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케치업을 활용한 3D 건축모델링 및 물량산출

        김민규,엄대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The construction cost is estimated based on the drawings at the design stage and constructor will find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s for budgeting and budgeting appropriate to the budget. Accurate quantity estimation and budgeting are critical to determining whether the project is profitable or not. However, since this process is mostly performed depending on manpower or 2D drawings, errors are likely to occur and The BIM(Build Information Modeling) program, which can be automated, is very expensive and difficult to apply in the field. In this study, 3D architectural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SketchUp which is a 3D modeling software and suggest a methodology for Quantity Estimation. As a result, 3D modeling was performed effectively using 2D drawings of buildings. Based on the modeling results, it wa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fference of the quantity estimation by 2D drawing and 3D modeling.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3D modeling using the SketchUp and the calculation of the quantity can prevent the error of the conventional 2D calculation method. If the applicability of the research method is verifi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t will contribut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rchitectural modeling and quantity Estimation work. 건축공사는 설계단계에서 도면을 바탕으로 예상되는 비용이 산정되며, 소요예산의 책정과 예산에 합당한 효율적 공사 방안을 찾게 된다. 정확한 물량산출과 예산책정은 공사의 수익성 여부를 판단하는 척도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대부분 인력이나 2D 도면에 의존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기 쉬웠고, 자동화가 가능한 BIM(Build Information Modeling) 프로그램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인 스케치업을 이용하여 3D 건축모델링을 수행하고, 물량산출을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건축물의 2D 도면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3D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2D 도면과 3D 모델링을 통한 물량산출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스케치업을 활용한 3D 모델링과 물량산출이 기존의 2D 산출식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방법의 활용성이 검증된다면 건축 모델링과 물량산출 업무 효율성 증가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A 3D Modeling UI Method Focused on Geometry Education Experience for Novices

        Jihye An,Kyungju Kim,Jinho Park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media and Ubiquitous Vol.11 No.12

        In creative education through spatial ability, incorporating 3D printer to education enabled 3D modeling education approach to beginners such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ing the advancement of 3D printer industry. However, the existing 3D modeling tools for graphic works of 3D modeling have a disadvantage in that beginners have difficulties in accessing as they target practical workers. Hence, we suggest UI of the 3D modeling tool that differs from the existing modeling UI scheme so that beginners can intuitively access 3D modeling and combine it with 3D printer. The 3D modeling UI scheme that is easily accessible to beginners also has small burden on educators who have to learn it in advance. We analyze the modeling scheme and UI access scheme of the existing 3D modeling tool to find out their problems from an aspect of beginners and suggest direction for solving them. The suggested UI scheme is aimed at improving 3D printing education and spatial ability focusing on users’ educational experience based on geometry. We plan to use 3D modeling writing tool combined with the suggested UI in 3D printing education and expand it.

      • KCI등재

        무료공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한 교육용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유형 제안

        이국희 ( Guk-hee Lee ),조재경 ( Jaekyung Cho )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2

