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수업의 현장체험학습 활용방안 -통일의식 재고를 위한 현장체험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trategy and a model of actively integrating a liberal arts course into a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order to help develop liberal arts courses in a new way and improve their quality. There exist a variety of difficulties to accomplish a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liberal arts courses to gain diverse experiences. Despite of the difficulties,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at students go along with an instructor highly increased students’ satisfaction since it is offered. Even it helped change students’ perception of particular issues.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 as a required liberal arts course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offered an opportunity of “a filed experience learning about the unification education for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s part of experience and exploration of society and culture. This field teaching provided th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of gaining valuable experience to directly feel the realty of the partition and truce state of the Korean peninsula. Despite of these educational effects, there are various issues for an instructor to actively apply this field experience learning to educ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models of creativ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at universities support should be developed. 이 논문은 대학 교양수업에 현장체험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양교육 수업의 질적 변화를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있다. 대학 교양수업에서 다양한 체험을 위한 현장체험학습이 실제로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교수자의 고충에도 불구하고 교양과목 교수자와 수강생들이 함께 하는 현장학습 체험은 체험 학습전과 후의 학생 만족도가 급상승하였을 뿐 아니라 학생들의 특정 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까지 꾀하는데 상당부분 도움이 되었다. 동덕여자대학교 교양필수과목인 『발표와 토론』 과목의 사회문화 체험 답사의 한 방편으로 이루어진 통일의식 재고를 위한 현장체험학습 역시 평상시 분단의 문제에 무관심했던 여대생들에게 분단의 현실과 정전 상태를 직접 피부로 느끼게 해주는 귀중한 체험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대학 교양교육에서 교수 재량으로 이루어지는 현장체험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많은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이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창의적인 현장체험 학습의 모델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운영 실태

        임부연 ( Boo Yeun Lim ),정문옥 ( Moon Ok Jung ),오정희 ( Jung Hee O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예술경험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참여한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예술경험 영역 활동을 일상적으로 실시하고 있었고, 예술경험 영역의 하위내용도 균형 있게 전개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교육경력에 따라 예술경험 영역의 운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교사들은 예술경험 영역 활동을 운영함에 있어 여전히 높은 어려움과 요구도를 가지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참고자료의 한계와 교수·학습자료의 부족, 학부모의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예술경험 영역을 운영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예술경험 영역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예술경험을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체험 중심의 교사연수를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본질적 의미를 구현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status of ‘Art Experience field’ in Nuri Curriculum as well. To collect the data, 217 teachers were surveyed and 10 from the teachers were chosen for teacher interview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ed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as daily routine activities generally and practiced the detailed contents of ‘Art Experience field’ variously. Nevertheless,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difficulties and needs in implementing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activities due to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limitative references and parents’ misunderstanding art experience. In order to implement ‘Art Experience fiel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e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social networking and experience oriented teacher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s the practical plans that can accomplish the intrinsic meaning of ‘Art Experience field’ should be sought.

      • KCI등재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경험 연구

        이홍조,한경아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3

        This study explores the difficulties that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experience in hospice palliative care training and identifie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 The goal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required for education and supervis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training for art therapists. Hospice palliative care training is important as it nurtures students’ expertise in art therapy and provides them with the opportunity to self-identify as an art therapist. However, its clinical field training can pose different types of psychological conflicts to students who are not accustomed to the situations where life and death are considered. It entails not only the difficulties of the therapy itself but also the questioning of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and caring for spiritual well-being. However, if such emotional conflicts are well-addressed, the training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students to establish themselves as well-rounded human beings and to grow into mature therapists who can embrace a variety of patients. Accordingly, this study employs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difficulties that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experience in hospice palliative care training.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어떠한지 그 본질적 의미를 밝힘으로써 전문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 미술치료 실습을 위한 교육 및 슈퍼비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론과 실제의 통합이 이루어지는 현장실습은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미술치료에 대한 전문성을 기르고, 미술치료사로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삶과 죽음을 다루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실습현장은 임상 장면에 익숙하지 않은 석사학위과정생으로 하여금 다른 실습지에서 경험하는 것과는 또 다른 형태의 심리적 갈등을 야기시킨다. 이는 단순 미술치료 실제에 대한 어려움을 넘어 인간 존재의 본질이나 영적 돌봄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함으로써 실습생을 소진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갈등을 잘 대처한다면 오히려 인간의 전반적인 부분을 적립하고, 나아가 다양한 내담자를 품을 수 있는 성숙한 치료사로 성장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생생하고 섬세하게 드러내어 그 의미를 심도 있게 해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진행된 ‘문학을 기초로 한 예술’에서의 ‘변화’와 그 속에서의 ‘패턴’탐구

