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재홍의 3ㆍ1민족운동像과 신민족주의의 역사의식

        김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6

        3ㆍ1민족운동은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무게만큼이나 질과 양에서 가장 큰 비중으로 논급되는 식민지시기 최대의 항일민족항쟁이었다. 8ㆍ15해방 후 각 정치세력들도 넓게는 한국민족사 전체, 좁게는 자신들의 경험ㆍ실천 영역이었던 민족운동사를 역사비평하면서, 그들의 정치 이념과 노선을 정당화하는 준거로 3ㆍ1민족운동을 해석하였다. 모든 정치세력들에게 3ㆍ1민족운동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사 텍스트로서, 여기서 도출한 교훈은 그대로 현재 노선의 타당성과 지향점을 표현하였다. 8ㆍ15해방 직후 좌익ㆍ우익을 불문하고 모든 정치세력들이 3ㆍ1민족운동을 역사비평하면서, 이의 긍정정ㆍ부정성의 양면을 동시에 언급ㆍ반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안재홍은 식민지시기나 8ㆍ15해방 후에도 일관되게 최상급의 언어를 동원하여 3ㆍ1민족운동을 극찬하였다. 그에게 ‘3ㆍ1정신의 진면목’은 일체의 분열이 개입하지 않았던 ‘전민족적 협동’이었다. 8ㆍ15해방 후 그가 제창한 신민족주의 사상의 핵심어는 ‘초계급적 통합민족국가’였다. 안재홍은 3ㆍ1민족운동에서 ‘초계급적’의 원형과 실상을 확인하였다. 민족 내부의 모든 분열ㆍ대립을 극복하려는 정신에서 볼 때, 3ㆍ1민족운동은 지극한 모델이었으므로, 그는 3ㆍ1민족운동의 역사상을 신민족주의 국가건설의 ‘이상향’과 동일시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근현대사의 민족지성들이 3ㆍ1민족운동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이를 어떻게 실천론으로 이어나갔는가를 해명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먼저 안재홍의 3ㆍ1민족운동像과 신민족주의 국가건설론의 상관성을 다루려는 작업의 연속이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안재홍은 8ㆍ15해방 후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를 제창하였다. 그의 3ㆍ1민족운동像과 이에 근거를 둔 역사의식은, 그의 사상의 총체인 신민족주의ㆍ신민주주의 속에도 내재화ㆍ가시화하여 중요한 구성 부분을 이루었다. 안재홍의 3ㆍ1민족운동像은 오늘날 학계의 3ㆍ1민족운동사 연구에서 논쟁을 촉발하였던 내용과 상당한 부분 중첩된다. 그의 3ㆍ1민족운동상이 절대화되어 신민족주의 이념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다분히 주관성을 갖지만, 당시대의 역사참여자가 3ㆍ1민족운동에 어떠한 인식을 보였는가 검토함은, 오늘날 학계의 논점에 판단 자료를 제공하는 의미도 있을 듯하다. The March 1st Movement was the largest anti-Japanese national uprisi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s such it has been treated by historians as one of the most critical events in Korean history.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in August 1945, various political groups critiqued the history of nationalist movements, which constituted the nation’s history as well as their own experience and practice, and in the process they interpreted the March 1st Movement in efforts to justify their political ideology and line. To all political groups, the March 1st Movement wa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text, and the lessons derived from it led them directly to their current political line’s validity and direction. Right after liberation, all political groups, regardless of being right or left, acknowledged and regretted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rough their historical criticism of the March 1st Movement. However, Ahn Jae Hong was consistent in extolling the March 1st Movement in high praises. To him, the ‘true character of the March 1st Movement’ was the ‘cooperation among all Korean people’ without any division amongst them. The keyword of the New Nationalism that he promoted after liberation was the ‘unified nation state transcending class divisions.’ Ahn identified in the March 1st Movement the form and actuality of transcending classes. Since the March 1st Movement was the utmost ideal for overcoming divisions and conflicts among Koreans, he equated the retrospective view of the March 1st Movement with the ‘utopia’ of nation building under the New Nationalism. In section 1 of this paper, we examined Ahn Jae Hong’s theory of the causes of the March 1st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fter the August 1945 liberation, and discussed his theory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Section 2, we confirmed how he perceived and defined the principal agents, character, and meaning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Section 3, we explained the thesis that Ahn Jae Hong’s retrospective view of the March 1st Movement became established as an ideal of the New Nationalism. By doing so, we intended to confirm that his retrospective view of the March 1st Movement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New Nationalism.

