establishing database. Since its opening of the Academy,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has published Confucian Culture Translation Series and Confucian Culture Research Series to address the issue of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Also, academic conferences held since the 2000s focused on the modernization of the Confucian studies (Confucian Classics). In contrast, the research by the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has been focused on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based on Korean Confucianism, and only recently has the foundation of East Asian solidarity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 publication of Classic Photocopy Series by th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Joseon Confucian classic, which has become a very important academic asset, both at home and abroad.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database establishment,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유경정본화사업 Project, the HK's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System, and the Terminology Data System of Zhu Xi's Learning can be discussed. These three sites are good examples of the establishing database on Korean Confucianism, especially Korean Confucian Classics. This is indispensable database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philosophy. The Academy aims to deepen research awareness and expand its database archiving based on the achievements in classical philosophy over the past two decades. In this process, we will maintain a critical view of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research so far and endeavor to identify problems. Based on this, we will ultimately seek out a self-sustaining academic discourse that is recognized in East Asia of globally.

      • KCI등재

        21세기 한국의 민주주의와 유가철학

        이철승(Lee, Cheol-seung)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1987년에 제정된 제10호 헌법은 21세기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적 토대역할을 한다. 이 헌법에 내재된 인권 존중, 불의에 대한 저항, 균등의식 등은 유가철학의 내용과 괴리되지 않는다. 이는 21세기 한국의 헌법정신이 민주주의 이념과 유가철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10호 헌법은 유신헌법 때 수용되고 군부세력들이 계승했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의 사상을 중시한다. 이는 자유와 평등의 양립보다 자유를 평등보다 우선하는 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 때문에 공공의 복리나 민중의 유익보다 부르주아계급의 이익을 확대하는 정책이 많이 펼쳐진다. 특히 이명박과 박근혜 정권 동안에 불균등한 현상이 많이 양산되었다. 21세기 유가철학은 이러한 불평등한 사회를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유가철학은 상대적 박탈감이 인간을 소외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균등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이 헌법은 법치주의를 강조한다. 그러나 법치주의는 자연법을 함유한 헌법정신이 제도를 통해 현실에 적용될 때에 법실증주의의 실정법을 중시한다. 이는 자율적인 판단과 선택을 지양하고, 타율에 의존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타율적인 법률은 강제성을 동반한다. 이러한 실정법은 인간을 자유롭고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능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이미 정해진 틀에 무비판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시킬 수 있다. 유가철학은 법치주의를 인간을 수단화하는 제도로 여기며 비판한다. 유가철학은 인간을 도구가 아니라, 도덕적인 존재로 여긴다. 유가철학은 삶의 원리를 자각적으로 깨달은 도덕성을 통해 건강한 사회를 구축하고자 한다. 유가철학은 인간을 본래 자유로운 존재로 생각한다. 따라서 인간은 타율적인 존재가 아니라, 자율적인 존재이다. 유가철학에 의하면 인간은 내면에 함유된 도덕성을 스스로 깨달아 스스로의 판단과 선택을 책임 있게 실행할 수 있는 존재이다. 따라서 인간을 불신의 대상이 아니라 신뢰의 대상으로 여기는 유가철학은 법률을 통한 형벌의 방법보다 교화를 통한 인간다움의 실현을 중시한다. 이는 실정법이라는 타율성에 의해 존엄한 가치가 지켜지지 않고, 자율적인 선택과 판단에 의해 인간의 정체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제10호 헌법에 포함된 자유민주주의와 실정법의 문제에 대한 유가철학의 지적은 현대 한국 사회의 모순을 본질적으로 해결하는 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10th constitution established in 1987 serves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democracy in South Korea in the 21st century. Respect for human rights, resistance to injustice, and equality consciousness inherent in this constitution do not conflict with the content of Confucian philosophy. This means that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in the 21st century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idea of democracy and Confucian philosophy. However, the 10th constitution attaches importance to the idea of the "Basic free and democratic order", which was accepted in the Yushin constitution and inherited by the military forces. The Yushin constitution was affected by liberalism that prioritizes freedom over equality rather than supporting the compatibility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Therefore, policies to expand the interests of the bourgeoisie rather than public welfare or the interests of the public have been implemented frequently. In particular, during the Lee Myeong-bak and Park Geun-hye regimes, many unequal phenomena were mass-produced. Confucian philosophy in the 21st century critically sees this unequal society. Confucian philosophy thinks that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plays a role of alienating human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qu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constitution emphasizes the rule of law. However, the rule of law attaches importance to positive laws when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that contains natural law is applied to reality through systems. This rejects autonomous judgments and choices while inducing reliance on heteronomy. These heteronomous laws as such are accompanied by forcibleness. The positive laws as such can degrade humans into passive beings that indiscriminately adapt themselves to frames already set instead of active beings that think freely and creatively. Confucian philosophy regards and criticizes the rule of law as a system that makes humans into a means. Confucian philosophy regards humans as moral beings instead of tools. Confucian philosophy seeks to build a healthy society through morality accomplished through conscious realization of the principles of life. Confucian philosophy regards humans as originally free beings. Therefore, human beings are autonomous beings, not heteronomous beings. According to Confucian philosophy, humans beings that can realize the morality contained in their inner side by themselves to responsibly carry out their own judgments and choices. Therefore, Confucian philosophy, which considers human beings as beings to be trusted instead of beings to be distrusted, attaches importance to the realization of human decency through edification rather than by punishment through the law. This means that human values cannot be kept by the heteronomy termed positive laws but the identity of humans can be maintained by voluntary choices and judgments. As such, the comment of Confucian philosophy on the problems of liberal democracy and positive laws contained in the 10th constitution can be helpful in essentially solving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중용』해석을 둘러싼 근대적 담론 -다케우치 요시오(武内義雄)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이희복 일본사학회 2012 일본역사연구 Vol.35 No.-

