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청소년과 부모의 지역아동센터 선택 기준

        서혜전,노성향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이 지역아동센터를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이 무엇이며, 그것이 부모의 선택 기준과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구·경북 소재 지역아동센터에 최소 6개월 이상 다니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 378 명과 그 부모 3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변량분석, t 검증이었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아동청소년이 지역아동센터를 선택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은 문화체험 프로그램이었으며, 그 다음 예체능 프로그램, 급·간식 질 순이었다. 아동청소년의 지역아동센터 선택기준의 하위 몇가지 항목들에서 학년, 가족유형, 부모의 교육수준과 맞벌이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선택 기준에 대한 아동청소년과 부모의 인식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과 달리 부모는 급간식의 질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였으며 프로그램 중에서는 학습 프로그램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아동청소년의 선택권, 아동청소년권리 보장과 아동청소년중심의 운영을 위한 실천적 함의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how children-youths' selection criteria is different from parents' selection criteria about community children's center. For this purpose, former dissertation and literatures related to community children's center were reviewed. Questionnaire methods were employed. The data were gathered though the questionnaires from 378 children-youths and their parents currently attending community children's center in Daegu and Kyuung Buk country area.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in analyzing the data. Major statistic methods to analyze the collective data wer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ross-tabulation, analysis of variance, Scheffe. On the basis of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two propositions were made. First, it is requited to be provide and develop the high-quality cultural experience program and arts-physical program to meet children-youths need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Second, the right of choice of children-youths would be considered as a basis for operating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because children-youths' selection criteria is different from parents' selection criteria about community children's center. Third, community children's center have to be operate based by children-youths right and child-oriented philosophy.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의 아동권리존중이 아동의 권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정윤미,강현아,강현주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betwee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n a community child center and children’s rightsconsciousness. Methods: The 2nd wav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3rd stage) were used for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hildren's experienceof being respected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and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andself-esteem. A bootstrapping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we found that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da direct effect on self-esteem. Second, we showed that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Third, the respect for rights in local child centers directlyeffects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partial mediating modelthat is influenced by mediating self-estee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hildren’s rights education is importantto raise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and it is important torespect children's rights in the process of actually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In addition,the self-esteem of children who use community child centers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the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and efforts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children arenecessary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이 센터에서 경험한 권리존중정도가 자아존중감을 통해 권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3기 패널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권리존중경험과 자아존중감, 권리의식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구조방정식 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역아동센터에서의 권리존중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직접적인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권리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권리존중은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권리의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의 권리의식을 높이기 위해서 권리 교육도 중요하지만, 아동이 실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권리를 존중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권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는 개인, 가족, 학교, 지역아동센터 요인 탐색

        김유현,강옥려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The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levels: 1) personal level factors included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2) family level factors included parents’ monitoring and affectionate parenting; 3) school level factors included pe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4) and community child center level factors included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center teacher and impact assessment of center serv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th grade students. They have be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for more than one year. To analyze data,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data of 'the 2016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Survey'.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factors of person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child center. Second, factors that affect the children's happi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 were self-esteem, affectionate parenting, peer relationship, and impact assessment of center service. Self-esteem, which belongs to personal level factor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nd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happiness even after family, school, and community child center factors were inj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we should consider increasing their self-esteem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y belong.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아동 의 행복을 예측하는 요인을 4개의 요인 즉, 개인, 가족, 학교, 지역아동센터에 초점을 맞추었다. 개인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를, 가족 요인으로 부모 감독과 부모 애정을, 학교 요인으로 또래관계 와 교사관계를, 지역아동센터 요인으로 센터교사관계와 센터이용영향평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 상은 지역아동센터를 1년 이상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이 보건복지부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의 위탁을 받아 수집한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종단자료 중 2기 패널의 3차년도 자료이다.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구하고, 위계적 회 귀분석을 실시하여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 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은 개인, 가족, 학교, 지역아동센터 요인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부모 애정, 또래관계, 센터이용영향평 가로 나타났다. 설명력의 크기는 개인 요인, 가족 요인, 학교 요인, 지역아동센터 요인 순이었다. 특히, 개인 요인에 속하는 자아존중감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에 대해 가장 큰 설명력을 나타냈고, 가 족, 학교, 지역아동센터 요인을 투입한 후에도 유의하게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마련할 때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아동이 속한 사회적 환경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이 저소득가구 아동의 자기보호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보은,정선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9 아동과 권리 Vol.23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a community child center on the self-care and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children. Methods: Low-income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use of local children’s centers. The survey was conducted at 13 centers in a randomly sampled region amo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in a metropolitan area. Data from the 5th year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used. 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cross tabu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time according to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Second,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school adjus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non-users. Thir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the children’s self-care time on the influence of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on school adjustment. Fourth, in the analysis of controll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Conclusions: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positive effects may have come from the various servic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rather than the protection functions of community child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ought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s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childre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이 저소득가구 아동의 자기보호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저소득가구 아동을 지역아동센터 이용 여부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집단으로 수도권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중 무작위로 표집된 13개 센터의 아동을 설문조사하였다. 지역아동센터 비이용집단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초등학교 1학년 5차년도(2014)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여부에 따라 자기보호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집단은 비이용집단에 비해 학교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아동의 자기보호시간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분석에서도 지역아동센터 이용은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아동센터의 이용은 저소득가구 아동의 학교적응 수준과 정적 관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긍정적 효과가 지역아동센터의 보호기능을 통해서라기보다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서비스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가구 아동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역아동센터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 아동의 우울이 공격성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의 조절효과