        3D프린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3D프린팅에 선행되어야 할 3D모델링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3D모델링 소프트웨어들은 대부분 외국 브랜드에서 개발하였고,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모두 영어되어 있기에 이러한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인 입문자들을 대상으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교육을 수행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면서 3D프린팅을 위한 한국형 3D모델링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D모델링 경험이 없는 사람들로 하여금 입문자들의 접근이 용이하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무료공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123D Design나 Tinker CAD 중 하나로 집만들기 과제를 수행하게 한 후, 이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Tinker CAD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123DDesign에 대한 것보다 호의적이고, 전자를 경험하면서 발생한 오류가 후자를 경험하면서 발생한 오류보다 적으며, 전자에서 과업을 완료한 사람의 비율이 후자에서 과업을 완료한 사람의 비율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논의에서는 Tinker CAD의 특성(입체도형을 통해 쉽게 모델링 가능)과 웹 기반 구동방식을 적용한 입문자 교육용 3D모델링소프트웨어 개발 및 123D Design의 특성(세밀한 치수조작과 도형정렬 가능)과 윈도우 기반 구동방식을 적용한 초?중급자 교육용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을 제안하였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3D printing, the interest in the 3D modelling training that should precede the 3D printing is increasing. However, the existing 3D modelling software is developed mostly by foreign brands. Thus, the interfaces are all in English. 3D modelling software training for Korean novice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se terms has constrai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to consider when developing a Korean model for 3D modelling educational software for 3D printing in the face of such reality. For this goal, after having novices with no experience in 3D modeling to perform a house building task using either 12D Design or Tinker CAD, we conducted a survey. It was found in the result that more users favored Tinker CAD over 123D Design, and the errors involved while working with the Tinker CAD were less than those with the 123D Design, and the ratio of people who completed the task with the Tinker CAD was higher than that with the 123D Design. In general discussion, an introductory level educational 3D modeling software development is proposed which utilize characteristics of Tinker CAD (easy modelling is possible by three-dimensional figures) and web-based method. Also, a beginner/intermediate level educational 3D modeling software development is proposed which utilize characteristics of 123D Design (with finer measurement manipulations and figure alignment) and Windows-based method.

      • KCI등재

        3D 변형가능 형상 모델 기반 3D 얼굴 모델링

        장용석(Yong-Suk Jang),정선태(Sun-Tae Chung),김부균(Boo-Gyoun Kim),조성원(Seongwon Cho)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

        3D 얼굴 모델링은 3D 공간에서 얼굴을 자유롭게 회전 시켜 다양한 얼굴 자세를 표현하고 조명 효과도 적절하게 모델링 할 수 있으므로, 얼굴 자세, 조명, 표정 등의 표현에 있어서 2D 얼굴 모델링에 비해 보다 정교하며 사실감이 뛰어나 얼굴 인식, 게임, 아바타 등에서 많은 요구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3D 변형 가능 형상 모델에 기반을 둔 3D 얼굴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3D 얼굴 모델링 방법은 먼저 3D 스캐너를 통하여 획득한 3D 얼굴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얼굴 변형 가능 형상 모델을 구축한다. 다음, 3D 얼굴 모델링을 하고자 하는 얼굴의 2D 이미지 시퀀스로부터, 해당 얼굴의 특징점들을 검출하고 이들을 매칭하여, 매칭된 특징점들로부터 인수분해 기반 SfM 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특징점의 3D 버텍스 좌표 값을 구한다. 이후, 구한 3D 버텍스들을 3D 변형 가능 형상 모델에 정합하여 해당 얼굴의 3D 형상모델을 얻는다. 또한, 2D 얼굴 이미지 시퀀스들로부터 뷰 독립적인 2D 원통 좌표 텍스쳐 맵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3D 형상 모델을 렌더링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3D 얼굴 모델을 완성한다. 제안된 3D 얼굴 모델링 방법에 의한 3D 얼굴 모델 생성 과정을 통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3D 얼굴 모델링 방법이 기존의 얼굴 모델링 방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고 비교적 정교하게 수행됨을 볼 수 있었다. Since 3D face can be rotated freely in 3D space and illumination effects can be modeled properly, 3D face modeling is more precise and realistic in face pose, illumination, and expression than 2D face modeling. Thus, 3D modeling is necessitated much in face recognition, game, avatar, and etc. In this paper, we propose a 3D face modeling method based on 3D morphable shape modeling. The proposed 3D modeling method first constructs a 3D morphable shape model out of 3D face scan data obtained using a 3D scanner. Next,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and matches feature points of the face from 2D image sequence containing a face to be modeled, and then estimates 3D vertex coordinates of the feature points using a factorization based SfM technique. Then, the proposed method obtains a 3D shape model of the face to be modeled by fitting the 3D vertices to the constructed 3D morphable shape model. Also, the proposed method makes a cylindrical texture map using 2D face image sequence. Finally, the proposed method builds a 3D face model by rendering the 3D face shape model with the cylindrical texture map. Through building processes of 3D face model by the proposed method,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is relatively easy, fast and precise than the previous 3D face model methods.

