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일반 성인들의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중심으로

        김도연,김은하,김수용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beliefs in a just world, especially,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beliefs, would influence the level of Hwa-Byung (HB) symptoms. More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whether interaction of income level, distributive justice belief, and procedural justice belief influences the level of HB symptoms. A total of 393 adult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completed dispositional measure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world beliefs, and also a measure of HB symptom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3-way interaction among income level, distributive justice beliefs, and procedural justice beliefs. Such finding implies that the interactive effect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beliefs on the level of HB symptoms was different depending on income level. For low-income individuals, when procedural justice belief was low, no differences on the level of HB symptoms were found in terms of distributive justice belief. However, when procedural justice belief was high, HB symptoms decreased as distributive justice belief became stronger. The opposite findings emerged among high-income individuals. For high procedural justice belief,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level of HB symptoms in terms of distributive justice belief, while for low procedural justice belief, the level of HB symptoms decreased as distributive justice belief became greater.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일반 성인들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특히,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화병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소득수준을 포함하여 분배공정성 그리고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이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393명을 대상으로 소득수준,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화병 증상을 측정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득수준,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화병 증상에 대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소득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소득이 낮은 사람의 경우, 절차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면 분배공정성에 따른 화병 증상의 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절차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면 분배공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화병 증상의 정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소득이 높은 사람의 경우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는데, 절차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면 분배공정성에 따른 화병 증상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절차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면 분배공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화병 증상의 정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상담에서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에 대한 연구 동향 고찰

        백혜선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6

        Teachers’ classroom roles change to keep pace with changing educational goals. Analyses of classroom situations and learner needs influence teachers’ beliefs, which, in turn, influence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that guide instruction. This study conceptualizes teacher beliefs and examines research trends regarding teacher beliefs in reading education. Teacher beliefs represent teachers’ implicit assumptions about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classrooms, and subjects. The study of teachers’ beliefs in reading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1) the aspects of beliefs about reading education, (2) the effects of teachers’ beliefs on reading class practice, and (3)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s’ beliefs. Teachers’ beliefs about reading education are studied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read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and the aspects of beliefs in the subdivided areas of reading such as spelling and vocabulary instruction. In addition, most of the connections between beliefs and class practice are acknowledged. The discrepancy between beliefs and practice is not a problem in the value of beliefs, but that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ferred to discrepancies can be seen as evidence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value of the belief that changes the beliefs of teachers.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teachers’ beliefs and how these factors can be used in teacher education. 교육 목표의 변화에 따라 교실에서 교사의 역할이 바뀐다. 수업 실천은 교실 상황과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의사결정 과정으로 교사 신념에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교사 신념을 개념적으로 정리하고, 읽기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신념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ERIC에 등록된 최근 20년간의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 관련 논문을 찾아 기초 정보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의 연구는 (1) 읽기 교육에 대한 교사 신념의 양상, (2) 교사 신념이 읽기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 (3) 교사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읽기 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은 다양한 국가에서, 읽기 자료, 교육 방법 등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며, 철자나 어휘 지도 같은 읽기의 세분화된 영역에서 교사 신념 양상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교사 신념과 수업 실천의 연관성을 대부분 인정하고 있으며, 교사 신념과 실행이 불일치하는 것은 신념의 가치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신념이 변하는 증거라 볼 수 있다. 기존의 일치 여부에 초점을 두는 연구에서 벗어나 불일치의 원인에 대해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 신념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 신념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사 교육 측면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문수신앙(文殊信仰)의 유형과 그 특징