        황윤미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7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 의 영향관계에서 아동이 지각하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우울과 자아탄력성의 영향관계에서 아동이 지각하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밝힘으로써 지역아동센터서비스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의 지역아동센터 패널조사 2014년도 1차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2014년 현재 1년 이상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4학 년생 606명이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우울할수록 공격성이 높고 자아탄력성은 낮게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에 덜 만족할수록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스러울 수록 자아탄력성은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우울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 서 비스의 조절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우울과 지역아동센터서비스만족이 상호작용하였을 때 공 격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지역아동센터의 만족스러운 서비스는 아동의 우울 을 조절하여 공격성을 완충하였다. 아동의 우울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 터 서비스의 조절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우울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이 상호작용하였을 때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운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i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service satisfaction perceived by children had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depression and aggression of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in the economically poor condition, and to reveal i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service satisfaction perceived by children had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depression and ego resilience in order to confirm the efficacy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 606 4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ho were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for over a year until 2014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1st survey data of 2014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survey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service in the effect of children’s depression on the aggression, it was revealed the aggression decreased when the depression interacted with the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satisfactory servic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relieved the aggression by moderating the children’s depress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service in the effect of the children’s depression on the ego resilience, it was shown the ego resilience heightened when the depression interacted with the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 satisfac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raising the efficacy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operation was suggested based on this study result.

      • 빈곤아동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하정민(Ha Jeong-min),이선우(Lee Sun-Wo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8 비판사회정책 Vol.- No.25

