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향하여 -

        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3

        이 논문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해 미술과의 특성, 성격과 내용체계 등을 알아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통해서 미래 미술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세계시민성교육과의 연계성을 통해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과 차이점을 논의 하기 위해서 핵심역량을 다룬다. 또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내용 체계를 논의하여 학습자가 제한된 수업시수 내에서 학습할 수 있는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내용체계 구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이 논문은 역량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중심으로 미래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세계시민교육과 관련하여 논의를 진행시킨다. 이는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주요 학습자의 특성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부주도 하에 수시개정체계와 정시 개정체계를 병행하고 있는 교육과정 개정시, 미술교과의 지식과 기능, 그리고 역량을 연결하여 세계시민교육의 가치와 의미를 창조할 수있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한다. School education is placing greater emphasis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students. Teenage students, who are the future of South Korea, thus receive an imbalanced education in schools. Art education with its basis on emotion, pursues psychological development. However, psychological development is sorely lack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develop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provide the future generation and society with not only the ability to learn piecemeal knowledge and notions, which is the mission of traditional school education, but to encourage them to discover and apply knowledge, and to create new knowled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ims to present goals for future education plans, an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structure of the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by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ructure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Art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factors of capacity-centere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capacity-centered art curriculum. The implications and task from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are examined to propose future goal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내용의 적정화 연구

        이인재 ( In Jae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 교과 교육과정이 2015년 9월 23일에 확정ㆍ발표되었다.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후 교과서 개발이 착수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들이 각 교과 교육과정 속에 어떻게 반영 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과정 총론의 비전은 교과 교육과정에의 적용과 이에 터한 교과서 개발을 통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중점 및 총론의 적용 원리를 구체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을 살펴보고 이것이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주요 방향 중의 하나인 “교과 교육을 통한 핵심 역량의 함양과 더불어 교과별 핵심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적정화하는 방향 추구”가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정 교과교육 문서를 구성하는 요소 중 내용체계의 주요 내용인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요소와 기능이 구체적으로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인성함양을 위한 향후 초등 도덕 교과서 개발과 도덕수업에서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과 원리가 제대로 이해되어 응용되도록 하는데 데 초석이 되고자 하였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It has raised need to understand exactly what is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how these are reflected in this curriculum at the time that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noti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specifically explore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principles of applica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substantially ach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based on it. Thus this paper analyzed what is the direction and focu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and how these were specifically applied to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In particular, it has been focused on how it is reflected in the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after seeing one of the main direction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y through subject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learning content focusing on core concepts and principle of each subject. At this end, I introduced the results that the area, the core concept, the generalized knowledge, the grade specific content element and skill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content system of subject curriculum document apply to the elementary moral curriculum. This will allow to become a cornerstone for us correctly to understand and apply to the focus and principle of the revised moral curriculum i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and moral teaching for character formation of children for the future.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와 중첩맵 분석 기반 2015 개정교육과정 연구의 지적구조 고찰