        원영상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7

        Japanese Bodhisattva Belief functions as daily religion being connected with folk religion and pilgrimage culture. Among them, belief in Manjusri Bodhisattva has actively been developed until now since it had flown into Japan in ancient times. In Childaesasullyesagi (七大寺巡禮私記) which is an ancient record, it is thought that Japanese Buddhist monks visited Mount Wutai and entered the country with Manjusri belief. Manjusri belief began in earnest in Japan due to Gyoki (行基) who propagated Buddhism to people. The Tientai Sect and the True-word Sect established in ancient times and Namdo (南都) Buddhism centered in Nara (奈良) at that time also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Manjusri belief. This belief was more revitalized as Bodhisattva of salvation with the naturalization of medieval Buddhism. Types of Japanese Manjusri belief are as follows: First, icons (圖像) or sculptures which express belief as well as Chinese Mount Wutai's pilgrimage were made. Second, belief and ascetic practices through several scriptures related to Manjusri Bodhisattva were done. Third, it is belief as a medium for offering or requital of a favour or grace to the dead (亡者) done with the development of Pure Land Buddhism. Above all, the characteristics of Manjusri belief is to inherit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Concretely, it is related to patriarch belief and icchantika (一闡提). The former is also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Buddhism. the Eizon (叡尊) order which started the Sila and Vinaya Revival Movement in the Middle ages regarded Gyoki as the incarnation of Manjusri Bodhisattva and utilized it in the church. As for the latter, Eizon and his students regarded the lower class that was discriminated as Bodhisattva icchantika or the great compassion of Icchantika that took all people's pain instead of them and saved them. It protected the orthodox dharma or teaching as Sila and Vinaya and made people have Mahā-karuṇā with Manjusri belief. Like this, it could be found that Manjusri belief functions as belief for benefits of this world and the next, while it shows the unique spirit of the Buddha-dharma which eases the people's pain. 일본의 보살 신앙은 민간신앙 및 순례문화와 연동되어 일상의 종교로 기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문수보살에 대한 신앙은 고대에 유입되어 현재에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고대의 기록인 칠대사순례사기(七大寺巡禮私記) 에 일본의 승려들이 오대산에 들러 문수신앙을 가지고 입국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내 본격적인 문수신앙의 시작은 불교의 민간 포교를 행한 교키(行基)라고 할 수 있다. 고대에 설립된 천태종과 진언종, 그리고 당시 나라(奈良)를 중심으로 한 남도(南都)불교도 문수신앙을 확장하는 데에 기여했다. 중세 불교의 토착화와 더불어 이 신앙은 구제의 보살로서 더욱 활성화된다. 일본 문수신앙의 유형은 첫째, 중국의 오대산 순례는 물론 신앙을 표출하는 도상(圖像)이나 조각이 제작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문수보살에 관련된 여러 경전을 통한 신앙과 수행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정토불교의 발전과 함께 이뤄진 망자(亡者)에 대한 공양이나 보은을 위한 매개체로서의 신앙이다. 문수신앙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대승불교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사신앙과 일천제(一闡提, icchantika)사상과 관련이 있다. 전자는 일본불교의 특징이기도 한데, 중세에 계율부흥운동을 일으킨 에이존(叡尊)의 교단이 교키를 문수보살의 화신이라고 보고 이를 교화에 활용하였다. 후자는 또한 에이존과 그 제자들이 차별을 받는 하층민을 중생의 모든 고통을 대신 뒤집어 쓴 보살일천제 혹은 대비일천제(大悲闡提)로 보고 그들을 구제했다는 점이다. 계율로써 정법을 보호하고, 문수신앙으로 대비심을 일으키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문수신앙은 일본에서는 현세와 내세의 이익을 위한 신앙으로써 기능하는 한편, 중생의 고통을 해소시키는 불법의 고유한 정신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LCA)에 의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유형 분석

