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주자의 풍수이론과 제례문화의 연관성 -산릉의장을 중심으로-
김기학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9
This paper will shed light on the Feng Shui Thought and ritual culture of the intellectuals in Song Dynasty according to the Feng Shui Thought of Chu Hsi inherent in San Reung Ui Jang(山陵議狀). In addition, it will take a look at Chu Hsi’s viewpoint and the stance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regarding the Li-Gi Theory(理氣論) and Hyoung-Gi Theory(形氣論) of Feng Shui which have been always considered problems in Feng Shui geography and will keep track of what i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eng Shui Thought and the ritual culture. In the case of Chu Hsi’s stance on Feng Shui, Hyoung-Gi Theory(形氣論) prevails over Li-Gi Theory(理氣論). And, he put more importance on Hyeol(穴), a kind of natural pathways for the energy, in Hyoung-Gi Theory(形氣論) and placed emphasis on Hyeol-Jeung Method(穴證法) accordingly while using Do-Jang Method(倒杖法) according to the mountain range(龍脈). The Do-Jang Method is about “will the grave site, that is to say the body and soul, be located in higher, lower, or middle places, or on the side according to vei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hu Hsi’s Hyeol-Jeung Method, it is about “whether there is water in the grave site, the soil of the grave site is solid or fragile?, or will you dig in the grave site deeply or not?” Chu Hsi actually experienced them by actually digging the grave yard.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Chu Hsi sought phenomena and empirical factors. The Chu Hsi also asserted the sympathized relation. However, for him, the sympathized relation is the selective sympathized relation. The sympathized relation presented in general Feng Shui asserted that if you worship the body and spirit of your ancestors in good land, it will bring all descendents good luck. But, the Chu Hsi said that the sympathized relation occurs, but it depends on the selective choice. This paper will follow the track of what is the basis for the Chu Hsi’s opinion. This paper will also examine the Chu Hsi’s viewpoint on the ritual culture. For him, the ritual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towards the completion of personality and becomes a special matter that form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regarding the ancestors’ safety and the prosperity of descendants. Furthermore, the ritual culture is not just about respecting ancestors for him. The Chu Hsi’s Feng Shui Though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eng Shui Thought and ritual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re King HyunJong talked to Song Siyeol about the procedure of moving the royal tombs, record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known as Joseon Wangjo Sillok, Song Siyeol responded to it based on the ritual and Chu Hsi Theory. This is the case that the Chu Hsi’s Feng Shui Though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eng Shui Thought and ritual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Understanding the Chu Hsi’s Feng Shui Thought is also a way of understanding the Feng Shui Thought and ritual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본고에서는 「산릉의장」에 내재한 주자의 풍수사상에 의거하여 그 시대(송나라) 지식인들의 풍수사상과 제례문화를 조명해 볼 것이다. 또 풍수지리에서 항상 문제점으로 남아있는 풍수 이기론과 형기론에 관하여 주자의 시각과 동시대 지식인들의 입장을 살펴보고, 이러한 풍수사상이 제례문화와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추적할 것이다. 주자의 풍수에 관한 입장은 이기론(理氣論)보다 형기론(形氣論)과 기감론(氣感論)을 우선한다. 그리고 형기론 중에서 혈(穴)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용맥(龍脈)에 따른 도장법(倒杖法)을 사용하고, 또한 혈증법(穴證法)을 중요시 한다. 도장법은 맥(脈)에 따라서 묘택(墓宅), 즉 형신(形神)을 높은 곳에 모실 것인가? 낮은 곳에 모실 것인가? 용맥의 가운데로 모실 것인가? 한쪽으로 모실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주자의 혈증법은 묘택에 물이 있는가? 없는가? 묘택의 흙이 단단한가? 부서지는가? 묘택을 깊게 팔 것인가? 낮게 팔 것인가를 실증하는 문제이다. 주자는 실제로 땅을 파면서 이것들을 직접 경험하였다. 이로 볼 때 주자는 현상과 실증적인 것을 추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자는 또한 기감(氣感)에 따른 동기감응도 주장한다. 그러나 주자에 있어서 동기감응이란 선택적인 동기감응이다. 일반 풍수설에서 제시하는 동기감응은, 조상의 형신을 좋은 땅에 모시면 모든 자손이 발복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주자는 동기감응은 일어나지만, 그런 현상은 제례를 통한 제한적 선택에 의한다고 말한다. 본고에서는 주자의 이러한 주장이 어디에 근거하는가를 추적하겠다. 본고에서는 주자의 제례에 대한 입장도 살펴 볼 것이다. 주자에 있어서 제례는 인격의 완성으로 가는 중요한 요소이며, 조상의 안위와 자손의 번창에 관련하여 불가분의 관계를 형성하는 특별한 기제가 된다. 주자에 있어서 제례는 단순히 조상 공경에 머무는 것이 아닌 것이다. 주자의 풍수사상은 조선시대 풍수사상과 제례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조선왕조실록에 현종이 천릉의 절차를 송시열에게 의논한 기록에서 송시열은 의례와 주자설에 입각하여 답변한다. 이것은 주자의 풍수사상이 조선의 풍수와 제례문화에 영향을 준 사례이다. 그러므로 주자의 풍수사상을 이해하는 일은 조선의 풍수사상과 제례문화를 알 수 있는 일이기도 하다.
