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이책과 태블릿 PC를 이용한 e-book 읽기 후 자각증상과 읽기속도의 상관성

        김지혜(Jihye Kim),송성환(Seong Hwan Song),김정민(Jeong Min Kim),김소라(So Ra Kim),박미정(Mijung Park) 한국안광학회 2018 한국안광학회지 Vol.23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whether the correlation of subjective symptom and reading speed changed after reading a paper book and an e-book. Methods: Thirty subjects aged 18 to 29 (average 23.4±3.2 years) with normal visual function and corrected visual acu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a paper book and an e-book on a tablet PC for 30 minutes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 The subjective symptoms score was evaluated by using 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 measuring the total pages read and reading speed per page.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ges read with a paper book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book. Subjective symptoms score related to near work increased after e-book reading and tiredness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st the symptoms. Also, subjective symptoms score related to concentration during reading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book reading compared with the paper book. An observed correlation showed that reading speed reduced as the subjective symptoms score increased. For those who experienced the symptoms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after reading, both reading speeds for paper book and e-book were affected by subjective symptoms. Especially, the subjective symptoms and reading speed showe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after e-book reading compared with the paper book, resulting in the greater influence of subjective symptoms on reading speed by e-book reading. Conclusions: Reading with e-book induced different changing levels of subjective symptom and reading speed than a paper book. It suggests that the correlation of individual subjective symptom and reading speed is related to the degradation of convergence function caused by reading.

      • KCI등재

        전자책을 활용한 영어 다독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속도 및 다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우영,최연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extensive reading of e-book on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ies, reading rate and attitudes towards extensive reading, compared to those of paper-book-based extensive reading. Two groups of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12-week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After the instruction on extensive reading for both groups and on features of e-books for the e-book group including reading while listening, they read books individually, and their reading logs were checked by the English teacher once a week.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s reveals higher scores of reading ability and faster reading rates for both groups after extensive reading, bu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book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bottom-up reading while the paper-book group showed faster reading rate; ye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in and between groups. The e-book and paperbook group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extensive reading after the activities with statistically more positive responses in the affective aspects in both groups and in the executive aspects in the e-book group. The e-book group’s greater willingness to read suggests the positive effects of e-book extensive reading due to its convenience; however, as the results indicated while extensive reading of e-book, with audio file listening, was more helpful in improving bottom-up reading skills, it was not as effective as paper-book extensive reading in enhancing reading rate. This suggests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selectively choose between paper book and e-book reading with audio file, considering the needs of students. 전자책을 활용한 영어 다독 활동이 영어 읽기 능력 및 속도와 다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이책 다독 활동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두 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12주간 다독 활동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 모두 동일한 도서 목록에서 자유롭게 책을 선택하여 개별적으로 읽고 다독 일지를 작성하였으며 1주일에 한 번씩 교사의 점검을 받았다. 전자책 집단은 전자책의 책 읽어주는 기능을 활용하여 책의 모든 단어를 들으면서 읽었는데, 이는 읽기 과정 및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읽기 방식이기에 다독 활동 전후에 상하향식 읽기 능력 및 속도 측정 검사를 실시하여 전자책 다독 활동의 효과를 종이책 다독 활동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자책 및 종이책 다독 집단 모두 사후 점수가 높아져 전반적으로 읽기 능력 및 속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고 집단간 유의미한 변화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종이책 다독 집단은 상향식 읽기 점수가 하락한 반면 전자책 다독 집단은 상향식 읽기 점수가 높아졌으며, 읽기 속도는 종이책 다독 집단의 향상 폭이 더 큰 편이었다. 다독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다독 활동 전후에 인지적, 정의적 및 행동적 영역에서 측정한 후 비교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두 집단 모두 좀 더 긍정적으로 태도가 변화되었는데 특히 정의적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행동적 측면에서는 전자책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오디오 파일을 들으면서 책을 읽는 전자책 다독 활동이 상향식 읽기 능력 향상과 다독의 자발성 등의 행동적 태도 측면에서는 유용하지만 읽기 속도를 높이는 데는 종이책 읽기만큼 효과적이지 않다는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종이책이나 전자책 또는 책 읽어주는 기능을 활용한 전자책 읽기를 선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하이브리드 독서문화의 현황과 발전 과제