      • KCI등재

        특성화고 전문제도 과목을 위한 BIM 기반 3D 주택설계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

        권세정,유현석 대한공업교육학회 201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3 No.1

        As the BIM designing technology has been applied recently in the construction field,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in the field of work and university has been changing to 3D modeling. Nevertheless, architectural design & drafting education in the constructi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s not responding appropriately to change. Despite the fact that students need to have 3D modeling design ability, there is a very lack of 3D housing design instructional material that can satisfy th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IM-based 3D modeling instruction material and apply to analyze effect on interest and task performance ability on Housing Design. The 3D modeling instruction material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four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DIE model procedure. Also, the experimental design mod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Based on the experimental design model, BIM-based 3D modeling instruction material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D CAD-based standard instruction material was taught in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of construction specialized vocatinonal high school, and applied to the subject of Professional Drafting in the 12 hour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interest and task performance ability on Housing Design were tested. Based on the test results,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3D modeling instruction material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IM-based 3D modeling instruction material was developed of ‘Housing Design & Drafting’ unit on the subject of Professional Drafting in constructi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econd, the application of 3D modeling instruction material h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interest. Third, the application of 3D modeling instruction material h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task performance ability on Housing Design. 최근 건설 분야에서 BIM 설계 기술이 의무 적용됨에 따라 실무 현장이나 대학의 건축설계 교육은 3D 모델링 중심으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건축설계 교육은 수제도와 2D CAD 중심으로 구성되어 그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학생들에게는 새로운 건축 설계 흐름에 부합하는 3D 모델링 설계능력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족할 수 있는 3D 주택설계 수업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제도 과목을 위한 BIM 기반의 3D 주택설계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도와 주택설계 과제수행능력이 얼마나 향상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 사용되는 3D 주택설계 수업자료는 PDIE 모형 절차에 따라 준비, 개발, 실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개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실험설계 모형은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설계 모형에 따라 실험 집단에는 BIM 기반의 3D 주택설계 수업자료를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 집단에는 2D CAD 기반의 일반적인 주택설계 수업자료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는 건설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12차시의 전문제도 교과 수업에 적용하였다. 실험 처치의 전과 후에는 각각 흥미도와 주택설계 과제수행능력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3D 주택설계 수업자료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BIM 기반의 3D 주택설계 수업자료는 학생들의 수업 흥미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기존 2D 기반의 주택설계 수업보다 과제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조형 구축 변수에 따른 기초디자인 교육