이영호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논어』는 유가의 비조인 공자의 언설이 기록되어 있는 경전이기에 동아시아 각국의 수많은 경학자들이 주석을 내곤 하였다. 이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논어』 주석서는 朱子의 『論語集注』인데, 주자는 이 책에서 경전해석학의 중요 방법인 義理와 훈고를 반영해내었다. 그런데 주자 이후 중국의 주자학파는, 양명학과의 사상 투쟁 과정에서 그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노력했기 때문에 자연히 주자의 경전해석방법 중 의리에만 치중하고 훈고는 소홀히 하였으며, 이러한 학문적 태도는 그들의 『논어』 해석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한편 조선의 退溪는 『論語釋義』를 저술하면서 주자의 『논어』 주석을 준거로 삼았다. 때문에 그는 『논어』를 해석할 때 기본적으로 주자학적 의리에 충실하였지만, 때로는 經典의 本旨를 찾고자 노력했으며, 또한 경문의 자구를 조선어로 풀이하는 훈고에도 매진하였다. 퇴계 이후 영남 퇴계학파와 근기 퇴계학파는 주자와 퇴계의 영항 아래 각기 다른 경학적 특징들을 내포하는 『논어』 주석서들을 집필하였다. 영남 퇴계학파의 李德弘은 『論語質疑』를 통해 스승의 『논어』설을 준수하는 방향에서 『논어』를 해석했으며, 柳長源은 『論語纂註增補』에서 중국 주자학파의 『논어』설을 집성하였고, 柳健休는 『東儒論語集解評』에서 조선 주자학파의 『논어』설을 집대성하였는데 그 공통적 특징으로 주자학적 의리에 대한 정치한 분석을 들 수 있다. 한편 근기 퇴계학파의 종장인 李翼은 『論語疾書』에서, 주자의 의리정신을 높이 평가하였지만, 주자학적 의리와는 다른 새로운 의리-예컨대 현실과 이익의 중시-를 그의 『논어』해석에 투영시켰다. 또한 동아시아 『논어』 주석사에서 특기할 만한 『논어』주석서인 『論語古今註』를 남긴 丁若鏞도, 훈고만을 고집하는 한학을 배척하고 의리를 중시하는 주자학을 존숭하였다. 그러나 그 역시 이기심성론이 중심에 놓여있는 주자의 『논어집주』와는 달리, 『논어고금주』에서 경세치용을 지향하는 해석체계를 수립하였다. 주자가 『논어집주』에서 이룩한 훈고와 의리의 종합이라는 경학적 성과는 중국주자학파에서는 계승이 되지 않고, 조선의 퇴계에 와서야 계승이 되었다. 이후 퇴계학파는 의리를 중시하였다는 점에서는 중국의 주자학파와 별반 차이가 없다. 그러나 영남 퇴계학파의 경우는 주자학적 의리를 정치하게 파고들었고, 근기 퇴계학파의 경우는 조선후기 역사적 상황에 부합하는 새로운 의리를 그들의 『논어』 주석에 투영시켜 놓았다는 점을 차이점 내지 특색으로 들 수 있다. Many scholars in East Asian countries have written numerous annotation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since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the scripture that wrote down the remarks of Confucius who is a founder of Confucianism. Among all those annotations, the most influential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the <NoneoJipJu> written by Chu Hsi. Chu Hsi reflected the scholia and trend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which are important methods for the studies of scripture interpretation. The Chu Hsi school in China after Chu Hsi, however, had tried to establish its identity during the philosophical dispute with the Wang Yangming school. The philosophical dispute with the Wang Yangming school made the Chu Hsi school to focus on not scholia but trend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The Chu Hsi school's attitude towards trend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had been reflected o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Meanwhile, ToeGye in Choson used the Chu Hsi's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hen he wrote <NoneoSukEui>. He was basically loyal to the way of focusing on the contents in the context. But sometimes he tried to make an effort to find 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cripture. He also made an effort to scholia that translated the sentences of the scripture in Choson language After ToeGye, YoungNam ToeGye school and KeunKi ToeGye school had written several annotation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includ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under the influence of Chu Hsi and ToeGye. Lee, DukHong in YoungNam ToeGye school interpre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the accordance of his master's theory in his book, <NoneoJilEui>. In his book, <NoneoChanJuJeongBo>, Yoo, JangWon compiled the theorie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of Chinese Chu Hsi school. Yoo, KeonHyu collected the theorie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of Korean Chu Hsi school in his book, <DongYuNoneoJipHaePyung>.