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산화탄소 농도 및 유속에 따른 하천 내 미세조류의 이산화탄소 고정 효과

        박효민,이상돈 한국습지학회 2018 한국습지학회지 Vol.20 No.4

        One of the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is climate change due to the increase of atmospheric CO2, which causes ecological changes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various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to reduce CO2 in the world in order to solv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increase of CO2. The CO2 reduction using microalgae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by using photosynthesis reaction of microalgae. However, most studies using single species. There is no study on the CO2 fixing efficiency of microalgae in natural river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icroalgae in the Sum river and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in the river to obtain optimal culture conditions. And the changes of biomass and chlorophyll-a of microalgae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2 concentration and injection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ixing efficiency of carbon dioxide in microalgae in natural rivers. Six kinds of dominant species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of microalgae in Sum river(Ankistrodesmus falcatus, Scenedesmus intermedius, Selenodictyum sp., Xanthidium apiculatum var. laeve, Cosmarium pseudoquinarium, Dictyosphaerium pulchellum ). All of these species were green algae. Biomass and chlorophyll-a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O2 concentration and biomass and chlorophyll-a increased faster flow rate at the same CO2 concentration. Also, the quantity of CO2 fixation on the microalgae tended to be higher when the flow rate of injected gas was faster. This study can be referred as being significant in the micro-algae in river. In addition, the optimal conditions for CO2 fixation of microalgae in rivers and the quantification of the quantity of CO2 fixation from microalgae in river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policy of CO2 reduction. 최근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대기 중 CO2의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이다. 이에 대한 영향으로 생태계가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CO2 저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중이며, 이 중 미세조류를 이용한 CO2 저감 방안은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미세조류를 이용한CO2 저감 방안은 대부분 단일 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자연 하천을 대상으로 한 미세조류의 CO2 고정 효율에 대한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들을 파악하고, 미세조류의 생장특성을분석하여 최적의 배양조건을 도출 하였다. 그리고 CO2 농도와 주입 속도에 따른 미세조류의 biomass와 클로로필 a의변화를 분석하여 자연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의 CO2 고정효율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섬강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를배양하여 동정한 결과 6종의 우점종(Ankistrodesmus falcatus, Scenedesmus intermedius, Selenodictyum sp., Xanthidium apiculatum var. laeve, Cosmarium pseudoquinarium, Dictyosphaerium pulchellum)이 관찰되었으며, 이 종들은 모두녹조류에 해당하였다. 한편 이산화탄소 농도 구배(5% CO2, 10% CO2, 15%CO2, 대기조건의 가스 0.038% CO2)와 유속(0.25, 0.5LPM)이 다른 가스를 주입하여 미세조류의 biomass와 클로로필 a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biomass와 클로로필 a가 증가하였으며, 같은 이산화탄소 농도에서는 유속이 더 빠른 곳에서 미세조류의 biomass와클로로필 a의 양이 더 증가하였다. 또한 미세조류에 고정화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주입되는 가스의 유속이 빠를수록 고정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일 종에서 행해지는 연구가 아닌 하천 전체의미세조류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이며,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의 이산화탄소 고정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고,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로부터 고정화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정량화하여 향후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정책을 위한기초자료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모니터링 사례 소개: 일본 나가오카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필드의 CO2 거동 및 저류량 평가