        Zhong Yong is a scripture of Neo-Confucianism. Neo-Confucianism is another name for Zhu Xi's compilation of Xinglixue, the "principle learning."Zhu Xi systematized the rising innovative ideology Neo-Confucianism into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at succeeded the essence of Confucian classics. In the process of his systematizing, the idea of Zhongyong was developed, and its arrangement was the philosophy of Zhong Yong. Zhong Yong is the metaphysics that synthesise the Confucian classics that is practical morality in daily life, ontology and moral philosophy, thus is also called the Philosophy books. Zhong Yong, with which the movements of heaven, earth and nature and the human societal behavior can be interpreted as the same principle, gives a detailed explanation about from self-cultivating theory of noble men to means and purpose of reigning a state. It also explains human character which must submit to Heaven's Mandate, unbending and unchanging of the doctrine of Zhong Yong, political techniques deploying religious rites, Sincerity theory that describes to deal matters in all sincerity, and so on - which are all the utopian ideologies that desires for an idealistic society. Such a synthesized philosophy book became to be accommodated by Japan as Neo-Confucianism spreaded into East Asia. Japanese Neo-Confuciaism which was rising in the 17th century was caught up in a conflict with the traditional Japanese thoughts. In the history of various developments of Neo-Confucianism the interpretations around Zhong Yong created as many differences as its various forms. This study observed that Ito Jinsai who relativized Zhong Yong rejected Neo-Confucianism and established his own independent idea. But, it was Confucianism which disintegrated from philosophical ideas. It was Nakai Riken who revived it as a philosophical idea. He was a scholar of Zhu Xi learning at Osaka Merchant Academy. By looking at the acceptance developments stated as above, a Chinese philosopher Takeuchi Yoshio pointed out Japanese characteristic in them, and named it Makoto philosophy. He further explained that the foreign idea of Chinese Confucianism entered Japanese society and became Japanize as a result.