        조윤호(Cho, Yun Ho),유보현(Yoo, Bo Hyeo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디지털프로세스에서 3D 모델링은 비구조적인 스케치과정을 거쳐 디자이너의 조형 아이디어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수치화 작업과정이며 모델링 데이터는 제품디자인의 디지털프로세스 과정 전반에 형상적 영향을 주는 의미로 가장 핵심적 조형 창작 과정이다. 컴퓨터를 활용한 기초디자인 교육을 횡적 공통분모로서 인식하고 있으나 디지털 소프트웨어는 호환성과 논리적 연계성을 그 특성으로 하기에 종적, 독립적 개념이 필요하다. 이러한 3D 모델링의 논리적 연계성은 작업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상구축의 명령어 변수에 의해 이후 전문적 설계편집 기반의 파라메트릭 소프트웨어의 운용과 차이를 가지게 된다. 특히 서페이스 모델링 교육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명령어 학습 경험은 전문적 편집설계를 위한 솔리드 모델링의 논리 알고리즘과 그 연관성을 가져야 함에도 기초디자인교육에서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조형의 복잡성에 따라 다르지만 3D 모델링의 조형구축의 변수에서 나타나는 명령어의 운용에 있어 기술적 특성인 파라메트릭 형상 구축과 연계하여 교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프로세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Rhino 3D와 CREO 소프트웨어의 가변적 3D 모델링 특성과 일반적인 조형 구축의 운용 변수를 고찰하여 형상구축 방식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파라메트릭 모델링은 서페이스와 솔리드 형상과 관계없이 종속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서페이스 모델링 학습 단계에서 조형구축의 논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The 3D modeling in the digital process is to make the designer"s modeling idea a digitizing work process through the unstructured sketch process as a digital data. The modeling data is the core creative modeling process in a meaning of having a figurative effect on the whole process in the digital process of product design. The basic design education using a computer is recognized as a horizontal common denominator, but the digital software is characterized by the compatibility and logical connection. Accordingly, it requires the horizontal and independent concepts. The logical connection of such 3D modeling has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special design editing-based parametric software by the command variables of various forms shown in the work process. In particular, various command learning experiences arising from the surface modeling education course does not reflect it in the basic design education although it needs to have logical algorithm of solid modeling for the special editing design and its connection.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method in connection with the parametric form construction as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the operation of command shown in the variables in the modeling construction of 3D modeling although it differs from the complexity of modeling. To this end, this study was to make progress as comparative method of modeling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 3D modeling for Rhino 3D and CREO software widely used in the digital process and operation variables of general modeling construction. To conclude, the parametric modeling is based on the subordinate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surface and solid form.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design it by considering the logical element of modeling construction in the learning stage of surface modeling. This researcher makes a conclusion that the education should reflect such above stated.

      • KCI등재

        드론 사진측량 자료를 활용한 수목 3D 모델링 구축

        박진욱(Park, Jin-Wook),김영표(Kim, Yeong-Pyo)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보급형 드론과 사진측량 기법을 활용하여 수목의 3D 모델을 구축하고 실제 측정한 수고와 비교하여 수목 3D 모델링의 정밀도를 파악함으로서 보급형 드론과 사진측량 기법을 활용한 수목 3D 모델링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서로 다른 형태의 수목을 대상으로 3D 모델링 구축을 시도한 결과, 두 대상 모두 전체적인 수형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정밀도의 3D 모델이 구축되었다. 이는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지역에서 수목의 특성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으로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잎이 밀생한 가지 등의 디테일함에 있어서는 모델링 구축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 구축한 수목의 3D 모델과 현장에서 실측한 수목의 수고를 비교한 결과 0.5m 이내로 고가의 정밀 장비 보다는 오차가 있으나, 현장에서는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3D 모델링 구축에서는 메쉬 데이터 형성 후에 텍스쳐 맵핑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레이저 스캔에 의해 구축한 디지털 데이터와 다르게 RGB 영상으로 수목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The paper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tree 3D modeling which features entry-level drones and photogrammetry. In the experiment, the data of the 3D modeling were obtained through constructing 3D modeling of a tree with an entry-level drone and a photogrammetry program, and then comparing it with the actual size of the tre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establishing the 3D modeling of two trees with differing shape, it turns out that the modeling was accurate enough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drone photogrammetry method can be applied to monitoring characteristics of tree species in an area which has little or no access. However, it also shows that the details of the 3D modeling should be enhanced regarding branches densely covered with leafs. Second, as the comparison between the 3D modeling and the actual subject indicates, the margin of error was about 0.5 meter. Even though the margin is less satisfactory than that of high-priced equipments, it is sufficient enough to facilitate the use of drone photogrammetry method in the field. Third, 3D modeling construction also provides a visual benefit, RGB image of trees, which allows researchers to grasp characteristics of tree species surveyed more easily, because photogrammetry method offers relatively easier texture mapping process after the mesh data construction than laser introduced detection and ranging, LIDAR.