        이진숙(Lee Ji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published from October 2013(Revision Announcement) to May 2020 and conducted clustering and mapping analysi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st, four research areas were analyz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search’, ‘Liberal Art and National Integrated Curriculum Research’, ‘Curriculum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Experience’, and ‘Strengthen Basic Education and Student-centered Curriculum’. Second,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nalysis of research keyword on ‘2015 National Curriculum’, ‘Subject Education’, ‘History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occupied a large portion in the announcement period, the share was high in the order of ‘Subject Education’ and ‘Competence Education’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and finally, it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Textbooks’, ‘Competence Education’, and ‘Specific Subject’ dur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As a result of the time-series analysis of the core research area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was not actively conducted during the announcement perio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opics was not high.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the core research area was expanded, and many related studies appeared. Dur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studies related to practical calls subjects and their evaluations increased, and studies were carried out evenly across most of the topic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ndicate that there was a close link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eed for curriculum experts and subject experts to participate in basic research for revision was derived during the announcement period. Besides, there was a need to understand the demands of education parties as well as national-wide education consumer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연구의 지적구조를 고찰하기 위하여 2013년 10월 개정교육과정이 고시된 시점부터 2020년 5월까지의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연구논문을 수집하였고, 언어네트워크 방법을 활용하여 클러스터링(Clusering)과 매핑(Mapping)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연구, ’학습경험의 질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기초 소양교육 강화, 학생중심의 교육과정 연구‘의 4가지 영역이 분석되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시기별 연구 키워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시준비 기간에는 ’교과교육‘, ’역사교육‘, ’통합교육‘ 등의 연구주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적용준비 기간에는 ’교과교육‘, ’역량교육‘의 순서로, 적용 기간에는 ’교과서‘, ’역량교육‘, ’교과교육‘의 순서로 점유율이 높게 분석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지적구조의 시기별 중점영역을 분석한 결과, 고시준비 기간에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으며 세부주제들 간의 연결성도 높지 않게 나타났다. 적용준비 기간에는 연구의 주제영역이 확장되고, 관련 연구도 많이 등장하였다. 적용기간에는 실제적인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과 평가와 관련된 연구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부분의 세부영역에 걸쳐 고르게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2015 개정교육과정의 개발과정에서 총론과 각론 간의 유기적인 연계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내주었으나, 체계적인 연계성을 가진 총론과 각론의 사후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고시준비 기간에 교육과정 전문가와 교과전문가가 함께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에 참여하는 과정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 시에 교육 관련 당사자와 구성원 전체의 요구, 국가-사회적 요구를 제대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논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 내용을 감축하고 고등학교 기하과목을 진로선택으로 분류

        심성아(Seong-A Sh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64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9월 23일에 고시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정리하고, 세부적인 내용에서 이전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분석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과 그에 대한 각계의 의견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는 이전 교육과정의 문·이과 공통수학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 외에는 문·이과 통 합형 교육과정이라고 할 새로운 변화는 없으며, 내용 감축과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로 학습 부담 완화를 모색하며, 선택과목을 재구조화한 것이그 특징으로 정리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습부담 경감의 문제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선택 과목의 문제, 신설 교과의 정체성과 정착 방법의 문제, 수능연계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제 등의 많은 쟁점이 있었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 중 기하 과목의 진로선택 분류는 수학 내용의 교육적 측면에서 빠른 시일 내에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교육과정 개정은 더 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장기적인 계획으로, 면밀한 교육현장 조사와 사회 각계의 의견 수렴은 물론 전문가자문을 심도 있게 구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창의융합형 인재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특징적 수학 과목을 개발하는 방안도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to analyze it in detail comparatively with the previous 2009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that arose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opinion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Also the author suggests a few methods of improvements for future revision of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conclusion there are no changes that could be called an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ts primary characteristics are seeking the load alleviation for students by reducing the learning content and providing evaluation guidelines,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elective course system in that the High School Geometry is classified as an elective career course. Many controversial issues have arisen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cluding the issues of the study load alleviation, the elective career course system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identities of the newly created courses and methods to settle them, and the absence of the linkage plan to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he task of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long-term plans and comprehensive field research in school classrooms along the process of requesting experts advice in-depth.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상