      • KCI등재

        특집논문 : 유가생태철학의 특성과 미래

        김세정 ( Sea Jeong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15 환경철학 Vol.0 No.20

        유학사상은 도가나 불교에 비해 인간중심주의적 성격이 강하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유기체론적 요소와 생태론적 요소들이 풍부하다. 그렇다고 유학사상이 생태중심주의와 동일한 것은 아니다. 인간중심주의뿐만 아니라 생태중심주의 또한 많은 과제를 안고 있는 바, 이 양자를 넘어서는 제3의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학사상을 ‘유가생태철학’이라는 입장에서 재조명하면서 제3의 대안 가능성을 모색한다. 먼저 2장에서는 유가생태철학의 특성과 다양성에 대해 고찰한다. 유학사상은 심층 생태주의와 달리 자연물과 다른 인간의 우수성을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긍정한다. 그러나 그 우수성은 인간중심주의에서와 같이 자연 지배의 정당성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치유하고 보살피고 돌봐야 하는 인간의 천부적 사명의 근거로 작용한다. 이는 인간이 본래 자연과 하나의 생명 체계를 이루지만, 인간은 단순한 자연의 한 부분이 아니라 자연만물의 마음이라는 위상을 지니기 때문이다. 자연만물의 마음, 즉 통각의 주체이기에 자연만물의 손상을 자신의 아픔으로 느낄 수 있고 아프기 때문에 치유하고 보살피게 되는 것이다. 이에 유학사상은 인간중심주의와도 다르고 심층 생태주의와도 다른 ‘인간중추(中樞)주의’라고 이름 할 수 있다. 그리고 3장에서는 유가생태수양론의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서구 환경윤리학에서는 내재적 가치의 소재와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중시하는 반면, 유학사상은 자연과 인간의 합일(天人合一) 또는 일체(一體)를 위한 실천적 수양(修養)을 중시한다. 유학사사에서는 영성, 이성, 감성, 감정 등 인간의 내적 요소들을 우열의 문제 또는 대립적 관계 내지는 취사선택의 문제로 보지 않는다. 수양을 통해 인간의 이러한 요소들이 자연만물과의 감응 과정에서 과·불급의 상태에 빠지지 않고 중절(中節)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양의 귀결처는 인간이 천지의 만물 화육(化育)에 주체적·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천지위(天地位)·만물육(萬物育)하는데 있다. 이렇듯 인간중심주의와 심층 생태주의의 어느 한 극단에 빠지지 않으면서 양자의 문제점을 넘어서는 유가생태철학,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진정한 합일과 일체(一體)를 추구하는 실천적 유가생태수양론은 생태담론을 풍성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제3안의 대안으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물론 이러한 ‘유가생태철학’이나 ‘유가생태수양론’은 완성된 것이 아니라 앞으로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한다. In comparison with Taoism or Buddhism, Confucianism has not only a strong anthropocentric characteristic but also many organic and ecological aspects. But it does not mean that Confucian doctrines are equivalent to the ecocentrism. Although it contains issues which are also discussed in the anthropocentrism and ecocentrism, it goes beyond those two and tries to provide the third alternative. This paper thus focuses on the re-consideration of Confucian thoughts based on the ‘Confucian ecological philosophy’ and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3rd alternative. Firstly, in the second part, the author explores the features and the diversity of Confucian ecological philosophy. Different from Deep ecology, Confucianism does not deny the superiority of man over the nature. On the contrary, it is strongly affirmed. However, that superiority does not mean the confirmation of the rights to dominate the nature, as the anthropocentrism says, but the mission the Heaven gives to man to heal and take care of the nature. Because man, though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life system as one of creatures, is not a simple part of the nature but a creature achieving the central status among them, as the heart of a body. As a heart of the whole things in nature, means as the subject of apperception, man can comprehend all the pains things in the nature must suffer, and feel those pains as his own, so he will try to heal and take care of them. From that viewpoint, the Confucianism can be called ‘anthropo-coreism’ (the ism according to which man is considered the core (中樞) of all things the in nature), different from Anthropocentrism or Deep ecology. In the third part, the autho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ucian eco self-cultivation. While the Western environmental ethics puts emphasis on the change of the knowledge of the way to understand the nature, as well as the determination of the inner values, the Confucian thoughts focus on the practical self-cultivation (修養) for the unity of man and nature (天人合一) as a One (一體). In every aspect of Confucianism, it cannot be seen discussions on the discrimination or the selection in an opposit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inside man such as divine nature, rationality, sensibility or feeling etc.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ings in the nature through the self-cultivation, man with those elements attempts not to incline toward either excess or deficiency, but to maintain the appropriateness (中節). The kernel point of the self-cultivation is ‘the arrangement of the world’ (天地位) and ‘the cultivation of the things in the world’ (萬物育), that is to say the participation of man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ings in the world. Confucian ecological philosophy which does not incline toward any extreme to which Anthropocentrism and Deep ecology have gone, and Confucian eco self-cultivation which seeks for the real unity and combination of man and nature, make ecological discussions become more plentiful; moreover there is in them the possibility of the third alternative. Of course the ‘Confucian ecological philosophy’ and the ‘Confucian eco self-cultivation’ are still not completely formed and need to be more supplemented and improved in the future.