        백원근(Baek, Won-Keun)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3

        디지털 패러다임 시프트와 디지털 기기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종이책과 전자책(e-book)을 함께 읽는 ‘하이브리드(hybrid) 독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는 4가지 독자 유형(종이책 독자, 종이책+전자책 독자, 전자책 독자, 비독서자) 가운데 ‘전자책 독자’ 비율의 지속적 성장에 기인하며, 종이책의 영향력이 여전한 가운데 독서 선호도가 높은 종이책 독자가 전자책도 읽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이브리드 독자는 다른 유형의 독자층에 비해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독서행동을 보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전자책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장르문학 등 가벼운 오락 콘텐츠 의 인기는 종이책에서 공급이 부족한 콘텐츠 보완 기능이 강해, 전자책 이용률의 지속적 증가가 곧바로 ‘종이책의 쇠퇴와 전자책의 독주’를 의미하는 것으로는 보기 어렵다. 다만, 디지털 다매체 환경이 진화 할수록 독서 매체보다는 다른 오락․정보 매체에 보다 쉽게 노출될 수 있고, 매체 이용 시간과 비용이 비독서 매체로 이동함으로써 독서문화의 지속적인 위축이 우려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독서환경에 걸맞은 출판산업, 독서진흥정책, 연구 활성화를 통해 ‘하이브리드 독서문화 지형’을 보다 강화함으로써, 매체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독서인구 확대의 핵심인 개인의 독서습관 및 사회적 독서문화 형성을 위해 힘써야 할 것이다. Digital paradigm shift and Using Digital devices are becoming more common, so the Hybrid reading(-both Paper-book reading and E-book reading) is spreading across the world. It shows that 4 types of reader(paper-book reader, paper book + e-book reader, e-book reader, Non-reader), percentage of the e-book reader is increasing, and the influence of Paper-book-reader is still great, also shows the Paper-book-reader(-High reading preferences) read the digital book. Hybrid readers are more active in reading more than other readers. that is the point. And the recreational popularity of genre literature is the large part of the e-book, that is the Content supplementation function compared to the paper-book. so the increase in e-book usage, it does not mean 'decline of paper book and exclusive of e-book'. However, as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evolves, it is easily exposed to other entertainment media rather than Reading. And while Media usage time and cost is moving to non reader media, it is concerned about atrophy of reading culture. Therefore, for the hybrid reading environment, we need to strengthen the hybrid reading culture form through the Publishing industry, Reading Promotion Policy and Reading Research. And even the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we have to make a greater effort for Personal reading habits and Social culture of reading, it has a great influence to Expansion of the reading population.