        김종욱,남명진 한국자원공학회 201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9 No.5

        Geological sequestration of carbon dioxide (CO2) has been propos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and advanced technologies for reducing CO2 emissions to alleviate a global warming effect. Carbon-dioxide geological storage technologies are utilized to safely store CO2 in a geological formation with long-term stability. Several technological projects for the monitoring of the behavior of geologically-sequestrated CO2, have been undertaken. This paper analyzes the geological CO2 storage project conducted in Nagaoka, Japan, specifically focused on the monitoring technologies. We introduce an overview of the Nagaoka CO2 injection field in Japan, and analyze the monitoring technologies applied at the site: seismic tomography and geophysical logging (sonic logging, induction logging and neutron logging). In addition, we explain the estimation of CO2 saturation in the CO2-injected reservoir by using the monitoring results. The analysis made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provide a guide line for designing a project of geological storage of CO2, specifically monitoring plan. 이산화탄소(CO2)지중저장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2 배출량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기술 중 하나로, CO2를 지중에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이다. CO2저장의 장기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하 심부에 주입된 CO2의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수행중인 대규모 지중저장과 더불어 지중에 주입된 이산화탄소 거동을 자세하게 관측하기 위한 실증 프로젝트도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프로젝트인 일본 나가오카에서 수행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프로젝트 실증 현장의 특징 및 CO2 주입시험, 그리고 물리검층(음파검층, 전자기유도검층 및 중성자검층)과 탄성파 토모그래피 등을 수행하여 주입한 CO2의 거동을 모니터링한 연구사례를 소개 분석한다. 모니터링을 위한 각 탐사 기법의 자료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실제 주입된 CO2의 저류량 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에 대해 소개한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연구사례는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CO2 지중저장 실증 실험 시, 지중저장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모니터링 기술의 설계에 중요한 예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다지역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한 지역별 산업별 이산화탄소 배출 분석

        안동환,손민수,Hong Sok(Brian) Kim 한국지역학회 2012 지역연구 Vol.28 No.3

        This study analyses CO2 emission by region and by industry with a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 Our results shows that industries inducing high CO2 emission includes electricity, steam and hot water supply sectors mainly due to direct emission from the use of large amount of primary energy sources. Mining, tobacco, machinery, and communication and finance related service industries induces high indirect CO2 emission from the usage of intermediate inputs though their overall CO2 emission level is low. Total CO2 emission in 2009 is estimated as 475 million ton, and Incheon is the top CO2 emission region consisting of 15.2% of national total emission followed by Gyeongbuk, Jeonnam, and Chungnam.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re exist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induced coefficients and the share of CO2 emission by industry, which implies that the regional measures are needed to manage the CO2 emissions effectively. 본 연구는 다지역투입산출모형을 적용하여 지역별 산업별 이산화탄소 배출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1차 에너지를 많이 이용하는 전력, 증기 및 온수공급 등의 산업부문의 경우 이산화탄소 유발계수가 높지만 중간재에 의한 간접배출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광업, 담배 및 기계 등의 제조업, 통신 및 금융 관련 서비스업 등의 경우 유발계수는 높지 않지만 중간재 투입에 따른 간접적인 이산화탄소 배출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수요를 생산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은 2009년 기준 약 4억 7,551만 톤이며, 지역별로는 인천이 전체의 15.2%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경북, 전남, 충남 등의 순으로 많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보였다. 또한 지역별로 산업별 이산화탄소 유발계수 및 배출량의 비중이 큰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어,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지역별 이산화탄소 배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전기비저항탐사 방법에 의한 지중 저장 이산화탄소누출 가능 경로 탐지