        은지용(Eun, Ji-Yong),이간용(Lee, Khan-Yong),최병택(Choi, Byung-Taek),한춘희(Han, Choon-He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에 참여한 연구진의 자전적 관점에서 개정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개정 교육과정 적용과 관련된 후속 대책을 제시함으로써 개정 교육과정 적용 교과서 개발 및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측면에서 환경 확대법의 탄력적 적용 및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구성 지향, 학습량 감축 및 내용 중복 해소를 통한 학습 내용의 적정화 추구, 역사 영역의 주제사적 구성 및 비중 강화, 지리 영역의 장소 및 공간적 맥락과 기능, 그리고 인간-환경 간의 관계 이해 강화, 일반사회 영역의 핵심 주제 초점화를 통한 재구조화 시도, 다양한 방식의 영역 간 통합적·유기적 내용 구성 시도, 국가 사회 요구 차원의 영토 및 통일 교육 강화 등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단원별(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측면에서는 학습 요소,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의 주요 변화 양상을 내용 구성 체제 및 내용 요소 측면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3∼4학년군의 주요 변화 양상으로 교통 및 통신 수단의 내용 축소 및 생활과의 연관성 강화, 인간 생활과 환경 간의 관계 이해 강조, 지도 활용 능력 제고와 지역 특성에 대한 종합적 접근, 주민 참여 관련 내용의 간략화, 촌락과 도시의 상호의존적 관계 강조, 지역 간 경제적 상호의존성 강조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5∼6학년군의 주요 변화 양상으로 국토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종합적 이해 강조, 인권 존중 노력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유기적 연계, 독창적 문화 발전 측면에서 고려 문화 소개, 민족 문화 발전 측면에서 조선의 문화 조명,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 관련 내용의 영역 간 연계성 강화, 민주주의 원리 적용 범위의 순차적 접근, 세계 지리 학습 대상을 위한 공간 단위의 구체화, 독도와 남북 통일 내용의 통합, 지속 가능한 발전 개념의 관점 확장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후속 대책을 제시하면, 학습량 감축에 따른 수업 운영을 위한 준비, 현장 적합성을 갖춘 교과서 구성 방안 마련, 교과서의 역사 인물 소개 방법에 대한 연구,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의 수업 구현 능력 신장 및 관련 지원 체제 마련, 자기 주도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다양한 학습 활동이 가능한 교수·학습 환경 설비 마련 등에 대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basic direction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revision and the patterns of changes in the draft of the 2015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from the autobiographical viewpoint of the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vision, to make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ultimately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for future revis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contents of research conducted for these purpo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asic direction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draft of the 2015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content structure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revised curriculum pursued the flexible application of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topic oriented integrated composition, optimization of learning contents through reducing the amount of contents and resolving redundancy of contents, topic based composi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history domain, the place and spatial contexts and functions of the geography domain, reinforced understanding of the human-environment relationship, restructuring of the general social studies domain through the focalization of key themes, various ways of content integration and organization among domains, and reinforcement of territory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response to national and social needs. In the aspect of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by unit (by achievement standard group), the revised curriculum presented elements of learning, explanations about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what to be noted, assessment methods and what to be noted, etc. Second, in the aspect of content structure and elements, the patterns of main changes in the draft of the 2015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ere as follows. First, major changes in the 3rd/4th grade group were the reduction of contents related to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means and reinforcement of relevancy to daily living, emphasis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environment relationship, enhancement of abilities to use maps, comprehensive approaches to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simplification of contents related to resident participation, emphasis on interdependency between rural and urban region, emphasis on economic interdependency among regions, etc. In addition, main changes in the 5th/6th grade group were emphasis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national territory, organic connection of efforts for human rights in the past and present, introduction of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original culture, illumination of th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aspect of national culture development, reinforcement of linkage among the domains of contents related to democracy and economic development, sequential approaches to the scope of application of democratic principles, specification of space units for the objects of learning of world geography, integration of contents related to the Dok do Island and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expansion of the viewpoint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tc. Third, for the future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prepare class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reduced amount of contents, to develop textbooks with field relevance, to make research on the methods of introducing historical figures in the textbooks, to enhance teachers’ ability to implement classes for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and establish systems for providing related supports, and to prepare teaching learning environment and facilities for various self directed and experience oriente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된 농업생명과학 내용 분석