      • KCI등재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오은순(Oh Eun-soon),전진영(Chun Jin-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실태,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 그리고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이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영유아 학부모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 원아들의 보호자를 말한다. 그림책 읽어주기 실태를 살펴보면 학부모는 그림책 선택을 영유아에게 주고 있으나 영유아에게 읽어주기 적었으며, 그림책 선택을 어려워하고 있다. 학부모는 그림책의 글을 읽기 전이나 읽는 중에 영유아에게 그림 볼 시간을 주고 있으며, 책 내용이 어려울 경우는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며 읽어 주고 있다. 또 영유아의 느낌이나 의문을 자유롭게 허용하며 그림책을 읽어주고 있다.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대해서는 중간 수준 이상이었다.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는 ‘표지 읽어주기’, ‘책 중심 읽어주기’, ‘관계 중심 읽어주기’로 3가지가 있다.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이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인식 수준이 높으면 표지 읽어주기 방식. 책 중심 읽어주기 방식, 관계 중심 읽어주기 방식이 높으며,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 전체의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은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책 읽어주기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학부모들에게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인식과 실제 실행할 수 있는 읽어주기 방식을 소개하였다. 학부모들은 ‘표지 읽어주기’에서는 영유아에게 그림책의 호기심과 주의집중을 불러일으키며 읽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문학 작품의 스토리를 잘 전달하고자 하는 ‘책 중심 읽어주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읽어주기 행위 자체는 읽어주는 이와 듣는 이 간의 관계 형성에 이바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erception and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such perception o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gainst parents with their child attending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guardians of children who attend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In terms of current picture book reading patterns, even though most parents have been reading a picture book to their young child, few of them have read it in advance. In addition, they have found it hard to choose decent picture books. Parents have given their young child the time to see the pictures before or during reading. When a book was difficult, they have read it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allowing their child to freely express their feeling and ask questions. Concerning the perception and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in person based on long field experiences, and they’ve been actually applicable to parents’ reading. They revealed meaningful reliability and validity. Parents’ perception of picture book reading was relatively high, and a way of picture book reading was an intermediate or higher level. There are 3 different types i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cover reading’, ‘book-oriented reading’, ‘relationship-oriented reading’. In terms of the effects of such perception o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s the perception level was high, ‘cover reading’, ‘book-oriented reading’, ‘relationship-oriented reading’ were more common. The overall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were also high. Since such perception affects the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parents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get information on picture books and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 KCI등재

        독서문화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전문가 집단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김선남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leading to the lower level of Korean book-reading rate, while searching for the strategies needed for activating book-reading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implemented toward expertise groups. The analysis showed several critical factors related with the lower level of Korean book-reading rate. They included such factors as the shortage of leasure time, the absence of book-reading habits, the dominance of competing media, the lack of qualified reading contents, and the neglect of parents and teacher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never-ending national book-reading campaign, especially hosted by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publishing organizations, libraries, teachers and parents, and media journals, would be a stepping stone for activating book-reading environment. Several expertises argued that the national book-reading campaign would be more productive when it could be supported by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libraries and their infra-structures, the repeated book advertisements and PR's through major news media, and the cultivation of book-reading habit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의 낮은 독서율의 원인을 살펴보고, 독서문화 활성화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독서 관련 전문가 집단의 심층인터뷰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의 낮은 독서율의 원인은 여가시간의 부족, 독서 습관의 일상화 부재, 경쟁 매체의 우월한 지위, 양질의 독서 콘텐츠 부재, 학교나 부모의 역할 부족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 출판관련단체, 서점, 도서관, 부모, 언론등은 지속적으로 독서운동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독서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 확대, 도서관의 인적 및 물질적 인프라 구축, 전국 규모의 독서운동, 언론을 통한 적극적인 책 홍보와 PR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함의

        김영란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1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First of all, this study points out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a major policy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was emerged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reading education policies by Ministry of Education since 2003 and was influenced by teachers’ alternative book-based-teaching to textbook-based-teaching. This study suggests 4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1)‘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allows students to choose which texts they will read during lessons. This means that text-selection can be made by the learner thus encouraging the internal motivation of students and fosters students’ positive attitudes towards reading, therefore helping students grow as life-long readers. In addition, and based on students’ selection of texts,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can facilitate the design of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2)‘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encourages dialogues (in the sense of Bakhtin’s term) among students over books, so students will exchange theirs interpretations of & responses to texts, unlike in classes where textbook-based learning is emphasized. 3)During lessons of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reading, listening & speaking, writing and literature will be easily integrated into one another an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can brought together into the lessons. It can also enable ‘knowledge, inquiry, practice/expression’ to be integrated into lessons of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4)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can also be the framework into which integrated curricula fit very well. 본고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인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함의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우선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교육부가 오랫동안 추진해 온 독서교육 정책 추진의 맥락과 교사들의 대안적 교육실천의 맥락 속에서 등장했음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본고에서는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네 가지로 점검하였다. 첫째,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책 선택권을 학생들에게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읽기 동기 부여 촉진과 그로 인한 긍정적인 독서 태도 형성 및 평생 독자 육성의 단초를 제공한다. 또한 텍스트 선정을 학습자 중심으로 해야 함으로써 교과나 지식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구성이 촉진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둘째,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운영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면서 해당 수업이 ‘대화교실’, ‘해석소통’이 이루지는 문학교실, 반응 중심의 읽기 교실이 될 잠재력이 있다고 보았다. 셋째, 국어과교육 내 읽기, 듣기・말하기, 쓰기, 문학 등 영역별 교육내용, 지식/기능/태도가 통합되고 ‘지식-탐구-표현’의 방식으로 교육내용이 통합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넷째,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의 기제로 작동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음을 살폈다.