        임우리,함세영,황학수,김성욱,전항탁 대한지질공학회 2018 지질공학 Vol.28 No.1

        The Korean government attempts to reduce CO2 emissions by 37% to 314.7 Mt CO2, down from the estimated 850.6 Mt CO2 until 2030 in order to confront green house effect. In this context, in 2014, Korean government launched CO2 Storage Environmental Management Research (K-COSEM) Center for carrying out pilot-scale research on CO2 leakage from underground CO2 storage facilities. For the detection of CO2 leakag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hydrologeological and geo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rea. In the study site of Naesan-ri, Daeso-myeon, Eumseong-gun, Chungbuk Province, two times injection tests (June 28-July 24, 2017 and August 07-September 11, 2017) of CO2 and SF6 dissolved waters, respectivel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eakage behavior of CO2 from underground. The injection well was drilled to a depth of 24 m with a 21-m casing and screen interval of 21~ 24 m depth. Two times resistivity surveys on August 18, 2017 and September 1, 2017, were conducted for revealing the flow of the injected water as well as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study site. The study results have shown that the high-resistivity zone and the low-resistivity zone are clearly contrasted with each other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injected water is similar to natural groundwater flow. Besides, the low resistivity zone is widely formed from the depth of injection to the shallow topsoil, indicating that the weathered zone of high permeability has high CO2 leakage potential. 한국 정부는 온실효과에 대응하기 위해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850.6 Mt에서 2030년까지 314.7 Mt (37%) 로 감축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시설로부터 누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시함부지 규모로 연구하기 위하여 2014년에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환경관리연구단(K-COSEM)을 발족하였다. 이산화탄소의 누출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대산지역의 수리지질학적, 지구물리학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 음성군 대소면 내산리의 연구부지에서 2017년 6월 28일부터7월 24일과 8월 7일부터 9월 11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서 각각 CO2와 SF6를 용해시킨 물을 지하에 주입하여 지하에서의 이산화탄소 누출 거동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주입정은 심도 24 m, 케이싱은 21 m까지, 스크린 구간은 심도 21~24 m 구간이다. 2017년 8월 18일과 9월 1일의 두차례 전기비저항탐사로 주입수의 흐름과 전기비저항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 전기비저항대와 저 전기비저항대가뚜렷하게 구별되며, 주입수의 유동방향은 자연상태의 지하수 흐름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저 전기비저항대는 주입심도로부터 천부 표토층까지 광범위하게 형성되며, 이는 높은 투수성을 가지는 풍화대가 이산화탄소 누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지시한다.

      • KCI등재

        친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한 모르타르 내 이산화탄소 흡수능 평가

        박효정(Park, Hyojeong),장준원(Jang, Junwon),이지현(Lee, Jihyun),박재우(Park, Jaewo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11

        본 연구에서는 탄산화 반응을 이용하여 아민기를 가지는 다양한 친 이산화탄소 흡착제들을 모르타르에 적용함으로써 모르타르 내에 이산화탄소의 포집능을 증대시키는 연구를 하였다. 모르타르 내에 포집된 이산화탄소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열중량 분석, 페놀프탈레인법, FT-IR, XRD 및 FE-SEM의 분석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사용하였을 때, 이산화탄소 흡수효율은 최대 58.5% 개선되었으며, 탄산화 깊이는 일반 모르타르에 비해 3배 더 증가하였다. 이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친 이산화탄소 흡착제 수용액의 아민기와 반응하여 생성된 중탄산염 이온과 시멘트에서 용해되어 나온 칼슘 이온과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탄산칼슘의 형태로 모르타르 내에 저장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함침에 의한 모르타르의 표면에 흡착제의 고정화는 이산화탄소의 흡착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application of various CO2 philic adsorbents with amine to improve CO2 uptake in mortar. TGA, phenolphthalein method, FT-IR XRD, and FE-SEM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CO2 capture in mortar. When CO2 philic adsorbents was used, CO2 absorption efficiency was improved maximum of 58.5%. Carbonation depth was increased 3 times compared with original mortar. Chemical reactions between bicarbonate ion, CO2, CO2 philic adsorbents aqueous solution, and Ca<SUP>2</SUP>2+ ions dissolved from cement formed CaCO2 in the mortar. Therefore, impregnation of the CO2 philic adsorbent on the surface of the mortar can increase the adsorbed CO2.

      • KCI등재후보

        연구선 이사부호를 이용한 2019년 10월 북서태평양 해수 표층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자료