      • KCI등재

        사상, 철학, 그리고 유학: 송명유학에 접근하는 세 가지 경로

        이찬 ( Lee¸ Chan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7

        유학은 어떻게 서술되어야 하는가? 지금까지 ‘송명유학’을 이해하는 주된 방식은 ‘사상’이나 ‘철학’의 기표를 통해서였다. 송명유학을 도학이라고 규정하거나 정주이학과 동일시해온 관점이 이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나는 유학의 역사를 이해하는 이런 관점을 다시 검토하고 송명유학을 연구하는 ‘사상’과 ‘철학’의 방법론적 문제를 성찰하려 한다. 특히, 송명유학을 규정하는 ‘신유학’과 ‘도학’이라는 용어에 관한 쟁점은 송대 이후의 유학사를 철학적 사유로 해석할 것인지, 사상사라는 역사학의 관점으로 접근할 것인지 라는 문제가 놓여 있다. 이들 용어가 함의하는 바를 통해 ‘사상사’와 ‘철학사’, 그리고 철학과 유학의 경계를 개념적으로 분명하게 구분 지을 필요가 있다. 이 문제는 ‘유학’의 학문적 위상을 비판적으려는 이론적인 시도를 ‘거짓문제’라고 규정한 거자오광의 관점을 비판하면서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논의하려 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 사유를 이해하는 학문적 틀, ‘유학’을 오늘날 우리의 인식론적 틀 속에 재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How should Confucianism be written? Until now, the dominant way to understand ‘Song-Ming Confucianism’ has been through the signifiant of ‘philosophy’ or ‘thought.’ This is clearly illustrated by the view that Song-Ming Confucianism has been defined as the Learning of the Way(daoxue), or identified with Cheng-Zhu School of the Learning of Principle (chengzhu lixue). I shall revisit thi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nd scrutinize the methodological issues of though and philosophy approaching to Song-Ming Confucianism. To examine the process of debate on how to define Song-Ming Confucianism through the concepts of “Neo-Confucianism(xinruxue)” and “the Learning of the Way(daoxue)” is to verify a borderline between history of thought and philosophical way of thinking. Through the implication of difference between these terms, we need conceptually to distinguish between history of thought and history of philosophy, and to clarify between philosophy and Confucianism. This problem provides a momentum to critically examine the academic status and nature of Confucianism. I will start the aforementioned issues by criticizing the view of Ge Zhaoguang, which defines the theoretical attempts to establish Chinese philosophy as a fake problem. Through this argument, thus, I hop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Confucianism, or to revisit the conception of Confucianism, which should be redefined within our epistemological framework today.