      • KCI등재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그림책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준(Kim, HeeJoon),박희연(Park, HeeYon),조명숙(Cho, Myoung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fluence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and communicating between readers’ world of life and story world reflected in narrative picture books,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picture book reading. To this end, 40 participants of age 5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a ‘H’ kindergarten in Kyungki area.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focused on narrative thinking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a general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was implemented for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ding activity focused on narrative thinking has impact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picture book reading. More specifically, among three subcategories of reading attitud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ith regard to ‘attitudes toward interest in reading books’ and ‘attitudes toward behavior of reading book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behavior after reading boo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communication activity, which connects an imaginary narrative world in reading books to the children’s real narrative world, has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picture book reading by causing more interest in picture books. 본 연구는 내러티브가 담겨 있는 그림책 속의 이야기 세계와 독자가 자신의 삶의 세계를 오가며 의미를 구성하고 소통하는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그림책 읽기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소재 H유치원 2학급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31일부터 2017년 9월 28일까지 8주 동안 실험집단에게는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그림책 읽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태도의 하위 요소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책 읽기 관심에 대한 태도’와 ‘책 읽기 행동에 대한 태도’ 항목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책읽기 행동 후에 대한 태도’는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그림책 속 가상의 내러티브 세계와 유아 자신의 현실의 내러티브 세계를 연결하는 소통 활동이 유아에게 그림책에 더욱 흥미를 가지게 하여 그림책 읽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북아트를 활용한 독서 교육 사례 연구

        정우영(Jung, Woo-yo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아동들이 싫어하는 독서와 독후활동을 아동들과 재미있게 할 수 없을까하는 의문에서 시작했다. 아동들이 재미있게 책을 읽으면서 독후활동을 하고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느낌을 자유롭게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었다. 초등학교의 아동들은 구체적인 조작활동을 선호한다. 정적인 활동보다는 동적인 활동이 아동들의 발달 단계 차원에서도 적합하다. 이러한 여러 가지를 고민하면서 선택된 방법이 북아트이다. 아동들이 흥미와 재미를 느끼며 활동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북아트를 활용하고 거기에 의미 있는 독서의 결과를 도입하는 것이 이 연구의시작이다.다양한 북아트 활동을 하면서 아동들이 읽은 책을 정확하게 이해하고자기 감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하는 것이 북아트였다. 그 효과를 네 가지로 정리하여 보았다. 첫째, 내용 파악이며 둘째, 구성요소 파악이고 셋째, 책을 읽고 난 뒤의 감상이다. 마지막으로는 친구들과 함께 책을 읽고 난뒤의 느낌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누어 정리하여 보았다.이에 본 연구자는 아동들이 직접 만들고 참여하고 활동하면서 독서의즐거움을 느끼고 읽은 책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북아트를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가 아동들이 책을 읽는 활동과 읽고 난 뒤의 활동이창의적이며 생산적인 활동이 되는 작은 첫걸음이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began to ask how to encourage children to read a book. Children usually are not interested in reading and activities after reading a book. Therefore, some programs are proposed for children to be interested in reading and activities after reading so that children could express freely their opinion and feeling and also natural reaction after reading.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have a strong interest in detailed handicrafts. Therefore, dynamic activities are more appropriate for children than static movements from the developmental point of view. As the inevitabl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book arts could be a positive suggestion to attract children's interest and activities including a meaningful value of reading. Book arts aim for children to understand correctly the book which they have read and to present what children think about a book. Four effects with the activities of book arts are as follows. there are understanding about the book, having some ideas from the book, impression after reading and lastly, sharing the opinion with their friends about the book. In conclusion, book arts is for children to make their own book and to experience delight in the reading in this paper. The activities of book arts induce children to be more creative and productive after their reading.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및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비교