        강나연,조소설,이선은 (사)지오에이아이데이터학회 2022 GEO DATA Vol.4 No.3

        The ocean takes up anthropogenic carbon dioxide (CO2) emitted into the atmosphere. The oceanic CO2 uptake shows seasonal and regional differences depending on numerous factors. We investigated distributions of atmospheric and sea surface CO2 in the Northwestern Pacific using the continuous underway pCO2 measuring system equipped on the Research Vessel ISABU of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the cruise, 3,597 data of seawater CO2 were obtained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SST), sea surface salinity (SSS), and GPS information for 13 days from October 4 to 17, 2019. Through the differences in CO2 concentrations between seawater and the atmosphere, we confirmed that CO2 concentrations of the sea surfac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atmosphere in most of the surveyed areas. Higher SST and lower SSS were observed in the lower latitude area than 17°N in Philippine Sea, but latitudinal variation of CO2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 해양은 대기로 방출된 인류기원 이산화탄소의 주요 흡수원으로서, 해양 표층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계절적 및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북서태평양에서의 대기 및 해양 표층 이산화탄소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선 이사부호에 장착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분압 연속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2019년 10월 4일부터 17일까지, 13일간의 조사를 통해 총 3,597개의 해수 이산화탄소 자료와 표층 수온, 표층 염분, 위경도 정보를 수집하였다. 해양과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차이를 확인한 결과, 관측해역 내에서 대부분 표층 해수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낮았다. 필리핀해에서는 북위 17도를 경계로 남쪽이 북쪽보다 높은 수온과 낮은 염분을 나타냈으나, 이산화탄소 농도는 위도에 따른 큰 변화가 없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무역자유화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강명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6

        The literatures on trade openness are largely uncertain about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international trade. However,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CO_2 emissions became an international issue, lots of efforts were attempted consecutively to examine its connection. As the mass of trade rapidly increased, Korea became the 8th leading country with the most CO_2 emissions in 2009. The paper explores the empirical question of whether trade openness is harmful or beneficial on CO_2 emissions in Korea. In particular, the paper underscores the impact of trade openness on CO_2 emissions and further investigates the scale effect and technology effect in terms of GDP and gross national income and trade opennes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it turns out that most of the variables have the expected signs and statistically signifiant influence on CO_2 emissions as well. Especially, contrary to expectations, trade open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CO_2 emissions in Korea. The paper also shows that the implementation of Kyoto Protocol, as a dummy variable, has a positive sign, which means that this agreement has not had a positive impact on declining CO_2 emissions in Korea since 1997. 국제무역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은 무역개방을 통한 교역의 증가가 환경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국제적인 이슈로 등장하면서 이를 규명하려는 시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무역량의 꾸준한 증가세에 힘입어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2009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8번째로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국가가 되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에 영향을 주는 국내총생산과 1인당 국민총소득을 포함하여 규모효과와 기술효과는 물론 무역개방의 확대가 이산화탄소 배출에 미치는 구성효과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두 변수 모두 예상되는 부호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무역개방이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한편, 1997년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교토의정서 체결되었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책이 최근에 마련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 탄소 중립-제로를 향한 H₂ 및 유용한 화학 물질 생산을 통한 고효율 금속-CO₂ 시스템

        김건태(Guntae Kim),양예진(Yejin Yang),김정원(Jeongwon Kim),표세원(Sewon Pyo)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대기 중 이산화탄소 (CO2)는 산업 기간 동안 278에서 415ppm으로 증가했으며 기후 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여 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격리 (CCUS) 기술이 연구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기존 전환 기술의 경제성은 부진한 CO2 전환으로 인해 여전히 불충분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전기 에너지와 수소 (H2)를 생성하기 위해 수용액에서 CO2의 자발적인 용해로 인한 산성도를 활용하는 수계 아연-, 알루미늄-및 마그네슘-CO2 시스템을 보고합니다. 이 시스템은 알칼리 및 중성 조건 하에서 전형적인 HER 와 비교하여 0.4V 만큼 양의 변화된 수소 발생 반응 (HER) 개시 전위를 가지며 34mV dec-의 낮은 Tafel 기울기로 HER 반응을 용이하게 합니다. Al-CO2 시스템의 최대 전력 밀도는 125mW cm<sup>-2</sup> 로 CO2 활용 전기 화학 시스템 중 가장 높은 값입니다. 이론적으로는 10kW 규모의 금속 -CO2 시스템에서 10,000L (약 1kg H2)의 수소 (H2) 가스를 생산할 수 있고 각각 시간당 30kg의 CO2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2) has increased from 278 to 415 parts per million (ppm) over the industrial period and has critically impacted climate change. In response to this crisi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sequestration (CCUS) technologies have been studied. So far, however,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existing conversion technologies is still inadequate owing to sluggish CO2 conversion. Herein, we report an aqueous zinc–, aluminum–, and Mg-CO2 system that utilizes acidity from spontaneous dissolution of CO2 in aqueous solution to generate electrical energy and hydrogen (H2). The system has a positively shifted onset potential of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 by 0.4 V compared to a typical HER under alkaline conditions and facile HER kinetics with low Tafel slope of 34 mV dec-1. The Al–CO2 system has a maximum power density of 125 mW cm<sup>-2</sup> which is the highest value among CO2 utilization electrochemical system. Theoretically, in 10 kW-scale metal-CO2 system, the 10,000 L (about 1 kg H2) of hydrogen (H2) gas could be produced and 30 kg of CO2 could be removed per hour, respectively.