        정남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criteria of analysis was the tehmatic areas, subareas and standards of agricultural literacy. As a result of study,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criteria was set up and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analysis was the first, the procedure to determin a mismatch between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nd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second, the procedure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from the first procedure. The discussion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provided not only in a certain number of subjects but also organized without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such as the sequence, the continuity, and the integration. Secon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provided without balance of the contents criter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agricultural literacy. Furthermore, a total amount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as not enough to meet the purpose of the agricultural education. The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a future, the positive aspect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should be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in a future, more amount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should be provi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된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주요 연구 방법인 문헌연구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전 과목의 내용과 이에 의해 추출된 농업생명과학 내용이었고, 분석 준거로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추출하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제시 체제를, 추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하위요소 및 내용 체제를 사용하였다. 분석과정은 1차로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모든 내용을 농업생명과학의 내용과의 일치 여부 확인, 2차로 추출된 내용을 농업문해 체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농업생명과학 내용이 일부 교과에만 제공되었을뿐만 아니라 해당 교과의 목적과 특성에 근거하여 내용을 제시함에 따라 농업생명과학 내용 제시에 대한 교육과정의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둘째,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농업생명과학 관련 내용이 매우 부족하게 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및 하위요소에 불균형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초등학생의 농업문해 수준을 높이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미래의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농업생명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반영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래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는 보다 많은 교과에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영국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배화순,김현미,이정우,조철기,이해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is study analyzes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ngland and explores how to improve Korea’s 2015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cently revised curriculum in England promotes a core knowledge-based curriculum in place of a competency-based one. Accordingly, geography, history, and civic subjects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 content that focuses on essential knowledge students must learn. The revised curriculum in England is characterized by fully reflecting the differences of each area regarding goals,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osition of content since it is divided into geography, history, and civic subjects. Furthermore, it sequentially ranks the content or functional elements by key stage and marks the area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learned as “non-statutory” elements, thereby reflecting differences from Korea’s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derived as follows: First, a systematic direction for the integration and division for each area of social studies is necessary. Second, the issue of excessive duplication of social studies content needs to be addressed Third, the hierarchy for skills needs to be considered, and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guide should be review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distinguish between essential elements and those that are not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issues, we hope that follow-up research to improve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carried out. 본 연구는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을목적으로 한다. 최근 개정된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으로 핵심 지식 중심 교육과정을지향한다. 이에 따라 영국 사회과의 지리, 역사, 시민성 과목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반드시 배워야 하는 필수 지식, 즉 내용 요소를 강조한다. 한편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지리, 역사, 시민성 과목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목표및 성취기준, 내용 구성 등에 있어 각 영역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Key Stage별로 내용이나기능 요소 등을 위계화하고 있으며, 필수적으로 학습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비법령적(non-statutory)’ 요소로표기하는 등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통합형, 분과형 등 사회과 교육과정의구성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의 분석을 통하여 내용체계에 대한 점검이필요하다. 셋째, 사회과 기능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기능에 대한 위계의 고려와 교육과정의필수 요소에 대한 안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 상에 필수적 요소와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표시하는방안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쟁점을 중심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후속 연구가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이화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6 No.-

        Arts education is currently facing new challenges. Arts education students, education professionals, parents, and it is compared to other educational or athletic known in its local community does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fact. In addition, from 2018 it has been added to the drama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Arts education is an unavoidable situation, competition and drama education.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has been finalized on September 23, 2015, it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can be applied from 2018.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was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arts and give you the opportunity to develop a competitive arts education. In the study, we can therefore critically investigate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in the educational process and pursuing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1) compared to the music by selecting a center of the arts curriculum 「Art Creation」 an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discussed the competitiveness of theater education curriculum. 2) curriculum is to evaluate the main ideas presented in terms of internal validity. 3) fusion and creative talent training course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cultivation was investigated how well apply to learner-centered activities, compared to the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and in 2009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for this purpose by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document it was clear in comparison. In addition, fine arts, education, psychology, philosophy, etc. related to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was re-definition of key concepts. 현재 미술교육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되어 있다. 예술교육은 현재 학습자, 교육전문가, 학부모, 지역사회 시민들로부터 다른 주지교육에 비해 그 중요도가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2018년부터는 예술교육에 연극교과가 추가되어 연극 교과와의 경쟁이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2015. 9. 23일에 확정․고시되어 2018년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새롭고 진보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미술교육이 가졌던 단점을 개선하고보다 경쟁력 있는 미술교육으로 진보할 수 있는 계기가 주어진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측면에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고찰하여 미술교육의 진보적 발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1) 2015 개정 「미술」 교육과정이 제시하고자하는 핵심 개념을 구인타당도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2) 2015 개정 「미술창작」과 「미술감상과 비평」을 경쟁력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미술 교육과정’ 을 ‘2009 개정 미술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교육과정이 가지는 문서에서의 성격과 특징을 해석하고 명료화하였다. 또한 미술학, 교육학, 심리학, 철학 등과 관련시켜 ‘2015 개정 미술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핵심 개념을 재개념하여 미술과 교육과정의 재정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연극의 이해』 교과서 연계 분석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이연심 ( Lee Yeon Sim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7