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were based on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Meanwhile, the master of KeunKi ToeGye school. Lee, Ik had a different view of the trend of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from that of Chu Hsi although he highly evaluated Chu Hsi's spirit for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He developed a new way of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 for instance, putting on the importance of reality and profit - in his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Chong, Yagyong who wrote <NoneoKoKeumJu>, that was a special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history of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East Asian countries, excluded exegetical studies and showed his respect to the studies of Chu Hsi classics. Having Difference from Chu Hsi's <NoneoJipJu> that focused on less practical issues, he, however, built on the interpretational system that pointed to practical usage of running the state in his <NoneoKoKeumJu>. Chu Hsi's scholaristic outcome that combined scholia and the way of focusing on the contents in the context had been succeeded not in Chinese Chu Hsi school but in Choson Chu Hsi school. The ToeGye school made little difference with the Chinese Chu Hsi school in terms of putting on the importance on the way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s. YoungNam ToeGye school, however, was different from the Chinese Chu Hsi school in terms of studying the way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s in detail. KeunKi ToeGye school was different from Chinese Chu Hsi school in terms of developing new theory of seeing the way of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s of the scriptures. That new theory corresponded to the historical situation in the late era of Choson dynasty.
『朱子家禮』의 方位觀을 통해 본 喪禮의 질서양상과 그 우주론적 배경 — 『朱子語類』, 「理氣」 下篇을 중심으로 —
지현주 동양철학연구회 2017 東洋哲學硏究 Vol.91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cosmological background around the funerary Rites of Chu Hsi’s Family Rituals, to study an order-aspect of family member focusing on Classified Conversations of Master Chu. Because of an order-aspect of Chu Hsi’s family rituals and the background of cosmography theory belong to all of volumes of chu Hsi’s family Rituals, it is enough to analyse in case the funerary Rites. The background of cosmographical theory through an order-aspect of Chu Hsi’s family Rituals is drawn the ancient theory of canopy Heaven and enveloped Sky, this paper is examined about the structure of the Earth and the Heaven, the theory of celestial movement in the Classified Conversations of Master Chu. It is 4 kinds of an order-aspect, There are up and down, arrange, out and in, directions. At this point is what a clue not to seize on in the former research, is compared to theory of yin and yang, without concrete order-aspects. On this account, an order-aspect of Chu Hsi’s family Rituals is construed as not only theory of yin and yang, but also scientific viewpoint as called 