      • KCI등재

        3D Modeling of a Fabric based on its 3D Microstructure Image and Application of the Model of the Numerical Simulation of Heat Transfer

        ( Hyojeong Lee ),( Heeran Lee ),( Ran-i Eom ),( Yejin Lee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6 패션 비즈니스 Vol.2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3D solid modeling from 3D scanned surface images of cotton and silk in order to calculate the thermal heat transfer responses using numerical simulations. Continuing from the previous methodology, which provided 3D surface data for a fabric through optical measurements of the fabric microstructure, a simplified 3D solid model, containing a defined unit cell, pattern unit and fabric structure, was prepared. The loft method was used for 3D solid-model generation, and heat transfer calculations, made for the fabric, were then carried out using the 3D solid model. As a result, comprehensive protocols for 3D solid-model gener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optical measurements of real fabric samples. This method provides an effective means of using 3D information for building 3D models of actual fabrics and applying the model in numerical simulations. The developed process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other analogous research are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y fabrics.

      • KCI등재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이영찬(Youngchan Lee),고인규(Ingyu Go),길영재(Yeongjae Gil),김연정(Yeonjeong Kim),장한울(Hanul Jang),김희필(Heuipil Kim)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문제 해결에 기반한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하고, 개발된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과 흥미도 변화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ADDIE 모형의 절차에 의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FGI 검증을 거쳐 최종 완성하였다.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를 「필기구를 거치할 수 있는 발명품 제작」으로 선정하고 10 차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각 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또한, 수업에 활용할 교육자료도 제작하였다.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기술적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술적 창의성의 하위 영역에서는 과제 집착력과 호기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흥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using 3D modeling based on solving invention problems. An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t is to verify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interest change. To achieve this aim, a 3D model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procedure in the ADDIE model. The developed program was finally completed after verification by a group of experts. The selected subject for the 3D model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Production of inventions that can hold writing instruments.” A 10-hour program was organized, and a teaching plan was prepared for each session in addition to class material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a paired-sample t-test was conducted, which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sub-domain of technological crea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obsession and curiosity. The students created 3D drawings using Tinkercad for their concept drawings. Because the experiential activity of directly observing the 3D expression of the conception was developed, the will to express one's own until the end was developed, which exhibited an effect on task obsession. I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curiosity about 3D drawing production programs and inventions increased dur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results. The paired-sample t-test was also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interes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During the program, it was judged that interest in invention and 3D drawing production increased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and exchanging opinions and, presenting and evaluating their own work and the work of others.

      • KCI등재

        3D 건물 모델링 지원을 위한 3차원 뷰어 개발

        김재학(Kim, Jae Hak),김윤형(Kim, Yoon Hyoung),노수래(Roh, Su Lae)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3차원 공간정보 생성,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도 있는데, 그 중 드론을 영상을 사용하여 신속한 3D 건물을 모델링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 모델링 과정에서 다수의 중간 산출물과 결과들이 나오고 그것을 확인하기 위한 뷰어를 사용하는데 기관마다 필요한 기능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뷰어가 모두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3D 건물 모델링 과정에서 필요한 뷰어 기능을 도출하고, 그 기능을 모두 적용시켜 3D 건물 모델링을 지원 할 수 있는 3차원 뷰어를 개발한다. 개발한 3차원 뷰어를 드론을 영상을 활용한 3D 건물 모델링 과정에 적용시켜 본 결과 모든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하나의 뷰어로 확인하고 분석이 가능하였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research on the creati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nd among them, research is underway to quickly model 3D buildings using drones. During this modeling process, many intermediate outputs and results are produced, and each organization has a different viewer, focusing on the necessary functions. In this paper, we develop a 3D viewer that can support 3D building modeling by deriving necessary viewer functions in the 3D building modeling process and applying all of them.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3D viewer to the 3D building modeling process using the drone, it was possible to check and analyze the necessary data in all processes with one vie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