      • KCI등재후보

        3·1운동기 서대문형무소 학생 수감자의 역할과 行刑

        김용달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이 연구는 3·1운동 과정에서 보이는 학생층의 역할과 그에 대한 일제의 행형을 실증적으로 추적한 것이다. 학생층은 3·1운동의 계획과 추진, 그리고 전파와 대중화의 전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학생층의 역할을 더 자세히 조명하고, 나아가 그 활동의 특징과 의의도 함께 추적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 학생층의 활동을 다 고찰할 수는 없다. 그래서 3·1운동으로 인해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학생 수감자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인적사항과 활동내용을 추적하면서, 그들이 수행한 주된 역할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들에 대한 일제의 행형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은 3·1운동의 발원지이자 축소판으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학생들이야말로 3·1운동의 계획과 추진, 그리고 전개과정에서 수행한 학생층의 온갖 역할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학생 수감자들의 역할은 3·1운동 주모자, 서울 만세시위운동 주동자, 지방 만세시위운동 주동자, 3·1운동 전파자, 3·1운동 기념 만세시위운동 주동자 등으로 구분된다. 대개 이들은 고등보통학교 학생과 전문학교 학생 이상의 고학력자들이며, 또 당시의 사정 때문이기도 하지만 나이가 학생으로는 많은 편이었다. 이들 학생 수감자들은 3·1운동의 발발과 전개 과정에서 보이는 다양한 역할과 활동을 수행하였다. 3·1운동의 계획 추진 단계부터 참여하면서 3·1운동을 발발시키고, 나아가 3·1 독립선언대회와 제2차 서울 학생 만세시위운동인 3월 5일 남대문역 만세시위 운동을 전개하여 3·1운동을 전국적으로 전파하는 선도적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이어 서울에서 독립신문·경고문·격문·임시정부 선언문·노동회보 등 각종의 독립운동 관련 문건을 제작하여 살포하면서 각계각층의 만세시위운동을 이끌어내 3·1운동을 대중화하는 데도 앞장섰다. 더 나아가 서울의 만세시위운동 경험을 토대로 귀향하여 고향의 만세시위운동을 추진하여 펼쳐갔다. 각지의 봉기 계획을 짜고 독립선언서와 태극기, 그리고 격문 등을 제작하여 살포하면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함으로써 3·1운동이 전국적이며 거족적인 독립운동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1920년 3월 1일 3·1운동 기념일을 맞이해서는 기념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여 3·1정신을 되살리기도 하였다. 이들에게 적용된 법령은 크게 보안법과 출판법, 그리고 형법상의 소요죄 등이었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학생 수감자 71명 가운데 68명이 보안법이 적용되었고, 또 보안법과 출판법이 병합 적용된 이른바 ‘병합죄’의 경우도 학생 수감자의 절반에 가까운 34명이나 되었다. 학생 수감자들에 대한 양형을 보면, 대개 서울과 지방 만세시위운동 주동자들로 보안법만 적용된 수감자가 33명인데, 이 가운데 징역 1년 이상의 중형자가 19명으로 절반이 훨씬 넘었다. 이에 비해 3·1운동 주모자로 보안법과 출판법이 병합 적용된 경우와 출판법만 적용된 수감자를 합한 숫자가 37명에 달했지만, 이 가운데 징역 1년 이상의 중형자는 16명으로 보안법만 적용된 경우보다 적었다. 이는 일제가 실제적인 만세시위운동 주동자와 활동가들을 더 가혹하게 처벌한 사실을 보여준다. 아울러 일제가 만세시위운동 주동자와 격렬 시위자들을 가급적이면 중형으로 처벌하여 3·1운동의 전국적인 전파 ... This research chases role of student class and execution of a sentence about them showed process positively. Student l was known that ran plan and propulsion of 3·1 movement, and avant-grade role of propagation and popularization. However, illuminate role of student class more minutely, and furthermore feature of the activity and sense need to chase together through specific reward. Can not investigate all activity of outspread student class from whole country each place. So, as chasing with student prisoners as the central figure cast into prison to three passage prisons their human items and activity detail by 3·1 movement, investigated principal role and sense that they achieve. Wished to analyze execution of a sentence contents of Japan imperialism about these together and examine the feature. Seoul is connoting every role of student class which achieve at students imprisoned to Seodaemun prison planning of 3·1 movement and propulsion, and unfolding process by tabloid edition when it is since prayer of 3·1 movement. Student prisoners' role cast into prison to Seodaemun prison is divided for demonstration prime mover, back 3·1 movement prime mover, Seoul Manse demonstration prime mover, local Manse demonstration prime mover, 3·1 movement spreader, 3·1 movement commemoration Manse. Generally, these are excellent schlarship more than rise an ordinary school student and a professional school student, and was due to then circumstance but was old by a student. These student prisoners achieved various role and activity showed outbreak of 3·1 movement and unfolding process. Run leading role that break out, and Namdaemun station Manse March 5 that is demonstration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ontest and 2nd Seoul student Manse furthermore demonstration movement unfold and 3·1 movement all over the country destroy completely 3·1 movement as participating from plan propulsion step of 3·1 movement. It spearheaded to popularize 3·1 movement eliciting Manse demonstration of each field each class as spreading producing each kind independence movement connection document matter such as independence newspaper , warning message, despatch, interim government Declaration Statement, labor circular letter in proverb Seoul. Went home and propel Manse demonstration of the native place and spread on the basis of Seoul's Manse demonstration experience going forward more. Contribute 3·1 movement develops by national and nationwide independence movement by colluding revolt plan of each place and lead demonstration Manse as producing and spread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national flag of Korea, and despatch etc. Waged demonstration commemoration Manse on the occasion of March 1, 1920 3·1 movement memorial day as well as and rekindle 3·1 mind. Decree applied to these was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and crime of sedition by Publication Law, and criminal law etc. greatly.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of 68 people was applied among 71 student prisoner cast into Seodaemun prison, and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and Publication Law union apply that what is called case of 'Concurrence of offenses' in student prisoner's half near 34 people be . If conduct assessment of a case about student prisoners, generally, prisoners applied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by demonstration prime movers Seoul and local all ages are 33 people, half of medium size person more than penal servitude 1 year exceeded far to 19 people among this. Than this by 3·1 exercise prime mover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and Publication Law union number that unite prisoner applied case and Publication Law applied reached to 37 people but medium size person more than penal servitude 1 year wrote than case applied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to 16 people among this . This shows truth that Japan imperialism punishes demonstration prime mover and active persons flippinger actual Manse. Japan imperialism...