氣phenomenon. A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started with in these respects. An order-aspect of family member enveloped dead in the funerary Rites through the idea of directions of Chu Hsi’s family Rituals is to be high rank, in which is based on the cosmography of ‘天包於地’ centered the Earth. In South-Song period, Chu Hsi has developed cosmology, to deny the ‘theory of rotating rightly’ by 曆家, to feel satisfaction the ‘theory of rotating leftly’ by zhānghéngqú(张横渠). So Chu Hsi’s cosmology could be not explained which is not ‘theory of 理氣’. Therefore this paper would understand in the cosmography, the sky rotating to the left and moon and Sun are to rotate to the left go after Sky. 본 연구의 목적은 『家禮』의 喪禮를 중심으로 家人의 질서양상을 상고하여 『語類』의 리기 하편의 천지 하를 중심으로 그 우주론적 배경을 밝히는 것이다. 『가례』의 질서양상과 그 우주구조론적 배경은 모든 편에 해당되나 본 연구에서는 상례 편만을 분석하였다. 『가례』의 질서양상을 통해 본 우주론적 배경은 고대우주론인 개천설과 혼천설에서 도출되었는데 본고는 천지의 구조와 천체운행론에 주목하였다. 「상례」 편의 질서양상이 우주구조론에서 상고될 수 있었던 점은 승강, 주선, 출입, 향배에 있다. 이러한 관점은 이전 연구에서 착목하지 못한 단서인데 구체적인 질서양상을 상고할 수 없었던 음양론과 대비된다. 이 때문에 『가례』의 질서양상은 음양론에서가 아니라 氣的 현상이라 불리는 자연과학적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방법론이 도출되었다. 남송대 당시 역가의 우행설을 부정하고 장횡거의 좌선설을 매우 좋다고 여긴 주희가 전개한 우주론은 리기설을 떠나서 설명될 수 없었다. 이는 본고가 질서양상의 배경으로 파악한 하늘과 일월의 좌선일치를 추구한 우주구조론에서 이해될 수 있었다. 『가례』의 방위관념으로 본 喪禮에서 死者를 둘러싸는 가인의 질서양상은 천체운행론과 천지의 구조에서 밝혀졌다. 이는 중심방위를 상위로 삼는 가인의 위계질서가 땅을 중심으로 하는 ‘天包於地’의 우주구조론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강문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문화 Vol.0 No.89
Jeongjo evaluated the writings of Yi Hwang and Song Si Yeol as the most important core of the study on the writings of Chu Hsi in Joseon dynasty. And he also had a relatively accurate understanding of other scholars’ research. about the writings of Chu Hsi. Jeongjo had a plan to make a compilation of Jujajeonsoe(朱子全書) and include the research results of Joseon scholars in Jujajeonsoe. This shows that Jeongjo highly evaluated the level of Joseon scholars’ research on the writings of Chu Hsi. Jeongjo’s research on the writings of Chu Hsi was began in 1767 when he was in his mid teens. At that time he studied Jujadaejeon(朱子大全), the collection of Chu Hsi’s works. And from his twenties, Jeongjo compiled several anthologies of the writings of Chu Hsi. His study of the writings of Chu Hsi since 1767 provided the basis for the compilation of the anthologies. Jeongjo selected 100 of Chu Hsi's most important letters from Jujaseojeolyo(朱子書節要) written by Yi Hwang and compiled an anthology named Juseobaekseon(朱書百選). Jeongjo wanted to use Juseobaekseon as a textbook for Chogye-munshin and students of Confucianism. For this purpose he confirmed the oral formula graph of Juseobaekseon. And in 1800 Jeongjo distributed this book throughout the country for encouraging scholars to learn Juseobaekseon. We can sum up three points that Jeongjo emphasized through Juseobaekseon. First Jeongjo criticized the problems of other learnings excluded Neo-Confucianism for protecting Neo-Confucianism as a orthodox learning. Second, Jeongjo agreed to Chu Hsi’s theory of political faction. It means that Jeongjo’s theory of impartiality have something to do with Chu Hsi’s theory of political faction as the construction of the party of Kunja. Third, He emphasized the assisting of King to the right way as the responsibility of the Chancellor.