        박다솜(Park, Dasom),정가윤(Chung, Kayo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유아교사 286명과 중국 유아교사 234명 총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Window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χ²검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관련하여 교실 내 비치된 그림책의 양과 교체 시기, 읽기 집단 구성, 자주 읽어주는 장르, 확장 활동에서 한국과 중국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하여 한국과 중국 교사들은 그림책 읽기를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림책 읽기의 목적, 개별적 및 대․소집단 읽기 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국가 변인 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그림책 읽기 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중국 교사가 한국 교사에 비해 풍부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현황과 이를 둘러싼 교사의 인식 및 상호작용의 세 요소를 통합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and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preschool teachers’ practice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their perceptions on picture-book reading, and interactions for picture-books read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their practice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in preschools. Chinese teachers had larger amount of picture-books in their classroom than Korean teachers, but Korean teachers changed their books more frequently than Chinese teachers. Reading picture-books for a large group or small group is relatively common in Korea, but that for an individual is relatively common in China. Second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perception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Both teachers in Korea and China considered picture-book reading as important. Many of Korea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hildren’s imagination and creativity. However Chines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to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their linguistic abilities. As barriers to reading activity with picture-books, regardless of the size of group, Korean teachers said that it was hard to have various types of picture-books in the classroom’s and they didn’t have enough time to read picture-books to their students. Regardless of the size of group, Chines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thought they lacked understanding of how to interact with children when they were reading.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their interactions of picture-book reading.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in China were more abundantly interacting with children in terms of both the total score of interaction and four kinds of sub-types than the teachers in Korea.