      • 정의 생성본체와 유가정치철학

        유열적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9 儒敎文化硏究 Vol.- No.14

        The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is empirically grounded upon a private sphere of “emotion” in a more general sense, so the becoming ontology of Qing (emotion/feeling) becomes its footstone. As a characteristic of Confucian conception and its culture, this substantially “emotional” experience deals with how to attain communal as well as individual harmony. In Western political theory, the individual end is dearly cherished but held off from the communal one, because the organic process is displaced that potentially connects the private experience of harmony to the establishment of social harmony. Although both David Hume and Adam Smith single out “sympathy” as a forceful moral motivation, Confucianism goes so further as to conceive the sympathy-oriented “Jen” as the origin of emotion and life and to attribute to “Jen” the “integrity with heaven and earth”. In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the initial claim is made onto the self cultivation or moral cultivation on the part of each individual. And, on such a basis of personal experience, its further demand goes to the sphere of family, with an aim to secure an enduring reign, order and peace of the whole country, and ultimately the Perpetual Peace or oneness of the universe. It is an internal sequence that underlies the logical construction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More specifically, the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is to be realiz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personal sphere of Confucianism covers primarily the self cultivation of each individual, where he is to attain inner harmony. Then, through the sympathy “to feel others in oneself”, the private experience of self cultivation is indeed put in a perspective of “intersubjectivity” for mutual empathy. Second, art, or the aesthetic education of emotion, is also responsible for the practice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What Confucius demonstrates through the “distraction in the arts” and “perfection by music” is intended to bring to light the unity of aesthetic refinement with moral exaltation in its equal emphasis of the two. Either in the case of poetry, which strengthens the fraternity of any social population, or in music, which enables personal equanimity and promotes social peace, “emotion” is invariably registered to have played a role in the process of one’s character building. Third, in virtue of the Kantian “common sense”, the “miniature institution” of Confucian ethics is expected to guarantee the harmony in the domain of family, where the familial value hangs high above all, for without a harmonious family system, the harmony of any macro-institution is believed to find nowhere to ground upon. All of this is distinct from the Western atomism. Last, the transcendence the empirical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hopes to attain points to a “quasireligious” morality, that is, rather a “private sphere” morality for inward transcendence than a “social morality” that governs the public sphere. And, the tri-dimensional process of inner surpassing, as illustrated in the legend of “Zeng Tzu’s metaphor” or “Confucius and Yan Hui’s delight”, points to the unity of the religious, the moral, and the aesthetic. However, the “kinship community” that sustains the Confucian ethics has seen its vital ties being disintegrated in modern society, with parts of its basic principles surviving only in some East Asian countries and areas. The remnant of Confucian ideology is of certain reformative value to, firstly, “the powerful overriding the helpless”, the contemporary liberalism never anticipates in its attempt to protect the individual right and seemingly fair competition, and secondly, “the majority overriding the minority”, the western conception of democracy fails to undo in its promotion of public will and people’s democracy. With regard to the common foundation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 유교정치철학의 경험론의 기초는 넓은 의미에서의 ‘정(情)’의 본체가 사적으로 지니는 경험을 말한다. 그래서 이러한 정치철학은 바로 ‘정(情)’의 생성성(生成性) 본체를 만드는 주춧돌이며, 이것이 서양 정치철학이론과 다른 가장 기본적인 차이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유교관념(儒敎觀念)이 현대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의 그 러한 원자주의(原子主義)에 대하여, 또는 현대 ‘사군주의(社群主義)’의 그러한 ‘무 정주의(無情主義)’에 대하여, 모두 모종의 편향을 바로잡을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 중일(韓中日) 3국 공통의 사상의 기초를 다지고, 또한 ‘정(情)’을 근본으로 하는 ‘생활유학(生活儒學)’의 기초를 다지기 위한 것이지 ‘다스림(治)’의 근본인 ‘제도유 학(制度儒學)’에 있지 않다. 전문은 모두 8개 부분으로 되어 있다. (1) ‘동심원(同 心圓)’ 은유: ‘순서와 격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신체내부’로부터 ‘신체외 부’로 ‘정(情)’을 밀어 낼 수는 없을까? (3)정(情)과 무(巫): ‘무사전통(巫史傳統)’ 에서 ‘화무입정(化巫入情)’에 이르기까지. (4)정(情)과 예(禮): ‘사악상제(社樂相 濟)’에서 ‘예작우정(禮作于情)’에 이르기까지. (5)정(情)과 성(性): ‘정생우성(情生 于性)’에서 ‘심통성정(心統性情)’에 이르기까지. (6)정(情)과 실(實): ‘범애중(泛愛 衆)’적 유정(有情)과 ‘겸상애(兼相愛)’적 무정(無情)의 상대성. (7)개체와 공동체 사이의 ‘정(情)’의 활동을 소개하고,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와 ‘사군주의(社群主 義)’ 간의 쟁점을 다시금 생각한다. (8)한중일의 공동사상의 기초: ‘정(情)’을 근본 으로 하는 ‘생활유학(生活儒學)’이지, ‘다스림(治)’을 근본으로 하는 ‘제도유학(制 度儒學)’이 아니다.