『주자가례(朱子家禮)』의 방위관(方位觀)을 통해 본 상례(喪禮)의 질서양상과 그 우주론적 배경 ― 『주자어류(朱子語類)』, 『이기(理氣)』 하편(下篇)을 중심으로 ―
지현주 ( Ji Hyunjoo ) 동양철학연구회 2017 東洋哲學硏究 Vol.91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cosmological background around the funerary Rites of Chu Hsi`s Family Rituals, to study an order-aspect of family member focusing on Classified Conversations of Master Chu. Because of an order-aspect of Chu Hsi`s family rituals and the background of cosmography theory belong to all of volumes of chu Hsi`s family Rituals, it is enough to analyse in case the funerary Rites. The background of cosmographical theory through an order-aspect of Chu Hsi`s family Rituals is drawn the ancient theory of canopy Heaven and enveloped Sky, this paper is examined about the structure of the Earth and the Heaven, the theory of celestial movement in the Classified Conversations of Master Chu. It is 4 kinds of an order-aspect, There are up and down, arrange, out and in, directions. At this point is what a clue not to seize on in the former research, is compared to theory of yin and yang, without concrete order-aspects. On this account, an order-aspect of Chu Hsi`s family Rituals is construed as not only theory of yin and yang, but also scientific viewpoint as called 氣phenomenon. A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started with in these respects. An order-aspect of family member enveloped dead in the funerary Rites through the idea of directions of Chu Hsi`s family Rituals is to be high rank, in which is based on the cosmography of `天包於地` centered the Earth. In South-Song period, Chu Hsi has developed cosmology, to deny the `theory of rotating rightly` by 曆家, to feel satisfaction the `theory of rotating leftly` by zhanghengqu(張橫渠). So Chu Hsi`s cosmology could be not explained which is not `theory of 理氣`. Therefore this paper would understand in the cosmography, the sky rotating to the left and moon and Sun are to rotate to the left go after Sky.
『논어(論語)』,『맹자(孟子)』의 경문(經文)과 주자(朱子) 집주(集注)의 문법(文法) 비교(比較) -문법 설명 양상과 의의를 중심으로-
정만호 ( Man-ho Jeong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4 No.-
朱子의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는 후대의 학자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집주의 내용은 자학(字學)으로부터 역사(歷史), 철학(哲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데, 본고는 문법 측면에 초점을 맞춰 주자집주의 문법 설명 방법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를 요약하면 주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경문(經文)의 문법을 설명하였다. 첫째, 경문에 사용된 허사를 유사한 허사로 대체하였다. 둘째, 경문의 도치된 어순을 한문의 기본 어순대로 변환하였다. 셋째, 경문에서 생략한 문장성분을 적극적으로 보충하였다. 넷째, 허사를 활용하여 경문과 다른 결구형식으로 전환하였다. 주자는 집주에서 문법을 직접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이상의 방법을 꾸준히 사용하였다. 이는 우연히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주자가 집주를 기술하면서 문법 설명에도 관심을 기울인 결과라 하겠다. 주자 집주의 문법 설명 방법이 새로운 문법이론을 제시해 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기존에 제시된 문법 이론들을 예문을 통해 실증적으로 보여준다는 점, 상호 비교 가능한 예문을 생산해 냈기 때문에 이를 문법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초학자의 독해력 신장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 결구형식이 전환된 문장을 통해 修辭 방법 및 연구에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Saseojanggujipju(四書章句集注)』 had a massive impact on the later scholars. The contents of variorum notae are extensive from literature to history and philosophy, and this writing examined the method of grammatical explanation of Chu Hsi variorum notae by focusing on grammatical aspects. To summarize the examination result, Chu Hsi explained the grammar of the the way as follows: First, Chu Hsi replaced the expletive used for the text with its similar expletive. Second Chu Hsi converted the inverted word order of the text to the basic word order of Chinese classics. Third, Chu Hsi aggressively replenished the sentence constituent omitted in the text. Fourth, Chu Hsi converted to the structural form differing from the text using expletives. It was found that Chu Hsi didn’t directly explain the grammar in variorum notae, but he used the above methods steadily.