      • 대구 · 경북지역의 3.1만세운동과 그리스도교 역사와 문화

        배재욱(Jae-Woog Bae) 영남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 목회 Vol.51 No.-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gainst Japan’s ineffectual colonial rule against our nation took place on March 1, 1919. The hurricane movement that took place on March 1, 1919 is an unforgettable event of great nation spirit. 3.1 The movement was a fruit of national self-esteem and was an important event informing the prelude of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Daegu Su-Moon Market, the 3.1 movement, centered on Christian leaders, took place on March 8, and it became a chance to renew the national spirit by the participation of many people. This case of Daegu 3.8 became an event that triggered the Hanseong movement in various regions of Yeongnam. The aging movement of Pohang and Gaeseong we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Daegu aged movement. Dae-gu. Unlike other regions, the 3.1 movement in Gyeongbuk has many connections with Christianity.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Andong area is very unique. In the Andong area, the 3.13 movement was centered on Christian leaders and Christian churches and believers. In addition, Andong’s Yurim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centered on Christianity. Christian history in the Andong area is Christian history, in which Confucian scholars embrace Christianity. Daegu 3.1 Movement is not only important historically, but also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Christian culture. The movement pathway of Daegu 3.8 movement is a space where Christian culture flows. The 3.1 movement in the Andong area became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missions. The Andong people were deeply moved and trusted in the church as they watched Christians sacrifice for the country. Unlike other regions, most of the 3.1 movements in the Yeongnam region were dominated by Christian leaders and Christian believers were the driving force of the 3.1. In 1919, the protesters made a major turning point for Protestant mission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Many Christians were sacrificed at the cost of the harsh, and this happened for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The people were deeply moved by the Christian devotion. There were many people who accepted the gospel with such influence, and they came to trust the church. 3.1 The movement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to correct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Korean church as well as the past.

      • KCI등재

        농촌지역 3.1운동 확산과 공간적⋅형태별 특성

        이송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anniversary of 3.1Movemen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created a “3.1. Movement Database” by compiling all the data that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produced on 3.1 Movement. This research utilized the data from this database to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3.1 Movement that took place in rural areas. In 1919, the 3.1 Movement took place in 212 Gun/county out of the total of 220 (96.4 percent), and 1,019 Myeon/township out of the total of 2,509 (40.6 percent). The movement took place in 289 traditional Gun, an administrative unit different from Gun of nowadays, out of the total of 317 (91.2 percent). 86.8 percent of the Myeon where county offices were based experienced 3.1 movement. In other words, more than 80 percent of the residents in the Korean peninsula participated in or experienced 3.1 movement. There is a trend in what kind of groups were in leadership of 3.1 movement in each region. The followers of Cheondogyo employed dioceses to distribut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organized protests around certain regions, which led to the emergence of ‘Cheondogyo belt’in PyeonganNam,buk-do/province, HamgyeongNam-do/province, Kangwon-do/province and JeollaBuk-do/province. Christians organized their movements around their churches in both urban and rural area, which means there was not a Regional trends of their movements. Student-led movements were spearheaded by elementary (primary) school students, and such movements played a keyrole in Gyoenggi-do and ChungcheongNam-do. The 3.1 Movement can be categorized by where each movement was initiated. The categories are marketplace protest, county office protest, and the hill-torch protest. Marketplace protest was strategically advantageous in spreading the movement to neighboring regions, and usually were large-scale movements. County office protests directly targeted the colonial government buildings such as the police office, county office and township office, which were often suppressed through physical violence. Violent protests rose against such suppressions. The hill-torch protests were initiated autonomously by the farmers in community units. This type of the movement enabled the participants to minimize the casualty rate while maximizing the efficacy of the delivering the message of resistance by using the torch on hill tops.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사편찬위원회는 조선총독부 각 기관이 생산한 3.1운동관련 자료를 총합하여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본 연구는 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농촌지역에서 발생한 3.1운동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1919년 식민지 조선의 행정구역은 13도 220군 2,509면이었다. 3.1운동은 전국 220개군 중 212개군(96.4%), 2,509개 면 중 1,019개 면(40.6%)에서 일어났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 조선의 행정구역은 13도 317군(‘옛군’)이었다. ‘옛군’ 단위로도 289개 군(91.2%)에서 3.1운동이 발생했다. 통폐합 이후 220개 군의 새로운 중심지가 된 군청소재지면의 3.1운동 발생 비율도 86.8%였다. 이는 한반도 거주 주민들의 80% 이상이 3.1운동의 발발과 그 내용 및 의의, 경찰⋅헌병의 탄압 양상도 공유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3.1운동 주도세력별 공간적 특성이다. 천도교는 교구를 활용한 독립선언서배포와 천도교도들의 조직적인 시위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평안남북도, 함경남도, 강원도, 전라북도 지역에서 ‘천도교 벨트/존’이라 할 수 있는 천도교도들의조직적인 운동 참여가 있었다. 반면 기독교는 교회 중심으로 기독교도들의 참여가 이루어져 특정 지역성을 보이지 않는다. 평안남북도, 황해도, 경상북도 지역에서 기독교도의 주도 및 참여에 의한 3.1운동이 발생했다. 학생세력은 보통학교 학생이 참여했는데 특히 경기도와 충청남도 지역은 보통학교 학생시위가 군내 시위의 첫 시작이 되는경우도 많았다. 마지막으로 3.1운동 발생 공간의 형태에 따른 특성이다. 3.1운동의 발생공간으로주목되는 것은 장터(오일장)시위, 관청시위, 산상-봉화시위가 있다. 장터시위는 주변으로의 운동 확산에 유리했고, 대규모 시위인 경우가 많았다. 관청시위는 면사무소, 경찰(헌병)주재소 등 식민통치기관을 직접 타깃으로 하는 것으로 대응 폭력에 의한 폭력시위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산상-봉화시위는 시위참여자의 피해와 희생을 최소화하면서 독립과 식민지배 저항의 목소리를 지역민들에게 가장 잘 알릴 수 있는 공간으로 야간에 산 위에서 봉화를 활용하였다.