      • KCI등재

        유학과 서양철학의 만남은 어떻게 이뤄졌나? - 풍우란의 `신리학(新理學)`을 중심으로 -

        박영미 ( Park Young-mi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8 No.-

        이 글은 풍우란의 `신리학(新理學)`을 중심으로 유학과 서양철학이 어떻게 만났는지를 살펴본다. `중국철학`은 20세기 이후 서양의 `철학` 개념을 도입하여 서양철학을 표준으로 중국전통사상을 해석한 것이다. 이 `중국철학`의 건립에 큰 역할을 한 사람은 풍우란이다. 그는 유학과 서양철학의 결합을 모색했고, 이를 통해 근대 중국철학을 건립하고자 했다. `신리학` 이전에 서술한 『중국철학사』에서 풍우란은 `중국철학`은 어떤 종류의 학문 혹은 어떤 종류의 학문의 부분이 서양에서 `철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고, `중국철학사`는 중국역사상 여러 학문 가운데서 서양에서 `철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을 서술하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따라서 『중국철학사』는 서양철학의 기준에서 `철학`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내용으로, 신실재론으로부터 채택한 논리 분석의 방법을 형식으로 전통사상을 재해석한다. 풍우란은 철학사 연구에 뒤이어 철학 창작을 시도한다. `신리학`은 그의 대표 저서이며 동시에 그의 철학 체계를 지칭한다. 풍우란은 `신리학`이 송명 리학을 계승하지만 `그대로 논하는` 것이 아닌 `이어서 논하는` 것이며, 가장 철학적인 철학으로 이전의 리학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송명 리학의 개념들이 철학적 대상이 되고 이를 논리적으로 분석 총괄 해석하는 것이 철학적 방법과 내용이 된 새로운 형이상학을 건립하고자 했고, 이를 새로운 중국철학이라고 생각했다. `신리학`의 체계는 4개의 형이상학 개념, 리(理) 기(氣) 도체(道體) 대전(大全)으로 구성된다. 이들 개념은 실제에 얽매이지 않는 형식 개념으로, 풍우란은 `신리학`의 진정한 형이상학적 임무는 이들 개념을 제기하고 설명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풍우란은 이와 같은 작업을 `낡은 병에 새 술을 담는 것`이라고 말한다. 새로운 중국철학은 과거를 부정하는 것이 아닌 지양(止揚)하는 것을 통해 미래를 여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After the 20th century, the way that Chinese philosophy interpreted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was through the foundation of Western philosophy, borrowing the concept of Western philosophy. Feng You-Lan(馮友蘭) played an important role to establish the Chinese philosophy based on Western philosophy. He tried to unite Confucianism and Western philosophy, and through the process he founded the modern Chinese philosophy. New Philosophy of Principle(新理學) is one of his best books and simultaneously, names his own system of philosophy. New Philosophy of Principle is to study Neo-Confucianism, and it shows the method and content of his philosophy: analyzing Neo-Confucianism logically, generalizing it, and interpreting it. Through this process, Feng You-Lan tried to build new metaphysics and considered this as the new Chinese philosophy. He said,”This process is to hold the new wine into old bottles.” According to Feng You-Lan, the new Chinese philosophy is not to deny the past but to open the new era through subla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