        강성권,홍진곤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논문집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thematical beliefs of students and teachers by Latent Class Analysis(LCA). This study surveyed 60 teachers about beliefs of 'nature of mathematics','mathematic teaching','mathematical ability' and also asked 1850 students about beliefs of ‘school mathematics’,‘mathematic problem solving’, ‘mathematic learning’ and ‘mathematical self-concept’. Also, this study classified each student and teacher into a class that are in a similar response, analyzed the belief systems and built a profile of the classes. As a result,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belief classes about 'nature of mathematics' and two types of belief classes about 'teaching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ability' respectively. Also, students were classfied into three types of belief classes about 'self concept' and two types of classes about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s Learning' respectively. This study classified the mathematics belief systems in which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9 categories and teachers into 7 categories by LCA. The belief categories analyzed through these inductive observation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 validity.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used in this study is a new way of inductively categorizing the mathematical beliefs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belief analysis method(LCA) used in this study may be the basis for statist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eliefs. 본 연구는 수학과 관련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을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학의 본질’, ‘수학의 교수’, ‘수학적 능력’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교사 60명의 설문과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 ‘자아개념’에 대한 고등학생 1850명의 설문에 대해 유사한 응답을 한 교사와 학생을 각각 소집단으로분류하고, 그 신념특성을 분석하며 신념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관찰결과, 수학교사들은 ‘수학의 본질’에 대해 3개, ‘수학의 교수’와 ‘수학적 능력’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아개념’에 대해3개,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잠재집단분석은 수학적 신념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교사와 학생의 신념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An, Yoon-Jung),서지윤(Seo, Ji-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 권 소재 대학생 446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개인작인신념에 대한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설문조사 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정서지 능의 정서조절,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학교 수준에 따라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지각 과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종교유무에 따라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지각, 정서활용 에서,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과 개인작인신념간의 상관이 높게 드러 났다.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지각, 정서활용, 정서조절이 개인작인신념의 두 하위요인인 능력신념과 맥락신념 모두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능력신념에는 47%, 맥락신념에 22%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맞는 진로선택의 과제를 잘 수행하기 위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개인작인신념을 높이는 다양한 동기향상 프로그램이 요구 된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 agency belief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46 undergraduate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gulation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pability beliefs of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others' emotion appraisa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pability beliefs of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level. Also, the others' emotion appraisa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pability beliefs of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existence.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 agency beliefs. The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and use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n impact on personal agency beliefs including capability beliefs and context beliefs, the explanation concerning capability beliefs(47%) and context beliefs(22%) was persuasive. Therefore, when undergraduate students have to make career decision for their future, in order to encourage personal agency beliefs which are related to motivational factors, the conseq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verifi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any kinds of supporting systems to encourage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 agency beliefs.

      • KCI등재

        『삼국유사』를 통해 본 신라와 고려의 관음신앙

        라정숙(Ra Jeong-suk) 한국역사연구회 2009 역사와 현실 Vol.- No.71

        『Samguk Yusa』contains Buddhism-related records of the Three-dynasties period and especially those of the Shilla dynasty period. Yet at the same time it also includes several records related to the Buddhism of Goryeo, and we can see that from the records involving the Goryeo dynasty's Avalokite?vara belief (觀音信仰). Avalokite?vara belief of the Shilla dynasty period recorded in『Samguk Yus a』can be characterized and categorized mainly by how it was realized, such as a pursuit of and belief in salvation in the contemporary plane of life, or voluntary character-building exercise and achievements, or a belief in the everlasting existence of the bodhi-sattva(眞身常住) which was based upon the Potaraka belief(洛山信仰). Then, the scope of the Avalokite?vara belief widened, and became more developed, coming into the Goryeo dynasty period. The secular nature(pursuing things in this plane of life), seen in the Shilla dynasty period, remained, and aspects of State-Buddhism still strongly featured themselves as well(in order to overcome certain national crises), and the Water-moon Avalokite?vara Painting(水月觀音圖)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can be interpreted to be displaying the Avalokite?vara Belief, considering its inherent qualities of healing. In the Shilla dynasty period, the Potaraka(Naksan)-based Avalokite?vara belief was established as a belief in the everlasting existence of bodhi-sattva. Yet in the Goyreo dynasty period the belief did not remain contained in the realm of the Naksan-sa temple. It expanded to engulf the Geumgang-san mountain area, and the fact that a Naksan-sa temple and a Gwaneum cave(관음굴) were established in the vicinity of the Gaegyeong capital area shows us the widening and expansion of the Potaraka-based Avalokite?vara belief. And we can als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beliefs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by looking at how the Potaraka-based Avalokite?vara belief extended into the establishment of a Sarira belief(舍利信仰), with the royal family leading trend of belief. So, one might say that we can see how the Avalokite?vara belief was expanded and became more complicated, during the time period of Shilla and Goryeo dynasties, through『Samguk Yusa』.