      • KCI등재

        3·1운동과 불교

        김광식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7

        This article synthetically exa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3·1 movement (1919) and Buddhism. I explain them as follows: I deal with the whole situation where Buddhism developed at the time of 3·1 movement, the historical context right after the 3·1 movement, and the influence that the movement gave to modern Buddhism. The contents I focused on are the participations of Buddhism into the 3·1 movement; into the entire monasteries of the nation; Han Yongwoon and Baek Yongseong as ethnic representatives in the center of the movement;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as the result of the movement; with Manju's independent military; the influence right after the 3·1 movement; and is the ethnic Buddhism, as the ideology that Buddhism took part in the movement with. However, this article has some limitations. Therefore, it requires other re-analysis and rearrangements in the future, for instance, the detailed activities of rural monasteries, th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s on participants for the movemen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thnic Buddhism and the Mahayana Buddhism, and the influence of 3·1 movement to Korean Buddhism, and so on. Hence, I believe there is a need to publish the sources for the movement and Buddhism because it is impossible to study and interpret without the concerned materials. I look forward to having related religious orders, research centers, and researchers develop this study. And also, I hope this article can give a chance for further researches on the 3·1 movement and Buddhism, the features of modern Buddhism, and the identification of modern contemporary Buddhism. 본 고찰은 3·1운동(1919)과 불교와의 상관성을 종합적으로 다른 논고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다음과 같은 측면을 유의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그 첫째, 3·1운동 당시 불교가 전개한 전체적인 상황, 둘째, 3·1운동 직후의 동향을 당시 역사적 맥락에 유의, 셋째, 3·1운동이 근대 불교에 끼친 영향 등이다. 그래서 필자가 조명한 내용은 운동의 초창기에 불교의 가담, 전국 사찰의 참여, 한용운과 백용성의 운동 중심부에 민족대표로 참여, 운동의 산물로 나온 임시정부에 참여 및 활동, 만주 독립군에 참여, 3·1운동 직후의 영향, 불교가 3·1운동에 참여한 이념은 민족불교 등이었다. 그러나 이 글은 다음과 같은 한계성을 갖는다. 추후 이에 대한 분석, 재정리가 요청된다. 지방 사찰에서 전개한 사찰에서의 구체적인 활동, 운동에 참여한 인물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 운동에 참여한 이념으로 설정한 민족불교와 대승불교와의 상관성, 3·1운동이 불교계에 끼친 영향 등이다. 여기에서 필자는 3·1운동과 불교에 대한 자료집 발간의 필요성을 촉구한다. 자료 부재 하에서는 연구, 해석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관련 종단, 연구단체, 연구자들의 분발을 기대한다. 본 고찰이 3·1운동과 불교, 근대불교의 성격, 근현대 불교의 정체성 대한 연구 등에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상해판 『독립신문』 연재소설 「피눈물」에 나타난 3·1운동 형상화와 그 의미