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thing made by chance but as the result of his concentration of concern for grammatical explanation as well while describing variorum notae. The method of grammatical explanation shown in Chu Hsi variorum notae doesn’t suggest a new grammar theory. However, it’s possible to find significance from his method in that Chu Hsi’s method of grammatical explanation shows the grammar theories suggested in the past through example sentences; his method of grammatical explanation produced mutually comparable example sentences, so it’s possible to induce the increase in a beginning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by applying the example sentences to grammar education, and Chu Hsi’s method of grammatical explanation is available for rhetorical method & research through the sentences whose structural form are converted
박명희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9
This study analysed how the respect to Chu Hsi was realized, focusing on the three poems by Yoo, Hui-chun:「Inspiration」, 「Hard Studying」, and「Banmudang」. It is recorded that Yoo, Hui-chun had an absolute consciousness of following Chu Hsi. It is related with the flow of thoughts of the 16th century and he showed his honor to Chu Hsi in the poems titled「Inspiration」, 「Hard Studying」, and「Banmudang」. The 「Inspiration」is made of a total of four passages and each of them is connected to organize his respect. It was based on「Jaegugamheung」by Chu Hsi, but it is distinctively represented through presenting the reality of Confucianism at that time and his academic status. The「Hard Studying」is made of a total of 50 passages and reveals Chu Hsi's enthusiasm about studying. Yoo maintained the attitude to learn Chu Hsi's knowledge through the poem. The「Banmudang」is made of a total of twenty passages which show he was mentally united with Chu Hsi through a medium of water. He considered water in the poem and developed the poem with attitude as a Taoist. It shows that such attitude was derived from Chu Hsi. 「Inspiration」, 「Hard Studying」, and 「Banmudang」dramatically show Yoo Hui-chun's attitude to honor Chu Hsi, through which we can understand how confucian scholars of the 16th century accepted the poetry by Chu Hsi. 본 논고는 유희춘의 시 「감흥」, 「곤학」, 「반무당」 세 작품에주목하여 주희에 대한 존숭 의식의 구현 양상과 도학시로서의가능성 등을 논의하였다. 유희춘은 여러 기록을 통해 볼 때 朱熹에 대한 존숭 의식이절대적이었다. 이것은 당대 16세기라는 사상의 흐름과 관련된 것으로 유희춘은 그러한 주희에 대한 敬慕를 실제 「감흥」, 「곤학」, 「반무당」 등과 같은 작품을 통해 依倣해 보임으로써 그의의식의 한 단면을 보여주었다. 먼저 「감흥」 시는 총 4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의 「재거감흥」 20수를 의방한 작품이다. 유희춘은 「감흥」4수는 체계적인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그러는 가운데 자신의 주희의 존숭 의식을 담았다. 1연에서는 孔孟 이후 시들기 시작한 성리학이 송때 이르러 부흥했음을 밝히며 특히, 주희의 공을 드러내었고, 2연에서는 유희춘 자신이 주희의 학문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3연에서는 주희의 格物致知說과 연관지을 수 있는 觀物論을 언급하였으며, 마지막 4연에서는 주희의 학문을 통해 후대의 학자 및 자신이 이룬 성과를 언급함으로써 존숭 의식의 깊이를 알렸다. 두 번째 작품인 「곤학」시는 총 50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의 「곤학」시를 의방한 작품이다. 유희춘은 「곤학」시를 통해 자신이 한때 학문에 게으른 적도 있었지만, 결국 주희의 학문을익히고자 하는 의지를 저버리지 않았음을 밝히며, 존주자 의식의 깊이를 다시 한 번 새겼다. 앞에서 본 「감흥」4수에 비하면학문적 깊이를 알 수는 없지만, 존주자 의식을 재무장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세 번째 작품인 「반무당」은 총 20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의 「관서유감」을 의방한 작품이다. 유희춘은 「반무당」에서 물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주희와 정신적으로 일화체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주희의 「관서유감」은 물이라는 객관사물을 매개로 시적 정감과 도학적 사유를 융합하였는데, 유희춘도 「반무당」에서물을 각별히 생각하고 도학자적인 입장에서 시 내용을 전개하였다. 그러면서 자신의 그러한 도학자적인 면모는 주희에게서유래했음을 나타내 보여주었다. 이상 유희춘의 「감흥」, 「곤학」, 「반무당」 세 작품을 통해 존주자 의식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폈다. 세 작품에서 보인존주자 의식의 양상은 相異했지만, 주희의 학문과 사상을 받아들이려는 자세는 강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감흥」시의 3연에서는 觀物察理의 시학을 드러내었음을 구명하였는데, 이것은곧 주희의 격물치지설과 연관지으며 도학시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유희춘의 존주자 의식을 담은 시는 16세기성리학이 점차 무르익어 가는 시점에 나온 작품으로 학문이 어떤 양상으로 수용, 표출되었는지를 알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았다.