      • KCI등재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출판’의 재개념화 연구

        김기태(Kim, Ki-Tae)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1

        This study proposed the implementation of new ‘publishing paradigm’ under the recognition as saying that ‘re-conceptualization in publi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based on essence of the publishing medium, which is effective even in the 21st century. Based on this, it examined the conceptual limitation of relevant definitions such as the existing ‘book’, ‘reading’ and ‘publishing’ and suggested new paradigm through ‘re-conceptualization’ in ‘book,’ ‘reading,’ and ‘publishing’ based on thi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was progressed with the aim of forecasting new publishing paradigm based on an effective change such as improvement in policy and legislation of surrounding the publishing environment, as effect available for expectation,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 First of all, what is ‘a book’ has been understood in the meantime as “non-periodical publication, which wa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and printed at least more than 49 pages(except cover), which are offered to the use of the public.” It examined a point that this book is also divided its kind according to contents or title, selling market and distributing method, and book size and book-binding type. Also, it confirmed a fact that ‘reading’ as “behavior of reading a book or writing” passes through the process that a reader selects any book and work,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comprehending, which proceeds with reading a book, and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own life by the influence of reading a book after reading a book. In addition, it minutely examined its meaning of the ‘publishing’ as “behavior of economic and cultural communication of pursuing profit in its return for satisfying their mental desire or interest, by which book publisher or publishing company offers books, which it obtained, arranged and manufactured manuscript or original painting, which is writing of oneself or author, with selling tool or other method.” A researcher first re-conceptualized ‘a book’ as a meaning as saying that “as a book is what was officially announced targeting the public, which are the specific majority or non-specific majority, it should be used by the public as a reader with a purchasing or borrowing method. At this time, its use form shouldn't be limited only to ‘reading’ and should be analyzed as a concept of including what uses ‘seeing’ and ‘listening’ or utilizes ‘writing’ simultaneously based on synesthesia.”Next, it re-conceptualized ‘reading’ as follows. “Reading implies is behavior of progressing the reading, seeing, listening, or simultaneously reading, seeing, and listening the media, which was given 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through book number center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ich has its contents as writings, which were expressed a human being's thought or emotion as what was officially announced targeting the public, which are the specific majority or non-specific majority.” Finally, ‘publishing’ was re-conceptualized as follows. “Publishing implies cultural and social activity of achieving public goal or pursuing profit as well by distributing writings, which were expressed a human being's thought or emotion, to readers, by reproducing the majority or mounting those in several electronic devices in the form of a book, by using a printing technique or mechanical, chemical and electronic method through creative editing activity.” 이 연구에서는 21세기에도 유효한 출판 매체의 본질성에 입각하여 ‘출판의 재개념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새로운 ‘출판 패러다임’의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기반하여 기존의 ‘책’, ‘독서’ 그리고 ‘출판’ 등 관련 정의들의 개념적 한계를 살펴보고,이를 바탕으로 ‘책’, ‘독서’ 그리고 ‘출판’의 ‘재개념화’를 통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한편,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서 출판 환경을 둘러싼 정책적․ 법제적 개선 등 실효성 있는 변화에 기초한 새로운 출판 패러다임을 전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먼저 ‘책’이란 그 동안 “국내외에서 출판되어 공중의 이용에 제공되는 최소한 49쪽(표지제외) 이상의 인쇄된 비정기간행물”이라고 이해되어 왔으며, 이러한 책은 또한 내용이나 주제, 판매 시장과 배포 방법, 판형 및 제본 형태 등에 따라 그 종류를 나누기도 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또, “책 또는 글을 읽는 행위”로서의 ‘독서’는 독자가 어떤 책과 작품을 선택하는 과정, 책을 읽어가는 해석․해독의 과정, 책을 읽은 뒤 책 읽기의 영향에 의해 자신의 삶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서적 발행인 또는 출판사가 자신 또는 저작자의 저작물인 원고 또는 원화를 입수.정리.제작한 서적을 판매기구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독자에게 제공하여 그들의 정신적 욕구나 흥미를 만족시켜주고 그 대가로 이윤을 추구하는 경제적 및 문화적 커뮤니케이션 행위”로서의 ‘출판’에 대하여 그 뜻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우선 “책은 특정다수 혹은 불특정 다수인 공중을 대상으로 공표된 것으로서 독자로서의 공중이 구매 혹은 대여의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그 이용형식은 반드시 ‘읽기’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보기’와 ‘듣기’ 등을 이용하거나 ‘쓰기’를 동시에 공감각적으로 활용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는 뜻으로 ‘책’을 재개념화하였다. 다음으로 ‘독서’는 다음과 같이 재개념화하였다. “독서란 특정다수 혹은 불특정 다수의 공중을 대상으로 공표된 것으로서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이 표현된 저작물을 그 내용으로 하는, 국립중앙도서관 문헌번호센터를 통하여 국제표준도서번호(ISBN)가 부여된 매체를 읽거나 보거나 듣거나 혹은 동시에 읽기·보기·듣기를 진행하는 행위를 말한다.”끝으로 ‘출판’은 다음과 같이 재개념화하였다. “출판이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한 저작물을 창의적인 편집활동을 통하여 인쇄술 또는 기계적.화학적.전자적 방법을 사용하여 책의 형태로 다수 복제하거나 각종 전자기기에 탑재하여 독자에게 분배함으로써 공익의 목적을 달성하거나 이윤을 추구하기도 하는 문화적·사회적 활동을 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