        문일웅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6

        3·1운동 이후 중국 상하이는 한국 독립운동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당시 중국 상하이 지역 한국인 사회의 여론 형성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던 매체는 단연 상해판 『독립신문』이었다. 상해판 『독립신문』은 초창기 임시정부를 주도하던 안창호 계열 인사들이 창간한 매체였다. 따라서 상해판 『독립신문』은 임시정부 내 안창호 계열이 상하이 한국인 사회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고자 창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상해판 『독립신문』에 게재된 연재소설 「피눈물」을 통해 해당 소설의 작가 및 당대 상하이 지역 안창호 계열 인사를 위시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3·1운동 인식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소설 「피눈물」의 연재 양상과 서사의 특성에 대해 먼저 살펴보았다. 소설 연재 방식과 또 서사 전개에서 구사된 여러 문학적 기법, 그리고 소설의 내용적 측면을 분석함으로서 본 논문은 소설 「피눈물」의 작가가 대한민국임시정부 내 안창호 계열 인사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어서 본 논문은 소설 「피눈물」에 나타난 3·1운동 인식을 분석하였다. 소설 「피눈물」은 3·1운동의 여러 양상 가운데 유독 1919년 3월 5일 ‘학생단 시위’를 모티브로 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작가가 3·1운동 당시 학생들의 움직임에 강한 인상을 받았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소설 「피눈물」에 나타난 시위의 궁극적 목적은 일본 관헌의 야만적인 시위 탄압 행위를 전세계에 알려 한국의 독립을 쟁취한다는, 다분히 외교론적 독립론에 기반한 것이었다. 이는 작가가 3·1운동의 의의를 한국 독립에 유리한 외교적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었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소설 「피눈물」은 여학생의 죽음을 중요하게 조명하며 프랑스의 잔 다르크 이미지를 오버랩시키고 있었던 이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작가가 3·1운동을 통해 독립운동에 있어서 여성의 존재를 자각하였으며 또 여성의 죽음은 단순한 삶의 종말이 아닌 한국의 독립이라는, 신생과 개조를 예고하는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끝으로 본 논문은 소설 「피눈물」의 3·1운동 인식이 비단 작가 개인의 것이 아닌 상해판 『독립신문』을 위시한 초창기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관류하는 3·1운동 인식에 기반한 것이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소설 「피눈물」이 연재를 시작할 무렵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안창호를 중심으로 ‘제2회 독립시위운동’을 준비하고 있었다. ‘제2회 독립시위운동’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도가 온전히 관철된 시위는 평양 시위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제2회 독립시위운동’을 3·1운동과 유사하게 전개시켜나가고자 했다. 평양 시위의 전개 양상은 소설 「피눈물」의 내용과 상당히 겹쳤다. 이는 소설 「피눈물」에 나타난 3·1운동 인식이 초창기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관류하던 3·1운동 인식에 기반한 것임을 방증한다. Since the March 1st Movement, Shanghai has emerged as the cent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Shanghai version of “Tongnip Sinmun” Newspaper(상해판 『독립신문』)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of Korean society in Shanghai, China at that time. The Shanghai version of “Tongnip Sinmun” was a medium created by members of the Ahn Changho group who led the early interim government. Therefore, the Shanghai version of “Tongnip Sinmun” can be considered as the foundation of the creation of favorable public opinion of Korean society in Shanghai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by the members of the Ahn Changho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respected members of the Ahn Changho group, through the serial novel ‘Tears of blood’(「피눈물」) published as the Shanghai version “Tongnip Sinmun”. The series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of ‘Tears of blood’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By analyzing the series aspect, various literary techniques used in narrative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of novels, this paper has revealed that the writer of the novel ‘Tears of blood’ is likely to be one of members of the Ahn Changho group in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presented in the novel ‘Tears of blood’. The novel ‘Tears of blood’ used the ‘student’s protest’ on March 5, 1919, amo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March 1st Movement, as a motif. Through this,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writer was impressed by the movement of students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Also, the ultimate goal of the protest in the novel ‘Tears of blood’ was based on the diplomatic independence theory to seek the independence of Korea by informing the world about the brutal crackdown against protests by the Japanese authorities. This was circumstantial evidence to prove that the writer considered the March 1st Movement’s significance in creating a favorable diplomatic environment for Korean independence. Lastly, this paper intended to clarify the reason why the novel ‘Tears of blood’ juxtaposed the image of the French heroine Joan of Arc with an emphasis on the death of the female student. This meant that the writer was aware of the existence of wome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March 1st Movement, and to emphasize that the death of the women was not simply the end of her life, but an image of the regeneration and metamorphosis of Korea into an independent Korea. Lastly, this paper intended to reveal that percep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in the Shanghai version “Tongnip Sinmun” of the novel ‘Tears of blood’ was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early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rather than personal perception. At the beginning of the publication of ‘Tears of bloo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as preparing for the ‘2nd independence protest’ centered on Ahn Changho. At the time of the ‘2nd independence protest’, the Pyongyang protest was the one that carried the inten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sought to implement the ‘2nd independence protest’ as similar to the March 1st Movement. The development aspect of the Pyongyang protest overlapped the contents of the novel ‘Tears of blood’. This provides the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the perception of March 1st Movement in the novel ‘Tears of blood’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was implement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 KCI등재