      • KCI등재

        중국 오대산의 발전과 오대산문수신앙

        곽뢰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8 No.-

        The Manjusri Belief and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belong to different forms of religious belief systems. The former is categorized into the Bodhisattva school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latter has been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Avatamsaka Sutra. The Buddhabhadra, of the Eastern Jin Dynasty, had translated the 60-volume Avatamsaka Sutra from the 14th Year of Yixi(418) to the 2nd Year of Yuanxi, in which there are contents of the Abode of Boddhisattva Section indicating that Manjusri often dwelled in the Qingliang Mountain; since the Qingliang Mountain here was interpreted as the Mount Wutai of Daizhou, Shanxi Province, it provided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The development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in China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First, the era of the Eastern Jin Dynasty an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418-581),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Emerging Period of the Manjusri Belief”. The Manjusri belief in this period was transmitt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of sutras into Chinese. However, Bodhisattva Manjusri, unlike the wide transmission of Avalokitesvara Belief, in most cases, acted as the attendant Bodhisattva for Vairocana Buddha. It is widely assumed by the academic community that Mount Wutai had already served as the abode of Manjusri dur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however, through literature studi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unt Wutai of the Northern Dynasties period was not that closely associated with Manjusri as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nor has the recognition that Mount Wutai was the place where Manjusri’s shrine was located been formed. In light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eological of the Mount Wutai at that time, meditation and pure land were highly regarded in the Northern Dynasties; whereas Manjusri Belief had yet to dominate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Mount Wutai at that stage. Second,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from Sui Dynasty to Tang Dynasty (581-798). In this period, Manjusri Belief had been supported by the monarchies, which prompted Mount Wutai to be transformed gradually from a regional religious center during the Northern Dynasties into a holy mountain belief at national level, and laid the foundation to the notion that “the Qingliang Mountain refers to Mount Wutai”. In the Tang Dynasty, Manjusri Belief was blended with Mount Wutai and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was formed. This formation process was highly associated with the Empress Wu Zetian’s(武則天) propag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circulation, as well as the creation of the Huayan School and the writing of a variety of commentaries by Fazang(法藏). 중국 오대산문수신앙의 형성 과정을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동진(東晋)시대부터 남북조(南北朝)시기까지(418-581)를 ‘문수신앙의 출현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문수신앙은 대승경전의 번역에 따라 나타나지만 크게 중시되지는 못하였다. 학계에서는 북조시기에 이미 오대산이 문수보살의 주처로 부흥했다고 논하고 있다. 그러나 이시기 오대산의 발전과 문수신앙의 관계는 선학들이 논했던 것처럼 그렇게 긴밀하지는 않아서 처음부터 문수보살의 성지로 인식된 것은 아니다. 북조시대에는 오대산의 자연환경과 지리적 위치 때문에 선과 정토가 주를 이루었지, 문수신앙이 중시된 것은 아니었다. 둘째는 수대(隋代)부터 당대(唐代)까지(581-798)인 ‘문수신앙의 흥성 및 오대산문수신앙의 출현 시기’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이르러 문수신앙은 군주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오대산은 당 7세기 후반에 국가가 지원하는 전국적인 성산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청량산이 곧 오대산’이라는 인식이 발생해 점차 그 외연을 확장하였고, 문수신앙과 오대산이 결합되어 오대산문수신앙으로 확대 출현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당의 종파불교가 형성되면서 『화엄경』을 중심 경전으로 하는 화엄종이 황실의 지원을 받음에 따라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대산문수신앙의 사상적 연원을 살펴보면 당 초기부터 무주(武周)시기까지 『화엄경』에 의해 성립된 신앙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김부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instrument of mathematical belief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sis results of test using the instrument.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mathematical belief is the cumulative effects of self-assessment and self-concept in mathematical learning and achievement experience. Four sub-components of mathematical belief is identified belief of school mathematics, belief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self-concept, belief of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mathematical belief by reflecting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characters. To develop the appropriate items for the mathematical belief, after reviewing literature thoroughly, first version of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n, to reduce the effect of the gender difference and achievement level difference, Correlation Analysis and 1-way ANOVA was performed. Also, using 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instrument was investigated to see whether this can be used for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final ite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consisted 7 items of belief of school mathematics, 9 items of belief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11 items of mathematical self-concept, 10 items of belief of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Instrument of mathematical belief for high school students is consisted 9 items of belief of school mathematics, 9 items of belief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11 items of mathematical self-concept, 11 items of belief of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bout mathematical belief's sub-factors shown by three groups of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 Students of higher achievement level showed that the degree of most factors ware the highest excepting stereotype of belief of school mathematics. Also, Male students preferred more positive in mathematics belief than female studen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 도구를 문헌연구와 심리측정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 수학 문제해결 신념,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수학적 자아개념의 4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하여 중학생용은 총 37문항으로, 고등학생용은 총 4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단위 표집 검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이 학교급별, 성별, 성취수준에 따라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고등학교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이 유용하다고 믿는 신념, 수학에서 과정보다 정답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 신념, 많은 수의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고 믿는 신념 등이 강하게 나타났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급하면서 수학적 자아개념 중 ‘감정’ 요인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여학생은 중·고등학교 모두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중 ‘교사의 수업활동’ 요인만이 남학생보다 강하였다. 성취수준이 ‘기초이하’ 집단 학생들이 수학은 암기해야 하는 공식과 절차라거나 창의적 활동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이 가장 강하였다. 그 외 요인에서는 ‘우수’ 집단 학생들의 신념이 강하였다.