최진덕(崔眞德) 한국국학진흥원 2010 국학연구 Vol.16 No.-
??주자가례??라는 작은 예서는 조선사회를 고려사회와는 전혀 다른 모습의 사회로 바꾼 원동력이었다. 그러나 이 작은 예서가 신분적 위계질서를 강조함으로써 반상의 차별을 강화했다는 통념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 패트리샤 애브리는 ??주자가례??가 정치적 신분을 무시하고 계급간의 차별을 완화함으로써 사회통합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신분?종법?나이 등의 위계질서를 떠나서는 예란 존립할 수 없다. 그럼에도 주자학의 예학은 근본적으로 평등주의적 경향을 보여준다. 주자학이 지배한 조선사회가 반상의 차별이 엄존하는 가운데서 ‘동질성이 매우 강한 사회’였다는 지적은 흥미롭다. 아마도 주자학의 영향력이 더 심화되는 후기로 갈수록 동질성이 더 강해져서 신분질서 와해현상마저 보여주었을 것이다. 주자학의 예학이 보여주는 평등주의적인 경향은 아마도 천지만물이 현상적으로는 서로 다르지만 근원적으로는 서로 같다고 믿는 이학理學 때문일 것이다. 주자학의 예학은 그런 이학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의례??를 모델로 하면서도 인정과 시속에 따라 간편簡便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바로 이것이 ??주자가례??와 같은 말썽 많은 사례四禮 매뉴얼이 출현하게 된 배경이다. 간편의 극치는 무례無禮일 것이다. 하지만 주자학도 효제와 종법을 존중하는 유학의 일종이므로 실제로 무례까지 용인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and its customs in Chosun dynasty was modelled on a small liturgical manual called Chu Hsi's Family Rituals. which was a compromise between the ancient rituals in Confucian Classics and the contemporary customs in Sung China. Some people may believe that Chu Hsi's Family Rituals must be responsible for the various social discriminations according to political ranks, But Patricia Ebrey maintains that by neglecting political ranks Chu Hsi's Family Rituals removed the obstacles to upward social mobility so as to help achieving solidarity of Chinese society. As a social historian she explained the egalitarian tendency of Neo-Confucian ritualism, including Chu Hsi's Family Rituals, by recourse to the personal experiences of Neo-Confucian scholars in Sung China. I think her socio-political explanation is not so satisfactory. In Neo-Confucianism it is truly believed that all men are fundamentally equal because they all have the same nature given by the Heaven. However Confucian rituals cannot exist without various hierarchies. If then, the Neo-Confucian egalitarian belief would be inconsistent with Confucian rituals. Nevertheless the Neo-Confrucian scholars, including Chu Hsi, believe that Confucian rituals are originated from the Heavenly Principle given to all men and all things and that the oneness by the Heavenly Principle is more fundamental than various hierarchical orders and Confucian ritual forms. Chu Hsi's Family Rituals is a liturgical manual reflecting the Neo-Confucian ritualism influenced by the belief in the Heavenly Principle. Perhaps the fact that the late Chosun society was very homogeneous would be an evidence to show the nature of Chu Hsi's Family Rituals.
김인철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9 No.-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regarding ‘Saints accept Ho Tu(河圖) as a rule’ mentioned by Chu Hsi(朱熹)centering around responses and opinions expressed by Toegye Lee Hwang(退溪李滉) and Seongho Lee Ik(星湖李瀷). Chu Hsi’s interpretation on ‘Saints accept Ho Tu as a rule’ is based on Xian Tian Lun(先天論) by Shao Yung (邵雍), and saints represented by Fu Xi Shi(伏羲氏) analogized Ba Gua(八卦) based on the concepts of numbers and bearings of Four Symbols(四象) and defined directions with regard to Ho Tu Shu(河圖數)of four directions represented by Four Symbols. Toegye