        3·1운동 수업 동향과 전망

        정미란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1 No.-

        The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trends of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over the past 30 years. This paper distinguished three periods based on changes in teachers' interests and views on the March 1st Movement. The first period is from the 1990s to 2008. Practices for teaching the March 1st Movement began to be announced. Classes during this period have since become the basis for the subsequent classes. The second period is from 2009 to 2015. There were new attempts to improve the perspective, content, and methods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existing classes. The final period is from 2016 to the present.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were practiced a lot more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class were improved. There were five main types in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The first is an explanatory class that examines the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and significance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second is to recreate the situation where the March 1st Movement took place. The third is to read and write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The fourth is a class that deals with the March 1st Movement that took place in local areas. The last is to discuss issues and ideas concerning the March 1st Movement. Over the past 30 years,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have changed in many ways, including perspective, content, and method.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were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memories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our society. 본 논문은 지난 30여 년간의 3·1운동 수업 사례를 통해 3·1운동 수업의 동향과 전망을 살펴본 글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수업 관련 단행본, 연구 논문 등을 비롯해 교사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수업자료를 검색하여 수업 사례를 수집·활용하였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접할 수 있는 교사 개인이나 기관에서 탑재한 각종 수업 사례와 교육부의 역사교육 우수수업사례 등도 참고하였다. 이 글은 역사 교사들이 자신의 3·1운동 수업 경험과 구상이 지금까지 전개된 3·1운동 수업 흐름의 어디쯤에 위치하는지를 가늠해보고 좀 더 나은 3·1운동 수업을 만들어가는 데 유용하다. 3·1운동 수업 사례는 3·1운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수업 내용 및 방법의 변화 양상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 시기는 1990년대부터 2008년까지 약 20여 년의 기간으로 역사 교사들의 3·1운동 수업 사례가 발표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 시기의 수업 사례들은 이후 3·1운동 수업 사례의 토대가 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의 시기이다. 이전 수업 사례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3·1운동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고 수업 내용, 방법 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마지막 시기는 2016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3·1운동 수업 사례가 폭발적으로 발표되었고, 수업 내용 및 방법 면에서 눈에 띄게 성장하였다. 3·1운동 수업은 내용과 수업 활동 면에서 크게 다섯 가지 형태가 있었다. 첫째는 3·1운동의 배경, 전개 과정, 의의 등을 살펴보는 설명식 수업이다. 둘째, 3·1운동이 일어났던 상황을 재현하는 수업이다. 셋째, 3·1운동의 취지와 정신을 담은 3·1독립선언서를 비롯한 여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살펴보며 새로운 독립선언서를 작성해보는 수업이다. 넷째, 지역에서 일어난 3·1운동을 접목하여 3·1운동을 다루는 수업이다. 다섯째, 3·1운동을 둘러싼 논쟁점이나 생각거리를 중심으로 토론하는 수업이다. 지난 30여 년간 3·1운동 수업은 관점과 내용, 방법 등 여러 면에서 변화하였다. 3·1운동 수업은 우리 사회의 3·1운동에 대한 기억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앞으로 3·1운동의 무엇을, 어떻게 기억하는 수업을 전개할 것인가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3·1운동 100주년과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의 역할 : 여주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원기(Cho, Won-Ki)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2019년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3·1운동의 역사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시간이었다. 여러 박물관들이 전시를 통해 3·1운동의 역사를 국민에게 알리고자 노력하였다.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들도 대중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지역 3·1운동 역사에 대한 연구와 전시를 통해 지역 3·1운동을 지역민들에게 알리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초자제체 공립박물관의 학예연구 인력의 부족과 전시에 집중할 수 없는 업무환경, 근대사 부분 전공 학예연구 인력의 미비로 인한 전시 주제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은 지역 3·1운동 관련 전시를 수행하기 어렵게 하는 요소이다. 그런 이유로 소수의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만이 지역 3·1운동 관련 전시를 수행할 수 있었다. 경기도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 중 지역 3·1운동 전시를 수행해 낸 여주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지역 3·1운동을 기념하고 전시하기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지를 이 글에서 검토해 보았다. 여주박물관은 지역 3·1운동에 대한 자료 확보 등을 통해 3·1운동 역사를 정리하여 관련 연구를 새롭게 진행하였다. 이후 연구된 성과는 전시를 통해 지역민과 관람객들에게 여주 3·1운동을 알릴 수 있었다. 그리고 전시내용을 교육·체험·심화강좌·현장 답사 프로그램 활용하여 지역민과 관람객에게 전시내용의 내재화를 추구하였다. 전시와 일련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민들과 관람객들이 기존에 알지 못했던 여주 3·1운동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우리지역의 역사 나아가 나와 관련된 역사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이 이번 전시의 의의이다. 이번 3·1운동 100주년 기념전시는 지역 3·1운동을 정리하고 이를 보여주는 과정에서 기초지자체 박물관의 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였다. 나아가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이 지역 근현대사 자료를 수집·연구하여 전시를 통해 이를 지역민에게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쌓는다면,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박물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019 was time to remember and organize the history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the hundredth anniversary. Many museums t ried t o let people know t he h ist ory of March F 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holding special exhibitions. Local public government museums were also tried to let residents know the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indifferent. Local public government museum’s research manpower shortage, inaccessibleness of exhibitions topic and working environment which was could not concentrate on exhibitions was in trouble holding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 ovement exhibit oins. Accordingly, a f ew l ocal p ublic government museums could hold a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exhibition. Yeoju Museum is one of the Gyeonggi province local public museums that could hold a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exhibition. Focusing on Yeoju Museum’s exhibition case, we could review the process of how local public museums remember a nd e xhibit local M arch F 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article. Yeoju Museum newly researched history of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securing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materials of Yeoju. After this research, Yeoju Museum could newly let people know Yeoju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 special exhibition. Moreover, Yeoju Museum pursued the internalization of exhibition contents for residents and audiences by utilizing educations, experiences, deepen lectures, explore sites. Residents and audience become interested in Yeoju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 special exhibition and many programs are the importance of this exhibition. This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exhibition is a chance to improve local public museum’s capability through organizing and exhibiting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Furthermore, if local public museums could accumulate the capability to collect and research local modern history materials, local public museums will do a role that local community demands.