      • KCI등재

        서사적 텍스트 읽기에 나타난중학생의 독자 신념에 관한 연구

        최숙기 ( Sook-ki Choi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8 No.-

        독자 신념은 읽기에 대한 독자의 흥미, 동기, 태도, 효능감 요인과 함께 읽기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읽기의 정의적 요인에 해당한다. 독자의 능동적 의미 구성 과정으로 읽기를 정의할 때, 독자의 신념은 근본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국내 독자의 신념 체계나 수준을 조사한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 독자 860명을 대상으로 하여 독자 신념 체계와 수준을 탐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 분석의 결과, 중학생의 독자 신념을 구성하는 요인은 ``교류 신념``과 ``전달 신념`` 의 2개의 전략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교류 관점과 전달 관점의 상관관계는 .469로 보통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중학생들의 독자 신념은 전달 신념과 교류 신념 모두 약 3.0 이상으로 보통 수준 이상의 신념 수준을 각각 보였다. 중학생들은 독자 신념 중 교류 신념이 전달 신념보다 더 높았고,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교류 신념이 높았고, 전달 신념은 더 낮았다. 또한 중학생의 교류 신념은 학년에 따라 점차 향상되었고 전달 신념도 향상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reader beliefs about narrative text reading comprehension. Readers beliefs affect reading engagement(ex. reading interest, reading motivation, reading attitudes so on), reading behaviors. This study examines student`` reading beliefs concerning narrative text reading among a large sample(N = 860) of middle school students (grades 7 to 10).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using EFA, CFA was that 1) middle school students`` reader belief consist of 2 sub-dimensions of ‘transmission beliefs’ and ‘transaction beliefs’. There i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reader beliefs of .469 indicating positive correlation.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d average mean of 3.0 and students`` transaction beliefs was higher than transmission beliefs. Their transaction beliefs appear to rise and transmission beliefs appear to decline as students get older. Girls were found to have more higher transaction beliefs level than boys.

      • KCI등재

        인식론적 신념이 독자 신념과 다문서 읽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소라 ( Lee So-ra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3

        본 연구는 그간 중점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인식론적 신념이 독자 신념과 다문서 읽기(전략)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연구 이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이 교류적 독자 신념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매개로 정교화 전략 사용에 직접 효과 및 간접 효과를 지닌다는 영향 관계를 밝힌 것이다.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은 교류적 독자 신념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정교화 전략 사용에 직접 효과 및 간접 효과를 모두 지닌다. 따라서 읽기 교육에서는 다문서 읽기 상황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론적 신념을 다룰 필요가 있으며, 인식론적 신념을 고려한 다문서 읽기 교수·학습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영역 일반적인 요인으로 다루어진 인식론적 신념 요인과 읽기 상황에 구체화된 `독자 신념`의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문서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다각적·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Influence of Epistemic beliefs on Reader beliefs and Multiple-Text Comprehension Strategies through Path analysis. Epistemic beliefs are associated with reading development and reading performance. They influence students` approaches to the cognitive skills and strategies that students use, and the stances readers take toward text. Epistemic beliefs affect Multiple-text comprehension strategies, to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sophisticated epistemic beliefs directly affects the “transaction beliefs” of reader beliefs. A sophisticated epistemic beliefs have an indirect effect on elaboration strategies through transaction beliefs. sophisticated epistemic beliefs do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accumulation strategies through transaction beliefs. 2) A transaction beliefs of reader beliefs effect on elaboration strategies 3) A sophisticated epistemic beliefs have a direct impact on elaboration strategies and accumulation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