        빈곤아동은 살아가면서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 가장 초보적인 인간의 능력을 학습을 통해 쌓게 되는 아동기에 학업에 대한 흥미가 없고, 쉽게 하던 일에 싫증을 내어 도중에 포기하거나 과제의 수행 속도가 일반아동에 비해서 현저히 떨어지는 등의 학습동기 부족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 필요한 발달과업을 이루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 연구는 빈곤아동의 학습동기에 어떠한 변수들이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하여 학습동기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빈곤아동들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에 참여하고 있는 빈곤아동과 참여하지 않는 빈곤아동 중 5학년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60명의 자료를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 빈곤아동의 학습동기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5학년이 6학년보다, 양부모가정의 아동이 한부모가정의 빈곤아동보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자율적일 때 빈곤아동의 학습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아동이 학교에서 생활하며 교사와 친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학습동기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빈곤아동의 학습동기가 다니지 않는 빈곤아동의 학습동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아동 센터에서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또래 사이에서 인기가 많을수록, 또한 지역아동센터 교육프로그램 분위기, 학습 외 다양한 교육경험, 그리고 학습경험을 아동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습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아동의 학습동기에 대한 각 변수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부모가정의 아동보다 양부모가정의 아동이, 부모가 자율적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빈곤아동이 학교에서 교사와 친구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학습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빈곤아동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빈곤아동들은 학교의 교사와 또래관계가 원만하고 지역아동센터의 또래 친구들이 자신을 좋아한다고 느끼고 있을 때 공부도 더 의욕적으로 열심히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빈곤아동의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해 본다면 초등학교 고학년에 재학 중인 빈곤아동과 한 부모가정 아동에게 자신의 취미와 소질을 자신 있게 발휘하고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부모의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고취하기 위한 부모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빈곤아동이 학교의 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사회성 증진을 도모하고 특히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아동센터에 참여하는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학습동기가 높게 나타난 것을 비추어 보았을 때, 아이들이 중도에 지역아동센터를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다닐 수 있도록 돕고 이들이 학업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학업과 인성프로그램, 체험학습을 적절하게 병행하여 사설학원과는 다른 관점에서 빈곤아동이 학습동기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Children from poor families easily tend to have no interest in learning, get bored with or give up things they have been doing, or are much slower in performing a task than children from middle income families during childhood, when they are supposed to learn about the most fundamental human skills including knowledge, functions, and attitudes needed throughout their lives. Such a serious lack of their learning motivation gives them a hard time attainting the necessary developmental accomplishments. Thu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what variables will affect poor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those poor children having difficulties from lack of learning motivation. The samples included fifth and sixth graders that participated or didn't participate in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otal 260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for Windows 10.0, an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study's findings are: the overall learning motivation of the poor children was relatively high not as expected. The girls are more motivated than the boys. And the fifth graders had higher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sixth graders, poor children with both parents were more motivated to learn than those with a single parent. Also, the children whose parents had the receptive and autonomous upbringing attitude had mor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more positive the children considere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friends at school, the more learning motivation they had with community child care center factors, the children with experience with a center had higher learning motivation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The better they got along with the friend at the center and the more popular they were among the friends, the more learning motivation they showed. Moreover,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they had of the atmosphere of the programs, diverse educational experiences other than learn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he more learning motivation they ha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each variable on their learning motivation. As a result, they had more learning motivation when they were raised in with both parents rather than with a single parent and by the parents who had the autonomous upbringing attitude. The children had more learning motivation when they saw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and friends at school positive. The influences of each variable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ose children attending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ere investigat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y were more enthusiastic about learning when they had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friends at school, and when they felt that the peers at the center liked them.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ncrease the learning motivation of poor children. The poor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and Single parent should receive the chances to exert their hobbies and talents with confidence, and work with them actively. Also parent education to teach them about the proper and autonomous upbringing attitude will be very helpful. The programs should be reinforced to facilitate their sociality to lead a school life better and to help them form positive peer relations and maintain them. Last given that those children attend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ere more motivated to learn than those who didn't attend, efforts should be made to help poor children to participate in a center. Community child care center needs to provide them with a proper combination of study, personality programs, and experience learning for them not to lose interest in study, and to search for the ways to increase their learning motivatio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a private academic institute.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돌봄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센터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희,김상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5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의 돌봄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센터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영향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3기 3차패널(2020)에 응답한 초등학교 6학년 578명(남자 274명, 여자 30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Amos 29.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역아동센터의 돌봄서비스, 또래애착, 센터이용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돌봄서비스가 높을수록 이용 아동의 센터이용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돌봄서비스가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또래애착이높을수록 센터이용만족도는 높은 것을 분석하였다. 넷째, 지역아동센터 돌봄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센터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센터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터가 돌봄서비스에 해당하는 5대 영역(교육, 보호, 문화, 정서지원, 지역사회연계)을 특화하여 이용 아동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아동센터는 학습과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이용하는 아동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하여 또래관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센터이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care services provided by local children's cen ters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 using the cent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in this relationship. Methods To this end, 578 sixth graders (274 boys, 304 girls) who responded to the 3rd panel of the 3rd period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children's panel (2020)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29 statistical program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care serv ices of local children's centers, peer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th center us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are service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using the center. Second, the higher the care service of the children using the local children's center, the higher the peer attachment. Thir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eer at tachment of the children using the local children's center,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center. Fourth, the par tial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the care service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on th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using the center.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enter use, local children's centers should specialize in the five areas of care services (education, protection, culture, emotional support, and community connection) to meet the needs of children using them. In addition, local children's centers should have children using them voluntarily par ticipate in the learning and program process, communicate, and improve peer relationships. Based on the above results,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박신혜,김경화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In previous studies,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reported difficulties in school adap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variables related to school adap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In this study, we surveyed 208 children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Baron and Kenny’s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The mai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elf-esteem perceived by the children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played a part of mediating role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social support network and self-esteem of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was rais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has proven that the social support and the self-esteem are key elements on the school adjustment for the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선행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은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학교적응과 관련된 변인을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Baron &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적 지지망 형성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 개입과 실천의 당위성을 시사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학교적응과 부모자녀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센터이용도움의 매개효과

        문지혜,김진숙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the chil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help of Community Child Center by the school adaptation and parents-child activity of the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To this end, we conduct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using the data of ‘the 2016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s Panel Survey’ to examine the impact of school adaptation and parent-child activities on children's happiness in 662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school adaptation and parents-child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 The higher the school adaptation and the positive parent’s activity, the higher the happiness of the child,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ffecting the happiness of child was school adapt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aptation, parent child activity and child's happiness, help of Community Child Center played a mediating rol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inkage with the school and the parent system and to introduce a support system that can strengthen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the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학교적응과 부모자녀활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센터이용도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 지역아동센터아동패널’에 참여한 응답자 중 초등학교 6학년 662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 부모자녀 활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이 높고 부모자녀 활동이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행복감은 높아졌으며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변수는 학교적응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부모자녀활동과 아동의 행복감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센터이용도움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볼 때,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 및 부모체계와의 연계 강화 및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센터이용 경험

        정선욱(Sun Wook Jeong),김진숙(Jin Sook Kim)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ildren’s experiences of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by comparing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ho continued to use community child centers with those of children who discontinued the use. For this study, we made reference to “A panel survey on children & youths in socially disadvantaged families and welfare facilities III” presen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performed an inductive analysis on the interviews with 29 children, some of whom continued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while the rest discontinued the use. Major outcome of such analysis was that the discontinued group of the children expressed relatively negative comments on their experienc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although both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ir general experiences toward the use of the centers. The reason of drop-out was dependent on who determined. Parents’ interruption was due mostly to the dis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s learning experienc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while children dropped out of the centers mainly due to the relationship issues with their teachers and/or peers in the centers. Children who had continued experienc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recognized the centers as an enjoyable and restful place, which experiences are caused primarily bytheir relationship with the peers. To the contrary, children who dropped out understood the centers as not fully enjoyable. Based on this analysis, we proposed a couple of ideas about how to develop community child centers to be more user-friendly pl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