      • KCI등재

        해방 이후~1950년대 자료를 통해 본 3·1운동 - 잡지 『新天地』와 이병헌의 『三一運動祕史』(1959)를 중심으로 -

        진주완 숭실사학회 2022 숭실사학 Vol.- No.49

        This article analyzes the special issue o f the 『Shincheonji』 March 1st Movement and the 『Secret History of March 1st Movement』 to study the context of the retrospective and memories of the March 1st Movement from liberation to the 1950s. What can be seen through this is as follows.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South Korean society remembered the March 1st Movement as a national event involving various classes. In the March 1946 issue of 『Shincheonji』, it contained a retrospective of national representatives, students, women, foreigners, novelists, playwrights, as well as figures classified as Pro-Japanese Collaborators.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South Korean society during this period has a strong image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which all ethnic members participated across the March 1st Movement. However, the March 1950 issue of 『Shincheonji』 is limited in the number of writers as national representatives and educators, and its contents are also filled with contents emphasiz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nonviolence and the pursuit of freedom. This was meant to counter the leftist percep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to drive out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furthermore, to counter North Korea's claim that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failure. The 『Secret History of March 1st Movement』 published in 1959, is a collection of materials published by Cheondogans, who were suffering from pressure and internal division in the 1st Republic, to commemorate the 4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1957, there was an incident in which "national representatives claimed violent protests" was recorded on the tombstone, which was feared to recognize that the entire national representative condoned or encouraged violent protests. Accordingly, Lee Byung-hun, who served as the vice-principal of Cheondogyo, revealed that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opposed violent protests, emphasized the ideology of freedom and peace, and tried to promote the spirit of the March 1st Movement. However, errors such as omitting or falsifying some of the statements made by national representatives are found in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dependence demonstrations are somewhat less complete, with sources and statistics not properly organized, and errors found in basic areas such as lives and sentences. 이 글은 『신천지』 3·1운동 특집호와 『삼일운동비사』를 분석함으로써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 3·1운동에 대한 회고와 기억이 어떠한 맥락을 가지고 정리되었는지를 연구한 글이다. 이를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해방 직후 남한 사회는 3·1운동을 다양한 계층이 참여한 민족적 사건으로 기억하였다. 『신천지』 1946년 3월호에는 민족대표, 학생, 여성, 외국인, 소설가, 극작가는 물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되는 인물들의 회고도 수록하였다. 즉 이 시기 남한사회는3·1운동을 계층을 가로질러 모든 민족구성원들이 참여한 항일독립운동의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신천지』 1950년 3월호는 민족대표, 교육자 등으로 필자의 수도 제한되고, 그 내용도 비폭력과 자유의 추구라는 세계사적 의미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채워진다. 이는3·1운동의 반제국주의적인 요소를 강조하여, 미군정을 몰아내고자 한 좌익의 3·1운동 인식에대항하는 의미가 강했으며, 나아가 3·1운동을 실패로 규정하고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이 독립운동의 주류였음을 주장하는 북한의 주장에 대항하고자 함이었다. 1959년 발간된 『삼일운동비사』는 1공화국의 압박과 내부 분열로 신음하고 있던 천도교인들이3·1운동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발간한 자료집이다. 1957년 월남 이상재의 묘를 이장하면서 묘비에 ‘민족대표들이 폭력시위를 주장했다’는 내용이 기록되는 사건이 있었는데, 자칫 민족대표 전체가 폭력시위를 묵인하거나 조장했다고 인식할 우려가 있는 사건이었다. 이에 천도교 부교령을 역임한 이병헌은 민족대표들의 신문조서를 비롯한 공판기록물을 통해 민족대표들이 폭력시위를 반대하고 자유와 평화의 이념을 강조하며 3·1운동을 기획하였음을 밝히고, 이를 통해 3·1운동의정신을 고취하고자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민족대표들의 진술내용 일부를 누락시키거나 변조하는 등의 오류가 발견된다. 또한 국내외 만세시위는 출처와 통계도 제대로 정리되지않았고, 인명이나 형기 등 기초적인 부분에서 오기가 발견되는 등 완성도가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보인다.