      • KCI등재

        건설장비 CO2배출량산출결과 비교연구

        김병수,장원석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4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Top 수준이기 때문에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더욱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CO2를 줄이기 위해서는 그것의 배출특성을 알아야 한다. 건설장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은 이러한 측면에서 중요하다.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배출량 산정방법은 연료사용량 대비 배출계수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연료사용량에 비례하지 않는 요인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장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직접측정방식으로 산정하여 배출계수에 의한 방식과 비교분석하고 그 차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To resolve the Global Warming problem, it have to reduce CO2 emission. Korea need to do actively more the effort to reduce the emission because CO2 emission per person is top level in the world. It is performing variously. However, we should recognize the CO2emission attribute to decrease CO2. Analyzing CO2 emiss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is important in this aspect. Present, the most popular CO2 emission measuring method is the way using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 factor. But this method have the problem of reliability because can't reflect the factor being out of proportion at fuel consump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ason of difference and compared to the emission factor method after calculate CO2 emission in direct measurement method.

      • KCI등재

        연구논문 : 전라남도 이산화탄소의 배출구조와 배출격차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나주몽 ( Ju Mong Na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1 지역개발연구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경제의 관점에서 전남의 산업구조의 특성과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구조과 배출격차를 분석하여, 이산화탄소배출구조와 배출격차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지자체의 기후변화대응과 녹색성장이 지역경제차원의 환경 및 경제정책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남의 에너지소비에 의한 이산화탄소배출량은 호남광역경제권 산업전체에 78%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전남을 대상으로 한 이산화탄소배출구조와 이산화탄소 배출격차의 분석은 호남광역경제권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대한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의 산업구조 특성은 기초소재형 제조업에 심하게 편중되어 있었으며, 전남의 이산화탄소 배출비중이 높은 주요산업은 제1차금속제품, 비금속광물제품, 화학제품이, 석유및석탄제품, 운수및보관 산업이었다. 둘째, 이산화탄소배출 비중과 경제파급효과와의 관계에 있어 생산유발효과가 큰 산업은 운수및보관 산업을 제외하면 모두가 기초소재형 산업에 해당되어 있다. 전남에서는 이산화탄소배출이 큰 산업이 지역경제에 유발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비중 및 생산유발효과가 높았던 제1차금속제품은 이산화탄소 영향력 계수가 여타산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이산화탄소 배출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변수(부가가치비중, 생산유발액, 이산화탄소배출비중, 이산화탄소 영향력계수)와 이산화탄소 배출격차와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을 한 결과, 이산화탄소 영향력계수를 제외한 부가가치비중, 생산유발액, 이산화탄소배출비중의 변수들은 이산화탄소배출격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산화탄소배출격차에 대해 생산유발액을 단순회귀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전남은 산업구조적 측면에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이산화탄소 배출격차가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Recently, green growth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 for regional economic activity in terms of the global warm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JeollaNamdo industries in the Grand Economic Regions(GER) have generated 78% ratio of the CO2 gas emissions from oil, coal and natural gas in 2005.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arbon dioxide(C02) emission and emission disparity in the JeollaNamdo region of Korea. This paper use input-output method for analysi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between the CO2 emission and emission disparity. The empirical study has revealed that the basic material sectors in manufacture of JeollaNamdo are major factor caused to increases in CO2 emission in indust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industrial structure of CO2 emission, The factors of the CO2 emission structur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utput, added value, CO2 emission and environmental DPG value in JeollaNamdo. Especially, Emission disparity by the environmental DPG value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output in industrial structure of JeollaNam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