proactively accommodated Chu Hsi’s view, and it was materialized through disclosure of interpretational characteristics of Chu Hsi. In comparison, Seongho adopted a different standard from Chu Hsi by dividing Ho Tu Shu into odd numbers and even numbers while rationally analogizing Ba Gua Fang Wei(八卦方位) from Ho Tu based on larger or smaller numbers and bearings 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yin and yang of numbers. Different responses from Toegye and Seongho with regard to Chu Hsi’s interpretation unveil Toegye’s consistent respect for Chu Hsi and Seongho’s critical acceptance of different views based on efforts to figure out new reasonable alternatives, and it stems from their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studying. According to Confucian Analects(論語), it can be summarized as ‘Passing down old ideas without creating new ones(述而不作)’ and ‘Gaining new insights through restudying old material.(溫故知新)’ Such differences led to advancement of Chu Hsi’s philosophy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while paving the way for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based on Silhak(實學). 본고는 朱熹의 ‘聖人則河圖’에 대한 해석을 두고 그에 대한 退溪李滉과 星湖李瀷의 반응과 견해를 중심으로 양인이 노정하고 있는 해석학적 입장의 차이점과 그 의의를 검토한 것이다. 朱熹의 ‘聖人則河圖’에 대한 해석은 邵雍의 先天論을전제로 하여 聖人즉 伏羲씨가 四象으로 상정되는 四方의 河圖數를 四象의 數와位의 개념을 통해 八卦를 유추해 내고 그 방향을 규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퇴계의 반응은 주희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수용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는데, 그것은 주희 해석의 특징을 闡揚하는 것으로써 구체화 되었다. 이에비해 성호는 주희와는 다른 기준, 즉 河圖數를 홀수, 짝수로 구분하고 數의 많고적음 그리고 數의 陰陽的性格에 따른 방위 설정 등을 근거로 하여 河圖로부터八卦方位를 합리적으로 유추해 내고 있다. 주희 해석에 대한 퇴계와 성호의 상이한 반응은 퇴계가 주희에 대해 尊信, 私淑하는 자세로 일관하였다고 한다면,성호는 아무리 주희라 하더라도 의심스러운 점은 의심하며 새로운 합리적 대안본고는 朱熹의 ‘聖人則河圖’에 대한 해석을 두고 그에 대한 退溪李滉과 星湖李瀷의 반응과 견해를 중심으로 양인이 노정하고 있는 해석학적 입장의 차이점과 그 의의를 검토한 것이다. 朱熹의 ‘聖人則河圖’에 대한 해석은 邵雍의 先天論을전제로 하여 聖人즉 伏羲씨가 四象으로 상정되는 四方의 河圖數를 四象의 數와位의 개념을 통해 八卦를 유추해 내고 그 방향을 규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퇴계의 반응은 주희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수용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는데, 그것은 주희 해석의 특징을 闡揚하는 것으로써 구체화 되었다. 이에비해 성호는 주희와는 다른 기준, 즉 河圖數를 홀수, 짝수로 구분하고 數의 많고적음 그리고 數의 陰陽的性格에 따른 방위 설정 등을 근거로 하여 河圖로부터八卦方位를 합리적으로 유추해 내고 있다. 주희 해석에 대한 퇴계와 성호의 상이한 반응은 퇴계가 주희에 대해 尊信, 私淑하는 자세로 일관하였다고 한다면,성호는 아무리 주희라 하더라도 의심스러운 점은 의심하며 새로운 합리적 대안본고는 朱熹의 ‘聖人則河圖’에 대한 해석을 두고 그에 대한 退溪李滉과 星湖李瀷의 반응과 견해를 중심으로 양인이 노정하고 있는 해석학적 입장의 차이점과 그 의의를 검토한 것이다. 朱熹의 ‘聖人則河圖’에 대한 해석은 邵雍의 先天論을전제로 하여 聖人즉 伏羲씨가 四象으로 상정되는 四方의 河圖數를 四象의 數와位의 개념을 통해 八卦를 유추해 내고 그 방향을 규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퇴계의 반응은 주희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수용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는데, 그것은 주희 해석의 특징을 闡揚하는 것으로써 구체화 되었다. 이에비해 성호는 주희와는 다른 기준, 즉 河圖數를 홀수, 짝수로 구분하고 數의 많고적음 그리고 數의 陰陽的性格에 따른 방위 설정 등을 근거로 하여 河圖로부터八卦方位를 합리적으로 유추해 내고 있다. 주희 해석에 대한 퇴계와 성호의 상이한 반응은 퇴계가 주희에 대해 尊信, 私淑하는 자세로 일관하였다고 한다면,성호는 아무리 주희라 하더라도 의심스러운 점은 의심하며 새로운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던 학문의 기본적인 태도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것은論語의 용어를 빌려 표현하자면 ‘述而不作’과 ‘溫故知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