        교육과정에 비하여 거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학교 현장의 연극 교과서는 연극에 대한 교과서 개발자의 관점에 따라 내용 선정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며, 신념이나 가치관, 관심에 따라 내용의 범위와 수준, 구체적인 소재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극 교육과정을 구현하고 있는 연극 교과서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분석하는 일은 의미 있는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서 실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 관심을 두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연극의 이해』 교과서를 연계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 수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연극의 이해’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연구개발 보고서인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고교 예술교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학습목표는 성취기준을 구현하기에 적절하게 설정되었는지를 분석 기준으로 하였으며, 학습활동은 109개의 성취기준별 학습활동 분석 요소(내용학습요소 39개, 목표학습요소 51개, 적용학습요소 19개)를 도출하여 분석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연극의 이해』 교과서는 3개의 대단원, 9개의 중단원, 26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소단원별 학습목표는 총 55개를 제시하고 있는데, 37개의 학습목표는 각 성취기준을 달성하기에 합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8개의 학습목표는 성취기준을 달성하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절한 학습목표의 양상은 학①습활동의 부족으로 확장이 필요한 학습목표, ②성취기준과 동일하여 상세화가 필요한 학습 목표, ③학습활동의 누락으로 추가가 필요한 학습목표, ④학습내용의 반복이나 지나친 세분화로 분석-통합이 필요한 학습목표로 나눌 수 있다. 학습활동의 경우, 109개의 성취기준별 학습활동 분석 요소 중 100개는 다양한 교과서 구성요소에서 구현되고 있으나 9개는 내용이나 활동이 누락되었다. 아울러 학습량을 고려하지 않은 목표학습활동, 계열성을 고려한 단계별 구성이 필요한 학습활동 등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차후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서 개정을 위하여 ①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상세화의 정도를 고려하여 교과서의 학습목표 설정, ②교육과정이 의도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활동의 체계적인 구성·전개, ③균형적인 소재의 선택, ④교과서 개발자와 교육과정 개발자간의 소통 시스템, ⑤교과서의 활용 사례 연구를 통한 교육과정에의 피드백, ⑥『연기』, 『연극 감상과 비평』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질적 교과서의 개발에 일조하며, 이와 관련한 다양하고 심도 깊은 후속 연구를 자극하고, 향후 연극 교육과정과 연극 교과서에 대한 담론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for theatre textbooks having absolute part in school settings in proportion to its curriculum, content selection criteria may differ by the perspectives of textbook developer on theatre, and scope and level or detailed materials of content may be decided according to the belief, values or interest. For the reasons, making an analysis by connecting theatre textbooks containing theatre education course with curriculum is considered a meaningful research task. Having interest in didactic transposition process that occurs while curriculum is realized in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aims to make a sequential analy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atre』textbook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obtaining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correction of textbook as well as revision of curriculum for the future. This study established analysis standard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atre’ curriculum and 「Development and Research of Draft Proposal fo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igh School Art Subject Curriculum」 which is a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 fo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ith respect to learning objectives, this study set ‘Is learning objective established suitably for realizing achievement standards?’ as a standard of analysis, and for learning activity, this study generated and 109 elements for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by achievement standards (39 content learning elements, 51 aimed learning elements, 19 application learning elements) and set the elements as analysis standards.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atre』 textbook is composed of 3 large, 9 medium and 26 small units, and each small unit suggests total 55 learning objectives and 37 of which are considered appropriate for achieving each achievement standard, whereas 18 turned out to be inappropriate for achieving achievement standards. Inappropriate learning objectives can be divided into ① 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be expanded for lack of learning activity, ② 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be specified due to sameness with achievement standards, ③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learning activity due to omission and ④learning objective that analysis-integration is necessary due to repetition or excessive segm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As for learning activity, 100 out of 109 learning activity analysis elements by achievement standards are realized in various components of textbook, but content or activity is omitted in 9 elements. And some more problems such as aimed learning activity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learning and learning activity that phased composition considering sequence were also found. The aforementioned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①establishment of learning objectives of textbook considering the degree of segmentation through analysis of curriculum, ②systematic composition·development of learning activity to achieve desired objectives of curriculum, ③balanced selection of materials, ④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xtbook developer and curriculum developer, ⑤ feedback for curriculum through researches of textbook application cases and ⑥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Acting』,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textbooks and curriculum etc. are required for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revision of textbook.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help to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textbook, stimulating varied and in-depth follow-up studies and contributing to formation of discussion about theatre education course and theatre textbooks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