      • KCI등재

        3·1운동에서 의암 손병희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

        성강현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2

        일제강점기 동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의 손병희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민족의 영웅’, ‘조선 독립의 거인’ 등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해방을 맞아 귀국한 김구를 비롯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간부들은 의암을 ‘독립운동의 근원지’라고 평가하였다. 이는 엄혹한 시절인 일제강점기에 누구도 나서기를 주저하던 상황에 맨 앞에서 조국의 독립을 이끌었던 그의 업적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자신의 눈으로 목격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해방 후 3·1운동을 주도한 손병희에 대한 평가는 시간이 지날수록 나빠졌다. 1950년대에는 같이 독립운동을 하던 인물들이 생존했기에 그는 3·1운동의 영도자로 인정받았다. 그 결과 1950년대 말 그의 기념사업회가 발족해 1960년대 묘비 건립, 탑골공원의 동상 제막. 일대기 출간 등의 성과를 내었다. 당시는 그를 민족의 지도자로 인정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유신정권 시기 민중투쟁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손병희의 활동은 독립운동사에서의 평가절하되었다. 이들은 손병희 대신 유관순을 3·1운동의 중심인물로 추켜세웠는데 여기에는 민중투쟁론자들의 종교적 성향도 관련이 있었다. 1990년대 들어 손병희에 관한 부정적 측면은 강조되었다. 이후 민중사의 관점에서의 3·1운동 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손병희와 3·1운동 민족대표의 역할도 평가절하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2006년의 민족문화상징의 독립운동 인물 선정에서 손병희가 배제되었고, 2019년의 3·1운동 100주년 여론조사에서는 단 한 명도 3·1운동을 대표하는 인물이나 이미지로 그를 답하지 않았다. 우리가 역사를 연구하는 목적은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본래 있는 그대로” 발견하는 데 있다. 역사가가 현재의 관점을 지나치게 중시하면 과거의 역사적 사실이 변형된다. 따라서 역사적 사실을 현재적 관점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과거의 사실로 복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당대인들의 손병희에 대한 평가를 살피는 것이 그의 3·1운동에서의 업적을 재조명하는 출발점이다. 손병희와 같은 시대를 살았던 한용운, 김성수, 장도빈, 현상윤 등의 손병희에 대한 평가는 조선독립의 영웅이었다. 『개벽』지에서는 그를 “민족의 빛”이라고 하였다. 일제강점기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손병희는 최대의 민족운동가로 손꼽혔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민중투쟁론자에 의해 손병희의 민중적 이미지가 훼손되었다. 손병희에 대한 3·1운동에서의 역할에 관한 재조명은 그와 동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의 평가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일제강점기 민중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로 평가받던 손병희가 아이러니하게도 민중투쟁론자들에 의해 도외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손병희에 대한 재조명은 3·1운동의 정당한 평가와 아울러 우리 독립운동사를 바로잡는 중요한 작업이다.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s who lived in the same age as Son Byung-hee was generally highly regarded as ‘the hero of the nation’ and ‘the giant of independence of Korea’. Kim Gu, who returned home after liberation, and other executiv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visited the mausoleum of Uiam and evaluated it as the sour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characters who had a rough time with Son Byung-hee praised his accomplishments. This was because he witnessed with his own eyes how great his accomplishments, which led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at the forefront, were hesitant to come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was a severe period. However, the evaluation of Son Byung-hee, who led the 3.1 Movement after liberation, deteriorated over time. In the 1950s, the people who were do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survived, so he was recognized as the leader of the 3.1 Movement. As a result, his commemorative busines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the late 1950s, and it was successful in the construction of tombstones in the 1960s, the unveiling of statues of Topgol Park, and the publication of biography. At that time, he was recognized as a leader of the nation, but in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popular struggle during the Yushin regime in the late 1970s, Son Byeong-hee was devalued. Instead of Son Byung-hee, they tried to make Yu Gwan-soon the central figure of the 3.1 movement, which also related the religious tendencies of the people’s strugglers. In the 1990s, the negative aspect of Son Byung-hee was emphasized, and the role of Son Byung-hee an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the 3.1 Movement was also devalued relatively through the study of the 3.1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s history. This social atmosphere was excluded from the selec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figures in the 2006 national cultural symbol, and in the 100th anniversary poll of the 3.1 Movement in 2019, no single person answered him with the person or image representing the 3.1 Movement. The purpose of our study of history is to discover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as they are”. When a historian distorts historical facts from his point of view, he is only trying to use history for his own purposes. Therefore, examining the evaluation of Son Byung-hui of his time is the starting point of re-illuminating his achievements in the 3.1 Movement. The evaluation of Son Byeong-hee, such as Han Yong-woon, Kim Seong-su, Jang Do-bin, and Hyun Sang-yun, who lived in the same era as Son Byeong-hee was a hero of Joseon’s independence. In the paper of ‘Gaebyeok’, he was called “the light of the n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early 1970s, Son Byung-hee was considered the greatest national activist. However, in the late 1970s, the popular image of Son Byung-hee was damaged by the people’s struggle theorists. A re-examination of Son Byeong-hee’s role in the 3.1 Movement should start from the evaluation of those who lived at the same time. It is ironic that Son Byung-hee, who was evaluated as an independence activist representing the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ironically neglected by the people’s struggle theorists. Re-illuminating Son Byung-hee is an important work to correct the history of our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a fair evaluation of the 3.1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