        김덕삼,이병헌,최원혁 인문예술학회 2019 인문과 예술 Vol.- No.7

        The world changes rapidly, and many of the discourses surrounding u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hange. We can also find a certain pattern, in the many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since ancient times. In this paper, I tried to speculate and apply the changes and patterns in literature-based art. The fact that the period of enjoying poetry and the period of enjoying novels are clearly distinguished in literature is the basis for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Of course, there are exception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se things, or in the formulation of hypotheses or theories, but with an expanded perspective, we have examined the large patterns found in chan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heoretical review and examined change and field, change and pattern. First, it is a change from simplicity to complexity: a change from small amount to large amount, a change from small number of people to participation work of large number of people. Second, it is a change with the change of the field. Change does not happen alone, but in the interaction with the field, and there is a certain pattern of change. Third, it is a change toward direct experience. Based on this, we narrowed down the scope of the area called Korea and the tools and genre of literature to examine changes and patterns.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content determines the form, the change of genre reflects the change of the content more than the change of the medium. If the change of media is an external change, the change of genre appears in various forms. The tools and genres that archive literature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ield. These things are not stagnant, they are linked together like organisms, causing a variety of changes. What we want to know from these studies is ultimately a macro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pattern and a prediction of the future. In other words, we hope to find the habits that mankind has shown in art based on literature and to predict the changes in literature, art and culture today and in the future. 세상은 빠르게 변화고, 우리를 둘러싼 많은 담론은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우리는 고대부터 지금까지 벌어진 많은 변화 속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 속에 ‘문학을 기초로 한 예술’에서의 변화와 패턴을 추출하고, 적용해보았다. 문학에서도 시를 즐기던 시대와 소설을 즐기던 시대가 확연히 구분되는 것은 본고의 논의를 유의미하게 하는 근거이다. 물론 이러한 것을 탐구하는 과정 속에, 혹은 가설이나 이론을 정립하는 과정 속에 예외는 존재하지만, 확장된 시각을 가지고 다양한 변화 속에 발견되는 커다란 패턴을 살펴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시도하여, 변화와 장 이론, 예술상의 변화와 패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변화의 기본 패턴 3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의 변화이다. 적은 양에서 많은 양으로의 변화, 적은 인원수의 참여 작업에서 많은 인원수의 참여 작업으로 변화이다. 둘째, 장의 변화와 함께하는 변화이다. 변화는 홀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장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진행되고, 이러한 변화에는 일정한 패턴이 존재한다. 셋째, 직접적인 체험을 향한 변화이다. 이를 토대로 한국이라는 지역과, 문학을 저장하는 도구와 문학 장르라는 대상으로 범위를 좁혀 변화와 패턴을 고찰하였다. 내용이 형식을 결정한다는 원리에 따르면 장르의 변화는 매체의 변화보다 내용의 변화를 더 크게 반영한다. 매체의 변화가 외부적 변화라 한다면 장르의 변화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문학을 저장하는 도구와 장르는 장의 변화에 따라 변했다. 이러한 것들은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유기체처럼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알고 싶은 것은 궁극적으로 현재의 양상에 대한 거시적 이해와 미래에 대한 예측이다. 다시 말해 인류가 문학을 기초로 한 예술에서 보여준 습성을 찾고, 이를 토대로 오늘과 미래의 문학과 예술, 나아가 문화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경영 대학원생들의 현장 활동 경험 연구 : 맥락적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육준우,주희현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4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7 No.2

        문화예술경영은 이론 지식과 실무적 경험을 동시에 요구하는 학문으로 교육과정의 양적, 질적인 확장과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장 실무 능력을 갖춘 인력 부족하다는 지적과 함께 현장 경험과 실습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왔다. 문 화예술의 수요 증가와 더불어 문화예술경영 전문 인력의 활약이 꾸준히 요구되는 가운데, 다변화되는 문화예술 환경 에 적응해 나갈 인재 양성을 위해 현장학습과 실무 경험의 효과를 분석하여 적용 및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 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경영 대학원 과정 중 현장 실무 경험이 있는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행하 고 맥락적 학습 모형을 적용해 분석한 결과, ‘개인적 맥락’에서 대상자들이 높은 기대와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활동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문화적 맥락’에서는 다양한 실무 기술을 접하고 인맥 형성의 유익을 경험하는 반면, 멘 토 부재로 인한 의사 결정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물리적 맥락’에서는 사전 교육 여부에 따라 현장 활동 의 적응 및 대응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현장실습 과목 확대와 멘토 링 프로그램 도입, 대학과 현장 기관의 협력 관계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Culture and arts management is a study that requires both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despit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the need for field experience and practical education has emerged along with the criticism that there is a lack of manpower with field-level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ield trips and practical experiences to cultivate talents who will adapt to the diversified culture and arts environment amid the steady demand for culture and arts management. To this end, as a result of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people with field-level experience during the graduate course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and analyzing them by applying a contextual learning model,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worked with high expectations and clear goals in a personal context, and in a socultural context, they encountered various practical skills and experienced the benefits of networking, whil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making decisions due to the absence of mentors. In the physical context, the adaptation and response of field activit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were trained in adva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field training subjects, introduce mentoring programs, and establish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and field institutions to strengthen professional competencie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경험 연구

        김예진 ( Yehjin Kim ),윤혜선 ( Hye-sun Yoon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인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수업을 중심으로 무용 전공자의 현장실습 경험과정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현장실습 운영체계의 질적 개선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맥락적 학습모형 이론을 토대로 구성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맥락적 학습모형의 분류방법인 ‘개인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물리적 맥락’을 분류기준으로 적용하였고, 개방형 설문과 인터뷰 녹취자료를 취합하여 전문가 집단의 회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첫째, ‘개인적 맥락’의 세부요소인 ‘기대와 동기’, ‘선행지식의 흥미, 신념’, ‘선택과 조절’ 에 대한 경험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사회문화적 맥락’의 세부요소인 ‘집단 내에서의 사회문화적 중재’, ‘타인에 의해 촉진된 중재’에 대한 경험과정을 분석하였다. 셋째, ‘물리적 맥락’의 세부요소인 ‘선행 조직자들과 오리엔테이션’, ‘이벤트 및 체험의 강화’에 대한 경험과정을 분석하였다. 넷째, 무용전공자의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경험분석을 통한 개선점을 모색하기 위해 맥락적 학습모형의 세 가지 맥락별 경험분석의 과정에서 도출된 맥락간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문제점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기관선정 및 관리의 문제’, ‘실습시간 운영구조의 문제’,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을 위한 교과과정 연계성의 문제’로 분석되어 각각의 개선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수업의 체계적인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는 교수자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운영체계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on field practice oper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meaning of field practice experience process of dance major based on a class named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Field Art and Culture Education'―the curriculum for training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For the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 is conducted via asking open-type inquiries constructed based upon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theory. Further for the measurement method, classification method of contextual learning model, including 'personal context', 'sociocultural context', and 'physical context', is applied as classification criteria. Also, the open-type surveys and interview recording data are collected and are analyzed through the meeting of experts.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process on the detailed elements of ‘personal context’, which are 'expectation and motivation', 'interest and belief behalf of prior knowledge', and 'selection and control', are analyzed; Second, the detailed elements of ‘sociocultural context’, or the experience process on 'sociocultural interventions within groups' and 'interventions promoted by others', are analyzed; Third, the detailed elements of 'physical context', or the experience process on 'prior organizers and orientation' and 'event and experience strengthening', are analyzed; Fourth, in order to search the points to improve through analysis on art and culture education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a dance major, the analyzed result upon the problem that intervenes the interaction between contexts derived from three types of coherent experience analyzing process on contextual learning model for the following improving methods for each is suggested: ‘the problem of selection of an institution and the management', 'the problem of the operation structure of practice hours', and 'the problem of linking the curriculum with field placement on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tilized as useful data for the professors and reser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ho are striving to build systematized learning environment of field practice class on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nd further will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field placement operation system for art and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교원의 문화예술교육 연수 경험 탐색

        박소연,박용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training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various angles. Also this study aims to captur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eacher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raining. To this end, a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or 14 teachers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raining. Through the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contents, the following five topics were derived. First, the teachers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in the midst of low interest and understanding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Second, while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teachers met highly immersive learners with the same interests. Third, the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professional contents of the training and satisfied the need for professional competency development. Fourth, teachers experienced differentiated educational methods such as participation and reflection in training. Fifth, the teachers experienced that the practicality of the training was insufficient and the situation was not suitable for using training experience in the classroom education after training.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training experience, this study looked at the expectations and reality of teachers’ culture and arts education training from various ang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er culture and arts education training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원들의 경험 탐색을 통해 연수의 현상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포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 연수에의 참여 경험이 있는 교원 1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에 대한 반복적 비교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원은 교육 현장의 관심과 이해가 낮은 가운데 어려운 결심을 통해 연수 참여를 결심하였다. 둘째, 교원은 연수에 참여하면서 동일한 관심을 가진 몰입도 높은 학습자들을 만나게 되었다. 셋째, 교원은 연수의 전문적인 내용에 만족하며 전문 역량 개발 욕구를 충족하였다. 넷째, 교원은 연수에서 참여, 성찰 등 차별화된 교육방법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교원은 연수 후 교육현장에서 활용하기에는 연수의 실천성이 부족하고 상황도 여의치 않음을 경험하였다. 연수 경험 탐색을 통해 본 연구는 교원의 문화예술교육 연수에 대한 기대와 현실을 다각도에서 조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원 문화예술교육 연수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의 음악경험 및 음악흥미도의 차이 비교

        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3

        본 연구는 영재와 일반학생의 음악경험 및 음악 흥미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영재를 위한 예술교육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가장 폭넓게 시행되고 있는 국내 영재교육의 분야인 과학, 수학, 수 과학 분야 초등영재 119명과 일반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음악경험 및 흥미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재 및 일반학생들의 유.초등기 음악경험은 모두 중간대의 점수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영재학생들의 음악 흥미도는 대체로 중간대의 점수 수준에 분포되어 있었으나,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이 수학, 수 과학 영재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년 간 차이는 없으나, 음악경험 및 흥미도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offering basic data to arranging a plan for vitalizing ar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which is being activated these days, by comparing difference between music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in the 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The difference between music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of the gifted children in each field was comparatively analyzed targeting 73 general students and 119 elementary gifted children in the fields of science, mathematics, and mathematics & science, which are the gifted education fields at home that are being enforced now most extensive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first, the music experience in babyhood and childhood of the 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was indicated all to be mid level. Second, the music interest level is distributed in the mid level. The science-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were survey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 science.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chool years. However, girl students were indicat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boy students in both music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 KCI등재후보

        지역 기관 연계 체험학습 교양교과목 개설 방안

        주미란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0 교양기초교육연구 Vol.1 No.2

        이 연구는 대학교에서 온라인, 현장체험, 교실수업을 혼합하는 형태의 교양교과 목 설계를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학교가 위치한 지역과의 연계 가능한 체험활 동은 상호 보완의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여 체험활동 주제와 관련 있는 지 역기관이나 단체와의 연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선행사례와 이론적 배경을 근거 로 교과목 설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체험활동 교과목 수요도 및 만족도와 수행도 인식, D대학의 6대 핵심역량에 대한 만족도와 수행도 에 대한 설문 응답을 수집하여 IPA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연계 가능한 지역기관 및 단체를 조사하였다. 체험학습 활동에 대한 수요도는 보통(3.00)보다 높은 3.97에 달하여 대학생들이 현장체험 교과목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PA 분석 결과 집중관리 체험활동은 다섯 항목으로 선별되어 예 체능 활동, 진로와 취업 활동, 국제기구 및 캠페인 활동, 응급조치 활동으로 분류 하여 수업내용을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연계 가능한 지역기관과 단체의 예를 제시 하였다. 교과목의 특징은 온오프 혼합형, 팀티칭으로 구성되며 첫 주 이론수업, 둘 째 주 체험활동, 셋째 주 결과발표와 공유 등으로 구성된다. 장소와 시간이 유동적 이면서 학습자의 학습속도와 반복 등 맞춤식교육이 가능한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한 이론을 몸소 체험하고 행동해보는 오프수업의 특징을 최대한 활 용할 수 있는 미래교육의 유형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liberal arts curriculum that mixes online, field experiences, and classroom classes. In particular, on the assumption that the linked activities between the college and its local organizations would have a complementary effect, the research focused on field experience linked with local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The precedent cases and relevant theoretical background was reviewed. IPA 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survey responses from 30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section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demand for field experience course, and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both on theme of field experience and six core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y. As a result, the demand for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was high, indicating that college students are aware of the need for field experience cours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IPA analysis, the activity themes for the course were decided, which are arts and fitness, career and employm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campaign activities, and risk management like first aid. Accordingly, examples of relevant local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are presented. The designed course is blended and team teaching class, and it consists of theory class of the first week, experience activity of the second week, and presentation and sharing the result of field activity of the third week. This course can make the most use of the features of online classes, and off-classes, where students can experience and act on the theory learned in onlin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